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730B1 -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730B1
KR101528730B1 KR1020140038420A KR20140038420A KR101528730B1 KR 101528730 B1 KR101528730 B1 KR 101528730B1 KR 1020140038420 A KR1020140038420 A KR 1020140038420A KR 20140038420 A KR20140038420 A KR 20140038420A KR 101528730 B1 KR101528730 B1 KR 101528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xternal force
display
display uni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현
원병희
심우상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38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730B1/ko
Priority to PCT/KR2015/000482 priority patent/WO2015152506A1/ko
Priority to JP2016560531A priority patent/JP6336118B2/ja
Priority to US15/301,059 priority patent/US1110341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6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for compressive stressing of a part of the skeletal structure, e.g. for preventing or alleviating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8Pneumatic massage with intermittent or alternately inflated bladders or c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61H2201/0146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88Illumination related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커버부; 상기 커버부를 통하여 인체에 외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커버부에 접하여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에서 전달되는 외력에 따른 표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의지하여 사용하는 대상물에서 인체로 전달되는 외력의 강도를 사용자가 시인성 높게 인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창방지 또는 안마의 목적으로 사용자의 인체에 외력을 전달하는 매트 또는 의자 등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욕창방지 또는 안마를 목적으로 하는 매트 및 의자는 진동 또는 물리적인 움직임 등을 통해 사용자의 인체에 외력을 전달하며, 일정한 강도로 지속적인 외력을 전달하기 보다 다양한 강도로 변화하면서 인체에 외력을 전달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사용자가 다양한 모드 중에 현재 욕창방지 또는 안마를 목적으로 하는 매트 및 의자가 어떤 모드로 작동중인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디스플레이로 확인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디스플레이도 확인을 하더라도, 현재 구동중인 모드가 정확히 어떠한 움직임을 보이는 모드인지 명확하게 알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메뉴얼을 확인해야 하는 경우도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구동중인 모드의 정확한 구동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직접 체험하여 느끼며 확인해야하는 일도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27061호 (2006.03.27.)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의지하여 사용하는 대상물에서 인체로 전달되는 외력의 강도를 사용자가 시인성 높게 인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를 통하여 인체에 외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커버부에 접하여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에서 전달되는 외력에 따른 표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커버부를 통해 인체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복수개로 구획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복수개로 구획된 공간에 각각 유체를 주입하여 인체에 외력을 전달하는 펌프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공간이 구획된 상기 커버부를 감싸는 별도의 덮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덮개에 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발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가 전달하는 외력의 강도에 따라 다른 발광형태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구동부가 전달하는 외력의 강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외력의 강도에 대응되는 표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구동부에 제공되는 외력강도조절에 대한 신호를 공유하여, 외력의 강도에 대응되는 표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각각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면상발광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하면, 별도의 디스플레이 없이, 사용자가 의지하여 사용하는 대상물에서 인체로 전달되는 외력의 강도를 사용자가 시인성 높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일반적으로 욕창을 방지하거나 또는 안마를 목적으로 하는 매트 또는 의자는 다양한 모드로 구동하는데, 별도의 구동상태를 확인할 필요 없이 비교적 빠르고 쉽게 매트 또는 의자의 구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제1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1 실시예가 안마의자에 적용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디스플레이부가 구동부에서 전달되는 외력의 강도에 따른 표시를 나타내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동부에서 전달되는 외력의 강도를 감지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동부에 전달되는 신호를 공유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구동부 및 디스플레이부가 복수개 구비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구동부가 펌프로 구비되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제2 실시예가 덮개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방·후방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제1 실시예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제1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1 실시예가 안마의자에 적용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3은 디스플레이부가 구동부에서 전달되는 외력의 강도에 따른 표시를 나타내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동부에서 전달되는 외력의 강도를 감지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동부에 전달되는 신호를 공유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구동부 및 디스플레이부가 복수개 구비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1 실시예는 커버부(100), 구동부(200) 및 디스플레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00)는 인체와 맞닿고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구성요소로, 본 실시예에서는 진동매트 또는 진동의자에서 사용자의 인체와 맞닿는 상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100)는 사용자의 인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면 그 형상 및 구성에 대하여는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200)는 커버부(100)를 통해 사용자의 인체에 외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부(100)를 기준으로 커버부(100)가 인체를 지지하는 반대편에 구비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210)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진동부(210)는 진동을 발생시켜 커버부(100)를 통해 인체로 진동을 전달하는 구성요소로, 욕창방지 또는 안마 등을 위한 매트 또는 의자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진동매트 및 진동의자에 진동부(210)가 구비된 구성이다.
이러한 진동부(210)는 안마 또는 욕창방지에 적합한 다양한 강도의 진동을 발생시켜서 인체에 전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면 그 형상 및 구성에 대하여는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300)는 커버부(100)에 접하여 구비되고, 구동부(200)에서 전달하는 외력에 따른 표시를 나타내는 구성요소로,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발광부(310)로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커버부(100)의 상면에 구비되며, 구동부(200)의 구동상태가 명확하게 드러날 수 있도록 구동부(200)가 발생시키는 외력이 사용자의 인체로 전달되는 커버부(100)의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00)가 커버부(100)의 상면에 구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300)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면상발광체로 구비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는, 커버부(100)와 디스플레이부(300)가 결합하는 부위의 커버부(100) 일부가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디스플레이부(300)가 커버부(100)의 빛이 투과할 수 있는 부위의 배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3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00)의 발광부(310)가 구동부(200)에서 발생되는 외력의 강도에 따라 다른 형태의 표시를 나타내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발광부(311), 제2 발광부(312) 및 제3 발광부(313)를 포함하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300)는 발광부(310)를 구비하며 제1 발광부(311)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제2 발광부(312)는 제1 발광부(311)를 감싸는 링 형태로 형성되며, 제3 발광부(313)는 제2 발광부(312)를 감싸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동심원의 형태로 배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단일로 구비된 발광부(310)가 밝기를 통해 진동의 강도를 표시하는 등, 구동부(200)가 발생시키는 외력의 강도를 표시하기 위해 마련된다면 그 형상 및 구성에 대하여는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300)는 구동부(200)가 발생시키는 외력의 강도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하게 되는데,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적용된 진동부(210)가 다양한 강도의 진동을 발생시키고 있을 때, 발광부(310)가 각 진동이 강도 별로 다른 발광형태를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310)는 각 진동의 강도 별로 다른 발광부(310)가 발광하여 진동부(210)가 발생시키는 진동의 강도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부(210)가 비교적 약한 강도의 진동을 발생시킬 때는 전체 발광부(310) 중 제1 발광부(311)만 발광하고, 보다 강한 강도의 진동을 발생시킬 때는 전체 발광부(310) 중 제2 발광부(312)만 발광하며, 가장 강한 진동을 발생시킬 때에는 전체 발광부(310) 중 제3 발광부(313)만 발광하는 방식으로 진동부(210)가 발생시키는 진동의 강도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310)는 각 진동의 강도 별로 서로 다른 갯수의 발광부(310)가 발광하여 진동부(210)가 발생시키는 진동의 강도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부(210)가 비교적 약한 강도의 진동을 발생시킬 때는 전체 발광부(310) 중 제1 발광부(311)만 발광하고, 보다 강한 강도의 진동을 발생시킬 때에는 전체 발광부(310) 중 제1 발광부(311) 및 제2 발광부(312)가 발광하며, 가장 강한 진동을 발생시킬 때에는 제1 발광부(311), 제2 발광부(312) 및 제3 발광부(313) 모두 발광하는 방식으로 진동부(210)가 발생시키는 진동의 강도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디스플레이부(300)의 표현 방법은 본 실시예에 적용된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동부(200)가 발생시키는 외력의 강도를 표현할 수 있다면 다양한 표현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300)가 구동부(200)가 발생시키는 외력의 강도를 파악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00)는 외력강도감지센서(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구동부(200)는 구동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의 신호를 받아 인체에 전달되는 외력을 발생시키고, 디스플레이부(300)의 외력강도감지센서(320)는 구동부(200)가 발생시키는 외력의 강도를 측정하게 되며, 외력강도감지센서(320)가 감지한 외력의 강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00)가 어떠한 표시를 표현할지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외력강도감지센서(320)는 구동부(200)가 발생시키는 외력의 강도를 측정하도록 마련된다면 그 형상 및 구성에 대하여는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00)는 구동부(200)에 제공되는 외력강도조절에 대한 신호를 공유하여 구동부(200)가 발생시키는 외력의 강도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구동부(200)가 구동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의 신호를 받아 인체에 전달되는 외력을 발생시킬 때, 디스플레이부(300)가 제어부(400)에서 구동부(200)로 제공되는 신호를 공유하여 신호가 갖는 강도에 대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00)가 어떠한 표시를 표현할지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00) 및 디스플레이부(30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구동부(200) 및 디스플레이부(300)는 서로 동일한 갯수로 구비되고, 구동부(200)가 구비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300)가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각각의 구동부(200)가 서로 다른 구동상태로 구동하는 경우, 각 구동부(200)의 구동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200) 및 디스플레이부(300)의 배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그 배치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복수로 구비된 구동부(200)는 각각 다른 강도의 외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각각의 구동부(200)와 대응되는 디스플레이부(300)가 각 구동부(200)가 발생시키는 외력의 강도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사용목적에 맞게 각 부위별로 다르게 구동하고 있는 상태를 각 부위별로 구비된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진동매트 또는 진동의자의 구동상태를 시인성 높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 실시예
이어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7은 구동부가 펌프로 구비되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제2 실시예가 덮개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2 실시예는 커버부(100) 및 디스플레이부(300)를 포함하며, 구동부(200)로 별도의 펌프(220)가 구비된다.
커버부(100)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1 실시예의 커버부(100)와 유사한 구성이나, 다만 커버부(100)의 내부에 복수개로 구획된 공간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다수의 튜브가 연결되는 형태로 공간이 구획되어 있으나, 커버부(100) 내부의 공간이 서로 연통되지 않고 구획된다면 그 형상 및 구성에 대하여는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펌프(220)는 커버부(100)의 내부에 구획된 각 공간에 유체를 공급하거나 또는 제거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외력이 진동이었던 것과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펌프(220)에 의해 커버부(100) 내부의 구획된 공간에 유체가 공급되면서 커버부(100)의 구획된 공간이 부풀어 오르고, 부풀어 오르는 커버부(100)가 인체를 지지하는 힘이 인체에 전달되는 외력이 된다.
즉, 펌프(220)가 구획된 커버부(100)의 내부 공간에 유체를 공급하거나 제거하며 커버부(100) 상면의 높이가 변화하고, 이에 따라 커버부(100)가 커버부(100)의 상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인체부위를 지지할 때, 인체의 어느 특정 부위에 가해지는 외력이 변화하면서 욕창방지 또는 안마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펌프(220)가 사용자의 인체에 외력을 가하기 위해 커버부(100)의 내부에 유체를 공급하거나 제거하는 패턴은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디스플레이부(3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300)는 커버부(100)에 다수로 구비되어 있으며, 각 디스플레이부(300)는 다수의 발광부가 구비되는 것이 아닌 하나의 발광부가 밝기를 통해 표현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부(300)와 같이 표현방법은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펌프(220)에 의해 커버부(100)의 내부에 구획된 공간의 유체가 제거되는 정도를 확인하여 디스플레이부(300)가 상태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역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사용목적에 맞게 각 부위별로 다르게 구동하고 있는 상태를 각 부위별로 구비된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진동매트 또는 진동의자의 구동상태를 시인성 높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2 실시예는 전술한 커버부(100)를 감싸는 별도의 덮개(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300)는 덮개(500)에 구비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며, 또는 덮개(500)가 빛의 투과율이 높게 형성되는 것도 적용 가능하다.
별도의 덮개(500)를 이용하여 커버부(100)의 내부공간이 구획되면서 형성될 수 있는 상면의 요철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예를 들어, 각각의 구획된 공간 사이에 이물질이 들어가서 발생할 수 있는 고장 또는 위생적인 문제와 같은 유지관리 측면의 문제점이나, 비교적 사용자의 편안함이 저하되는 문제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면서 욕창방지 또는 안마를 위한 사용자의 인체에 외력을 전달하는 장치가 구동하는 다양한 모드를 비교적 빠르고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커버부
200 : 구동부
210 : 진동부
220 : 펌프
300 : 디스플레이부
310 : 발광부
311 : 제1 발광부 312 : 제2 발광부
313 : 제3 발광부
320 : 외력강도감지센서
400 : 제어부
500 : 덮개

Claims (9)

  1. 커버부;
    상기 커버부를 통하여 인체에 외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커버부에 접하여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에서 전달되는 외력에 따른 표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복수개로 구획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복수개로 구획된 공간에 각각 유체를 주입하여 인체에 외력을 전달하는 펌프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공간이 구획된 상기 커버부를 감싸는 별도의 덮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덮개에 접하여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발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가 전달하는 외력의 강도에 따라 다른 발광형태를 표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구동부가 전달하는 외력의 강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외력의 강도에 대응되는 표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구동부에 제공되는 외력강도조절에 대한 신호를 공유하여, 외력의 강도에 대응되는 표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각각 복수개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면상발광체인 디스플레이장치.
KR1020140038420A 2014-04-01 2014-04-01 디스플레이장치 KR101528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420A KR101528730B1 (ko) 2014-04-01 2014-04-01 디스플레이장치
PCT/KR2015/000482 WO2015152506A1 (ko) 2014-04-01 2015-01-16 디스플레이장치
JP2016560531A JP6336118B2 (ja) 2014-04-01 2015-01-16 ディスプレイ装置
US15/301,059 US11103419B2 (en) 2014-04-01 2015-01-16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420A KR101528730B1 (ko) 2014-04-01 2014-04-01 디스플레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302A Division KR101636740B1 (ko) 2015-04-23 2015-04-23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8730B1 true KR101528730B1 (ko) 2015-06-17

Family

ID=53519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420A KR101528730B1 (ko) 2014-04-01 2014-04-01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03419B2 (ko)
JP (1) JP6336118B2 (ko)
KR (1) KR101528730B1 (ko)
WO (1) WO201515250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2340A (ja) * 2004-06-04 2005-12-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マッサージ機
KR20140036677A (ko) * 2012-09-18 2014-03-26 (주)혜민 물리치료용 초음파패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46595A (da) * 1995-04-21 1996-10-22 Multicept Aps Vibrator
US6087942A (en) * 1998-05-18 2000-07-11 Jb Research, Inc. Tactile alert and massaging system
US6814709B2 (en) * 2000-06-16 2004-11-09 Brookstone Purchasing, Inc. Massaging bed rest cushion with light
JP2002102303A (ja) * 2000-10-03 2002-04-09 Hideaki Kuniyone 医療用エアマット
JP2005261491A (ja) * 2004-03-16 2005-09-29 Toshiba Tec Corp マッサージ装置
US7419475B2 (en) * 2005-09-09 2008-09-02 Fka Distibuting Co. Body massager with illumination effects
US20090176635A1 (en) * 2008-01-09 2009-07-09 Todd Brinson Exercise Device
PL2218559T3 (pl) * 2009-02-13 2013-01-31 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Urządzenie do pielęgnacji ciała
JP3151948U (ja) * 2009-04-30 2009-07-09 深海 蔡 バイブレーション・マッサージ付き靴
CA2838506C (en) * 2010-06-17 2022-01-04 InControl Medical, LLC Urinary incontinence device and method and stimulation device and method
KR101210121B1 (ko) * 2010-10-07 2012-12-07 박중국 여성용 온열치료기
US10420693B2 (en) * 2011-02-23 2019-09-24 Perfuzia Medical, Inc. Actuator for delivery of vibratory stimulation to an area of the body and method of applic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2340A (ja) * 2004-06-04 2005-12-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マッサージ機
KR20140036677A (ko) * 2012-09-18 2014-03-26 (주)혜민 물리치료용 초음파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27814A1 (en) 2017-02-02
WO2015152506A1 (ko) 2015-10-08
US11103419B2 (en) 2021-08-31
JP2017519530A (ja) 2017-07-20
JP6336118B2 (ja) 2018-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44793A5 (ko)
EP2154600A3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with touchscreen
ES2381869T3 (es) Dispositivo de conmutación para aparatos médicos o quirúrgicos
EP2360507A1 (en) Display elements
ATE424168T1 (de) Graphische bedienoberfläche zur auswahl von pulsparametern in einem phacoemulsifikationssystem
US20170212498A1 (en) Multi-func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CN104094181B (zh) 具有触觉反馈的控制装置
ES2439418A2 (es) Dispositivo de campo de cocción
EP1793368A3 (en) Backlight unit, driving method of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030057973A1 (en) Smart-tool and method of generating haptic sensation thereof
CN208569581U (zh) 操作装置
KR101528730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1636740B1 (ko) 디스플레이장치
CN103796720B (zh) 独立的治疗训练设备
CN104606778A (zh) 电位治疗仪
GB2482854A (en) Reaction speed exercise apparatus
JP2010099471A (ja) 患者位置監視装置
FR2935180B1 (fr) Dispositif interactif de controle des servitudes dans un aeronef
KR20140091912A (ko) 감각 자극 장치 및 방법
WO2008093395A1 (ja) 入力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042978A (ja) 検眼装置
AU2019350640B2 (en) Surgical lighting system sterile field encroachment indicator
EP4012549A1 (en) Display device having plurality of connected displaying mean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game machine having same
JP6536786B2 (ja) Iabp駆動装置
JP2017209325A (ja) 超音波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