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813B1 -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 그리고 cctv 정보 획득 방법 - Google Patents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 그리고 cctv 정보 획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813B1
KR101527813B1 KR1020150027066A KR20150027066A KR101527813B1 KR 101527813 B1 KR101527813 B1 KR 101527813B1 KR 1020150027066 A KR1020150027066 A KR 1020150027066A KR 20150027066 A KR20150027066 A KR 20150027066A KR 101527813 B1 KR101527813 B1 KR 101527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ctv
image
infant
attachment device
managemen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봉
Original Assignee
국제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제시스템(주) filed Critical 국제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50027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8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8Attachment of child unit to child/art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 그리고 CCTV 정보 획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개인정보 관리모듈(22a), 영상 녹화모듈(22b), 개인추적 녹화모듈(22c) 및 저장 관리 모듈(22d)을 포함하는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20)에 있어서, 개인추적 녹화모듈(22c)은, 개인정보 관리모듈(22a)에 의한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부터 IP 네트워크(60)를 통해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한 추적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CCTV 관리 단말(20)에 해당하는 "고유 식별 제 2 ID"로 설정된 상태로 추적 요청을 한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의 고유단말번호(IMEI)와 매칭되어 빅데이터 분산서버(40)의 DB에 저장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의 "고유 식별 제 1 ID"를 추출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b)를 제어한 뒤, 추출된 "고유 식별 제 1 ID"에 해당하는 유아 부착 디바이스(1)의 위치 탐지를 수행하며, 위치 탐지 수행시 CCTV 관리 단말(20)의 관리하에 있는 CCTV 집합체(10G)의 각 CCTV(10)와 유아 부착 디바이스(1) 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CCTV 집합체(10G)의 각 CCTV(10) 중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 커버리지에 속하는지 여부를 통해 수행하며, 만약 탐지된 위치가 CCTV 관리 단말(20)의 관리 범위에 속하지 않는 위치에 있는 경우 위치탐지 수단(22c-1)은 IP 네트워크(60)를 통해 즉시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 위치 이탈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b)를 제어하는 위치탐지 수단(22c-1); 및 CCTV 관리 단말(20)의 관리 범위에 속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해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비콘 신호 브로드 캐스팅 명령을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b)를 제어하여, 관리하는 CCTV 집합체(10G)의 각 CCTV(10)로 비콘 신호 수신에 따라 가장 인접한 CCTV(10)에 의한 촬영영상을 수신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b)를 제어하는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 을 포함하며,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은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에 대한 촬영영상을 전송한 뒤,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부터의 확인 메시지가 긍정에 해당하여 유아에 대한 확인 마크 정보가 함께 반환된 경우, 유아 부착 디바이스(1)를 소지한 유아에 대한 3차원 이미지 영상을 추적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해, CCTV(10)로부터 획득한 제 1 해상도의 촬영영상 중 확인 마크 정보에 해당하는 유아로 인식된 영상을 추출하여 디코딩을 수행하여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Decoded image)를 생성하여 템포러리 저장장치(23)에 저장하며, 템포러리 저장장치(23)에 영상 녹화모듈(22b)에 의해 저장된 촬영영상 또는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Decoded-image) 중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Decoded-image)를 이용해 유아 부착 디바이스(1)를 소지한 유아에 대한 3차원 이미지 영상을 추적을 위해 유아 영상 패턴을 비교하여 영상정보 속의 유아를 판별하며, 저장 관리 모듈(22d)은, CCTV 집합체(10G)의 각 CCTV(10)에 의한 촬영영상을 빅데이터 분산서버(40)에 저장한 뒤, 빅데이터 분산서버(40)의 DB에서 유아 부착 디바이스(1)로 할당된 저장 공간 영역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을 발견한 경우 유아 부착 디바이스(1)와 매칭되어 저장된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 DLNA 네트워크(70)를 통해 대용량 저장장치를 구비한 홈 네트워크 상의 유선단말(80)로 빅데이터 분산서버(40)에 저장된 촬영영상 전송 후, 전송된 촬영영상이 빅데이터 분산서버(40) 상에서 삭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종래의 CCTV의 문제점인 화질과 저장용량의 한계, 그리고 CCTV가 다수개가 설치된 환경에서 상태를 확인하고자 하는 유아의 현재 영상을 검색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쉽게 찾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CCTV 자체를 고화질의 영상 획득 장치로 변경하고, 고화질로 저렴하게 오랜 기간 저장하고 일정량 이상이면 자동으로 개인 저장장치로 영상자료를 이동시켜 메모리 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한정된 저장장치에 녹화된 영상이 미리 설정된 기간이 지나면 지워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유아에 부착되는 송수신장치에 의해 어느 곳에서도 연계 촬영장치에 의한 추적에 의하여 핸드폰 등과 같은 스마트 모바일 기기로 서비스하거나 반대로 유아가 신호발생하여 부모가 영상을 자동으로 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 그리고 CCTV 정보 획득 방법{CCTV management terminal for protecting infants and children in creche and educational facilities, method for acquiring CCTV information}
본 발명은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 그리고 CCTV 정보 획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CCTV의 문제점인 화질과 저장용량의 한계, 그리고 CCTV가 다수개가 설치된 환경에서 상태를 확인하고자 하는 유아의 현재 영상을 검색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쉽게 찾을 수 있는 검색 방안을 제시하도록 하기 위한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 그리고 CCTV 정보 획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어린이집과 같은 보육 시설과 유치원과 같은 유아용 교육 시설에서 선생님들의 폭력으로 인해 사회적 이슈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정부는 신설하는 어린이집과 유치원 등에 대해서 CCTV 설치를 의무화하기 위한 법안을 마련하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CCTV에 대한 설치를 의무화하는 것만으로는 CCTV의 고질적인 문제점인 한정된 저장공간이 상으로의 촬영영상을 오랫동안 보관하기 어려우며, CCTV를 각 구획된 학습실, 식당, 교실 등으로 구분하여 설치한다고 하더라고 보호자가 원하는 유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어렵다.
즉, 개별적으로 보육 시설 및 교육 시설의 선생님들은 각 보호자가 유아의 상태를 확인하고 싶은 경우, 각 CCTV 카메라가 설치된 구역을 확인하고, 유아가 해당 CCTV 카메라가 있는 영역에 계속 있는지 없는 지를 확인하여야 하며, 유아의 이동에 따라 촬영영상을 추출하여 보내야 하는 번거로운 불편함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CCTV 자체를 고화질의 영상 획득 장치로 변경하고, 고화질로 저렴하게 오랜 기간 저장하고 일정량 이상이면 자동으로 개인 저장장치로 영상자료를 이동시켜 메모리 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한정된 저장장치에 녹화된 영상이 미리 설정된 기간이 지나면 지워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유아에 부착되는 송수신장치에 의해 어느 곳에서도 연계 촬영장치에 의한 추적에 의하여 핸드폰 등과 같은 스마트 모바일 기기로 서비스하거나 반대로 유아가 신호발생하여 부모가 영상을 자동으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관련기술문헌]
1. 영상화면비교부를 갖는 CCTV 시스템 관리방법(Method for Managing CCTV System with Video Image Comparison Unit)(특허출원번호 제10-2013-0155020호)
2. CCTV 연계 휴대용 비상조명등 관리장치(The management device of a portable emergency light for a CCTV linking)(특허출원번호 제10-2007-0030650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CCTV의 문제점인 화질과 저장용량의 한계, 그리고 CCTV가 다수개가 설치된 환경에서 상태를 확인하고자 하는 유아의 현재 영상을 검색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쉽게 찾을 수 있는 검색 방안을 제시하도록 하기 위한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 그리고 CCTV 정보 획득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CCTV 자체를 고화질의 영상 획득 장치로 변경하고, 고화질로 저렴하게 오랜 기간 저장하고 일정량 이상이면 자동으로 개인 저장장치로 영상자료를 이동시켜 메모리 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한정된 저장장치에 녹화된 영상이 미리 설정된 기간이 지나면 지워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유아에 부착되는 송수신장치에 의해 어느 곳에서도 연계 촬영장치에 의한 추적에 의하여 핸드폰 등과 같은 스마트 모바일 기기로 서비스하거나 반대로 유아가 신호발생하여 부모가 영상을 자동으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 그리고 CCTV 정보 획득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은, 개인정보 관리모듈(22a), 영상 녹화모듈(22b), 개인추적 녹화모듈(22c) 및 저장 관리 모듈(22d)을 포함하는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20)에 있어서, 개인추적 녹화모듈(22c)은, 개인정보 관리모듈(22a)에 의한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부터 IP 네트워크(60)를 통해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한 추적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CCTV 관리 단말(20)에 해당하는 "고유 식별 제 2 ID"로 설정된 상태로 추적 요청을 한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의 고유단말번호(IMEI)와 매칭되어 빅데이터 분산서버(40)의 DB에 저장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의 "고유 식별 제 1 ID"를 추출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b)를 제어한 뒤, 추출된 "고유 식별 제 1 ID"에 해당하는 유아 부착 디바이스(1)의 위치 탐지를 수행하며, 위치 탐지 수행시 CCTV 관리 단말(20)의 관리하에 있는 CCTV 집합체(10G)의 각 CCTV(10)와 유아 부착 디바이스(1) 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CCTV 집합체(10G)의 각 CCTV(10) 중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 커버리지에 속하는지 여부를 통해 수행하며, 만약 탐지된 위치가 CCTV 관리 단말(20)의 관리 범위에 속하지 않는 위치에 있는 경우 위치탐지 수단(22c-1)은 IP 네트워크(60)를 통해 즉시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 위치 이탈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b)를 제어하는 위치탐지 수단(22c-1); 및 CCTV 관리 단말(20)의 관리 범위에 속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해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비콘 신호 브로드 캐스팅 명령을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b)를 제어하여, 관리하는 CCTV 집합체(10G)의 각 CCTV(10)로 비콘 신호 수신에 따라 가장 인접한 CCTV(10)에 의한 촬영영상을 수신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b)를 제어하는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 을 포함하며,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은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에 대한 촬영영상을 전송한 뒤,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부터의 확인 메시지가 긍정에 해당하여 유아에 대한 확인 마크 정보가 함께 반환된 경우, 유아 부착 디바이스(1)를 소지한 유아에 대한 3차원 이미지 영상을 추적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해, CCTV(10)로부터 획득한 제 1 해상도의 촬영영상 중 확인 마크 정보에 해당하는 유아로 인식된 영상을 추출하여 디코딩을 수행하여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Decoded image)를 생성하여 템포러리 저장장치(23)에 저장하며, 템포러리 저장장치(23)에 영상 녹화모듈(22b)에 의해 저장된 촬영영상 또는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Decoded-image) 중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Decoded-image)를 이용해 유아 부착 디바이스(1)를 소지한 유아에 대한 3차원 이미지 영상을 추적을 위해 유아 영상 패턴을 비교하여 영상정보 속의 유아를 판별하며, 저장 관리 모듈(22d)은, CCTV 집합체(10G)의 각 CCTV(10)에 의한 촬영영상을 빅데이터 분산서버(40)에 저장한 뒤, 빅데이터 분산서버(40)의 DB에서 유아 부착 디바이스(1)로 할당된 저장 공간 영역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을 발견한 경우 유아 부착 디바이스(1)와 매칭되어 저장된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 DLNA 네트워크(70)를 통해 대용량 저장장치를 구비한 홈 네트워크 상의 유선단말(80)로 빅데이터 분산서버(40)에 저장된 촬영영상 전송 후, 전송된 촬영영상이 빅데이터 분산서버(40) 상에서 삭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은, 개인정보 관리모듈(22a), 영상 녹화모듈(22b) 및 개인추적 녹화모듈(22c)을 포함하는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20)에 있어서, 개인추적 녹화모듈(22c)은, 개인정보 관리모듈(22a)에 의한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부터 IP 네트워크(60)를 통해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한 추적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CCTV 관리 단말(20)에 해당하는 "고유 식별 제 2 ID"로 설정된 상태로 추적 요청을 한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의 고유단말번호(IMEI)와 매칭되어 빅데이터 분산서버(40)의 DB에 저장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의 "고유 식별 제 1 ID"를 추출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b)를 제어한 뒤, 추출된 "고유 식별 제 1 ID"에 해당하는 유아 부착 디바이스(1)의 위치 탐지를 수행하는 위치탐지 수단(22c-1); 및 CCTV 관리 단말(20)의 관리 범위에 속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해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비콘 신호 브로드 캐스팅 명령을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b)를 제어하여, 관리하는 CCTV 집합체(10G)의 각 CCTV(10)로 비콘 신호 수신에 따라 가장 인접한 CCTV(10)에 의한 촬영영상을 수신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b)를 제어하는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 을 포함하며,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은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에 대한 촬영영상을 전송한 뒤,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부터의 확인 메시지가 긍정에 해당하여 유아에 대한 확인 마크 정보가 함께 반환된 경우, 유아 부착 디바이스(1)를 소지한 유아에 대한 3차원 이미지 영상을 추적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해, CCTV(10)로부터 획득한 제 1 해상도의 촬영영상 중 확인 마크 정보에 해당하는 유아로 인식된 영상을 추출하여 디코딩을 수행하여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Decoded-image)를 생성하여 템포러리 저장장치(23)에 저장하며, 템포러리 저장장치(23)에 영상 녹화모듈(22b)에 의해 저장된 촬영영상 또는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Decoded-image) 중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Decoded-image)를 이용해 유아 부착 디바이스(1)를 소지한 유아에 대한 3차원 이미지 영상을 추적을 위해 유아 영상 패턴을 비교하여 영상정보 속의 유아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은, QCIF(176*144) 해상도로 수신된 촬영영상 중 영상인식을 통한 유아에 해당하는 영역을 개개의 영상이미지의 연속으로 디코딩하기 위해 시스템메모리인 템포러리 저장장치(23)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은, 각 디코딩된 이미지에 대해서 3차원 그래픽에서 입체형상을 표현하는데 사용하는 가장 작은 단위인 폴리곤을 생성하고, 폴리곤을 여러 개를 만들어 폴리곤 집합으로 변환하여 생성된 폴리곤 집합을 템포러리 저장장치(23)에 저장하며, 생성된 폴리곤 집합 위에 템포러리 저장장치(23)에 저장된 각 디코딩된 이미지(Decoded-image)를 리드(Read)하여 붙이는 텍스쳐 맵핑을 수행하여 텍스쳐맵핑된 데이터인 3차원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촬영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은, CCTV(10)에 의한 촬영영상에서 템포러리 저장장치(23)에 미리 저장된 유아 부착 디바이스(1)를 소지한 유아에 대한 영상 인식을 수행하기 위해 유아 부착 디바이스(1)를 소지한 유아의 촬영 시에 감지되는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CCTV(10)의 카메라센서와 카메라센서로부터 얻어지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수단(22c-2a);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은, 영상정보에서 유아 부착 디바이스(1)를 소지한 유아를 판별하기 위해 템포러리 저장장치(23)에는 다양한 유아 부착 디바이스(1)를 소지한 유아 영상 패턴이 저장되어 있는데, 해당 다양한 유아 부착 디바이스(1)를 소지한 유아 영상 패턴 또는 상기 다양한 패턴의 기울어진 것, 역으로 된 것, 약간 각도가 기울어진 것과 영상정보에 포함된 유아 영상 패턴을 비교하여 영상정보 속의 유아를 판별하는 특성추출 수단(22c-2b);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은, 영상정보에 포함된 화소의 특정, 즉, 화소의 명암, 화소의 색상, 화소가 형성하는 선, 및 화소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하는 형태 등으로부터 화소의 특성을 추출한 뒤, 화소의 특성과 유사한 특성을 포함하는 화소를 유사범위로 판단하는 유사판정 수단(22c-2c);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 관리 모듈(22d); 을 더 포함하며, 저장 관리 모듈(22d)은,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에 의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비콘 신호 브로드 캐스팅 명령을 해당 CCTV 관리 단말(20)의 관리로 설정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해 미리 설정된 시간차를 두고 전송에 따른 비콘 신호 수신에 따른 가장 인접한 CCTV(10)를 분석이 완료되면, 각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정된 비콘 신호 브로드 캐스팅 명령에 따른 가장 인접한 CCTV ID를 각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해 개별적인 비콘 신호 브로드 캐스팅 주기와 매칭하여 템포러리 저장장치(23)에 저장하는 저장 탐색수단(22d-1); 및 미리 설정된 시간차 사이의 구간 동안에 있어서 각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의한 비콘 신호 브로드 캐스팅의 시간 순서에 따른 CCTV ID 정보와, 시간 순서에 따라 매칭되는 CCTV 집합체(10G)의 각 CCTV(10)에 의한 촬영영상을 빅데이터 분산서버(40)에 저장한 뒤, 빅데이터 분산서버(40)의 DB에서 유아 부착 디바이스(1)로 할당된 저장 공간 영역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을 발견한 경우 그 유아 부착 디바이스(1)와 매칭되어 저장된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 DLNA 네트워크(70)를 통해 대용량 저장장치를 구비한 홈 네트워크 상의 유선단말(80)로 저장 요청하여 응답 신호 수신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b)를 제어하는 저장 탐색수단(22d-1); 을 포함하며, 저장 탐색수단(22d-1)의 유선단말(80)로 저장 요청에 따라 빅데이터 분산서버(40)는, 미리 설정된 구간동안 저장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해 시간 순서에 따른 CCTV ID 정보 각각과 매칭되는 CCTV 집합체(10G) 중 CCTV(10)에 의한 촬영영상을 조합하여 유선단말(80)로 전송한 뒤, 해당 유아 부착 디바이스(1)로 할당된 저장 공간 영역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 그리고 CCTV 정보 획득 방법은, 종래의 CCTV의 문제점인 화질과 저장용량의 한계, 그리고 CCTV가 다수개가 설치된 환경에서 상태를 확인하고자 하는 유아의 현재 영상을 검색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쉽게 찾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 그리고 CCTV 정보 획득 방법은, CCTV 자체를 고화질의 영상 획득 장치로 변경하고, 고화질로 저렴하게 오랜 기간 저장하고 일정량 이상이면 자동으로 개인 저장장치로 영상자료를 이동시켜 메모리 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한정된 저장장치에 녹화된 영상이 미리 설정된 기간이 지나면 지워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유아에 부착되는 송수신장치에 의해 어느 곳에서도 연계 촬영장치에 의한 추적에 의하여 핸드폰 등과 같은 스마트 모바일 기기로 서비스하거나 반대로 유아가 신호발생하여 부모가 영상을 자동으로 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을 포함하는 CCTV 기반의 유아 보호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CCTV 기반의 유아 보호 관리 시스템을 간략하게 하나의 홈 네트워크인 DLNA 네트워크(70)를 중심으로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CCTV 관리 단말(20)의 구성의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CTV 관리 단말(20)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참조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정보 획득 방법 중 정보 등록 과정 및 추적 요청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정보 획득 방법 중 단계(S13)에서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부터 추적 요청을 수신한 경우의 수행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정보 획득 방법 중 촬영영상에 대한 각 유아 부착 디바이스(1) 별 분산 저장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1에서의 CCTV 관리 단말(20)의 구성 중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을 포함하는 CCTV 기반의 유아 보호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CCTV 기반의 유아 보호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CCTV(10)를 포함하는 CCTV 집합체(10G), CCTV 관리 단말(20), 빅데이터 분산서버(40),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 IP 네트워크(60), DLNA 네트워크(70) 및 홈 네트워크 상의 유선단말(80)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서 CCTV 기반의 유아 보호 관리 시스템을 간략하게 하나의 홈 네트워크인 DLNA 네트워크(70)를 중심으로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CCTV 관리 단말(20)의 구성의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CTV 관리 단말(20)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참조도면이다.
먼저,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는 "고유단말번호(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IMEI)",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를 소지한 보호자의 관리하에 있는 유아에게 착용시킨 유아 부착 디바이스(1)의 "고유 식별 제 1 ID", 그리고 해당 유아 부착 디바이스(1)를 착용한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 해당하는 CCTV 관리 단말(20)의 "고유 식별 제 2 ID"를 IP 네트워크(60)를 통해 빅데이터 분산서버(40)로 전송함으로써, 빅데이터 분산서버(40)의 DB로 등록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의 CCTV 관리 단말(20)의 구성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즉, CCTV 관리 단말(20)은 I/O 인터페이스(21a), 통신 인터페이스(21b), CCTV 관리 및 제어부(22), 그리고 템포러리 저장장치(23)를 포함한다.
CCTV 관리 및 제어부(22)는 개인정보 관리모듈(22a), 영상 녹화모듈(22b), 개인추적 녹화모듈(22c) 및 저장 관리 모듈(22d)을 구비한다.
[개인정보 관리모듈(22a)]
개인정보 관리모듈(22a)은 IP 네트워크(60)를 통해 빅데이터 분산서버(40)로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에 등록된 해당 CCTV 관리 단말(20) 자체의 "고유 식별 제 2 ID"로 지정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의 "고유 식별 제 1 ID 정보"를 수집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b)를 제어한다.
개인정보 관리모듈(22a)은 유아 부착 디바이스(1) 자체에 대한 추적 요청 또는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부터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한 추적 요청 수신을 대기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b)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여기서 개인정보 관리모듈(22a)은 유아 부착 디바이스(1)로부터의 추적 요청에 대해서는 CCTV 집합체(10G) 중 적어도 하나의 CCTV(10)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거쳐 수신하거나, 유아 부착 디바이스(1)와 직접적인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한편, 개인정보 관리모듈(22a)은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부터의 추적 요청에 대해서는 IP 네트워크(60)를 통해 수신한다.
[영상 녹화모듈(22b)]
영상 녹화모듈(22b)은 CCTV 관리 단말(20)의 관리하에 있는 CCTV 집합체(10G)에 포함된 각 CCTV(10)에 대해서 녹화를 제어하고, 촬영영상을 템포러리 저장장치(23)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개인추적 녹화모듈(22c)]
개인추적 녹화모듈(22c)은 위치탐지 수단(22c-1) 및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으로 구분된다.
먼저, 위치탐지 수단(22c-1)은 개인정보 관리모듈(22a)에 의한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부터 IP 네트워크(60)를 통해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한 추적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자체의 고유 식별 제 2 ID로 설정되어 해당 CCTV 관리 단말(20) 관리하에 있는 추적 요청을 한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의 고유단말번호(IMEI)와 매칭되어 빅데이터 분산서버(40)의 DB에 저장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의 "고유 식별 제 1 ID"를 추출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b)를 제어한다.
위치탐지 수단(22c-1)은 추출된 고유 식별 제 1 ID에 해당하는 유아 부착 디바이스(1)의 위치 탐지를 수행한다. 여기서 위치탐지 수단(22c-1)에 의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의 위치 탐지는 IP 네트워크(60)를 통해 LBS 위치 서버를 통해 수신하거나, CCTV 관리 단말(20)의 관리하에 있는 CCTV 집합체(10G)의 각 CCTV(10)와 유아 부착 디바이스(1) 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CCTV 집합체(10G)의 각 CCTV(10) 중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 커버리지에 속하는지 여부를 통해 수행하며, 만약 탐지된 위치가 CCTV 관리 단말(20)의 관리 범위에 속하지 않는 위치에 있는 경우 위치탐지 수단(22c-1)은 IP 네트워크(60)를 통해 즉시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 위치 이탈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b)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은 CCTV 관리 단말(20)의 관리 범위에 속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해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비콘 신호 브로드 캐스팅 명령을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b)를 제어함으로써, 관리하는 CCTV 집합체(10G)의 각 CCTV(10)로 비콘 신호 수신에 따라 가장 인접한 CCTV(10)에 의한 촬영영상을 수신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b)를 제어한다.
여기서, CCTV 관리 단말(20)과 유아 부착 디바이스(1) 간의 비콘 신호 브로드 캐스팅 명령은 직접적인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으로 수행하거나, CCTV 집합체(10G)로의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한 비콘 신호 브로드 캐스팅 명령 전송 요청을 통해 유아 부착 디바이스(1)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은 유아 부착 디바이스(1)와 관리하는 CCTV 집합체(10G)의 CCTV(10) 중 가장 인접한 CCTV(10)에 대한 추출에 있어서, 가장 빨리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수행한다.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은 CCTV 집합체(10G) 중 유아 부착 디바이스(10)와 가장 인접한 CCTV(10)로 판단된 CCTV(10)에 의한 촬영영상을 IP 네트워크(60)를 통해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 전송하여 표시하도록 하고 촬영영상에 유아 부착 디바이스(1)를 소지한 유아에 대한 것이 맞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 메시지 수신을 대기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b)를 제어한다.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은 확인 메시지에 대해서 긍정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확인 메시지가 긍정인 경우 다음 주기의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비콘 신호 브로드 캐스팅 명령을 전송하기 전까지, 가장 인접한 것으로 판단한 CCTV(10)에 의한 촬영영상을 IP 네트워크(60)를 통해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b)를 제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은 각 비콘 신호 브로드 캐스팅 명령에 따라 가장 인접한 CCTV(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IP 네트워크(60)를 통해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 전송함으로써, 각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와 매칭되는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한 추적 영상을 실시간으로 각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 전송할 수 있다. 반대로, CCTV 관리 단말(20)의 개인추적 녹화모듈(22c)은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의한 요청일 경우도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은 확인 메시지가 긍정이며, 유아에 대한 확인 마크 정보가 함께 수신된 경우, 유아 부착 디바이스(1)를 소지한 유아에 대한 3차원 이미지 영상을 추적 방식으로 제공함으로써,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를 소지한 보호자가 유아를 보다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은 CCTV(10)로부터 획득한 제 1 해상도의 촬영영상 중 확인 마크 정보에 해당하는 유아로 인식된 영상을 추출하여 디코딩을 수행하여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Decoded-image)를 생성하여 템포러리 저장장치(23)에 저장한다. 예컨대,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은 QCIF(176*144) 해상도로 수신된 촬영영상 중 영상인식을 통한 유아에 해당하는 영역을 개개의 영상이미지의 연속으로 디코딩하기 위해 시스템메모리인 템포러리 저장장치(23)로 저장하는 것이다.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은 각 디코딩된 이미지에 대해서 3차원 그래픽에서 입체형상을 표현하는데 사용하는 가장 작은 단위인 폴리곤을 생성하고, 폴리곤을 여러 개를 만들어 폴리곤 집합으로 변환한다.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은 생성된 폴리곤 집합을 템포러리 저장장치(23)에 저장한다.
이후,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은 생성된 폴리곤 집합 위에 템포러리 저장장치(23)에 저장된 각 디코딩된 이미지(Decoded-image)을 리드(Read)하여 붙이는 텍스쳐 맵핑을 수행한다. 즉,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은 생성된 각 폴리곤의 집합에 텍스쳐맵핑을 수행함으로써, 텍스쳐맵핑된 데이터인 3차원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촬영영상을 생성한다.
또한,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은 CCTV(10)에 의한 촬영영상에서 템포러리 저장장치(23)에 미리 저장된 유아 부착 디바이스(1)를 소지한 유아에 대한 영상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은 도 8과 같이 획득 수단(22c-2a), 특성추출 수단(22c-2b), 그리고 유사판정 수단(22c-2c)을 포함한다.
획득 수단(22c-2a)은 유아 부착 디바이스(1)를 소지한 유아의 촬영 시에 감지되는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CCTV(10)의 카메라센서와 카메라센서로부터 얻어지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한다.
특성추출 수단(22c-2b)은 영상정보에서 유아 부착 디바이스(1)를 소지한 유아를 판별한다. 템포러리 저장장치(23)에는 다양한 유아 부착 디바이스(1)를 소지한 유아 영상 패턴이 저장되어 있는데, 특성추출 수단(22c-2b)은 이러한 다양한 유아 부착 디바이스(1)를 소지한 유아 영상 패턴 또는 상기 다양한 패턴의 기울어진 것, 역으로 된 것, 약간 각도가 기울어진 것 등과 영상정보에 포함된 유아 영상 패턴을 비교하여 영상정보 속의 유아를 판별한다.
한편, 유사판정 수단(22c-2c)은 영상정보에 포함된 화소의 특정, 즉, 화소의 명암, 화소의 색상, 화소가 형성하는 선, 및 화소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하는 형태 등으로부터 화소의 특성을 추출한다.
유사판정 수단(22c-2c)은 화소의 특성과 유사한 특성을 포함하는 화소를 유사범위로 판단한다. 즉, 유사판정 수단(22c-2c)은 특성이 추출된 화소를 기준 화소로 판단하고, 이 기준 화소와 주변 화소들와의 유사성을 판단하여 유사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동일 유아로 판단한다. 여기서 유사성이란 화소간의 명암 차이 또는 화소간의 거리 차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유사판정에 의해 유아의 패턴이 최종적으로 확정되고, 확정된 유아의 패턴은 전술한 바와 같이 템포러리 저장장치(23)에 저장된 다양한 유아 패턴과 대비되어 최종적으로 영상정보 속에서 유아가 판별된다.
[저장 관리 모듈(22d)]
저장 관리 모듈(22d)은 저장 관리 모듈(22d)은 저장 탐색수단(22d-1) 및 분산 저장수단(22d-2)으로 구분된다.
먼저,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에 의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비콘 신호 브로드 캐스팅 명령을 해당 CCTV 관리 단말(20)의 관리로 설정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해 미리 설정된 시간차를 두고 전송에 따른 비콘 신호 수신에 따른 가장 인접한 CCTV(10)를 분석이 완료되면, 저장 탐색수단(22d-1)은 각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정된 비콘 신호 브로드 캐스팅 명령에 따른 가장 인접한 CCTV ID를 각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해 개별적인 비콘 신호 브로드 캐스팅 주기와 매칭하여 템포러리 저장장치(23)에 저장한다.
또한, 저장 탐색수단(22d-1)은 미리 설정된 시간차 사이의 구간 동안에 있어서 각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의한 비콘 신호 브로드 캐스팅의 시간 순서에 따른 CCTV ID 정보와, 시간 순서에 따라 매칭되는 CCTV 집합체(10G)의 각 CCTV(10)에 의한 촬영영상을 빅데이터 분산서버(40)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분산 저장수단(22d-2)은 빅데이터 분산서버(40)의 DB에서 유아 부착 디바이스(1)로 할당된 저장 공간 영역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을 발견한 경우 그 유아 부착 디바이스(1)와 매칭되어 저장된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 DLNA 네트워크(70)를 통해 대용량 저장장치를 구비한 홈 네트워크 상의 유선단말(80)로 저장 요청하여 응답 신호 수신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b)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빅데이터 분산서버(40)는 지금까지 저장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해 시간 순서에 따른 CCTV ID 정보 각각과 매칭되는 CCTV 집합체(10G) 중 CCTV(10)에 의한 촬영영상을 조합하여 전송한 뒤, 해당 유아 부착 디바이스(1)로 할당된 저장 공간 영역을 삭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정보 획득 방법 중 정보 등록 과정 및 추적 요청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는 "고유단말번호(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IMEI)",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를 소지한 보호자의 관리하에 있는 유아에게 착용시킨 유아 부착 디바이스(1)의 "고유 식별 제 1 ID", 그리고 해당 유아 부착 디바이스(1)를 착용한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 해당하는 CCTV 관리 단말(20)의 "고유 식별 제 2 ID"를 IP 네트워크(60)를 통해 빅데이터 분산서버(40)의 DB로 등록한다(S11).
단계(S11) 이후, CCTV 관리 단말(20)은 IP 네트워크(60)를 통해 빅데이터 분산서버(40)로 단계(S11)에서 해당 CCTV 관리 단말(20) 자체의 "고유 식별 제 2 ID"로 지정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의 "고유 식별 제 1 ID 정보"를 수집한다(S12).
단계(S12) 이후, CCTV 관리 단말(20)은 유아 부착 디바이스(1)로부터 유아 부착 디바이스(1) 자체에 대한 추적 요청 또는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부터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한 추적 요청 수신을 대기한다(S13).
여기서 CCTV 관리 단말(20)은 유아 부착 디바이스(1)로부터의 추적 요청에 대해서는 CCTV 집합체(10G) 중 적어도 하나의 CCTV(10)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거쳐 수신하거나, 유아 부착 디바이스(1)와 직접적인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한편, CCTV 관리 단말(20)은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부터의 추적 요청에 대해서는 IP 네트워크(60)를 통해 수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정보 획득 방법 중 단계(S13)에서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부터 추적 요청을 수신한 경우의 수행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CCTV 관리 단말(20)은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부터 IP 네트워크(60)를 통해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한 추적 요청을 수신한다(S21).
단계(S21) 이후, CCTV 관리 단말(20)은 도 5의 단계(S11)의 과정을 통해 자체의 고유 식별 제 2 ID로 설정되어 해당 CCTV 관리 단말(20) 관리하에 있는 단계(S13)의 추적 요청을 한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의 고유단말번호(IMEI)와 매칭되어 빅데이터 분산서버(40)의 DB에 저장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의 "고유 식별 제 1 ID"를 추출한다(S22).
단계(S22) 이후, CCTV 관리 단말(20)은 단계(S22)에서 추출된 고유 식별 제 1 ID에 해당하는 유아 부착 디바이스(1)의 위치 탐지를 수행한다(S23). 여기서 CCTV 관리 단말(20)에 의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의 위치 탐지는 IP 네트워크(60)를 통해 LBS 위치 서버를 통해 수신하거나, CCTV 관리 단말(20)의 관리하에 있는 CCTV 집합체(10G)의 각 CCTV(10)와 유아 부착 디바이스(1) 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CCTV 집합체(10G)의 각 CCTV(10) 중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 커버리지에 속하는지 여부를 통해 수행하며, 단계(S23)의 과정은 후술하는 단계(S24)의 전처리 단계로 만약 탐지된 위치가 CCTV 관리 단말(20)의 관리 범위에 속하지 않는 위치에 있는 경우 CCTV 관리 단말(20)은 즉시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 위치 이탈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23) 이후, CCTV 관리 단말(20)은 CCTV 관리 단말(20)의 관리 범위에 속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해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비콘 신호 브로드 캐스팅 명령을 전송하여, 관리하는 CCTV 집합체(10G)의 각 CCTV(10)로 비콘 신호 수신에 따라 가장 인접한 CCTV(10)에 의한 촬영영상을 수신한다(S24). 여기서, CCTV 관리 단말(20)과 유아 부착 디바이스(1) 간의 비콘 신호 브로드 캐스팅 명령은 직접적인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으로 수행하거나, CCTV 집합체(10G)로의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한 비콘 신호 브로드 캐스팅 명령 전송 요청을 통해 유아 부착 디바이스(1)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S24)에서 CCTV 관리 단말(20)은 유아 부착 디바이스(1)와 관리하는 CCTV 집합체(10G)의 CCTV(10)들 중 가장 인접한 CCTV(10)에 대한 추출에 있어서, 가장 빨리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수행한다.
단계(S24) 이후, CCTV 관리 단말(20)은 단계(S24)에서 CCTV 집합체(10G) 중 가장 인접한 CCTV(10)로 판단된 CCTV(10)에 의한 촬영영상을 IP 네트워크(60)를 통해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 전송하여 표시하도록 하고 촬영영상에 유아 부착 디바이스(1)를 소지한 유아에 대한 것이 맞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 메시지 수신을 대기한다(S25).
단계(S25) 이후, CCTV 관리 단말(20)은 단계(S25)의 확인 메시지에 대해서 긍정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6).
단계(S26)의 판단 결과 확인 메시지가 긍정이 아닌 경우 CCTV 관리 단말(20)은 단계(S24)로 회귀하며, 반대로 판단 결과 확인 메시지가 긍정인 경우 CCTV 관리 단말(20)은 단계(S24) 이후의 다음 주기에 해당하는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비콘 신호 브로드 캐스팅 명령을 전송하기 전까지, 단계(S24)에서 가장 인접한 것으로 판단한 CCTV(10)에 의한 촬영영상을 IP 네트워크(60)를 통해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 전송한다(S27).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정보 획득 방법 중 촬영영상에 대한 각 유아 부착 디바이스(1) 별 분산 저장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CCTV 관리 단말(20)은 도 6의 단계(S24)와 같이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비콘 신호 브로드 캐스팅 명령을 해당 CCTV 관리 단말(20)의 관리로 설정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해 미리 설정된 시간차를 두고 전송한다(S31).
단계(S31) 이후, CCTV 관리 단말(20)은 각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해서 CCTV 집합체(10G)의 각 CCTV(10)로 비콘 신호 수신에 따라 가장 인접한 CCTV(10)를 분석한다(S32).
단계(S32) 이후, CCTV 관리 단말(20)은 각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정된 비콘 신호 브로드 캐스팅 명령에 따른 가장 인접한 CCTV ID를 각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해 개별적인 비콘 신호 브로드 캐스팅 주기와 매칭하여 템포러리 저장장치(23)에 저장한다(S33).
단계(S33) 이후, CCTV 관리 단말(20)은 단계(S31)의 미리 설정된 시간차 사이의 구간 동안에 있어서 각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의한 비콘 신호 브로드 캐스팅의 시간 순서에 따른 CCTV ID 정보와, 시간 순서에 따라 매칭되는 CCTV 집합체(10G)의 각 CCTV(10)에 의한 촬영영상을 빅데이터 분산서버(40)에 저장한다(S34).
단계(S34) 이후, 빅데이터 분산서버(40)는 DB에서 유아 부착 디바이스(1)로 할당된 저장 공간 영역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을 발견한 경우 그 유아 부착 디바이스(1)와 매칭되어 저장된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 DLNA 네트워크(70)를 통해 대용량 저장장치를 구비한 홈 네트워크 상의 유선단말(80)로 저장 요청하여 응답 신호 수신한다(S35).
단계(S35) 이후, 빅데이터 분산서버(40)는 지금까지 저장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해 시간 순서에 따른 CCTV ID 정보 각각과 매칭되는 CCTV 집합체(10G) 중 CCTV(10)에 의한 촬영영상을 조합하여 유선단말(80)으로 전송한 뒤, 해당 유아 부착 디바이스(1)로 할당된 저장 공간 영역을 삭제한다(S36).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유아 부착 디바이스
10: CCTV
10G: CCTV 집합체
20: CCTV 관리 단말
21a: I/O 인터페이스
21b: 통신 인터페이스
22: CCTV 관리 및 제어부
22a: 개인정보 관리모듈
22b: 영상 녹화모듈
22c: 개인추적 녹화모듈
22c-1: 위치탐지 수단
22c-2: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
22c-2a: 획득 수단
22c-2b: 특성추출 수단
22c-2c: 유사판정 수단
22d: 저장 관리 모듈
22d-1: 저장 탐색수단
22d-2: 분산 저장수단
23: 템포러리 저장장치
40: 빅데이터 분산서버
50: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
60: IP 네트워크
70: DLNA 네트워크
80: 홈 네트워크 상의 유선단말

Claims (9)

  1. 개인정보 관리모듈(22a), 영상 녹화모듈(22b), 개인추적 녹화모듈(22c) 및 저장 관리 모듈(22d)을 포함하는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20)에 있어서, 개인추적 녹화모듈(22c)은,
    개인정보 관리모듈(22a)에 의한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부터 IP 네트워크(60)를 통해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한 추적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CCTV 관리 단말(20)에 해당하는 "고유 식별 제 2 ID"로 설정된 상태로 추적 요청을 한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의 고유단말번호(IMEI)와 매칭되어 빅데이터 분산서버(40)의 DB에 저장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의 "고유 식별 제 1 ID"를 추출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b)를 제어한 뒤, 추출된 "고유 식별 제 1 ID"에 해당하는 유아 부착 디바이스(1)의 위치 탐지를 수행하며, 위치 탐지 수행시 CCTV 관리 단말(20)의 관리하에 있는 CCTV 집합체(10G)의 각 CCTV(10)와 유아 부착 디바이스(1) 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CCTV 집합체(10G)의 각 CCTV(10) 중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 커버리지에 속하는지 여부를 통해 수행하며, 만약 탐지된 위치가 CCTV 관리 단말(20)의 관리 범위에 속하지 않는 위치에 있는 경우 위치탐지 수단(22c-1)은 IP 네트워크(60)를 통해 즉시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 위치 이탈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b)를 제어하는 위치탐지 수단(22c-1); 및
    CCTV 관리 단말(20)의 관리 범위에 속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해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비콘 신호 브로드 캐스팅 명령을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b)를 제어하여, 관리하는 CCTV 집합체(10G)의 각 CCTV(10)로 비콘 신호 수신에 따라 가장 인접한 CCTV(10)에 의한 촬영영상을 수신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b)를 제어하는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 을 포함하며,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은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에 대한 촬영영상을 전송한 뒤,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부터의 확인 메시지가 긍정에 해당하여 유아에 대한 확인 마크 정보가 함께 반환된 경우, 유아 부착 디바이스(1)를 소지한 유아에 대한 3차원 이미지 영상을 추적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해, CCTV(10)로부터 획득한 제 1 해상도의 촬영영상 중 확인 마크 정보에 해당하는 유아로 인식된 영상을 추출하여 디코딩을 수행하여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Decoded image)를 생성하여 템포러리 저장장치(23)에 저장하며, 템포러리 저장장치(23)에 영상 녹화모듈(22b)에 의해 저장된 촬영영상 또는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Decoded-image) 중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Decoded-image)를 이용해 유아 부착 디바이스(1)를 소지한 유아에 대한 3차원 이미지 영상을 추적을 위해 유아 영상 패턴을 비교하여 영상정보 속의 유아를 판별하며,
    저장 관리 모듈(22d)은,
    CCTV 집합체(10G)의 각 CCTV(10)에 의한 촬영영상을 빅데이터 분산서버(40)에 저장한 뒤, 빅데이터 분산서버(40)의 DB에서 유아 부착 디바이스(1)로 할당된 저장 공간 영역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을 발견한 경우 유아 부착 디바이스(1)와 매칭되어 저장된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 DLNA 네트워크(70)를 통해 대용량 저장장치를 구비한 홈 네트워크 상의 유선단말(80)로 빅데이터 분산서버(40)에 저장된 촬영영상 전송 후, 전송된 촬영영상이 빅데이터 분산서버(40) 상에서 삭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
  2. 개인정보 관리모듈(22a), 영상 녹화모듈(22b) 및 개인추적 녹화모듈(22c)을 포함하는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20)에 있어서, 개인추적 녹화모듈(22c)은,
    개인정보 관리모듈(22a)에 의한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부터 IP 네트워크(60)를 통해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한 추적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CCTV 관리 단말(20)에 해당하는 "고유 식별 제 2 ID"로 설정된 상태로 추적 요청을 한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의 고유단말번호(IMEI)와 매칭되어 빅데이터 분산서버(40)의 DB에 저장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의 "고유 식별 제 1 ID"를 추출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b)를 제어한 뒤, 추출된 "고유 식별 제 1 ID"에 해당하는 유아 부착 디바이스(1)의 위치 탐지를 수행하는 위치탐지 수단(22c-1); 및
    CCTV 관리 단말(20)의 관리 범위에 속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해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비콘 신호 브로드 캐스팅 명령을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b)를 제어하여, 관리하는 CCTV 집합체(10G)의 각 CCTV(10)로 비콘 신호 수신에 따라 가장 인접한 CCTV(10)에 의한 촬영영상을 수신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b)를 제어하는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 을 포함하며,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은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에 대한 촬영영상을 전송한 뒤,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부터의 확인 메시지가 긍정에 해당하여 유아에 대한 확인 마크 정보가 함께 반환된 경우, 유아 부착 디바이스(1)를 소지한 유아에 대한 3차원 이미지 영상을 추적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해, CCTV(10)로부터 획득한 제 1 해상도의 촬영영상 중 확인 마크 정보에 해당하는 유아로 인식된 영상을 추출하여 디코딩을 수행하여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Decoded-image)를 생성하여 템포러리 저장장치(23)에 저장하며, 템포러리 저장장치(23)에 영상 녹화모듈(22b)에 의해 저장된 촬영영상 또는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Decoded-image) 중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Decoded-image)를 이용해 유아 부착 디바이스(1)를 소지한 유아에 대한 3차원 이미지 영상을 추적을 위해 유아 영상 패턴을 비교하여 영상정보 속의 유아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
  3. 청구항 2에 있어서,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은,
    QCIF(176*144) 해상도로 수신된 촬영영상 중 영상인식을 통한 유아에 해당하는 영역을 개개의 영상이미지의 연속으로 디코딩하기 위해 시스템메모리인 템포러리 저장장치(23)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
  4. 청구항 2에 있어서,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은,
    각 디코딩된 이미지에 대해서 3차원 그래픽에서 입체형상을 표현하는데 사용하는 가장 작은 단위인 폴리곤을 생성하고, 폴리곤을 여러 개를 만들어 폴리곤 집합으로 변환하여 생성된 폴리곤 집합을 템포러리 저장장치(23)에 저장하며,
    생성된 폴리곤 집합 위에 템포러리 저장장치(23)에 저장된 각 디코딩된 이미지(Decoded-image)를 리드(Read)하여 붙이는 텍스쳐 맵핑을 수행하여 텍스쳐맵핑된 데이터인 3차원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촬영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
  5. 청구항 2에 있어서,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은,
    CCTV(10)에 의한 촬영영상에서 템포러리 저장장치(23)에 미리 저장된 유아 부착 디바이스(1)를 소지한 유아에 대한 영상 인식을 수행하기 위해 유아 부착 디바이스(1)를 소지한 유아의 촬영 시에 감지되는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CCTV(10)의 카메라센서와 카메라센서로부터 얻어지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수단(22c-2a);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
  6. 청구항 5에 있어서,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은,
    영상정보에서 유아 부착 디바이스(1)를 소지한 유아를 판별하기 위해 템포러리 저장장치(23)에는 다양한 유아 부착 디바이스(1)를 소지한 유아 영상 패턴이 저장되어 있는데, 해당 다양한 유아 부착 디바이스(1)를 소지한 유아 영상 패턴 또는 상기 다양한 패턴의 기울어진 것, 역으로 된 것, 약간 각도가 기울어진 것과 영상정보에 포함된 유아 영상 패턴을 비교하여 영상정보 속의 유아를 판별하는 특성추출 수단(22c-2b);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
  7. 청구항 6에 있어서,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은,
    영상정보에 포함된 화소의 특정, 즉, 화소의 명암, 화소의 색상, 화소가 형성하는 선, 및 화소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하는 형태 등으로부터 화소의 특성을 추출한 뒤, 화소의 특성과 유사한 특성을 포함하는 화소를 유사범위로 판단하는 유사판정 수단(22c-2c);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
  8. 청구항 2에 있어서,
    개별 촬영영상 전송수단(22c-2)에 의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비콘 신호 브로드 캐스팅 명령을 해당 CCTV 관리 단말(20)의 관리로 설정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해 미리 설정된 시간차를 두고 전송에 따른 비콘 신호 수신에 따른 가장 인접한 CCTV(10)를 분석이 완료되면, 각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정된 비콘 신호 브로드 캐스팅 명령에 따른 가장 인접한 CCTV ID를 각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해 개별적인 비콘 신호 브로드 캐스팅 주기와 매칭하여 템포러리 저장장치(23)에 저장하는 저장 탐색수단(22d-1)과,
    미리 설정된 시간차 사이의 구간 동안에 있어서 각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의한 비콘 신호 브로드 캐스팅의 시간 순서에 따른 CCTV ID 정보와, 시간 순서에 따라 매칭되는 CCTV 집합체(10G)의 각 CCTV(10)에 의한 촬영영상을 빅데이터 분산서버(40)에 저장한 뒤, 빅데이터 분산서버(40)의 DB에서 유아 부착 디바이스(1)로 할당된 저장 공간 영역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을 발견한 경우 그 유아 부착 디바이스(1)와 매칭되어 저장된 보호자 모바일 디바이스(50)로 DLNA 네트워크(70)를 통해 대용량 저장장치를 구비한 홈 네트워크 상의 유선단말(80)로 저장 요청하여 응답 신호 수신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b)를 제어하는 저장 탐색수단(22d-1)으로,
    구분된 저장 관리 모듈(22d); 을 더 포함하며,
    저장 탐색수단(22d-1)의 유선단말(80)로 저장 요청에 따라 빅데이터 분산서버(40)는, 미리 설정된 구간동안 저장된 유아 부착 디바이스(1)에 대해 시간 순서에 따른 CCTV ID 정보 각각과 매칭되는 CCTV 집합체(10G) 중 CCTV(10)에 의한 촬영영상을 조합하여 유선단말(80)로 전송한 뒤, 해당 유아 부착 디바이스(1)로 할당된 저장 공간 영역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
  9. 삭제
KR1020150027066A 2015-02-26 2015-02-26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 그리고 cctv 정보 획득 방법 KR101527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066A KR101527813B1 (ko) 2015-02-26 2015-02-26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 그리고 cctv 정보 획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066A KR101527813B1 (ko) 2015-02-26 2015-02-26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 그리고 cctv 정보 획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7813B1 true KR101527813B1 (ko) 2015-06-10

Family

ID=53505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066A KR101527813B1 (ko) 2015-02-26 2015-02-26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 그리고 cctv 정보 획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8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087B1 (ko) * 2015-12-16 2017-04-07 영현정보통신 주식회사 비콘과 스마트cctv를 이용한 전자순찰방법
CN111200556A (zh) * 2016-02-24 2020-05-26 吴玉芳 一种网络图片查看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9449A (ko) * 2008-05-16 2009-11-19 (주) 이지트론 Cctv와 연동하는 유비쿼터스 치안 시스템
KR20100061104A (ko) * 2008-11-28 2010-06-07 이계림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실시간 양방향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53706A (ko) * 2010-11-18 2012-05-29 주식회사 씨큐포인트 위치정보 기반 행동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9449A (ko) * 2008-05-16 2009-11-19 (주) 이지트론 Cctv와 연동하는 유비쿼터스 치안 시스템
KR20100061104A (ko) * 2008-11-28 2010-06-07 이계림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실시간 양방향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53706A (ko) * 2010-11-18 2012-05-29 주식회사 씨큐포인트 위치정보 기반 행동 감시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087B1 (ko) * 2015-12-16 2017-04-07 영현정보통신 주식회사 비콘과 스마트cctv를 이용한 전자순찰방법
CN111200556A (zh) * 2016-02-24 2020-05-26 吴玉芳 一种网络图片查看方法
CN111200556B (zh) * 2016-02-24 2024-01-19 吴玉芳 一种网络图片查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5598B1 (ko) 이상행동 탐지 방범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4033307A (ja) データ記憶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28246B1 (ko) 이동 객체 자동 추적 시스템과 그 방법
WO2015136796A1 (ja) 情報処理装置、記憶媒体、および制御方法
EP2892222A1 (en) Control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2315863B1 (ko) 카메라 제어 및 이미지 스트리밍
US9438340B2 (en) Communication method
US20150281568A1 (en) Content acquisition device, portable device,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0341616B2 (en)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249498B1 (ko) 이벤트 검색 장치 및 시스템
CN103416050A (zh) 信息提供系统、信息提供装置、拍摄装置以及计算机程序
KR101617342B1 (ko) 놀이시설장소 돌봄 장치 및 돌봄 방법
EP34627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rectly accessing video data streams and data between devices in a video surveillance system
KR101527813B1 (ko)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 그리고 cctv 정보 획득 방법
KR101038918B1 (ko) 촬영대상의 벡터정보 생성 장치와 시스템 및 그 생성 방법
KR102078270B1 (ko) 증강현실 기능이 적용된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KR20150019230A (ko)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객체 추적 방법 및 장치
KR20140021097A (ko) 분산처리 기반 카메라 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228350B1 (ko) 반려 동물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50131493A (ko) 출결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15243B1 (ko) 지능형 방범 영상 감시장치 및 영상 감시방법
KR101653820B1 (ko) 열 감지 기반의 대상체 및 상황 감지 시스템
US1040490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KR20180101115A (ko) 영상 적설 측정 시스템
CN107545211A (zh) 云端数据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