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109B1 - 기능성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109B1
KR101528109B1 KR1020140144758A KR20140144758A KR101528109B1 KR 101528109 B1 KR101528109 B1 KR 101528109B1 KR 1020140144758 A KR1020140144758 A KR 1020140144758A KR 20140144758 A KR20140144758 A KR 20140144758A KR 101528109 B1 KR101528109 B1 KR 101528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composition
powder
functional
component
compon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철
Original Assignee
안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철 filed Critical 안상철
Priority to KR1020140144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1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109B1/ko
Priority to PCT/KR2015/010576 priority patent/WO2016064112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2종 이상의 복합 조성물로 이루어져 있어 부분적으로 상이한 물성 및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기능성 복합소재로서, 구조적으로 부위별로 상이한 물성 및 특성을 요하는 공산품, 성형품, 구조물 등을 제작하기 위한 재료로 사용시 상기 공산품 등의 제작설계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제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얇은 두께로 유연성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내구성을 나타내는 기능성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Functional composit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능성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2종 이상의 복합 조성물로 이루어져 있어 부분적으로 상이한 물성 및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기능성 복합소재로서, 구조적으로 부위별로 상이한 물성 및 특성을 요하는 공산품, 성형품, 구조물 등을 제작하기 위한 재료로 사용시 상기 공산품 등의 제작설계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제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얇은 두께로 유연성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내구성을 나타내는 기능성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 신발, 가방, 장신구, 침구, 기타 잡화 등 가정용 또는 사무용 공산품은 다양한 소재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공산품들은 이들의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구조적으로 부위별로 상이한 물성 및 특성이 요구될 수 있다.
종래에는 이렇게 구조적으로 부위별로 상이한 물성 및 특성이 요구되는 공산품들은 상이한 물성 및 특성을 갖는 2종 이상의 소재로부터 상기 공산품의 각각의 부분들을 제조한 후 이들을 이어 붙이거나 하나의 소재에 부분적으로 다른 소재를 덫붙히는 형태로 완성된 공산품을 제조했다.
그러나, 종래 구조적으로 부위별로 상이한 물성 및 특성이 요구되는 공산품의 제조방법 중 상이한 물성 및 특성을 갖는 부분들을 이어 붙이는 경우 제조를 위한 설계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고, 특히 상이한 물성 및 특성을 갖는 부분들이 다수로 존재하는 복잡한 공산품의 경우 이러한 문제는 더욱 심각해지며, 상기 공산품의 제작시간도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구조적으로 부위별로 상이한 물성 및 특성이 요구되는 공산품의 제조방법 중 하나의 소재에 부분적으로 다른 소재를 덫붙히는 경우 제조된 완성품의 두께가 두꺼워져 경량화가 곤란하고 완성품의 경량화를 위해 소재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경우 완성품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부위별로 상이한 물성 및 특성을 갖는 공산품 등의 제작을 위한 설계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하고 이의 제작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동시에, 얇은 두께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내구성을 나타내는 기능성 복합소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2종 이상의 복합 조성물로 이루어져 있어 구조적으로 부위별로 상이한 물성 및 특성을 갖기 때문에, 공산품 등의 제조를 위한 재료로 사용되는 경우, 구조적으로 특정 부분에 상이한 물성 및 특성을 가져야 하는 공산품 등의 제조설계를 용이하게 하고 이의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기능성 복합소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얇은 두께로 유연성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기능성 복합소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기능성 복합소재를 용이하게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빈공간을 갖는 제1 구성부분 및 제2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제1 구성부분의 빈공간에 각각 삽입되는 제2 구성부분을 포함하는 단층 구조를 갖고, 상기 제1 복합 조성물 및 상기 제2 복합 조성물은 각각 기능성 원료 및 접착제를 포함하나, 상기 제1 복합 조성물에 포함된 기능성 원료와 상기 제2 복합 조성물에 포함된 기능성 원료는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복합소재를 제공한다.
한편, 제2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지그재그 형태로 돌출부와 함몰부를 갖는 제2 구성부분, 제1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제2 구성부분의 함몰부 및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빈공간에 삽입되는 제1 구성부분, 및 제3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제2 구성부분의 함몰부 및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빈공간에 삽입되는 제3 구성부분을 포함하는 단층 구조를 갖고, 상기 제1 복합 조성물, 상기 제2 복합 조성물 및 상기 제3 복합 조성물은 각각 기능성 원료 및 접착제를 포함하나, 상기 제1 복합 조성물에 포함된 기능성 원료와 상기 제2 복합 조성물 및 상기 제3 복합 조성물에 각각 포함된 기능성 원료는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복합소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복합 조성물 및 상기 제2 복합 조성물 각각에 포함되는 기능성 원료는 피혁분말, 금속분말, 돌분말, 유리분말, 합성수지분말, 패각분말, 고무분말 및 나무분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분말이고, 이러한 분말들은 서로 상이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복합소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구성부분, 상기 제2 구성부분, 또는 이들 모두의 내부에 결합된 지지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복합소재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는 그물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복합소재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 복합 조성물은 상기 제2 복합 조성물에 비해 강도, 탄성, 신율, 투명도, 항균성 및 방향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물성 또는 특성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복합소재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하로 관통된 하나 이상의 빈공간을 갖고 제1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제1 구성부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제2 구성부분을 상기 제1 구성부분의 빈공간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복합 조성물 및 상기 제2 복합 조성물은 각각 기능성 원료 및 접착제를 포함하나, 상기 제1 복합 조성물에 포함된 기능성 원료와 상기 제2 복합 조성물에 포함된 기능성 원료는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구성부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구성부분의 빈공간에 상기 제2 구성부분을 삽입하는 단계, 또는 이들 모두는 압착성형 또는 열압착성형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제1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제1 구성부분을 제조하는 단계, 제2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제2 구성부분을 봉침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구성부분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복합 조성물 및 상기 제2 복합 조성물은 각각 기능성 원료 및 접착제를 포함하나, 상기 제1 복합 조성물에 포함된 기능성 원료와 상기 제2 복합 조성물에 포함된 기능성 원료는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소재는 구조적으로 부위별로 상이한 물성 및 특성이 요구되는 공산품 등의 제조를 위한 재료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공산품 등의 제조설계를 용이하게 하고 이의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소재는 두께가 얇아 상기 복합소재로부터 제조되는 완성품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복합소재의 두께가 얇음에도 불구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은 다양한 형태의 기능성 복합소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소재의 하나의 실시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소재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소재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소재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소재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소재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소재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소재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소재는 상이한 물성 및 특성을 갖는 2종 이상의 복합 조성물로 이루어진 2개 이상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성은 기계적 강도, 탄성, 신율, 투명도, 표면거칠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특성은 색상, 모양, 광택도, 향기, 항균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조성물은 기능성 원료 및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능성 원료는 피혁분말, 금속분말, 돌분말, 유리분말, 합성수지분말, 패각분말, 고무분말, 나무분말 등의 분말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합성수지액 등의 액상이나 금속페이스트 등의 페이스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원료가 분말 형태인 경우, 상기 분말들의 크기는 다양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크기가 큰 분말과 작은 분말이 혼합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능성 원료를 구성하는 분말들이 크기가 큰 분말과 작은 분말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 크기가 큰 분말들 사이의 공극에 크기가 작은 분말들이 삽입됨으로써 분말들이 더욱 조밀하게 배열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기능성 복합소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착제는 상기 기능성 복합 조성물에 충분한 접착성을 부여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통상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원료와 상기 접착제의 배합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기 기능성 원료의 기능이 충분히 발현되고 상기 접착제가 상기 복합 조성물에 충분한 접착성을 부여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조성물은 상기 기능성 원료 및 상기 접착제 이외에 분산제, 안정화제, 내열제, UV 차단제 등의 기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복합소재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로부터 제조되는 공산품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 모자, 신발, 가방 등의 공산품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로 사용가능한 기능성 복합소재는 시트(sheet), 섬유(fiber)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소재가 예를 들어 신발 재료로 적용되는 경우 상기 기능성 복합소재 중 신발에서 발가락과 인접한 부위를 형성하는 부분은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거나 항균성, 방향성 등이 부여된 복합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복합소재가 예를 들어 가방 재료로 적용되는 경우 상기 기능성 복합소재 중 가방에서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는 부위를 형성하는 부분은 투명도가 높은 복합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능성 복합소재가 예를 들어 의류로 적용되는 경우 상기 기능성 복합소재 중 의류에서 높은 신율이 요구되는 부위를 형성하는 부분은 신율이 높은 복합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소재는 기계적 강도, 탄성, 신율, 투명도, 표면거칠기 등의 물성 및 색상, 모양, 광택도, 향기, 항균성 등의 특성이 상이한 2종 이상의 복합 조성물로 이루어진 2개 이상의 부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향상된 강도, 탄성, 신율, 투명도, 항균성, 방향성 등이 요구되는 공산품의 제조를 위한 재료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공산품의 제작설계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하고 상기 공산품의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소재의 하나의 실시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소재는 시트 형태인 경우 제1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된 하나 이상의 빈공간(11)을 갖는 제1 구성부분(10) 및 제2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제1 구성부분(10)의 빈공간(11)에 삽입되는 제2 구성부분(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복합 조성물 및 상기 제2 복합 조성물은 각각 피혁분말, 금속분말, 돌분말, 유리분말, 합성수지분말, 패각분말, 고무분말, 나무분말, 합성수지액, 금속페이스트 등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기능성 원료 및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복합 조성물 및 상기 제2 복합 조성물은 서로 다른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접착제는 상기 제1 및 제2 복합 조성물의 상이한 기계적 강도, 탄성, 신율, 투명도, 표면거칠기 등의 물성 및 색상, 모양, 광택도, 향기, 항균성 등의 특성을 구현하도록 하는 기능성 접착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제2 구성부분(20)의 목적한 형상에 상응하는 빈공간(11)을 갖고 제1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제1 구성부분(10)을 제조하는 단계; 및
제2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제2 구성부분(20)을 상기 제1 구성부분(10)의 빈공간(11)에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
여기서, 제1 복합 조성물로부터 하나 이상의 빈공간(11)을 갖는 제1 구성부분(10)을 제조하고 상기 빈공간(11)에 제2 구성부분(20)을 삽입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 제1 구성부분(10)이 상기 하나 이상의 빈공간(11)을 갖도록 하는 형틀에 상기 제1 복합 조성물을 주입한 후 냉각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제1 구성부분(10)을 제조할 수 있고, 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구성부분(20)을 상기 제1 구성부분(10)의 상기 빈공간(11)에 삽입하는 압착성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착성형은 열을 주입하면서 수행하는 열압착성형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소재는 서로 다른 물성 및 특성을 갖는 제1 구성부분(10) 및 제2 구성부분(20)이 일체로 결합되는 단층 구조를 가짐으로써 복층 구조에 비해 더욱 얇은 두께로 제조할 수 있어 상기 기능성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완성품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성부분(10) 및 제2 구성부분(20)은 각각 기능성 원료가 접착제 내에 분산된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기 때문에 표면의 유동성 및 접착성을 나타내고, 따라서 다른 소재, 특히 불규칙한 요철면을 갖는 소재에 덫붙히는 경우에도 별도의 접착제 없이 접착성이 보장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외관을 나타낼 수 있다.
도 2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소재의 다양한 실시예의 단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소재는 제2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지그재그 형태로 돌출부와 함몰부를 갖는 제2 구성부분(20), 제1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제2 구성부분(20)의 함몰부 위 또는 돌출부 아래의 빈 공간에 삽입되는 제1 구성부분(10), 및 제3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제2 구성부분(20)의 함몰부 위 또는 돌출부 아래의 빈 공간에 삽입되는 제3 구성부분(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소재는 지지체(80), 특정한 형상의 하나 이상의 홈부(12)를 갖고 제1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제1 구성부분(10), 상기 홈부(12)에 삽입되고 제2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제2 구성부분(20) 및 제3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제3 구성부분(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체(80)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기 기능성 복합소재로부터 제조되는 공산품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부직포 등의 직물, 판(plate) 또는 그물 형상의 섬유, 금속, 합성수지 등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그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체(80)가 그물 형상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소재의 유연성이 구현될 수 있는 동시에, 그물망 구조로 인해 상기 제1 구성부분(10), 제2 구성부분(20) 및 제3 구성부분(30)을 각각 형성하는 복합 조성물 사이의 응집력을 향상시켜 상기 기능성 복합소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구성부분(10), 제2 구성부분(20) 및 제3 구성부분(30)을 각각 형성하는 복합 조성물이 경질인 경우, 상기 지지체(80)에 의한 기능성 복합소재의 유연성 향상 효과는 더욱 중요하고, 또한 상기 제1 구성부분(10), 제2 구성부분(20) 및 제3 구성부분(30)을 각각 형성하는 복합 조성물에 포함된 기능성 원료의 분말 크기가 크기 때문에 분말들 상이의 응집력, 결합력 등이 약한 경우, 상기 지지체(80)의 내구성 향상 효과는 더욱 중요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소재는 지지체(80), 제2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80)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되는 제2 구성부분(20), 제3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제2 구성부분(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3 구성부분(30), 및 상기 제2 구성부분(20)의 상부에 결합되고 제1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제1 구성부분(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소재는 지지체(80), 제1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제1 구성부분(10), 및 제2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며 봉침 등에 의해 상기 제1 구성부분(10)의 사이사이에 주입되는 제2 구성부분(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구성부분(20)은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소재는 문신 등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소재는 부직포 또는 섬유 형태의 지지체(80), 상기 지지체(80)의 표면에 배치되고 각각 제1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제1 구성부분(10) 및 제2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제2 구성부분(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능성 복합소재는 기능성 특수사, 재봉사 등의 섬유 형태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소재는 열에 의해 신장되는 재질,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지지체(80), 상기 지지체(80)의 표면에 배치되고 각각 제1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제1 구성부분(10) 및 제2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제2 구성부분(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능성 복합소재는 기능성 특수사, 재봉사 등의 섬유 형태일 수 있고, 특히 가열에 의해 신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신장 전 길이(a)에 대한 신장 후 길이(a')의 비가 1:5 내지 1:20, 그리고 신장 전 전체 두께(b)에 대한 신장 후 전체 두께(b')의 비, 신장 전 지지체의 두께(c)에 대한 신장 후 지지체의 두께(c')의 비, 및 신장 전 제1 및 제2 구성부분(10,20)의 두께(d)에 대한 신장 후 제1 및 제2 구성부분(10,20)의 두께(d')의 비가 각각 5:1 내지 20:1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복합소재는 격자 무늬의 제1 구성부분(10)과 제2 구성부분(20)이 단위면적당 다른 규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 : 제1 구성부분 20 : 제2 구성부분
30 : 제3 구성부분 80 : 지지체

Claims (9)

  1. 제1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빈공간을 갖는 제1 구성부분 및 제2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제1 구성부분의 빈공간에 각각 삽입되는 제2 구성부분을 포함하는 단층 구조를 갖고,
    상기 제1 복합 조성물 및 상기 제2 복합 조성물은 각각 기능성 원료 및 접착제를 포함하나, 상기 제1 복합 조성물에 포함된 기능성 원료와 상기 제2 복합 조성물에 포함된 기능성 원료는 서로 상이하며,
    상기 제1 복합 조성물 및 상기 제2 복합 조성물 각각에 포함되는 기능성 원료는 피혁분말, 금속분말, 돌분말, 유리분말, 합성수지분말, 패각분말, 고무분말 및 나무분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분말이고, 이러한 분말들은 서로 상이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복합소재.
  2. 제2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지그재그 형태로 돌출부와 함몰부를 갖는 제2 구성부분, 제1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제2 구성부분의 함몰부 및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빈공간에 삽입되는 제1 구성부분, 및 제3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제2 구성부분의 함몰부 및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빈공간에 삽입되는 제3 구성부분을 포함하는 단층 구조를 갖고,
    상기 제1 복합 조성물, 상기 제2 복합 조성물 및 상기 제3 복합 조성물은 각각 기능성 원료 및 접착제를 포함하나, 상기 제1 복합 조성물에 포함된 기능성 원료와 상기 제2 복합 조성물 및 상기 제3 복합 조성물에 각각 포함된 기능성 원료는 서로 상이하며,
    상기 제1 복합 조성물 및 상기 제2 복합 조성물 각각에 포함되는 기능성 원료는 피혁분말, 금속분말, 돌분말, 유리분말, 합성수지분말, 패각분말, 고무분말 및 나무분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분말이고, 이러한 분말들은 서로 상이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복합소재.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부분, 상기 제2 구성부분, 또는 이들 모두의 내부에 결합된 지지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복합소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그물 형상 또는 섬유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복합소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합 조성물은 상기 제2 복합 조성물에 비해 강도, 탄성, 신율, 투명도, 항균성 및 방향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물성 또는 특성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복합소재.
  7. 상하로 관통된 하나 이상의 빈공간을 갖고 제1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제1 구성부분을 제조하는 단계,
    제2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제2 구성부분을 상기 제1 구성부분의 빈공간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복합 조성물 및 상기 제2 복합 조성물은 각각 기능성 원료 및 접착제를 포함하나, 상기 제1 복합 조성물에 포함된 기능성 원료와 상기 제2 복합 조성물에 포함된 기능성 원료는 서로 상이하며,
    상기 제1 복합 조성물 및 상기 제2 복합 조성물 각각에 포함되는 기능성 원료는 피혁분말, 금속분말, 돌분말, 유리분말, 합성수지분말, 패각분말, 고무분말 및 나무분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분말이고, 이러한 분말들은 서로 상이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기능성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부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구성부분의 빈공간에 상기 제2 구성부분을 삽입하는 단계, 또는 이들 모두는 압착성형 또는 열압착성형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9. 제1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제1 구성부분을 제조하는 단계,
    제2 복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제2 구성부분을 봉침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구성부분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복합 조성물 및 상기 제2 복합 조성물은 각각 기능성 원료 및 접착제를 포함하나, 상기 제1 복합 조성물에 포함된 기능성 원료와 상기 제2 복합 조성물에 포함된 기능성 원료는 서로 상이하며,
    상기 제1 복합 조성물 및 상기 제2 복합 조성물 각각에 포함되는 기능성 원료는 피혁분말, 금속분말, 돌분말, 유리분말, 합성수지분말, 패각분말, 고무분말 및 나무분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분말이고, 이러한 분말들은 서로 상이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기능성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KR1020140144758A 2014-10-24 2014-10-24 기능성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28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758A KR101528109B1 (ko) 2014-10-24 2014-10-24 기능성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15/010576 WO2016064112A2 (ko) 2014-10-24 2015-10-06 기능성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758A KR101528109B1 (ko) 2014-10-24 2014-10-24 기능성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8109B1 true KR101528109B1 (ko) 2015-06-11

Family

ID=53503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758A KR101528109B1 (ko) 2014-10-24 2014-10-24 기능성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28109B1 (ko)
WO (1) WO201606411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9905A1 (ko) * 2019-03-18 2020-09-24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기능성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8806A (ko) * 1996-10-01 2000-07-25 프란시스 휴버트 복합 마모 부품
KR20070052834A (ko) * 2005-11-18 2007-05-23 한국과학기술원 강성보강용 파이프 제작방법
JP2009034969A (ja) * 2007-08-03 2009-02-19 Kankyo Zokei:Kk 繊維強化樹脂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KR20090100726A (ko) * 2008-03-21 2009-09-24 박정기 벽 천장 바닥 마감용 원목판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56B2 (ja) * 1993-07-15 1996-01-24 邦生 長谷川 耐火パネ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8806A (ko) * 1996-10-01 2000-07-25 프란시스 휴버트 복합 마모 부품
KR20070052834A (ko) * 2005-11-18 2007-05-23 한국과학기술원 강성보강용 파이프 제작방법
JP2009034969A (ja) * 2007-08-03 2009-02-19 Kankyo Zokei:Kk 繊維強化樹脂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KR20090100726A (ko) * 2008-03-21 2009-09-24 박정기 벽 천장 바닥 마감용 원목판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9905A1 (ko) * 2019-03-18 2020-09-24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기능성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64112A3 (ko) 2016-06-09
WO2016064112A2 (ko) 201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7567B2 (en) Moulded textile lingerie item with support region made from silicone
KR101240490B1 (ko) 접착성을 가지는 원단
KR101250409B1 (ko) 접착성을 가지는 장식용 원단
CN107723907A (zh) 一种全成型3d鞋面的制备及鞋面压纹一体成型加工工艺
CN106455729B (zh) 具有两个分层纺织品的内衣及其制作方法
US20170152615A1 (en) Adhesive fabric manufactured by Flat knitting Jacquard TECHNIQUE and surface molding method thereof
KR101528109B1 (ko) 기능성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835784A (zh) 鞋面支撑结构及其制作方法
EP1598390A1 (en) Composite fabric/silicone structure
KR20130127565A (ko) 열에 의해 융착성을 가지는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무 봉재형 폴리우레탄 인공 피혁
CN104098867B (zh) 一种用于制作鞋中底板的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200469039Y1 (ko) 안전화용 내답판
JP2023134509A (ja) ポリマー材料の調製のための方法
CN103892506A (zh) 一种新型复合帽及其制作方法
JP2007203579A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用ガラス繊維予備成形体基体、ガラス繊維予備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
KR101527393B1 (ko) 장화 제조방법
JPH09238707A (ja) 靴甲材及び合皮レザー靴
CN103770406A (zh) 一种丽新布防滑垫及其制备方法
CN208791897U (zh) 一种一体形成立体图纹的编织布体结构
CN106671495A (zh) 多层复合面料
CN205553486U (zh) 一种用于雪纺面料的隐形胶粒衬布
KR20160121898A (ko) 자카드 방식으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
CN105082640A (zh) 一种有织纹的多层复合面料
CN201395734Y (zh) 一种服装面料
US20200063311A1 (en) Woven cloth and method able to integrally form a three-dimensional pattern on the woven cloth and its finished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