KR101528813B1 - 이차 전지의 축전 능력 열화 방지와 재생 및 축전량 계측 장치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의 축전 능력 열화 방지와 재생 및 축전량 계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813B1
KR101528813B1 KR1020147002062A KR20147002062A KR101528813B1 KR 101528813 B1 KR101528813 B1 KR 101528813B1 KR 1020147002062 A KR1020147002062 A KR 1020147002062A KR 20147002062 A KR20147002062 A KR 20147002062A KR 101528813 B1 KR101528813 B1 KR 101528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charging
current
charg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2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1376A (ko
Inventor
히로토 타테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스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027477A external-priority patent/JP528959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스브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스브이
Publication of KR20140031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42Regeneration of electrolyte or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Circuit 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and dc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9Charging or discharging for charge maintenance, battery initiation or rejuven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6Overdischarge pro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과제] 2차 전지는 방전 회수의 증가에 의해 전지 전극면이 불량 도체 불활성화물인 박막으로 덮이고, 박막은 시간의 경과함에 따라 결정화하고, 결정화는 충전 전류에 의해 전기 화학 분해하는 충전로를 끊어, 재충전에 의해 정극과 음극이 재생하지 않고, 축전 능력이 열화한다. 이 사이클 수명에 의한 열화를 방지하고, 재생하는 기술이 필요하고, 2차 전지 완전 충전 종료와 축전 잔량 정보는 에너지 유효 이용을 위해 필요하다.
[해결수단] 2차 전지의 축전 능력의 열화 원인인 충방전에 근거하는 전극 절연체 불활성화 피막을 유전 완화손해에 의해 발생하는 열기계 효과로 재생하고, 2차 전지에 대한 개개의 유전 완화 손실 주파수를 고주파 의존 충전 전류의 증가로 자동 탐색하여, 절연체 불활성 피막을 선택적으로 분해하고, 부대적으로 축전지의 충전 종료를 유전 완화 손실 주파수의 절단과 접속으로 알아, 유전 완화 손실 주파수의 전류 컨덕턴스는 충전 상태인 축전량을 주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차 전지의 축전 능력 열화 방지와 재생 및 축전량 계측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F STORAGE CAPACITY OF RECHARGEABLE BATTERY, REGENERATING THE SAME, AND MEASURING STORAGE QUANTITY}
이차 전지의 열화 방지와 재생을 방전에 근거하는 전극 부도체 불활성화 물질 생성을 불활성화 물질의 유전 손실 주파수에서 유전 가열 미세화하고, 충전 전류에 의해 전기 화학 분해하는 전지 재생에 관한 장치로, 동시에 얻어지는 유전 가열 전류 값은 축전량을 가하는, 즉 방전량에 비례하는 전극 부도체 불활성화 물질량인 유전 다이폴(dipole) 양은 유전 손실 피크 주파수 컨덕턴스(conductance)에 비례하기 때문에 방전량이 알려져, 정격 축전량에서 현시점의 방전 용량을 공제한, 충전 상태(SOC:state of charge)인 축전량을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는 방전 횟수의 증가에 의해 전지 전극면이 불량 도체 불활성화 물질인 박막으로 덮히고, 박막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결정화하며, 결정화는 충전 전류에 의한 전기 화학 분해하는 충전로를 끊고, 재충전에 의해 양극과 음극이 재생되지 않아 축전능력이 열화한다. 오늘날, 자연에너지, 태양광이나 풍력 등의 불안정 발전 전력을 출력 안정화와 동시에 저장하는 소위 스마트 그리드에 저렴한 이차 전지의 장수명화는 필수적이며, 충방전 사이클에 의한 축전 능력의 열화 방지와 재생 기술이 필요하고, SOC 정보인 축전량 계측은 축전 전력 유효 이용을 위해 필수이다.
현재 이차 축전 전지의 축전 능력의 열화 방지 및 재생 기술은, 납 축전지 열화 방지와 재생에만 한정하고 고주파 전류를 흘리고, 전극 표면에 성장한 황산 납 피막에 유전 손실 가열을 가하고, 황산납 절연체 불활성 피막을 제거하는 장치가 본 특허 발명 출원인에 의한 일본 특허 제4565362호에 알려져 있지만, 이차 축전 전지 일반에 대한 개개의 유전 완화 손실 피크 주파수를 자동검색하는 열화 방지와 재생 기술 및 축전 잔량 계측 장치는 특허 청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특허문헌 1 : 일본특허번호 제4565362호
상기 문헌은 납황산 전지에 한하여, 열화 방지와 재생을 방전에 근거하는 전극 부도체 불활성화 유산납 결정 생성을 불활성화 물질의 유전 손실 주파수로 유전가열 미세화하여, 충전 전류에 의해 전기 화학 분해하는 전지 재생에 관한 장치로 유산납 미결정의 파괴를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축전 잔량 계측은 행해지지 않은데다가, 납황산 축전지로 한정된 유전가열 분해 재생과 열화 방지 밖에 특허 청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술의 문제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2차 전지 모두에 응용할 수 있는 열화 방지 및 재생과 동시에 축전 잔량 계측을 실시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차 전지에 대한 개개의 유전 완화 손실 피크 주파수를 자동 탐색하는 열화 방지와 재생 기술 및 축전 잔량 계측 장치의 발명이다.
2차 전지의 충방전에 의한 사이클 수명은 전극에 전기 화학적 불활성 절연체를 축적하는 것에 의해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절연체는 유전 완화 손실이 있고, 예를 들면 리튬 이온 전지의 탄산 리튬이나 탄산 알킬리튬 표면 피막 등의 유전 완화 주파수 전압으로 구동하면, 유전 손실열로 절연체 결정을 열기계적으로 일그러지게 하여, 결정에 미세 균열을 형성하고, 이 결과 전기 도통화하여, 충전 전류에 의해 전기 화학 분해하여, 축전 능력을 재생 부활할 수 있다. 절연체로 덮이지 않은 전극 표면에서의 전기 전도도는 작다. 왜냐하면 금속 전극면의 전기 전도도는 이온 확산 전류가 주로, 이온 전류의 응답 속도가 수백 kHz 이하이기 때문에, 금속 도통 전극면의 전기 전도도는 축전 불활성 유전체 완화 주파수 MHz 대에서는 작다. 따라서 고주파 영역에서는 유전율이 높은 고주파 절연체막 표면을 전류는 선택적, 집중적으로 흐른다.
방전에 의한 전극의 산화막 절연체량은 패러데이의 법칙에 의해 방전 전기량 에 비례하므로, 충전시에 중복 구동하는 정전압 유전가열 전류는 아직도 결정화하지 않는 용충전 가능 유전체 다이폴과 결정화한 불활성 다이폴의 수가 고주파 전류량이 되어, 컨덕턴스를 주고 소비 축전량을 준다. 즉 방전량에 비례하는 전극 부도체 물질량인 유전 다이폴 수는 유전 완화 손실 피크 양주파수의 컨덕턴스에 비례하므로 방전량이 알려져, 정격축전량으로부터 현시점의 방전량을 공제하여, 축전량이 판명된다. 불특정의 2차 전지에 있어서, 유전 완화 손실 피크 주파수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정전압 혹은 정전류 직류 충전중에 정전압 구동 고주파를 주파수 소인(掃引)하면, 전극의 전기 화학적 불활성 절연체가 유전 완화 손분해(損分解)하는 가장 유효한 주파수는 충전 직류 전류가 최대가 될 때, 혹은 정전류에서는 충전 전압의 저하로 판명된다. 정전압 충전중에 2차 전지는 만충전에서도 상당한 암전류가 흘러 충전 완료는 명확하게 알기 어렵다. 완전 충전 종료는 불활성 유전 완화 손실 구동 피크 주파수의 절단과 접속으로 충전 전류가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명확하게 판명된다. 이 충전 상태, SOC는 스마트 그리드 등으로부터 충전되는 무효 충전 전력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어, 축전 잔량이 명확하게 판명된다.
본 발명에 의해, 불특정 원리 2차 전지의 재충전을 방해하는 전극의 전기 화학적 불활성 절연체 결정막이 선택되어, 열기계적으로 미세 분해되므로, 반영구적으로 불특정 원리 2차 전지의 충방전 열화를 방지하는 동시에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차 전지의 완전 충전 종료의 명확한 정보는 암전류로서 충전되는 무효 충전 전력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방전에 의해 가능한 유전 결정화 및 비결정화 양다이폴 완화 손실 피크 주파수에서의 컨덕턴스는 유전 완화 강도이며, 방전량 정보를 주어 정격축전량으로부터 현시점의 방전량을 공제하여, 정확한 잔축전량이 판명된다. 완전 충전 종료의 명확한 정보와 정확한 잔축전량은 충전 상태, SOC로 불리고 스마트 그리드 등 2차 전지 이용 기술에 필수 정보이다.
도 1은 불특정 축전지 열화 방지와 재생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규산 납축전지의 유전 손실 전류의 주파수에 대한 특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규산 납축전지의 5시간 방전율에서의 재생 실시 비교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규산 축전지 고주파 재생 충전중의 직류 충전 컨덕턴스도이다.
도 5는 규산 축전지 고주파 재생 충전중의 고주파 컨덕턴스도이다.
도 6은 리튬 이온 전지의 고주파 컨덕턴스도이다.
도 7은 리튬 이온 전지의 방전 특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니켈수소전지의 고주파 컨덕턴스도이다.
도 9는 니켈수소전지의 방전 특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 하나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9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불특정 축전지 열화 방지와 재생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축전지 재생장치 제어 MPU(마이크로 프로세서)(21), MPU(21)에 의한 충전 전압 지령 D/A 컨버터(22), 충전 전압 파워앰프(23), 고주파 차단 코일(24), 축전지(25), 축전지 단자전압 측정 A/D 컨버터(26), 유전 손실(dielectric loss) 주파수 소인(sweeping) 신시사이저(synthesizer)(27), 유전 손실 주파수 전력 증폭기(28), 직류 전류 차단 콘덴서(29), 충전 전류 검출기(30), 유전 손실 주파수 전류 검출기(31), 유전 손실 주파수 전류 측정 A/D 컨버터(32), 충전 전류 측정 A/D 컨버터(33), 충전 전류 귀환로(34)로 이루어진다.
도 2는 전지 열화 방지와 재생장치를 사용하여, 열화이기 때문에 폐기된 전동 이륜차 12 볼트 규산 납축전지의 재생을 실시했다. 규산연(珪酸鉛) 유전 손실 주파수를 찾기 위해서 유전 컨덕턴스의 피크를 찾았다.
곡선(36)은 재생 충전 전의 미충전 상태의 규산 축전지 고주파 의존 컨덕턴스 곡선으로, 유전 손실 피크(44, 45 및 46)는 3개가 있고, 곡선(37)은 직류 통상 충전 컨덕턴스 주파수 스펙트럼 곡선으로, 41, 42 및 43의 유전 손실 피크가 보인다. 곡선(35)은 유전 손실 주파수 자동 추적 충전 재생 후의 규산 축전지의 고주파 의존 컨덕턴스 곡선이며, 41, 42, 43, 44, 45와 46의 유전 손실 피크는 소실했다.
불특정 축전지 유전 손실 주파수 자동 추적 충전 재생 방법은, 축전지(25)의 전압은 A/D 컨버터(26)으로 측정하여, MPU(21)에 입력된다. MPU(21)는 축전지(25)의 개방 전압이 설정치 이하를 검출한 경우는 축전지 재생 모드에 진입하여, 유전 손실 주파수 소인 오실레이터(Oscillator:27)로부터 고주파 전류를 발생하고, 고주파 전력 증폭기(28)로 증폭하여, 직류 차단 콘덴서(29)를 통해, 축전지(25)에 유전 손실 가열 교류 전류를 흘린다. MPU(21)는 D/A 컨버터(22)로부터 전력 앰프(23)로 증폭하여, 고주파 차단기(24)를 통해, 축전지에 충전 전류 검출기(30)로 규정 충전 전류를 보면서 충전을 개시한다. MPU(21)는 유전 손실 주파수를 소인하여, 축전지(25)의 충전 전류는 항상 측정되고 충전 전류의 증가 피크점을 찾아, 충전 불활성 물질의 유전가열 분해 종료는 유전 손실 주파수 전력 증폭기(28)의 출력을 온 오프해도 충전 전류가 불변인 때이다. 완전 재생 충전 종료 판정은 유전 손실 주파수 대역을 모두 주파수 소인하여 판단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 재생 충전 종료 판정은 유전 손실 주파수 전대역 소인하고, 유전 손실 주파수 전류 검출기(31)에서 유전 완화 피크의 소실 확인으로 가능하다.
도 3의 곡선(44)은 도 2의 곡선(36)의 직류 전류만의 충전의 5시간 방전율로, 3시간 50분에 방전 종료하였다. 그린세이버 SP27-12S의 규격은 32Ahr로 6.5 A/hr이지만, 유전 손실 주파수 자동 추적 충전 재생을 충분히 실시한 후의 방전 곡선(45)은 5시간 50분이며, 완전하게 축전지는 재생할 수 있었다.
도 4의 곡선(46)은 납규산 전지 SP27-12S에 3A 정전류 충전중 고주파를 1 Mhz에서 90Mhz까지 반복하여 소인 인가하고, 고주파 온과 오프에 의한 충전 컨덕턴스 차이의 증가분을 13시간 기록한 것이다. 최소 제곱법의 직선(StraightLine:47)은 충전 후 12시간에 고주파 의존 컨덕턴스는 제로가 된다. 이것은 다이폴인 규산납이 모두 환원 충전된 것을 의미하고, 명확한 충전 종료를 선언한다. 또한 3A 걸리는 12시간은 36Ahr 충전되었지만, 도 3의 재생 충전 후 6.5A 정전류 방전 특성은 10.5V까지 5.6시간을 나타내고, 실제의 축전량은 약 36Ahr이며, 좋은 일치를 나타내고, 군더더기없는 충전 종료 정보를 얻었다. 2차 전지의 완전 충전 종료를 유전 완화 손실 구동 피크 주파수의 절단과 접속으로 충전 전류가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명확하게 알아, 충전되는 무효 암충전 전력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장치를 제안할 수 있었다.
도 5의 곡선(48)은 납규산 전지 SP27-12S에 3A 정전류 충전중 고주파를 1 Mhz에서 90Mhz까지 반복하여 소인 인가하고, 다이폴 양을 나타내는 고주파 충전 컨덕턴스를 13시간 기록한 것이다. 최소 제곱법의 직선(49)은 충전 후 12시간으로 고주파 컨덕턴스는 제로가 된다. 이것은 다이폴인 규산납이 모두 환원 충전된 것을 의미하고, 명확한 충전 종료를 선언한다.
최소 제곱법의 직선에 의해, 방전량에 비례하는 전극 결정화 및 비결정 부도체 물질량인 양유전 다이폴 수는 양유전 완화 손실 피크 주파수에서의 컨덕턴스에 비례하므로 방전량이 알려져, 정격축전량으로부터 현시점의 방전량을 공제하여, 충전 상태인 축전 잔량과 완전 충전 종료 신호를 상기 양유전 다이폴 컨덕턴스가 제로가 될 때 출력하는 장치를 제안할 수 있다.
도 6의 곡선(50)은 폐기된 랩탑 컴퓨터의 리튬 이온 전지 US18650의 직류 0.2A 정전류 충전중 고주파를 1MHz에서 200MHz까지 반복하여 소인 인가하고, 세로축은 고주파 온과 오프에 의한 충전 컨덕턴스의 차이를 기록한 것으로 단위는 지멘스(siemens)에서, 충전 잔량 거의 제로 상태의 데이터이다. 횡축은 충전 직류 전압에 중첩하여 더해진 고주파 주파수를 나타낸다.
도 7은 리튬 이온 전지 US18650의 0.5A 방전 재생 특성으로, 종축은 방전 전압을 나타내고, 횡축은 방전 시간을 나타낸다. 곡선(51)은, 직류 정전압 4.5V 만으로 충전되고 만충전이 된 전지의 방전 특성으로, 종축은 전지 전압, 횡축은 방전 경과시간이다. 곡선(52)은, 고주파로 재생 충전되고 만충전된 전지의 방전 특성 곡선으로, US18650의 규격 1.28AHr에 거의 재생되고 있다.
도 6과 도 7의 결과는 리튬 이온 전지의 다이폴 진동 주파수가 고주파에 시프트하는 것만으로 규산 전지와 같게 동작하고, 만충전 예측이나 잔량 계측이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8의 곡선(53)은 휴대용 청소기의 폐기된 AMC10V-UE 전지팩 20개들이 중의 한 개의 니켈수소전지를 0.1A 정전류 충전 전압 고주파 의존 특성을 나타낸다.
종축은 정전류 충전 전압의 고주파 부하 있음과 부하 없음의 차이 전압을 나타내고, 횡축은 주파수를 나타낸다. 고주파에 근거한 충전 전압의 저하가 80MHz에서 140MHz대에 있어, 충전 내부 임피던스(impedance)가 저하되어 충전 전극 재생 효과가 보인다. 수소 흡착 전극에 부착하는 염(salt)의 불활성화 다이폴이 유전가열로 박리하여 전극이 활성화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도 9는 니켈수소전지 1A 방전 특성을 나타낸다. 곡선(55)은, 직류정전압 1.5V만으로 충전되고 만충전된 전지의 방전 특성으로, 종축은 전지 전압, 횡축은 방전 경과시간이다. 곡선(54)은 리튬 이온 전지와 같이, 고주파를 걸어 1A 정전류 충전을 실시한 후의 방전 특성을 나타낸다. 초기 충전 능력 사양 2.9AHr에 부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납축전지는 넓게 사용되고 있어, 자동차, 선박 등의 엔진 시동용이나, 스마트 그리드의 로컬 축전 스테이션용으로서 자연 에너지, 풍력 발전기나 태양전지의 맥동 정류용으로서 이러한 축전지의 사이클 수명의 연장에 공헌할 수 있고, 이용 가능하다.
21 축전지 재생장치 제어 MPU(마이크로 프로세서)
22 MPU(21)에 의한 충전 전압 지령 D/A 컨버터
23 충전 전압 파워 앰프
24 고주파 차단 코일
25 재생되는 축전지
26 축전지 단자전압 측정 A/D 컨버터
27 유전 손실 고주파수 소인 신시사이저
28 유전 손실 고주파 전력 증폭기
29 직류 전류 차단 콘덴서
30 충전 직류 전류 검출기
31 유전 손실 고주파 전류 검출기
32 유전 손실 고주파 전류 측정 A/D 컨버터
33 충전 전류 측정 A/D 컨버터
34 충전 전류 귀환로
41 직류정전압 충전 규산 축전지의 고주파측 유전 손실 피크
42 직류정전압 충전 규산 축전지의 중간 주파측 유전 손실 피크
43 미충전 규산 축전지의 저주파측 유전 손실 피크
44 미충전 규산 축전지의 고주파측 유전 손실 피크
45 미충전 규산 축전지의 중간 주파측 유전 손실 피크
46 미충전 규산 축전지의 저주파측 유전 손실 피크

Claims (7)

  1. 2차 전지의 축전 능력의 열화 원인인 충방전에 근거하는 전극 절연체 불활성화 피막을 전기 화학적으로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충전 전압 검출기, 충전 전류 검출기, 충전 전류 차단기, 고주파 가변 발진기, 고주파 정전압 출력 전력 증폭기, 고주파 전류 검출기, 고주파 전류 차단기를 구비하고,
    유전완화손실에 의해 발생하는 발열 효과를 수반하는 유전 손실 주파수의 고주파 전류를 2차 전지 정부 전극에 인가하고, 2차 전지에 대한 개개의 유전 완화 손실 피크 주파수를 고주파 의존 충전 전류의 증가로 자동 탐색하여, 절연체 불활성 피막을 선택적으로 분해하고, 고주파 교류 전류의 주파수는 해당 2차 전지의 이온 확산 전류의 응답 속도 이상의 고주파수대이며,
    방전량에 비례하는 전극 결정화 및 비결정 부도체 물질량인 양유전 다이폴 수는 양유전 완화 손실 피크 주파수에서의 컨덕턴스에 비례하므로 방전량이 알려져, 정격 축전량으로부터 현시점의 방전량을 공제하여, 충전 상태인 축전 잔량과 완전 충전 종료 신호를 양유전 다이폴 컨덕턴스가 제로가 될 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에 근거하는 전극 절연체 불활성화 피막의 제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연속 고주파 전류를 단속 변조하여, 전극 절연체 불활성 피막에 열기계적 충격을 효과적으로 주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에 근거하는 전극 절연체 불활성화 피막의 제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2차 전지의 완전 충전 종료를 유전 완화 손실 구동 피크 주파수의 절단과 접속으로 충전 전류가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명확하게 알고, 충전되는 무효 암충전 전력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에 근거하는 전극 절연체 불활성화 피막의 제거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고주파 교류 전류의 인가와 충전을 교대로 실시하고, 유전 완화 손실 가열 분해한 2차 전지 피막 성분을 충전 전류에 의해 재생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에 근거하는 전극 절연체 불활성화 피막의 제거 장치.
  7. 제1항 기재의 충방전에 근거하는 전극 절연체 불활성화 피막의 제거 장치에 있어서,
    특정 축전지에 있어서는 특정 유전율 피크 주파수를 기억장치에 기억하여 특정 정점 고주파를 출력하는 간이 장치.
KR1020147002062A 2012-02-10 2012-02-16 이차 전지의 축전 능력 열화 방지와 재생 및 축전량 계측 장치 KR1015288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27477 2012-02-10
JP2012027477A JP5289595B2 (ja) 2011-03-17 2012-02-10 充放電に基づく電極絶縁体不活性化皮膜の除去再生充電装置
PCT/JP2012/053662 WO2013118310A1 (ja) 2011-03-17 2012-02-16 二次電池の蓄電能力劣化防止と再生及び蓄電量計測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376A KR20140031376A (ko) 2014-03-12
KR101528813B1 true KR101528813B1 (ko) 2015-06-15

Family

ID=51868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2062A KR101528813B1 (ko) 2012-02-10 2012-02-16 이차 전지의 축전 능력 열화 방지와 재생 및 축전량 계측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814105A4 (ko)
KR (1) KR101528813B1 (ko)
CN (1) CN1041605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67873A (zh) * 2015-01-29 2020-02-07 王琮淇 电池封包
KR20160148871A (ko) 2015-06-17 2016-12-27 양순구 일방향 클러치 제동장치
KR101987528B1 (ko) * 2016-09-26 2019-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3381486B (zh) * 2021-08-10 2021-11-16 深圳天邦达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电动两轮车的智能电源管理系统
CN114374007B (zh) * 2021-12-30 2022-11-08 常州智戌新能源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动力锂电池破障机及动力锂电池充电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7419A (ja) * 1997-03-27 2001-10-02 タリコ,トッド バッテリーの再充電装置および再充電方法
JP2009284571A (ja) * 2008-05-19 2009-12-03 Ohk Kenkyusho:Kk バッテリー再生器およびバッテリー再生方法
JP2011171007A (ja) * 2010-02-16 2011-09-01 Jsv Co Ltd 鉛蓄電池の電気処理による蓄電能力劣化防止と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01977C (en) * 1997-04-07 2002-02-26 Thomas J. King Battery reconditioning device
WO2004070857A2 (en) * 2003-02-03 2004-08-19 Kelly Shawn P Method and related device for improving efficiency and preventing degradation of said energy storage device
CN1617381A (zh) * 2003-11-14 2005-05-18 有限会社奥罗拉文化交流社 铅蓄电池上生成的硫酸铅薄膜的去除装置
US7567086B2 (en) * 2005-12-09 2009-07-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monitoring state of health of an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7419A (ja) * 1997-03-27 2001-10-02 タリコ,トッド バッテリーの再充電装置および再充電方法
JP2009284571A (ja) * 2008-05-19 2009-12-03 Ohk Kenkyusho:Kk バッテリー再生器およびバッテリー再生方法
JP2011171007A (ja) * 2010-02-16 2011-09-01 Jsv Co Ltd 鉛蓄電池の電気処理による蓄電能力劣化防止と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14105A1 (en) 2014-12-17
CN104160545B (zh) 2017-08-04
CN104160545A (zh) 2014-11-19
EP2814105A4 (en) 2015-10-21
KR20140031376A (ko)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e et al. Electrochemical state-based sinusoidal ripple current charging control
KR101528813B1 (ko) 이차 전지의 축전 능력 열화 방지와 재생 및 축전량 계측 장치
CN102893447B (zh) 防止由铅蓄电池的电气处理导致的蓄电能力恶化和再生装置
DK2594006T3 (en) METHOD AND DEVICE FOR CHARGING A BATTERY
CN108226804A (zh) 一种电动汽车锂电池sop估算方法
CN111164824B (zh) 电池组的管理装置和电池组系统
CN103490114A (zh) 蓄电池充电再生器
JP2010049882A (ja) 車両
JP5289595B2 (ja) 充放電に基づく電極絶縁体不活性化皮膜の除去再生充電装置
KR101956457B1 (ko) 니켈 수소 전지의 재생 방법
JP2014127283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容量回復方法
WO2012008910A1 (en) Battery reconditioning method and device
Mihailescu et al. Hybrid supercapacitor-battery electric system with low electromagnetic emissions for automotive applications
JP2011159537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パック
Mulla et al. Design & Simulation of DC Fast Charging Algorithms for Battery Charging
JP2021150028A (ja) 容量回復装置、容量回復方法および二次電池システム
CN212517289U (zh) 一种光伏储能电池修复系统
JP5197904B2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パックの充電方法
KR20110094642A (ko) 고주파 펄스 배터리 복원기
MR et al. Design of High Efficient Charger for a Lithium Ion Battery
JP7025715B2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の再利用方法
Barsukov Battery selection, safety, and monitoring in mobile applications
CN118044093A (zh) 电池的充电方法和充电装置
WO2020230078A1 (en) Method for restoring capacity of lithium batteries
Abeyratne et al. A self adaptable intelligent battery charger for portable electron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