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505B1 -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505B1
KR101528505B1 KR1020130157091A KR20130157091A KR101528505B1 KR 101528505 B1 KR101528505 B1 KR 101528505B1 KR 1020130157091 A KR1020130157091 A KR 1020130157091A KR 20130157091 A KR20130157091 A KR 20130157091A KR 101528505 B1 KR101528505 B1 KR 101528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container
supply pipe
label removing
remov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7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형주
Original Assignee
물류와환경연구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물류와환경연구소(주) filed Critical 물류와환경연구소(주)
Priority to KR1020130157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5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93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2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음료 및 농축산물, 기계부품, 전자부품 등의 물류 활동에 사용되는 소형 컨테이너를 세척시 컨테이너에 붙어있는 식별 라벨을 제거하기 위한 라벨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테이너에 붙어있는 라벨의 자동 제거가 가능하게 하되, 컨테이너의 대소 크기에 따라 분사노즐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항시 컨테이너와의 근접 위치에서 강한 분사압을 부여 및 라벨의 원활한 제거가 가능하게 하고, 특히, 컨테이너에 붙어있는 라벨의 위치(높고 낮음)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에서의 작동되게 함으로써, 라벨 위치에 따라 정밀하게 타격 될 수 있게 하여 물과 전력의 사용량이 현격히 감소되게 하는 등 라벨 제거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apparatus for label removing of container}
본 발명은 식음료 및 농축산물, 기계부품, 전자부품 등의 물류 활동에 사용되는 소형 컨테이너를 세척시 컨테이너에 붙어있는 식별 라벨을 제거하기 위한 라벨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테이너에 붙어있는 라벨의 자동 제거가 가능하게 하되, 컨테이너의 크기에 따라 분사노즐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여 컨테이너 표면에 분사되는 수압을 증가시키고, 특히, 컨테이너의 크기 및 라벨의 위치에 따라 분사위치의 조절이 가능하여 라벨의 정밀 타격이 가능하여 라벨의 효율적인 제거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음료 및 농축산물, 기계부품, 전자부품 등 여러 업종에서 상품을 생산하는 공장 내 물류활동과정에서 소형 컨테이너가 사용되며, 이러한 컨테이너는 생산지에서 물류센타 또는 물류센타에서 판매장으로 유통이나 보관의 용도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컨테이너는 신속한 물류활동을 위해 라벨 등을 붙여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된 컨테이너는 재사용시 세척과 함께 제품정보인 라벨을 제거 후, 새로운 라벨을 붙여서 사용되어야 한다.
이에, 근자에 들어 특허출원등록 제10-1034978호와 같이 컨테이너에 부착된 라벨의 제거부터 세척을 하나의 장치에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컨테이너 세척기가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컨테이너 세척기는, 그 본격적인 세척에 앞서 수행되는 라벨제거시 단순히 고정된 위치의 분사노즐에 의해 컨테이너에 분사되게 되어 있는바, 이는 컨테이너의 대소 규격에 따라 그 분사되는 수압이 달라지고 이에 따른 라벨 제거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컨테이너에 붙어있는 라벨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위치(높고 낮음)에 붙어 있는데 반해, 상기 세척기는 항시 정해진 방향으로 분사가 이루어지는 특성상 라벨 위치에 따른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물과 전기에너지 등을 과다하게 사용하게 되는 등 원활한 라벨의 제거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공보 제10-103497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컨테이너의 대소 크기에 따라 분사노즐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항시 컨테이너와의 근접 위치에서 강한 분사압을 부여 및 라벨의 원활한 제거가 가능하게 하고, 특히, 컨테이너에 붙어있는 라벨의 위치(높고 낮음)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의 분사노즐이 작동되게 함으로써, 라벨 위치에 따라 정밀하게 타격 될 수 있게 하여 물과 전력의 사용량이 현격히 감소되게 하는 등 라벨 제거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내부의 관측이 가능한 도어와 양단에 진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고 바닥에는 컨베이어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폭 방향으로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폭 방향 양측에 측면 고정칸막이이가 형성된 라벨제거실과, 라벨제거실 하부에서 펌프 작동되고 상부에 필터가 형성된 물탱크가 형성된 본체와; 라벨제거실의 내부 양측에서 폭 방향 대항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분사유닛과, 라벨제거실 외측 상부에서 폭 방향 양측에는 각각 이동부재가 나삽되는 왼나사부와 오른나사부로 된 나사봉이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 단속되고, 이동부재의 하부에는 상부 가이드부재가 형성 및 상부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되며 라벨제거실 하부에는 상기 측면 고정칸막이와 중첩되는 측면 이동칸막이를 갖는 하부 가이드부재가 슬라이딩 결합된 하부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분사유닛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로 된 분사부와; 라벨제거실 내부에서 컨베이어의 상부에 형성되며 진입구측에는 만곡한 곡률부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바가 형성되어 진입하는 컨테이너를 가이드하는 컨테이너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된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에 있어서,
분사부의 각각의 분사유닛은,
라벨제거실 내측에서 수직형성되는 제1 공급관과 제2 공급관과 제3 공급관으로 구성 및 물탱크와 호스로 연결되어 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물공급이 단속되게 구성하고, 각각의 제1,2,3 공급관에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제1,2,3 분사노즐을 형성하며,
제2 공급관 상부에는 연장봉을 연장 형성하여 라벨제거실의 가이드공을 통해 이동부재를 관통 축설되게 하고, 제2 공급관의 하부는 하부 가이드부재에 축설되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는, 양측에 형성된 분사유닛이 진입되는 컨테이너의 크기에 따라 그 컨테이너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 항시 컨테이너와 근접한 위치에서 고압의 분사가 가능하고, 특히, 분사노즐이 상,중,하 3단 구성되어 있어 진입되는 컨테이너에 붙어있는 라벨의 위치에 대하여 적절한 분사가 가능하여 정밀한 라벨 타격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물과 전력 사용량이 현격히 감소되는 등 라벨 제거 성능의 향상과 효율성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의 정면 내부도.
도 3은 본 발명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의 측면 내부도.
도 4는 본 발명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의 분사부 간략도.
도 5는 본 발명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의 분사유닛 폭 조절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의 분사유닛 분사각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의 컨테이너 가이드부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의 정면 내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의 측면 내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1)는, 본체(100)와, 분사부(200)와, 컨테이너 가이드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먼저, 라벨제거실(110)을 이루는 것으로,
라벨제거실(110)은, 컨테이너의 진행방향 길이를 이루는 함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폭 방향에는 슬라이딩 개폐가 가능하고 내부의 관측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도어(101)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일측에는 컨테이너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진입도어(111a)에 의해 개폐되는 진입구(111)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컨테이너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배출도어(112a)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구(1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진입도어(111a) 및 배출도어(112a)는, 수동 작동식으로 구성하거나 실린더(도면중 미도시함) 작동에 의해 자동 작동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라벨제거실(110)의 내부에는 상기 진입구(111)를 통해 진입된 컨테이너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진입구(111)와 배출구(112)를 연결하는 컨베이어(113)가 형성된 것인데, 이때, 컨베이어(113)는 통상의 모터(도면중 미도시함)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면 가능하다.
그리고, 라벨제거실(110)의 하부에는 컨테이너의 라벨 제거시 사용되는 물의 공급이 가능한 물탱크(130)가 상기 라벨제거실(110)의 바닥과 연통되게 형성된 것으로, 물탱크(130)의 물은 펌프(131) 작동에 의해 라벨제거실(110)로 고압으로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130)의 상부에는 라벨을 제거시 발생되는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필터(132)가 형성된다.
상기 분사부(200)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기 라벨제거실(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분사유닛(210)(210')과, 상기 분사유닛(210)(210')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부(2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사유닛(210)(210')은, 라벨제거실(110)의 내부에서 폭 방향으로 양측에서, 컨베이어(113)를 향하게 각각 형성되어 컨베이어(113)를 향하게 양측에서 고압의 수압을 분사하게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분사유닛(210)(210')은, 라벨제거실(110) 내측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형성되는 제1 공급관(221)과 제2 공급관(222)과 제3 공급관(223)이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것으로, 이때, 각각의 제1 공급관(221)과 제2 공급관(222)과 제3 공급관(223)은 상기 물탱크(130)와 호스(133)로 연결되어 솔레노이드밸브(134)의 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물이 공급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1,2,3 공급관(221)(222)(223)에는 컨베이어(113)를 향하도록 각각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제1,2,3 분사노즐(221a)(222a)(223a)이 형성된 것인데, 각각의 제1,2,3 분사노즐(221a)(222a)(223a)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게 구성된 것으로, 제1 분사노즐(221a)은 제1 공급관(221)에 형성되는 것으로, 가장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제2 분사노즐(222a)은 제2 공급관(222)에 형성되는 것으로, 중간 위치에 형성되며, 제3 분사노즐(223a)은 제3 공급관(223)에 형성되는 것으로, 가장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제1,2,3 분사노즐(221a)(222a)(223a)이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게 구성됨은 일반적으로 컨테이너에 부착되는 라벨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부착되는 것인바, 이에, 진입되는 컨테이너의 부착된 라벨의 위치에 따라 제1,2,3 분사노즐(221a)(222a)(223a) 중 어느 하나의 분사노즐에 의해 라벨 부착 높이에 따라 대응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간격조절부(250)는, 상기 양측 한 쌍의 분사유닛(210)(210')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는 규정된 규격화 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것인바, 이에, 분사유닛(210)(210')으로부터 분사되는 수압이 항시 일정히 적용되도록 그 분사유닛(210)(210')과 컨테이너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구성된다.
여기서, 간격조절부(250)는, 먼저, 라벨제거실(110)의 외측 상부에 폭 방향으로 나사봉(251)이 축설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나사봉(251)에는 서로 반대 형태의 나사산을 가지도록 왼나사부(251a)와 오른나사부(251b)가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나사봉(251)은 회전수단(252)에 의해 회전 작동이 가능한 것으로, 이때, 적용되는 회전수단(252)으로는 수동 레버나 모터 등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봉(251)의 하부에는 상기 나사봉(251)과 동일 방향으로 한 쌍의 상부 가이드레일(253)이 형성되고, 라벨제거실(110)의 내측 하부에는 하부 가이드레일(25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나사봉(251)에는, 하부에 상부 가이드부재(256)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이동부재(255)(255')가 나삽되게 구성된 것인데, 이때 어느 하나의 이동부재(255)는 왼나사부(251a)에 나삽되고, 다른 하나의 이동부재(255')는 오른나사부(251b)에 나삽되어 나사봉(251)의 회전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게 구성되며, 이때,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256)는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253)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이동부재(255)(255')의 이동을 가이드 하게 된다.
또한, 라벨제거실(110)의 상부는 상기 나사봉(251) 방향으로 가이드공(120)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분사유닛(210)(210')의 중심을 이루는 한 쌍의 제2 공급관(222)의 상단에는 연장봉(230)이 각각 연장 형성 및 그 연장봉(230)이 상기 가이드공(120)을 통해 라벨제거실(110)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 및 상기 이동부재(255)(255')에 자유 회전력을 가질 수 있도록 베어링 등에 의해 축설 및 관통된다.
그리고, 제2 공급관(222)의 하부에는 그 제2 공급관(222)이 자유 회전력을 가질 수 있도록 베어링 등에 의해 축설되는 하부 가이드부재(231)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231)는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254)에 슬라이딩 결합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각각의 분사유닛(210)(210')은, 자전(自轉) 가능하게 구성된 것인데, 이때 자전력을 부여하기 위해 제2 공급관(222)의 연장봉(230) 상부에는 회전레버(235)가 형성되어 그 제2 공급관(222)의 자전을 단속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에서 제2 공급관(222)의 상부로 연장 형성된 연장봉(230)이 이동부재(255)에 자유회전력을 가지게 결합되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2 공급관(222)의 자전시 상기 제2 공급관(222)과 제3 공급관(223) 또한 동일한 자전력을 가지게 구성된 것인데, 이를 위해 상기 제1 공급관과 제2 공급관(222)과 제3 공급관(223)에는 각각 회동바(241)(242)(243)의 일단이 고정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회동바(241)(242)(243)의 타단은 하나의 연결바(244)에 힌지(H) 결합되게 구성되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231)의 상부에는 상기 제1,2,3 공급관(221)(222)(223)의 후방을 지지하는 지지대(245)가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가이드부재(231) 양측에는, 그 가이드부재(231)의 이동방향 길이를 가지도록 측면 이동칸막이(246)가 연장 형성되고, 라벨제거실(110)의 폭 방향 측면에는 상기 측면 이동칸막이(246)와 중첩 연장되게 측면 고정칸막이(247)가 더 형성되어 고압의 물이 컨테이너에 타격시 비산되는 물방울이 불규칙하게 측면으로 튀는 것이 방지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컨테이너 가이드부(300)는, 상기 컨베이어(113)를 통해 진입구(111)에서 배출구(112) 측으로 이동하는 컨테이너의 원활한 이동 및 수압이 타격시 그 수압에 의한 컨테이너의 유동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먼저, 라벨제거실(110) 내부에는 상기 컨베이어(113)의 상부에 컨베이어(113)의 길이를 이루도록 하나 이상의 가이드바(310)가 형성된 것인데, 이때 가이드바(310)는 그 진입구(111) 측이 컨테이너의 원활한 진입을 위해 상부를 향하도록 만곡한 곡률을 이루는 곡률부(311)가 형성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라벨제거실(110)의 외측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바(310)의 승강을 단속하기 위해 모터 작동에 의해 랙축(321)이 승강 되는 통상의 랙잭(320)이 형성된 것인데, 이때 랙잭(320)의 랙축(321)이 라벨제거실(110)의 내측으로 수직 관통되어 가이드바(310)의 상부에 결합되게 구성함으로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바(310)의 상부에는 그 가이드바(310)와 직각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상부 승강칸막이(331)가 수직 형성되고, 라벨제거실(110)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상부 승강칸막이(331)와 중첩되게 연장되는 상부 고정칸막이(332)가 하방 돌출 형성되어 고압의 물이 컨테이너를 타격시 비산되는 물방울이 불규칙하게 상부로 튀는 것이 방지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1)는, 단일로 사용시 컨테이너를 세척함에 있어 라벨제거의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 통상의 컨테이너 세척장치에 설치하여 컨테이너 세척장치와 연동 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그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도 5는 본 발명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의 분사유닛 폭 조절 작동도로서, 도 5의 도시와 같이 컨테이너(10)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진입되는 컨테이너(10)의 크기(폭)에 따라 한 쌍의 분사유닛(210)(210')의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간격조절은 라벨제거실(110)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수단(252)을 이용하여 나사봉(251)에 회전력을 부여하면 되는 것으로, 나사봉(251)을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그 나사봉(251)의 왼나사부(251a)와 오른나사부(251b)에 나삽된 이동부재(255)(255')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제2 공급관(222)의 이동에 따른 양측 분사유닛(210)(210')의 간격이 조절되게 된다.
여기서, 이동하는 이동부재(255)(255')는 상부 가이드부재(256)가 상부 가이드레일(253)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고, 하부 가이드부재(231)가 하부 가이드레일(254)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안정된 이동력이 확보되고, 이때, 연장봉(230)은 라벨제거실(110)의 가이드공(120)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즉, 일예로 나사봉(251)을 오른쪽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각각의 이동부재(255)(255')는 나사봉(251)의 중심으로 이동되어 서로 가까운 거리로 조절되는 것이고, 이와 반대로 왼쪽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각각의 이동부재(255)(255')는 나사봉(251)의 양측으로 이동되어 서로 먼 거리로 조절되는 것으로, 이에, 컨테이너(10)의 크기에 따라 양측 한 쌍의 분사유닛(210)(210')의 간격이 조절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분사유닛(210)(210')의 간격의 조절시 이동되는 가이드부재(231)에는 측면 이동칸막이(246)가 형성된 것인바, 그 측면 이동칸막이(246)도 함께 이동되어 컨테이너(10)의 상부에서 측면 이동칸막이(246) 및 측면 고정칸막이(247)에 의해 라벨제거 공간의 측면을 일정 폐쇄하게 된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의 분사유닛 분사각 작동도로서, 도 6의 도시와 같이 컨테이너(10)로 분사되는 수압의 작용하는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제1 공급관(221)과 제2 공급관(222)과 제3 공급관(223)을 자전시켜 각각에 형성된 제1,2,3 분사노즐(221a)(222a)(223a)의 분사각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각도 조절은, 제2 공급관(222)의 회전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제2 공급관(222)의 상부로 연장 형성된 연장봉(230)에 형성된 회전레버(235)를 회전시키게 되면 제2 공급관(222)이 회전되는 것이고, 이에, 제2 공급관(222)에 고정 형성된 회동바(242)의 회동 및 그 회동바(242)의 단부에 힌지(H) 형성된 연결바(244)를 일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에, 그 연결바(244)에 힌지(H) 연결된 제1 공급관(221)과 제3 공급관(223)에 연결된 회동바(241)(243) 또한 일측으로 이동 및 제1 공급관(221)과 제3 공급관(223)을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공급관(222)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제1 공급관(221) 및 제3 공급관(223)이 제2 공급관(222)을 축으로 하여 공전하려는 회전력이 작용할 수 있는 것인데, 이때에는 하부 가이드부재(231)에 형성된 지지대(245)가 제1 공급관(221) 및 제3 공급관(223)의 후방을 지지하여 그 공전이 방지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링크 작동에 의해 각각의 제1 공급관(221)과 제2 공급관(222)과 제3 공급관(223)은 자전 운동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각각에 형성된 제1,2,3 분사노즐(221a)(222a)(223a)은 동일한 각도를 가지며 조절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의 컨테이너 가이드부 작동도로서, 도 7의 도시와 같이 세척하고자 하는 컨테이너(10)의 크기(높이)에 따라 그 컨테이너(10)의 진입 간격을 조절하여 컨테이너의 원활한 이동 및 컨테이너(10)에 수압이 타격시 컨테이너(10)가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간격 조절은, 랙잭(320)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통상적인 방법과 같이 랙잭(320)을 작동시키게 되면 랙축(321)의 승강이 이루어지는 것인바, 이때, 그 랙축(321)의 하단에 결합된 가이드바(310)의 승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일예로 비교적 큰 컨테이너(10)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시에는 랙축(321)을 상승시켜 가이드바(310)를 컨베이어(113)로부터 멀리 이격되게 하고, 이와 반대로 비교적 작은 컨테이너(10)를 작업시에는 랙축(321)을 하강시켜 가이드바(310)를 컨베이어(113)와 가깝게 조절하면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바(31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승강칸막이(331)는 그 가이드바(310)과 함께 승강 작동하게 되는 것인바, 컨테이너(10)의 상부에서 상부 승강칸막이(331) 및 상부 고정칸막이(332)에 의해 라벨제거 공간의 상부를 일정 폐쇄하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컨테이너의 크기 및 수압의 분사 각도를 조절 후, 컨테이너(10)의 세척을 수행하면 된다.
도 8은 본 발명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도 8 및 도 9의 도시와 같이 먼저, 진입도어(111a)를 개방시켜 진입구(111)를 개방 후 컨테이너(10)가 컨베이어(113)를 타게 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컨테이너(10)는 컨베이어(113)를 따라 이동하면서 라벨(11)의 제거가 수행되게 된다.
즉, 이동하는 컨테이너(10)가 분사유닛(210)(210')에 도달하게 되면, 제1 공급관(221)과 제2 공급관(222)과 제3 공급관(223)에 형성된 제1,2,3 분사노즐(221a)(222a)(223a) 중 어느 하나로부터 고압의 물이 분사되어 컨테이너(10)의 라벨(11)을 타격 및 그 라벨(11)을 분해 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라벨(11)을 제거시 그 컨테이너(10)에 형성된 라벨(11)의 위치에 따라 제1,2,3 분사노즐(221a)(222a)(223a) 중 어느 하나로부터 물이 분사되는 것인데, 이는 라벨제거장치(1)의 컨트롤부(도면중 미도시함)에서 어느 하나의 분사노즐을 선택시 그 선택된 분사노즐에 해당하게 솔레노이드밸브(134)가 개방되어 호스(133)를 통해 물이 공급 및 분사되게 된다.
즉, 일예로 컨테이너(10)의 중간부에 라벨(11)이 부착시 제2 분사노즐(212a)을 선택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제2 공급관(222)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134)가 개방되어 펌프(131) 작동에 의해 물이 공급되고, 사용되지 않는 제1 공급관(221) 및 제2 공급관(222)과 연결된 솔레노이드밸브(134)는 차단되어 불필요한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2 분사노즐(212a)을 통해 분사되는 고압의 물이 컨테이너(10)의 라벨(11)을 타격시 비산되는 물은 가이드부재(231)의 양측에서 측면 이동칸막이(246) 및 측면 고정칸막이(247)에 의해 불규칙하게 측면으로 튀는 것이 방지되고, 가이드바(310)의 상부에서 상부 승강칸막이(331) 및 상부 고정칸막이(332)에 의해 불규칙하게 상부로 튀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과 물의 고압분사에 의해 라벨(11)이 제거된 컨테이너(10)는, 컨베이어(113)를 따라 이동 및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라벨(11) 제거시 사용된 물은 라벨제거실(110) 바닥면을 통해 물탱크(130)로 수거되어 재활용되게 되는 것인데, 수거시 물탱크(130)로 수거되는 물에 포함된 분해된 라벨 및 이물질은 필터(132)에 의해 걸러지게 되어 순수한 물만이 물탱크(130)로 수거 및 재사용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라벨제거장치는, 컨테이너의 크기에 따라 분사유닛의 간격조절과 분사각도 분사위치의 조절이 가능함으로, 라벨에 대하여 정밀한 타격이 가능하여 라벨 제거에 따른 효율성이 현격히 향상되게 된다.
10 : 컨테이너 11 : 라벨
100 : 본체 110 : 라벨제거실
111 : 진입구 111a : 진입도어
112 : 배출구 112a : 배출도어
113 : 컨베이어 120 : 가이드공
130 : 물탱크 131 : 펌프
132 : 필터 133 : 호스
134 : 솔레노이드밸브
200 : 분사부 210,210' : 분사유닛
221,222,223 : 제1,2,3 공급관 221a,222a,223a : 제1,2,3 분사노즐
230 : 연장봉 231 : 하부 가이드부재
235 : 회전레버 241,242,243 : 회동바
244 : 연결바 245 : 지지대
246 : 측면 이동칸막이 247 : 측면 고정칸막이
250 : 간격조절부 251 : 나사봉
251a : 왼나사부 251b : 오른나사부
252 : 회전수단 253 : 상부 가이드레일
254 : 하부 가이드레일 255,255' : 이동부재
256 : 상부 가이드부재
300 : 컨테이너 가이드부 310 : 가이드바
311 : 곡률부 320 : 랙잭
321 : 랙축 331 : 상부 승강칸막이
332 : 상부 고정칸막이

Claims (5)

  1. 내부의 관측이 가능한 도어(100)와 양단에 진입구(111)와 배출구(112)가 형성되고 바닥에는 컨베이어(11)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폭 방향으로 가이드공(120)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폭 방향 양측에 측면 고정칸막이(247)이가 형성된 라벨제거실(110)과, 라벨제거실(110) 하부에서 펌프(131) 작동되고 상부에 필터(132)가 형성된 물탱크(130)가 형성된 본체(100)와; 라벨제거실(110)의 내부 양측에서 폭 방향 대항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분사유닛(210)(210')과, 라벨제거실(110) 외측 상부에서 폭 방향 양측에는 각각 이동부재(255)(255')가 나삽되는 왼나사부(251a)와 오른나사부(251b)로 된 나사봉(251)이 회전수단(252)에 의해 회전 단속되고, 이동부재(255)(255')의 하부에는 상부 가이드부재(256)가 형성 및 상부 가이드레일(253)을 따라 슬라이딩 되며 라벨제거실(110) 하부에는 상기 측면 고정칸막이(247)와 중첩되는 측면 이동칸막이(246)를 갖는 하부 가이드부재(231)가 슬라이딩 결합된 하부 가이드레일(245)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255)(255')의 이동에 따라 분사유닛(210)(210')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250)로 된 분사부(200)와; 라벨제거실(110) 내부에서 컨베이어(113)의 상부에 형성되며 진입구(111)측에는 만곡한 곡률부(311)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바(310)가 형성되어 진입하는 컨테이너를 가이드하는 컨테이너 가이드부(300)를 포함하여 된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에 있어서,
    분사부(200)의 각각의 분사유닛(210)(210')은,
    라벨제거실(110) 내측에서 수직형성되는 제1 공급관(221)과 제2 공급관(222)과 제3 공급관(223)으로 구성 및 물탱크(130)와 호스(133)로 연결되어 솔레노이드밸브(134)에 의해 물공급이 단속되게 구성하고, 각각의 제1,2,3 공급관(221)(222)(223)에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제1,2,3 분사노즐(221a)(222a)(223a)을 형성하며,
    제2 공급관(222) 상부에는 연장봉(230)을 연장 형성하여 라벨제거실(110)의 가이드공(120)을 통해 이동부재(255)(255')를 관통 축설되게 하고, 제2 공급관(222)의 하부는 하부 가이드부재(231)에 축설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분사유닛(210)(210')은,
    각각의 제2 공급관(222) 상단에 연장 형성된 연장봉(230)의 단부에 회전레버(235)를 형성하고,
    각각의 제1 공급관(221)과 제2 공급관(222)과 제3 공급관(223)에는, 각각 회동바(241)(242)(243)의 일단이 고정되게 하며,
    각각의 회동바(241)(242)(243) 타단은 하나의 연결바(244)에 힌지(H) 결합되게 하며,
    하부 가이드부재(231)의 상부에는 제1,2,3 공급관(221)(222)(223)의 후방을 지지하는 지지대(245)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30157091A 2013-12-17 2013-12-17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 KR101528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091A KR101528505B1 (ko) 2013-12-17 2013-12-17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091A KR101528505B1 (ko) 2013-12-17 2013-12-17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8505B1 true KR101528505B1 (ko) 2015-06-12

Family

ID=53503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7091A KR101528505B1 (ko) 2013-12-17 2013-12-17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85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07702A (zh) * 2017-01-11 2017-06-09 北京金隅红树林环保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危险物容器清洗设备和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007Y1 (ko) * 2003-02-06 2003-05-16 임덕희 상자 세척장치
JP2006223991A (ja) * 2005-02-17 2006-08-31 Shinwa Seisakusho:Kk パレットの洗浄装置
KR200459890Y1 (ko) * 2008-12-04 2012-04-20 주식회사 청하기계 컨테이너 세척장치
KR20130029466A (ko) * 2011-09-15 2013-03-25 (주)진합 박스 자동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007Y1 (ko) * 2003-02-06 2003-05-16 임덕희 상자 세척장치
JP2006223991A (ja) * 2005-02-17 2006-08-31 Shinwa Seisakusho:Kk パレットの洗浄装置
KR200459890Y1 (ko) * 2008-12-04 2012-04-20 주식회사 청하기계 컨테이너 세척장치
KR20130029466A (ko) * 2011-09-15 2013-03-25 (주)진합 박스 자동 세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07702A (zh) * 2017-01-11 2017-06-09 北京金隅红树林环保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危险物容器清洗设备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504191A (ja) 容器の処理方法及び装置。
CN104759440A (zh) 擦拭清洗机
ES2696203T3 (es) Método y máquina para limpieza de agujas para inyectar fluidos en productos cárnicos
KR20120140680A (ko) 식기 세척기
CN206064732U (zh) 刷胶装置
KR20140132964A (ko) 버섯 재배 포트병용 에어 탈병장치
KR101528505B1 (ko) 컨테이너 라벨제거장치
CN101513636B (zh) 一种零件清洗机
DK174107B1 (da) Fremgangsmåde til vask af den udvendige overflade på cylindriske genstande, især gasflasker, og anlæg til udøvelse af fremgangsmåden
KR20070114442A (ko) 노즐 회전 및 승강 분사식 용기 세척장치
CN110290878A (zh) 杯子清洗装置
KR101245705B1 (ko) 오일러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946215B1 (ko) 글라스 식각용 분사 노즐 시스템
CN102950075B (zh) 喷水量均衡的洗瓶机喷针装置
CN208850630U (zh) 一种果蔬清洗设备
CN104289478A (zh) 一种钢板清洗的辅助装置
CN102000685B (zh) 喷射装置
KR200428523Y1 (ko) 회전노즐을 이용한 세차장치
JP6069291B2 (ja) 野菜類の皮剥ぎ処理機
KR100956085B1 (ko) 잉크 헤드 노즐의 클리닝 장치
CN112618757A (zh) 一种药瓶杀菌装置
CN211070524U (zh) 一种智能涂装设备
CN202670175U (zh) 充填机
CN117261439B (zh) 一种自清洁喷码机
CN110961273A (zh) 一种塑料制品喷涂上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