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092B1 - 화덕의 화구구조 - Google Patents

화덕의 화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2092B1
KR101522092B1 KR1020130091359A KR20130091359A KR101522092B1 KR 101522092 B1 KR101522092 B1 KR 101522092B1 KR 1020130091359 A KR1020130091359 A KR 1020130091359A KR 20130091359 A KR20130091359 A KR 20130091359A KR 101522092 B1 KR101522092 B1 KR 101522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air
inlet
doo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1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5691A (ko
Inventor
이장백
Original Assignee
이장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백 filed Critical 이장백
Priority to KR1020130091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092B1/ko
Publication of KR20150015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3/00Construction of valves or dampers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 F23L13/02Construction of valves or dampers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pivoted about a single axis but having not other movement
    • F23L13/04Construction of valves or dampers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pivoted about a single axis but having not other movement with axis perpendicular to 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 화덕의 화구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입구프레임; 상기 입구프레임에 힌지결합되어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유입구의 개폐면적을 조절하는 조절판으로 구성된 공기조절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도어의 후면부 측 공기유입구의 상부에는 ‘
Figure 112013069837045-pat00013
’형상의 격벽이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본 발명 화덕의 화구구조는 공기조절이 가능하며, 격벽으로 인해 직접적인 열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리자가 안전하게 조리를 할 수 있도록 하며, 그을음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깨끗한 조리환경에서 조리할 수 있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덕의 화구구조{Structure of fire hole for cooking stove}
본 발명 화덕의 화구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입구프레임; 상기 입구프레임에 힌지결합되어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유입구의 개폐면적을 조절하는 조절판으로 구성된 공기조절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도어의 후면부측 공기유입구의 상부에는 ‘
Figure 112013069837045-pat00001
’형상의 격벽이 설치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데에서 솥을 걸기 위하여 쇠나 흙으로 아궁이처럼 간단히 만든 구조 또는 물건을 가리키며, 화구는 이러한 화덕의 아가리 즉, 불을 때는 입구를 가리킨다.
이러한 화덕이나 화구의 포함되는 종래문헌으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27951호에 내부에 연소실을 이루는 내통과 외통이 상호간의 사이 공간에 난방수가 채워진 수실을 이루며 수평으로 설치되어져 있고, 상기 내통과 연결되어져 배기가스를 집진실 측으로 유도하는 유도관이 구비되어진 통상의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상면측에는 다수의 돌출부가 일정 간격을 이루며 연속되는 물결형태로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유도관은 일단이 연통되어진 상,하 2단의 배열구조를 이루도록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화목보일러가 소개되어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종래문헌으로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2-0005134호에 부뚜막에 형성되는 삽입부에 삽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부뚜막용 화덕을 포함하고, 상기 화덕은, 상기 삽입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다양한 크기의 조리용기가 거치되는 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커지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링부재는 조리용기의 크기에 따라 상기 몸체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다수개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되, 상기 링부재 중 최외곽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에 얹혀지는 외측 링부재와, 상기 외측 링부재의 내측에 배치되어 조리용기가 안착되는 내측 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뚜막용 화덕이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예시의 종래문헌에는 공기조절장치가 상세히 기술되어 있지 않아 화력을 맘대로 조절하는 데 상당한 번거로움이 따른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에 공기유입량을 조절하는 공기조절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도어의 후면부측 공기유입구의 상부에는 ‘
Figure 112013069837045-pat00002
’형상의 격벽이 설치함으로써 효율적인 공기조절과 더불어 쾌적한 환경에서 조리할 수 있는 화덕의 화구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화덕의 화구구조의 해결수단으로는 입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입구프레임; 상기 입구프레임에 힌지결합되어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유입구의 개폐면적을 조절하는 조절판으로 구성된 공기조절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도어의 후면부 측 공기유입구의 상부에는 ‘
Figure 112013069837045-pat00003
’형상의 격벽이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본 발명 화덕의 화구구조는 공기조절이 가능하며, 격벽으로 인해 직접적인 열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리자가 안전하게 조리를 할 수 있도록 하며, 그을음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깨끗한 조리환경에서 조리할 수 있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화구의 측면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화구의 정면 개요도.
도 3 내지 도 7은 각각 본 발명 화구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 8은 통로돌기부가 구성된 본 발명 화구의 예시도.
도 9 내지 도 10은 도 8의 작동개요도.
도 11과 도 12는 통로돌기부가 구성된 화구의 또 다른 예시도.
도 13 은 이중 조절판이 구성된 화구의 공기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이중 조절판이 구성된 공기조절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15는 이중 조절판이 구성된 화구의 실시도.
본 발명 화덕의 화구구조는 입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입구프레임(100); 상기 입구프레임(100)에 힌지결합되어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200); 상기 도어(200)의 전면에 설치되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320)와, 상기 공기유입구(320)의 개폐면적을 조절하는 조절판(310)으로 구성된 공기조절장치(3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도어(200)의 후면부 측 공기유입구(320)의 상부에는 ‘
Figure 112013069837045-pat00004
’형상의 격벽(500)이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공기조절장치(300)는 공기유입구(320)의 전면에 설치되되, 도어(200)로부터 간격이 있도록 형성된 ‘
Figure 112013069837045-pat00005
’형상의 가이드(G)와, 상기 가이드(G)와 도어(200) 사이에 형성된 간격에 삽입되어 가이드(G)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조절판(310)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공기조절장치(300)는 하나의 중심부로부터 방사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공기유입구(320)와, 공기유입구(320)의 동심원상에 형성된 중심축(330)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공기유입구(320)의 전면부 측에 조절판(310)이 설치되되, 상기 조절판(310)에는 상기 공기유입구(320)와 대응하는 관통구(3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공기조절장치(300)는 중심으로부터 반지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공기유입구(320)와, 공기유입구(320)의 동심원상에 형성된 중심축(330)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공기유입구의 전면부 측에 조절판(310)이 설치되되, 상기 조절판(310)에는 상기 공기유입구(320)와 대응하는 관통구(3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공기조절장치(300)는 공기유입구(3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전면으로 돌출형성된 통로돌기부(360)와, 상기 통로돌기부(360) 내의 통로를 가로막도록 형성되되, 양단이 힌지축(350)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있는 조절판(310)과, 상기 힌지축(350)에 일단이 통로돌기부(360)의 측면을 관통하여 연장형성되어 상기 조절판(310)을 회동시키는 손잡이(340)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화덕의 화구구조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화구의 측면 개요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화덕의 화구구조는 관용의 구조로 이루어진 화덕의 입구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입구프레임(100)이 설치되며 상기 입구프레임(100)에 힌지결합되어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200)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는 힌지결합에 의해 개폐되는 관용의 수단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어에는 내부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해 공기의 유입을 조절하는 공기조절장치(300)가 구성되는 데, 상기 공기조절장치는 도어(200)의 전면에 설치되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320)와, 상기 공기유입구(320)의 전면에는 공기유입구(320)의 개폐면적을 조절하는 조절판(310)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상기 도어(200)의 후면부측 공기유입구(320)의 상부에는 ‘
Figure 112013069837045-pat00006
’형상의 격벽(500)이 설치된다.
이는 내부의 그을음이 공기유입구(32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공기유입구를 개방할 시 내부의 뜨거운 열이 공기유입구를 통해 배출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를 화상과 같은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 2는 본 발명 화구의 정면 개요도로서, (a)는 공기조절장치(300)에서 공기유입구(320)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개요도이며, (b)는 공기유입구(320)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조절장치(300)는 공기유입구(320)의 전면에 설치되되, 도어(200)로부터 간격이 있도록 형성된 ‘
Figure 112013069837045-pat00007
’형상의 가이드(G)와, 상기 가이드(G)와 도어(200) 사이에 형성된 간격에 삽입되어 가이드(G)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조절판(310)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즉,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
Figure 112013069837045-pat00008
’형상의 가이드(G)의 중심에 공기유입구가 위치하고 있으며, 일측면이 개방된 부분으로 조절판(310)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됨으로써 공기유입구의 개폐면적을 조절하는 것이다.
상술한 입구프레임이나 도어는 고온에 견디는 내열성의 금속재 특히, 철판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7은 각각 본 발명 화구의 다른 실시 예시도이다.
일 실시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절장치(300)는 하나의 중심부로부터 방사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공기유입구(320)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구(320)의 중심부에는 전면으로 중심축(330)이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심축에 중심이 결합되어 중심축(330)에 의해 회전하도록 조절판(310)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조절판(310)에는 상기 공기유입구(320)와 대응하는 관통구(3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조절판의 가장자리에는 전면으로 돌출된 손잡이(340)를 형성함으로써 손쉽게 조절판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손잡이를 잡고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때, 조절판(310)의 관통구(311)와 공기유입구(320)가 일치된 상태에 위치하면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고, 일치하지 않으면 공기는 유입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조절판의 정면도는 ‘
Figure 112013069837045-pat00009
’형상이 특징으로서, 도 4는 도어로부터 조절판이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의 공기조절장치(300)는 중심으로부터 반지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공기유입구(320)와, 공기유입구(320)의 동심원상에 형성된 중심축(330)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된 조절판(310)으로 구성되되, 상기 조절판(310)에는 공기유입구(320)와 동일형상의 관통구(3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으로서, 도어와 조절판에는 ‘
Figure 112013069837045-pat00010
’형상의 관통구(311)가 형성되어 있다.
결국, 조절판에 형성된 관통구와 도어에 형성된 공기유입구의 형상을 일치시키면 공기는 유입되는 것이고, 일치시키지 않으면 공기는 유입되지 않는 것으로 도 6은 조절판이 분리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조절판에 의해 공기가 유입되지 않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도어의 공기유입구(320)는 조절판에 의해 가려져 있기 때문에 점선으로 표시하였으며, 도 5는 조절판과 공기유입구를 일치시킨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에 따른 또 다른 실시의 공기조절장치(300)는 공기유입구(3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전면으로 통로돌기부(36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통로돌기부(360) 내의 통로를 가로막도록 조절판(31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조절판의 양단은 힌지축(350)에 의해 통로돌기부(360)의 측면에 힌지결합되어 있디.
그리고 상기 힌지축(350)에 일단이 연정형성되어 통로돌기부(360)의 측면을 관통하는 손잡이(340)가 구성되어 상기 조절판을 힌지축(350)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의 예시를 나타낸 도 8의 작동개요도로서, 힌지축(350)을 중심축으로 하여 조절판을 회동시키면 통로돌기부 내의 공간에는 공기가 이동하는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특히, 도어로부터 돌출되는 통로돌기부의 하부측의 길이를 상부측보다 길게 형성하여 통로돌기부의 입구를 막고 있는 조절판(310)의 상부 측이 뒤로 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도록 하였다.
이는, 대체로 사용자가 공기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조절판을 회동시킬 때 조절판의 상부가 뒤로 향하도록 회동시키기 때문에 통로돌기부 내로 공기가 효율적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1과 도 12는 통로돌기부가 구성된 화구의 또 다른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돌기부(360)의 전면부 측 형상을 원형으로 제작하며, 이때, 통로돌기부(360)는 중공체 형상의 가이드원판(370)에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으며, 상기 가이드원판(370)은 도어에 형성된 공기유입구(3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장마철이나 비가 갑작스럽게 오는 상황에서는 통로돌기부(360)를 가이드원판(370)에 삽입된 채 화살표 Ⅰ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어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긴 하부면이 상부로 향하도록 하여 통로돌기부 내로 비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였다.
또한, 통로돌기부(36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물막이격판(362)을 마련하여 통로돌기부(360)의 상면에 흐르는 물이 물막이격판(362)에 의해 통로돌기부의 입구측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였다.
이때, 물막이격판(362)은 도어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긴 통로돌기부의 하부 원주면에만 형성하여 비가 오지 않은 평상시에는 하부방향에 위치하고 있도록 하고, 장마철이나 비가 오는 날에는 물막이격판(362)이 형성된 통로돌기부의 하부면을 화살표 Ⅰ방향으로 회전시켜 상부로 향하도록 한다.
그리고 손잡이(340)가 위치한 물막이격판(360)의 전면에는 도 12에서처럼 탄성편(361)을 마련하여 손잡이(340)를 화살표 Ⅱ의 방향으로 회동시켜 탄성편(361) 내에 억지 끼움으로 고정시켜 조절판(310)이 임의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여 비가 와서 강제로 물이 통로돌기부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상기 탄성편(361)은 탄성을 지니고 있는 재질로 제작되되, 일측면이 개구되어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링형상이다.
상기 탄성편(361)의 개구된 입구는 손잡이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제작함으로써 탄성에 의해 억지 끼움이 가능하며, 끼움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이 없으면 계속해서 끼움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즉, 손잡이를 화살표 Ⅱ의 방향으로 회동시켜 손잡이의 외측면에 탄성편(361)의 입구가 접촉되어 강제로 억지 끼움이 되도록 하며, 손잡이를 화살표 Ⅱ의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탄성편(361)의 입구가 강제로 벌어지면서 손잡이는 탄성편(361)의 외부로 나오게 된다.
도 13 은 이중 조절판이 구성된 화구의 공기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4는 이중 조절판이 구성된 공기조절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5는 이중 조절판이 구성된 화구의 실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돌기부(360)의 전면이 경사지지 않고 수직면을 가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통로돌기부 내에 이중의 조절판(310a, 310b)를 구성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공기유입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통로돌기부 내에 회동조절판(310a)을 설치하고, 상기 조절판(310a)은 통로돌기내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힌지축(350)의 몸체에 결합되어 있도록 하여, 힌지축(350)을 중심으로 통로톨기부 내에서 회동시킴으로써 공기유입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회동조절판(310a)의 상면의 중심에는 중심축(330)을 형성하고, 반지름 방향에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관통구(311a)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중심축(330)에는 또 다른 회전조절판(310b)을 결합하여 상기 중심축(33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회전조절판(310b)에는 회동조절판(310a)에 형성된 관통구(311a)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또 다른 관통구(311b)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회동조절판(310)에 의해 공기유입을 조절함과 더불어 회전조절판(310a)을 회전시켜 회전조절판(310b)의 관통구(311b)와 회동조절판(310a)의 관통구(311a)의 위치관계를 조절함으로써 공기유입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상술한 도어(200)에는 감시창(400)을 설치함으로써 내부의 화력을 직업 관찰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조절판을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이중의 조절판으로 구성하여 미세한 공기조절도 가능한 구성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화덕의 화구구조는 공기조절이 가능하며, 격벽으로 인해 직접적인 열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리자가 안전하게 조리를 할 수 있도록 하며, 그을음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깨끗한 조리환경에서 조리할 수 있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입구프레임 200. 도어 300. 공기조절장치
400. 감시창 500. 격벽
310. 조절판 320. 공기유입구 330. 중심축
340. 손잡이 350. 힌지축 360. 통로돌기부
370. 가이드원판
311. 관통구 G. 가이드
310a, 회동조절판 310b. 회전조절판 340a, 340b. 손잡이
311a, 311b. 관통구
361. 탄성편 362. 물막이격판

Claims (5)

  1. 조리를 위해 내부에는 연소공간이 구비되고, 상측에는 조리용기가 안착되는 공간과 전면에는 연료용 목재가 투입되는 입구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입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입구프레임(100), 상기 입구프레임(100)에 힌지결합되어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200), 상기 도어(200)에 설치되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로서의 공기유입구(320)와, 상기 공기유입구(3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조절장치(3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공기유입구(320)의 통로 내부 상부면에는 ‘
    Figure 112014116550524-pat00029
    ’형상의 격벽(500)이 하향돌출하도록 형성되는 화덕의 화구구조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절장치(300)는 공기유입구(3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전면으로 돌출형성된 통로돌기부(360)와, 상기 통로돌기부(360) 내의 통로를 가로막도록 형성되되, 양단이 힌지축(350)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공기유입구(320)의 개폐면적을 조절하는 조절판(310)과, 상기 힌지축(350)에 일단이 통로돌기부(360)의 측면을 관통하여 연장형성되어 상기 조절판(310)을 회동시키는 손잡이(340)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통로돌기부(360)는 공기유입구(320)의 입구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형성된 중공체 형상의 가이드원판(370)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있되,
    상기 통로돌기부(360)는 하부 측의 길이를 상부 측보다 길게 형성 하여 비가 오는 상황에서는 길이가 긴 하부면이 상부로 향하도록 회전시켜 통로돌기부(360) 내로 비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통로돌기부(36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물막이격판(362)을 마련하여 통로 돌기부(360)의 상면에 흐르는 물이 물막이격판(362)에 의해 통로돌기부(360)의 입구측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특징인 화덕의 화구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30091359A 2013-08-01 2013-08-01 화덕의 화구구조 KR101522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359A KR101522092B1 (ko) 2013-08-01 2013-08-01 화덕의 화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359A KR101522092B1 (ko) 2013-08-01 2013-08-01 화덕의 화구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691A KR20150015691A (ko) 2015-02-11
KR101522092B1 true KR101522092B1 (ko) 2015-05-20

Family

ID=52572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1359A KR101522092B1 (ko) 2013-08-01 2013-08-01 화덕의 화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20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1484A1 (en) 2012-05-31 2013-12-05 Corning Incorporated Stiff interlayers for laminated glass structur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1327U (ko) * 1985-01-11 1986-07-31
KR101155332B1 (ko) * 2008-12-09 2012-06-19 이장백 고체연료 연소장치
KR20120117069A (ko) * 2011-04-14 2012-10-24 엄광용 배출구가 있는 발전된 용기
KR101275952B1 (ko) * 2012-02-23 2013-06-17 조찬행 난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1327U (ko) * 1985-01-11 1986-07-31
KR101155332B1 (ko) * 2008-12-09 2012-06-19 이장백 고체연료 연소장치
KR20120117069A (ko) * 2011-04-14 2012-10-24 엄광용 배출구가 있는 발전된 용기
KR101275952B1 (ko) * 2012-02-23 2013-06-17 조찬행 난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691A (ko) 201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4711B2 (en) Spark arrestor and airflow control assembly for a portable cooking or heating device
US4184473A (en) Improved mobile home heater
US9441839B2 (en) Heating apparatus with fan
US9441840B2 (en) Heating apparatus with fan
US4150658A (en) Circulating-air heating stove
KR101522092B1 (ko) 화덕의 화구구조
US4163440A (en) Radiant heater
CN209819584U (zh) 一种炉子
US4240403A (en) Fireplace stove
US7047962B2 (en) Air control for a clean burning fireplace
US4320741A (en) Fireplace heater stove
US4374514A (en) Fireplace heater stove
US2695016A (en) Draft hood
KR20130050258A (ko) 연탄난로 온풍기
KR20170072444A (ko) 난로의 배기구조
KR101645964B1 (ko) 난로용 투시구
CA1115159A (en) Fireplace construction with adaptable combustion air inlet
JP7231960B2 (ja) 携帯用屋外薪ストーブ
JPH0429335Y2 (ko)
CA1094902A (en) Fireplace with air control dampers
JPS6333041Y2 (ko)
US181942A (en) Improvement in base-heating stoves
KR0114681Y1 (ko) 복사열 및 대류열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대류형 그릴레인지
JPS5911320Y2 (ja) バランスドフル−型温風暖房機
CN111829015A (zh) 一种炉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