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591B1 -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591B1
KR101525591B1 KR1020140000552A KR20140000552A KR101525591B1 KR 101525591 B1 KR101525591 B1 KR 101525591B1 KR 1020140000552 A KR1020140000552 A KR 1020140000552A KR 20140000552 A KR20140000552 A KR 20140000552A KR 101525591 B1 KR101525591 B1 KR 101525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ireless access
user terminal
list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은영
박수홍
Original Assignee
최은영
박수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은영, 박수홍 filed Critical 최은영
Priority to KR1020140000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5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은, 현재 위치에서 검색되는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를 갱신하는 사용자 단말,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를 제공받고, 상기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에 포함된 무선 접속 장치 중에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실제 위치를 기반으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GPS 신호가 도달하지 않는 실내에서도 사용자의 실제 위치를 기반으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필요 시 자신이 방문했던 장소에 대한 정보를 별도로 검색하는 수고 없이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WIRELESS ACCESS POINT LIST}
본 발명은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와이파이(Wi-Fi)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와 같은 무선 접속 장치가 설치된 위치에서 사용자 단말에 타겟팅된 정보를 제공하고, 나중에 사용자가 자신이 방문했던 장소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과 WLAN(Wireless LAN)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나 쿠폰 등을 전송하는 등의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19718호에는 소정의 장소에 설치된 무선접속장치를 이용하여, 해당 무선 접속 장치와 연결된 광고 관리 서버로부터 휴대 단말이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는 모바일 디지털 광고 서비스 수신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한국공개특허 제2011-0019718호에서는 해당 무선접속장치에 접속이 된 경우에만 광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19718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서관, 카페, 상점 등 많은 사람이 머무르는 장소에 설치된 무선 접속 장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따른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아울러 사용자가 방문했던 장소에 대한 정보를 필요할 때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은, 현재 위치에서 검색되는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를 갱신하는 사용자 단말,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를 제공받고, 상기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에 포함된 무선 접속 장치 중에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대한 정보 수신 이력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에 포함된 무선 접속 장치가 복수 개인 경우, 신호 강도가 가장 높은 무선 접속 장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무선 접속 장치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정보가 제공된 무선 접속 장치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정보 제공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는, 상기 무선 접속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 대한 장소 이름, 주소, 전화번호, 광고 문구 및 쿠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장치는, 광고주로부터 등록된 무선 접속 장치 및 상기 무선 접속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에 포함된 무선 접속 장치 중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무선 접속 장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부는, 상기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에 포함된 무선 접속 장치가 복수 개인 경우, 신호 강도가 가장 높은 무선 접속 장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무선 접속 장치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정보가 제공된 무선 접속 장치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정보 제공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방법은, 무선 접속 장치 및 상기 무선 접속 장치에 대한 정보를 광고주로부터 등록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에 포함된 무선 접속 장치 중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무선 접속 장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무선 접속 장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은,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갱신된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를 정보 제공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갱신된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에 포함된 무선 접속 장치 중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은, 상기 무선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대한 정보 수신 이력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상기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실제 위치를 기반으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GPS 신호가 도달하지 않는 실내에서도 사용자의 실제 위치를 기반으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필요 시 자신이 방문했던 장소에 대한 정보를 별도로 검색하는 수고 없이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정보 제공 장치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정보 제공 장치(200),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 300n)(Wireless Access Point) 및 광고주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에서 검색되는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를 기반으로 소정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위치에서 검색되는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 300n)의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100)이 정보 제공 장치(200)에 제공하면, 정보 제공 장치(200)는 리스트에 포함된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300c, …, 300n) 중에서 사전에 등록된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정보는 해당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여 등록된 장소 이름, 전화번호, 광고 문구 및 쿠폰 등일 수 있으며, 텍스트나 이미지 데이터로 제공될 수 있다. 물론 그 외에도 다양한 내용과 다양한 형태의 정보가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에서 검색되는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를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다.
통신망(10)은 사용자 단말(100), 정보 제공 장치(200),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300c, …, 300n) 및 광고주 단말(400)이 서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게 해준다. 통신망(10)은 구내 정보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도시권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 3G, 4G 이동통신망,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등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고, 유선과 무선을 가리지 않으며, 어떠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상관없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이용할 수 있는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UMPC(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 태블릿 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휴대전화, 스마트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정보 통신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300c, …, 300n)를 통해 통신망(10)과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단말(100)은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300c, …, 300n)를 통하지 않고도 직접 3G, 4G 이동통신망, 와이브로(WIBRO) 등 다른 경로를 통해 통신망(10)과 연결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무선 접속 장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를 정보 제공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는 무선 접속 장치의 이름,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및 신호 강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제공 장치(200)에 제공되는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에는 검색된 모든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300c, …, 300n)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정보 제공 장치(200)에 제공되는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는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에서 검색되는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300c, , 300n) 중 일부만 선택적으로 포함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신호 강도가 높은 순으로 미리 정해진 개수의 무선 접속 장치에 대한 정보만 포함되게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며, 하나의 무선 접속 장치에 대한 정보만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100)은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를 기반으로 정보 제공 장치(20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현재 검색되는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를 기반으로 정보가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이 현재 위치한 장소에 대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을 위해 등록된 무선 접속 장치가 설치된 커피숍, 음식점 등을 방문한 경우 해당 장소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을 정보 제공 장치(200)에서 제공받고 이용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해당 장소에 대한 안내 정보, 예컨대 음식점의 경우 메뉴, 할인 정보, 운영시간 등에 대한 정보도 제공받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 단말(100)은 정보 제공 장치(2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정보 수신 이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정보 수신 이력은 정보 수신 일시(日時), 정보 내용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정보 수신 순서대로 해당 정보가 나열되어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정보 수신 이력을 요청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장소 이름, 전화번호와 같은 정보 내용을 정보 수신 일시와 함께 표 1과 같이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확인하고자 하는 기간을 입력하여 해당 기간 동안의 정보 수신 이력을 사용자 단말(100)에서 확인할 수도 있다.
정보수신일시 장소명 전화번호
2013.12.01 AM 11:00 A 극장 02-123-4567
2013.12.01 PM 1:00 B 카페 02-777-7890
2013.12.01 PM 6:00 C 도서관 02-555-7777
이와 같이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를 정보 제공 장치(200)에 제공하여, 소정의 정보를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정보 수신 이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안드로이드 마켓, 앱스토어 등과 같은 어플 마켓으로부터 다운로드 되어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거나, 사용자 단말(100)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과거에 자신이 방문했던 장소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표 1에 예시한 것과 같은 정보 수신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웹 검색 등의 별도의 수고를 들이지 않고도 자신이 언제 어느 장소를 방문했는지 그리고 방문한 장소에 대한 정보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해당 장소의 관리자 등에게 전화 통화를 하여 필요한 문의를 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장소에서 물건을 분실한 것 같은 경우 해당 매장에 전화를 해서 확인을 할 수 있다. 또한 서점이나 상점의 경우 자신이 원하는 책 또는 상품의 재고가 있는지 등을 확인하거나 매장 운영 시간 등을 바로 확인할 수도 있다.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300c, …, 300n)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신망(10)에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예컨대 와이파이(Wi-Fi) 등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되어 통신을 할 수 있다. 도 1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에서 n개의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300c, …, 300n)가 검색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며,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에 따라 검색되는 무선 접속 장치의 개수는 증감이 있을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에서 검색되는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300c, …, 300n) 중에서 광고주로부터 사전에 등록된 장치가 있으면, 해당 장치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300c, …, 300n) 중에서 3개의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300c)가 정보 제공 장치(200)에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여 정보 제공 장치(200)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정보 제공 장치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정보 제공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210), 웹서비스부(230) 및 관리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10)는 광고주로부터 등록된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300c) 및 각각의 장치(300a, 300b, 300c)에 대응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광고주가 카페, 음식점 등을 운영하는 사업자인 경우 해당 장소에 설치된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300c)의 식별 정보를 장소 이름(카페 이름, 음식점 이름 등이 될 수 있음), 주소, 전화번호, 광고 문구 및 쿠폰 등과 같은 정보와 대응시켜 등록할 수 있다. 물론 공공기관도 본 발명에서의 광고주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300c, …, 300n)의 식별 정보는 MAC 주소가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광고주에 의해 부여되는 해당 무선 접속 장치의 이름이 식별 정보로 이용될 수도 있다.
웹서비스부(230)는 통신망(10)을 통해 정보 제공 장치(200)가 광고주 단말(400) 및 사용자 단말(100)과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게 해준다. 웹서비스부(230)는 광고주 단말(400)이 접속하여 무선 접속 장치 및 그에 대응하는 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웹서비스부(230)는 자신이 등록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100)에 얼마나 제공되었는지 광고주가 확인할 수 있는 웹 페이지도 제공할 수 있다.
웹서비스부(230)는 사용자 단말(100)이 접속하여 사용자의 정보 수신 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물론 정보 수신 이력은 사용자 단말(100)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할 수도 있다.
관리부(250)는 광고주 단말(400)로부터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300c) 및 해당 장치(300a, 300b, 300c)에 대응하는 정보를 웹 페이지를 통해 등록받아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부(250)는 광고주에 의해 해당 무선 접속 장치에 부여되는 이름을 식별 정보로 이용하는 경우, 동일한 이름이 서로 다른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300c)의 식별 정보로 등록되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광고주에게 이미 해당 무선 접속 장치 이름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리고 다시 입력을 받거나, 해당 이름에 숫자를 추가한 이름을 추천하여 선택받을 수 있다. 물론 그 외에 다른 방법으로 동일한 이름이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300c)의 식별 정보로 중복 등록되지 않게 구현할 수 있다.
관리부(25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현재 위치에서 검색되는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300c, …, 300n)의 리스트를 제공받으면, 해당 리스트에 포함된 무선 접속 장치 중에서 사전에 등록된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300c)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10)에서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관리부(250)는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300c) 중에서 가장 신호의 강도가 높은 무선 접속 장치(300a)의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모든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300c)의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관리부(250)는 사용자 단말(100)에 정보가 제공된 무선 접속 장치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정보 제공 대상에서 제외하고 다음으로 신호 강도가 센 다른 무선 접속 장치를 선택하여 그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그 외 다른 방법으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제공된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에 포함된 무선 접속 장치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그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광고주 단말(400)은 웹서비스부(230)에서 제공하는 광고주 관리 페이지에 접속하여 광고주가 관리하는 장소에 설치된 무선 접속 장치 및 해당 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등록하고 필요에 따라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한편 광고주 단말(400)은 광고주 관리 페이지에 접속하여 자신이 등록한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는 정보가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된 내역 및 통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고주는 어느 시간대에 어떤 연령, 성별의 사용자가 많이 방문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먼저 광고주 단말(400)은 정보 제공 장치(200)에 접속하여 무선 접속 장치 및 그에 대응하는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S305). 단계(S305)는 수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광고주 A는 무선 접속 장치(300a) 및 그에 대응한 정보를, 광고주 B는 무선 접속 장치(300b) 및 그에 대응한 정보를 그리고 광고주 C는 무선 접속 장치(300c) 및 그에 대응한 정보를 원하는 때에 정보 제공 장치(200)에 접속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수정 또는 삭제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00)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주기적으로 또는 사용자가 요청할 때마다 현재 위치에서 검색되는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300c, …, 300n)의 리스트를 갱신한다(S310). 리스트 갱신 조건은 사용자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메뉴 상에서 10초, 1분, 10분 등으로 설정받을 수 있으며, 디폴트로 정해진 시간이 갱신 주기로 설정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단계(S310)에서 갱신된 리스트를 통신망(10)을 통해 정보 제공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S315). 단계(S310)에서 갱신된 리스트가 이전 리스트와 변동이 있는 경우에만 정보 제공 장치(200)에 리스트를 제공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위치에서 검색되는 모든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300c, …, 300n)를 리스트에 포함시키지 않고, 신호 강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높은 무선 접속 장치만 정보 제공 장치(200)에 제공되는 리스트에 포함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 단말(100)은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300c, …, 300n)를 통하지 않고 직접 3G, 4G 이동통신망, 와이브로(WIBRO) 등을 통해 통신망(10)과 연결되어 리스트를 정보 제공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300c, …, 300n) 중 하나를 통해 통신망(10)과 연결되어 리스트를 정보 제공 장치(200)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정보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단계(S315)에서 제공된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10)에서 추출한다(S320). 예를 들어,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300c, …, 300n) 중에서 3개의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300c)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정보 제공 장치(200)는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300c)에 대응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3개의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300c)에 대한 정보를 모두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일정 기준에 따라 선택된 무선 접속 장치에 대한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300c)와 사용자 단말(100)이 통신망(10) 연결을 위해 접속되어 있는지는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예컨대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300c)의 신호 강도가 무선 접속 장치(300a), 무선 접속 장치(300b) 및 무선 접속 장치(300c) 순으로 높다고 가정하면, 무선 접속 장치(300a)에 대응하는 정보만을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무선 접속 장치(300a)에 연결되어 있는지는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미 무선 접속 장치(300a)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다음으로 신호 강도가 높은 무선 접속 장치(300b)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300c)의 신호 강도가 일정 기준을 넘지 못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00)에 정보를 제공하지 않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정보 제공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210)에서 추출된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S325). 단계(S325)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무선 접속 장치(300a, 300b, 300c)를 통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00)은 단계(S325)에서 제공된 정보를 저장하고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단계(S325)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S330). 단계(S330)에서 정보는 바로 화면에 출력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 수신 알림 아이콘을 표시한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화면에 출력될 수도 있다. 물론 그외 다양한 방식으로 수신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정보 수신 이력 확인 요청이 있으면(S335-Y), 정보 제공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정보 수신 이력을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S340). 단계(S335)에서 사용자는 소정의 기간을 선택하여 정보 수신 이력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100)은 정보 제공 장치(200)에 접속하여 해당 사용자의 정보 수신 이력을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앞서 설명한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또는 이러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6)

  1. 현재 위치에서 검색되는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를 갱신하는 사용자 단말,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를 제공받고, 상기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에 포함된 무선 접속 장치 중에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무선 접속 장치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접속되지 않은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도 제공되는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대한 정보 수신 이력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서,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에 포함된 무선 접속 장치가 복수 개인 경우, 신호 강도가 가장 높은 무선 접속 장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
  4. 현재 위치에서 검색되는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를 갱신하는 사용자 단말,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를 제공받고, 상기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에 포함된 무선 접속 장치 중에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무선 접속 장치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정보가 제공된 무선 접속 장치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정보 제공 대상에서 제외하는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서,
    상기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는,
    상기 무선 접속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 대한 장소 이름, 주소, 전화번호, 광고 문구 및 쿠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
  6. 광고주로부터 등록된 무선 접속 장치 및 상기 무선 접속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에서 검색되는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받고, 상기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에 포함된 무선 접속 장치 중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무선 접속 장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무선 접속 장치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접속되지 않은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도 제공되는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장치.
  7. 제 6 항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무선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대한 정보 수신 이력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장치.
  8. 광고주로부터 등록된 무선 접속 장치 및 상기 무선 접속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에 포함된 무선 접속 장치 중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무선 접속 장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에 포함된 무선 접속 장치가 복수 개인 경우, 신호 강도가 가장 높은 무선 접속 장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무선 접속 장치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정보가 제공된 무선 접속 장치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정보 제공 대상에서 제외하는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장치.
  9. 제 6 항에서,
    상기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는,
    상기 무선 접속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 대한 장소 이름, 주소, 전화번호, 광고 문구 및 쿠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장치.
  10. 무선 접속 장치 및 상기 무선 접속 장치에 대한 정보를 광고주로부터 등록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에서 검색되는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받는 단계,
    상기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에 포함된 무선 접속 장치 중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무선 접속 장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무선 접속 장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무선 접속 장치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접속되지 않은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도 제공되는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방법.
  11. 제 10 항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무선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대한 정보 수신 이력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방법.
  12. 무선 접속 장치 및 상기 무선 접속 장치에 대한 정보를 광고주로부터 등록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에 포함된 무선 접속 장치 중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무선 접속 장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무선 접속 장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에 포함된 무선 접속 장치가 복수 개인 경우, 신호 강도가 가장 높은 무선 접속 장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무선 접속 장치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정보가 제공된 무선 접속 장치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정보 제공 대상에서 제외하는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방법.
  13. 제 10 항에서,
    상기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는,
    상기 무선 접속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 대한 장소 이름, 주소, 전화번호, 광고 문구 및 쿠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방법.
  14.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에서 검색되는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갱신된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를 정보 제공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갱신된 무선 접속 장치의 리스트에 포함된 무선 접속 장치 중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무선 접속 장치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접속되지 않은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도 제공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서,
    상기 무선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대한 정보 수신 이력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
  16. 제 10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40000552A 2014-01-03 2014-01-03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25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552A KR101525591B1 (ko) 2014-01-03 2014-01-03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552A KR101525591B1 (ko) 2014-01-03 2014-01-03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5591B1 true KR101525591B1 (ko) 2015-06-04

Family

ID=53499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552A KR101525591B1 (ko) 2014-01-03 2014-01-03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55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420A (ko) * 2002-10-28 2004-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단말장치 및 무선랜 접속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고변경하는 방법
KR20040052397A (ko) * 2002-12-17 2004-06-23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인스턴트 쿠폰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94843A (ko) * 2010-02-18 2011-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치 기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20020626A (ko) * 2010-08-30 2012-03-08 주식회사 블리스소프트웨어 맥 어드레스를 이용한 스마트폰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420A (ko) * 2002-10-28 2004-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단말장치 및 무선랜 접속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고변경하는 방법
KR20040052397A (ko) * 2002-12-17 2004-06-23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인스턴트 쿠폰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94843A (ko) * 2010-02-18 2011-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치 기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20020626A (ko) * 2010-08-30 2012-03-08 주식회사 블리스소프트웨어 맥 어드레스를 이용한 스마트폰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06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beacon-based notifications
US11026042B2 (en) Geofencing messaging system
US69203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mobile access system deliver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and services
AU2012315722B9 (en) Persistent location tracking on mobile devices and location profiling
US8521180B2 (en) Location-based automated check-in to a social network recognized location using a token
CN104735614A (zh) 用于基于位置的移动应用和服务选择的方法和移动设备
EP3166063A1 (en) Heatmap visualisation of event data
US20120258735A1 (en) Social network geographic filter
US20150324851A1 (en) Location Based Marketing System and Method
JP2014241509A (ja) 情報提供システム、無線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JP2013012140A (ja) 広告配信装置、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564700B1 (ko) 부동산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US10575144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ocessing data displayed on a mobile station interface based on user preferences
JP2019191825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US20210142226A1 (en) Beacon mall experience
US20190347690A1 (en) Information provision apparatus, terminal, and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US8847753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ocessing data displayed on a mobile station interface based on user preferences
JP713469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525591B1 (ko) 무선 접속 장치 리스트 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9032A (ko) 핀 테크를 이용한 음식 주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식 주문 시스템
KR20060122453A (ko) 광고 노출 방법 및 장치
US9064265B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items in a facility
KR101451965B1 (ko) 장소 검색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44798A (ko) 제약 영업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372302A1 (en) Mobile Wallet Object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