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1562B1 - 차체 프레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차체 프레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1562B1
KR101521562B1 KR1020140053176A KR20140053176A KR101521562B1 KR 101521562 B1 KR101521562 B1 KR 101521562B1 KR 1020140053176 A KR1020140053176 A KR 1020140053176A KR 20140053176 A KR20140053176 A KR 20140053176A KR 101521562 B1 KR101521562 B1 KR 101521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am
frame
stopper block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주) 아인스오토메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인스오토메이션 filed Critical (주) 아인스오토메이션
Priority to KR1020140053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5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버 헤드 컨베이어로 차체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기계부품을 장착하는 조립 라인에 적용되어, 행거에 매달린 차체 프레임을 간이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고정장치와 관련되며, 실시예로 지면에서 인출되어 상부에 위치하는 차체 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으로, 탄성적으로 벨트띠를 말아 보관하는 벨트하우징, 상기 벨트하우징에서 인출된 벨트띠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차체 프레임에 걸 수 있는 후크, 상기 벨트띠의 일면에 위치하는 스톱퍼블록, 상기 벨트띠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스톱퍼블록과 마주하게 위치하여, 회전에 따라 상기 벨트띠를 상기 스톱퍼블록에 가압하여 상기 벨트띠를 물어 고정하는 캠 및 상기 캠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캠과 함께 회전 가능하고 상기 캠이 벨트띠를 물어 고정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탄성 있게 회전시키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차체 프레임 고정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차체 프레임 고정장치{Fixing equipment for the frame of vehicle}
본 발명은 오버 헤드 컨베이어로 차체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기계부품을 장착하는 조립 라인에 적용되어, 행거에 매달린 차체 프레임을 간이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고정장치와 관련된다.
자동차 조립 라인을 구성함에 있어서 오버 헤드 컨베이어 방식은 조립 라인 경로의 자유로운 선정이 가능하고, 지상의 공간 활용성을 좋게 하며 인체에 적합한 조립 자세가 가능하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오버 헤드 컨베이어에 구비된 행거에는 차체 프레임을 안치하고, 각 공정을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기계부품을 장착하게 된다. 이때 차체 프레임은 행거에 살짝 올려진 상태로 행거의 절곡된 하단부가 프레임을 떠받치고 있을 뿐 별도로 행거와 프레임을 결속하지는 않는다.
하부에서 상승되어 조립대상이 되는 기계부품은 엔진, 미션, 차축 등 다양하다. 이 기계부품들은 대개 부피가 크고 무거워 사람이 직접 들고 장착하기가 매우 곤란하다. 따라서 장착할 기계부품은 지면에 구비된 리프트를 통해 프레임까지 올려놓고 차체에 연결하게 된다. 이때 리프트에 의해 상승하는 기계부품이 프레임과의 조립위치를 정확히 맞춘 상태에서 최종 진입하도록 리프트의 상단부는 기계부품이 평면상에서 조금씩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승하는 기계부품의 위치가 틀어져 제 조립 위치를 벗어날 수 있다. 이 경우 잘 못된 위치에서 상승한 기계부품이 프레임을 들어올리게 되며, 프레임은 행거의 단부에서 떨어져 들리게 된다. 이후 리프트를 재하강시키고 기계부품의 위치를 수정한 후 다시 상승시키게 되는데, 들렸던 프레임이 행거로 다시 안착되는 과정 중에 행거에 오른 프레임의 초기 위치가 틀어지게 된다. 프레임 위치의 변경은 이후 남은 조립 작업에 영향을 미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6-0031310호 (1996.09.17)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54337호 (2007.05.29)
본 발명은 행거에 안치되어 이송되는 차체 프레임이 오조립 위치에서 상승하는 기계부품에 의해 행거로부터 들려지면서 제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장치를 제시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지면에서 인출되어 상부에 위치하는 차체 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으로, 탄성적으로 벨트띠를 말아 보관하는 벨트하우징, 상기 벨트하우징에서 인출된 벨트띠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차체 프레임에 걸 수 있는 후크, 상기 벨트띠의 일면에 위치하는 스톱퍼블록, 상기 벨트띠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스톱퍼블록과 마주하게 위치하여, 회전에 따라 상기 벨트띠를 상기 스톱퍼블록에 가압하여 상기 벨트띠를 물어 고정하는 캠 및 상기 캠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캠과 함께 회전 가능하고 상기 캠이 벨트띠를 물어 고정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탄성 있게 회전시키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차체 프레임 고정장치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스톱퍼블록과 상기 캠은 상기 벨트하우징의 인출구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스톱퍼블록은 하부로 갈수록 상기 벨트띠로부터 멀어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캠은 회전에 따라 상기 경사면을 향하여 상기 벨트띠를 가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지면 상에 설치되는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벨트하우징, 상기 스톱퍼블록 및 상기 캠이 설치되고, 상기 레버부는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서 상기 캠에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레버프레임, 상기 케이스의 전방으로 연장된 상기 레버프레임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발판 및 상기 레버프레임의 타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레버프레임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보다 높게 솟은 포스트가 설치되고, 상기 포스트의 상단부에는 상기 후크를 임시로 걸어두는 장착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조립 위치에서 상승한 기계 부품 등에 의해 차체 프레임이 행거에서 들려지면서 차체 프레임의 위치가 틀어지지 아니하게 되어 조립성이 개선된다. 범용적이 사용이 가능하여 다른 차종에도 바로 적용이 가능하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체 프레임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나타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장착대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또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체 프레임 고정장치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체 프레임 고정장치와 그 주요부가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차체 프레임 고정장치(100)는 벨트하우징(10), 후크(20), 스톱퍼블록(30), 캠(35) 및 레버부(40)를 포함한다.
벨트하우징(10)은 직물로 짜여 휨이 가능한 벨트띠(11)를 말아 보관하는 부재이다. 벨트띠(11)는 일정한 폭을 가지는 것으로 거의 늘어나지는 않지만 휘어짐은 가능하다.
벨트하우징(10)은 긴 벨트띠(11)를 디스크 형태로 탄성적으로 말아 보관하는 것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벨트띠를 감아주는 축과, 축에 연결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한다. 이러한 벨트하우징의 구성은 자동차 안전 시트 벨트와 같은 구성일 수 있다.
벨트하우징(10)은 지면과 가까이 위치하며, 벨트띠(11)가 출납하는 인출구(12)는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벨트하우징(10)은 지면에 고정되는 케이스(5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벨트하우징(10)에서 인출된 벨트띠(11)의 단부에는 후크(20)가 연결되어 있다. 후크(20)는 갈고리 형태로 차체 프레임에 걸릴 수 있다. 도면에서 후크(20)는 갈고리 형상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차체 프레임에 임시로 걸어 둘 수 있는 형태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후크(20)를 상부로 잡아 당기면 벨트하우징(10)에서 벨트띠(11)가 인출되면서 나오게 된다. 다시 후크(20)를 내리면 벨트하우징(10) 내부에 구비된 탄성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벨트띠(11)가 벨트하우징(10)으로 들어가 말리게 된다. 이때 벨트하우징(10)이 벨트띠(11)를 감는 방향으로 당기게 되므로, 후크(20)와 벨트하우징(10) 간의 벨트띠(11)는 항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스톱퍼블록(30)과 캠(35)은 벨트하우징의 인출구 근방에서 벨트띠(1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스톱퍼블록(30)은 벨트띠(11)의 일면에서 벨트띠(11)와는 약간의 간격을 두고 떨어지게 위치한다.
캠(35)은 벨트띠(11)의 후면과 인접하게 위치하며, 캠(35)은 회전에 따라 스톱퍼블록(30)에 접하게 된다. 이때 캠(35)과 스톱퍼블록(30) 사이에 놓인 벨트띠(11)는 좁아진 캠(35)과 스톱퍼블록(30) 사이에 물려져 고정된다.
스톱퍼블록(30)와 캠(35)은 케이스(5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케이스(50)의 내부에 벨트하우징(10), 스톱퍼블록(30) 그리고 캠(35)을 설치함으로써, 벨트띠(11)의 출납과 인출된 벨트띠(11)를 고정하는 기능이 케이스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레버부(40)는 캠(35)과 함께 회전하여 캠(35)이 벨트띠(11)를 물어 고정하도록 하는 작동수단이 된다. 특히 레버부(40)에는 캠(35)이 벨트띠(11)를 물어 고정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벨트띠를 인출하거나 다시 원위치시킬 때에는 레버부를 작동하여야 하고, 그렇지 아니한 평상시에는 캠에 의해 고정된 벨트띠가 임의로 벨트하우징으로 회수되지 않게 된다.
케이스(50)가 지면 가까이 설치되는 경우, 기계부품(P)을 설치하는 작업자가 손쉽게 레버부(4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레버부(40)에는 발판이 연결될 수 있다. 오버 헤드 컨베이어에 매달린 차체 프레임에 기계장치를 조립하는 작업자는 대부분 서서 작업하게 되고, 이러한 작업자는 차체에 후크를 연결하려는 때에 레버부를 발로 밟아 벨트띠의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케이스(50)는 지면 가까이에 설치된다.
또한 레버부(40)에는 레버프레임(41), 발판(42) 및 스프링(43)이 포함된다.
레버프레임(41)은 케이스(50)의 양측면에 위치하며, 캠(35)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있다. 그에 따라 레버프레임(41)은 캠(35)과 함께 회전된다.
케이스(50)의 전방으로 뻗은 양 레버프레임(41)의 일단부에는 발판(42)이 연결되어 있다. 발판(42)의 상부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43)은 레버프레임(41)의 타단부에 장착되어 캠(35)이 벨트띠(11)를 구속하는 방향으로 레버프레임(41)을 회전시키게 된다. 스프링(43)의 복원력에 의해 항시 타단부가 당겨지는 레버프레임(41)은 발판이 들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차체 프레임 고정장치(100)에는 포스트(60)와 장착대(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포스트(60)는 상단이 케이스보다 높게 솟은 부재로, 그 상단부에 구비된 장착대(60)는 후크를 임시로 걸어둘 수 있게 한다.
포스트(60)는 케이스에 연결되거나, 지면에 연결될 수 있다. 길게 세워진 포스트(60)의 높이는 후크를 임시로 걸어두었다가 다시 취하는 높이와 관련되며, 작업자의 편의를 위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장착대(60)는 차체 프레임에 후크를 걸어두지 아니하는 때에 후크(20)가 잠시 대기시키는 것으로, 후크(20)의 형상에 대응하여 후크가 걸리는 형상을 갖는다.
후크(20)를 차체 프레임에 걸어 사용하지 아니하는 때에, 후크(20)를 장착대(60)에 임시로 걸어둘 수 있게 된다.
만일 장착대가 없다면, 벨트하우징의 작동에 의해 후크는 케이스의 상단까지 내려갈 것이고, 다시 후크를 사용하려면 사용자가 허리를 숙여 후크를 집고 대략 차체 높이까지 길게 잡아 당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
적정한 높이에 장착대(60)를 설치하여 둠으로써 작업자가 후크(20)를 차체 프레임까지 잡아 당겨야 하는 길이를 줄일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도가 줄어들게 된다.
도 1과 도 5를 참고하면, 장착대(60)는 후크(20)가 장착대(60)에 걸려 있음을 확인하는 감지센서(74)를 구비할 수 있다.
조립이 완료된 이후 다음 조립 공정으로 이동하여야 하는 차체 프레임에 후크가 여전히 결려 있다면, 컨베이어를 작동시켜 차체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과정 중에 차체 프레임 고정장치 또는 차체 프레임에 손상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조립 완료 후 차체 프레임을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키기 전에 차체 프레임에 걸어 두었던 후크를 탈거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 부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장착대(60)는 시소유닛(71), 감지센서(74) 및 회전각도제한돌기(75)를 포함한다.
시소유닛(71)은 포스트의 상부에 시소 운동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 막대부재이다. 시소유닛(71)의 일단부에는 후크(20)가 걸리는 자착부(7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자착부(72)는 후크(20)의 형상에 따라 링, 단턱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시소유닛(71)의 타단부는 일단부보다 무게가 무겁도록 형성한 무게부(73)가 구비된다.
여기서 무게부(73)는 후크(20)가 장착부에 걸리지 아니한 상태에서 시소유닛(71)의 무게 중심에 따라 타단부가 하강하도록 하는 것으로, 별도의 무게추를 달아 구성하거나 일단부보다 더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후크(20)를 장착부에 걸어두지 않는 상태에서는 시소유닛(71)의 타단부가 일단부보다 무거우므로, 장착부가 구비된 일단부는 올라가고 무게부가 타단부가 하강하게 된다. 한편 자착부(72)에 후크(20)를 걸면 후크의 무게와 후크를 잡아 당기는 벨트띠의 장력에 의해 시소유닛(71)은 타단부가 들려지게 된다.
회전각도제한돌기(75)는 시소운동하는 시소유닛(71)의 회전각을 일정 범위로 한정하기 위한 것으로 포스트(60)에 돌출되게 결합되어 있다. 회전각도제한돌기(75)를 적정한 위치에 결합함으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20)를 걸었을 때에는 시소유닛(71)이 수평을 이루고, 후크(20)를 걸지 아니하였을 때에는 시소유닛(71)이 비스듬히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다.
감지센서(74)는 후크를 장착부에 걸어둠으로써 상승한 타단부를 감지하는 것으로, 상승한 타단부의 위치에 설치되는 광센서, 초음파센서 등 비접촉식 센서이거나, 상승한 타단부에 의해 눌려지는 리미트 스위치 등의 접촉식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감지센서(74)는 시소유닛에 후크가 걸려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컨베이어 등을 작동시키는 제어부에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후크가 장착대에 걸려 감시센서가 시소유닛의 회전을 감지하는 것을 컨베이어 작동 개시의 조건으로 부가하도록 하여, 후크가 차체 프레임에 걸린 상태에서 컨베이어가 작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3, 도 4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용 상태들과 관련된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사용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차체 프레임(C)은 행거(H)에 안치되어 있으며, 차체 프레임(C)의 하부에는 장착 대상인 기계부품(P)이 리프트(L) 상에 올라 있다.
차체 프레임 고정장치(100)는 리프트(L)의 일측에 위치하고, 후크(20)는 차체 프레임(C)에 연결되어 있다. 조립자가 발판(42)을 누른 상태에서 후크(20)를 들어올려 차체 프레임(C)에 연결하는 과정 중에 벨트하우징(10)에서는 여전히 벨트띠(11)를 잡아 당기고 있는 상태이므로, 벨트띠(11)는 팽팽하게 유지된다. 발판(42)에서 발을 떼면 캠(35)에 의해 벨트띠(11)는 고정된다.
기계부품(P)이 상승하면서 차체 프레임(C)을 들어올리려는 경우, 후크(20)와 팽팽해진 벨트띠(11)가 차체 프레임(C)을 잡아 주어 행거(H)로부터 들뜨지 않게 한다.
가요성 있는 벨트띠(11)는 후크(20)를 거는 방향을 구속하지 않는다. 즉, 벨트띠가 반회전 이상 꼬인 상태로 후크를 걸수 있게 한다. 또한 후크가 벨트하우징의 인출구 바로 위에 위치하지 아니하여도 된다. 이러한 장점은 조립라인을 다른 차종으로 변경하였을 때에도 본 발명에 따른 차체 프레임 고정장치를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발판을 누르지 아니한 상태에서 벨트띠가 스톱퍼블록과 캠에 의해 물려진 상태를 나타낸다.
캠(35)의 단면은 비원형이 될 수 있다. 또는 캠의 단면은 원형이면서, 회전축은 단면 중심에서 편심되게 위치할 수 있다.
레버프레임(41)은 스프링(43)에 의해, 도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레버프레임(41)과 함께 회전된 캠(35)은 스톱퍼블록(30)에 벨트띠(11)를 가압하여 잠그게 된다.
벨트띠(11)가 잠긴 이후 벨트띠(11)를 상부로 잡아 당기면 캠(35)과 벨트띠(11)와의 마찰에 의해 캠(3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을 받아 스톱퍼블록(30)을 향하여 벨트띠를 더욱 강하게 가압하게 된다. 즉, 잠긴 벨트띠를 잡아 당길수록 더 큰 힘으로 벨트띠를 고정하게 된다.
이는 상승하는 기계부품이 차체 프레임을 들어올리려는 때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더욱 강한 힘으로 벨트띠를 잠가주어 차체 프레임이 임의로 들리지 않게 하는 것이다.
나아가 스톱퍼블록(30)과 캠(35)은 벨트하우징(10)의 인출구(12) 상부에 위치하고, 벨트띠(11)를 향하는 스톱퍼블록(30)을 일면은 하부로 갈수록 벨트띠로부터 멀어지는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면(31)을 포함한다. 이때 캠(35)은 회전에 따라 경사면(31)을 향하여 벨트띠(11)를 가압하게 된다.
스톱퍼블록(30)의 경사면(31)은 캠(35)에 접촉하는 벨트띠(11)의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벨트띠(11)가 상부로 당겨질 때에 캠(35)이 보다 확실하게 회전력을 받아 벨트띠(11)를 스톱퍼블록(30)에 가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캠(35)을 통해 벨트띠에 작용하는 가압력의 방향을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큰 힘으로 벨트띠(11)를 물어 고정할 수 있게 하여 준다.
도 4는 발판을 눌렀을 때를 나타낸다.
발판(42)을 누름에 따라 레버프레임(41)이 회전되며, 캠(35) 또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스프링(43)은 더 인장되어 레버프레임(41)을 복원하는 방향으로 레버프레임에 작용하게 된다.
도면을 기준으로, 캠(35)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스톱퍼블록(30)과 캠(35)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간의 폭이 벨트띠(11)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벨트띠(11)를 고정하던 스톱퍼블록(30)과 캠(35)의 잠금이 해제된다.
이후 벨트하우징(10)의 작용에 의해 벨트띠(11)는 탄성적으로 벨트하우징(10) 내부로 말리게 되며, 조립자는 필요에 따라 후크(20)를 상부로 당겨 벨트띠를 인출할 수 있다. 후크의 높낮이에 상관없이 벨트띠(11)는 팽팽하게 유지된다.
스톱퍼블록(30)은 캠에 대한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에는 스톱퍼블록이 캠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을 형성하고, 스톱퍼블록이 가이드레일을 타고 캠을 향하여 다가 가거나 멀어지도록 할 수 있다. 스톱퍼블록을 고정하기 위하여, 스톱퍼블록을 고정하는 클램프나 나사조임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스톱퍼블록의 위치조절은, 오랜 사용에 의해 스톱퍼블록의 경사면 마모 또는 캠의 표면 마모 등에 따른 벨트띠 조임력의 저하가 발생하였을 때에, 이를 보정할 수 있게 하여 준다.
100 : 고정장치
10 : 벨트하우징 11 : 벨트띠 12 : 인출구
20 : 후크 30 : 스톱퍼블록 31 : 경사면 35 : 캠
40 : 레버부 41 : 레버프레임 42 : 발판 43 : 스프링
50 : 케이스 60 : 포스트
70 : 장착대
71 : 시소유닛 72 : 장착부 73 : 무게부 74 : 감지센서
75 : 회전각도제한돌기
C : 차체 프레임 H : 행거 P : 기계부품 L : 리프트

Claims (4)

  1. 지면에서 인출되어 상부에 위치하는 차체 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으로,
    탄성적으로 벨트띠를 말아 보관하는 벨트하우징;
    상기 벨트하우징에서 인출된 벨트띠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차체 프레임에 걸 수 있는 후크;
    상기 벨트띠의 일면에 위치하는 스톱퍼블록;
    상기 벨트띠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스톱퍼블록과 마주하게 위치하여, 회전에 따라 상기 벨트띠를 상기 스톱퍼블록에 가압하여 상기 벨트띠를 물어 고정하는 캠; 및
    상기 캠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캠과 함께 회전 가능하고 상기 캠이 벨트띠를 물어 고정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탄성 있게 회전시키는 레버부;
    를 포함하는 차체 프레임 고정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스톱퍼블록과 상기 캠은 상기 벨트하우징의 인출구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스톱퍼블록은 하부로 갈수록 상기 벨트띠로부터 멀어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캠은 회전에 따라 상기 경사면을 향하여 상기 벨트띠를 가압하는 것인
    차체 프레임 고정장치.
  3. 제1항에서,
    지면 상에 설치되는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벨트하우징, 상기 스톱퍼블록 및 상기 캠이 설치되고,
    상기 레버부는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서 상기 캠에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레버프레임,
    상기 케이스의 전방으로 연장된 상기 레버프레임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발판 및
    상기 레버프레임의 타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레버프레임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차체 프레임 고정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케이스 보다 높게 솟은 포스트가 설치되고, 상기 포스트에는 상기 후크를 임시로 걸어두는 장착대가 구비되는 차체 프레임 고정장치.
KR1020140053176A 2014-05-02 2014-05-02 차체 프레임 고정장치 KR101521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176A KR101521562B1 (ko) 2014-05-02 2014-05-02 차체 프레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176A KR101521562B1 (ko) 2014-05-02 2014-05-02 차체 프레임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1562B1 true KR101521562B1 (ko) 2015-05-20

Family

ID=53395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176A KR101521562B1 (ko) 2014-05-02 2014-05-02 차체 프레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15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4539B1 (ko) * 1987-09-16 1997-12-01 디터 쉬나이더 벨트 긴착장치를 구비한 좌석벨트 시스템의 벨트 고정장치
KR19990029362U (ko) * 1997-12-29 1999-07-15 정몽규 차량의 안전벨트 구속장치
KR20030023017A (ko) * 2001-09-11 2003-03-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 캡 이송용 오버헤드 행거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4539B1 (ko) * 1987-09-16 1997-12-01 디터 쉬나이더 벨트 긴착장치를 구비한 좌석벨트 시스템의 벨트 고정장치
KR19990029362U (ko) * 1997-12-29 1999-07-15 정몽규 차량의 안전벨트 구속장치
KR20030023017A (ko) * 2001-09-11 2003-03-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 캡 이송용 오버헤드 행거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32019B1 (en) Load carrier for transporting a bicycle
US3872972A (en) Bicycle storage device
CA1241937A (en) Inertia rope grab
CN109303672B (zh) 双载架承载器
US9474400B2 (en) Combination bracket and garment hanger system and assembly mountable to an overhead trim piece associated with a doorway such as for rotatably supporting a garment during steam cleaning
US7293835B2 (en) Vehicle seat
US20210178195A1 (en) Shuttle For A Climbing Protection System
US20150364903A1 (en) Cable feeder
US6158636A (en) Weed trimmer shoulder strap assembly
EP1539303A1 (en) Training apparatus
EP3337573A1 (en) Shuttle for a climbing protection system
US6012694A (en) Monitor suspension system
US20230150402A1 (en) Seat belt fixing device
KR101521562B1 (ko) 차체 프레임 고정장치
GB2366514A (en) Baby seat with adjustable gripping arrangement, mountable onto grippable objects, such as a table edges, of variable thickness
GB2478857A (en) A baby carrier with a belt adjusted inclinable back plate
KR20170000742U (ko) 일체형 낚싯대 거치구
US1381311A (en) Clothesline-fastener
JP2546440Y2 (ja) チェーンと昇降フレームのテンション付与連結機構
CN205410468U (zh) 一种休闲座椅
US4674731A (en) Appliance repair tilt stand
CN217705674U (zh) 一种车用手机支架
KR101727023B1 (ko) 자전거 안장 승강장치
JP3184002B2 (ja) 親綱緊張器
JP2681871B2 (ja) 傘の袋収納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傘収納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