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9225B1 - 휴대용 디바이스 센서를 이용한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용 디바이스 센서를 이용한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9225B1
KR101519225B1 KR1020130123550A KR20130123550A KR101519225B1 KR 101519225 B1 KR101519225 B1 KR 101519225B1 KR 1020130123550 A KR1020130123550 A KR 1020130123550A KR 20130123550 A KR20130123550 A KR 20130123550A KR 101519225 B1 KR101519225 B1 KR 101519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ime
portable device
touch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3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8748A (ko
Inventor
김상식
정성관
박준석
신용철
김용록
박효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US14/453,359 priority Critical patent/US10366264B2/en
Publication of KR20150018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휴대용 디바이스 센서를 이용한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디바이스의 컨텐츠 이동 방법은, 물체의 터치를 인식하여 터치가 인식된 좌표 및 인식시각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터치의 인식에 따라 커플링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터치의 해제를 인식하여 상기 터치가 해제된 해제시각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에 대해 응답하는 휴대용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근접 센서의 센서 값에 대한 제1 변화시각 및 제2 변화시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식시각, 상기 해제시각, 상기 제1 변화시각 및 상기 제2 변화시각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의 커플링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 커플링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의 커플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디바이스 센서를 이용한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ING CONTENT AMONG DEVICES USING MOBILE DEVICE SENSOR}
본 발명은 휴대용 디바이스 센서를 이용한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사용자 주변의 광고판들이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 및 광고 정보 들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바라보고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 광고판이다.
그리고, 디지털 사이니지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컨텐츠 중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사용자들의 단말기로 이동하고,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디지털 사이니지로 컨텐츠를 이동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이 필요하다.
"Stitching: Pen Gestures that Span Multiple Displays"라는 논문에는 제1 디바이스에서 터치를 시작하여 제2 디바이스까지 터치를 지속하고 제2 디바이스에서 터치를 때면, 제1 디바이스에서 제2 디바이스로 컨텐츠를 이동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컨텐츠를 제2 디바이스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컨텐츠가 제1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경계를 넘어가야만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디스플레이가 광고판의 역할을 하므로,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매우 큰 디지털 사이니지에서는 컨텐츠를 다른 디바이스로 이동하기 위하여 컨텐츠를 터치한 상태로 이동해야 하는 디스플레이의 끝까지의 거리가 멀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 중 하나는 제2 디바이스를 제1 디바이스의 옆에 위치시키고 있어야 하므로, 컨텐츠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양손을 모두 써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따라서, 간단한 입력으로 디바이스간 컨텐츠를 이동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를 손에 쥔 상태로 컨텐츠 디바이스의 컨텐츠를 선택할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로 컨텐츠를 이동함으로써, 직관적으로 멀티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이 가능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에 쥔 휴대용 디바이스를 식별하여 커플링함으로써, 컨텐츠를 이동시킬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직관적인 제스처를 이용하여 이동할 컨텐츠 및 컨텐츠가 이동할 대상 디바이스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다른 교육 없이도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원하는 디바이스로 이동시킬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디바이스의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용 디바이스와 컨텐츠 디바이스간에 커플링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디바이스의 컨텐츠 이동 방법에 있어서, 물체의 터치를 인식하여 터치가 인식된 좌표 및 인식시각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터치의 인식에 따라 커플링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터치의 해제를 인식하여 상기 터치가 해제된 해제시각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에 대해 응답하는 휴대용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근접 센서의 센서 값에 대한 제1 변화시각 및 제2 변화시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식시각, 상기 해제시각, 상기 제1 변화시각 및 상기 제2 변화시각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의 커플링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 커플링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의 커플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이동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의 컨텐츠 이동 방법에 있어서, 특정물체의 접근에 따라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근접 센서에서 인식된 센서 값의 제1 변화시각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접근의 해제에 따라 상기 근접 센서에서 인식된 센서 값의 제2 변화시각을 저장하는 단계; 컨텐츠 디바이스로부터 커플링을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변화시각 및 상기 제2 변화시각을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에서 발생한 터치의 인식시각, 상기 터치의 해제시각, 상기 제1 변화시각 및 상기 제2 변화시각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부터의 수신되는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와의 커플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동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토리지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물체의 터치를 인식하여 터치가 인식된 좌표 및 인식시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토리지 유닛에 저장하는 과정; 상기 터치의 인식에 따라 커플링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터치의 해제를 인식하여 상기 터치가 해제된 해제시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토리지 유닛에 저장하는 과정; 상기 메시지에 대해 응답하는 휴대용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근접 센서의 센서 값에 대한 제1 변화시각 및 제2 변화시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인식시각, 상기 해제시각, 상기 제1 변화시각 및 상기 제2 변화시각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의 커플링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 커플링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의 커플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휴대용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설치파일을 저장하는 파일 저장부; 및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설치파일을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특정물체의 접근에 따라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근접 센서에서 인식된 센서 값의 제1 변화시각을 저장하도록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모듈; 상기 접근의 해제에 따라 상기 근접 센서에서 인식된 센서 값의 제2 변화시각을 저장하도록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모듈; 컨텐츠 디바이스로부터 커플링을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모듈;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변화시각 및 상기 제2 변화시각을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모듈; 및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에서 발생한 터치의 인식시각, 상기 터치의 해제시각, 상기 제1 변화시각 및 상기 제2 변화시각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부터의 수신되는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와의 커플링을 수행하도록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를 손에 쥔 상태로 컨텐츠 디바이스의 컨텐츠를 선택할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로 컨텐츠를 이동함으로써, 직관적으로 멀티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손에 쥔 휴대용 디바이스를 식별하여 커플링함으로써, 컨텐츠를 이동시킬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직관적인 제스처를 이용하여 이동할 컨텐츠 및 컨텐츠가 이동할 대상 디바이스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다른 교육 없이도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원하는 디바이스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디바이스의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용 디바이스와 컨텐츠 디바이스간에 커플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바이스에서 싱글 터치로 이동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바이스에서 싱글 터치로 이동할 복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바이스에서 특이 터치로 이동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바이스에서 멀티 터치로 이동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이 터치의 일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바이스에서 특이 터치로 이동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례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바이스가 수신한 컨텐츠를 표시할 위치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례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바이스에서 싱글 터치와 특이 터치로 컨텐츠를 이동하는 방법의 일례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디바이스(110)에서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컨텐츠를 이동하는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가 인식하는 터치 흔적의 일례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싱글 터치와 특이 터치를 이용하여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컨텐츠 디바이스로 컨텐츠를 이동하는 방법의 일례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컨텐츠 디바이스로 컨텐츠를 이동하는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가 인식하는 터치 흔적의 일례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싱글 터치와 특이 터치를 이용하여 컨텐츠 디바이스(110)에서 휴대용 디바이스로 컨텐츠를 이동하는 방법의 또 다른 일례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싱글 터치와 특이 터치를 이용하여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컨텐츠 디바이스로 컨텐츠를 이동하는 방법의 또 다른 일례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바이스에서 멀티 터치로 이동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의 다른 일례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바이스에서 특이 터치로 이동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의 다른 일례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이동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및 근접 센서 인식에 의한 컨텐츠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및 근접 센서 인식에 의한 컨텐츠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바이스의 컨텐츠 이동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의 컨텐츠 이동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방법은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은 컨텐츠 디바이스(110)와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일 수 있다.
이때,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터치 입력이 발생한 경우, 일정 거리 안에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broadcast)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입력은 드래그(drag), 스윕(sweep) 및 플릭(flick)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는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수신한 휴대용 디바이스(120)에게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는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수신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를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서 입력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한 터치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공간상 이동 시간, 이동 거리, 움직임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터치 정보는 디스플레이에서 수행된 터치 입력의 위치, 이동 시간, 이동 거리, 움직임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와 터치 입력이 일정 오차 이내에서 일치한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과 커플링을 맺고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크기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스마트폰이나 PDA와 같이 휴대 가능한 터치 디바이스일 수 있다.
그리고,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로부터 휴대용 디바이스(120) 검색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공간상 이동을 식별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생성한 위치 정보와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식별 정보를 휴대용 디바이스(120) 검색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여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디바이스(110)로부터 커플링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커플링 메시지에 기초하여 컨텐츠 디바이스(110)와 커플링을 맺고, 컨텐츠 이동 및 복제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은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쥐고 터치 입력을 수행하면, 컨텐츠 디바이스(110)가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하고,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상태로 선택한 컨텐츠(100)를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상태로 휴대용 디바이스(120)에서 선택한 컨텐츠(101)를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하여 터치 입력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터치 입력과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공간상 이동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쥐고 터치한 상태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은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손에 쥔 상태로 컨텐츠 디바이스(110)에 입력한 터치 입력에 따라 컨텐츠 디바이스(110)에서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컨텐츠(100)를 이동함으로써, 사용자가 컨텐츠(100)를 다른 디바이스로 이동하기 위하여 컨텐츠(100)를 화면 밖까지 이동시키지 않고도 용이하게 컨텐츠(100)를 다른 디바이스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손에 쥔 상태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컨텐츠(101)을 선택하고, 컨텐츠 디바이스(110)를 터치한 경우,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은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컨텐츠(101)를 이동함으로써, 사용자가 한 손만으로도 용이하게 휴대용 디바이스(12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컨텐츠(101)를 이동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의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사이니지(201)과 단말(202)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210)에서 사용자는 한 손으로 단말(202)를 쥔 상태로 디지털 사이니지(201)의 일 측에 접근하고, 다른 손으로 디지털 사이니지(201)에 포함된 컨텐츠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220)에서 사용자는 단계(210)에서 선택한 컨텐츠(200)를 단말(202) 방향으로 드래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컨텐츠(200)를 디지털 사이니지(201)의 디스플레이 밖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단계(230)에서 디지털 사이니지(201)는 단계(220)에서 디스플레이 밖까지 이동한 컨텐츠(200)를 단말(202)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종래의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은 컨텐츠를 다른 디바이스로 이동할 때마다 해당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밖까지 이동해야 하므로, 터치 입력의 길이가 증가하여 불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바이스(1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위치 정보 수집부(310), 터치 정보 생성부(320), 커플링부(330), 컨텐츠 이동부(340), 및 카메라 제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수집부(31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가 있는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에 인접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가 있는 경우, 위치 정보 수집부(310)는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위치 정보 수집부(310)는 커플링부(330)를 종료시킬 수 있다.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위치 정보 수집부(310)는 응답 메시지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에 인접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가 있을 때마다 위치 정보 수집부(310)가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하면, 사용자가 컨텐츠를 이동할 생각이 없는 경우에도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 전송 및 커플링이 수행되므로, 자원이 낭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컨텐츠 이동과 상관 없이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쥐고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를 터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위치 정보 수집부(310)는 물체가 디스플레이를 터치하여 입력한 터치 명령이 단순 터치인 경우는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터치 명령이 드래그, 스윕 및 플릭과 같은 컨텐츠 이동과 관련하여 기 설정된 터치 명령인 경우에만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위치 정보 수집부(310)는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 또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손으로 특정 터치 명령을 입력한 경우에만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함으로써, 사용자가 컨텐츠의 이동을 원하지 않는 상황에서 컨텐츠를 이동할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검색하기 위하여 불필요한 자원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의 개수, 물체의 면적, 및 물체의 형상에 기초하여 물체의 터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물체의 움직임 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물체를 이용하여 컨텐츠 디바이스(110)에 입력하는 터치 명령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터치 명령과 물체의 터치 타입을 포함하는 터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물체가 디스플레이에 터치를 시작한 상태인 터치 다운(touch-down)과 물체가 디스플레이에서 터치를 종료하고 이탈한 상태인 터치 업(touch-up)의 발생 시간과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물체가 디스플레이에 터치를 한 상태로 이동하는 상태인 터치 무브(touch-move)인 경우, 이동하는 물체의 움직임 패턴, 이동 거리, 이동 시간 및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도 있다.
그리고,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터치 타입을 사용자의 손가락 중 하나가 디스플레이를 터치하여 입력하는 싱글 터치, 사용자의 손가락들이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위치를 터치하여 입력하는 멀티 터치, 및 휴대용 디바이스(120), 또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쥐고 있는 사용자의 손이 디스플레이를 터치하여 입력하는 특이 터치 중 하나로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의 형상이 사용자의 손가락이고,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의 개수가 하나인 경우,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물체의 터치 타입을 싱글 터치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의 형상이 사용자의 손가락이고,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의 개수가 복수인 경우,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물체의 터치 타입을 멀티 터치로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의 형상이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이한 형상인 경우,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물체의 터치 타입을 특이 터치로 식별할 수 있다.
터치 정보 생성부가 특이 터치를 식별하는 방법은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물체의 터치 타입과 물체의 움직임 패턴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정보 수집부(310)는 제어 신호에 따라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터치 타입이 특이 터치를 포함하는 사전에 설정된 터치 형태이거나, 물체가 터치한 상태에서 이동하여 움직임 패턴이 발생하는 경우, 위치 정보 수집부(310)에게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라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커플링부(330)는 터치 정보 생성부(320)가 생성한 물체의 터치 정보 및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정보에 포함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이동 시간, 이동 거리 및 움직임 패턴이 터치 정보에 포함된 물체의 이동 시간, 이동 거리 및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는 경우, 커플링부(33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이때, 위치 정보에 포함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이동 시간, 이동 거리 및 움직임 패턴이 터치 정보에 포함된 물체의 이동 시간, 이동 거리 및 움직임 패턴이 일정 오차 이내에서 일치한 경우, 커플링부(330)는 위치 정보와 터치 입력이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손에 쥔 상태로 디스플레이를 터치하거나,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를 터치한 사용자의 손, 또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에 반사되는 충격에 의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 가속도계 센서의 값이 변화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가속도계 센서의 값의 변화 및 변화 시간을 이동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커플링부(330)는 물체가 디스플레이를 터치한 시간과 가속도계 센서의 값이 변화한 시간을 비교하고, 터치한 시간과 가속도계 센서의 값이 변화한 시간이 일정한 오차 범위 내에서 일치하면,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이때, 물체가 디스플레이를 터치한 시간은 터치 다운을 시작하여 드래그와 같은 터치 명령 입력 및 터치업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컨텐츠 이동과 상관 없이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쥐고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를 터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커플링부(330)는 터치 명령이 단순 터치인 경우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하지 않고, 터치 명령이 드래그, 스윕 및 플릭과 같은 컨텐츠 이동과 관련하여 기 설정된 터치 명령인 경우에만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 또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손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단순히 터치한 경우, 커플링부(33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이동부(340)는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에 따라 동영상 컨텐츠의 플레이/정지, 버튼 입력, 텍스트 하이라이트, 필드 선택, 이미지 선택/확대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 또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손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드래그, 스윕, 및 플릭 중 하나를 입력하는 경우, 커플링부(33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즉, 커플링부(330)는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 또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손으로 특정 터치 명령을 입력한 경우에만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컨텐츠가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수집부(310)가 복수의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집한 경우, 커플링부(330)는 수집한 위치 정보들과 터치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컨텐츠 디바이스(110)로부터 일정 거리 안에 위치한 복수의 휴대용 디바이스(120) 중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 터치할 때 손에 쥐고 있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식별하여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그리고, 물체가 드래그와 같은 터치 명령 입력을 위하여 이동하는 경우, 커플링부(330)는 물체가 디스플레이에 터치하여 이동하기 시작하는 시간부터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또한, 커플링부(330)는 물체가 디스플레이에서 이탈하여 터치가 종료되기 전까지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맺은 커플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타입이 특이 터치인 경우, 커플링부(33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그리고, 터치 타입이 싱글 터치, 또는 멀티 터치이고, 터치 명령이 입력된 경우, 커플링부(33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반면, 터치 타입이 싱글 터치, 또는 멀티 터치이지만, 단순히 터치만 하고, 움직임 없이 터치를 종료한 경우, 커플링부(33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지 않을 수 있다.
컨텐츠 이동부(340)는 터치 정보 생성부(320)가 생성한 물체의 터치 정보 및 위치 정보 수집부(310)가 수집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커플링부(330)가 커플링을 맺은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컨텐츠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이동부(340)는 터치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표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이동부(340)는 표시 위치 및 표시 위치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컨텐츠를 이동할 수 있다.
터치 타입이 특이 터치인 경우, 컨텐츠를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하는 방법은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물체가 복수의 컨텐츠들을 선택한 다음,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터치 명령을 입력한 경우, 컨텐츠 이동부(340)는 물체가 선택한 복수의 컨텐츠들을 모두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에 접촉한 물체가 드래그, 스윕, 및 플릭 중 하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복수의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 컨텐츠 이동부(340)는 물체가 선택한 복수의 컨텐츠들을 모두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할 수 있다.
복수의 컨텐츠들을 모두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하는 방법은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휴대용 디바이스(120)에 포함된 컨텐츠가 선택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에 접촉한 물체가 터치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컨텐츠 이동부(34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선택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터치 명령이 입력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터치 타입이 특이 터치인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방법은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카메라 제어부(350)는 커플링부(330)가 커플링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제어에 따라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내부에 포함된 카메라, 또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와 연결된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제어부(35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카메라 실행용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카메라 실행용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사용자가 카메라 실행용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하여 입력한 터치 명령을 기초로 터치 정보를 생성하고, 위치 정보 수집부(310)는 터치 정보 생성부(320)가 생성한 터치 정보에 따라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커플링부(330)는 위치 정보 수집부(310)가 수집한 위치 정보와 터치 정보 생성부(320)가 생성한 터치 정보를 기초로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이때, 카메라 제어부(34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내부에 포함된 카메라, 또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와 연결된 카메라를 구동시키며 휴대용 디바이스(120)에 카메라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카메라 제어부(35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카메라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카메라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카메라 제어부(350)는 수신한 카메라 제어 신호에 따라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내부에 포함된 카메라, 또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와 연결된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 제어부(350)는 카메라 제어 신호에 따라 카메라의 각도, 촬영 횟수, 촬영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및 이미지를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바이스(110)에서 싱글 터치로 이동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례이다.
사용자는 도 4의 케이스 1(Case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손(400)으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컨텐츠(410)의 영역(411)을 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400)을 컨텐츠(410)의 영역(411)에서 컨텐츠(410)의 다른 영역(412)까지 드래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드래그 대신 스윕이나 플릭으로 영역(411)에서 영역(412)로 향하는 터치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이때,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가 영역(411)에서 다른 영역(412)까지의 거리 및 방향만큼 이동하거나,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이동 시간이 드래그가 입력되던 시간에 대응하는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손(400)에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쥐어져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컨텐츠(410)를 사용자의 손(400)에 쥐어져 있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4의 케이스 2(Case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400)으로 컨텐츠(410)에 인접한 영역(421)을 터치하고, 영역(421)에서 컨텐츠(410)의 반대편에 인접한 영역(422)까지 드래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드래그 대신 스윕이나 플릭으로 영역(421)에서 영역(422)로 향하는 터치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이때,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영역(421)과 영역(422)을 각각 하나의 꼭지점으로 설정한 가상 영역(420)에 포함된 컨텐츠(410)를 검색하고, 검색된 컨텐츠(410)를 사용자의 손(400)에 쥐어져 있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바이스(110)에서 싱글 터치로 이동할 복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례이다.
사용자는 도 5의 케이스 1(Case 1)에 도시된 바와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손(500)으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컨텐츠들을 연속으로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제1 컨텐츠(510)의 영역(511), 제2 컨텐츠(520)의 영역(521), 제3 컨텐츠(530)의 영역(531)을 연속으로 터치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가 영역(511), 영역(521), 및 영역(531)로 이동한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손(500)에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쥐어져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터치된 영역(511), 영역(521), 및 영역(531)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510), 제2 컨텐츠(520), 및 제3 컨텐츠(530)를 모두 사용자의 손(500)에 쥐어져 있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5의 케이스 2(Case 2)에 도시된 바와 손(500)으로 제1 컨텐츠(510)에 인접한 영역(541)을 터치하고, 영역(541)를 하나의 꼭지점으로 설정하는 가상 영역(540)이 제1 컨텐츠(510), 제2 컨텐츠(520), 및 제3 컨텐츠(530)를 모두 포함하도록 하는 영역(542)까지 손(500)을 드래그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가상 영역(520)에 포함된 제1 컨텐츠(510), 제2 컨텐츠(520), 및 제3 컨텐츠(530)를 모두 사용자의 손(500)에 쥐어져 있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바이스(110)에서 특이 터치로 이동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례이다.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600)에 쥔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컨텐츠들 중 하나의 컨텐츠(610)의 영역(611)를 터치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의 형상이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이하므로, 특이 터치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정보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및 휴대용 디바이스의 가속도계 센서의 값이 변화한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디바이스(110)가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를 감지한 시간이 휴대용 디바이스의 가속도계 센서의 값이 변화한 시간과 일치하는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컨텐츠(410)를 사용자의 손(400)에 쥐어져 있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바이스(110)에서 멀티 터치로 이동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례이다.
컨텐츠 디바이스(110) 중 디지털 사이니지에 자주 등장하는 컨텐츠에 지도(map) 컨텐츠와 같이 드래그, 스윕, 및 플릭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은 컨텐츠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지도 컨텐츠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지형을 확대하거나 이동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지도 컨텐츠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드래그, 스윕, 및 플릭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컨텐츠에 드래그, 스윕 및 플릭과 같은 터치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사용자가 터치로 입력한 드래그, 스윕, 및 플릭이 컨텐츠 이동을 위한 것인지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것인지를 식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손(700)으로 컨텐츠(710)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을 터치하여 한쪽 방향으로 드래그한 경우, 컨텐츠(710)를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손(700)으로 영역(711), 영역(712) 및 영역(713)을 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영역(711), 영역(712) 및 영역(713)을 터치한 손(700)을 영역(714), 영역(715) 및 영역(716)까지 드래그할 수 있다.
즉, 지도 컨텐츠를 이동하기 위한 드래그, 스윕, 및 플릭은 한 손가락의 입력이고, 지도의 확대/축소는 두 손가락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터치 입력이므로, 사용자가 복수의 손가락으로 동일한 방향의 드래그, 스윕, 및 플릭을 입력하는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사용자가 지도 컨텐츠(710)를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하기 원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도 4의 케이스 2(Case 2)에 도시된 바와 손으로 지도 컨텐츠에 인접한 영역부터 지도 컨텐츠의 반대편에 인접한 영역까지 드래그한 경우, 지도 컨텐츠를 휴대용 디바이스로 이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이 터치의 일례이다.
본 발명의 터치 정보 생성부가 식별하는 터치 타입 중 특이 터치는 일반적인 손가락으로 이루어 지기 어려운 형태의 터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이 터치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를 사용자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터치하거나,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손(800)의 손가락 마디를 터치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가락으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터치가 입력될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가 감지하는 터치 흔적(811)의 형상은 도 8의 케이스 1(Case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일 수 있다.
반면,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루어지는 특이 터치가 입력될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가 감지하는 터치 흔적(821)의 형상은 도 8의 케이스 2(Case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폭만큼 길이를 가지는 사각형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손(800)의 손가락 마디로 이루어지는 특이 터치가 입력될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가 감지하는 터치 흔적(831)의 형상은 도 8의 케이스 3(Case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800)의 손등, 또는 손가락 폭 만큼의 길이를 가지는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터치 흔적의 형상에 기초하여 물체가 사용자의 손가락인지 아니면, 휴대용 디바이스(120)나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손(800)의 손가락 마디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물체가 휴대용 디바이스(120)나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손(800)의 손가락 마디인 경우,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물체의 터치 타입을 특이 터치로 식별할 수 있다. 이때, 터치 흔적의 형상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바이스(110)에서 특이 터치로 이동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례이다.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디스플레이의 영역 영역(911)을 터치한 상태로 영역(912)까지 드래그한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특이 터치를 이용하여 이동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터치 입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이때,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영역(911)에 터치된 물체의 형태가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이하므로, 특이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영역(911)과 영역(912) 사이에 표시되는 컨텐츠(910)를 검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검색된 컨텐츠(910)를 사용자의 손(900)에 쥐어져 있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사용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하기 원하는 컨텐츠(910)를 드래그하는 것만으로 컨텐츠(910)를 용이하게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바이스(110)가 수신한 컨텐츠를 표시할 위치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례이다.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에 표시된 컨텐츠(1010)를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디바이스(120)에 표시된 컨텐츠(1010)를 터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영역(1021)을 터치한 상태로 영역(1022)까지 드래그 한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특이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사용자가 터치하여 선택한 컨텐츠(1010)를 수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영역(1021)과 영역(1022) 사이의 영역(1020)에 수신한 컨텐츠(1010)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이동하기 원하는 컨텐츠(1010)를 휴대용 디바이스(120)에서 선택하고,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디스플레이를 터치 및 드래그하는 것만으로 컨텐츠(1010)를 용이하게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컨텐츠(1010)가 표시되기 원하는 위치를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드래그하는 것만으로 컨텐츠(1010)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바이스(110)에서 싱글 터치와 특이 터치로 컨텐츠를 이동하는 방법의 일례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특이 터치와 일반 터치를 함께 이용하여 컨텐츠를 이동할 수도 있다.
도 11의 케이스 1(Case 1)은 특이 터치와 일반 터치를 함께 이용하여 컨텐츠를 이동하는 경우의 정면도이고, 도 11의 케이스 2(Case 2)는 특이 터치와 일반 터치를 함께 이용하여 컨텐츠를 이동하는 경우의 측면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 중 일부분을 터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다른 손(1100)으로 이동하기 원하는 컨텐츠(1110)의 영역(1111)을 터치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사용자는 도 11의 케이스 2(Case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1111)을 터치한 손(1100)을 드래그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디스플레이의 영역(1112)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를 터치하여 발생한 특이 터치와 컨텐츠(1110)을 드래그하는 일반 터치를 감지한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수신한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도 11의 case 1과 같이 사용자가 드래그한 손이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영역(1112)까지 이동한 경우, 수신한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구제척으로,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수신한 시간과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영역(1112)까지 드래그되는 손의 터치를 감지한 시간이 일정 오차 이내로 일치하는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수신한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적어도 하나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에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디스플레이에 터치 다운이 일어난 터치 다운 시간을 추출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서 터치 업이 일어난 시간에 가장 근접한 터치 다운 시간을 식별하고, 식별한 터치 다운 시간에 대응하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을 선택하여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이때,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서 터치 업이 일어난 후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송부하므로, 터치 다운 시간은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서 터치 업이 일어난 시간보다 이후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컨텐츠(1110)를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컨텐츠(1110)를 드래그하고 있으나, 컨텐츠 디바이스(110)를 터치한 사용자의 손가락이 중간에 떨어지므로 컨텐츠 디바이스(110)가 감지하는 터치 흔적은 플릭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디바이스(110)가 감지하는 터치 흔적은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특이 터치가 발생한 시간에 기초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과 커플링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 중 일부분을 터치할 때, 컨텐트 디바이스(110)는 감지한 터치 입력의 형태에 기초하여 특이 터치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식별하고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와의 터치한 충격으로 인하여 가속도계 센서의 값이 변화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수신한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이동 정보에 가속도계 센서의 값의 변화 및 변화 시간을 이동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특이 터치가 발생한 시간과 가속도계 센서의 값이 변화한 시간을 비교하고, 특이 터치가 발생한 시간과 가속도계 센서의 값이 변화한 시간이 동일한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120)과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특이 터치의 터치 입력이 발생한 시간에 기초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과 커플링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터치하고 드래그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특이 터치에 의한 드래그 입력을 식별하고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수신한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에 따라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공간상 이동 시간을 측정하고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공간상 이동 시간이 포함된 이동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이동 정보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특이 터치의 드래그 시간과 응답 메시지에서 추출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공간상 이동 시간을 비교하고, 특이 터치의 드래그 시간과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공간상 이동 시간이 동일한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120)과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디바이스(110)와 휴대용 디바이스(120) 간의 커플링이 맺어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이 도 11의 케이스 1 또는 케이스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의 콘텐츠를 터치한 후 휴대용 디바이스(120) 상 디바이스로 드래그하는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에서 휴대용 디바이스(120)으로 컨텐츠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이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디스플레이의 컨텐츠를 터치한 후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로 드래그 하는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12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으로 컨텐츠가 이동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디바이스(110)에서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컨텐츠를 이동하는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가 인식하는 터치 흔적의 일례이다.
사용자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 중 일부분을 터치하는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의 터치 흔적(1202)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터치 흔적(1202)는 도 8의 케이스 1에 도시된 손가락에 의한 터치 형상(811)과 상이하므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특이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1110)를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하기 위하여 드래그를 하는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를 터치하던 사용자의 손가락이 휴대용 디바이스(120)상으로 이동하면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서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컨텐츠(1110)을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하기 위한 드래그를 컨텐츠 디바이스(110)가 감지한 터치 흔적(1201)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릭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컨텐츠 디바이스(110)가 도 12의 케이스 1과 같은 터치 흔적을 감지한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와 터치 흔적에 기초하여 커플링할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선택하고, 선택한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12의 케이스 2와 같이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영역(1204)로 이동하더라고, 컨텐츠 디바이스(110)와 휴대용 디바이스(120) 간의 커플링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컨텐츠(1220)를 영역(1204)로 이동한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드래그하거나, 플릭 터치하는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커플링 과정을 생략하고 컨텐츠(1220)를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싱글 터치와 특이 터치를 이용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컨텐츠를 이동하는 방법의 일례이다.
도 13의 케이스 1(Case 1)은 특이 터치와 일반 터치를 함께 이용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컨텐츠를 이동하는 경우의 정면도이고, 도 13의 케이스 2(Case 2)는 특이 터치와 일반 터치를 함께 이용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컨텐츠를 이동하는 경우의 측면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 중 일부분을 터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다른 손(1300)으로 휴대용 디바이스(120)에 표시된 컨텐츠(1310)의 영역(1311)을 터치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사용자는 도 13의 케이스 2(Case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1111)을 터치한 손(1300)을 드래그하여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의 영역(1312)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를 터치함에 따른 특이 터치 감지 시점, 또는 특이 터치가 발생한 후, 특이 터치에서부터 출발하는 드래그나, 플릭 터치 같은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시점에서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와 터치 흔적에 기초하여 커플링할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선택하고, 선택한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컨텐츠 디바이스(110)와 휴대용 디바이스(120) 간의 커플링을 맺는 과정 및 조건은 도 11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컨텐츠 디바이스(110)와 휴대용 디바이스(120) 간의 커플링이 맺어지면,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1311)의 컨텐츠(1310)을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1310)를 사용자가 손(1300)으로 드래그한 영역(1312)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디바이스(12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컨텐츠를 이동하는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가 인식하는 터치 흔적의 일례이다.
사용자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 중 일부분을 터치하는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의 터치 흔적(1402)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터치 흔적(1402)는 도 8의 케이스 1에 도시된 손가락에 의한 터치 형상(811)과 상이하므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특이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1110)를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이동하기 위하여 드래그를 하는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터치하던 사용자의 손가락이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이동하면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를 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컨텐츠(1110)을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이동하기 위한 드래그를 컨텐츠 디바이스(110)가 감지한 터치 흔적(1401)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릭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컨텐츠 디바이스(110)가 도 14와 터치 흔적을 감지한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와 터치 흔적에 기초하여 커플링할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선택하고, 선택한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싱글 터치와 특이 터치를 이용하여 컨텐츠 디바이스(110)에서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컨텐츠를 이동하는 방법의 또 다른 일례이다.
도 15는 플릭 터치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특이 터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일 수 있다. 또한, 도 15는 도 12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가 식별한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은 다음에 수행되는 과정일 수 있다.
단계(1501)에서 사용자는 손가락(1520)으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컨텐츠(1510)을 터치하고,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위치한 방향으로 플릭 터치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1502)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단계(1501)에서 수행된 플릭 터치에 기초하여 컨텐츠(1510)를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이동 중이던 컨텐츠(1510)가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터치에 의하여 발생한 특이 터치까지 이동한 경우, 단계(1503)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1503)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컨텐츠(1510)을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함으로써,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컨텐츠(1510)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싱글 터치와 특이 터치를 이용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컨텐츠를 이동하는 방법의 또 다른 일례이다.
도 16은 플릭 터치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휴대용 디바이스(12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컨텐츠를 이동하는 과정일 수 있다. 또한, 도 16은 도 12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가 식별한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은 다음에 수행되는 과정일 수 잇다.
단계(1601)에서 사용자는 손가락(1620)으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컨텐츠(1610)을 터치하고, 위쪽으로 플릭 터치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1602)에서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단계(1601)에서 수행된 플릭 터치에 기초하여 컨텐츠(1610)를 위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이동 중이던 컨텐츠(1610)가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디스플레이 끝까지 이동한 경우, 단계(1603)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1603)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컨텐츠 (1610)을 수신하고,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터치에 의하여 발생한 특이 터치의 위쪽에 컨텐츠(1610)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바이스(110)에서 멀티 터치로 이동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의 다른 일례이다.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쥐는 방법에 따라서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1700)에서 엄지와 검지로만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잡고, 중지, 약지, 소지를 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은 사용자가 펼친 중지, 약지, 소지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는 것을 컨텐츠 이동을 위한 터치 명령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은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컨텐츠를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손으로 쓰는(sweep/flick) 형태의 터치를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컨텐츠가 이동하는 터치 명령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은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컨텐츠를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손으로 움켜잡는(grab) 형태의 터치를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컨텐츠가 이동하는 터치 명령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은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컨텐츠를 컨텐츠 디바이스(110) 쪽으로 던지는(throw) 형태의 터치를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컨텐츠가 이동하는 터치 명령으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역(1701), 영역(1702) 및 영역(1703)에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터치 명령이 입력된 경우, 해당 터치 명령은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컨텐츠를 휴대용 디바이스(120)로서 쓸거나(sweep/flick) 움켜잡는(grab) 형태이므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컨텐츠(1710)을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할 수 있다.
반면, 영역(1701), 영역(1702) 및 영역(1703)을 터치한 후 이동 없이 터치를 종료하는 경우, 해당 터치 명령은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컨텐츠를 컨텐츠 디바이스(110) 쪽으로 던지는(throw) 형태이므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바이스(110)에서 특이 터치로 이동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의 다른 일례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드래그, 스윕, 및 플릭과 같은 터치 명령과 터치 이동 없는 단순 터치 시작과 종료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이동할 디바이스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은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컨텐츠를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손으로 스캔(scan)하는 형태의 터치를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컨텐츠가 이동하는 터치 명령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은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컨텐츠를 컨텐츠 디바이스(110) 쪽으로 붙이는(paste) 형태의 터치를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컨텐츠가 이동하는 터치 명령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8의 케이스 1(Case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손의 손가락 마디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컨텐츠(1800)의 영역(1801)을 터치하여 드래그한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특이 터치 및 드래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1800) 상에 특이 터치 및 드래그가 나타난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정보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및 휴대용 디바이스의 가속도계 센서의 값이 변화한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디바이스(110)가 컨텐츠(1800) 상에 드래그가 시작되고, 종료된 것을 감지한 시간이 휴대용 디바이스의 가속도계 센서의 값이 변화한 시간과 일정 오차 이내로 일치하는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위치 정보를 전송한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명령은 컨텐츠(1800)를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손으로 스캔하는 형태이므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컨텐츠(1800)을 사용자의 손에 쥐어져 있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손의 손가락 마디를 컨텐츠(1800)의 영역(1801)에 터치한 다음, 이동 없이 터치를 종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손의 손가락 마디를 터치 다운한 다음 바로 터치 업할 수 있다. 이때, 해당 터치 명령은 컨텐츠(1800)를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손으로 던지는(throw) 형태이므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컨텐츠(1800)을 사용자의 손에 쥐어져 있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위치 정보 생성부(1910), 위치 정보 제공부(1920), 커플링부(1930), 컨텐츠 이동부(1940) 및 카메라 제어 신호 전송부(195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생성부(191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가속도계의 변화,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이동 거리, 및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움직임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정보 생성부(191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로부터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위치 정보 생성부(191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를 측정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이동 거리, 및 움직임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정보 생성부(191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GPS,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이동 거리 및 움직임 패턴을 식별하기 위한 가속도계나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 생성부(191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가속도계를 측정하고, 가속도계가 변화하는 경우, 가속도계 센서의 값의 변화 및 가속도계가 변화한 변화 시간을 이동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위치 정보 제공부(1920)는 위치 정보 생성부(1910)가 생성한 위치 정보를 컨텐츠 디바이스(110)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정보 제공부(1920)는 위치 정보와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용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정보 제공부(1920)는 생성한 응답용 메시지를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커플링부(193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로부터 커플링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위치 정보 제공부(1920)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가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터치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위치 정보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커플링부(1930)에 커플링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커플링부(1930)는 커플링 요청을 전송한 컨텐츠 디바이스(110)와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컨텐츠 이동부(194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한 컨텐츠를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컨텐츠를 선택하고, 컨텐츠 디바이스(110)에 터치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컨텐츠 이동부(1940)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카메라 제어 신호 전송부(195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로부터 카메라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과 관련된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제어 신호를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디바이스(110)로부터 카메라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카메라 제어 신호 전송부(1950)는 카메라 제어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디스플레이에 카메라 제어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창은 카메라의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 입력 수단, 카메라의 촬영 횟수를 입력하는 입력 칸, 카메라의 촬영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입력하는 입력 칸, 카메라가 촬영을 시작하도록 하는 촬영 버튼, 카메라가 촬영하여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영상 제어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카메라 제어 신호 전송부(1950)는 사용자가 입력 창에 입력한 정보 및 제어 명령을 기초로 카메라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 제어 신호는 카메라의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 카메라의 촬영 횟수, 카메라의 촬영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 카메라의 촬영 시작 여부,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영상의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카메라 제어 신호 전송부(1950)는 생성한 카메라 제어 신호를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계(201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를 탐지할 수 있다.
단계(202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위치 정보 수집부(310)는 단계(201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를 탐지하거나, 터치한 물체의 드래그 시작을 탐지한 경우,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203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단계(2010)에서 탐지한 물체의 터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단계(2010)에서 탐지한 물체의 개수, 물체의 면적, 및 물체의 형상에 기초하여 물체의 터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물체의 움직임 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물체를 이용하여 컨텐츠 디바이스(110)에 입력하는 터치 명령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터치 명령과 물체의 터치 타입을 포함하는 물체의 터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2035)에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 생성부(1910)는 단계(2020)에서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가속도계의 변화,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이동 거리, 및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움직임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204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단계(2010)에서 디스플레이를 터치한 물체의 터치가 종료되는 것을 탐지할 수 있다.
단계(2050)에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 제공부(1920)는 단계(2035)에서 생성한 위치 정보를 컨텐츠 디바이스(110)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정보 제공부(1920)는 단계(2035)에서 생성한 위치 정보와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단계(2020)에서 수신한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용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정보 제공부(1920)는 생성한 응답용 메시지를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206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커플링부(330)는 단계(2050)에서 수신한 응답용 메시지의 위치 정보에 포함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공간상 이동 시간, 거리, 움직임 패턴 정보들을 단계(2030)에서 생성한 터치 정보에 포함된 터치의 이동 시간, 거리, 움직임 패턴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교 결과 위치 정보와 터치 정보가 일정 오차 이내에서 일치한 경우, 응답용 메시지를 전송한 휴대용 디바이스를 컨텐츠 디바이스(110)와 커플링을 맺을 디바이스로 선택할 수 있다.
단계(207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커플링부(330)는 단계(2050)에서 수신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단계(2060)에서 선택한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단계(208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컨텐츠 이동부(330)는 단계(2030)에서 생성한 터치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하거나,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단계(2110)에서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의 개수, 물체의 면적, 및 물체의 형상에 기초하여 물체의 터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물체의 움직임 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물체를 이용하여 컨텐츠 디바이스(110)에 입력하는 터치 명령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터치 명령과 물체의 터치 타입을 포함하는 터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터치 타입을 사용자의 손가락 중 하나가 디스플레이를 터치하여 입력하는 싱글 터치, 사용자의 손가락들이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위치를 터치하여 입력하는 멀티 터치, 및 휴대용 디바이스(120), 또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쥐고 있는 사용자의 손이 디스플레이를 터치하여 입력하는 특이 터치 중 하나로 식별할 수 있다.
단계(2120)에서 위치 정보 수집부(31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에 인접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가 있거나 터치한 물체가 드래그를 시작하는 움직임이 있어서 단계(2110)가 수행되는 경우, 위치 정보 수집부(310)는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위치 정보 수집부(310)는 커플링부(330)를 종료시킬 수 있다.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위치 정보 수집부(310)는 응답 메시지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에 인접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 수집부(310)는 단계(2110)에서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 또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손으로 특정 터치 명령을 입력한 경우에만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함으로써, 사용자가 컨텐츠의 이동을 원하지 상황에서 컨텐츠를 이동할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검색하기 위하여 불필요한 자원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정보 수집부(310)는 단계(2110)에서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 또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손으로 한쪽방향을 향하는 멀티 터치 명령을 입력한 경우에만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함으로써, 사용자가 컨텐츠의 이동을 원하지않는 상황에서 컨텐츠를 이동할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검색하기 위하여 불필요한 자원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계(2130)에서 커플링부(330)는 단계(2110)에서 생성한 물체의 터치 정보 및 단계(2120)에서 수집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구체적인 커플링 방법은 이하 도 2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2140)에서 컨텐츠 이동부(340)는 터치 정보가 컨텐츠 이동과 관련된 터치 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이동부(340)가 확인하는 터치 정보는 단계(2110)에서 생성된 터치 정보, 또는 단계(2110)가 수행된 이후 터치 정보 생성부(320)가 물체의 터치에 따라 실시간으로 생성한 터치 정보일 수 있다.
단계(2110)에서 생성된 터치 정보가 컨텐츠 이동과 관련된 터치 정보가 아닌 경우, 컨텐츠 이동부(340)는 컨텐츠 이동과 관련된 터치 정보가 생성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단계(2150)에서 컨텐츠 이동부(340)는 단계(2140)에서 컨텐츠의 이동과 관련된 것으로 확인된 물체의 터치 정보 및 단계(2120)에서 수집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단계(2130)에서 커플링을 맺은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컨텐츠를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인 컨텐츠 이동 방법은 이하 도 2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때, 도 22에 도시된 단계(2210) 내지 단계(2260)는 도 21의 단계(2130)에 포함될 수 있다.
단계(2210)에서 커플링부(330)는 단계(2110)에서 생성한 물체의 터치 정보에 포함된 터치 타입이 특이 터치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터치 타입이 특이 터치인 경우, 커플링부(330)는 단계(2220)를 수행하고, 터치 타입이 특이 터치가 아닌 싱글 터치, 또는 멀티 터치인 경우, 커플링부(330)는 단계(2230)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2120)에서 커플링부(330)는 단계(2110)에서 생성한 물체의 터치 정보와 단계(2120)에서 수집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정보에 포함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이동 시간, 이동 거리 및 움직임 패턴이 터치 정보에 포함된 물체의 이동 시간, 이동 거리 및 움직임 패턴이 일정 오차 이내에서 일치한 경우, 커플링부(330)는 위치 정보와 터치 입력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정보와 터치 입력이 동일한 경우, 커플링부(330)는 단계(2240)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와 터치 입력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해당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과 커플링을 맺을 수 없다. 따라서, 커플링부(330)는 다른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단계(2220)을 반복 수행하면서, 컨텐츠 디바이스(110)과 커플링을 맺을 다른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검색할 수 있다.
단계(2230)에서 커플링부(330)는 단계(2210)에서 터치 타입이 싱글 터치, 또는 멀티 터치로 판단된 터치 정보에 터치 명령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터치 정보에 터치 명령이 포함된 경우, 커플링부(330)는 단계(2220)을 수행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을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정보에 터치 명령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단순히 터치만 하고, 움직임 없이 터치를 종료한 것이므로, 사용자가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하여 터치한 것일 뿐, 컨텐츠의 이동을 원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커플링부(330)는 단계(2260)을 수행하여 커플링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단계(2240)에서 커플링부(330)는 단계(2120)에서 위치 정보를 수집한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을 수도 있다.
단계(2250)에서 커플링부(330)는 단계(2110)에서 디스플레이를 터치한 물체가 터치를 종료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플링부(330)는 터치 정보에 터치 업 시간이 포함된 경우, 현재 시간이 터치 업 시간이 되면, 터치를 종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를 종료한 경우, 커플링부(330)는 단계(2260)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가 종료되지 않는 경우, 커플링부(330)는 단계(2240)에서 맺은 커플링을 유지할 수 있다.
단계(2260)에서 커플링부(330)는 단계(2240)에서 맺은 커플링을 중단하고, 컨텐츠 이동 방법을 종료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이동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때, 도 23에 도시된 단계(2310) 내지 단계(2350)는 도 21의 단계(2150)에 포함될 수 있다.
단계(2310)에서 컨텐츠 이동부(340)는 사용자가 컨텐츠 이동 제스처로 컨텐츠를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이동 제스처는 싱글 터치, 또는 멀티 터치로 드래그, 스윕, 및 플릭 중 하나의 터치 명령을 입력하는 제스처, 또는 특이 터치를 이용한 제스처, 및 특이 터치와 싱글 터치가 동시에 수행되는 제스처 중 하나일 수 있다.
사용자가 컨텐츠 이동 제스처로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 컨텐츠 이동부(340)는 단계(2320)을 수행하여 컨텐츠를 휴대용 디바이스(120)으로 이동할 것인지, 아니면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것인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텐츠 이동 제스처로 컨텐츠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컨텐츠를 이동하기 원하지 않는 것이므로, 컨텐츠 이동부(340)는 사용자가 컨텐츠 이동 제스처로 컨텐츠를 선택할 때까지 단계(2310)을 반복하며 대기할 수 있다.
단계(2320)에서 컨텐츠 이동부(34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터치 입력을 받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자에게 선택된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컨텐츠 이동부(340)에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이동부(34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한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터치 입력을 받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터치 입력을 받은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컨텐츠를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이동해야 하므로, 컨텐츠 이동부(340)는 단계(2350)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터치 입력을 받지 않은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컨텐츠를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해야 하므로, 컨텐츠 이동부(340)는 단계(2330)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2330)에서 컨텐츠 이동부(340)는 터치 명령에 의한 컨텐츠의 이동 방향과 위치 정보가 대응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명령에 의하여 컨텐츠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고,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하는 위치 정보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정보인 경우, 컨텐츠 이동부(340)는 컨텐츠의 이동 방향과 위치 정보가 대응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상태에서 컨텐츠의 이동 방향이 휴대용 디바이스(120)에 의한 특이 터치의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인 경우, 컨텐츠 이동부(340)는 컨텐츠의 이동 방향과 위치 정보가 대응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의 이동 방향과 위치 정보가 대응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컨텐츠를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 내부에서 이동하고자 하는 것이므로, 컨텐츠 이동부(340)는 단계(2310)을 다시 수행하여 컨텐츠 이동 제스처가 입력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단계(2340)에서 컨텐츠 이동부(340)는 커플링을 맺은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단계(2310)에서 선택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2350)에서 컨텐츠 이동부(340)는 커플링을 맺은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단계(2320)에서 선택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이동부(340)는 단계(2310)에서 제스처가 입력된 위치에 수신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단계(2410)에서 위치 정보 생성부(191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로부터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위치 정보 생성부(191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로부터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단계(2410)을 반복하며 대기할 수 있다.
단계(2420)에서 위치 정보 생성부(191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가속도계의 변화,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이동 거리, 및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움직임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2430)에서 위치 정보 제공부(1920)는 단계(2420)에서 생성한 위치 정보를 컨텐츠 디바이스(110)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정보 제공부(1920)는 위치 정보와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용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정보 제공부(1920)는 생성한 응답용 메시지를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2440)에서 커플링부(193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로부터 커플링 요청을 수신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커플링 요청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 커플링부(1930)는 커플링 요청을 수신할 때까지 단계(2440)을 반복하며 대기할 수 있다.
단계(2450)에서 커플링부(1930)는 커플링 요청을 전송한 컨텐츠 디바이스(110)와 휴대용 디바이스(120) 간에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단계(2460)에서 컨텐츠 이동부(194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한 컨텐츠를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컨텐츠를 선택하고, 컨텐츠 디바이스(110)에 터치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컨텐츠 이동부(1940)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및 근접 센서 인식에 의한 컨텐츠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과정(2510)은 사용자가 손에 쥔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접근시키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과정(2520)은 과정(2510)에서의 접근에 따라 휴대용 디바이스(120)에 포함된 근접 센서가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접근을 인식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와 근접 센서 인식을 모두 이용함으로써,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가속도계 정보나 위치정보 등을 수집하지 않더라도, 컨텐츠 디바이스(110)와 휴대용 디바이스(120)간의 커플링이 수행될 수 있음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도 25에서와 같이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손으로 컨텐츠 디바이스(110)상의 컨텐츠에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손을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근접 센서는 물체가 가까이 접근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일례로, 근접 센서는 주로 5~8cm 이내에 물체가 없으면 0의 센서 값을, 5~8cm 이내에 물체가 존재하면 1의 센서 값을 반환할 수 있다. 이때, 물체의 접근에 따라 근접 센서의 센서 값을 0에서 1로 변화할 수 있고,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이러한 센서 값이 변화하는 시각인 제1 변화시각을 저장할 수 있다.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상술한 사용자의 터치(터치 다운)에 따라 터치가 수행된 좌표를 인식하고 터치의 인식시각을 저장하고, 터치의 인식에 따라 주변 디바이스들로 커플링을 위한 메시지(검색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터치가 해제되면,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터치의 해제(터치 업)를 인식하고, 터치가 해제된 해제시각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터치의 해제에 따라 근접 센서를 통해 물체의 접근이 해제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 따라, 물체의 접근이 해제되는 경우, 근접 센서의 센서 값은 1에서 0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센서 값이 변화하는 시각인 제2 변화시각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근접 센서의 센서 값이 변화된 휴대용 디바이스들은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커플링을 위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들이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들 각각에는 휴대용 디바이스들 각각이 저장한 제1 변화시각과 제2 변화시각이 포함될 수 있다.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주변의 휴대용 디바이스들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터치의 인식시각, 해제시각, 제1 변화시각, 제2 변화시각을 비교하여 가장 시각이 일치하는 휴대용 디바이스와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만약,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디바이스가 휴대용 디바이스(120)하나라면,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터치의 인식시각, 해제시각,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제1 변화시각 및 제2 변화시각을 비교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와의 커플링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및 근접 센서 인식에 의한 컨텐츠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단계(2610)에서 사용자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손으로 쥘 수 있다.
단계(2620)에서 사용자는 터치 다운으로 위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컨텐츠 디바이스(110)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컨텐츠 디바이스(110)에 접근함에 따라,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근접 센서의 센서 값이 0에서 1로 변화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제1 변화시각 T1을 저장할 수 있다.
단계(263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터치 다운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터치 다운이 인식된 인식시각 T2를 저장할 수 있고, 커플링을 위한 메시지인 검색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단계(2640)에서 사용자는 터치 업을 위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컨텐츠 디바이스(11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단계(265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터치 업을 인시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터치 업이 인식된 해제시각 T3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업을 위한 이동에 따라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근접 센서의 센서 값은 1에서 0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제2 변화시각 T4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상술한 검색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 메시지를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응답 메시지에는 제1 변화시각 T1과 제2 변화시각 T4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266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커플링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커플링 디바이스는, 제1 변화시각 T1, 인식시각 T2, 해제시각 T3 및 제2 변화시각 T4를 이용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우선, 제1 변화시각 T1이 인식시각 T2 이전의 시각인지에 대한 제1 조건, 그리고 해제시각 T3가 제2 변화시각 T4 이전의 시각인지에 대한 제2 조건을 확인할 수 있다. 인식시각 T1은 항상 해제시각 T3 이전의 시각이기 때문에,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제1 조건과 제2 조건을 이용하여,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커플링을 위해 적합한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제1 조건과 제2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디바이스가 복수 개인 경우에는 인식시각 T2와 제1 변화시각 T1간의 차이 d1, 그리고 제2 변화시각 T4와 해제시각 T3의 차이 d2를 이용하여 커플링을 위한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1 및 d2가 가장 작은 디바이스가 커플링을 위한 디바이스로 선택될 수 있다.
컨텐츠 디바이스(110)와 휴대용 디바이스(120)간의 커플링이 완료되면, 상호간에는 컨텐츠 이동이 가능해진다. 이때, 이동되는 컨텐츠는 미리 정의된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컨텐츠 디바이스에 터치한 지점에 존재하는 컨텐츠가 컨텐츠 디바이스(110)에서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전송될 컨텐츠라면, 해당 컨텐츠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에서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컨텐츠 디바이스에 터치한 지점에 존재하는 컨텐츠가 휴대용 디바이스(12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로의 전송을 위한 컨텐츠라면,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화면상에 표현된 컨텐츠가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전송되어 사용자가 컨텐츠 디바이스(110)상에 터치한 지점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쥘 때, 엄지나 약지 등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손의 손가락으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화면을 터치한 채로 컨텐츠 디바이스를 터치하면,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화면상에 표현된 컨텐츠가 컨텐츠 디바이스(110)으로 전송되고, 컨텐츠 디바이스(110)에서 사용자가 터치한 지점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화면을 터치하지 않은 상태로 컨텐츠 디바이스(110)를 터치하면, 사용자가 컨텐츠 디바이스(110) 상에 터치한 지점에 위치한 컨텐츠가 컨텐츠 디바이스(110)에서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예들에서, 사용자가 컨텐츠 디바이스(110)상에 터치한 지점은, 커플링을 위해 터치한 지점 또는 커플링 이후에 사용자가 새로 터치한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바이스의 컨텐츠 이동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이동 방법은 컨텐츠 디비이스(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리지 유닛과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이동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단계(271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물체의 터치를 인식하여 터치가 인식된 좌표 및 인식시각을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좌표와 인식시각은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스토리지 유닛에 저장될 수 있다.
단계(272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터치의 인식에 따라 커플링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커플링을 위한 메시지는 상술한 검색 메시지일 수 있으며, 검색 메시지는 주변의 디바이스들을 위해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단계(273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터치의 해제를 인식하여 터치가 해제된 해제시각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해제시각은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스토리지 유닛에 저장될 수 있다.
단계(274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메시지에 대해 응답하는 휴대용 디바이스로부터 휴대용 디바이스의 근접 센서의 센서 값에 대한 제1 변화시각 및 제2 변화시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변화시각은, 근접 센서가 특정물체의 접근을 인지한 시각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변화시각은, 근접 센서가 특정물체의 접근의 해제를 인지한 시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특정물체는, 컨텐츠 디바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275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인식시각, 해제시각, 제1 변화시각 및 제2 변화시각을 이용하여 휴대용 디바이스와의 커플링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단계(2750)에서 1 변화시각이 인식시각의 이전 시각이고, 제2 변화시각이 해제시각의 이후 시간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커플링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메시지에 대해 응답하는 휴대용 디바이스가 복수 개인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단계(2750)에서, 인식시각의 이전 시각인 제1 변화시각과 해제시각의 이후 시간인 제2 변화시각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 휴대용 디바이스 중 인식시각과 제1 변화시각의 차 및 제2 변화시각과 해제시각의 차가 가장 작은 휴대용 디바이스를 커플링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276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휴대용 디바이스와 커플링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와의 커플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이동 방법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저장된 좌표, 컨텐츠 디바이스(110)에서 새롭게 인식되는 터치의 좌표 및 커플링된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인식되는 터치 및 커플링된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인식된 터치의 좌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커플링된 휴대용 디바이스와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의 컨텐츠 이동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이동 방법은 휴대용 디비이스(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리지 유닛과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이동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컨텐츠 이동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컨텐츠 이동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을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수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은 설치파일을 통해 휴대용 디바이스(12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파일은 파일 배포 시스템(미도시)에 의해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파일 배포 시스템은 설치파일을 저장하는 파일 저장부(미도시)와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요청에 따라 설치파일을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2810)에서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특정물체의 접근에 따라 휴대용 디바이스의 근접 센서에서 인식된 센서 값의 제1 변화시각을 저장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변화시각은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리지 유닛에 저장될 수 있다.
단계(2820)에서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접근의 해제에 따라 근접 센서에서 인식된 센서 값의 제2 변화시각을 저장할 수 있다.
단계(2830)에서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로부터 커플링을 위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2840)에서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제1 변화시각 및 제2 변화시각을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2850)에서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에서 발생한 터치의 인식시각, 터치의 해제시각, 제1 변화시각 및 제2 변화시각에 기반하여 컨텐츠 디바이스로부터의 수신되는 요청에 따라, 컨텐츠 디바이스와의 커플링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를 손에 쥔 상태로 컨텐츠 디바이스의 컨텐츠를 선택하거나, 드래그할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로 컨텐츠를 이동함으로써, 직관적으로 멀티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에 쥔 휴대용 디바이스를 식별하여 커플링함으로써, 컨텐츠를 이동시킬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직관적인 제스처를 이용하여 이동할 컨텐츠 및 컨텐츠가 이동할 대상 디바이스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다른 교육 없이도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원하는 디바이스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디바이스의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용 디바이스와 컨텐츠 디바이스간에 커플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컨텐츠 디바이스
120: 휴대용 디바이스
310: 위치 정보 수집부
320: 터치 정보 수집부
330: 커플링부
340: 컨텐츠 이동부

Claims (10)

  1.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디바이스의 컨텐츠 이동 방법에 있어서,
    물체의 터치를 인식하여 터치가 인식된 좌표 및 인식시각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터치의 인식에 따라 커플링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터치의 해제를 인식하여 상기 터치가 해제된 해제시각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에 대해 응답하는 휴대용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근접 센서의 센서 값에 대한 제1 변화시각 및 제2 변화시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식시각, 상기 해제시각, 상기 제1 변화시각 및 상기 제2 변화시각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의 커플링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 커플링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의 커플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에 대해 응답하는 휴대용 디바이스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인식시각의 이전 시각인 제1 변화시각과 상기 해제시각의 이후 시간인 제2 변화시각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 휴대용 디바이스 중 상기 인식시각과 제1 변화시각의 차 및 제2 변화시각과 상기 해제시각의 차가 가장 작은 휴대용 디바이스를 상기 커플링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화시각은, 상기 근접 센서가 특정물체의 접근을 인지한 시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변화시각은, 상기 근접 센서가 상기 특정물체의 접근의 해제를 인지한 시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동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물체는,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동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변화시각이 상기 인식시각의 이전 시각이고, 상기 제2 변화시각이 상기 해제시각의 이후 시간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커플링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컨텐츠 이동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좌표,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에서 새롭게 인식되는 터치의 좌표 및 상기 커플링된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인식되는 터치 및 상기 커플링된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인식된 터치의 좌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커플링된 휴대용 디바이스와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동 방법.
  7. 휴대용 디바이스의 컨텐츠 이동 방법에 있어서,
    특정물체의 접근에 따라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근접 센서에서 인식된 센서 값의 제1 변화시각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접근의 해제에 따라 상기 근접 센서에서 인식된 센서 값의 제2 변화시각을 저장하는 단계;
    컨텐츠 디바이스로부터 커플링을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변화시각 및 상기 제2 변화시각을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에서 발생한 터치의 인식시각, 상기 터치의 해제시각, 상기 제1 변화시각 및 상기 제2 변화시각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부터의 수신되는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와의 커플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에서는 상기 메시지에 대해 응답하는 휴대용 디바이스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인식시각의 이전 시각인 제1 변화시각과 상기 해제시각의 이후 시간인 제2 변화시각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 휴대용 디바이스 중 상기 인식시각과 제1 변화시각의 차 및 제2 변화시각과 상기 해제시각의 차가 가장 작은 휴대용 디바이스를 상기 커플링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동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물체는,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는,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동 방법.
  9.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토리지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물체의 터치를 인식하여 터치가 인식된 좌표 및 인식시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토리지 유닛에 저장하는 과정;
    상기 터치의 인식에 따라 커플링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터치의 해제를 인식하여 상기 터치가 해제된 해제시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토리지 유닛에 저장하는 과정;
    상기 메시지에 대해 응답하는 휴대용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근접 센서의 센서 값에 대한 제1 변화시각 및 제2 변화시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인식시각, 상기 해제시각, 상기 제1 변화시각 및 상기 제2 변화시각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의 커플링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 커플링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의 커플링을 수행하는 과정
    을 처리하고,
    상기 커플링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메시지에 대해 응답하는 휴대용 디바이스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인식시각의 이전 시각인 제1 변화시각과 상기 해제시각의 이후 시간인 제2 변화시각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 휴대용 디바이스 중 상기 인식시각과 제1 변화시각의 차 및 제2 변화시각과 상기 해제시각의 차가 가장 작은 휴대용 디바이스를 상기 커플링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디바이스.
  10. 휴대용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휴대용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설치파일을 저장하는 파일 저장부; 및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설치파일을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특정물체의 접근에 따라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근접 센서에서 인식된 센서 값의 제1 변화시각을 저장하도록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모듈;
    상기 접근의 해제에 따라 상기 근접 센서에서 인식된 센서 값의 제2 변화시각을 저장하도록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모듈;
    컨텐츠 디바이스로부터 커플링을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모듈;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변화시각 및 상기 제2 변화시각을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모듈; 및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에서 발생한 터치의 인식시각, 상기 터치의 해제시각, 상기 제1 변화시각 및 상기 제2 변화시각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부터의 수신되는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와의 커플링을 수행하도록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에서는 상기 메시지에 대해 응답하는 휴대용 디바이스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인식시각의 이전 시각인 제1 변화시각과 상기 해제시각의 이후 시간인 제2 변화시각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 휴대용 디바이스 중 상기 인식시각과 제1 변화시각의 차 및 제2 변화시각과 상기 해제시각의 차가 가장 작은 휴대용 디바이스를 상기 커플링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
KR1020130123550A 2013-08-09 2013-10-16 휴대용 디바이스 센서를 이용한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방법 및 시스템 KR101519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53,359 US10366264B2 (en) 2013-08-09 2014-08-06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content among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5008 2013-08-09
KR1020130095008 2013-08-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748A KR20150018748A (ko) 2015-02-24
KR101519225B1 true KR101519225B1 (ko) 2015-05-12

Family

ID=5088816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766A KR101512239B1 (ko) 2013-08-09 2013-10-02 터치 명령 및 특이 터치를 이용한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 및 방법
KR1020130123550A KR101519225B1 (ko) 2013-08-09 2013-10-16 휴대용 디바이스 센서를 이용한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방법 및 시스템
KR1020140069303A KR101622466B1 (ko) 2013-08-09 2014-06-09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766A KR101512239B1 (ko) 2013-08-09 2013-10-02 터치 명령 및 특이 터치를 이용한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303A KR101622466B1 (ko) 2013-08-09 2014-06-09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5122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674A (ko) * 2014-05-22 201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그리고 멀티미디어 시스템
KR20150144641A (ko) * 2014-06-17 201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121302A (ko) * 2014-12-10 2017-11-01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684090B1 (ko) * 2015-04-07 2016-12-08 한국과학기술원 조도 패턴 인식 기반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방법 및 시스템
KR101688743B1 (ko) * 2015-10-16 2016-12-22 한국과학기술원 적응형 패턴 인식 기반 고속 디바이스 커플링 방법 및 시스템
KR102485783B1 (ko) * 2022-09-20 2023-01-09 (주)크라이저 디지털 사이니지 기반 광고 솔루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54292A1 (en) * 2010-12-16 2012-06-21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a Function of an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54292A1 (en) * 2010-12-16 2012-06-21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a Func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2466B1 (ko) 2016-05-19
KR20150018748A (ko) 2015-02-24
KR20140057150A (ko) 2014-05-12
KR20150020039A (ko) 2015-02-25
KR101512239B1 (ko) 2015-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9225B1 (ko) 휴대용 디바이스 센서를 이용한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방법 및 시스템
US859339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ximity based input
KR102091028B1 (ko) 사용자 기기의 오브젝트 운용 방법 및 장치
JP5991041B2 (ja) 仮想タッチスクリーンシステム及び双方向モード自動切換方法
KR101995278B1 (ko) 터치 디바이스의 ui 표시방법 및 장치
CN102362243B (zh) 多远程指向器、虚拟对象显示装置和虚拟对象控制方法
US98860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bration
US201600482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bration
CN103294401A (zh) 一种具有触摸屏的电子设备的图标处理方法及装置
JP2008210348A (ja) 画像表示装置
CN103929603A (zh) 图像投影设备、图像投影系统及控制方法
KR20130105725A (ko) 콘텐츠의 양 손 제어에 기반한 컴퓨터 비전
CN102662462A (zh) 电子装置、手势识别方法及手势应用方法
KR20100109686A (ko)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KR101872272B1 (ko) 제어 기기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6095640A1 (zh) 移动终端的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4780409B (zh) 一种终端遥控方法及终端遥控系统
US20130257809A1 (en) Optical touch sensing apparatus
US9395838B2 (en) Input device, input control method, and input control program
KR102255087B1 (ko)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6796462A (zh) 确定输入对象的位置
KR102145824B1 (ko) 스마트 터치패드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장치
JP6411067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入力方法
JP6075193B2 (ja) 携帯端末装置
CN109189285A (zh) 操作界面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