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9958B1 - 안테나 - Google Patents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9958B1
KR101519958B1 KR1020130154122A KR20130154122A KR101519958B1 KR 101519958 B1 KR101519958 B1 KR 101519958B1 KR 1020130154122 A KR1020130154122 A KR 1020130154122A KR 20130154122 A KR20130154122 A KR 20130154122A KR 101519958 B1 KR101519958 B1 KR 101519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delay
stub
phase
antenna
delay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호
서승업
성원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to KR1020130154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9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3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 H01Q3/3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electrical means
    • H01Q3/4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electrical means with phasing matrix

Landscapes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안테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전파의 위상을 변경시키는 복수의 위상 지연 셀; 및 상기 복수의 위상 지연 셀이 배치되는 구조면을 포함하는 투과형 구조체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위상 지연 셀 각각에 입사되는 전파는 위상이 변경되어 방사될 수 있다.

Description

안테나{ANTENNA}
본 발명은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파를 투과시켜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위성 통신에 대한 관심 및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GHz 대역의 반사형 안테나(reflector antenna)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반사형 안테나는 구조가 단순하며 설치가 간단하고, 고이득 특성을 갖고 있어 위성 통신에 적합하다.
이러한 반사형 안테나의 대표적인 예로서 파라볼라 안테나(Parabola Antenna)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파라볼라 안테나는 포물선 형상의 반사경을 사용하는 안테나로서, 단면 형상이 포물선을 그리는 반사경을 향하여 방출된 전파가 반사되어 초점에 모이거나 전파가 한쪽 방향으로 수렴되어 강하게 방사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포물선 형상의 반사경은 가공이 힘들고, 무게와 부피가 크기 때문에 휴대용으로 제작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7985호 (2012. 03. 22.)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휴대용으로 적합할 뿐만 아니라 외부 환경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테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파의 위상을 변경하여 투과시키는 복수의 위상 지연 셀을 이용한 안테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외부 환경으로서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성 통신 시 보안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테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전파의 위상을 변경시키는 복수의 위상 지연 셀; 및 상기 복수의 위상 지연 셀이 배치되는 구조면을 포함하는 투과형 구조체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위상 지연 셀 각각에 입사되는 전파는 위상이 변경되어 방사되는 안테나가 제공된다.
상기 안테나에서 상기 투과형 구조체는 적어도 둘 이상이 구조면이 적층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안테나에서 상기 구조면은 평면형일 수 잇다.
상기 안테나에서 상기 구조면은 레이돔 또는 절연체일 수 있다.
상기 안테나에서 상기 복수의 위상 지연 셀은 상기 전파가 도달하는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패턴을 가지며, 상기 패턴의 모양에 따라 상기 전파의 위상을 다르게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안테나에서 상기 복수의 위상 지연 셀은 서로 다른 패턴을 갖는 금속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에서 상기 복수의 위상 지연 셀은 기판 상에 배열되어 상기 구조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파의 위상을 변경하여 투과시키는 복수의 위상 지연 셀을 이용하여 안테나를 구현함으로써, 휴대용으로 적합할 뿐만 아니라 안테나의 지향 특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레이돔에 복수의 위상 지연 셀을 배열하여 안테나를 구현함으로써, 외부 환경으로서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성 통신 시 보안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과형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지연 셀 기판 상에 형성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지연 셀의 패턴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상 지연 셀 내 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지연 셀이 적용된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과형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과형 구조체(100)는 구조면(110)과 복수의 위상 지연 셀(120) 및 소스원(1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조면(110)은 소스원(130)에서 발생된 전파가 진행하는 방향에 설치된 구조물, 예컨대 레이돔(raydome), 안테나의 개구면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레이돔은 항공기의 외부 레이더 안테나용 플라스틱 덮개를 의미한다.
또한, 구조면(110)은 상기 구조물과 대응되는 모양, 예컨대 곡면, 평면 모양을 갖는 기판 또는 절연체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구조면(110)은 복수의 위상 지연 셀(120)을 구비하며, 전파를 투과하여 위상 지연 셀(120)에 제공하거나 위상 지연 셀(120)에 의해 위상의 변화된 전파가 입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조면(110)은 소스원(130), 예컨대 급전 소자에서 발생되는 전파가 입사됨에 따라 이를 투과하여 위상 지연 셀(120)에 제공하고,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전파를 위상 지연 셀(120)을 통해 제공받아 투과형 구조체(100)를 구비하는 안테나 내의 복사소자(미도시됨)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조면(110)이 평면형인 것을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복수의 위상 지연 셀(120)은 기판(미도시됨) 상에 형성되어 구조면(110)에 배열될 수 있거나, 패턴 형태로 구조면(110)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위상 지연 셀(120)은 다양한 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며, 패턴의 형상에 따라 투과되는 전파의 위상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위상 지연 셀(120) 각각은 서로 다른 패턴에 따라 전파의 진행 속도를 조절하여 외부로 방사되는 전파(이하, 방사 전파)의 위상을 조절하고,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전파(이하, '입사 전파'라고 함)의 진행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전파의 진행 속도는 복수의 위상 지연 셀(120) 내 형성된 패턴의 형상에 의거하여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위상 지연 셀(120)의 패턴은 전파가 도달하는 거리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스원(130)과 거리가 먼 구조면(110)의 영역에는 전파의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한 패턴 모양의 위상 지연 셀(120)이 형성되며, 거리가 가까운 구조면(110)의 영역에는 전파의 속도를 느리게 하기 위한 패턴 모양의 위상 지연 셀(12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원(130)과 비교적 거리가 가까운 구조면(110)의 중심 영역, 테두리 영역 및 그 사이 영역에는 각기 다른 패턴의 위상 지연 셀(1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파의 진행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복수의 위상 지연 셀(120) 내의 패턴은 금속 물질, 메타물질(metamaterial)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메타물질은 특정 주파수에서 자연 상태의 물질로는 존재하지 않은 음의 유전율 또는 음의 투자율을 가질 수 있도록 파장보다 훨씬 짧은 주기적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런 이유로, 메타물질을 메타 전자파 구조라고 하거나, 인공적인 구조에 의하여 특이한 전자기적 특성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공전자기구조라고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위상 지연 셀(120)을 이용하여 전파의 진행 속도를 조절함으로서, 소스원(130)과 투과형 구조체(100)간의 거리 차에 의해 발생되는 위상차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투과형 구조체(100)를 단층 구조, 즉 복수의 위상 지연 셀(120)이 형성된 구조면(110)으로 이루어진 단층 구조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복수의 구조면(110)이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복수의 위상 지연 셀(120)이 기판 상에 형성되는 방법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지연 셀(120)이 기판 상에 형성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복수의 위상 지연 셀(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200) 상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판(200)을 위상 지연 셀(120)의 패턴에 따라 기판(200)을 패터닝한 후 패터닝된 영역에 메타 물질을 매립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위상 지연 셀(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2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판(200) 상에 메타물질을 증착한 후 이를 패터닝하여 기판(200) 상부에 복수의 위상 지연 셀(120)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상 지연 셀(120)의 패턴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지연 셀(120)의 패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위상 지연 셀(120)은 소정의 패턴(410) 및 제1 스터브(420)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패턴(410)은 십자 모양의 슬롯(Slot)을 축으로 상하 및 좌우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턴(410)은 ㄴ자 형상일 수 있으며, 슬롯의 두께는 약 0.1λ~0.2λ가 될 수 있다.
패턴(410)은 십자 모양의 슬롯을 축으로 상하 및 좌우로 대칭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수직 편파, 수평 편파, 좌선 원편파 및 우선 원편파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스터브(420)은 패턴(410) 각각의 종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터브(420)의 길이는 지연시키고자 하는 전파의 위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턴(410)이 십자 모양의 슬롯을 축으로 상하 및 좌우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기본 구조는 유지하되, 패턴(410) 각각에는 동일한 길이를 갖는 제1 스터브(420) 또는 상이한 길이를 갖는 제1 스터브(420)이 패턴(410)의 종단에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위상 지연 셀(120)에 입사되는 전파의 위상이 서로 다르게 변화될 필요가 있을 경우 각 패턴(410)의 종단에 형성되는 제1 스터브(420)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조정함으로써 각각의 위상 지연 셀(120)에 입사되는 전파의 위상 서로 다르게 변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스터브(420) 길이 조정 과정을 통해 넓은 범위에서 전파의 순차적인 위상 변화가 가능하다. 아울러, 제1 스터브(420)의 폭 또는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전파의 위상을 조정할 수도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는 제1 스터브(420)이 패턴(410)의 종단과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제1 스터브(420)은 패턴(410)의 종단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상 지연 셀(120) 내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구성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턴(410)은 연결부재(520)를 통해 제1 스터브(420)의 종단과 연결되는 제2 스터브(5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터브(510)은 제1 스터브(420)과 평행을 이루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스터브(510) 길이 또는 폭 조정을 통해 좁은 범위에서 순차적인 전파의 위상 변화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1 스터브(420)에 포함된 각각 제2 스터브(510)의 길이 또는 폭 조정을 통해 전파의 위상을 미세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스터브(510)의 형상 변화를 통해 전파의 위상 변화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제1 스터브(420)에 연결된 제2 스터브(510)의 형상을 각기 다르게 형성하여 전파의 위상을 미세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제2 스터브(510)는 제1 스터브(420)에 의해 전파 위상이 변경시킨 후 재차 변경이 필요할 경우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주파수에서 0.5mm의 길이를 갖는 제1 스터브(420)가 전파의 위상을 ??20ㅀ로 변화시킨 상태에서 전파의 위상이 ??2ㅀ정도의 변화가 더 필요한 경우, 제1 스터브(420)에 제2 스터브(510)을 연결하여 가능하다. 즉, 0.5mm 길이를 갖는 제2 스터브(510)를 제1 스터브(420)의 종단에 연결시켜 전파의 위상을 미세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스터브(510)는 연결부재(520)를 통해 제1 스터브(420)의 종단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520)로 비아(via)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제1 스터브(420) 또는 제2 스터브(510)의 길이 변화를 통해 전파 위상을 변경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제1 스터브(420), 제2 스터브(510) 및 패턴(410)들의 형상, 폭의 변화를 통해 전파 위상을 변경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위상 지연 셀(120)을 이용하여 안테나를 구성하는 예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지연 셀(120)이 적용된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600)는 복수의 위상 지연 셀(120)이 형성된 기판(200)과 안테나(600)의 개구면(610) 상에 연결된 기판(200)에 전파를 송출하는 급전부(61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판(200) 상에는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위상 지연 셀(1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급전부(615)는 안테나(6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급전부(615)에서 발생된 전파는 안테나(600)의 개구면(610) 상에 연결된 기판(200)을 통해 복수의 위상 지연 셀(120)에 의해 지연되어 외부로 방사되게 된다. 이러한 지연을 통해 개구면(610)에 연결된 기판(200)에 도달하는 전파의 위상 차가 보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600)의 경우 복수의 위상 지연 셀(120)을 통해 전파를 지연시킨 후 이를 외부로 방사하기 때문에 급전부(615)는 안테나(6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600)의 복수의 위상 지연 셀(120)은 소정의 배열 간격으로 기판(200)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각 위상 지연 셀(120)의 배열 간격은 예를 들어, 0.5λ~0.8λ가 될 수 있다.
또한, 기판(200)의 형상은 안테나(600)의 개구면(610) 형상에 대응되는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테나(600)의 개구면(610)이 포물선 형상일 경우 기판(200) 또한 포물선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기판(200) 상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상 지연 셀(120)이 형성된다는 가정 하에 각 위상 지연 셀(120)의 패턴 모양에 대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개구면(610)의 중심에 대응하는 기판(200)의 중심 부분(210)에는 제1 스터브(420)의 길이가 비교적 긴 패턴이 형성되며, 기판(200)의 바깥쪽 부분(220)에는 제1 스터브(420)의 길이가 비교적 짧은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기판(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바깥쪽으로 갈수록 위상 지연 셀(120) 상에 도달하는 전파 경로 거리가 길기 때문에 그 만큼 전파가 늦게 도달하게 된다. 이런 이유로, 기판(200)의 바깥쪽 부분(220)에 형성되는 패턴의 제1 스터브(420) 길이를 짧게 하여 전파의 지연을 줄임으로써, 전파를 빠르게 투과시킨다.
한편, 기판(200) 상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상 지연 셀(120)이 형성된다는 가정 하에 각 위상 지연 셀(120)의 패턴 모양에 대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안테나(600)의 개구면(610) 중심, 즉 기판(200)의 중심 부분(210)에는 제2 스터브(510)의 길이가 비교적 긴 패턴이 형성되며, 기판(200)의 바깥쪽 부분(220)에는 제2 스터브(510)의 길이가 비교적 짧은 패턴(41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기판(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바깥쪽으로 갈수록 위상 지연 셀(120) 상에 도달하는 전파 경로 거리가 길기 때문에 그 만큼 전파가 늦게 도달하게 된다. 이런 이유로기판(200)의 바깥쪽 부분(220)에 형성되는 패턴의 제2 스터브(510) 길이를 짧게 하여 전파의 지연을 줄임으로써, 전파를 빠르게 투과시킨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안테나(600)의 개구면(610) 형상이 포물선 형태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평면 형태의 개구면(610)을 갖는 안테나(600)에 복수의 위상 지연 셀(120)을 구비한 기판(2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기판(200)은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안테나(600)의 개구면(610)에 따라 기판의 형상이 정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안테나의 개구면 및 기판의 형상과 관계없이 안테나의 개구면에 기판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기판(200) 상에 복수의 위상 지연 셀(120)을 형성하여 안테나(600)의 개구면(610)에 부착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안테나(600)의 개구면(610)에 기판(200)을 형성한 후 기판(200)에 복수의 위상 지연 셀(120)을 형성하거나, 안테나(600)의 개구면(610) 상에 복수의 위상 지연 셀(120)을 형성하거나, 안테나(600)로 전파가 입사되거나 방사되는 해당 영역, 예컨대 레이돔 상에 복수의 위상 지연 지연 셀(12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투과형 구조체
110 : 구조면
120 : 위상 지연 셀
130 : 소스원
200 : 기판
410 : 패턴
420 : 제1 스터브
510 : 제2 스터브
520 : 연결부재
600 : 안테나
610 :개구면
615 : 급전부

Claims (10)

  1. 전파의 위상을 변경시키는 복수의 위상 지연 셀; 및
    상기 복수의 위상 지연 셀이 배치되는 구조면을 포함하는 투과형 구조체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위상 지연 셀 각각에 입사되는 전파는 위상이 변경되어 방사되고,
    상기 위상 지연 셀은, 십자 모양의 슬롯(Slot) 및 상기 슬롯을 축으로 상하 및 좌우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ㄴ자 형상을 갖는 패턴을 포함하는, 안테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과형 구조체는 적어도 둘 이상이 구조면이 적층된 형태를 갖는, 안테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조면은 평면형인, 안테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조면은 레이돔 또는 절연체인, 안테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위상 지연 셀은 상기 전파가 도달하는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패턴을 가지며, 상기 패턴의 모양에 따라 상기 전파의 위상을 다르게 변경시키는, 안테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위상 지연 셀은 서로 다른 패턴을 갖는 금속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안테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위상 지연 셀은 기판 상에 배열되어 상기 구조면에 결합되는, 안테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위상 지연 셀은 기판 내부에 매립되어 상기 구조면에 결합되는, 안테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상 지연 셀은,
    상기 패턴 각각의 종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연장되는 제1 스터브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위상 지연 셀은,
    상기 전파의 추가적인 위상 변경을 위해 상기 제1 스터브의 종단과 연결되어 마련되는 제2 스터브; 및
    상기 제1 스터브와 상기 제2 스터브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KR1020130154122A 2013-12-11 2013-12-11 안테나 KR101519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122A KR101519958B1 (ko) 2013-12-11 2013-12-11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122A KR101519958B1 (ko) 2013-12-11 2013-12-11 안테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9958B1 true KR101519958B1 (ko) 2015-05-19

Family

ID=53394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122A KR101519958B1 (ko) 2013-12-11 2013-12-11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99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1746A (ko) * 2007-03-06 2008-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작동 주파수를 갖는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KR20100134583A (ko) * 2008-03-12 2010-12-23 더 보잉 컴파니 위상 어레이 안테나의 스캐닝 각도 인헨스먼트용 렌즈
KR20120027985A (ko) * 2010-09-14 2012-03-22 한국과학기술원 위상 배열 안테나의 삽입 위상 지연 보상을 위한 레이돔-안테나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삽입 위상 지연 보상 방법
KR20130105358A (ko) * 2012-03-16 2013-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메타물질의 코일 기반 인공원자, 이를 포함하는 메타물질 및 소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1746A (ko) * 2007-03-06 2008-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작동 주파수를 갖는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KR20100134583A (ko) * 2008-03-12 2010-12-23 더 보잉 컴파니 위상 어레이 안테나의 스캐닝 각도 인헨스먼트용 렌즈
KR20120027985A (ko) * 2010-09-14 2012-03-22 한국과학기술원 위상 배열 안테나의 삽입 위상 지연 보상을 위한 레이돔-안테나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삽입 위상 지연 보상 방법
KR20130105358A (ko) * 2012-03-16 2013-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메타물질의 코일 기반 인공원자, 이를 포함하는 메타물질 및 소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7607B2 (en) Horn antenna
JP6778820B2 (ja) 反射アレイアンテナおよび通信デバイス
Brandão et al. FSS-based dual-band cassegrain parabolic antenna for RadarCom applications
CN102723603A (zh) 一种喇叭天线
Ourir et al. Optimization of metamaterial based subwavelength cavities for ultracompact directive antennas
KR20100040216A (ko) 고이득을 위한 카세그레인 안테나
KR101555936B1 (ko) 반사형 안테나
Tarn et al. A novel pattern diversity reflector antenna using reconfigurable frequency selective reflectors
KR101519958B1 (ko) 안테나
KR102015530B1 (ko) 평면형 반사판을 포함하는 모노펄스 안테나
KR101698889B1 (ko) 적층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하는 반사형 안테나
Jiang et al. A broadband metamaterial polarization converter based on split ring resonators
Petosa et al. Effects of Fresnel lens thickness on aperture efficiency
Clemente et al. Multiple feed transmit-array antennas with reduced focal distance
KR101499045B1 (ko) 투과형 안테나
KR100976535B1 (ko) 주파수 선택기
JP2010109890A (ja) アンテナ装置
Dong et al. Design of a w-band 3-bit dual linearly polarized transmit-array antenna
Ge et al. Design of a compact wideband high-gain mmw antenna based on fabry-perot antenna concept
CN102683811A (zh) 一种超材料卫星天线及卫星接收系统
Shoaib et al. Beam Switching Using Active Frequency Selective Surface (AFSS) for 5G Applications
CN102800982B (zh) 一种超材料天线
Al-Nuaimi et al. Analysis and design of inhomogeneous single layer slotted dielectric flat lens
Tsai et al. A novel monopulse antenna using an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in metallic corner reflectors
Kim Enhancement of antenna gain and a bandwidth using frequency selective refle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