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1970B1 - System for managing allocation of car and shipment product based by gateway possible to combining different network - Google Patents

System for managing allocation of car and shipment product based by gateway possible to combining different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1970B1
KR101521970B1 KR1020140067179A KR20140067179A KR101521970B1 KR 101521970 B1 KR101521970 B1 KR 101521970B1 KR 1020140067179 A KR1020140067179 A KR 1020140067179A KR 20140067179 A KR20140067179 A KR 20140067179A KR 101521970 B1 KR101521970 B1 KR 101521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network
gateway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1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진웅
김명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밀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밀레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밀레테크
Priority to KR1020140067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97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9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teway-based car allocation and shipment system for incorporating protocols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and more specifically, to a system mainly comprising: a network terminal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via protocols, respectively, of networks such as Zigbee, Bluetooth or Wi-Fi; a gateway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from the network terminal and output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via protocols of an integrated network; and a management server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from the gateway and managing the car allocation and shipment. The present invention: (a) includes sensors arranged in a car to sense the load weight thereof to determine whether a given car is in the allocation standby state or the shipment state; and (b) can determine the location of a car via network terminals distributed at various locations.

Description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반의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ALLOCATION OF CAR AND SHIPMENT PRODUCT BASED BY GATEWAY POSSIBLE TO COMBINING DIFFERENT NETWORK}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teway-based dispatch and dispatch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integrating heterogeneous networks,

본 발명은 이기종 네트워크 간의 프로토콜을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를 기반하여 차량의 배차 및 출하를 관리할 수 있는,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atch and dispatch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managing vehicle dispatch and shipment based on a gateway capable of integrating protocols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더욱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 단말기; 게이트웨이; 및 관리서버;를 주요하게 포함하되, 네트워크 단말기;는 지그비,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의 프로토콜로 정보를 전송하며, 게이트웨이;는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를 통합된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을 통해 출력하고, 관리서버;는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배차 및 출하를 관리하는,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반의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terminal; Gateway; And a management server, wherein the network terminal transmits information in each protocol via a network such as ZigBee, Bluetooth or Wi-Fi, the gateway receives the information from the network terminal, Based distribution and shipment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integrating a heterogeneous network that outputs information through a network protocol and a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information from a gateway and manages vehicle dispatch and shipment.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되어 차량에 적재된 물품의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해당 차량이 배차 대기 중인지 또는 출하 작업 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반의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teway-based dispatch and shipment capable of integrating heterogeneous networks capable of determining whether a vehicle is waiting for dispatch or shipment, including a sensor for detecting the weight of an article loaded on the vehicl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해당 차량의 상차 또는 하차 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반의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teway-based dispatch and dispatch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integrating a heterogeneous network capable of judging the status of a vehicle being loaded or unloaded through a sensor provided in the vehicle.

본 발명은 다수 분포되어 있는 네트워크 단말기를 통해 차량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반의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teway-based dispatch and dispatch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integrating heterogeneous networks capable of locating vehicles through a plurality of distributed network terminals.

네트워크란, 랜(LAN)이나 모뎀 따위의 통신 설비를 갖춘 컴퓨터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시켜 주는 조직이나 체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통신망으로도 일컫는데, 특히 랜(LAN)은 Local Area Network의 줄임말로써 지역 네트워크 즉, 근거리 통신망을 의미한다.
The term "network" refers to an organization or system that connects computers by using a computer having a communication facility such as a LAN or a modem, and is also referred to as a communication network. In particular, a LAN is an abbreviation of a local area network, Means a network, that is, a local area network.

또한, 네트워크는 인류 생활의 풍족을 위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오고 있었으며, 최근에는 거의 모든 서비스가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고 있다.In addition, the network has been continuously developed for the abundance of human life, and recently, almost all services are being provided through the network.

이러한 네트워크는 정해진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할 수 있는데, 여기서 프로토콜은 네트워크의 통신방법을 정의하는 규약을 의미한다.
Such a network can communicate by a defined protocol, which means a protocol defining the method of communication of the network.

네트워크의 개발 초기에는 사람과 사람의 통신을 목적으로 연구되어 왔지만, 기술 발전에 따라 근래에는 사물과 사람 또는 사물과 사물이 통신할 수 있는 통신망이 구축되어 지고 있다.In the early days of network development,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communication between humans and humans, but in recent years, a communication network has been established in which objects and people or objects and objects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나아가, 네트워크 기술은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최근에는 사람이 간섭하지 않고도 사물과 사물 간에 통신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기까지에 이르렀다.Furthermore, as network technology continues to be studied, it has recently come to develop a technique for communicating objects and objects without human intervention.

이러한 기술을 M2M(Machine To Machine) 기술이라고 통칭하고 있는데, 사물 간의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으로는, 나선(裸線), 시내/외케이블, 반송케이블, 동축케이블, 해저케이블, 광섬유케이블 등의 유선통신 및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RF(Radio Frequency) 무선 주파수, 블루투스(Bluetooth), 이더넷(Ethernaet), 홈 PNA, PLC(Power Line Communication), IEEE1394, 무선 랜(Wireless LAN),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등의 무선통신이 있다.
Such a technology is generally referred to as M2M (Machine To Machine) technology. Communication means for communication between objects include wire rods such as a bare wire, a local / external cable, a return cable, a coaxial cable, a submarine cable, Communication,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RF (Radio Frequency) radio frequency, Bluetooth, Ethernet, home PNA, PLC, IEEE1394, wireless LAN, Zigbee, , And Wi-Fi (Wi-Fi).

특히, 블루투스, 지그비 및 와이파이는 특정 단말기에 적용하여 사용하기 편리하고 인터페이스 조작이 간편하여 시중에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인도 별도의 모뎀(Modem)을 연결하여 쉽게 사용하고 있다.In particular, Bluetooth, ZigBee, and WiFi are widely used in the market because they are easy to use and easy to use because they are applied to specific terminals. Therefore, ordinary people who do not have expertise can easily connect a modem with a modem .

즉, 블루투스, 지그비 및 와이파이는 별도의 모뎀(Modem), 동글 커넥터 또는 엑세스 포인트(AP)를 소정의 지역에 설치하고, 통신하고자하는 사물을 통신 유효 거리(범위) 내에 위치시키고 통신망에 접속하여 사용하고 있다.
That is, Bluetooth, ZigBee, and WiFi are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ea, a separate modem, a dongle connector, or an access point (AP) is placed in a predetermined area, the object to be communicated is located within a communication effective range .

한편, 블루투스, 지그비 및 와이파이를 제공하기 위한 모뎀 등은 각 하나씩의 통신망만을 제공하고 있다.Meanwhile, Bluetooth, ZigBee, and a modem for providing Wi-Fi only provide each communication network.

그렇기 때문에 유효 범위를 벗어나면, 통신망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불편함이 존재하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블루투스, 지그비 및 와이파이를 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communication network can not be used if it is out of the effective range. To solve this problem, a technology for integrating Bluetooth, ZigBee and WiFi is being developed.

이는 서로 다른 이기종 네트워크(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등)의 프로토콜을 통합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망)의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소정의 정보를 출력해주거나, 통합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을 블루투스 프로토콜, 지그비 프로토콜 또는 와이파이 프로토콜 등으로 변환하여 정보를 출력해주는 중계(中繼) 장치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It converts the protocol of different heterogeneous networks (Bluetooth, ZigBee, WiFi, etc.) into a protocol of an integrated network (for example, the Internet network) and outputs predetermined information or transmits the protocol of the integrated network to Bluetooth protocol, ZigBee protocol or Wi- Protocol or the like and outputs the information through a relay device.

이러한 이기종 네트워크 통합 기술은, 특정 사업장 네트워크와 연계시킴으로써, 소정의 목적을 갖는 응용 서비스 분야에도 적용되고 있다.
This heterogeneous network integration technology has been applied to the application service field having a predetermined purpose by linking with a specific business network.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전술된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중계 장치를 통해 차량의 배차 및 출하를 관리하는 등의 응용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는,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proposes a dispatch and dispatch management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application services such as managing dispatch and shipment of vehicles through a relay device capable of integrating the above-described heterogeneous networks.

차량의 배차 및 출하를 관리하는 기술이라 함은, 특정의 임무(배달, 이송 등)를 수행하는 차량의 배차를 관리함으로써 차량 보급을 신속하게 수행하거나, 차량 출하를 관리함으로써 배송 또는 이송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The technology for managing dispatching and dispatching of a vehicle is a technique for managing the dispatching of a vehicle that carries out a specific task (delivery, transfer, etc.) .

이러한 기술과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10859호에는 첨단차량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In connection with this techniqu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4-0010859 describes a vehicle management system using advanced vehicle terminals.

위에 기재된 기술은 영업을 목적으로 하는 차량에 적용되어 정보통신망을 통해 차량의 위치정보, 운행상태정보 및 차량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배차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운행상태정보 및 차량정보를 토대로 운전일보를 자동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한 첨단차량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을 기재하고 있다.The technology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a vehicle for sales purpose, and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driving state information and vehicle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in real time to efficiently perform the dispatching operation, and driving based on driving state information and vehicle information And a vehicle management system using an advanced vehicle terminal capable of automatically outputting a daily report.

여기서, 운행상태정보는 차량 출발정보, 차량 도착정보, 차량운행 시간정보, 차량 주행속도, 차량급정차에 관한 정보, 구간별 운행정보, 영차 운행정보 등인 것으로 기재하고 있다.
Here, the running state information describes the vehicle starting information, the vehicle arrival information, the vehicle running time information, the vehicle running speed, the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stopping time, the running information by each section, and the running information of the train.

그러나 위에 기재된 기술은, 차량에 대한 정보만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차량에 탑승해 있는 사람(물품 배송 차량인 경우, 적재 물품)이 탑승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구성을 기재하고 있지 않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technique is configured so that only the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can be grasped. That is, no configuration is described in which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person aboard the vehicle (in the case of a goods delivery vehicle, a loaded article) is in a boarding state.

즉, 영업을 목적으로 하는 차량 중 택시로 예를 들면 손님의 탑승 여부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해당 차량이 배차가 가능한지 여부를 확실하게 알 수 없으며, 운전자에게 통보하여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That is, since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available for dispatch, for example, it is impossible to know whether or not the customer is boarding the vehicle by taxi among sales purpose vehicles, and it is troublesome to notify the driver and confirm it.

정리하면 차량 배차 관리에 있어서 가장 중요시되어야 하는 점은, (1) 특정 차량이 배차되어질 수 있는 차량인지 아닌지를 확실하게 알 수 있어야하는 것이며, (2) 다음으로는 배차되어진 차량이 물품(사람)을 적재(탑승)하고 배송(이송)하는 중인지, 물품을 상차하고 있는 중인지 또는 하차하고 있는 중인지 등의 상태를 알 수 있어야 하고, (3) 배차되었거나 배차될 차량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In summary, the most important points in managing the vehicle dispatching should be (1) it should be possible to know whether or not a specific vehicle can be dispatched, and (2) (3) be able to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vehicle to be dispatched or to be dispatched, and (4) whether the vehicle is being loaded or unloaded.

그러나 위에 기재된 기술은, 당해 차량이 필요 시점에서 배차가 가능한지 여부를 알 수 없음은 물론, 차량의 상/하차 여부 또는 배송 중인지 여부 등과 같은 차량의 상태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technique ha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know whether or not the vehicle can be dispatched when it is needed, nor can it confirm the status of the vehicle such as whether the vehicle is on / off, or whether it is being delivered.

또한 차량의 위치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수단(GPS)을 기재하고는 있지만, 영업을 목적으로 하는 차량의 위치 추적을 GPS로 수행하는 것은 위치 공개에 대한 위험성이 존재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means (GPS) for measur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described, carrying out the tracking of the position of the vehicle for sales purpose by GPS may present a risk for the position disclosure.

즉, GPS는 인공위성을 통해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인데, 이때 GPS는 주요 중요 시설을 제외하고는 공개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제3 자에 의해 위치가 쉽게 노출될 수 있다.In other words, GPS relates to a system that can measure position through a satellite, where the GPS can be easily exposed by a third party because it is designed to be open to public except for major critical facilities.

예를 들어, 중요 물품(현금, 귀금속)을 배송하거나 중요 인물을 이송하는 차량의 경우, 위치 노출이 쉽기 때문에 차량 관리에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vehicle that delivers important goods (cash, precious metals) or transports a significant person, it is not preferable to apply it to vehicle management because the location exposure is easy.

반면, 위치 검출에 대해 차량에 송/수신기를 설치하면 차량 위치를 제3 자에게 공개시키지 않고 측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a transmitter / receiver is installed in the vehicle for position detection, the vehicle position can be measured without disclosing it to a third party.

이는 차량에 특정 신호를 방출하는 송신기를 설치하고, 소정의 지역에 송신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설치함으로써 해당 차량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position of the vehicle by installing a transmitter that emits a specific signal to the vehicle and installing a receiver that receives a signal of the transmitter in a predetermined area.

상술된 바와 같이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과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8159호에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Regarding the technique for measuring the position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positioning using an access poin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the apparatus are disclosed in the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78159.

위에 기재된 기술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를 일정 범위 내에 다수 개 설치하고 지하철로 이동 중인 통신 단말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technique described above relates to a technique for installing a plurality of access points for short-distance communication within a certain range and measuring the posi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subway.

그러나 위에 기재된 기술은, 근거리 통신을 기재하고 있어 통신 유효거리가 길지 않기 때문에 일정 간격마다 수신기를 설치하고, 수신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소정의 통신망을 구축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부담이 존재한다.
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technique describes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the effective distance of communication is not long,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receiv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o establish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network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exist.

또한 위에 기재된 기술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의 종류를 기재하고 있지 않지만, 네트워크 통합에 대한 내용을 기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단일 네트워크를 통해 위치를 측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technique does not describe the type of network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but it does not describe the network integration, so it can be seen that the position is measured through a single network.

이에 따라, 위에 기재된 기술을 기존에 설치된 네트워크망과 연계하여 지상에서 사용하는 기술에 적용시키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존재한다.Accordingly,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apply 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to a technology used on the ground in connection with a network network already installed.

왜냐하면, 지상에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네트워크는 단일 종류가 아니라 다양한 종류이기 때문에 단일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대상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측정하려면 일정 구간마다 해당 네트워크에 대한 통신망을 구축해야 하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the existing networks installed on the ground are not a single type but various types, so to continuously measure the position of a specific object through a single network,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network for each network at certain intervals.

따라서, 종래에 기설치된 다양한 네트워크들을 모두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네트워크들을 프로토콜 변환을 통해 통합된 형태의 통합 네트워크로 제공할 수 있고, 이에 기반하여 차량의 배차 및 출하를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ollect all the various pre-installed networks, to provide the collected networks as an integrated type integrated network through protocol conversion, and to manage the dispatch and shipment of the vehicles based on the integrated networks Development is required.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10859호(2004.02.05.)Publish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2004-0010859 (Feb.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8159호(2012.07.10.)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78159 (July 10, 2012)

위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기종 네트워크 간의 프로토콜을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를 기반하여 차량의 배차 및 출하를 관리할 수 있는,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 단말기; 게이트웨이; 및 관리서버;를 주요하게 포함하되, 네트워크 단말기;는 지그비,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의 프로토콜로 정보를 전송하며, 게이트웨이;는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를 통합된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을 통해 출력하고, 관리서버;는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배차 및 출하를 관리하되, (a) 네트워크 단말기를 다수 지역에 분포하거나 (b) 기설치되어 있는 네트워크 단말기를 통해 차량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반의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atch and dispatch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managing vehicle dispatch and shipment based on a gateway capable of integrating protocols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 More specifically a network terminal; Gateway; And a management server, wherein the network terminal transmits information in each protocol via a network such as ZigBee, Bluetooth or Wi-Fi, the gateway receives the information from the network terminal, (A) distributing the network terminal in a plurality of areas, (b) transmitting the network terminal through a network terminal installed in the network terminal, And to provide a gateway-based dispatch and dispatch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integrating heterogeneous networks capable of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vehic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에 구비되어 차량에 적재된 물품의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해당 차량이 배차 대기 중인지 또는 출하 작업 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반의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teway based on which a heterogeneous network can be integrated, including a sensor for detecting the weight of an article loaded on the vehicle, And to provide a dispatch and dispatch management system of the dispatching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해당 차량의 상차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반의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teway-based dispatch and dispatch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integrating a heterogeneous network capable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vehicle is parked or unloaded through sensors provided in the vehicle.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반의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은, 리더기를 포함하고, 지그비,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각각 제공하여 리더기의 정보를 송신하는 네트워크 단말기;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서버에 송신하는 게이트웨이; 및 게이트웨이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태그가 구비된 차량의 배차 및 출하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게이트웨이는 네트워크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지그비,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의 프로토콜을 구비하며, 지그비,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의 프로토콜을 통합 네트워크의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관리서버에 정보를 송신하며, 관리서버는 차량의 이동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ateway-based dispatch and dispatch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integrating a heterogeneou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includes a reader, and includes a ZigBee, a Bluetooth or a Wi- terminal; A gateway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network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a management server; And a management server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gateway, wherein the gateway is capable of managing dispatch and shipment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tag, the gateway including a protocol of Zigbee, Bluetooth or Wi-Fi for receiving information of a network terminal Converts the protocol of ZigBee, Bluetooth or WiFi into a protocol of the integrated network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the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the moving position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 적재된 물품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더 포함하되, 센서는 센서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네트워크 단말기로 무게정보를 송신하며, 네트워크 단말기는 상기 무게정보를 게이트웨이를 통해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관리서버는 무게정보에 따라 차량에 적재된 물품의 (a) 상차 또는 하차 여부를 분석하고, (b) 차량이 배차 가능한 상태인지를 분석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nsor capable of sensing the weight of the article loaded on the vehicle, wherein the sensor is configured as a sensor network and transmits weight information to a network terminal, and the network terminal manages the weight information through a gateway (B) analyz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in a state capable of being dispatched; and (c) analyz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in a state capable of dispatching.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반의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은, 시스템 구현을 위해 별도의 통신망을 설치할 필요없이 기 설치된 통신망(지그비,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등)을 적용하기 때문에 설치구현 비용이 절감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한다.The gateway-based dispatch and dispatch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integrating the heterogeneou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ystem for implementing the system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communication network to be installed, This has a remarkable effect that is saved.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있어서, 공개적 기술(GPS)을 사용하지 않고 자체적인 통신망을 이용하기 때문에 차량의 위치가 제3 자에게 공개되지 않기 때문에 보안성이 증진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communication network without using a public technology (GPS) in order to grasp the position of the vehicl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vehicle is not disclosed to a third party, .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차량에 적재되는 무게를 감지할 수 있으며,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센서의 감지값을 관리서버가 수신하도록 하여 차량에 물품이 적재되는 상태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물품이 상차 중인지 또는 하차 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해당 차량이 배차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e weight of the vehicle loaded on the vehicle through a sensor provided in the vehicle, analyze the state of loading the article on the vehicle by allowing the management server to receive the sensing value of the sensor through the sensor network,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the article is being loaded or unloaded, and thus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available for dispatch.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반의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반의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반의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단말기가 분포된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반의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단말기, 게이트웨이 및 관리서버의 내부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반의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에서 운전자 단말기가 더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1 illustrate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gateway-based dispatch and shipment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integrating a heterogeneou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network terminal in a gateway-based dispatch and dispatch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integrating a heterogeneou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n example in which a network terminal is distributed in a gateway-based dispatch and dispatch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integrating a heterogeneou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network terminal, a gateway and a management server in a gateway-based dispatch and dispatch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integrating a heterogeneou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 driver terminal is further included in a gateway-based dispatch and dispatch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integrating a heterogeneou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and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escribed or specifically described with respect to a known configuration that can be easily add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Let the sound be revealed.

본 발명은 이기종 네트워크 간의 프로토콜을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를 기반하여 차량의 배차 및 출하를 관리할 수 있는,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atch and dispatch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managing vehicle dispatch and shipment based on a gateway capable of integrating protocols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여기서, 이기종 네트워크란 서로 다른 형식의 프로토콜을 갖는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주요하게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및 와이파이(Wi-fi)일 수 있다.
Here, the heterogeneous network means a network having protocols of different formats. In the present invention, Zigbee, Bluetooth, and Wi-fi may be us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반의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의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gateway-based dispatch and dispatch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integrating a heterogeneou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반의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1 illustrate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gateway-based dispatch and shipment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integrating a heterogeneou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른 본 발명은, 네트워크 단말기(100), 게이트웨이(200) 및 관리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1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include a network terminal 100, a gateway 200, and a management server 300.

네트워크 단말기(100)는 지그비, 블루투스 및/또는 와이파이를 각각 제공하는 것으로, 다수 지역에 분포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network terminal 100 provides ZigBee, Bluetooth and / or Wi-Fi, respectively, and can be installed to be distributed in a plurality of areas.

또한 네트워크 단말기(100)는 신규 설치되지 않아도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지그비, 블루투스 및/또는 와이파이를 채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network terminal 100 may employ ZigBee, Bluetooth, and / or WiFi that are installed in the network terminal 100 even if the network terminal 100 is not newly installed.

더불어, 네트워크 단말기(100)는 리더기를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한다.
In addition, the network terminal 100 may be designed to include a reader,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즉, 네트워크 단말기(100)는 리더기에 인식된 정보를 지그비,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network terminal 100 can provide the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reader to any one of ZigBee, Bluetooth, and Wi-Fi networks.

이와 같이 네트워크 단말기(100)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게이트웨이(200)로 전송될 수 있다.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network terminal 100 may be transmitted to the gateway 200 in this way.

이러한 네트워크 단말기(100)는 첨부된 도면의 도 2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도 3과 같이 다수 지역에 분포될 수 있다.The network terminal 100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2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may be distributed in a plurality of areas as shown in FIG.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반의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반의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단말기가 분포된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network terminal in a gateway-based dispatch and dispatch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integrating a heterogeneou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gateway-based dispatch and a gateway- And an example in which a network terminal is distributed in a shipping management system.

첨부된 도면의 도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단말기(100)는 단말장치(110) 및 송/수신장치(120)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network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a terminal device 110 and a transmitting / receiving device 120.

아울러, 도 3에서는 다수 지역에 분포되도록 설치된 네트워크 단말기(101, 102, 103, 104, 105 .. 100n)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대한 구체적은 설명은 후술한다.
In addition, FIG. 3 shows network terminals 101, 102, 103, 104, 105,... 100n installed to be distributed in a plurality of areas. 3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반의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단말기, 게이트웨이 및 관리서버의 내부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network terminal, a gateway and a management server in a gateway-based dispatch and dispatch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integrating a heterogeneou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의 도 4에 따른 네트워크 단말기(100)는, 단말장치(100) 및 송/수신장치(120)를 포함하며, 먼저 단말장치(100)는 리더기(111), 주 저장모듈(112), 저장모듈(113) 및 제1 커넥터 모듈(11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network terminal 100 according to FIG. 4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ncludes a terminal device 100 and a transmitting / receiving device 120. The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a reader 111, a main storage module 112, A storage module 113, and a first connector module 114, as shown in FIG.

리더기(111)는 소정의 정보를 인식하는 수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차량(10)에 구비된 태그의 정보를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reader 111 is a means for recogniz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and can perform a function of recognizing information of a tag provided in the vehicle 10 shown in Fig.

이때 리더기(111)는, 태그가 RFID 태그인 경우, RFID 리더기일 수 있으며, 적외선 발광장치인 경우, 적외선 수광장치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ader 111 may be an RFID reader when the tag is an RFID tag, and may be an infrared light receiving device when the RFID is an infrared light emitting device.

아울러, 상기의 태그 및 리더기는 통상의 기술자가 단순 설계 변경할 수 있는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tags and reader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in other forms that the ordinary technician can easily design and modify.

주 저장모듈(112)는 리더기(111)에서 인식된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리더기(111)에서 인식되는 정보는 차량(10)에 구비된 태그의 식별정보, 태그가 구비된 차량(10)의 정보(운전자, 적재 물품, 목적지 등)일 수 있다.
The main storage module 112 may store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reader 111. Specifically, the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reader 111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tag included in the vehicle 10, (Driver, loaded article, destination, etc.) of the vehicle 10 provided.

저장모듈(113)은 주 저장모듈(112)과 달리, 네트워크 단말기(100)의 자체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Unlike the main storage module 112, the storage module 113 may store information of the network terminal 100 itself.

예를 들어, 네트워크 단말기(100)가 설치된 위치정보 및/또는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위치정보 저장모듈 및 식별정보 저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network terminal 100 may store location information and /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etwork terminal 100, and may include 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module and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module.

설계 조건에 따라서 저장모듈(113)은, 주 저장모듈(112)과 단일로 설계될 수도 있다.
Depending on the design conditions, the storage module 113 may be designed as a single unit with the main storage module 112.

제1 커넥터 모듈(114)은 단말장치(110)가 송/수신장치(12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The first connector module 114 allows the terminal device 110 to be connected to the transmitting / receiving device 120.

송/수신장치(120)는 단말장치(110)의 리더기(111)가 인식하여 저장된 정보를 게이트웨이(2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transmitting / receiving apparatus 120 may perform a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reader 111 of the terminal device 110 to the gateway 200.

이를 위해 송/수신장치(120)는, 제2 커넥터 모듈(121), 근거리 통신 제공모듈(122), 보조 저장모듈(123) 및 연동모듈(124)을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transmitting / receiving device 120 may include a second connector module 121, a short-range communication provision module 122, an auxiliary storage module 123, and an interlocking module 124.

제2 커넥터 모듈(121)은 송/수신장치(120)가 단말장치(110)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 커넥터 모듈(121)은 제1 커넥터 모듈(114)과 연결되는 것으로, 제1, 2 커넥터 모듈은 각각 플러그와 잭(소켓)의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or module 121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110 by the transmitting / receiving device 120. That is, the second connector module 121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module 114,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 modules can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lug and a jack (socket), respectively.

근거리 통신 제공모듈(122)은 네트워크 단말기(100)가 게이트웨이(200)와 소정의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근거리 통신(네트워크)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local communication providing module 122 may perform a function of providing a local area communication (network) so that the network terminal 100 can exchange predetermined information with the gateway 200. [

즉, 설정에 따라 지그비,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ZigBee, Bluetooth or Wi-Fi can be selectively provided according to the setting.

보조 저장모듈(123)은 단말장치(110)에서 저장하고 있는 정보를 게이트웨이(200)에 전송하기에 앞서 가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auxiliary storage module 123 may perform a function of stor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device 110 before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gateway 200. [

여기서 가 저장이란, 임시 저장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보를 전송했던 이력을 임시로 저장하거나, 전송된 정보의 내용을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Herein, "temporary storage" means temporary storage, temporary storage of the history of transmission of the information, or temporary storage of the contents of the transmitted information.

또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보조 저장모듈(123)에 저장되었던 정보는 삭제(초기화)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Further,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module 123 may be deleted (initialized).

위와 같은 네트워크 단말기(100)는 다른 설계 조건에 따라서, 동작모드와 대기모드로 구분되어 모드 변경될 수 있다.The network terminal 100 may be classified into an operation mode and a standby mode according to different design conditions, and the mode may be changed.

이때 동작모드는, 네트워크 단말기(100)의 유효 통신범위 내에 태그가 부착된 차량(10)이 위치하여 인식되는 경우,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관리서버(300)와 통신하기 위한 액티브(Active) 상태의 모드를 의미한다.The operation mode is an active state for communicating with the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gateway 200 when the tagged vehicle 10 is located and recognized within the effective communication range of the network terminal 100 Quot; mode "

또한 대기모드는, 네트워크 단말기(100)의 유효 통신범위 내에 차량(10)이 위치하지 않거나 벗어난 경우, 다른 기능은 하지 않고, 인식 기능만 수행하도록 소량의 전력이 공급되는 인식을 위한 대기 상태의 모드를 의미한다.The standby mode is a standby mode for recognizing that a small amount of power is supplied so that only the recognition function is performed without any other function when the vehicle 10 is not located or is out of the effective communication range of the network terminal 100 .

즉 네트워크 단말기(100)는, 대기모드로 존재하다가 태그가 부착된 차량(10)이 위치하여 인식되는 경우, 동작모드로 변경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That is, the network terminal 100 can be designed to change to the operation mode when it is in the standby mode and the tagged vehicle 10 is located and recognized.

더불어, 전술된 설계를 위해 네트워크 단말기(10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모드에 대한 회로구성을 기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모드 변경 기능을 수행하는 모드변경모듈 및 모드에 따라 전력을 다르게 공급하는 전력공급조절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network terminal 100 may store the circuit configuration for the mode for the above-described design, and may include a mode change module for performing a mode change function, And a power supply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게이트웨이(200)는 네트워크 단말기(100)로부터 정보를 수신받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gateway 200 may perform a function of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network terminal 100.

따라서, 게이트웨이(200)는 상술된 지그비,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의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프로토콜 규격을 모두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gateway 200 may have all of the protocol standards for communicating via the above-described Zigbee, Bluetooth and Wi-Fi networks.

이를 위해 게이트웨이(200)는 송/수신모듈(210)을 포함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gateway 200 may include a transmit / receive module 210.

즉, 송/수신모듈(210)은 네트워크 단말기(100)와 정보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기 위하여 지그비,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에 따른 프로토콜 규격을 모두 구비하는 형태의 정보 송/수신을 위한 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That is, the transmitting / receiving module 21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 receive information in a form having both a protocol standard based on ZigBee, Bluetooth and Wi-Fi for transmitting and / or receiving information with the network terminal 100 .

아울러, 게이트웨이(200)는 네트워크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관리서버(3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ateway 200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network terminal 100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이때 관리서버(300)와의 정보 송/수신은, 통합된 형태의 통합 네트워크인 무선 인터넷망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망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선 인터넷망이 통신 유효거리가 넓기 때문이다.At this time, information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300 can use a wireless Internet network which is an integrated type integrated network. The reason for using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is that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has a wider communication effective distance.

예를 들어, 관리서버(300)는 특정 지역에 구비될 수밖에 없는 반면, 게이트웨이(200)는 정해진 지역이 아니라 소정의 지역에 분포될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넓은 범위의 유효거리를 갖는 네트워크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For example, while the management server 300 is bound to be located in a specific area, the gateway 200 can be distributed in a predetermined area rather than in a predetermined area, so that it is possible to employ a network having a widest range of effective distance .

이를 위해 게이트웨이(200)는 네트워크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관리서버(300)에 전송하기 위해 통합 네트워크의 프로토콜 규격으로 변환할 수 있는 프로토콜 변환 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gateway 200 may include a protocol conversion module 220 that can convert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network terminal 100 into a protocol standard of the integrated network in order to transmit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이와 같이 게이트웨이(200)는 프로토콜 규격을 변환시켜 정보를 관리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gateway 200 can convert the protocol standard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여기서, 관리서버(300)를 설명하기에 앞서 게이트웨이(200)의 다른 기능을 설명하고자 한다.Before describing the management server 300, other functions of the gateway 200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20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지그비, 블루투스 및/또는 와이파이의 프로토콜 규격을 통합 네트워크의 프로토콜 규격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만, 반대로 통합 네트워크의 프로토콜 규격을 각 네트워크 단말기(100)의 프로토콜에 맞춰 통신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gateway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function of converting the protocol standard of ZigBee, Bluetooth and / or WiFi into the protocol standard of the integrated network as described above, but conversely, 100)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관리서버(300)는 게이트웨이(2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송/수신모듈(310), 데이터베이스(320), 정보분석모듈(330), 및 교통정보 수집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anagement server 300 functions to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gateway 200 and includes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310, a database 320, an information analysis module 330, and a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340 can do.

송/수신모듈(310)은 관리서버(300)가 게이트웨이(200)와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310 enables the management server 300 to transmit or receive information to / from the gateway 200.

이때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게이트웨이(200)의 송/수신모듈(210) 및 관리서버(300)의 송/수신모듈(310)은 도면 부호를 통해 명확히 구분하여 작성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혼란이 없음을 미리 강조하는 바이다.Herei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210 of the gateway 200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310 of the management server 300 a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through reference numerals, so tha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I will emphasize beforehand.

또한, 관리서버(300)의 송/수신모듈(310)은 게이트웨이(200)와 통신하기 위하여 통합 네트워크의 프로토콜 규격을 구비하고 있음은 당연하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310 of the management server 300 has a protocol standard of the integrated network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 gateway 200.

데이터베이스(320)는 차량의 배차 및 출하를 관리하기 위한 소정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database 320 may store predetermined information for managing vehicle dispatch and shipment.

예를 들어, 차량을 관리하는 회사의 정보, 차량 정보, 운전자 정보, 지역정보, 후술될 교통정보 수집모듈을 통해 수집된 교통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For example, information on a company that manages a vehicle, vehicle information, driver information, local information, traffic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like can be stored.

여기서, 지역정보는 일정지역(차량이 주로 운행하는 지역)의 범죄발생확률, 범죄발생횟수 및 음습(陰濕)한 정도 등일 수 있다.Here, the local information may be a crime occurrence probability, a crime occurrence frequency, and a humiliation degree in a certain area (a region where the vehicle mainly operates).

이때, 범죄와 관련된 지역정보는 경찰서 등의 관할처의 데이터베이스와 연계시킬 수 있으며, 음습한 정도, 건물 밀집도 및 산악 구조 등은 GPS 기반의 지도를 이용하거나 사용자 경험 기반에 따라 저장된 정보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c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crime can be linked with a database of a police station or the like, and the degree of submersion, building density and mountain structure can be stored using the GPS-based map or the user experience base.

정보분석모듈(330)은, 네트워크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차량(10)의 상태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330 performs a function of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vehicle 10 by analyz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network terminal 100.

이를 위한 정보분석모듈(330)은, 차량위치판단유닛, 도착시간 산출유닛, 사고판단유닛 및 차량배차관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330 for this purpose may include a vehicl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an arrival time calculation unit, an accident determination unit, and a vehicle allocation management unit.

차량위치판단유닛은, 차량(10)의 위치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vehicl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can perform a function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10. [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11)를 부착하고 있는 차량(10)을 인식한 네트워크 단말기(100)의 리더기(111)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This can be done according to the reader 111 of the network terminal 100 recognizing the vehicle 10 to which the tag 11 is attached as shown in Fig.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다시 도 3을 참조한다.To further illustrate this, reference is made again to FIG.

도 3에서는 다수 지역에 분포되도록 설치된 네트워크 단말기(101, 102, 103, 104, 105 .. 100n)를 나타내고 있으며, 차량(1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는 다수 지역에 분포된 네트워크 단말기들이 각각의 유효 통신범위(CA-1, CA-2, CA-3, CA-4, CA-5 .. CA-n, CA, Communty Area)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3 shows network terminals 101, 102, 103, 104, 105,... 100n installed to be distributed in a plurality of areas and shows a vehicle 10, CA-1, CA-2, CA-3, CA-4, CA-5 .. CA-n, CA, Communty Area).

이때, 도 3에 따르면, CA-2의 유효 통신범위를 갖는 네트워크 단말기(102)에서 차량(10)이 인식된 경우, 네트워크 단말기(102)는 자신의 위치정보, 식별정보 및 차량 인식정보(차량정보, 운전자정보 등)를 관리서버(300)로 전송하여 차량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3, when the vehicle 10 is recognized by the network terminal 102 having the effective communication range of CA-2, the network terminal 102 transmits its positional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driver information, etc.)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so as to grasp the position of the vehicle.

도착시간 산출유닛은, 차량(10)이 출발지점을 출발하여 도착지점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arrival time calculating unit may calculate the time required for the vehicle 10 to arrive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arrival point.

또한, 차량위치판단유닛을 통해 판단된 차량(10)의 위치에서부터 도착지점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할 수도 있다.
Also, the time required for arriving from the position of the vehicle 10 determined by the vehicl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to the arrival point may be calculated.

도 3을 참조하여 CA-1의 유효 통신범위를 갖는 네트워크 단말기(101)가 차량(10)의 출발지점이고, CA-n의 유효 통신범위를 갖는 네트워크 단말기(100n)가 차량(10)의 도착지점인 경우로 예를 들면, (a) 네트워트 단말기(101)에서부터 네트워크 단말기(100n)의 위치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하거나, (b) 차량(10)의 위치가 판단된 네트워크 단말기(102)에서부터 네트워크 단말기(100n)의 위치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하는 것이다.
The network terminal 101 having the effective communication range of CA-1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vehicle 10 and the network terminal 100n having the effective communication range of CA-n is the arrival point of the vehicle 10 For example, (a) calculating the time required for the vehicle 10 to arrive from the network terminal 101 to the location of the network terminal 100n; (b) To the location of the network terminal 100n.

이때 도착시간의 소요는 교통정보시스템(Traffic Information System)과 연계하여 교통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차량 주행에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ime required for the arrival time can be calculated by collecting traffic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the traffic information system, thereby calculating the time required for driving the vehicle.

이를 위해 관리서버(300)는, 교통정보 수집모듈(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For this, the management server 300 may further include a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340.

즉, 교통정보 수집모듈(340)은 교통정보시스템과 연계되어 도로 막힘 등의 교통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at is, 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340 can perform a function of collecting traffic information such as road blockage in connection with the traffic information system.

다른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차량이 일정위치에 머물러 있는 시간에 따라 해당 차량이 도착지점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other design conditions,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time required for the vehicle to arrive at the arrival point according to the time the vehicle stays at a certain position.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차량(10)이 CA-2의 네트워크 단말기(102)에서 위치가 판단되었는데, 10분 동안 동일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또 다른 네트워크 단말기(103)에서 10분 동안 정차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차량(10)이 주행하는데, 도로 막힘 현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when the vehicle 10 is determined to be located at the network terminal 102 of the CA-2,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10 is in the same position for 10 minute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10 is stoppe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re is a road clogging phenomenon when the vehicle 10 is traveling.

아울러, 차량(10)은 태그(11)를 구비하고 있고, 네트워크 단말기(100)의 리더기(111)에 인식되는 점을 이용하여 태그가 리더기에 인식되는데까지 소요된 시간을 분석함으로써, 차량(10)의 주행속도를 산출하고, 이에 따라 차량이 각 네트워크 단말기(101 내지 100n)의 구간별 통과 속도를 산출하여 도착시간을 산출할 수도 있다.
The vehicle 10 has the tag 11 and analyzes the time taken for the tag to be recognized by the reader using the point recognized by the reader 111 of the network terminal 100 so that the vehicle 10 , And the vehicle may calculate the arrival time by calculating the passing speed of each network terminal 101 to 100n for each section.

사고판단유닛은 차량위치판단모듈(330)에서 위치가 판단된 차량(10)이 일정시간 이상 머무르면 해당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accident determination unit can perform a function of determining that an accident has occurred in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10 whose position is determined by the vehicle position determination module 330 remain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예를 들어, 해당 차량이 위치가 판단된 지점에서 30분을 초과하여 정차하는 경우, 해당 차량이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vehicle stops at a point where the position is judged to be over 30 minutes,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vehicle has caused an accident.

그러나 상기의 30분은 본 발명을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며, 사고 판단의 기준이 되는 일정시간은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된 지역정보에 근거하여 달라질 수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30 minutes is exemplarily explained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determined time which is the basis of the accident judgment can be changed based on the area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320.

예컨대, CA-2의 유효 통신범위를 갖는 네트워크 단말기(102)가 설치된 위치가 범죄(교통사고 포함)발생확률이 높거나, 범죄(교통사고 포함)발생횟수가 잦은 경우, 차량(10)의 사고를 판단하는 일정시간을 짧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location where the network terminal 102 having the effective communication range of the CA-2 is installed is high in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a crime (including a traffic accident) or frequent occurrence of a crime (including a traffic accident)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predetermined time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time difference.

그러나 사고 판단의 기준이 되는 일정시간은, 도로막힘 현상 등으로 인해 정차해 있는 시간보다 길게 설정해야 한다.
However, it is necessary to set the fixed time that is the basis of accident judgment to be longer than the stopping time due to road clogging.

이와 같이 차량(10)의 사고를 판단할 수 있는 기능에 따라 본 발명은, 전복사고 등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 목격자가 없거나 운전자가 의식을 잃어 신고가 불가능하다고 하더라도, 관리서버(300)가 자체적으로 사고를 판단함으로써, 사고에 대한 후속조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judging the accident of the vehicle 10 in this 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accident occurs in a vehicle such as an overturning accident, even if the witness is not present or the driver is unconscious and can not report it, By self-judging the accident, follow-up actions can be taken quickly.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차량(10)에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차량(10)의 운전자에게 사고를 확인하는 절차가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sign conditions,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accident has occurred in the vehicle 10, a procedure for confirming an accident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10 can be performed.

예를 들어, 운전자가 소지한 단말기에 문자 또는 팝업 형태의 알림을 전송하거나 자동 통화를 연결함으로써, 사고 판단의 정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ccuracy of an accident judgment by transmitting a notice in the form of a character or a pop-up to a terminal carried by a driver or by connecting an automatic call.

다른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차량(10)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관리서버(300)는 관할 지방의 경찰서 등에 사고를 자동으로 접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신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이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According to other design conditions,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accident has occurred in the vehicle 10, the management server 300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receive an accident in a local police station or the like. It is needless to say that a configuration capable of performing the report function at this time can be further include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반의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은 차량(10)에 적재된 물품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서를 센서 네트워크로 구성할 수 있다.The gateway-based dispatch and dispatch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integrating a heterogeneou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nsor capable of sensing the weight of the goods loaded on the vehicle 10, have.

이를 위해 차량(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정보를 출력하는 태그(11)와 센서 네트워크 가능한 센서네트워킹모듈(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를 통해 센싱값은 지그비, 블루투스 및/또는 와이파이를 통해 네트워크 단말기(100)에 전송될 수 있다.For this, the vehicle 10 may include a tag 11 for outputt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and a sensor networking module 12 capable of performing a sensor network, as shown in FIG. 4, and the sensor value may be ZigBee, Bluetooth, / RTI > and / or < / RTI >

또한, 관리서버(300)의 정보분석모듈(330)은 차량배차관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330 of the management server 300 may include a vehicle allocation management unit.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차량(10)에 적재된 물품이 상차되는 중인지 또는 하차되는 중인지를 분석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analyze whether the article loaded on the vehicle 10 is being loaded or unloaded.

이는, 센서를 통해 차량(10)에 적재된 물품의 무게가 증가되는지 또는 감소되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적재된 물품의 무게가 증가되는 경우, 상차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적재된 물품의 무게가 감소되는 경우, 하차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is can be done by determining whether the weight of the article loaded on the vehicle 10 through the sensor is increased or decreased. For example, if the weight of the loaded article is increased, , And if the weight of the loaded goods decreases, it can be judged that the vehicle is getting off.

또한 차량(10)의 상/하차 여부를 판단하거나 차량에 적재된 물품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구분할 수 있어서, 해당 차량이 배차 가능한 상태에 있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10 is up / down or whether there is no article loaded on the vehicle, so that it is possible to analyze whether the vehicle is in a state capable of dispatching.

아울러, 차량(10)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차량(10)에 적재되는 물품의 과적(過積) 정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e degree of overload of an article to be loaded on the vehicle 10 through a sensor provided in the vehicle 10.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차량(10)에 적재되는 물품이 과적되는 경우, 이를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알릴 수 있는 인디케이션 수단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if the article to be loaded on the vehicle 10 is overloaded, it may further include indicator means for visually and / or audibly informing the articl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반의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단말기(100)의 송/수신장치(120)는 연동모듈(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gateway-based dispatch and dispatch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integrating the heterogeneou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 120 of the network terminal 100 may further include an interworking module 124.

연동모듈(124)은 네트워크 단말기(100) 간에 연동 동작되어 소정의 정보를 전송하는 데 있어서, 보다 원활한 정보전송을 돕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interworking module 124 may interwork with the network terminals 100 to perform a function of facilitating smooth information transmission in transmitt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이를 첨부된 도면의 도 5를 통해 설명한다.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반의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단말기의 유효범위가 중복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FIG. 5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effective range of a network terminal is overlapped in a gateway-based dispatch and dispatch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integrating a heterogeneou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의 도 5와 같이 2개 이상의 네트워크 단말기(100)의 유효 통신범위가 중복되는 경우, 하나의 네트워크 단말기는 와이파이(Wi-Fi)를 제공하고, 다른 하나의 네트워크 단말기는 블루투스(Bluetooth)를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n two or more network terminals 100 overlap effective communication ranges, one network terminal provides Wi-Fi and the other network terminal receives Bluetooth, Can be provided.

이때 차량(10)의 정보를 인식하여 관리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는 네트워크 단말기가 복수인 경우에는 관리서버(300)의 정보 수신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중복된 유효 통신범위를 갖는 네트워크 단말기들 간에 연동할 수 있는 구성을 추가로 마련하는 것이다.
In this cas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network terminals capable of recognizing the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an error may occur in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0, To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이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네트워크 단말기(100)에 별도의 태그 구성을 더 마련함으로써, 상호 간에 연동 동작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network terminal 10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tag configuration so that the network terminal 100 can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예를 들어, 네트워크 단말기에 구비된 태그에 네트워크 단말기가 설치된 지역의 지리정보(산악 구조 및 건물 밀집 정도 등)를 기저장하도록 구성하고, 만일 차량(10)이 다수의 네트워크 단말기의 유효 통신범위가 중복되는 지점에 위치하면, 해당 차량(10)을 인식한 네트워크 단말기 중, 상기 지리정보에 따라 관리서버(300)에 정보를 전송할 네트워크 단말기(100)를 네트워크 단말기들끼리 선택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For example,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the mountainous structure and the density of buildings) of the area where the network terminal is installed may be stored in the tag provided in the network terminal. If the vehicle 10 has a valid communication range of a plurality of network terminals The network terminal 100 is configured to select the network terminal 100 that will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among the network terminals that have recognized the vehicle 10 when they are located at the overlapping points.

더 구체적으로, 만일 설치된 지역이 건물이 다수 밀집된 지역인 경우, 도 5의 경우 와이파이 통신망은 건물에 의해 통신 주파수가 소실될 수 있기 때문에 와이파이에 비해 통신 거리가 큰 블루투스를 통해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More specifically, if the installed area is a region with many buildings, in the case of FIG. 5, since the communication frequency may be lost by the building in the case of the Wi-Fi communication network, th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hrough Bluetooth It is possible.

나아가, 본 발명은 차량 운전자가 차량(10)을 벗어나 이탈하는 행위를 판단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judge the behavior in which the vehicle driver leaves the vehicle 10 and departs.

이를 첨부된 도면의 도 6을 통해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반의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에서 운전자 단말기가 더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FIG. 6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 driver terminal is further included in a gateway-based dispatch and dispatch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integrating a heterogeneou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의 도 6에 따른 본 발명은, 차량(10)에 구비된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리더기(제2 리더기(21))가 포함된 운전자 단말기(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6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further include a driver terminal 20 including a reader (second reader 21) capable of recognizing a tag included in the vehicle 10. [

여기서, 운전자 단말기(20)는 운전자용 PDA 또는 스마트 단말기(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아이폰, 아이패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리더기를 구비하고 있으면 충분하다.
Here, the driver terminal 20 may be a PDA for a driver or a smart terminal (smart phone, smart pad, iPhone, iPad), and it may suffice to include a reader capable of recognizing the tag.

또한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운전자 단말기(20)가 차량(10)에 구비된 태그(11)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유효 통신범위에 있는 네트워크 단말기(100)에 이를 통보하도록 구성할 수 있도록 통신수단을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Also,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en the driver terminal 20 detects that the driver terminal 20 deviates from the tag 11 provided on the vehicle 10,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be configured to notify the network terminal 100 in the effective communication range of communication It is of course possible to include means.

예를 들어, 운전자 단말기가 스마트 단말기인 경우, 와이파이 및/또는 블루투스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는 경우, 유효 통신범위 내에 있는 와이파이 및/또는 블루투스의 프로토콜을 갖는 네트워크 단말기(100)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driver terminal is a smart terminal,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network terminal 100 having a protocol of Wi-Fi and / or Bluetooth within the effective communication range when using the Wi-Fi and / or Bluetooth. .

이로써, 본 발명은 차량(10)의 운전자가 고의적으로 이탈하는 경우 외에 범죄행위로 인해 납치되거나 행방불명되는 경우에도 보다 용이하게 위치를 파악하고 추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grasp and track the position of the vehicle 10 even when the driver of the vehicle 10 deliberately departs from the vehicle 10, even if the vehicle 10 is kidnapped or missing due to a criminal act.

아울러, 운전자 단말기(20)가 차량(10)에서 벗어남을 판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운전자의 차량(10) 이탈 행위를 판단할 수 있고,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driver's terminal 20 is off the vehicle 10, thereby determining the driver's departure behavior of the vehicle 10 and preventing the driver's deviation.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반의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은, 시스템 구현을 위해 별도의 통신망을 설치할 필요없이 기 설치된 통신망(지그비,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등)을 적용하기 때문에 설치구현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The gateway-based dispatch and dispatch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integrating the heterogeneou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ystem for implementing the system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communication network to be installed, Can be saved.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있어서, 공개적 기술(GPS)을 사용하지 않고 자체적인 통신망을 이용하기 때문에 차량의 위치가 제3 자에게 공개되지 않기 때문에 보안성이 증진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own communication network without using the public technology (GPS) in order to grasp the position of the vehicle, security can be improved because the position of the vehicle is not disclosed to a third party.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차량에 적재되는 무게를 감지할 수 있으며,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센서의 감지값을 관리서버가 수신하도록 하여 차량에 물품이 적재되는 상태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물품이 상차 중인지 또는 하차 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해당 차량이 배차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e weight of the vehicle loaded on the vehicle through a sensor provided in the vehicle, analyze the state of loading the article on the vehicle by allowing the management server to receive the sensing value of the sensor through the sensor network,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the article is being loaded or unloaded, and thus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in a dispatchable state.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6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 to 6 are merely the main poi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arious designs can be mad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configurations of Figs. 1 to 6 It is self-evident.

10 : 차량 11 : 태그
12 : 센서네트워킹모듈 20 : 운전자 단말기
21 : 제2 리더기 100 : 네트워크 단말기
110 : 단말장치 111 : 리더기
112 : 주 저장모듈 113 : 저장모듈
114 : 제1 커넥터 모듈 120 : 송/수신장치
121 : 제2 커넥터 모듈 122 : 근거리 통신 제공모듈
123 : 보조 저장모듈 124 : 연동모듈
200 : 게이트웨이 210 : 송/수신모듈
220 : 프로토콜 변환 모듈 300 : 관리서버
310 : 송/수신모듈 320 : 데이터베이스
330 : 정보분석모듈 340 : 교통정보 수집모듈
10: vehicle 11: tag
12: Sensor networking module 20: Driver terminal
21: second reader 100: network terminal
110: terminal device 111: reader
112: main storage module 113: storage module
114: first connector module 120: transmitting / receiving device
121: second connector module 122: short-range communication providing module
123: auxiliary storage module 124: interlocking module
200: gateway 210: transmitting / receiving module
220: protocol conversion module 300: management server
310: Transmitting / receiving module 320: Database
330: information analysis module 340: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Claims (8)

리더기를 포함하고, 지그비,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각각 제공하여 상기 리더기의 정보를 송신하는 네트워크 단말기;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서버에 송신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태그가 구비된 차량의 배차 및 출하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지그비,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의 프로토콜을 구비하며,
상기 지그비,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의 프로토콜을 통합 네트워크의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차량의 이동 위치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이 판단된 위치에서 일정시간 이상 머물러 있는 경우,
사고로 판단할 수 있고,
일정 지역의 범죄발생확률, 범죄발생횟수, 및 음습한 정도를 포함하는 지역정보를 기저장하되,
상기 지역정보에 따라 사고로 판단될 수 있는 차량이 머무르는 시간을 다르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반의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
A network terminal including a reader,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of the reader by providing ZigBee, Bluetooth or Wi-Fi, respectively; A gateway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network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a management server; And a management server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gateway, the system comprising:
The gateway comprises:
A protocol of ZigBee, Bluetooth or WiFi for receiving information of the network terminal,
Converts the protocol of the Zigbee, Bluetooth or Wi-Fi to a protocol of the integrated network, and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The moving position of the vehicle can be determined,
When the vehicle stays at the determined position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I can judge by accident,
(1) the local information including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a crime,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crime, and the degree of humiliation in a certain area,
Wherein the gateway is capable of integrating a heterogeneous network, wherein the vehicle can be judged to be an accident according to the local inform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적재된 물품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서는,
센서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로 무게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반의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hicle further includes a sensor capable of sensing the weight of the loaded article,
The sensor includes:
And a sensor network, and transmits the weight information to the network terminal. The gateway-based dispatch and dispatch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차량에 적재된 물품의 (a) 상차 또는 하차 여부를 분석하고, (b) 차량이 배차 가능한 상태인지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반의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gateway-based dispatch and dispatch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integrating a heterogeneou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a) whether the goods loaded on the vehicle are loaded or unloaded is analyzed, and (b)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차량이 일정위치에 머물러 있는 시간에 따라 해당 차량이 도착지점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반의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Wherein the time required for the vehicle to arrive at the arrival point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time the vehicle stay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교통정보시스템과 연계되어 교통정보를 수집하되,
상기 차량이 판단된 위치의 교통정보에 따라 해당 차량이 도착지점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반의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Traffic information is collected in connection with the traffic information system,
Wherein the time required for the vehicle to arrive at the arrival point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traffic information of the location where the vehicle is judg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구비된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리더기가 포함된 운전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운전자 단말기가 상기 태그로부터 일정범위를 초과하여 벗어나는 경우,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반의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river terminal including a reader capable of recognizing a tag provided in the vehicle,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driver has departed from the vehicle when the driver terminal deviates from the tag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range.
KR1020140067179A 2014-06-02 2014-06-02 System for managing allocation of car and shipment product based by gateway possible to combining different network KR1015219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179A KR101521970B1 (en) 2014-06-02 2014-06-02 System for managing allocation of car and shipment product based by gateway possible to combining different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179A KR101521970B1 (en) 2014-06-02 2014-06-02 System for managing allocation of car and shipment product based by gateway possible to combining different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1970B1 true KR101521970B1 (en) 2015-05-21

Family

ID=53395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179A KR101521970B1 (en) 2014-06-02 2014-06-02 System for managing allocation of car and shipment product based by gateway possible to combining different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197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30546B2 (en) 2016-01-04 2019-03-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Network apparatus for interconnecting heterogeneous networks and interconnecting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4388U (en) * 1996-03-11 1997-10-13 박병용 Car theft protector
KR20070069239A (en) * 2005-12-28 2007-07-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Shuttle vehicle of conveying objec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044428A (en) * 2007-10-31 2009-05-07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Admistration system for common use vehicle using rfid
KR20130044828A (en) * 2011-10-25 2013-05-03 주식회사 케이티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heterogeneous equipme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4388U (en) * 1996-03-11 1997-10-13 박병용 Car theft protector
KR20070069239A (en) * 2005-12-28 2007-07-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Shuttle vehicle of conveying objec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044428A (en) * 2007-10-31 2009-05-07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Admistration system for common use vehicle using rfid
KR20130044828A (en) * 2011-10-25 2013-05-03 주식회사 케이티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heterogeneous equipm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30546B2 (en) 2016-01-04 2019-03-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Network apparatus for interconnecting heterogeneous networks and interconnect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527B1 (en) Smart port system for BLE beacon-based port incoming and outgoing vehicle management
EP3248423B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d provisioning location information of wireless devices
US860671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aying public transportation fare via mobile device
CN100362364C (en) Location, communication and tracking systems
CN102682620B (en) The perception of container hargour travel condition of vehicle and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KR20070110574A (en) Information traffic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CN10117160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cargo state in a delivery vehicle
US201100547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bi-directional wireless information transfer
CN106352966B (en) The Super leaning load detection method and system of track train
CN105070089A (en) Personalized traffic information service system with man and vehicle collaboration and method
JP2017072921A (en)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vehicle device
US201602400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 moveable asset transported by a vehicle
WO2006025669A1 (en) A device for automatically detecting separation of a train formation
KR101521970B1 (en) System for managing allocation of car and shipment product based by gateway possible to combining different network
KR101994171B1 (en) Alarming system for bus arrival
KR101313721B1 (en) Positional recognition system by wireless communication
KR101850610B1 (en)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Safety, Security and Tracking with RTLS
JP2009229175A (en) Position detection system and management system using this
KR20090055541A (en) Intelligent taxi platform system
US20230009721A1 (en)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and device and method thereof
JP5439335B2 (en) Moving path detection system and method
KR101608439B1 (en) Intergrated management system for container information using machine to machine
KR102316482B1 (en) Method for detecting location of goods in smart ware house
KR20160023983A (en) System for providing taxi riding service by using beacon device
KR102190668B1 (en) System for Location Trac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