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022B1 -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계단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계단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2022B1
KR101522022B1 KR1020140033995A KR20140033995A KR101522022B1 KR 101522022 B1 KR101522022 B1 KR 101522022B1 KR 1020140033995 A KR1020140033995 A KR 1020140033995A KR 20140033995 A KR20140033995 A KR 20140033995A KR 101522022 B1 KR101522022 B1 KR 101522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olt
railing
riser
connector
ch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원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원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원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40033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02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계단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단시공에 사용되는 챌판용 거푸집과 난간설치를 위한 앵커볼트를 결합하여 하나의 구성품으로 구성함으로써, 계단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과 자재의 낭비를 최소화하여, 건물의 전체 시공비를 절감하고 건물의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특히, 길이가변구조를 적용하여 다양한 계단형상에 따른 발디딤부의 폭변화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앵커볼트를 설치하기 위하여 구성된 연결구를 회동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하도록 하고,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단을 시공(특히, 계단과 계단참의 이어치기 등)함에 있어, 철근을 노출시키지 않고서도 이어치기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철근노출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건설분야, 특히 건축 구조물 시공분야 등에서 안정성, 경쟁력 및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계단시공방법{Mold for kick plate with anchor bolt for handrail and stairway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계단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계단시공에 사용되는 챌판용 거푸집과 난간설치를 위한 앵커볼트를 결합하여 하나의 구성품으로 구성함으로써, 계단시공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길이가변구조를 적용하여 다양한 계단형상에 따른 발디딤부의 폭변화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앵커볼트를 설치하기 위하여 구성된 연결구를 회동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하도록 하고,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계단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층의 건물을 시공하게 되면 각 층을 연결하는 통로인 계단이 요구되는 바, 계단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계단실을 시공하고 계단실 내부에 계단을 순차적으로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계단의 시공은, 건물의 각 층과 계단참(층계의 중간에 설치되는 넓은 장소)을 연결할 바닥거푸집을 설치하는 작업, 배근 작업 및 상부거푸집 작업 등을 요구하게 된다.
이때, 상부거푸집은 디딤부(사람이 오르내리기 위해 딛는 평면부)의 규격에 따라 제작되므로, 각각의 결합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투자되어야 했다.
결과적으로, 작업자들은 현장에서 도면에 따라 합판과 각재를 각각 절단가공하고, 못 등을 이용하여 거푸집을 만들어야 하므로, 거푸집을 설치하는 과정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작업의 어려움도 많았다.
또한, 계단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은 합판 등의 못 등으로 결합 및 고정하므로, 탈형과정에서 빈번하게 파손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2~3회 사용하면 다시 재작해야 할 뿐만 아니라, 파손된 거푸집을 처리하기 위한 폐기물 처리비용이 추가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계단에는 보행자들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이 설치되는 바, 계단시공시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할 때, 난간을 설치하기 위한 앵커볼트가 계단 바닥(디딤부)에 매설되도록 해야 한다.
이때, 앵커볼트의 위치 및 매설깊이 등은 난간의 설치 규격에 맞춰야 하므로, 작업자는 각각의 앵커볼트의 위치 및 매설깊이 등을 일일이 조정해야만 하는 어려움도 있었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102863호 '계단 성형용 거푸집'은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에 관한 기술에 관한 것이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96692호 '계단 거푸집'은 별도의 미장작업이 요구되지 않는 거푸집에 관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각각의 선행기술은 하나의 계단시공을 위한 거푸집의 조립성은 향상시킬 수 있을지 모르나, 다양한 형상의 계단을 시공하기 위한 디딤부의 변경에는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선행기술을 포함하는 종래의 관련기술의 경우, 난간설치를 위한 앵커볼트의 위치 및 매설깊이 등의 조정에 따른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들은 나타나 있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102863호 '계단 성형용 거푸집'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96692호 '계단 거푸집'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계단시공에 사용되는 챌판용 거푸집과 난간설치를 위한 앵커볼트를 결합하여 하나의 구성품으로 구성함으로써, 계단시공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계단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앵커볼트를 설치하기 위하여 구성된 연결구를 회동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하도록 하고,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계단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가변구조를 적용하여 다양한 계단형상에 따른 발디딤부의 폭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계단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편, 복층의 건축물 등은 시공상 한번에 시공이 불가능하므로, 콘크리트 이어치기를 위하여 순차적으로 시공하게 되는 바, 이어치기를 위해 노출되는 철근으로 인해 안전사고를 유발하고, 철근절단에 따른 구조물의 내구성 저하 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계단의 경우에는 노출된 철근으로 인해 추락사고의 위험까지 발생할 수 있어, 작업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계단을 시공(특히, 계단과 계단참의 이어치기 등)함에 있어, 철근을 노출시키지 않고서도 이어치기가 가능하도록 한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을 이용한 계단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은, 계단의 단턱 높이에 대응하도록 구성되는 챌판부와, 상기 챌판부의 상부일측에 연장형성되는 상부연장부와, 상기 챌판부의 하부일측에 연장형성되는 하부연장부를 포함하는 챌판거푸집; 및 일측이 상기 챌판거푸집의 하부연장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일측이 다른 챌판거푸집의 상부연장부에 고정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난간용앵커볼트가 하부면에 탈부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챌판거푸집의 하부연장부에는 상기 연결구가 회동되면서 상기 연결구의 다른 일측이 삽입고정되는 보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연장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는, 상기 결합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길이방향으로 폭조절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을 이용한 계단시공방법은, 청구항 1의 챌판용거푸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계단 거푸집을 설치하는 거푸집설치단계; 상기 난간용앵커볼트가 매설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타설단계;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양생단계; 상기 난간용앵커볼트가 매립된 상태로 상기 챌판용거푸집을 포함하는 계단 거푸집을 탈형하는 거푸집탈형단계; 및 매립된 상기 난간용앵커볼트에 난간을 설치하는 마감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거푸집설치단계는, 상기 챌판용거푸집을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챌판용거푸집 배치과정; 배치된 상기 챌판용거푸집 중 어느 하나의 챌판용거푸집에 구성된 연결구를 회동시키고, 상기 연결구의 하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난간용앵커볼트를 설치하는 앵커볼트설치과정; 및 상기 연결구의 다른 일측을 이웃하는 챌판용거푸집의 상부연장부에 고정시키는 챌판용거푸집 연결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푸집탈형단계는, 상기 연결구와 매설된 상기 난간용앵커볼트의 결합을 분리시키는 앵커볼트분리과정; 상기 연결구과 다른 일측을 이웃하는 챌판용거푸집의 결합을 분리시키는 연결구분리과정; 상기 연결구를 회동시켜 상기 챌판용거푸집에 밀착되도록 위치시키는 연결구회동과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챌판용거푸집을 탈형하는 챌판용거푸집탈형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푸집설치단계는, 일측 종단부를 상기 계단 거푸집에 연결하여 계단참용거푸집을 설치하는 계단참거푸집설치과정; 및 상기 계단참거푸집의 다른 종단부에 계단이어치기용 암나사형이음철근의 종단부가 노출되도록 매설하는 이음철근매설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거푸집탈형단계 이후에, 상기 암나사형이음철근이 매설된 계단참에 연결되도록 이어치기용거푸집을 설치하는 이어치기거푸집설치과정; 및 상기 암나사형이음철근에 수나사형이음철근을 연결하는 이음철근연결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계단시공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계단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과 자재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건물의 전체 시공비를 절감하고 건물의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하도록 하고,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계단형상에 따른 발디딤부의 폭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거푸집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의 계단을 시공하기 위한 디딤부의 변경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단을 시공함에 있어, 철근노출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철근 절단 등 부재 손실로 인한 콘크리트철근의 내구성 저하, 균열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건설분야, 특히 건축 구조물 시공분야 등에서 안정성, 경쟁력 및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챌판용 거푸집을 사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을 이용한 계단시공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1의 챌판용 거푸집을 이용하는 도 5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을 이용한 계단시공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단계 'S45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단계 'S452'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1의 'C-C'선 부분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계단시공방법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A)는, 챌판거푸집(100) 및 연결구(200)를 포함한다.
챌판거푸집(100)은 계단의 단턱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챌판부(110), 상부연장부(120) 및 하부연장부(130)로 구성된다.
챌판부(110)는 계단의 단턱 높이에 대응하는 폭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챌판거푸집(100) 전체의 무게를 최소화하여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판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챌판거푸집(100)은 챌판부(110), 상부연장부(120) 및 하부연장부(130)를 포함하는 하나의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챌판거푸집(100) 전체의 무게가 증가하므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부연장부(120)는 챌판부(110)의 상부일측에 연장형성되며, 하기에서 설명될 연결구(200)의 위치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결합홀(121)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하부연장부(130)는 챌판부(110)의 하부일측에 연장형성되며, 하기에서 설명될 연결구(200)의 위치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회동홀(131)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부연장부(120)의 결합홀(121)과 하부연장부(130)의 회동홀(131)은 동일한 개수로 나란히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연결구(200)의 일측은, 챌판거푸집(100)의 하부연장부(130)에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연결구(200)의 다른 일측이 다른 챌판거푸집(도 1에서 1점쇄선으로 나타낸 챌판거푸집)의 상부연장부에 고정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연결구(200)는 적어도 하나의 난간용앵커볼트(300)가 하부면에 탈부착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연결구(200)의 다른 일측에는, 이웃하는 두 챌판거푸집(100)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결합홀(121)과 대응되는 위치에 길이방향으로 폭조절슬릿(22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챌판거푸집(100)과 연결구(200)가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고 작업자의 부주의에 따른 연결구(200) 등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동식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의 챌판용 거푸집을 사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연결구(200)의 일측은 회동핀(210)에 의해 하부연장부(130)에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서는 회동핀(210)이 연결구(200) 및 하부연장부(130)와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됨을 나타내고 있으나,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연결구(200) 및 하부연장부(130)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와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연결구(2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앵커볼트고정홀(2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앵커볼트고정나사(330)를 이용하여 난간용앵커볼트(300)를 하부면에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구(200)의 다른 일측(도 2에서 우측하부)과 다른 챌판거푸집(100)을 결합고정하기 위하여, 볼트(410), 너트(420) 및 와셔(430) 등을 포함하는 결합부재(400)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재(400)는 연결구(200)와 다른 챌판거푸집(100)을 결합/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면,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구성으로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연결구(200)의 상부면에는 폭조절슬릿(220)에 인접하여 눈금(221)을 형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두 챌판거푸집(100) 사이의 이격거리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도 2에서, 미설명부호 '310'은 난간이 결합되는 암나사형 난간연결홀이고, 미설명부호 '320'은 앵커볼트고정나사(330)가 결합되는 고정홀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구(200)에 결합되는 난간용앵커볼트(300)의 개수 및 위치 등을 조정하기 위하여, 연결구(200)에 위치조절슬릿(240)을 형성하고, 앵커볼트고정나사(330) 및 와셔(331)를 이용하여 난간용앵커볼트(300)를 연결구(200)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시공되는 난간 규격에 대응하여, 도 3의 하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난간용앵커볼트(300)를 연결구(200)에 결합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챌판거푸집(100)의 하부연장부(130)에 보관부(140)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보관부(140)의 내측상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141)을 형성하고, 연결구(200) 상부면에는 걸림홈(141)에 끼워지도록 걸림돌기(241)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챌판거푸집(100)의 보관 및 운반시, 연결구(200)의 다른 일측이 보관부(140)에 삽입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연결구(200)가 회동되면서 주위환경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을 이용한 계단시공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도 6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난간용앵커볼트(300)가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챌판용거푸집(100)과 더불어, 계단의 시공을 위한 거푸집(예를 들어, 바닥거푸집 등)을 설치한다(단계 S100).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의 상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결구(200)가 접힌 상태의 챌판거푸집(100)을 계단 시공 규격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도 6의 하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결구(200)를 회동시킨다.
그리고, 도 7의 상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결구(200)의 하부에 난간용앵커볼트(300)를 설치한 후, 도 7의 하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결구(200)의 다른 일측을 이웃하는 챌판용거푸집(100)의 상부연장부(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후, 난간용앵커볼트(300)가 매설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고(단계 S200),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한다(단계 S300).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앵커볼트고정나사(330) 및 결합부재(400)를 분리시켜, 연결구(200)와 매설된 난간용앵커볼트(300)의 결합을 분리시키고, 연결구(200)과 다른 일측을 이웃하는 챌판용거푸집(100)의 결합을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연결구(200)를 회동시켜 챌판용거푸집(100)에 밀착되도록 접을 수 있다.
이후,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난간용앵커볼트(300)가 매립된 상태에서, 시공에 사용된 적어도 하나의 챌판용거푸집(100)을 탈형시키고(단계 S400), 매립된 난간용앵커볼트(300)에 난간(H)을 설치한다(단계 S500).
이상에서, 도 5에 나타난 계단시공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당연하게 요구되는 시공단계 및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시공단계 등은 그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생략된 시공단계 등이 불필요한 것은 아닌 것으로 판단해야 한다.
예를 들어, 그 설명을 생략한 시공단계는, 거푸집을 설치한 이후에 배근 등의 철근을 설치하는 단계 및 거푸집 탈형 후 계단용 마감재를 부착하는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을 이용한 계단시공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도 11은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11은 계단시공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위해 중요구성만을 나타낸 것으로, 계단의 시공과정에서 특정 시점을 한정하여 나타낸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2는 도 11의 'C-C'선 단면에서 중요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난간용앵커보트가 구성된 챌판용거푸집을 포함하는 계단 거푸집(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하면(단계 S100), 일측 종단부를 계단 거푸집에 연결하여 계단참용거푸집(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할 수 있다(단계 S110).
그리고, 계단참거푸집의 다른 종단부에 계단이어치기용 암나사형이음철근(510)의 종단부가 노출되도록 매설할 수 있다(S120).
이후, 콘크리트 타설(단계 S200) 및 양생(단계 S300)이 완료되면, 계단 거푸집 및 계단참용거푸집을 탈형하고(단계 S400), 암나사형이음철근(510)이 매설된 계단참(B)에 연결되도록 이어치기용거푸집(500)을 설치할 수 있으며(단계 S451), 계단참(B)에 매설된 암나사형이음철근(510)에 수나사형이음철근(520)을 연결할 수 있다(단계 S452).
이러한 수나사형이음철근(520)은 수평의 계단참(B)을 연장형성하여 건물의 층에 연결하는 복도(도시하지 않음)를 시공하거나, 위층으로 오르기 위한 계단을 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2에서, 미설명부호 '511'은 암나사형이음철근(510)에 형성될 수 있는 암나사부이고, 미설명부호 '521'은 수나사형이음철근(520)에 형성될 수 있는 수나사부이며, 미설명부호 '512'는 계단참(B)에 이어치기거푸집(500)을 고정설치하기 위한 고정부이고, 미설명부호 '513'은 이어치기거푸집(500)을 고정부(512)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계단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는 것이므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
100 : 챌판거푸집 110 : 챌판부
120 : 상부연장부 121 : 결합홀
130 : 하부연장부 131 : 회동홀
140 : 보관부 141 : 걸림홈
200 : 연결구 210 : 회동핀
220 : 폭조절슬릿 230 : 앵커볼트고정홀
241 : 걸림돌기
300 : 난간용앵커볼트 310 : 난간연결홀
320 : 고정홀
400 : 결합부재 410 : 볼트
420 : 너트 430 : 와셔
500 : 이어치기용거푸집
510 : 암나사형이음철근 520 : 수나사형이음철근

Claims (7)

  1. 계단의 단턱 높이에 대응하도록 구성되는 챌판부와, 상기 챌판부의 상부일측에 연장형성되는 상부연장부와, 상기 챌판부의 하부일측에 연장형성되는 하부연장부를 포함하는 챌판거푸집; 및
    일측이 상기 챌판거푸집의 하부연장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일측이 다른 챌판거푸집의 상부연장부에 고정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난간용앵커볼트가 하부면에 탈부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챌판거푸집의 하부연장부에는 상기 연결구가 회동되면서 상기 연결구의 다른 일측이 삽입고정되는 보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장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는,
    상기 결합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길이방향으로 폭조절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
  3. 삭제
  4. 청구항 1의 챌판용거푸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계단 거푸집을 설치하는 거푸집설치단계;
    상기 난간용앵커볼트가 매설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타설단계;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양생단계;
    상기 난간용앵커볼트가 매립된 상태로 상기 챌판용거푸집을 포함하는 계단 거푸집을 탈형하는 거푸집탈형단계; 및
    매립된 상기 난간용앵커볼트에 난간을 설치하는 마감단계를 포함하는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을 이용한 계단시공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설치단계는,
    상기 챌판용거푸집을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챌판용거푸집 배치과정;
    배치된 상기 챌판용거푸집 중 어느 하나의 챌판용거푸집에 구성된 연결구를 회동시키고, 상기 연결구의 하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난간용앵커볼트를 설치하는 앵커볼트설치과정; 및
    상기 연결구의 다른 일측을 이웃하는 챌판용거푸집의 상부연장부에 고정시키는 챌판용거푸집 연결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을 이용한 계단시공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탈형단계는,
    상기 연결구와 매설된 상기 난간용앵커볼트의 결합을 분리시키는 앵커볼트분리과정;
    상기 연결구과 다른 일측을 이웃하는 챌판용거푸집의 결합을 분리시키는 연결구분리과정;
    상기 연결구를 회동시켜 상기 챌판용거푸집에 밀착되도록 위치시키는 연결구회동과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챌판용거푸집을 탈형하는 챌판용거푸집탈형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을 이용한 계단시공방법.
  7.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설치단계는,
    일측 종단부를 상기 계단 거푸집에 연결하여 계단참용거푸집을 설치하는 계단참거푸집설치과정; 및
    상기 계단참거푸집의 다른 종단부에 계단이어치기용 암나사형이음철근의 종단부가 노출되도록 매설하는 이음철근매설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거푸집탈형단계 이후에,
    상기 암나사형이음철근이 매설된 계단참에 연결되도록 이어치기용거푸집을 설치하는 이어치기거푸집설치과정; 및
    상기 암나사형이음철근에 수나사형이음철근을 연결하는 이음철근연결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을 이용한 계단시공방법.
KR1020140033995A 2014-03-24 2014-03-24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계단시공방법 KR101522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995A KR101522022B1 (ko) 2014-03-24 2014-03-24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계단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995A KR101522022B1 (ko) 2014-03-24 2014-03-24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계단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2022B1 true KR101522022B1 (ko) 2015-05-21

Family

ID=53395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995A KR101522022B1 (ko) 2014-03-24 2014-03-24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계단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20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47933A (zh) * 2015-06-12 2015-09-30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组合式楼梯模板装置
KR101848002B1 (ko) * 2017-09-04 2018-04-12 주식회사 다원종합건축사사무소 계단 챌판용 거푸집을 이용한 주철근 이음구조
CN108068202A (zh) * 2016-11-16 2018-05-25 任丘市永基建筑安装工程有限公司 立式组合楼梯板模具
CN115095092A (zh) * 2022-07-25 2022-09-23 重庆建工第一市政工程有限责任公司 斜坡面台阶的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2077A (ja) * 1999-06-28 2001-01-16 Tokuyuki Araki 階段構築用型枠
JP3773734B2 (ja) * 2000-01-20 2006-05-10 鹿島建設株式会社 階段構築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586487B1 (ko) * 2005-10-18 2006-06-08 주식회사 건정종합건축사사무소 난간지주 장착구
KR101348380B1 (ko) * 2012-10-08 2014-01-07 이영순 계단턱의 폭과 높이조절이 가능한 pc계단용 거푸집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2077A (ja) * 1999-06-28 2001-01-16 Tokuyuki Araki 階段構築用型枠
JP3773734B2 (ja) * 2000-01-20 2006-05-10 鹿島建設株式会社 階段構築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586487B1 (ko) * 2005-10-18 2006-06-08 주식회사 건정종합건축사사무소 난간지주 장착구
KR101348380B1 (ko) * 2012-10-08 2014-01-07 이영순 계단턱의 폭과 높이조절이 가능한 pc계단용 거푸집조립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47933A (zh) * 2015-06-12 2015-09-30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组合式楼梯模板装置
CN104947933B (zh) * 2015-06-12 2017-07-25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组合式楼梯模板装置
CN108068202A (zh) * 2016-11-16 2018-05-25 任丘市永基建筑安装工程有限公司 立式组合楼梯板模具
KR101848002B1 (ko) * 2017-09-04 2018-04-12 주식회사 다원종합건축사사무소 계단 챌판용 거푸집을 이용한 주철근 이음구조
CN115095092A (zh) * 2022-07-25 2022-09-23 重庆建工第一市政工程有限责任公司 斜坡面台阶的施工方法
CN115095092B (zh) * 2022-07-25 2023-09-29 重庆建工第一市政工程有限责任公司 斜坡面台阶的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25407C2 (ru) Конструкция формы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лестниц и лестничных площадок,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ой конструкции и способ ее использования
KR101522022B1 (ko) 난간용 앵커볼트가 구성된 챌판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계단시공방법
US20040093817A1 (en) Refinements to the construction systems for structures in reinforced concrete or some other material by means of high-precision integral modular forms
US7976746B2 (en) Method installing a modular concrete stair system
KR20060117898A (ko) 계단구조 및 계단의 구축방법
US6029408A (en) Pre-fabricated step and stairway system
KR101668521B1 (ko) 다층 건축물의 지하층 콘크리트의 시공방법
US9856653B1 (en) Modular precast concrete steps
US2697931A (en) Concrete step
KR200196692Y1 (ko) 계단 거푸집
JP4516585B2 (ja) 建物用内部階段およびその建造方法
CN113027053B (zh) 一种梯井内用预制装配式楼梯及吊装施工工艺
KR100945187B1 (ko) 조립식 계단
KR100592657B1 (ko) 건축물 조립식 계단 장착구조
WO2017098429A1 (en) System of elements for the assembly of a staircase and a stair composed with the elements of such a system
KR200169426Y1 (ko) 계단 거푸집
JP4106688B2 (ja) 階段構造物及び階段構造物の施工方法
KR200209599Y1 (ko) 조립식 계단거푸집
JP2008156922A (ja) バルコニー、廊下の構築方法
JP5596814B1 (ja) 階段及び階段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H0483051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階段の施工法とこれに用いる階段手摺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版及び階段段型枠
KR100459613B1 (ko) 후조립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계단을 설치하기 위한코어벽체의 연속화 시공 방법
RU2733246C2 (ru) Сборно-монолитная лестниц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CN208105703U (zh) 可拼装式预制楼梯
KR20190059602A (ko) 계단용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