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6923B1 - 용접재료 복합건조기 - Google Patents

용접재료 복합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6923B1
KR101526923B1 KR1020130092512A KR20130092512A KR101526923B1 KR 101526923 B1 KR101526923 B1 KR 101526923B1 KR 1020130092512 A KR1020130092512 A KR 1020130092512A KR 20130092512 A KR20130092512 A KR 20130092512A KR 101526923 B1 KR101526923 B1 KR 101526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chamber
heat transfer
step portion
heater
weld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6719A (ko
Inventor
김쌍목
김근효
최재영
Original Assignee
씨앤더블 주식회사
김쌍목
김근효
최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앤더블 주식회사, 김쌍목, 김근효, 최재영 filed Critical 씨앤더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2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923B1/ko
Publication of KR20150016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6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the products to be dried being disposed on one or more containers, which may have at least partly gas-previous walls, e.g. trays or shelves in a st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재료 복합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용접작업에 사용하는 용접재료를 건조기에서 건조할 경우 건조실 내부의 온도가 불 균일하여 용접재료가 손상되거나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정면이 개방되어 도어에 의하여 개폐되는 직육면형상의 두 개의 건조실을 구비하고, 상기 건조실의 전방 하단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단턱부와, 상기 건조실의 내측 후방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후 하향 절곡되어 연장되어 상기 건조실의 내측 후방 하단과 연통하도록 하는 순환연통과 상기 순환연통의 내부에서 상부의 공기를 하부로 흡입 배출하는 순환팬을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건조실의 내측 양측벽과 이격되어 상단은 내측 천정에 밀착되고 하단은 상기 단턱부에 밀착되는 한 쌍의 측면판넬과, 한 쌍의 상기 측면판넬의 하단을 덮도록 하여 상기 건조실의 천정면과 측면판넬의 사이 공간을 분리하는 저면판넬과, 상기 측면판넬의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후 전후로 길게 연장되는 3개 이상의 가이드레일과,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으로 양측 가이드레일의 상면에 저면이 올려져 사이에 삽입되는 3개 이상의 용접재료 수납선반과, 상기 저면판넬에 격자형으로 배열되어 수직 관통하는 제1 관통홀과, 상기 측면판넬에 격자형으로 배열되어 수평 관통하는 제2 관통홀으로 구성되는 수납박스와;
상기 단턱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후 원호를 그리며 반전하여 다시 전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전방에 위치한 양단은 상기 단턱부를 관통하여 전원연결부에 의하여 전원이 연결되는 한 쌍의 히터로 구성되되;
상기 히터의 끝단은 내부 전열선이 연결되고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결볼트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연결부은 상기 단턱부의 배면에 매립 고정되어 상기 히터의 끝단이 삽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매립되어 상기 연결볼트에 상응하여 결합하는 제1 나사홀과 상기 제1 나사홀의 타측 동일 축선상에 형성되는 제2 나사홀을 구비하는 연장 접지단자와, 전원이 연결되는 전선의 끝단과 연결되어 링 형상을 가지는 접지와셔와, 상기 제2 나사홀에 상응하여 결합하면서 상기 접지와셔를 고정하는 고정볼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재료 복합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접재료 복합건조기{The complex dryer for a welding materials}
본 발명은 용접재료 복합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용접작업에 사용하는 용접재료를 건조기에서 건조할 경우 건조실 내부의 온도가 불 균일하여 용접재료가 손상되거나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용접재료 복합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용접기술은 간단한 가스용접과 전기용접에서부터 특수한 용접으로 레이저 용접, 마찰용접, 충격용접 등 각 분야에 다양한 용접 방법이 생겨났으며 이러한 용접들은 또다시 세분화되어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용접에는 다양한 재료가 사용되나 특히 용접봉 혹은 용접 와이어라 부르는 재료는 습기에 노출되면 용접작업과 용접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관에 상당한 주의를 요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 전에는 전용으로 제작된 건조기에 의하여 건조 후 사용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용접재료 건조기는 외부케이스와 내통이 많은 부분 접촉 연결되어 있어 내부의 고열이 외부로 유출되어 단열효과가 떨어져 발열효율이 저하되고 열풍의 순환 없이 내통 하단에 배치된 고온발열체의 발열에 따라 내부공기의 열전도에 의존한 내부 단순 가열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때문에 발열체 부근은 상당한 고열이 발생되지만 발열체에서 멀어질수록 가열능력이 상당히 떨어져 각 선반에 적치된 용접재료가 균일하게 가열되지 않아 고열에 노출된 용접재료는 열에 의해 특성이 변하고 제대로 가열되지 않은 용접재료는 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고온 발열체가 필요 이상으로 작동하게 되고 고온 발열체의 전기 접속부의 접촉부위 부족으로 접촉저항이 발생되어 고온발열체 및 전원연결부의 손상이 다수 발생하는 상황이다.
또한 단일 건조실을 이용하여 건조한 후 수동조작에 의해 보관 및 사용하게 되므로서 지속적인 사용시 사용자는 건조시간 동안 용접재료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고 건조실내 기 건조된 용접재료를 다 사용하게 되면 용접재료를 새롭게 건조할 때까지 작업이 중단되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나며 정확한 건조시간과 온도로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아 각종 용접품질 불량의 원인이 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763460-0000호 (2007년09월27일) (특허 문헌 2)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12274-0000호 (2006년03월17일) (특허 문헌 3)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776700-0000호 (2007년11월08일) (특허 문헌 4)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22795-0000호 (2006년07월25일) (특허 문헌 5)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52422-0000호 (2011년02월18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히터의 열이 고르게 분산하여 선반에 넣어지는 용접재료가 동일한 조건에서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용접재료 복합건조기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히터가 필요 이상으로 작동하거나 전기 접속부의 접촉부위 부족으로 접촉저항이 발생되어 히터 및 전원연결부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접재료 복합건조기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단일 건조실을 이용하여 건조한 후 수동조작에 의해 보관 및 사용하게 되므로서 지속적인 사용시 사용자는 건조시간 동안 용접재료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고 건조된 용접재료를 다 사용하게 되면 용접재료를 새롭게 건조할 때까지 작업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접재료 복합건조기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면이 개방되어 도어에 의하여 개폐되는 직육면형상의 두 개의 건조실을 구비하고, 상기 건조실의 전방 하단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단턱부와, 상기 건조실의 내측 후방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후 하향 절곡되어 연장되어 상기 건조실의 내측 후방 하단과 연통하도록 하는 순환연통과 상기 순환연통의 내부에서 상부의 공기를 하부로 흡입 배출하는 순환팬을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건조실의 내측 양측벽과 이격되어 상단은 내측 천정에 밀착되고 하단은 상기 단턱부에 밀착되는 한 쌍의 측면판넬과, 한 쌍의 상기 측면판넬의 하단을 덮도록 하여 상기 건조실의 천정면과 측면판넬의 사이 공간을 분리하는 저면판넬과, 상기 측면판넬의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후 전후로 길게 연장되는 3개 이상의 가이드레일과,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으로 양측 가이드레일의 상면에 저면이 올려져 사이에 삽입되는 3개 이상의 용접재료 수납선반과, 상기 저면판넬에 격자형으로 배열되어 수직 관통하는 제1 관통홀과, 상기 측면판넬에 격자형으로 배열되어 수평 관통하는 제2 관통홀으로 구성되는 수납박스와;
상기 단턱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후 원호를 그리며 반전하여 다시 전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전방에 위치한 양단은 상기 단턱부를 관통하여 전원연결부에 의하여 전원이 연결되는 한 쌍의 히터로 구성되되;
상기 히터의 끝단은 내부 전열선이 연결되고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결볼트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연결부은 상기 단턱부의 배면에 매립 고정되어 상기 히터의 끝단이 삽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매립되어 상기 연결볼트에 상응하여 결합하는 제1 나사홀과 상기 제1 나사홀의 타측 동일 축선상에 형성되는 제2 나사홀을 구비하는 연장 접지단자와, 전원이 연결되는 전선의 끝단과 연결되어 링 형상을 가지는 접지와셔와, 상기 제2 나사홀에 상응하여 결합하면서 상기 접지와셔를 고정하는 고정볼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측면판넬의 외측으로는 두 개 이상의 수평프레임과 3개 이상의 수직프레임에 격자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제2 관통홀들을 관통하여 내측으로 연장되는 열전달핀이 상기 수직프레임에 장착되며, 하단에는 상기 히터의 반대방향으로 오목한 3개 이상의 열전달컵이 장착되는 열전달 프레임이 추가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열전달프레임은 상기 열전달컵의 중앙에서 관통되어 수직프레임을 거쳐 상기 열전달핀으로 관통되어 연결되는 열전달홀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히터의 열이 고르게 분산하여 선반에 넣어지는 용접재료가 동일한 조건에서 건조될 수 있도록 하여 고온에 의하여 용접재료가 손상되거나 건조가 덜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히터가 필요 이상으로 작동하거나 전기 접속부의 접촉부위 부족으로 접촉저항이 발생되어 히터 및 전원연결부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의 안정된 작동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두 개의 건조실에 의하여 사용자는 건조시간 동안에도 다른 건조실에서 기 건조된 용접재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건조된 용접재료가 없어 새롭게 건조할 때까지 작업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히터의 전원연결부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히터의 전원연결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히터의 전원연결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건조실을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건조실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건조실을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건조실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정단면도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게이트의 작동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단면도로서, 정면이 개방되어 도어(11)에 의하여 개폐되는 직육면형상의 두 개의 건조실(12)을 구비하고, 상기 건조실(12)의 전방 하단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단턱부(13)와, 상기 건조실(12)의 내측 후방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후 하향 절곡되어 연장되어 상기 건조실(12)의 내측 후방 하단과 연통하도록 하는 순환연통(14)과 상기 순환연통(14)의 내부에서 상부의 공기를 하부로 흡입 배출하는 순환팬(15)을 구비하는 몸체(1)와;
상기 건조실(12)의 내측 양측벽과 이격되어 상단은 내측 천정에 밀착되고 하단은 상기 단턱부(13)에 밀착되는 한 쌍의 측면판넬(21)과, 한 쌍의 상기 측면판넬(21)의 하단을 덮도록 하여 상기 건조실(12)의 천정면과 측면판넬(21)의 사이 공간을 분리하는 저면판넬(22)과, 상기 측면판넬(21)의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후 전후로 길게 연장되는 3개 이상의 가이드레일(23)과,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으로 양측 가이드레일(23)의 상면에 저면이 올려져 사이에 삽입되는 3개 이상의 용접재료 수납선반(24)과, 상기 저면판넬(22)에 격자형으로 배열되어 수직 관통하는 제1 관통홀(25)과, 상기 측면판넬(21)에 격자형으로 배열되어 수평 관통하는 제2 관통홀(26)으로 구성되는 수납박스(2)와;
상기 단턱부(13)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후 원호를 그리며 반전하여 다시 전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전방에 위치한 양단은 상기 단턱부(13)를 관통하여 전원연결부(31)에 의하여 전원이 연결되는 한 쌍의 히터(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재료 복합건조기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건조실(12)을 두 개를 구비하는 것에 있으며 이는 350~400도의 고온으로 일정시간 건조한 후 100~200도의 온도로 보관(사용)하는 용접재료의 특성상 사용상의 편의와 연속적인 건조/보관(사용)의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 두 개의 건조실(12)을 별도로 개별 제어하여 일정량의 용접재료를 한 건조실(12)에서 건조하는 동안 기 건조된 용접재료는 다른 건조실(12)에서 보관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한쪽의 용접재료를 모두 사용한 후 다른 건조실(12)의 건조된 용접재료를 보관하며 사용하는 동안 빈 건조실(12)에는 새로운 용접재료를 건조하므로 사용자가 용접재료의 건조시간에 제약없이 연속적으로 용접재료를 건조/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각 건조실(12)은 독립제어방식 및 온도설정장치와 타이머에 의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건조온도와 시간에 따라 자동적으로 건조기능에서 보관기능으로 전환되는 자동제어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미설명부호 4는 보관부(4)로 각종 용접재료나 용접장치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으로 본원의 권리범위와는 상관없는 구성이며, 미성명부호 5의 경우 건조실(12)을 외기와 연결하여 열기의 배출이 필요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연통(5)이다.
본원의 두 번째 특징은 건조실(12)의 내부의 수납박스(2)는 제1 및 제2 관통홀(25, 26)을 제외하면 도어(11)가 닫혔을 때 폐쇄된 공간으로 순환 연통(14)과 순환팬(15)은 하부의 뜨거운 공기를 계속 아래로 다시 재공급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공기는 제1 및 제2 관통홀(25, 25)에 의하여 수납박스(2)의 내부로 고르게 유입되어 전체적으로 건조실(12)의 온도가 균일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너무 강한 열로 인하여 용접재료가 손상되거나 반대로 약한 열에 의하여 일부 구역의 용접재료는 건조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아 용접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시한 실시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히터의 전원연결부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히터의 전원연결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히터의 전원연결부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히터(3)의 끝단은 내부 전열선이 연결되고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결볼트(32)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연결부(31)은 상기 단턱부(13)의 배면에 매립 고정되어 상기 히터(3)의 끝단이 삽입되는 하우징(311)과, 상기 하우징(311)의 전방에 매립되어 상기 연결볼트(32)에 상응하여 결합하는 제1 나사홀(312)과 상기 제1 나사홀(312)의 타측 동일 축선상에 형성되는 제2 나사홀(313)을 구비하는 연장 접지단자(314)와, 전원이 연결되는 전선(315)의 끝단과 연결되어 링 형상을 가지는 접지와셔(316)와, 상기 제2 나사홀(313)에 상응하여 결합하면서 상기 접지와셔(316)를 고정하는 고정볼트(31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히터가 필요 이상으로 작동하거나 전기 접속부의 접촉부위 부족으로 접촉저항이 발생되어 히터 및 전원연결부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종래에는 얇고 긴 나사형태의 단자에 2개의 얇은 폭의 너트 사이에 전선 연결단자(터미널)을 배치하여 잠그는 형태로 연결되는 히터(3)는 전기접촉부 부족으로 발생되는 전원연결부(31)에 발열이 발생하여 발열손상이 발생하게 되며, 본 발명은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동재질의 다각형 혹은 원통의 중심선을 따라 한쪽 끝에는 히터(3)의 연결볼트(32)의 구경과 동일한 제1 나사홀(312)을 두고 다른 한쪽 끝에는 더 큰 구경의 제2 나사홀(312) 가공을 한 형태로 가공하여 조립하므로 전체를 전기 접촉시켜 전기접촉부위를 극단적으로 증대시키고 제2 나사홀(312)에 접지와셔(316)를 고정볼트(317)에 의하여 면 접촉이 되도록 고정시켜 전선(315)으로부터 히터(3)까지 이어지는 전기연결 접촉부를 극대화 시키므로 전기적 접촉저항을 최소화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연결볼트(32)를 통하여 전도되는 열을 방열에 유리한 큰 구경의 고정볼트(317)로 확산시켜 방열시키므로 전원 연결부(31)의 발열손상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건조실을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건조실을 나타낸 정단면도로서, 상기 측면판넬(21)의 외측으로는 두 개 이상의 수평프레임(271)과 3개 이상의 수직프레임(272)에 격자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제2 관통홀(26)들을 관통하여 내측으로 연장되는 열전달핀(273)이 상기 수직프레임(272)에 장착되며, 하단에는 상기 히터(3)의 반대방향으로 오목한 3개 이상의 열전달컵(274)이 장착되는 열전달 프레임(27)이 추가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공기 즉 기체의 경우 순환이 되지 않으면 열전달이 상대적으로 고르게 이루어지지 않으나 열전도성이 좋은 고체의 경우 일측을 가열하면 타측 끝단까지 열전달이 빠르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를 이용하여 히터(3)의 열을 열전달컵(274)에 전달되면 수직프레임(272)을 거쳐 열전달핀(273)으로 열이 빠르게 전달되어 건조실(12) 내부의 열의 고르게 전달하게 되며 또 열을 오래 동안 가지고 있음으로 히터(3)의 가동률이 줄어들더라도 온도의 지속력은 길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건조실을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건조실을 나타낸 정단면도로서, 상기 열전달프레임(27)은 상기 열전달컵(272)의 중앙에서 관통되어 수직프레임(272)을 거쳐 상기 열전달핀(273)으로 관통되어 연결되는 열전달홀(275)을 구비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히터(3)에 의하여 가열된 열전달컵(272)은 내부의 열전달홀(275)을 가열시키게 되고 가열된 공기는 상승하여 열전달핀(273)의 방향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공기의 흐름을 가지도록 하는 것으로 단순히 열전달핀(273)이 복사열을 주도록 하는 것과 비교하면 열의 전달이 보다 빠르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정단면도이고,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게이트의 작동을 나타낸 사용상태도로서, 두 개의 상기 건조실(12)의 상단은 관통된 연결통로(16)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연결통로(16)의 중간에서 연결통로를 개폐하는 게이트(17)를 구비하고, 상기 게이트(17)의 양측으로 각각 제1 및 제2 팬(18, 19)이 장착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게이트(17)는 실린더 또는 모터에 의하여 승하강하도록 하여 하강하면 연결통로(16)를 폐쇄하여 양측 건조실(12)이 별개로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며, 게이트(17)를 개방할 경우는 한쪽에서 350~400도의 건조 동작을 하고 다른 한 쪽에서는 100~200도의 보관 동작을 할 경우 건조 동작을 하는 상부의 폐열 일부를 보관 동작을 하는 곳으로 보내도록 하여 히터의 가동률을 줄이고도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관 동작을 하던 건조실(12)을 건조 동작으로 바꾸고자할 경우에 건조동작을 하던 건조실(12)의 열을 끌어들이도록 하여 온도가 빠르게 상승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1 : 몸체
11 : 도어 12 : 건조실
13 : 단턱부 14 : 순환연통
15 : 순환팬 16 : 연결통로
17 : 게이트 18 : 제1 팬
19 : 제2 팬
2 : 수납박스
21 : 측면판넬 22 : 저면판넬
23 : 가이드레일 24 : 수납선반
25 : 관통홀 26 : 제2 관통홀
27 : 열전달프레임
271 : 수평프레임 272 : 수직프레임
273 : 열전달핀 274 : 열전달컵
275 : 열전달홀
3 : 히터
31 : 전원연결부
311 : 하우징 312 : 제1 나사홀
313 : 제2 나사홀 314 : 연장 접지단자
315 : 전선 316 : 접지와셔
317 : 고정볼트
32 : 연결볼트
4 : 보관부
5 : 연통

Claims (5)

  1. 삭제
  2. 정면이 개방되어 도어(11)에 의하여 개폐되는 직육면형상의 두 개의 건조실(12)을 구비하고, 상기 건조실(12)의 전방 하단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단턱부(13)와, 상기 건조실(12)의 내측 후방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후 하향 절곡되어 연장되어 상기 건조실(12)의 내측 후방 하단과 연통하도록 하는 순환연통(14)과 상기 순환연통(14)의 내부에서 상부의 공기를 하부로 흡입 배출하는 순환팬(15)을 구비하는 몸체(1)와;
    상기 건조실(12)의 내측 양측벽과 이격되어 상단은 내측 천정에 밀착되고 하단은 상기 단턱부(13)에 밀착되는 한 쌍의 측면판넬(21)과, 한 쌍의 상기 측면판넬(21)의 하단을 덮도록 하여 상기 건조실(12)의 천정면과 측면판넬(21)의 사이 공간을 분리하는 저면판넬(22)과, 상기 측면판넬(21)의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후 전후로 길게 연장되는 3개 이상의 가이드레일(23)과,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으로 양측 가이드레일(23)의 상면에 저면이 올려져 사이에 삽입되는 3개 이상의 용접재료 수납선반(24)과, 상기 저면판넬(22)에 격자형으로 배열되어 수직 관통하는 제1 관통홀(25)과, 상기 측면판넬(21)에 격자형으로 배열되어 수평 관통하는 제2 관통홀(26)으로 구성되는 수납박스(2)와;
    상기 단턱부(13)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후 원호를 그리며 반전하여 다시 전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전방에 위치한 양단은 상기 단턱부(13)를 관통하여 전원연결부(31)에 의하여 전원이 연결되는 한 쌍의 히터(3)로 구성되되;
    상기 히터(3)의 끝단은 내부 전열선이 연결되고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결볼트(32)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연결부(31)은 상기 단턱부(13)의 배면에 매립 고정되어 상기 히터(3)의 끝단이 삽입되는 하우징(311)과, 상기 하우징(311)의 전방에 매립되어 상기 연결볼트(32)에 상응하여 결합하는 제1 나사홀(312)과 상기 제1 나사홀(312)의 타측 동일 축선상에 형성되는 제2 나사홀(313)을 구비하는 연장 접지단자(314)와, 전원이 연결되는 전선(315)의 끝단과 연결되어 링 형상을 가지는 접지와셔(316)와, 상기 제2 나사홀(313)에 상응하여 결합하면서 상기 접지와셔(316)를 고정하는 고정볼트(31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재료 복합건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넬(21)의 외측으로는 두 개 이상의 수평프레임(271)과 3개 이상의 수직프레임(272)에 격자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제2 관통홀(26)들을 관통하여 내측으로 연장되는 열전달핀(273)이 상기 수직프레임(272)에 장착되며, 하단에는 상기 히터(3)의 반대방향으로 오목한 3개 이상의 열전달컵(274)이 장착되는 열전달 프레임(27)이 추가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재료 복합건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프레임(27)은 상기 열전달컵(274)의 중앙에서 관통되어 수직프레임(272)을 거쳐 상기 열전달핀(273)으로 관통되어 연결되는 열전달홀(275)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재료 복합건조기.
  5. 삭제
KR1020130092512A 2013-08-05 2013-08-05 용접재료 복합건조기 KR101526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512A KR101526923B1 (ko) 2013-08-05 2013-08-05 용접재료 복합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512A KR101526923B1 (ko) 2013-08-05 2013-08-05 용접재료 복합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719A KR20150016719A (ko) 2015-02-13
KR101526923B1 true KR101526923B1 (ko) 2015-06-16

Family

ID=52573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512A KR101526923B1 (ko) 2013-08-05 2013-08-05 용접재료 복합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69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36077B (zh) * 2017-09-04 2019-07-23 来安县天绿生态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可收纳的鱼塘养鱼用饲料干燥装置
CN110981386B (zh) * 2019-11-28 2021-10-15 湖南绿生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钒冶炼渣生产加气混凝土砌块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7100A (ja) * 2003-07-31 2005-02-24 Taiyoo Seisakusho:Kk 木材乾燥方法及び乾燥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7100A (ja) * 2003-07-31 2005-02-24 Taiyoo Seisakusho:Kk 木材乾燥方法及び乾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719A (ko) 2015-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923B1 (ko) 용접재료 복합건조기
EP3741393A1 (en) Intelligent drying method and ultraviolet disinfection container
KR101856843B1 (ko)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KR101187088B1 (ko) 곶감 건조장치
KR20090017804A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1721797B1 (ko) 목재건조장치
CN207407632U (zh) 二极管生产用新型烘干装置
KR20130084802A (ko) 콘크리트 양생장치
KR101798146B1 (ko) 대형 항온수조
CN105747388A (zh) 一种高效率循环式鞋用烘干机
KR101661754B1 (ko) 실크스크린판 건조기
CN211318514U (zh) 一种具有过压保护功能的老化柜
CN106322922A (zh) 一种真空脉冲干燥机
CN210862106U (zh) 一种起绒针织布快速烘干装置
CN211299590U (zh) 一种烤箱热循环装置
KR20050108817A (ko) 진공 건조장치
KR101733066B1 (ko) 모터의 전기자 열처리로
CN211476528U (zh) 一种高效的焊条烘干箱
CN104776597B (zh) 一种真空环境中的加热装置
CN220380123U (zh) 面料烘干杀菌装置
KR101917872B1 (ko) 자동 풍향 가이드가 구비된 냉풍건조장치
CN210220466U (zh) 一种电热鼓风干燥箱
CN218120419U (zh) 一种焦炉炉门干燥机
CN216384842U (zh) 一种电热鼓风干燥箱
CN218269865U (zh) 一种循环热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