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986B1 - 가공용 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가공용 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2986B1
KR101522986B1 KR1020140017422A KR20140017422A KR101522986B1 KR 101522986 B1 KR101522986 B1 KR 101522986B1 KR 1020140017422 A KR1020140017422 A KR 1020140017422A KR 20140017422 A KR20140017422 A KR 20140017422A KR 101522986 B1 KR101522986 B1 KR 101522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art
processed
spline
respec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기
김병진
박봉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진에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진에스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진에스엠
Priority to KR1020140017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4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adjustable in incl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10Auxiliary devices, e.g. bolsters, extension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Devices for holding work using magnetic or electric force acting directly on the work
    • B23Q3/152Rotar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용 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바디부에 대하여 승하강 가능하되, 상부에 가공대상물이 위치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제1 바디부에 대하여 승강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2 바디부의 회전에 의해 가공대상물의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작업시간을 절감하여 효율적인 가공용 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가공용 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Supporting device for working and working proces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공용 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2 바디부가 제1 바디부로부터 승강된 상태에서 회전됨으로써 가공대상물을 다양한 방향으로 가공할 수 있는 가공용 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링 머신(milling machine)은 여러 개의 절삭 날을 가진 밀링 커터(milling cutter)라고 하는 절삭 공구를 주축에 고정하여 회전시키고, 받침대 위에 고정한 가공대상물에 절삭깊이와 이송을 주어 절삭하는 공작 기계를 의미한다. 또한, 밀링 머신은 평면 절삭, 곡면 절삭, 각종 홈 절삭을 하는 것 외에 나사, 기어, 캠 등의 절삭 가공도 능률적으로 할 수 있는 사용 범위가 대단히 넓은 공작 기계이다.
이러한 밀링 머신의 종류로는 니 칼럼형 밀링 머신, 생산형 밀링 머신, 플래노밀러, 특수형 밀링 머신 등이 있으며, 주축 헤드가 1개 있는 단두형, 2개 있는 쌍두형(양두형), 3개 이상 있는 다두형이 있다. 위와 같은 밀링 머신 중에서 상기 양두 밀링 머신은 테이블을 사이에 두고 스핀들 장치가 서로 대향 설치된 것으로서, 중절삭 밀링 분야에서 빠른 스피드와 고도한 정밀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밀링 머신과 같은 각종 가공장치에는 가공대상물을 지지하는 받침대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가공장치에 포함된 공구가 고정형인 경우 가공대상물을 다양한 방향에서 가공하기 위해 작업자가 받침대에 지지된 가공대상물의 방향을 돌려주면서 가공해야 되는데, 이때 작업자가 직접 가공대상물의 방향을 돌려주는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작업시간이 길어져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가공대상물의 방향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바꿀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하면서도 작업시간을 절감하여 효율적인 가공용 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받침장치는,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바디부에 대하여 승하강 가능하되, 상부에 가공대상물이 위치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제1 바디부에 대하여 승강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제1 바디부에 대하여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바디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바디부를 상기 제1 바디부에 고정하는 수단은 상기 제1 바디부에 연결된 제1 커빅커플링기어부와 상기 제2 바디부에 연결된 제2 커빅커플링기어부가 치합되어 이루어진 커빅커플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디부에 대하여 상기 제2 바디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하강부는 유압에 의해 상기 제2 바디부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디부의 내측에는 공간부가 마련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가 위치되며, 상기 회전부가 상기 제2 바디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바디부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웜부, 상기 웜부의 기어와 치합되는 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웜부의 회전방향과는 상이한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웜휠부, 및 상기 웜휠부의 기어와 치합되는 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웜휠부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스플라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플라인부가 상기 제2 바디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플라인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바디부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월휠부는 내측기어와 외측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기어는 상기 웜부의 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내측기어는 상기 스플라인부의 기어와 치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웜휠부와 상기 스플라인부의 회전방향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바디부의 승하강은 상기 제2 바디부에 연결된 상기 스플라인의 승하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디부의 공간부에는 상기 스플라인이 관통되는 유압챔버가 더 위치되고, 상기 유압챔버에 유체가 유입되어 상기 스플라인이 승강되거나 유체가 유출되어 상기 스플라인이 하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바디부의 상부에 상기 가공대상물을 투입하는 투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입부는, 상기 제2 바디부의 상부를 향해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 바디부에 대하여 원근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제2 바디부의 상부에 인접한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2 바디부가 상기 제1 바디부에 대하여 승강되어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가공대상물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입부는 한 쌍의 상기 연장부 간의 폭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받침장치를 이용한 가공방법은, 제1 바디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바디부의 상부에 가공대상물을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가공대상물을 가공하는 단계, 상기 제2 바디부를 상기 제1 바디부에 대하여 승강시키고 상기 제2 바디부를 회전시켜 상기 가공대상물의 방향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바디부를 상기 제1 바디부에 대하여 하강시키고 상기 가공대상물을 재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공대상물을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가공대상물이 위치된 투입부의 연장부를 상기 제2 바디부에 인접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2 바디부를 상기 제1 바디부에 대하여 승강시켜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제2 바디부로 상기 가공대상물을 전달받는 단계, 및 상기 제2 바디부를 상기 제1 바디부에 대하여 하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공대상물을 전달받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바디부를 회전시켜 상기 가공대상물의 방향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공대상물을 전달받는 단계 이후에, 상기 연장부를 상기 제2 바디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가공용 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에 따르면, 제2 바디부가 제1 바디부에 대하여 승강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는바, 용이하고 안전하게 가공대상물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며 작업시간이 절감되어 효율적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받침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가공용 받침장치의 제2 바디부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가공용 받침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A-A' 선에 따른 가공용 받침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B-B' 선에 따른 가공용 받침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가공용 받침장치의 제2 바디부가 제1 바디부에 대하여 승강된 상태를 나타낸 가공용 받침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가공용 받침장치의 제1 바디부와 제2 바디부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받침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에 도시한 가공용 받침장치의 투입부를 통해 가공대상물을 제2 바디부의 상부에 투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가공용 받침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받침장치를 이용한 가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받침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가공용 받침장치(100)의 제2 바디부(120)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가공용 받침장치(100)의 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받침장치(1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받침장치(100)는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를 포함하고, 제2 바디부(120)가 제1 바디부(110)에 대하여 승하강 가능하며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제1 바디부(110)는 가공용 받침장치(100)의 본체가 되는 부분으로서, 가공장치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바디부(110)는 가공장치 등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공간부(111; 도 3 및 도 4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부(111)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회전부(130; 도 3 및 도 4 참조)와 승하강부(140; 도 4 참조)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바디부(120)는 제1 바디부(11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2 바디부(120)의 상부에는 가공장치에 의한 가공의 대상이 되는 가공대상물(300)이 위치될 수 있다. 즉, 가공대상물(300)은 제2 바디부(120)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로 예를 들어 밀링 머신과 같은 가공장치의 공구 등을 통해 가공될 수 있다. 이때, 가공대상물(300)을 다양한 방향에서 가공할 수 있도록, 제2 바디부(120)는 회전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1과 같이 제2 바디부(120) 상에 가공대상물(300)을 제1 방향으로 향하도록 놓고 가공을 하다가 도 2와 같이 제2 바디부(120)를 회전시켜 가공대상물(300)을 제2 방향으로 향하도록 한 후 가공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바디부(120)의 회전은 일 예로서 제1 바디부(110)의 공간부(111; 도 3 및 도 4 참조)에 설치되되 제2 바디부(120)와 연결된 회전부(130; 도 3 및 도 4 참조)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제2 바디부(120)에는 안착부(121)가 구비될 수도 있는데 안착부(121)에 가공대상물(300)이 놓이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한편, 제2 바디부(120)는 제1 바디부(110)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운 방향으로 이동, 즉 승하강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제2 바디부(120)의 승하강은 일 예로서 제1 바디부(110)의 공간부(111; 도 3 및 도 4 참조)에 설치된 승하강부(140; 도 4 참조)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A-A' 선에 따른 가공용 받침장치(100)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한 B-B' 선에 따른 가공용 받침장치(100)의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받침장치(100)의 회전부(13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받침장치(100)의 회전부(130)는 제1 바디부(110) 내의 공간부(111)에 설치될 수 있으며, 웜부(131), 웜휠부(132), 및 스플라인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웜부(131)는 제1 바디부(110)의 공간부(111)에 설치되거나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구동부(150)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웜부(131)의 회전력은 웜부(131)의 기어(131a)와 치합되는 외측기어(132a)를 구비하는 웜휠부(132)에 전달될 수 있으며, 이때 웜휠부(132)의 회전방향은 웜부(131)의 회전방향과 달라질 수 있다. 즉, 웜부(131)의 회전축은 제2 바디부(120)의 상면과 평행할 수 있고 웜휠부(132)의 회전축은 제2 바디부(120)의 상면과 수직할 수 있다. 한편, 웜휠부(132)에 전달된 회전력은 웜휠부(132)의 내측기어(132b)와 치합되는 기어(133a)를 구비하는 스플라인부(133)에 전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웜휠부(132)가 회전되면 이와 동일한 각속도로 스플라인부(133)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스플라인부(133)의 회전방향은 웜휠부(132)의 회전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스플라인부(133)의 일단은 제2 바디부(120)와 연결되며, 이에 따라 스플라인부(133)가 회전되면 제2 바디부(120)도 회전될 수 있다. 즉, 구동부(150)의 구동력이 차례로, 웜부(131), 웜휠부(132), 및 스플라인부(133)를 통해 제2 바디부(120)에 전달되어, 제2 바디부(120)의 회전이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가공장치의 공구 등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더라도 제2 바디부(120)를 회전시킴으로써, 제2 바디부(120)의 상부에 놓인 가공대상물(300)을 다양한 각도에서 용이하고 안전하게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직접 가공대상물(300)을 집어서 방향을 돌리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시간이 감소되어 효율적일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가공용 받침장치(100)의 제2 바디부(120)가 제1 바디부(110)에 대하여 승강된 상태를 나타낸 가공용 받침장치(100)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4는 제2 바디부(120)가 제1 바디부(110)에 대하여 하강되어 제1 바디부(110)와 상대적으로 인접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제2 바디부(120)가 제1 바디부(110)에 대하여 승강되어 제1 바디부(110)와 상대적으로 멀게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받침장치(100)의 제2 바디부(120)의 승하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제2 바디부(1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바디부(110)에 대하여 하강하거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바디부(110)에 대하여 승강될 수 있다. 이때, 제2 바디부(120)의 승하강은 제1 바디부(110)의 공간부(111)에 설치된 승하강부(14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승하강부(140)가 스플라인부(133)를 승강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스플라인부(133)에 연결된 제2 바디부(120)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승하강부(140)는 유압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유압챔버(141) 내에 유입구(142)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면 유압챔버(141) 내의 유체 부피가 커져 스플라인부(133)를 밀어냄으로써 스플라인부(133)를 승강시키고, 유체가 유출구(143)를 통해 유출되면 유압챔버(141) 내의 유체 부피가 작아져 스플라인부(133)를 당김으로써 스플라인부(133)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때, 스플라인부(133) 또는 제2 바디부(120)의 승하강시에는 회전부(130)가 회전되지 않는 상태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전하게 스플라인부(133) 또는 제2 바디부(120)가 승하강될 수 있다.
한편, 제2 바디부(120)는 승강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고 하강된 상태에서 회전 불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바디부(120)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제1 바디부(110)에 고정되어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바디부(120)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회전되지 않으므로 가공대상물(300)의 가공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으며, 가공대상물(300)의 방향을 변경할 때 제2 바디부(120)를 승강시키고 회전시킨 후 다시 제2 바디부(120)를 하강시켜 가공대상물(300)의 다른 방향에 대한 가공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의 고정은 예를 들어 커빅커플링(16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가공용 받침장치(100)의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커빅커플링(16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 6에서는 회전부(130)의 도시를 생략하였음을 밝혀둔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의 고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바디부(120)의 하강 상태에서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의 고정은 커빅커플링(16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바디부(110)에는 제1 커빅커플링기어부(161)가 연결되고 제2 바디부(120)에는 제2 커빅커플링기어부(162)가 연결되어, 상호 기어 치합에 의해 제2 바디부(120)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제1 커빅커플링기어부(161)와 제2 커빅커플링기어부(162)가 서로 치합되면 예를 들어 구동부(150)의 제어에 문제가 발생되어 구동부(150)가 원치않은 시점에 구동되더라도 양 기어가 치합되어 있는바 제2 바디부(120)가 회전될 수 없다. 따라서, 제2 바디부(120)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제2 바디부(120)가 회전될 염려가 없으며, 이에 따라 제2 바디부(120)가 하강된 상태에서 가공대상물의 절삭 등 가공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받침장치(200)의 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받침장치(2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칭되며 이전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받침장치(200)는 앞서 설명한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 외에 가공대상물(300)을 제2 바디부(120)의 상부에 투입하는 투입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투입부(170)는 가공대상물(300)이 놓이는 연장부(171)를 포함하며, 연장부(171)는 제2 바디부(120)의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제2 바디부(120)에 대하여 원근이동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입부(170) 전체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밀거나 당겨 연장부(171)가 제2 바디부(120)의 상부에 원근 이동되도록 하거나 또는 연장부(171)가 신축되어 제2 바디부(120)의 상부에 원근 이동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조절부(172)는 한 쌍으로 연장된 연장부(171) 간의 폭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공대상물(300)의 폭에 맞도록 연장부(171) 간의 폭을 조절하여 연장부(171)로써 가공대상물(300)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절부(172)는 가운데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축부(173)와 손잡이부(174)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손잡이부(174)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돌려 축부(173)에 나사연결된 한 쌍의 연장부(171)가 서로 근접해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에 도시한 가공용 받침장치(200)의 투입부(170)를 통해 가공대상물(300)을 제2 바디부(120)의 상부에 투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가공용 받침장치(200)의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투입부(170)의 가공대상물(300) 투입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조절부(172)를 작동시켜 연장부(171)의 폭과 가공대상물(300)의 폭을 적절히 맞춰 연장부(171)로써 가공대상물(300)을 파지한 후,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부(171)가 제2 바디부(120)의 상부를 향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2 바디부(120)의 상부와 가공대상물(300)이 접촉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일 수 있으며, 제2 바디부(120)는 제1 바디부(110)에 대하여 하강된 상태일 수 있다.
다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하강부(140)를 구동시켜 제2 바디부(120)가 상승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2 바디부(120)의 상부와 가공대상물(300)이 서로 접촉될 수 있으며, 제2 바디부(120)의 상부와 가공대상물(300)이 서로 접촉되면 연장부(171)를 제2 바디부(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도 10과 같은 위치로 이동).
다음,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부(171)가 제2 바디부(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2 바디부(120)를 하강시켜 가공장치로써 가공대상물(300)을 가공할 수 있다. 이때, 제2 바디부(120)를 하강시키기 이전에 가공하려는 방향에 따라 제2 바디부(120)를 회전시켜 가공대상물(300)의 방향을 변경시킨 후, 제1 바디부(110)에 대하여 하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받침장치를 이용한 가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받침장치를 이용한 가공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받침장치를 이용한 가공방법은, 가공대상물(300)을 위치시키는 단계(S110), 가공대상물(300)을 가공하는 단계(S120), 가공대상물(300)의 방향을 변경하는 단계(S130), 및 가공대상물(300)을 재가공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바디부(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바디부(120)의 상부에 가공대상물(300)을 위치시킬 수 있다(S110). 이때, 가공대상물(300)을 작업자가 직접 올리거나 또는 기계/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올릴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8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투입부(170)를 이용하여 가공대상물(300)을 위치시킬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가공대상물(300)이 위치된 투입부(170)의 연장부를 제2 바디부에 인접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도 8 참조), 제2 바디부(120)를 제1 바디부(110)에 대하여 승강시켜 연장부(171)로부터 제2 바디부(120)로 가공대상물(300)을 전달받는 단계(도 9 참조), 및 제2 바디부(120)를 제1 바디부(110)에 대하여 하강시키는 단계(도 10 참조)를 거쳐 제2 바디부(120)의 상부에 가공대상물(300)을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바디부(120)로 가공대상물(300)을 전달받는 단계에서 가공대상물(300)의 방향이 적절치 않다면 제2 바디부(120)를 회전시켜 가공대상물(300)의 방향을 전환한 후 제2 바디부(120)를 하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2 바디부(120)로 가공대상물(300)을 전달받은 이후 연장부(171)를 제2 바디부(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가공대상물(300)이나 제2 바디부(120)와 연장부(171)가 작동 중 서로 저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음, 가공대상물(300)을 가공할 수 있다(S120). 이때, 가공은 예를 들어 밀링 머신의 절삭 공구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일 방향에 따른 가공대상물(300)의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가공대상물(300)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S130). 이때, 가공이 이루어진 가공대상물(300)의 일 방향 외에 다른 방향을 가공하려 할 때 가공대상물(300)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제2 바디부(120)를 제1 바디부(110)에 대하여 승강시킨 후 제2 바디부(120)를 회전부(130)로 회전시켜 가공대상물(300)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가공대상물(300)을 재가공할 수 있다(S140). 이때, 재가공이 이루어지는 가공대상물(300)의 방향은 일 방향과는 다른 방향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방향에서 가공대상물(300)을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바디부(120)가 회전된 후 다시 제1 바디부(110)에 대하여 하강시켜 안정적인 상황에서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공용 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10 : 제1 바디부 111 : 공간부
120 : 제2 바디부 130 : 회전부
131 : 웜부 132 : 웜휠부
133 : 스플라인부 140 : 승하강부
141 : 유압챔버 150 : 구동부
160 : 커빅커플링 170 : 투입부
171 : 연장부 172 : 조절부
300 : 가공대상물

Claims (20)

  1.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바디부에 대하여 승하강 가능하되, 상부에 가공대상물이 위치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디부의 내측에는 공간부가 마련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가 위치되고,
    상기 회전부가 상기 제2 바디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바디부가 상기 제1 바디부에 대하여 승강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2 바디부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바디부에 연결되는 스플라인부를 포함하는 가공용 받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제1 바디부에 대하여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바디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받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부를 상기 제1 바디부에 고정하는 수단은 상기 제1 바디부에 연결된 제1 커빅커플링기어부와 상기 제2 바디부에 연결된 제2 커빅커플링기어부가 치합되어 이루어진 커빅커플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받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에 대하여 상기 제2 바디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받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는 유압에 의해 상기 제2 바디부를 승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받침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웜부;
    상기 웜부의 기어와 치합되는 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웜부의 회전방향과는 상이한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웜휠부; 및
    상기 웜휠부의 기어와 치합되는 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웜휠부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스플라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받침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인부가 상기 제2 바디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플라인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바디부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받침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웜휠부는 내측기어와 외측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기어는 상기 웜부의 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내측기어는 상기 스플라인부의 기어와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받침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웜휠부와 상기 스플라인부의 회전방향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받침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부의 승하강은 상기 제2 바디부에 연결된 상기 스플라인부의 승하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받침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의 공간부에는 상기 스플라인부가 관통되는 유압챔버가 더 위치되고,
    상기 유압챔버에 유체가 유입되어 상기 스플라인부가 승강되거나 유체가 유출되어 상기 스플라인이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받침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부의 상부에 상기 가공대상물을 투입하는 투입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받침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제2 바디부의 상부를 향해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 바디부에 대하여 원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받침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제2 바디부의 상부에 인접한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2 바디부가 상기 제1 바디부에 대하여 승강되어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가공대상물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받침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한 쌍의 상기 연장부 간의 폭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받침장치.
  17.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바디부에 대하여 승하강 가능하되, 상부에 가공대상물이 위치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디부의 내측에는 공간부가 마련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가 위치되고,
    상기 회전부가 상기 제2 바디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바디부가 상기 제1 바디부에 대하여 승강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2 바디부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바디부에 연결되는 스플라인부를 포함하는 가공용 받침장치를 사용하는 가공용 받침장치를 이용한 가공방법에 있어서,
    제1 바디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바디부의 상부에 가공대상물을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가공대상물을 가공하는 단계;
    상기 제2 바디부를 상기 제1 바디부에 대하여 승강시키고 상기 제2 바디부를 회전시켜 상기 가공대상물의 방향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바디부를 상기 제1 바디부에 대하여 하강시키고 상기 가공대상물을 재가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공용 받침장치를 이용한 가공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바디부의 상부에 상기 가공대상물을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가공대상물이 위치된 투입부의 연장부를 상기 제2 바디부에 인접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2 바디부를 상기 제1 바디부에 대하여 승강시켜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제2 바디부로 상기 가공대상물을 전달받는 단계; 및
    상기 제2 바디부를 상기 제1 바디부에 대하여 하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받침장치를 이용한 가공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대상물을 전달받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바디부를 회전시켜 상기 가공대상물의 방향을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받침장치를 이용한 가공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대상물을 전달받는 단계 이후에,
    상기 연장부를 상기 제2 바디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받침장치를 이용한 가공방법.
KR1020140017422A 2014-02-14 2014-02-14 가공용 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KR101522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422A KR101522986B1 (ko) 2014-02-14 2014-02-14 가공용 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422A KR101522986B1 (ko) 2014-02-14 2014-02-14 가공용 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2986B1 true KR101522986B1 (ko) 2015-06-03

Family

ID=53505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422A KR101522986B1 (ko) 2014-02-14 2014-02-14 가공용 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29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516B1 (ko) * 2022-09-01 2023-03-27 주식회사 피티케이 커빅 커플링을 구비한 로터리식 정제압축성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62A (ja) * 1994-06-15 1996-01-09 Amada Co Ltd 板材加工機のワーク搬出装置
KR970025837A (ko) * 1995-11-08 1997-06-24 배순훈 가공물 공급장치
KR200203329Y1 (ko) * 2000-05-16 2000-11-15 김현철 공작기계용 테이블의 회전 장치
KR20010092853A (ko) * 2000-03-27 2001-10-27 강삼수 공작기계의 공구대 제조용 각도전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62A (ja) * 1994-06-15 1996-01-09 Amada Co Ltd 板材加工機のワーク搬出装置
KR970025837A (ko) * 1995-11-08 1997-06-24 배순훈 가공물 공급장치
KR20010092853A (ko) * 2000-03-27 2001-10-27 강삼수 공작기계의 공구대 제조용 각도전환장치
KR200203329Y1 (ko) * 2000-05-16 2000-11-15 김현철 공작기계용 테이블의 회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516B1 (ko) * 2022-09-01 2023-03-27 주식회사 피티케이 커빅 커플링을 구비한 로터리식 정제압축성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095006Y (zh) 间歇微量进给微小孔钻床
EP2636484B1 (en) Eyeglass lens processing apparatus
RU2596543C2 (ru) Станок, имеющий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два отдельных обрабатывающих узла,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заготовок
EP2535131A2 (en) One-touch chamfering-amount adjustment device for a chamfering machine
KR20090102003A (ko) 금속절단기의 파이프 자동 클램프 및 높낮이 조절장치 및이의 자동 영점 위치 셋팅 방법
CN105773155A (zh) 多功能自动加工一体机
CN205271396U (zh) 一种钻攻一体机
KR20180013496A (ko) 절삭장치
JP5968000B2 (ja) 歯車加工機械
KR20210040841A (ko) 선반 기계를 위한 툴링 어셈블리, cnc 스레딩 선반, 및 튜브형 공작물에 스레드를 밀링하는 방법
DE112015002391T5 (de) Werkzeugmaschine
KR101522986B1 (ko) 가공용 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CN208772505U (zh) 一种手动钻孔机
CN106181389A (zh) 数控侧面钻孔攻牙机床
JP6395414B2 (ja) 製造方法及び加工装置
KR101023150B1 (ko) 디버링 자동머신용 가공헤드
KR101752905B1 (ko) 절삭 가공 장치
CN105108494B (zh) 轮毂加工专用车床
CN206351261U (zh) 钻孔机构及钻孔设备
CN105798615A (zh) 多功能自动加工一体机的钻孔系统
KR20220072492A (ko) 정밀한 가공이 가능한 휴대용 밀링 면취기 장치
CN210208874U (zh) 一种断料机
JP2007083336A (ja) 切削工具
CN104439524B (zh) 一种用于钻头开槽的装置
JP5375987B2 (ja) シート面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