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9997B1 - 도어 힌지 - Google Patents

도어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9997B1
KR101519997B1 KR1020130140722A KR20130140722A KR101519997B1 KR 101519997 B1 KR101519997 B1 KR 101519997B1 KR 1020130140722 A KR1020130140722 A KR 1020130140722A KR 20130140722 A KR20130140722 A KR 20130140722A KR 101519997 B1 KR101519997 B1 KR 101519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nk
housing
pivoting member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0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주)다이아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이아벨 filed Critical (주)다이아벨
Priority to KR1020130140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9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도어 힌지는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하단이 도어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하우징과 힌지결합되어, 힌지결합된 힌지핀을 중심으로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회동하는 회동부재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일단이 상기 회동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는 링크와, 상기 회동부재의 상단부와 면접촉하여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링크에 구속되는 가이드핀이 양측에 설치되는 롤러부재와, 상기 가이드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링크에 고정되는 인장 스프링과,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 시 도어의 개폐동작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적정압력을 부여하기 위한 메인 스프링과, 상기 메인 스프링에 개재되고, 일단이 상기 링크에 고정되는 스프링 레버를 포함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동작의 반복 신뢰성이 개선되고, 일정각도만큼 개방된 후에는 자동으로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 힌지{A Door Hinge}
본 발명은 도어 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동작의 반복 신뢰성이 개선되고, 일정각도만큼 개방된 후에는 자동으로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도어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오븐이나 전자레인지에는 도어를 여닫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어 힌지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 힌지는 도어가 도어프레임 상에서 개폐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좌우 여닫이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상하 여닫이방식(즉, 앞쪽으로 눕혀지며 출몰하는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나뉘어진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204349호에서는 도어가 급격하게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도어가 닫힐 때 발생하는 소음이나 도어의 파손 위험성을 해결하기 위한 오븐기용 도어 힌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서의 도어 힌지 장치는 전체적인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도어 힌지의 제작이 용이하지 않고, 구성의 복잡함으로 인해 고장의 우려가 많아 동작의 반복 신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동작의 반복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는 도어 힌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보다 적은 힘으로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며, 도어가 일정각도만큼 개방된 뒤에는 자동으로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도어 힌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도어가 어느 정도의 각도를 초과하면, 자동으로 부드럽게 완전 개방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 힌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하단이 도어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하우징과 힌지결합되어, 힌지결합된 힌지핀을 중심으로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회동하는 회동부재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일단이 상기 회동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는 링크와, 상기 회동부재의 상단부와 면접촉하여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링크에 구속되는 가이드핀이 양측에 설치되는 롤러부재와, 상기 가이드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링크에 고정되는 인장 스프링과,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 시 도어의 개폐동작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적정압력을 부여하기 위한 메인 스프링과, 상기 메인 스프링에 개재되고, 일단이 상기 링크에 고정되는 스프링 레버를 포함하는 도어 힌지가 제공된다.
상기 링크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결합핀이 삽입되는 제1 슬롯홀과,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되는 제2 슬롯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롤러부재가 면접촉하는 상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곡선형태를 가지는 굴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굴곡면에는 상기 롤러부재가 상기 굴곡면에 면접촉하면서 회전할 때 상기 롤러부재의 회전을 멈추게 할 수 있는 정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지홈은 상기 도어가 5°내지 15°의 각도로 개방되었을 때 도어의 개방을 멈추게 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굴곡면은 상기 정지홈을 지나서 만곡점이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지어, 상기 만곡점을 지나면 도어 무게에 의하여 자동으로 열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프링은 일단이 스프링 레버와 선단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에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링크는 상기 회동부재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회동부재는 고정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하단이 도어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하우징과 힌지결합되어, 힌지결합된 힌지핀을 중심으로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회동하는 회동부재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일단이 상기 회동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는 링크와, 상기 링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 시 회동부재와 면접촉하도록 설치되는 판스프링 부재와, 상기 회동부재가 일정 각도로 회동하면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을 멈추기 위한 회동정지수단과,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 시 도어의 개폐동작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적정압력을 부여하기 위한 메인 스프링과, 상기 메인 스프링에 개재되고, 일단이 상기 링크에 고정되는 스프링 레버를 포함하는 도어 힌지가 제공된다.
상기 링크는 하우징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결합핀이 삽입되는 제1 슬롯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 부재는 상기 회동부재가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단부에 경사진 각도로 이루어지는 벤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동부재의 상단면에는 상기 벤딩부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모따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동정지수단은 상기 회동부재의 임의 위치에 형성된 정지홀과, 상기 정지홀에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하도록 상기 판스프링 부재에 형성된 돌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정지홀은 원형홀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원형홀에 삽입이 가능하면서도 사용자가 힘을 가하면 상기 원형홀에서 이탈이 가능하도록 반구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링크는 상기 회동부재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회동부재는 고정핀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판스프링 부재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의 내면에 각각 부착설치될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동작의 반복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동부재의 상단을 라운드지게 굴곡 형성하여, 롤러가 라운드진 부분을 타고 올라가게 구성함으로써, 초기개방 시 적은 힘으로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며, 도어가 일정각도만큼 개방된 뒤에는 자동으로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가 어느 정도의 각도를 초과하여 개방되면, 자동으로 부드럽게 완전 개방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도어가 10°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도어가 88°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도어가 10°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도어가 88°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제1 실시예 >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 힌지(100)는 도어프레임(20)에 설치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과 힌지결합되어 도어(10)의 개폐동작에 따라 회동하는 회동부재(120)와,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일단이 상기 회동부재(120)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부재(120)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는 링크(130)와, 상기 회동부재(120)의 상단부와 면접촉하여 상기 회동부재(120)의 회동에 따라 회전하는 롤러부재(140)와, 상기 롤러부재(140)와 링크(130)를 연결하는 인장 스프링(150)과, 도어(10)의 개폐동작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적정압력을 부여하기 위한 메인 스프링(160)과, 상기 메인 스프링(160)에 개재되는 스프링 레버(17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도어프레임(20)에 설치되어 도어 힌지(100)의 각 구성품을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일단이 상기 회동부재(120)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부재(120)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는 링크(130)가 설치된다.
상기 링크(130)와 하우징(110)은 핀으로 결합되는데, 상기 링크(130)가 하우징(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상기 회동부재(120)의 회동에 따라 소정만큼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링크(130)에는 상기 하우징(110)에 고정된 결합핀(114)이 삽입되는 제1 슬롯홀(136)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핀(114)은 상기 회동부재(120)가 도어(10) 개방을 위해 회동동작할 때, 상기 제1 슬롯홀(136)을 타고 전후 이동하며 회동부재(120)의 회동동작을 가이드하는 핀으로서, 상기 하우징(110)의 선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링크(13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슬롯홀(136)에 끼워지도록 하여 하우징(110)과 링크(130)를 연결 구성하게 된다.
상기 제1 슬롯홀(136)은 상기 회동부재(120)가 회동할 때 상기 링크(130)의 움직임을 제약하지 않도록 상기 링크(130)의 이동방향에 맞는 길이 및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크(130)는 회동부재(120)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프레임(1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링크(130)가 한 쌍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 회동부재(120)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1 슬롯홀(136)은 상기 프레임(132)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결합핀(114)이 상기 제1 슬롯홀(136)을 관통하여 하우징(110)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링크(130)는 그 후단부가 상기 회동부재(120)와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링크(130)의 후단부에는 고정핀(134)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핀(134)이 상기 회동부재(120)와 상기 링크(130)를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링크(130)와 회동부재(120)가 결합된다.
상기 회동부재(120)는 하단이 도어(10)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하우징(110)과 힌지핀(112)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상기 힌지핀(112)을 중심으로 도어(10)의 개폐동작에 따라 회동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부재(120)의 상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곡선형태를 가지는 굴곡면(122)을 갖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굴곡면(122)에는 상기 롤러부재(140)가 면접촉하여 상기 회동부재(120)의 회동에 따라 상기 롤러부재(140)가 굴곡면(122)을 타고 공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굴곡면(122)을 라운드지게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곡선형태를 가지도록 한 것은, 도어(10)의 개방과 폐쇄동작이 보다 적은 힘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굴곡면(122)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략 반원형을 가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도어(10)가 닫혔을 경우, 상기 롤러부재(140)가 굴곡면(122)의 선단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굴곡면(122)은 상기 롤러부재(140)가 회전할 때 상기 롤러부재(140)의 회전을 멈추게 할 수 있는 정지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도 5 참조).
상기 정지홈(124)은 반원형의 굴곡면(122)의 선단 측에 형성되며, 상기 롤러부재(140)의 곡률반경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정지홈(124)이 형성된 굴곡면(122)은 상기 도어(10)가 개폐될 때 상기 롤러부재(140)가 굴곡면(122)을 타고 공회전하다가 상기 정지홈(124)의 위치에서 롤러부재(140)가 정지홈(124)에 끼워지게 되므로, 도어(10)의 개폐 동작을 멈출 수 있게 된다.
상기 정지홈(124)은 상기 도어(10)가 5°내지 15°의 각도로 개방되었을 때 도어(10)의 개방을 멈추게 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만큼 도어(10)를 열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굴곡면(122)은 상기 정지홈(124)을 지나서 만곡점이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지어, 상기 만곡점을 지나면 도어(10) 무게에 의하여 자동으로 열리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롤러부재(140)의 양측에는 상기 링크(130)에 구속되는 가이드핀(142)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핀(142)은 링크(130)의 후단부에 형성된 제2 슬롯홀(138)에 끼워져 상기 회동부재(120)가 회동할 때 상기 제2 슬롯홀(138)을 타고 소정만큼 이동된다.
상기 인장 스프링(150)은 일단이 상기 가이드핀(142)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링크(130)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핀(142)이 제2 슬롯홀(138)을 타고 소정만큼 이동될 때 인장력을 부여한다.
상기 하우징(110)의 선단에는 상기 회동부재(120)의 회동 시 도어(10)의 개폐동작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적정압력을 부여하기 위한 메인 스프링(160)과, 상기 메인 스프링(160)에 개재되고, 일단이 상기 링크(130)에 고정되는 스프링 레버(170)가 설치된다.
상기 메인 스프링(160)은 일단이 스프링 레버(170)와 선단,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레버(170)의 선단에 설치된 샤프트(172)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110)에 지지되어, 도어(10)의 개폐동작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적정압력을 부여한다.
이와 같은 구성들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도어 힌지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도어가 10°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도어가 88°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도어 힌지(100)는 음식물의 조리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도어(10)를 1차 개방시키는 동작과, 조리가 끝난 음식물을 인출하기 위해 도어(10)를 2차 개방시키는 동작으로 나뉘어진다.
먼저, 폐쇄되어 있는 도어(10)를 당겨주게 되면 상기 회동부재(120)가 상기 하우징(110)의 힌지핀(112)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는데, 이때 회동부재(120)와 고정핀(134)에 의해 고정된 링크(130)가 당겨지게 되고, 상기 링크(130)와 롤러부재(140)의 가이드핀(142)을 연결하는 인장 스프링(150)의 인장력으로 상기 롤러부재(140)가 회동부재(120)의 굴곡면(122)을 타고 탄력적으로 이동하며 회동부재(120)의 회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이후, 도어(10)가 대략 10°정도로 개방되면 상기 굴곡면(122)의 정지홈(124)에 롤러부재(140)가 끼워지게 되므로, 상기 롤러부재(140)가 굴곡면(122)을 타고 이동하는 것이 잠시 멈추게 되어 도어(10)를 1차 개방할 수 있다.
즉, 도어(10)는 상기 인장 스프링(150)의 힘에 의하여 멈추어 자동으로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1차 개방된 도어(10)를 인장 스프링(150)의 인장력보다 큰 힘으로 당겨주게 되면 상기 롤러부재(140)가 정지홈(124)에서 이탈하게 되며, 상기 회동부재(120)는 구속이 해지된 상태에서 힌지핀(112)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롤러부재(140)가 회동부재(120)의 굴곡면(122)을 타고 공회전하다가 상기 굴곡면(122)의 만곡점을 지나게 되면 상기 인장 스프링(150)은 복원되고, 도어(10)는 무게에 의해 완전 개방된다.
<제2 실시예 >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도어가 10°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도어가 88°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어프레임(20)에 설치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과 힌지결합되어 도어(10)의 개폐동작에 따라 회동하는 회동부재(220)와,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일단이 상기 회동부재(220)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부재(220)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는 링크(230)와, 도어(10)의 개폐동작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적정압력을 부여하기 위한 메인 스프링(160)과, 상기 메인 스프링(160)에 개재되는 스프링 레버(17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링크(2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220)의 회동 시 회동부재(220)와 면접촉하도록 설치되는 판스프링 부재(240)와, 상기 회동부재(220)가 일정 각도로 회동하면 상기 회동부재(220)의 회동을 멈추기 위한 회동정지수단이 더 포함된다.
상기 링크(23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회동부재(220)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판스프링 부재(240)는 리벳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의 내면에 각각 부착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판스프링 부재(240)는 텐션력으로 상기 회동부재(220)를 가압하여 회동부재(220)의 회동을 구속하며, 도어(10)의 개폐동작 시 도어(10)가 부드럽게 여닫힐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회동부재(220)는 상기 하우징(110)의 힌지핀(112)을 중심으로 회동하는데, 회동부재(220)의 회동 시 상기 판스프링 부재(240)와 면접촉하면서 통과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동부재(220)는 후술할 돌출부(242)와 면접촉하면서 판스프링 부재(240)를 통과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판스프링 부재(240)는 상기 회동부재(22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단부에 경사진 각도로 이루어지는 벤딩부(24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220)의 상단면에도 상기 벤딩부(244)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모따기(224)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벤딩부(244)는 외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모따기(224)는 상기 회동부재(220)의 상단면 모서리를 소정만큼 깍은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상기 회동부재(220)가 상기 하우징(110)의 힌지핀(112)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 먼저 상기 회동부재(220)의 상단면에 형성된 모따기(224)가 판스프링 부재(240)의 벤딩부(244)에 닿게 되어 삽입되므로, 회동부재(220)의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판스프링 부재(240)는 도어(10)의 개방을 정지시킬 수 있는 회동정지수단을 구비하는데, 상기 회동정지수단은 상기 회동부재(220)의 임의 위치에 형성된 정지홀(222)과, 상기 정지홀(222)에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하도록 상기 판스프링 부재(240)에 형성된 돌출부(2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정지홀(222)은 원형홀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242)는 상기 원형홀(222)에 삽입이 가능하면서도 사용자가 힘을 가하면 상기 원형홀(222)에서 이탈이 가능하도록 반구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돌출부(242)는 탄성적으로 상기 정지홀(222)에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하므로, 도어(10)를 1차 개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들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도어 힌지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도어가 10°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도어가 88°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폐쇄되어 있는 도어(10)를 당겨주게 되면 상기 회동부재(220)는 판스프링 부재(24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힌지핀(112)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후, 도어(10)가 대략 10°정도로 개방되면 상기 회동부재(220)의 정지홀(222)에 상기 판스프링 부재(240)의 돌출부(242)가 끼워지게 되므로, 상기 회동부재(220)의 회동이 잠시 멈추게 되어 도어(10)는 자동으로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1차 개방된 도어(10)를 상기 판스프링 부재(240)의 돌출부(242)의 탄성력보다 큰 힘으로 당겨주게 되면 상기 돌출부(242)가 정지홀(222)에서 이탈하게 되며, 상기 판스프링 부재(240)의 돌출부(242)가 회동부재(220)의 측면을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회동부재(220)가 회동하게 된다.
이후, 회동부재(220)를 더 당기게 되면, 상기 판스프링 부재(240)에서 회동부재(220)의 구속이 해지된 상태에서 힌지핀(112)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도어(10)의 무게에 의해 완전 개방된다.
이후, 도어(10)를 닫을 때에는 상기 회동부재(220)의 상단면에 형성된 모따기(224)가 판스프링 부재(240)의 벤딩부(244)에 닿게 되어 삽입되므로, 회동부재(220)의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도어 20: 도어프레임
100: 도어 힌지 110: 하우징
112: 힌지핀 114: 결합핀
120: 회동부재 122: 굴곡면
124: 정지홈 130: 링크
136: 제1 슬롯홀 138: 제 슬롯홀
140: 롤러부재 142: 가이드핀
150: 인장 스프링 160: 메인 스프링
170: 스프링 레버

Claims (16)

  1.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하우징;
    하단이 도어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하우징과 힌지결합되어, 힌지결합된 힌지핀을 중심으로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회동하는 회동부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일단이 상기 회동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며, 상기 회동부재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링크;
    상기 회동부재와 상기 링크를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링크와 회동부재를 결합시키는 고정핀;
    상기 프레임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링크의 이동방향에 맞게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만큼 형성되는 제1 슬롯홀;
    상기 제1 슬롯홀에 끼워지어 제1 슬롯홀을 타고 전후 이동하며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동작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 결합되어 하우징과 링크를 연결하는 결합핀;
    상기 회동부재의 상단부와 면접촉하여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라 회전하는 롤러부재;
    상기 롤러부재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링크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제2 슬롯홀에 구속되어 상기 회동부재가 회동할 때 상기 제2 슬롯홀을 타고 소정만큼 이동하는 복수의 가이드핀;
    상기 가이드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링크에 고정되어 상기 회동부재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인장 스프링;
    일단이 스프링 레버의 선단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 시 도어의 개폐동작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적정압력을 부여하기 위한 메인 스프링; 및
    상기 메인 스프링에 개재되고, 일단이 상기 링크에 고정되는 스프링 레버;
    를 포함하는 도어 힌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롤러부재가 면접촉하는 상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곡선형태를 가지는 굴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굴곡면에는 상기 롤러부재가 상기 굴곡면에 면접촉하면서 회전할 때 상기 롤러부재의 회전을 멈추게 할 수 있는 정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정지홈은 상기 도어가 5°내지 15°의 각도로 개방되었을 때 도어의 개방을 멈추게 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굴곡면은 상기 정지홈을 지나서 만곡점이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지어, 상기 만곡점을 지나면 도어 무게에 의하여 자동으로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30140722A 2013-11-19 2013-11-19 도어 힌지 KR101519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722A KR101519997B1 (ko) 2013-11-19 2013-11-19 도어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722A KR101519997B1 (ko) 2013-11-19 2013-11-19 도어 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9997B1 true KR101519997B1 (ko) 2015-05-14

Family

ID=53394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722A KR101519997B1 (ko) 2013-11-19 2013-11-19 도어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99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5925A (zh) * 2017-10-11 2019-04-19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洗碗机内饰灯亮度控制结构
CN109790734A (zh) * 2016-09-22 2019-05-21 C.M.I.铰链机械工业有限公司 具有顶部装载功能的设备的铰链器件
KR102102348B1 (ko) * 2019-08-26 2020-04-21 주식회사 지성설계컨설턴트 인입전선의 합선방지와 정밀접속을 위한 전기 발광장치 시설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558B1 (ko) * 2008-11-17 2011-02-28 풍원공업 주식회사 도어 힌지
KR101157801B1 (ko) * 2010-09-13 2012-06-25 풍원공업 주식회사 도어 힌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558B1 (ko) * 2008-11-17 2011-02-28 풍원공업 주식회사 도어 힌지
KR101157801B1 (ko) * 2010-09-13 2012-06-25 풍원공업 주식회사 도어 힌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90734A (zh) * 2016-09-22 2019-05-21 C.M.I.铰链机械工业有限公司 具有顶部装载功能的设备的铰链器件
CN109645925A (zh) * 2017-10-11 2019-04-19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洗碗机内饰灯亮度控制结构
CN109645925B (zh) * 2017-10-11 2022-12-30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洗碗机内饰灯亮度控制结构
KR102102348B1 (ko) * 2019-08-26 2020-04-21 주식회사 지성설계컨설턴트 인입전선의 합선방지와 정밀접속을 위한 전기 발광장치 시설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4290B2 (en) Door hinge device with fulcrum at variable position
KR101519997B1 (ko) 도어 힌지
CN107419986B (zh) 阻尼铰链及设有该阻尼铰链的装置
JP2017511848A (ja) ドア用のベアリング装置
KR101138288B1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KR101043377B1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US20070232135A1 (en) Connection for hinge
KR101490160B1 (ko) 자동 닫힘 도어힌지
CN211736813U (zh) 限位铰链及门窗结构
WO2015078307A1 (zh) 一种双向开关门装置以及具有该装置的冰箱
CN202380859U (zh) 用于平开上翻窗的滑撑组件、五金组件以及平开上翻窗
EP0089813A2 (en) A hinge device for tiltable windows for installation in an inclined roof
KR101605784B1 (ko) 트럭용 윙도어 잠금장치
WO2007116195A3 (fr) Agencement d&#39;un ouvrant sur un support
KR101331936B1 (ko) 문 고정 장치
KR101492094B1 (ko) 도어 힌지
JP2015132133A (ja) 建具
JP5004699B2 (ja) スライド蝶番、それを用いたキャビネット及びスライド蝶番における規制部材の装着方法
KR101399538B1 (ko) 냉동컨테이너의 슬라이드도어 개폐장치
JP2012097846A5 (ko)
KR200403183Y1 (ko) 도어 힌지
KR101525446B1 (ko) 도어 힌지
JP2017186764A (ja) 3点固定式蝶番
JP2012107472A (ja) ラッチ装置および建具
KR101271536B1 (ko) 창호용 턴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