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9529B1 - Vertical type probe unit block - Google Patents

Vertical type probe unit b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9529B1
KR101519529B1 KR1020130110251A KR20130110251A KR101519529B1 KR 101519529 B1 KR101519529 B1 KR 101519529B1 KR 1020130110251 A KR1020130110251 A KR 1020130110251A KR 20130110251 A KR20130110251 A KR 20130110251A KR 101519529 B1 KR101519529 B1 KR 101519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s
probe
block
holder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02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30916A (en
Inventor
안윤태
김석중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주) 루켄테크놀러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루켄테크놀러지스 filed Critical (주) 루켄테크놀러지스
Priority to KR1020130110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529B1/en
Publication of KR20150030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9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5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01R1/07307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 G01R1/07314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the body of the probe being perpendicular to test object, e.g. bed of nails or probe with bump contacts on a rigid suppor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ome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이 개시되며, 상기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은 TCP 블록부; 및 각각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복수의 플레이트,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홀더부, 및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각각의 복수의 홀을 상하 방향으로 대응하여 통과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프로브 핀을 갖는 프로브 블록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프로브 핀은, 상단이 상기 TCP 블록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사 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패드와 접촉될 수 있다.A vertical probe unit block is disclosed, wherein the vertical probe unit block includes a TCP block unit; And a plurality of plates each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therein, a holder portion having the plurality of plat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holes And a probe block having a probe pin, wherein the plurality of probe pin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CP block portion at an upper end thereof,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pad of the display panel at the time of inspecting the display panel.

Description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VERTICAL TYPE PROBE UNIT BLOCK}Vertical probe unit block {VERTICAL TYPE PROBE UNIT BLOCK}

본원은 LCD 패널, OLED 패널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검사하는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probe unit block for inspecting display panels such as LCD panels, OLED panels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OLE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영상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다수의 패드(전극)가 구비될 수 있다.A display panel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 plurality of pads (electrodes) for applying an electrical signal may be provided at the edge portions of the electrodes.

프로브 유닛은 생산된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여 제조 공정상 발생할 수 있는 결함의 유무를 확인하는 유닛이다. 예를 들어 프로브 유닛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패드(전극)에 테스트용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픽셀 에러, 단락(배선 불량) 등을 검사할 수 있다.The probe unit is a unit for checking whether a defect occur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by performing inspection on the produced display panel. For example, the probe unit can test a pixel error, a short circuit (wiring defect), etc. by applying a test electric signal to a pad (electrode) of a display panel.

이러한 프로브 유닛으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3997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블레이드형(Blade Type)이나,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823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필름형(Film Type)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As such a probe unit, a blade type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1-0039976 or a film type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1-008233 is mainly used have.

하지만, 블레이드형 프로브 유닛은 그 구조상 쉽게 구부러져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일정한 위치에서의 정확한 컨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어 핀 미스(pin miss)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blade-type probe uni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easily bent due to its structure and its durability is deteriorated. As a result, a precise contact at a certain position can not be continuously performed, thereby causing a pin miss.

또한, 필름형 프로브 유닛은 블레이드형 프로브 유닛 대비 사용성은 좋은 편이나, 컨택부가 형성된 필름의 일면 상에 이물질이 쉽게 달라붙어 프로브 유닛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패드(전극) 사이의 접촉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lthough the film-type probe unit is more usable than the blade-type probe unit, there is a problem in that foreign matter easily sticks on one surface of the film on which the contact portion is formed, and the contact stability between the probe unit and the pad .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로브 핀의 내구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 패드에 대한 접촉 안정성을 크게 개선한 구조를 갖는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rtical probe unit block having a structure in which durability of a probe pin is secured and contact stability of an electrode pad of a display panel is greatly improved, do.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은 TCP 블록부; 및 각각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복수의 플레이트,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홀더부, 및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각각의 복수의 홀을 상하 방향으로 대응하여 통과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프로브 핀을 갖는 프로브 블록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프로브 핀은, 상단이 상기 TCP 블록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사 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패드와 접촉될 수 있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rtical probe unit block comprising: a TCP block; And a plurality of plates each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therein, a holder portion having the plurality of plat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holes And a probe block having a probe pin, wherein the plurality of probe pin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CP block portion at an upper end thereof,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pad of the display panel at the time of inspecting the display panel.

또한,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브 블록부는 상기 TCP 블록부와 상하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e block unit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TCP block unit in a vertical direction.

또한,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패드의 피치에 대응되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in a zigzag shape corresponding to the pitch of the pads of the display panel.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복수의 플레이트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홀더부에 배치됨으로써, 프로브 핀이 복수의 플레이트 각각의 홀마다 횡 방향 지지(횡 방향 변위 구속)될 수 있으므로, 프로브 핀이 수직형이면서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본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이 높은 내구성 및 사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lurality of plates are arranged in the holder portion at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robe pins can be horizontally supported (lateral displacement restraint) The pins can be arranged vertically and firmly and stably so that the vertical probe unit block can ensure high durability and usability.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프로브 핀이 수직형으로 구비됨을 이용하여, 프로브 블록부가 모듈(집합체; ASSY) 형식으로 TCP 블록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어, 프로브 핀을 포함하는 프로브 블록부만의 수리나 교체가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obe pins are vertically provided, the probe block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TCP block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orm of a module (aggregate, ASSY) Repair or replacement of only the probe block portion including the probe pin can be made easier.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플레이트에 복수의 홀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프로브 핀 간의 미세 피치 확보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a zigzag shape on the plate, the fine pitch between the probe pins can be more easily ensured.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을 전방의 아래쪽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프로브 핀 도시 생략) 및 부분 확대도(프로브 핀 도시)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을 후방의 아래쪽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프로브 핀 도시 생략) 및 부분 확대도(프로브 핀 도시)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의 개략적인 저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의 TCP 블록부와 프로브 블록부가 상하 방향으로 분리된 상태를 후방의 아래쪽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프로브 핀 도시 생략)이다.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not showing a probe pin)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probe pin) obliquely viewed from the front lower side of the vertical probe unit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not showing a probe pin)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probe pin) obliquely viewed from the rear of the vertical probe unit blo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bottom view and partial enlarged view of a vertical probe unit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not showing a probe pin) obliquely viewed from a rear lower side of a state in which the TCP block portion and the probe block portion of the vertical probe unit bl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bers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o refer to the same or like part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물리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a case directly connected but also a case where it is physically or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on " another member, it includes not only when the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member, but also when there is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The terms "about "," substantially ", etc. used to the extent that they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taken to mean the approximation of the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sense, Accurate or absolute numbers are used to help prevent unauthorized exploitation by unauthorized intruders of the referenced disclosure. The word " step (or step) "or" step "used to the extent that it i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oes not mean" step for.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향, 하향, 상부, 하부, 상면, 하면, 상측, 하측 등)는 도 1, 도 2 등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서 위쪽을 향한 방향이 상향, 아래쪽을 향한 방향이 하향 등이 될 수 있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는 다양한 실제적인 적용에 있어서, 하단이 비스듬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등 다양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For reference, the terms (upward, downward, upper, lower, upper, lower, upper, lower, and the like) related to directions and positions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t based on FIG. 1, FIG. 2, and the like. For example, in FIGS. 1 and 2, the upward direction may be upward, and the downward direction may be downward.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arranged in various directions such that the lower ends are arranged in an oblique direction in various practical applications.

또한,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구성이나 기술적 사항에 대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description of constitution and technical matters which are obvious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simplified or omitted.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이하 '본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이라 함)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검사하는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에 관한 것이다.A vertical probe unit block (hereinafter referred to as 'vertical probe unit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probe unit block for inspecting a display panel.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을 전방의 아래쪽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프로브 핀 도시 생략) 및 부분 확대도(프로브 핀 도시)이고,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을 후방의 아래쪽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프로브 핀 도시 생략) 및 부분 확대도(프로브 핀 도시)이며,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의 개략적인 저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not showing a probe pin)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probe pin) obliquely viewed from a front lower side of the vertical probe unit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 probe pin not shown) and a partial enlarged view (a probe pin shown) that obliquely look at the vertical probe unit block according to the example at an obliquely downward position from the rear. FIG. 3 is a cross- A schematic bottom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block.

본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은 TCP 블록부(1)를 포함한다.The vertical probe unit block includes a TCP block part (1).

이러한 TCP 블록부(1)에 대해서는 프로브 블록부(3)의 구성을 먼저 살핀 뒤 후술하기로 한다.The TCP block unit 1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obe block unit 3 first.

본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은 프로브 블록부(3)를 포함한다.The vertical probe unit block includes a probe block portion (3).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프로브 블록부(3)는 복수의 플레이트(31), 홀더부(33) 및 복수의 프로브 핀(3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probe block 3 includes a plurality of plates 31, a holder 33, and a plurality of probe pins 35.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플레이트(31)에는 각각 복수의 홀(311)이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플레이트(31)는 홀더부(33)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plurality of holes 311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plates 31, respectively. Further, the plurality of plates 31 are arranged on the holder portion 33 with an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1을 참조하면, 이렇게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플레이트(31)마다 형성된 복수의 홀(311) 중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홀을 통하여 후술할 복수의 프로브 핀(35)이 각각 삽입 장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plurality of probe pins 3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inserted and mounted through hol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mong a plurality of holes 311 form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lates 31 arranged at intervals as described above .

여기서, 복수의 홀(311)은 복수의 플레이트(31)마다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브 핀(35)의 구성을 설명하면서 후술하겠지만, 프로브 핀(35)은 수직형이라고 하더라도 85도 내지 90도의 범위 내에서 다소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복수의 홀(311)은 복수의 플레이트(31)마다 위치를 조금씩 달리하게 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holes 311 may b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lates 31,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obe pins 35 may be arranged to be slightly inclined within a range of 85 degrees to 90 degrees even if the probe pins 35 are vertically arranged.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holes 311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e positions of the plates 31 may be slightly different.

즉, 복수의 홀(311) 중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홀을 통하여 후술할 복수의 프로브 핀(35)이 각각 삽입 장착되는 경우는, 이렇게 프로브 핀(35)이 다소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That is, when a plurality of probe pins 35 to be described later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inserted through the hol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the up-and-down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holes 311, the probe pins 35 are inclined until they are arranged so as to be inclined in this manner As shown in Fig.

또한, 프로브 핀(35)은 그 크기(직경)가 상하 방향을 따라 다소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복수의 플레이트(31)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홀(31)은 그 크기가 서로 다소 상이할 수 있다Since the size (diameter) of the probe pin 35 may be slightly different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holes 31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plates 31 may be slightly different in size from each other

홀더부(33)는 복수의 플레이트(31)를 고정(홀딩)하는 구성이다.The holder portion 33 is configured to hold (hold) a plurality of plates 31.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홀더부(33)는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홀더(33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연결된다는 것은,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연결부재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1 and 2, the holder 33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ders 331 connected to each oth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Here, the term " connected to each other " includes not only being direct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but also indirectly connecting through a connecting member.

예시적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홀더부(33)는 복수의 홀더(331)가 차례로 적층된 상부 홀더부(33a) 및 상부 홀더부(33a)에 대해 하측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부 홀더부(33a)와 같거나 다른 수의 복수의 홀더(331)가 차례로 적층된 하부 홀더부(33b)를 포함할 수 있다.Illustratively,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holder portion 33 is disposed at an interval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upper holder portion 33a and the upper holder portion 33a, in which a plurality of holders 331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a lower holder portion 33b in which a plurality of holders 331 having the same or different numbers as the upper holder portions 33a are stacked in order.

예시적으로, 홀더부(33)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일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홀더부(33a)는 하부 홀더부(33b)를 지탱하여 주는 베이스가 될 수 있으므로, 하부 홀더부(33b)보다 큰 규모(제원)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llustratively, the holder portion 33 may be an engineering plastic. 1 and 2, since the upper holder 33a can be a base for supporting the lower holder 33b, the upper holder 33a is provided on a larger scale (specification) than the lower holder 33b desirable.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복수의 홀더(331) 각각에는 복수의 플레이트(31) 중 하나 이상이 장착되는 슬롯(3311)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each of the plurality of holders 331 may be formed with a slot 3311 to which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plates 31 is mounted.

또한, 이러한 슬롯(3311)의 상부 둘레 및 하부 둘레 중 하나 이상에는 안착 턱(3311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안착 턱(3311a) 상에 플레이트(31)가 배치되고 고정될 수 있다. 플레이트(31)의 안착 턱(3311a)에 대한 고정은, 예시적으로 플레이트(31)가 안착 턱(3311a)에 대해 접착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peripheries of the slot 3311 may be provided with a seating jaw 3311a.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plate 31 may be disposed and fixed on the seating jaw 3311a. The fixing of the plate 31 to the seating jaw 3311a can be achieved by, for example, bonding the plate 31 to the seating jaw 3311a,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예시적으로 도 1의 확대된 영역을 참조하면, 안착 턱(3311a)은 슬롯(3311)의 상부 둘레에서 하측으로 함몰된 형상 또는 슬롯(3311)의 하부 둘레에서 상측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By way of example, referring to the enlarged area of FIG. 1, the seating jaw 3311a may be formed in a depressed shape downwardly from the top of the slot 3311, or a depressed shape upwardly from the bottom of the slot 3311 have.

또한, 안착 턱(3311a)의 함몰된 깊이는 플레이트(31)의 두께에 대응되는 깊이일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31)의 두께에 대응되는 깊이라 함은, 플레이트(31)의 두께와 동일한 깊이 또는 플레이트(31)의 두께와 플레이트(31)를 안착 턱(3311a)에 접착하는 접착층의 두께의 합과 동일한 깊이를 의미할 수 있다.Further, the recessed depth of the seating step 3311a may be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late 31. [ The dep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late 31 is a depth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plate 31 or a thickness of the plate 31 and a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for adhering the plate 31 to the seating jaw 3311a Can mean the same depth as the sum.

이와 같이 안착 턱(3311a)이 플레이트(31)의 두께에 대응되는 깊이로 함몰됨으로써, 도 1의 확대된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31b)(플레이트(31)) 중 가운데 플레이트는 홀더(331)와 홀더(331) 사이에 끼워지듯이 고정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enlarged area of FIG. 1, the center plate of the lower plate 31b (plate 31) is supported by the holder (not shown) by being recessed at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late 31, 331 and the holder 331, as shown in Fig.

또한, 예시적으로 도 1의 확대된 영역을 참조하면, 하부 홀더부(33b)에 포함된 복수의 홀더(331) 중 상측의 홀더(331)의 슬롯(3311)에는 상부 둘레에만 안착 턱(33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홀더부(33b) 중 하측의 홀더(331)의 슬롯(3311)에는 상부 둘레와 하부 둘레에 모두 안착 턱(3311a)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1, the slot 3311 of the upper holder 331 of the plurality of holders 331 included in the lower holder 33b is provided with an engagement jaw 3311a And the seating 3311a is formed in the slot 3311 of the lower holder 331 of the lower holder 33b at both the upper and lower circumferences thereof.

즉, 안착 턱(3311a)은 각 홀더(331)의 두께 등의 제원을 고려하여 홀더(331)의 상부 둘레와 하부 둘레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In other words, the seating jaw 3311a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circumferences of the holder 331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of each holder 331 and the like.

한편, 복수의 플레이트(31)와 홀더부(33)의 다른 구현예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복수의 플레이트(31)는 홀더부(33)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plurality of plates 3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lder portion 33,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lurality of plates 31 and the holder portion 33. [

다시 말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플레이트(31)는 홀더부(33)에 접착 등을 통해 고정 조립될 수도 있지만, 별도로 조립할 필요 없이 홀더부(33)와 함께 일체적으로 제조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In other words,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plates 31 may be fixedly assembled to the holder 33 through an adhesive or the like, but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together with the holder 33 without being assembled separately .

예시적으로, 복수의 플레이트(31)는 복수의 홀더(331) 중 각각이 배치되어야 할 부분에 대응하는 홀더(331)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플레이트(31)와 일체형으로 제조된 홀더(331) 각각이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됨으로써, 복수의 플레이트(31)와 일체인 홀더부(33)가 마련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plurality of plates 31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a holder 331 corresponding to a portion where each of the plurality of holders 331 is to be disposed. The holders 331 integrally formed with the plate 3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holders 33 integrated with the plurality of plates 31 can be provided.

이러한 경우, 복수의 플레이트(31)는 일체를 이루는 홀더부(33)와 동일한 재질(이를 테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plates 31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for example, engineering plastic) as the integrally formed holder portion 33.

또한, 복수의 프로브 핀(35)은 상단이 TCP 블록부(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단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사 시 디스플레이 패널의 패드와 접촉되는 구성으로서, 복수의 플레이트(31)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홀(311)을 통과하도록 배열된다.The plurality of probe pins 35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CP block portion 1 at the upper end and contacted with the pads of the display panel at the time of inspection of the display panel. And are arranged to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311.

또한, 프로브 핀(35)은 복수의 플레이트(31) 각각에 형성된 홀(311) 중 하나 이상에 고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프로브 핀(35)은 복수의 플레이트(31) 중 최상측의 플레이트의 홀에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urther, the probe pin 35 may be fixed to one or more of the holes 311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plates 31. Illustratively, the probe pin 35 may be fixed to the hole of the uppermost plate among the plurality of plates 31,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복수의 프로브 핀(35)은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즉, 본원의 프로브 핀(35)에는, 기존의 에칭(etching)을 이용한 팁(tip)이나 필름 타입 대신에 원형 단면을 갖는 수직형 핀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브 핀(35)이 원형 단면을 가지며 수직으로 배치되는 경우, 휨 작용력이 최소화되고 축력(axial force)이 주작용력이 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휨 작용력이 작용되더라도, 프로브 핀(35)은 원형 단면을 통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작용될 수 있는 외력에 대해 일정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probe pins 35 may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That is, the tip of the probe pin 3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tip using a conventional etching, or a vertical pin having a circular section instead of the film type. When the probe pins 35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and are vertically arranged, the bending force is minimized and the axial force can be the main force. In addition, even if a predetermined bending force is applied, the probe pin 35 can secure a constant rigidity with respect to an external force that can be applied in various directions through a circular cross section.

또한, 프로브 핀(35)은 수직형(vertical type)의 프로브 핀에 해당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프로브 핀(35)은 각각 디스플레이 패널의 패드의 일면과 85도 내지 90도의 각도를 이루며 접촉 가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특히 도 3을 참조하면, 저면도 상에서 프로브 핀(35)이 상측으로 다소 비스듬하게 기울어지게 도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브 핀(35)은 수직형이기는 하나, 이러한 수직형의 개념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패드의 일면과 90도를 이루도록 접촉되는 경우 이외에도 대략 85도 내지 90도 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열되는 경우까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be pin 35 may correspond to a vertical type probe pin. Referring to FIGS. 1 to 3, the plurality of probe pins 35 may be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pad of the display panel at an angle of 85 to 90 degrees, respectively. In particular, referring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probe pin 35 on the bottom view is shown to be slightly obliquely tilted upward. In this case, the probe pin 35 is vertically arranged. However, in the vertical type, the probe pin 35 may be arranged at an angle of about 85 to 90 degrees in addition to the 90 degrees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pad of the display panel. .

한편, 상술한 복수의 플레이트(31) 사이의 간격은, 복수의 프로브 핀(35)의 하단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사를 위해 패드에 접촉되었을 때 복수의 프로브 핀(35)에 좌굴 발생을 방지하는 간격일 수 있다.The spacing between the plurality of the plates 31 is set to be short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probe pins 35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buckling when the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probe pins 35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ads for inspection of the display panel Lt; / RTI >

즉, 복수의 플레이트(31)는 프로브 핀(35)의 구부러짐이 과다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좌굴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소정의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구비되는 프로브 핀(35)에는 쉽게 좌굴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브 핀(35)의 구부러짐이 발생할 수 있는 특정 높이마다 복수의 플레이트(31)를 각각 배치하여 횡 방향(수평 방향) 변위를 구속하여 줌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패드 검사시의 프로브 핀(35)의 구조적 견고성을 확보할 수 있다.That is, the plurality of plates 31 may prevent buckling that may occur when the probe pins 35 are excessively bent. Since the probe pins 35 having a predetermined small diameter and extending vertic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easily buckle, a plurality of plates 31 are provided for each specific height at which bending of the probe pins 35 can occur So that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probe pin 35 at the time of inspecting the pad of the display panel can be ensured by restricting the lateral (horizontal) displacement.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플레이트(31)는 복수의 상부 플레이트(31a) 및 복수의 하부 플레이트(31b)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plurality of plates 31 may include a plurality of upper plates 31a and a plurality of lower plates 31b.

복수의 상부 플레이트(31a)는 홀더부(33) 중 상부 홀더부(33a)에 장착되는 플레이트이다. 또한, 복수의 하부 플레이트(31b)는 홀더부(33) 중 하부 홀더부(33b)에 장착되는 플레이트이다.The plurality of upper plates 31a are plates mounted on the upper holder portion 33a of the holder portion 33. [ The plurality of lower plates 31b is a plate mounted on the lower holder portion 33b of the holder portion 33. [

참고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러한 각 플레이트(31)는 웨이퍼 가공을 통해 홀더부(33)와는 별개의 구성으로 마련되어 조립을 통해 홀더부(33)에 고정될 수도 있지만, 홀더부(33)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plates 31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holder 33 through wafer processing and may be fixed to the holder 33 through assembly. However, the plate 33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lder 33, As shown in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상부 플레이트(31a) 중 최하측 플레이트와 복수의 하부 플레이트(31b) 중 최상측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은, 복수의 상부 플레이트(31a) 상호 간의 간격 및 복수의 하부 플레이트(31b) 상호 간의 간격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복수의 플레이트(31)는 프로브 핀(35)의 상단측과 하단측에 각각 복수 개씩 나누어 배치되고, 상단측과 하단측 사이에는 소정 이상의 간격을 둘 수 있다.1 and 2, the interval between the lowermost plate of the plurality of upper plates 31a and the uppermost plate of the plurality of lower plates 31b is determined by the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upper plates 31a,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lower plates 31b. In other words, a plurality of the plates 31 are respectively disposed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probe pin 35, and a predetermined gap may be provided between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디스플레이 패널의 패드에 대해 프로브 핀(35)의 하단이 접속될 때 받게 되는 소정의 충격은 프로브 핀(35)의 상단측에 반작용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프로브 핀(35)의 중간부에 비해 그 하단측과 상단측에 복수의 플레이트(31)를 각각 촘촘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두는 것이 프로브 핀(35)의 반복 사용을 위한 사용성 및 견고성 확보에 있어서 바람직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impact which is received when the lower end of the probe pin 35 is connected to the pad of the display panel is transmitted to the upper end side of the probe pin 35 in reactio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plates 31 are arranged at closely spaced intervals on the lower end side and the upper end side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probe pin 35 in terms of usability and robustness for repeated use of the probe pin 35 Lt; / RTI >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31a)의 배치 간격보다, 프로브 핀(35)의 하단측을 감싸 횡 방향 변위를 구속하여 주는 하부 플레이트(31b)의 배치 간격이 더 좁을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 1, the spacing of the lower plate 31b, which surrounds the lower end of the probe pin 35 and restrains the lateral displacement, may be narrower than the spacing of the upper plate 31a.

또한, 상부 홀더부(33a)에는 복수의 상부 플레이트(31a)가 장착되고, 하부 홀더부(33b)에는 복수의 하부 플레이트(31b)가 장착되며, 상부 플레이트(31a)와 하부 플레이트(31b)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홀더부(33)는 이러한 소정 간격에 대해 상부 홀더부(33a)와 하부 홀더부(33b)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부재(333)를 포함할 수 있다.A plurality of upper plates 31a are mounted on the upper holder 33a and a plurality of lower plates 31b are mounted on the lower holder 33b so that the upper plate 31a and the lower plate 31b The holder 33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333 for connecting the upper holder 33a and the lower holder 33b with respect to the predetermined gap.

한편, 프로브 핀(35)의 배치를 위해 복수의 홀(311)이 형성된 플레이트(31)는 MEMS 공정을 통해 제조됨으로써, 복수의 홀(311)이 상호간에 미세 피치(fine pitch)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은 기존 기계 가공의 미세 피치 확보에 있어서의 제작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MEMS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미세 피치는 기존의 기계 가공을 통해서는 확보될 수 없고 MEMS 공정을 통하여서만 확보될 수 있는 제조 방식의 차이로 인해 도출되는 임계 값이라 할 수 있다.The plate 31 having the plurality of holes 311 for arranging the probe pins 35 is manufactured through the MEMS process so that the plurality of holes 311 can have a fine pitch have. That is, the vertical probe unit block can be manufactured using a MEMS process to overcome manufacturing limitations in securing fine pitches in conventional machining. In other words, such a fine pitch can not be obtained through conventional machining, but can be regarded as a threshold value derived from a difference in manufacturing method that can be secured only through the MEMS process.

다만, 본원의 플레이트(31)의 복수의 홀(311)은 MEMS 공정을 통하여서만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구되는 피치, 적용성, 제작성,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서는 기계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However, the plurality of holes 311 of the plate 31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being formed only through the MEMS process, and may be machined, if necessary, in consideration of the required pitch, applicability, As shown in FIG.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플레이트(31)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홀(311)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패드의 피치에 대응되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plurality of holes 311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plates 31 may be formed in a zigzag shape corresponding to the pitch of the pads of the display panel.

즉, 미세 피치의 확보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홀(311)의 크기 및 이에 대응하는 프로브 핀(35)의 크기를 미세화함으로써 확보될 수도 있지만, 이와 같이 복수의 홀(311)을 지그재그 형태로 엇갈리게 배치함으로써, 소정의 크기를 갖는 홀(311)이 인접하는 홀과 간섭되거나 겹쳐지지 않도록 하여 확보될 수 있다. 즉,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은 홀(311)의 엇갈림 형성를 통하여 피치를 확보함으로써, 본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의 제조가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In other words, securing the fine pitch can be ensured by miniaturizing the size of the hole 311 and the size of the corresponding probe pin 35 as described above. However, by arranging the plurality of holes 311 in a staggered arrangement Thereby ensuring that the holes 311 having a predetermined size do not interfere with or overlap with adjacent holes. That is, by securing the pitch through the formation of the holes 311 as shown in FIG. 3,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vertical probe unit block more easily.

한편,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TCP 블록부(1)에 대해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the TCP block unit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의 TCP 블록부와 프로브 블록부가 상하 방향으로 분리된 상태를 후방의 아래쪽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프로브 핀 도시 생략)이다.FIG.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not showing a probe pin) obliquely viewed from a rear lower side of a state in which the TCP block portion and the probe block portion of the vertical probe unit bl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4를 참조하면, TCP 블록부(1)는 하측에 탭 아이씨(Tab I.C) 또는 글라스 패턴(glass pattern)(11)을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복수의 프로브 핀(35)은 프로브 블록부(3)와 TCP 블록부(1)의 결합시 TCP 블록부(1)에 구비된 탭 아이씨 또는 글라스 패턴(11)과의 접촉을 통하여 FPC(연성회로기판)(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프로브 블록부(3)의 프로브 핀(35)과 FPC(13)를 연결하는 중간 매개체는, 탭 아이씨 또는 글라스 패턴(11)에 구동 칩을 본딩한 것(ASSY)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TCP block unit 1 may include a tab IC or a glass pattern 11 on the lower side. The plurality of probe pins 35 may be connected to the FPC (not shown) through contact with the tab eye or the glass pattern 11 provided in the TCP block unit 1 when the probe block unit 3 and the TCP block unit 1 are coupled. The flexible circuit board 13). That is, the intermediate medium for connecting the probe pin 35 of the probe block portion 3 and the FPC 13 may be a tab joint or a glass substrate (ASSY) with a driving chip bonded to the glass pattern 11.

여기서, 탭 아이씨 또는 글라스 패턴(11), 및 FPC(13)의 구성은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configurations of the tap eye or the glass pattern 11 and the FPC 13 ar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TCP 블록부(1)는 상술한 프로브 블록부(3)와 상하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4, the TCP block unit 1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probe block unit 3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의 프로브 핀(35)은 수직형으로서 세워져 배치되기 때문에, 이렇게 프로브 핀(35)이 수직 배치되어 있는 프로브 블록부(3)와 TCP 블록부(1)는 상하 방향을 따라 결합되면 전기적인 연결이 성립하도록 구성하기 매우 용이하다. 이에 따라, 프로브 블록부(3)와 TCP 블록부(1)는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하여 상하 방향을 따라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분리(탈착)가 용이한 블록형(집합체; ASSY)의 구조를 통하여, 프로브 핀(35)이 설치되어 있는 프로브 블록부(1)만을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게 되어, 유지보수가 용이해지고 사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The probe block 35 of the vertical probe unit block is erected vertically so that the probe block portion 3 and the TCP block portion 1 in which the probe pins 35 are arranged vertically When combined, it is very easy to configure the electrical connection to be established. Accordingly, the probe block unit 3 and the TCP block unit 1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separated or combin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It is possible to repair or replace only the probe block portion 1 provided with the probe pin 35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block type (aggregate ASSY) which can be easily separated (detached) Can be increased.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modify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TCP 블록부 11: 탭 아이씨 또는 글라스 패턴
13: FPC 3: 프로브 블록부
31: 복수의 플레이트 31a: 복수의 상부 플레이트
31b: 복수의 하부 플레이트 311: 복수의 홀
33: 홀더부 33a: 상부 홀더부
33b: 하부 홀더부 331: 복수의 홀더
3311: 슬롯 3311a: 안착 턱
333: 지지부재 35: 복수의 프로브 핀
1: TCP block part 11: Tab window or glass pattern
13: FPC 3: Probe block section
31: a plurality of plates 31a: a plurality of upper plates
31b: a plurality of lower plates 311: a plurality of holes
33: holder part 33a: upper holder part
33b: Lower holder part 331:
3311: Slot 3311a:
333: support member 35: a plurality of probe pins

Claims (13)

디스플레이 패널을 검사하는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으로서,
TCP 블록부; 및
각각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복수의 플레이트,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홀더부, 및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각각의 복수의 홀을 상하 방향으로 대응하여 통과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프로브 핀을 갖는 프로브 블록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프로브 핀은, 상단이 상기 TCP 블록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사 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패드와 접촉되며,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은, 상기 복수의 프로브 핀의 하단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사를 위해 상기 패드에 접촉되었을 때 상기 복수의 프로브 핀에 좌굴 발생을 방지하는 간격인 것인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
A vertical probe unit block for inspecting a display panel,
TCP block; And
A plurality of plates each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therein, a holder portion having the plurality of plates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probes arranged so as to vertically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lates, And a probe block portion having a pin,
Wherein the plurality of probe pin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CP block portion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a pad of the display panel at the time of inspecting the display panel,
Wherein an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the probes is an interval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buckling of the plurality of probe pins when the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probe pin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ad for inspection of the display panel,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홀더 각각에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이 장착되는 슬롯이 형성되는 것인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der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holders connected to each other along a vertical direction,
Wherein each of said plurality of holders is formed with a slot in which at least one of said plurality of plates is moun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상부 둘레 및 하부 둘레 중 하나 이상에는 안착 턱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 턱에 상기 플레이트가 고정되는 것인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
3. The method of claim 2,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peripheries of the slot is formed with a seating jaw,
And the plate is secured to the seating jaw.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턱의 함몰된 깊이는 상기 플레이트의 두께에 대응되는 깊이인 것인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ecessed depth of the seating jaw is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la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는,
상기 홀더부 중 상부 홀더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홀더부 중 하부 홀더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상부 플레이트 중 최하측 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하부 플레이트 중 최상측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은, 상기 복수의 상부 플레이트 상호 간의 간격 및 상기 복수의 하부 플레이트 상호 간의 간격보다 큰 것인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plates comprises:
A plurality of upper plates mounted on upper holder portions of the holder portions; And
And a plurality of lower plates mounted on the lower holder part of the holder part,
Wherein an interval between the lowermost plate of the plurality of upper plates and the uppermost plate of the plurality of lower plates is larger than an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upper plates and an interval between the lower plates,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상부 홀더부와 상기 하부 홀더부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holder portion includes a support member for connecting the upper holder portion and the lower holde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패드의 피치에 대응되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인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a zigzag shape corresponding to the pitch of the pads of the display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로브 핀은 원형 단면을 갖는 것인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probe pins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로브 핀은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패드의 일면과 85도 내지 90도의 각도를 이루며 접촉 가능하도록 배열되는 것인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probe pins are arrang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an angle of 85 to 90 degrees with one surface of the pad of the display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블록부는 상기 TCP 블록부와 상하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인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probe block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with the TCP block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TCP 블록부는 하측에 탭 아이씨 또는 글라스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프로브 핀은 상기 프로브 블록부와 상기 TCP 블록부의 결합시 상기 탭 아이씨 또는 상기 글라스 패턴과의 접촉을 통하여 FP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인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TCP block unit has a tab eye or a glass pattern on the lower side,
Wherein the plurality of probe pin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PC through contact with the tab eye or the glass pattern when the probe block and the TCP block are coup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는 상기 홀더부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것인 수직형 프로브 유닛 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plates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lder portion.
KR1020130110251A 2013-09-13 2013-09-13 Vertical type probe unit block KR1015195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251A KR101519529B1 (en) 2013-09-13 2013-09-13 Vertical type probe unit 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251A KR101519529B1 (en) 2013-09-13 2013-09-13 Vertical type probe unit b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916A KR20150030916A (en) 2015-03-23
KR101519529B1 true KR101519529B1 (en) 2015-05-13

Family

ID=53024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0251A KR101519529B1 (en) 2013-09-13 2013-09-13 Vertical type probe unit b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952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37291B (en) * 2020-05-08 2021-08-21 中華精測科技股份有限公司 Vertical test device
KR102265960B1 (en) * 2020-12-29 2021-06-17 주식회사 프로이천 Probe bloc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083B1 (en) * 2007-02-08 2008-07-14 이채갑 Probe assembly for testing printed circuit boar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083B1 (en) * 2007-02-08 2008-07-14 이채갑 Probe assembly for testing printed circuit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916A (en) 2015-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1675B1 (e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KR100773732B1 (en) Probe unit and probe apparatus having the same
JP4884753B2 (en) Conductive contact unit and conductive contact
CN103840091B (en) The method of unit mask, mask assembly and manufactur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1042514B1 (en) Probe Card
KR101519529B1 (en) Vertical type probe unit block
JP2012242178A (en) Vertical probe and probe head using the same
KR100793637B1 (en) Probe unit and probe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40025851A (en) Chip on film : cof
KR100545189B1 (en) Probe card for testing LCD
JP2007303834A (en) Probe assembly
KR101621062B1 (en) Film type prove unit
JP2005055343A (en) Probe device for flat-panel display inspection
TW201142305A (en) Probe unit for testing micro pitch array
KR100696416B1 (en) Probe assembly for testing flat display panel
KR20120122906A (en) Probe Apparatus and Probe Unit
KR101366036B1 (en) Vertical type probe card
JP2010210478A (en) Probe card
KR101060147B1 (en) Probe block
JP2010169637A (en) Probe card
KR200396580Y1 (en) Probe unit for inspection of flat display devices
JP2013142689A (en) Probe assembly for simultaneous measurement of plural chips
KR100599767B1 (en) a probe and an assembly body of probe with using the above probe
KR20110034177A (en) Probe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42372B1 (en) Bump-type probe, glass block panels for tes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