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0039A -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0039A
KR20150020039A KR20140069303A KR20140069303A KR20150020039A KR 20150020039 A KR20150020039 A KR 20150020039A KR 20140069303 A KR20140069303 A KR 20140069303A KR 20140069303 A KR20140069303 A KR 20140069303A KR 20150020039 A KR20150020039 A KR 20150020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ortable device
advertisement
touch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69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2466B1 (ko
Inventor
김상식
정성관
박준석
신용철
김용록
박효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US14/453,359 priority Critical patent/US10366264B2/en
Publication of KR20150020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방법이 개시된다. 광고 방법은 컨텐츠 디바이스의 스크린 영역을 통해 광고를 노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노출된 광고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광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특정 광고와 관련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에서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특정 광고를 선택한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와 같은 스크린을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고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들에게 널리 알리기 위하여 제작되며, 텔레비전, 라디오, 인터넷이나 유/무선 통신망, 기타 네트워크 등과 같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고객들에게 제공된다. 특히, 휴대폰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용화됨에 따라 이동 통신망이 새로운 광고 채널로 주목 받고 있다.
사용자 친밀도가 높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특성 상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모바일 광고는 사용자 프로필 구축에 필요한 고객 데이터를 다량 수집할 수 있다는 점, 개인 맞춤형 광고가 가능하다는 점, 광고 전략의 수립이나 광고의 효과 추적이 용이하다는 점 등에 있어 무한한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는 분야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를 대상으로 한 모바일 광고는 단문 메시지, 배너, 스폰서 비디오 컨텐츠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070838호(등록일 2011년 09월 29일)에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모바일 광고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디지털 사이니지는 사용자 주변의 광고판들이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 및 광고 정보 들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바라보고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 광고판이다.
디지털 사이니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디지털 사이니지의 컨텐츠 중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이동하고,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사이니지로 컨텐츠를 이동할 수 있는 기술이 등장하였다.
예컨대, "Stitching: Pen Gestures that Span Multiple Displays"라는 논문에는 제1 디바이스에서 터치를 시작하여 제2 디바이스까지 터치를 지속하고 제2 디바이스에서 터치를 때면 제1 디바이스에서 제2 디바이스로 컨텐츠를 이동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기술을 이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광고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디바이스의 스크린 영역을 통해 광고를 노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노출된 광고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광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특정 광고와 관련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에서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특정 광고를 선택한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방법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광고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디바이스의 스크린 영역을 통해 광고를 노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노출된 광고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광고 및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특정 광고와 관련된 컨텐츠를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고 방법을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로딩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컨텐츠 디바이스의 스크린 영역을 통해 광고를 노출하는 과정;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노출된 광고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광고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특정 광고와 관련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을 처리하고,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에서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시스템을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로딩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컨텐츠 디바이스의 스크린 영역을 통해 광고를 노출하는 과정;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노출된 광고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광고 및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특정 광고와 관련된 컨텐츠를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을 처리하는 광고 시스템을 제공한다.
광고주의 광고를 등록 및 유지하는 광고 플랫폼; 상기 광고 플랫폼으로 전달 받은 상기 광고를 노출하는 컨텐츠 디바이스; 및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 상에 노출된 광고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광고에 대하여 상기 광고 플랫폼 또는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특정 광고와 관련된 컨텐츠를 수신하는 휴대용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광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기술을 이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광고 모델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고 제공 환경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고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용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 이동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특이 터치를 이용한 컨텐츠 이동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호버링 기술을 이용한 컨텐츠 이동 과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포토 센서를 이용한 컨텐츠 이동 과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터치 및 근접 센서 인식에 의한 컨텐츠 이동 과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용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 이동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고 제공 환경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도 1은 광고주(130), 광고 플랫폼(140), 퍼블리셔(110), 및 사용자(120)를 나타내고 있다. 광고주(130)와 사용자(120)는 실질적으로는 광고주(130)나 사용자(120)가 이용하는 PC나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도 1에서 광고주(130), 광고 플랫폼(140), 퍼블리셔(110) 및 사용자(120) 간에 나타난 화살표들은 광고주(130)가 이용하는 단말기, 광고 플랫폼(140), 퍼블리셔(110) 및 사용자(120)가 이용하는 단말기 간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광고 플랫폼(140)은 광고주(130)의 광고에 대한 입찰, 광고와 키워드간의 매칭, 광고나 광고주의 정렬, 퍼블리셔(110)로의 광고 제공 및 광고의 노출에 따른 과금 등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광고 플랫폼(140)의 일반적이고 기술적인 사항들 중, 인터넷을 통해 전달되는 검색광고 및/또는 배너 광고 플랫폼에 관하여 종래 기술들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는 사항들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퍼블리셔(110)는 광고 플랫폼(140)과 관련된 앱이나 웹 페이지를 통해 광고주(130)의 광고를 노출하는 광고 표현 영역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스크린 사업자가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와 같은 컨텐츠 디바이스(110)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퍼블리셔(110)는 스크린이 포함하는 페이지들을 제공할 수 있고 페이지들을 통해 노출하기 위한 광고들을 광고 플랫폼(140)으로부터 전달받아 노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광고의 "노출"은 광고주(130)와 연관된 텍스트, 이미지 등, 소리, 동영상, 하이퍼 링크 등의 홍보성 컨텐츠가 퍼블리셔(110)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의미될 수 있다. 또한, 노출된 광고에 대한 "선택"은 사용자(120)가 퍼블리셔(110) 상에 노출된 텍스트, 이미지 등의 홍보성 컨텐츠에 대해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 등의 반응을 보임으로써, 광고주(130)가 홍보성 컨텐츠의 전달을 통해 달성하고자 한 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광고주(130)가 유도한 상황은 일례로, 사용자(120)에게 광고주(130)와 연관된 페이지가 노출되는 상황이나, 사용자(120)가 광고주(130)와 연관된 페이지에서 회원가입 또는 상품 구매 등은 물론, 광고를 선택한 사용자(120)에게 해당 광고와 관련된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는 상황과 같은 행위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시스템은 퍼블리셔(110)인 컨텐츠 디바이스를 통해 광고주(130)의 광고 관련 컨텐츠를 노출하고 퍼블리셔(110)를 통해 노출된 컨텐츠 중 사용자(120)에 의해 선택된 특정 컨텐츠를 사용자(120)에게 이동시키는 역할의 광고 플랫폼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을 통해 설명한 광고 제공 환경에서의 광고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광고주(130)는 광고 프로덕션에 의해 제작 및 제공된 광고 컨텐츠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때 광고 컨텐츠는 광고, 쿠폰, 맵, 메뉴판 등 모든 광고 대상을 의미할 수 있다. 광고 프로덕션에서는 광고주(130)의 요구 사항을 해소하기 위한 결과물로서 광고 컨텐츠를 공급하고, 이에 광고주(130)는 광고 컨텐츠에 대하여 광고의 편수 및 시간 등에 따라 광고비를 지불할 수 있다.
광고주(130)는 광고 컨텐츠를 광고 플랫폼(140) 상에 등록할 수 있으며, 등록된 광고 컨텐츠에 대하여 광고 노출 횟수에 따라 광고비를 지불할 수 있다. 그리고, 광고 플랫폼(140)은 컨텐츠 디바이스(110)를 통해 광고주(130)의 광고 컨텐츠를 노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퍼블리셔로서 스크린 영역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스크린은 광고가 표현될 수 있는 영역으로서 시간, 시각, 장소 등에 따라 다른 가치를 가지는 자산을 의미할 수 있다.
광고 컨텐츠의 광고 노출은 무관심 노출(advertising exposure), 관심 노출(pageview), 스크린 관심 노출(pageview on screen), 모바일 관심 노출(pageview on mobile)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무관심 노출은 사용자의 의사와 관계없는 기존의 광고 노출 방식을 의미하고, 관심 노출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표현되는 광고 노출 방식(예컨대, 검색 광고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관심 노출은 사용자의 스크린 터치에 의한 관심 노출 방식으로, 컨텐츠 디바이스(110) 상에 노출된 광고 중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광고를 노출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관심 노출은 사용자 모바일에서의 관심 노출 방식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광고의 관련 컨텐츠를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기인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시키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광고 플랫폼(140)에서는 광고주(130)에게 해당 광고주(130)가 등록한 광고 컨텐츠에 대하여 무관심 노출, 스크린 관심 노출, 모바일 관심 노출의 노출 시간 또는 노출 회수 등을 광고 리포트로서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광고주(130)는 광고 플랫폼(140) 상에 등록한 자신의 광고 컨텐츠에 대하여 무관심 노출, 스크린 관심 노출, 모바일 관심 노출의 노출 시간 또는 노출 회수에 따른 광고비를 지불할 수 있다. 또한, 광고 플랫폼(140)은 컨텐츠 디바이스(110)를 통해 노출되는 광고의 스크린 점유량에 따른 비용을 해당 광고의 광고주(130)에게 과금하여 컨텐츠 디바이스(110)와 관련된 스크린 사업자에게 지불할 수 있다.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광고주(130)의 광고 컨텐츠를 광고 플랫폼(140)으로부터 전달받아 노출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스크린 상에 광고 정보를 노출하는 것으로, 광고 컨텐츠의 무관심 노출 또는 관심 노출을 제공하다가 사용자의 스크린 터치에 의해 선택된 광고 컨텐츠에 대하여 스크린 관심 노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모바일 관심 노출을 위한 광고 서비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광고 서비스 기능은 컨텐츠 디바이스(110)에 노출된 광고 컨텐츠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광고 컨텐츠를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시키는 컨텐츠 이동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광고 플랫폼(140)은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대상으로 컨텐츠 디바이스(110)를 통해 광고 서비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광고 서비스 기능은 앱/웹페이지 제공을 통한 광고 컨텐츠 수령, 사용자 컨텐츠 업로드, 히스토리 관리 등 개인 광고 정보 관리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고 플랫폼(140)은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광고 컨텐츠를 이동시킨 컨텐츠 디바이스(110) 상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광고 플랫폼(140)에서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대상으로 쿠폰 등 광고 획득의 결과물로서 제공되어 할인 등의 가치를 가지는 이득을 제공할 수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광고 소비 대상으로서 컨텐츠 디바이스(110) 상에 노출된 광고(무관심/관심 노출 광고, 스크린 관심 노출 광고 등)를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컨텐츠 디바이스(110) 상에 노출된 광고를 모바일 관심 노출의 형태로 이용하기 위해 광고 서비스 기능의 컨텐츠 이동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부가적인 인앱 또는 인웹 페이지를 통한 광고 소비, 광고 컨텐츠 수령 및 모바일 관심 노출에 따른 광고 소비, 광고 소비와 관련된 상태 정보 제공 등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한 광고 플랫폼(140)의 역할을 하는 광고 시스템은 광고주(130)의 광고를 컨텐츠 디바이스(110)를 통해 노출할 수 있고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이용하여 컨텐츠 디바이스(110) 상에 노출된 광고 중 특정 광고를 선택하는 경우 특정 광고의 관련 컨텐츠를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전송하는 컨텐츠 이동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노출된 광고 중 특정 광고를 선택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정보, 휴대용 디바이스(120)에 의해 선택된 특정 광고의 정보 등을 광고 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고, 이에 광고 시스템은 컨텐츠 디바이스(11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들을 바탕으로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식별하는 것은 물론 휴대용 디바이스(120)에 의해 선택된 광고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광고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광고의 정보를 컨텐츠 디바이스(110)로부터 전달받은 후 특정 광고와 관련된 컨텐츠를 컨텐츠 디바이스(110)를 거쳐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세하게,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광고 플랫폼(140)으로부터 전달받은 광고를 노출하고 노출된 광고 중 사용자에 의해 특정 광고가 선택되면 휴대용 디바이스(120)와의 커플링을 맺은 후 사용자가 선택된 특정 광고의 정보를 광고 플랫폼(14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광고 플랫폼(140)은 컨텐츠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대응하는 광고와 관련된 컨텐츠를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고, 이때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광고 플랫폼(140)으로부터 전달받은 컨텐츠를 커플링을 맺은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광고 시스템은 컨텐츠 디바이스(11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광고의 정보와 함께 컨텐츠 디바이스(110)와 커플링을 맺은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정보를 전달 받은 후 특정 광고와 관련된 컨텐츠를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광고 시스템은 컨텐츠 디바이스(11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광고를 선택한 사용자의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식별한 후 콜백 URL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특정 광고와 관련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앱/웹 페이지를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방법은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한 광고 시스템의 상세 내용을 바탕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서 컨텐츠 이동 기능은 컨텐츠 디바이스(110)와 휴대용 디바이스(120) 간의 커플링을 통해 광고 플랫폼(140)으로부터 전달받은 컨텐츠를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컨텐츠 이동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디지털 사이니지일 수 있다. 이때,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터치 입력이 발생한 경우, 일정 거리 안에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broadcast)할 수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수신하면 자신의 터치 상태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부분은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터치 정보를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서 입력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한 터치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터치 정보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터치 스크린 상 수행된 터치의 면적,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터치 정보는 디스플레이에서 수행된 터치 입력의 위치, 면적,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터치 정보와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터치 입력이 일정 시간 오차 이내에서 일치한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과 커플링을 맺고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크기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스마트폰이나 PDA와 같이 휴대 가능한 터치 디바이스일 수 있다.
그리고,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로부터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터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생성한 터치 정보와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식별 정보를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여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디바이스(110)로부터 커플링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커플링 메시지에 기초하여 컨텐츠 디바이스(110)와 커플링을 맺고, 컨텐츠 이동 및 복제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은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쥐고 터치 입력을 수행하면, 컨텐츠 디바이스(110)가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하고,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상태로 선택한 컨텐츠(100)를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상태로 휴대용 디바이스(120)에서 선택한 컨텐츠(101)를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하여 터치 입력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은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손에 쥔 상태로 컨텐츠 디바이스(110)에 입력한 터치 입력에 따라 컨텐츠 디바이스(110)에서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컨텐츠(100)를 이동함으로써, 사용자가 컨텐츠(100)를 다른 디바이스로 이동하기 위하여 컨텐츠(100)를 화면 밖까지 이동시키지 않고도 용이하게 컨텐츠(100)를 다른 디바이스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손에 쥔 상태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컨텐츠(101)을 선택하고, 컨텐츠 디바이스(110)를 터치한 경우,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은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컨텐츠(101)를 이동함으로써, 사용자가 한 손만으로도 용이하게 휴대용 디바이스(12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컨텐츠(101)를 이동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위치 정보 수집부(310), 터치 정보 생성부(320), 커플링부(330), 컨텐츠 이동부(340), 및 카메라 제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수집부(31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즉,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있는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에 인접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가 있는 경우, 위치 정보 수집부(310)는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위치 정보 수집부(310)는 커플링부(330)를 종료시킬 수 있다.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위치 정보 수집부(310)는 응답 메시지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에 인접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가 있을 때마다 위치 정보 수집부(310)가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하면, 사용자가 컨텐츠를 이동할 생각이 없는 경우에도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 전송 및 커플링이 수행되므로, 자원이 낭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컨텐츠 이동과 상관 없이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쥐고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를 터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위치 정보 수집부(310)는 물체가 디스플레이를 터치하여 입력한 터치 명령이 단순 터치인 경우는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터치 명령이 드래그, 스윕 및 플릭과 같은 컨텐츠 이동과 관련하여 기 설정된 터치 명령인 경우에만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위치 정보 수집부(310)는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 또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손으로 특정 터치 명령을 입력한 경우에만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함으로써, 사용자가 컨텐츠의 이동을 원하지 않는 상황에서 컨텐츠를 이동할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검색하기 위하여 불필요한 자원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의 개수, 물체의 면적, 및 물체의 형상에 기초하여 물체의 터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물체의 움직임 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물체를 이용하여 컨텐츠 디바이스(110)에 입력하는 터치 명령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터치 명령과 물체의 터치 타입을 포함하는 터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물체가 디스플레이에 터치를 시작한 상태인 터치 다운(touch-down)과 물체가 디스플레이에서 터치를 종료하고 이탈한 상태인 터치 업(touch-up)의 발생 시간과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물체가 디스플레이에 터치를 한 상태로 이동하는 상태인 터치 무브(touch-move)인 경우, 이동하는 물체의 움직임 패턴, 이동 거리, 이동 시간 및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도 있다.
그리고,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터치 타입을 사용자의 손가락 중 하나가 디스플레이를 터치하여 입력하는 싱글 터치, 사용자의 손가락들이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위치를 터치하여 입력하는 멀티 터치, 및 휴대용 디바이스(120), 또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쥐고 있는 사용자의 손이 디스플레이를 터치하여 입력하는 특이 터치 중 하나로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의 형상이 사용자의 손가락이고,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의 개수가 하나인 경우,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물체의 터치 타입을 싱글 터치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의 형상이 사용자의 손가락이고,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의 개수가 복수인 경우,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물체의 터치 타입을 멀티 터치로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의 형상이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이한 형상인 경우,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물체의 터치 타입을 특이 터치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물체의 터치 타입과 물체의 움직임 패턴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정보 수집부(310)는 제어 신호에 따라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터치 타입이 특이 터치를 포함하는 사전에 설정된 터치 형태이거나, 물체가 터치한 상태에서 이동하여 움직임 패턴이 발생하는 경우, 위치 정보 수집부(310)에게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라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커플링부(330)는 터치 정보 생성부(320)가 생성한 물체의 터치 정보 및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정보에 포함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이동 시간, 이동 거리 및 움직임 패턴이 터치 정보에 포함된 물체의 이동 시간, 이동 거리 및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는 경우, 커플링부(33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이때, 위치 정보에 포함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이동 시간, 이동 거리 및 움직임 패턴이 터치 정보에 포함된 물체의 이동 시간, 이동 거리 및 움직임 패턴이 일정 오차 이내에서 일치한 경우, 커플링부(330)는 위치 정보와 터치 입력이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손에 쥔 상태로 디스플레이를 터치하거나,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를 터치한 사용자의 손, 또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에 반사되는 충격에 의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 가속도계 센서의 값이 변화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가속도계 센서의 값의 변화 및 변화 시간을 이동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커플링부(330)는 물체가 디스플레이를 터치한 시간과 가속도계 센서의 값이 변화한 시간을 비교하고, 터치한 시간과 가속도계 센서의 값이 변화한 시간이 일정한 오차 범위 내에서 일치하면,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이때, 물체가 디스플레이를 터치한 시간은 터치 다운을 시작하여 드래그와 같은 터치 명령 입력 및 터치업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컨텐츠 이동과 상관 없이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쥐고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를 터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커플링부(330)는 터치 명령이 단순 터치인 경우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하지 않고, 터치 명령이 드래그, 스윕 및 플릭과 같은 컨텐츠 이동과 관련하여 기 설정된 터치 명령인 경우에만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 또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손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단순히 터치한 경우, 커플링부(33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이동부(340)는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에 따라 동영상 컨텐츠의 플레이/정지, 버튼 입력, 텍스트 하이라이트, 필드 선택, 이미지 선택/확대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 또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손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드래그, 스윕, 및 플릭 중 하나를 입력하는 경우, 커플링부(33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즉, 커플링부(330)는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 또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손으로 특정 터치 명령을 입력한 경우에만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컨텐츠가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수집부(310)가 복수의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집한 경우, 커플링부(330)는 수집한 위치 정보들과 터치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컨텐츠 디바이스(110)로부터 일정 거리 안에 위치한 복수의 휴대용 디바이스(120) 중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 터치할 때 손에 쥐고 있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식별하여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그리고, 물체가 드래그와 같은 터치 명령 입력을 위하여 이동하는 경우, 커플링부(330)는 물체가 디스플레이에 터치하여 이동하기 시작하는 시간부터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또한, 커플링부(330)는 물체가 디스플레이에서 이탈하여 터치가 종료되기 전까지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맺은 커플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타입이 특이 터치인 경우, 커플링부(33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그리고, 터치 타입이 싱글 터치, 또는 멀티 터치이고, 터치 명령이 입력된 경우, 커플링부(33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반면, 터치 타입이 싱글 터치, 또는 멀티 터치이지만, 단순히 터치만 하고, 움직임 없이 터치를 종료한 경우, 커플링부(33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지 않을 수 있다.
컨텐츠 이동부(340)는 터치 정보 생성부(320)가 생성한 물체의 터치 정보 및 위치 정보 수집부(310)가 수집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커플링부(330)가 커플링을 맺은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컨텐츠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이동부(340)는 터치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표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이동부(340)는 표시 위치 및 표시 위치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컨텐츠를 이동할 수 있다.
물체가 복수의 컨텐츠들을 선택한 다음,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터치 명령을 입력한 경우, 컨텐츠 이동부(340)는 물체가 선택한 복수의 컨텐츠들을 모두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에 접촉한 물체가 드래그, 스윕, 및 플릭 중 하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복수의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 컨텐츠 이동부(340)는 물체가 선택한 복수의 컨텐츠들을 모두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디바이스(120)에 포함된 컨텐츠가 선택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에 접촉한 물체가 터치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컨텐츠 이동부(34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선택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터치 명령이 입력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카메라 제어부(350)는 커플링부(330)가 커플링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제어에 따라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내부에 포함된 카메라, 또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와 연결된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제어부(35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카메라 실행용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카메라 실행용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터치 정보 생성부(320)는 사용자가 카메라 실행용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하여 입력한 터치 명령을 기초로 터치 정보를 생성하고, 위치 정보 수집부(310)는 터치 정보 생성부(320)가 생성한 터치 정보에 따라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커플링부(330)는 위치 정보 수집부(310)가 수집한 위치 정보와 터치 정보 생성부(320)가 생성한 터치 정보를 기초로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이때, 카메라 제어부(34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내부에 포함된 카메라, 또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와 연결된 카메라를 구동시키며 휴대용 디바이스(120)에 카메라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카메라 제어부(35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카메라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카메라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카메라 제어부(350)는 수신한 카메라 제어 신호에 따라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내부에 포함된 카메라, 또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와 연결된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 제어부(350)는 카메라 제어 신호에 따라 카메라의 각도, 촬영 횟수, 촬영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및 이미지를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위치 정보 생성부(410), 위치 정보 제공부(420), 커플링부(430), 컨텐츠 이동부(440) 및 카메라 제어 신호 전송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생성부(41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가속도계의 변화,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이동 거리, 및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움직임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정보 생성부(41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로부터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위치 정보 생성부(41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를 측정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이동 거리, 및 움직임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정보 생성부(41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GPS,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이동 거리 및 움직임 패턴을 식별하기 위한 가속도계나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 생성부(41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가속도계를 측정하고, 가속도계가 변화하는 경우, 가속도계 센서의 값의 변화 및 가속도계가 변화한 변화 시간을 이동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위치 정보 제공부(420)는 위치 정보 생성부(410)가 생성한 위치 정보를 컨텐츠 디바이스(110)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정보 제공부(420)는 위치 정보와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용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정보 제공부(420)는 생성한 응답용 메시지를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커플링부(43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로부터 커플링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위치 정보 제공부(420)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가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터치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위치 정보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커플링부(430)에 커플링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커플링부(430)는 커플링 요청을 전송한 컨텐츠 디바이스(110)와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컨텐츠 이동부(44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한 컨텐츠를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컨텐츠를 선택하고, 컨텐츠 디바이스(110)에 터치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컨텐츠 이동부(440)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카메라 제어 신호 전송부(45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로부터 카메라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와 관련된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제어 신호를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디바이스(110)로부터 카메라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카메라 제어 신호 전송부(450)는 카메라 제어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디스플레이에 카메라 제어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창은 카메라의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 입력 수단, 카메라의 촬영 횟수를 입력하는 입력 칸, 카메라의 촬영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입력하는 입력 칸, 카메라가 촬영을 시작하도록 하는 촬영 버튼, 카메라가 촬영하여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영상 제어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카메라 제어 신호 전송부(450)는 사용자가 입력 창에 입력한 정보 및 제어 명령을 기초로 카메라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 제어 신호는 카메라의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 카메라의 촬영 횟수, 카메라의 촬영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 카메라의 촬영 시작 여부,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영상의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카메라 제어 신호 전송부(450)는 생성한 카메라 제어 신호를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51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를 탐지할 수 있다.
단계(52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단계(51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를 탐지하거나, 터치한 물체의 드래그 시작을 탐지한 경우,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53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단계(510)에서 탐지한 물체의 터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단계(510)에서 탐지한 물체의 개수, 물체의 면적, 및 물체의 형상에 기초하여 물체의 터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물체의 움직임 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물체를 이용하여 컨텐츠 디바이스(110)에 입력하는 터치 명령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터치 명령과 물체의 터치 타입을 포함하는 물체의 터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535)에서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단계(520)에서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가속도계의 변화,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이동 거리, 및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움직임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54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단계(510)에서 디스플레이를 터치한 물체의 터치가 종료되는 것을 탐지할 수 있다.
단계(550)에서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단계(535)에서 생성한 위치 정보를 컨텐츠 디바이스(110)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단계(535)에서 생성한 위치 정보와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단계(520)에서 수신한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용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생성한 응답용 메시지를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56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단계(550)에서 수신한 응답용 메시지의 위치 정보에 포함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공간상 이동 시간, 거리, 움직임 패턴 정보들을 단계(530)에서 생성한 터치 정보에 포함된 터치의 이동 시간, 거리, 움직임 패턴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교 결과 위치 정보와 터치 정보가 일정 오차 이내에서 일치한 경우, 응답용 메시지를 전송한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컨텐츠 디바이스(110)와 커플링을 맺을 디바이스로 선택할 수 있다.
단계(57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단계(550)에서 수신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단계(560)에서 선택한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단계(58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단계(530)에서 생성한 터치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하거나,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특이 터치를 기반으로 컨텐츠 디바이스와 휴대용 디바이스 간 커플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특이 터치를 바탕으로 컨텐츠를 이동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는 특이 터치의 일례이다.
컨텐츠 디바이스(110)가 식별하는 터치 타입 중 특이 터치는 일반적인 손가락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형태의 터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이 터치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를 사용자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터치하거나,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손(600)의 손가락 마디를 터치하는 것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의 형상이 사용자의 손가락이고,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의 개수가 하나인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에서는 물체의 터치 타입을 싱글 터치로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가락으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터치가 입력될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가 감지하는 터치 흔적(611)의 형상은 도 6의 케이스 1(Case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의 형상이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이한 형상인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에서는 물체의 터치 타입을 특이 터치로 식별할 수 있다. 예컨대,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루어지는 특이 터치가 입력될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가 감지하는 터치 흔적(621)의 형상은 도 6의 케이스 2(Case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폭만큼 길이를 가지는 사각형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의 형상이 사용자의 손가락이고,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의 개수가 복수인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에서는 물체의 터치 타입을 멀티 터치로 식별할 수 있다. 예컨대, 손(600)의 손가락 마디로 이루어지는 특이 터치가 입력될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가 감지하는 터치 흔적(631)의 형상은 도 6의 케이스 3(Case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600)의 손등, 또는 손가락 폭 만큼의 길이를 가지는 사각형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 디바이스(110)에서는 터치 흔적의 형상과 면적 등에 기초하여 물체가 사용자의 손가락인지, 아니면 휴대용 디바이스(120)인지, 아니면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손(600)의 손가락 마디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물체가 휴대용 디바이스(120)나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손(600)의 손가락 마디인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에서는 물체의 터치 타입을 특이 터치로 식별할 수 있다. 이때, 터치 흔적의 형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애 있어서, 특이 터치를 이용한 컨텐츠 이동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 상에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디스플레이 전면을 접촉하는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와 휴대용 디바이스(120)에 동시에 특이 터치가 발생할 수 있다(710, 720).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손에 쥐고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디스플레이를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다운로드 하고자 하는 컨텐츠가 표시된 위치)로 향하게 하고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완전히 접촉하면, 컨텐츠 디바이스(110)에서는 터치의 좌표, 면적, 시간 정보(터치를 유지하는 시간)를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휴대용 디바이스(120)에서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에 부착된 터치 스크린 전면에서 수행되는 터치의 존재와 면적, 시간 정보를 알 수 있다.
컨텐츠 디바이스(110)에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완전히 접촉하면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 상 터치 흔적은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크기와 동일하게 남게 된다. 터치 흔적을 기반으로 컨텐츠 디바이스(110)에서는 특이 터치가 수행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컨텐츠 디바이스(110)에서는 특이 터치가 발생되면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한다(730). 이때,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는 WIFI, Bluetooth, Zigbee 등 일반적인 통신 수단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는 컨텐츠 디바이스(110) 주변에 존재하는 모든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전송될 수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120)에서는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가 수신되면 자신의 스크린 상 터치 상태와 디바이스 식별자를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 이를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한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응답하게 된다(740).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스크린 상 접촉한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자신의 터치 입력 상태가 터치 스크린 전체에서 터치가 입력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므로 이때의 상태를 응답 메시지에 넣어서 전송한다. 또한, 그렇지 않은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경우 터치 입력이 없거나 싱글 또는 멀티 터치 입력만 될 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때의 상태만 응답 메시지에 넣어서 전송하거나,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주변에 위치한 휴대용 디바이스들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모두 수신한 후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휴대용 디바이스(120) 중 터치 입력 상태가 스크린 전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즉 특이 터치가 발생된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선택하고(750) 선택된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은 후(760) 특이 터치가 발생된 위치의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770). 이때,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특이 터치가 수행된 좌표에 존재하는 컨텐츠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에 표시된 컨텐츠 중 원하는 컨텐츠에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접촉하는 것으로 해당 컨텐츠를 자신의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다운로드하는 효과를 경험할 수 있다.
도 7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가 컨텐츠를 전송할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휴대용 디바이스들은 부착된 터치 스크린의 해상도가 다양할 수 있으므로 휴대용 디바이스(120)에서 스크린 상 수행된 터치의 면적 정보를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 면적 정보를 이용하면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종류에 관계 없이 터치 면적 정보가 일정 크기 이상이면 특이 터치로 간주하고, 특이터치가 이루어진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선택하는 것으로 알고리즘이 간단해 질 수 있다.
도 7을 통해 설명한 컨텐츠 디바이스와 휴대용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방법은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디스플레이 전면을 접촉함에 따라 양쪽 디바이스에 특이 터치가 동시 발생함을 근거로 커플링 및 컨텐츠 이동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디스플레이가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완전히 접촉하는 것은 물론,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디스플레이가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완전히 접촉하는 것을 가정한 실시예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컨텐츠 디바이스(110) 상 디스플레이에 수행되는 터치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쥐고 있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가 서로 마주보며 몇cm 정도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손에 쥐고 컨텐츠 디바이스(110)를 터치할 때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직접 터치되는 것이 아닌, 사용자의 손가락이 직접 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사용자들은 이러한 형태로 터치를 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에서의 터치 흔적은 손가락에 의해 싱글 또는 멀티 터치의 형태로 나타나고 휴대용 디바이스(120)에는 터치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120)에 터치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커플링을 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찾을 수 없게 된다.
하지만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상당히 가까이 존재하게 되므로 휴대용 디바이스(120) 상 터치 스크린에는 특별한 형태의 호버링(hovering) 입력이 나타난다.
최근 휴대용 디바이스에는 스크린에 손을 직접 대지 않은 채 그 위에서 움직여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핑거 호버링 기술(예컨대, 삼성 갤럭시 S4의 '에어뷰' 등)이 적용되고 있다. 핑거 호버링 기술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스크린에 약 0.1~3cm 이내로 접근했을 때 이를 인식하여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는 기술이다. 이는 정전용량(capacitive) 터치 스크린의 경우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기술이다. 호버링 기술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스크린에 근접했을 때 손가락의 위치에 존재하는 터치스크린의 위치에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손가락이 가까이 근접함을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호버링 기술을 이용하여 컨텐츠 디바이스와 휴대용 디바이스 간에 컨텐츠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호버링 기술을 이용한 컨텐츠 이동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호버링 기술을 이용한 컨텐츠 이동 과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손에 쥐고 컨텐츠 디바이스(110)를 향하여 터치를 수행할 때 휴대용 디바이스(120)에는 호버링 입력이 발생하고(810) 컨텐츠 디바이스(110)에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쥐고 있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싱글 터치 또는 멀티 터치의 입력이 발생한다(820).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터치 입력이 있을 때 주변에 존재하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한다(830). 이를 수신한 휴대용 디바이스들은 자신의 호버링 상태를 응답 메시지에 넣어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전송한다(840). 이때, 휴대용 디바이스(120)에서는 터치 스크린 전체에서 호버링 입력이 들어오고 있는 상태가 될 것이며 이를 휴대용 디바이스(120)에서 특이 호버링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컨텐츠 디바이스(110)가 마주보고 있으므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가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터치 스크린 전체에 호버링 입력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주변에 위치한 휴대용 디바이스들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모두 수신한 후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휴대용 디바이스(120) 중 스크린 전체에 호버링 입력(즉, 특이 호버링 입력)이 수행되고 있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선택하고(850) 선택된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은 후(860) 특이 터치가 발생된 위치의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870). 이때,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터치 입력이 수행된 좌표에 존재하는 컨텐츠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에 표시된 컨텐츠 중 원하는 컨텐츠에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손을 대는 것으로 해당 컨텐츠를 자신의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다운로드하는 효과를 경험할 수 있다.
도 8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가 컨텐츠를 전송할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휴대용 디바이스들은 부착된 터치 스크린의 해상도가 다양할 수 있으므로 휴대용 디바이스(120) 상 수행된 호버링 입력의 면적 정보를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호버링 입력의 면적 정보를 이용하면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종류에 관계 없이 호버링 입력의 면적 정보가 일정 크기 이상이면 특이 호버링 입력으로 간주하고, 특이 호버링 입력이 이루어진 휴대용 디바이스(110)를 선택하는 것으로 알고리즘이 간단해 질 수 있다.
도 8를 통해 설명한 컨텐츠 이동 방법은 컨텐츠 디바이스와 휴대용 디바이스 간 호버링 입력을 이용하여 커플링 및 컨텐츠 이동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컨텐츠 디바이스와 휴대용 디바이스 간 특이터치 또는 특이 호버링 입력을 이용하여 두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확장될 수 있다.
(1) 사용자는 컨텐츠 디바이스에 특이터치를 수행하고 일정 시간 이내에 휴대용 디바이스에 특이터치를 수행함으로써 컨텐츠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2) 사용자는 컨텐츠 디바이스에 특이터치를 수행하면서 동시에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베젤 영역을 이용한 스윕(sweep)을 수행함으로써 컨텐츠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 디바이스의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컨텐츠 디바이스와 휴대용 디바이스 간에 컨텐츠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터치 센서를 이용한 컨텐츠 이동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컨텐츠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에 포토 센서가 내장된 경우(예컨대, MS Surface 등) 포토 센서를 통해 감지된 값을 이용하여 컨텐츠 이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포토 센서를 이용한 컨텐츠 이동 과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포토 센서가 내장된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고,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포토 센서로 이미지를 전송하기 위해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가 내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근접 센서는 약 5cm 이내에 물체가 근접하는 경우와, 물체가 없거나 그 이상의 범위에 존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서로 다른 상태 값을 가진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컨텐츠 디바이스(110)에 가까이 가져가면 휴대용 디바이스(110)의 근접 센서는 가까이 근접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를 물체로 인식하고 물체 인식 결과에 따라 상태 값이 바뀌게 된다(910). 이때,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근접 센서의 상태 값이 변하면 화면에 특정한 형태의 이미지, 깜빡임, 영상 등 신호로서 보낼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화면을 변화시킨다(901-1).
변화된 화면은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포토 센서가 내장된 디스플레이에서 미리 약속된 신호로서 인식되며(920) 이때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달한다(930).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달할 때 현재 수신한 신호가 무엇인지(깜빡임, 이미지, 영상 등)에 대한 신호 상태 정보를 같이 전달할 수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120)에서는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단계(910-1)에서 변화된 화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940). 다른 예로,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에 포함된 신호 상태 정보와 상기 단계(910-1)에서 변화된 화면 상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응답 메시지를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주변에 위치한 휴대용 디바이스들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모두 수신한 후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휴대용 디바이스(120) 중 자신이 수신한 신호의 상태와 동일한 화면 상태를 가진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선택하고(950) 선택된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은 후(960) 특이 터치가 발생된 위치의 컨텐츠, 또는 휴대용 디바이스의 변화되는 화면을 인식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포토 센서가 존재하는 영역에 표시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970).
위 방법에서 사용자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에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근접하기만 했을 때도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5cm 정도로 근접하면 근접 센서가 동작하며 이때 화면 변화를 시도하므로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직접적으로 접촉/터치 하지 않더라도 컨텐츠 이동이 가능하다.
도 9를 통해 설명한 컨텐츠 디바이스(110)와 휴대용 디바이스(120) 간 컨텐츠 이동 방법은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근접 센서를 이용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접근과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포토 센서를 이용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화면 변화 인식을 근거로 두 디바이스 간 커플링 및 컨텐츠 이동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와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디바이스의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용 디바이스와 컨텐츠 디바이스 간에 커플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용 디바이스의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이동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및 근접 센서 인식에 의한 컨텐츠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과정(1010)은 사용자가 손에 쥔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접근시키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과정(1020)은 과정(1010)에서의 접근에 따라 휴대용 디바이스(120)에 포함된 근접 센서가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접근을 인식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와 근접 센서 인식을 모두 이용함으로써,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가속도계 정보나 위치정보 등을 수집하지 않더라도, 컨텐츠 디바이스와 휴대용 디바이스간의 커플링이 수행될 수 있음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도 10에서와 같이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손으로 컨텐츠 디바이스(110) 상의 컨텐츠에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쥔 손을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근접 센서는 물체가 가까이 접근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일례로, 근접 센서는 주로 5~8cm 이내에 물체가 없으면 0의 센서 값을, 5~8cm 이내에 물체가 존재하면 1의 센서 값을 반환할 수 있다. 이때, 물체의 접근에 따라 근접 센서의 센서 값을 0에서 1로 변화할 수 있고, 휴대용 디바이스는 이러한 센서 값이 변화하는 시각인 제1 변화시각을 저장할 수 있다.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상술한 사용자의 터치(터치 다운)에 따라 터치가 수행된 좌표를 인식하고 터치의 인식시각을 저장하고, 터치의 인식에 따라 주변 디바이스들로 커플링을 위한 메시지(검색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터치가 해제되면,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터치의 해제(터치 업)를 인식하고, 터치가 해제된 해제시각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터치의 해제에 따라 근접 센서를 통해 물체의 접근이 해제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 따라, 물체의 접근이 해제되는 경우, 근접 센서의 센서 값은 1에서 0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센서 값이 변화하는 시각인 제2 변화시각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근접 센서의 센서 값이 변화된 휴대용 디바이스들(120)은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커플링을 위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들(120)이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들 각각에는 휴대용 디바이스들(120) 각각이 저장한 제1 변화시각과 제2 변화시각이 포함될 수 있다.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주변의 휴대용 디바이스들(120)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터치의 인식시각, 해제시각, 제1 변화시각, 제2 변화시각을 비교하여 가장 시각이 일치하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만약,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휴대용 디바이스가 하나라면,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터치의 인식시각, 해제시각,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제1 변화시각 및 제2 변화시각을 비교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와의 커플링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터치 및 근접 센서 인식에 의한 컨텐츠 이동 과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1110)에서 사용자는 휴대용 디바이스를 손으로 쥘 수 있다.
단계(1120)에서 사용자는 터치 다운으로 위하여 휴대용 디바이스를 컨텐츠 디바이스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디바이스가 컨텐츠 디바이스에 접근함에 따라, 휴대용 디바이스의 근접 센서의 센서 값이 0에서 1로 변화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는 제1 변화시각 T1을 저장할 수 있다.
단계(113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는 터치 다운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디바이스는 터치 다운이 인식된 인식시각 T2를 저장할 수 있고, 커플링을 위한 메시지인 검색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단계(1140)에서 사용자는 터치 업을 위하여 휴대용 디바이스를 컨텐츠 디바이스에서 멀어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단계(115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는 터치 업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디바이스는 터치 업이 인식된 해제시각 T3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업을 위한 이동에 따라 휴대용 디바이스의 근접 센서의 센서 값은 1에서 0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는 제2 변화시각 T4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디바이스는 상술한 검색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 메시지를 컨텐츠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응답 메시지에는 제1 변화시각 T1과 제2 변화시각 T4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116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는 커플링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커플링 디바이스는, 제1 변화시각 T1, 인식시각 T2, 해제시각 T3 및 제2 변화시각 T4를 이용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디바이스는 우선, 제1 변화시각 T1이 인식시각 T2 이전의 시각인지에 대한 제1 조건, 그리고 해제시각 T3가 제2 변화시각 T4 이전의 시각인지에 대한 제2 조건을 확인할 수 있다. 인식시각 T1은 항상 해제시각 T3 이전의 시각이기 때문에, 컨텐츠 디바이스는 제1 조건과 제2 조건을 이용하여,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휴대용 디바이스가 커플링을 위해 적합한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제1 조건과 제2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디바이스가 복수 개인 경우에는 인식시각 T2와 제1 변화시각 T1간의 차이 d1, 그리고 제2 변화시각 T4와 해제시각 T3의 차이 d2를 이용하여 커플링을 위한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1 및 d2가 가장 작은 디바이스가 커플링을 위한 디바이스로 선택될 수 있다.
컨텐츠 디바이스와 휴대용 디바이스간의 커플링이 완료되면, 상호간에는 컨텐츠 이동이 가능해진다. 이때, 이동되는 컨텐츠는 미리 정의된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컨텐츠 디바이스에 터치한 지점에 존재하는 컨텐츠가 컨텐츠 디바이스에서 휴대용 디바이스로 전송될 컨텐츠라면, 해당 컨텐츠는 컨텐츠 디바이스에서 휴대용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컨텐츠 디바이스에 터치한 지점에 존재하는 컨텐츠가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컨텐츠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한 컨텐츠라면, 휴대용 디바이스의 화면상에 표현된 컨텐츠가 컨텐츠 디바이스로 전송되어 사용자가 컨텐츠 디바이스상에 터치한 지점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 디바이스에서 멀티 터치 및 이미지 코드 인식에 의해 컨텐츠를 이동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컨텐츠 디바이스는 터치 정보 생성 시 컨텐츠 디바이스에 생성된 터치가 멀티 터치인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대신에, 사용자가 멀티 터치를 수행한 위치의 컨텐츠를 이미지 코드로 변환하고 이 변환이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인식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컨텐츠 디바이스는 해당 제스처가 수행된 휴대용 디바이스와 커플링을 맺음으로써 컨텐츠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바이스는 터치 정보 생성부(1210), 이미지 코드 변환부(1220), 커플링부(1230), 컨텐츠 이동부(1240), 및 카메라 제어부(1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바이스에서 이미지 코드 변환부(122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3을 통해 설명한 상세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그 구체적인 동작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터치 정보 생성부(1210)는 컨텐츠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의 개수, 물체의 면적, 및 물체의 형상에 기초하여 물체의 터치 타입을 식별한 후, 물체의 터치 타입을 포함하는 물체의 터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물체의 터치 타입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미지 코드 변환부(1220)는 터치 정보 생성부(12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일정 거리 안에 휴대용 디바이스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이미지 코드 변환부(1220)는 터치 정보 생성부(12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물체의 터치가 감지된 위치에 존재하는 컨텐츠를 이미지 코드로 변환하여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된 적어도 일부 영역인 이미지 변환 영역에 이미지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코드는 적어도 1개의 색을 특정 시간 간격이나 패턴으로 반복 또는 교차 표시하는 형태, 바코드나 QR 코드 등으로 구성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형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컨텐츠 디바이스로부터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받은 휴대용 디바이스에서는 이미지 코드 인식이 가능한 수단을 통해 컨텐츠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이미지 코드를 인식한 후 이를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에 실어서 컨텐츠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디바이스에서는 조도 센서, 카메라, RGB 센서, 이미지 센서 등을 이용하여 컨텐츠 디바이스 상에 표시된 이미지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커플링부(1230)는 터치 정보 생성부(1210)가 생성한 물체의 터치 정보 및 휴대용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휴대용 디바이스와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커플링부(1230)는 이미지 코드 변환부(1220)에서 변환한 이미지 코드와 응답 메시지를 보낸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인식한 이미지 코드가 일정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면 해당 휴대용 디바이스와의 커플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는 인식부(1310), 제공부(1320), 커플링부(1330), 컨텐츠 이동부(1340), 및 카메라 제어 신호 전송부(1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인식부(1310)와 제공부(132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4를 통해 설명한 상세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그 구체적인 동작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인식부(1310)는 컨텐츠 디바이스로부터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가 수신되면 컨텐츠 디바이스 상에 표시된 이미지 코드를 인식하기 위해 필요한 모듈을 활성화 한 후 해당 모듈을 통해 이미지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일 예로, 인식부(1310)는 조도 센서, 카메라, RGB 센서, 이미지 센서 등을 이용하여 컨텐츠 디바이스 상에 표시된 이미지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제공부(1320)는 휴대용 디바이스 자신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용 메시지를 생성하고 인식부(1310)에서 인식된 측정 결과 값을 상기 응답용 메시지에 실어서 컨텐츠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디바이스에서는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보낸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코드 인식 값이 자신이 변환한 이미지 코드와 일치하면 해당 휴대용 디바이스로 커플링 요청을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휴대용 디바이스에서의 커플링부(1330)는 커플링 요청을 전송한 컨텐츠 디바이스와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141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를 탐지할 수 있다.
단계(142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단계(1410)에서 탐지한 물체의 개수, 물체의 면적, 및 물체의 형상에 기초하여 물체의 터치 타입을 식별한 후 물체의 터치 타입을 포함하는 물체의 터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143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단계(141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를 탐지한 경우 일정 거리 안에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144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단계(141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에 터치한 물체를 탐지한 경우 물체의 터치가 감지된 위치에 존재하는 컨텐츠를 이미지 코드로 변환하여 컨텐츠가 표시된 적어도 일부 영역인 이미지 변환 영역에 이미지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단계(1450)에서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컨텐츠 디바이스(110)로부터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받은 후 컨텐츠 디바이스(110) 상에 표시된 이미지 코드를 인식하기 위해 필요한 모듈을 활성화 한 후 해당 모듈을 통해 이미지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단계(1460)에서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 자신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용 메시지를 생성한 후 단계(1450)에서 인식된 코드 인식 값을 응답용 메시지에 실어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147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에서 전송한 응답용 메시지에 포함된 코드 인식 값을 단계(1440)에서 변환한 이미지 코드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 두 코드 정보가 일정 오차 이내에서 일치한 경우 응답용 메시지를 전송한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컨텐츠 디바이스(110)와 커플링을 맺을 디바이스로 선택할 수 있다.
단계(148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에서 전송한 응답용 메시지에 포함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단계(1470)에서 선택한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커플링을 맺을 수 있다.
단계(149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는 단계(1420)에서 생성한 터치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이동하거나,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한 이미지 코드 변환을 인식하는 방법을 적용할 경우, 컨텐츠 디바이스(110)가 여러 위치에서 멀티 터치를 동시에 식별했을 때 각 멀티 터치 위치에 서로 다른 코드값을 가지고 이미지 변환 영역에 색을 표현함으로써 여러 개의 휴대용 디바이스가 컨텐츠 이동을 위한 인터랙션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 각각의 휴대용 디바이스를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휴대용 디바이스(120)에서 컨텐츠 디바이스(110) 상의 컨텐츠에 대한 이미지 코드 변환을 인식하는 방법으로서 위에서는 조도 센서를 언급했으나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카메라, RGB 센서, 이미지 센서 등을 이용해서도 동일하게 동작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컨텐츠 디바이스와 휴대용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서로 마주보도록 하지 않고 휴대용 디바이스를 뒤집어서 인터랙션을 하는 경우에도 휴대용 디바이스의 후방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일하게 동작 가능하다.
또한, 위에서는 멀티 터치와 이미지 코드 인식을 통한 커플링 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나, 멀티 터치 이외에도 특이 터치가 수행되었을 때도 동일하게 이미지 변환 인식을 통하여 커플링 및 컨텐츠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터치 흔적이 특이 터치와 멀티 터치의 조합 등 일반적인 터치와 다른 형태의 터치가 수행되었을 때도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이미지 변환 인식 방법에서는 컨텐츠 상의 일정 영역(즉, 이미지 변환 영역)에 흰색 또는 검정색을 표현하는 형태로 이미지 코드를 설명하고 있으나, 일시적으로 컨텐츠의 밝기를 매우 밝게 또는 매우 어둡게, 또는 반전하여 표현하는 방식으로도 동일하게 동작하도록 구현할 수 있고, 컨텐츠의 정보가 포함된 특정 이미지(바코드나 QR 코드 등)를 일시적으로 표현하고 이를 카메라로 인식하도록 하여 원하는 코드를 컨텐츠 디바이스에서 휴대용 디바이스로 이동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방법에서는 상기한 실시예들의 컨텐츠 이동 기술을 이용하여 컨텐츠 디바이스를 거쳐 휴대용 디바이스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컨텐츠 디바이스는 광고 플랫폼으로부터 전달받은 광고를 노출하고 노출된 광고 중 사용자에 의해 특정 광고가 선택되면 휴대용 디바이스와의 커플링을 맺은 후 사용자가 선택된 특정 광고의 정보를 광고 플랫폼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광고 플랫폼은 컨텐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대응하는 광고와 관련된 컨텐츠를 컨텐츠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고, 이때 컨텐츠 디바이스는 광고 플랫폼으로부터 전달받은 컨텐츠를 커플링을 맺은 휴대용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10: 컨텐츠 디바이스
120: 휴대용 디바이스
130: 광고주
140: 광고 플랫폼

Claims (14)

  1. 컴퓨터로 구현되는 광고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디바이스의 스크린 영역을 통해 광고를 노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노출된 광고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광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특정 광고와 관련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에서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특정 광고를 선택한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방법.
  2. 컴퓨터로 구현되는 광고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디바이스의 스크린 영역을 통해 광고를 노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노출된 광고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광고 및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특정 광고와 관련된 컨텐츠를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광고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에 노출되는 광고의 스크린 점유에 따른 비용을 과금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광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은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의 설치 장소와 상기 광고가 노출되는 시간 및 시각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특정 광고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 커플링을 맺은 이후에 전달되는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방법.
  6.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로딩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컨텐츠 디바이스의 스크린 영역을 통해 광고를 노출하는 과정;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노출된 광고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광고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특정 광고와 관련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
    을 처리하고,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에서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시스템.
  7.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로딩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컨텐츠 디바이스의 스크린 영역을 통해 광고를 노출하는 과정;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노출된 광고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광고 및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특정 광고와 관련된 컨텐츠를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
    을 처리하는 광고 시스템.
  8. 광고주의 광고를 등록 및 유지하는 광고 플랫폼;
    상기 광고 플랫폼으로 전달 받은 상기 광고를 노출하는 컨텐츠 디바이스; 및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 상에 노출된 광고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광고에 대하여 상기 광고 플랫폼 또는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특정 광고와 관련된 컨텐츠를 수신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를 포함하는 광고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특정 광고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 커플링을 맺은 후 상기 특정 광고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광고 플랫폼으로 전달하고,
    상기 광고 플랫폼은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에 따라 상기 특정 광고와 관련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를 거쳐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특정 광고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 커플링을 맺은 후 상기 특정 광고 및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광고 플랫폼으로 전달하고,
    상기 광고 플랫폼은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에 따라 상기 특정 광고와 관련된 컨텐츠를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로 직접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로딩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상기 특정 광고에 대한 터치 입력이 탐지되면 터치 타입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터치 입력의 터치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 커플링을 맺는 과정; 및
    상기 커플링을 맺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과정을 처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로딩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상기 특정 광고에 대한 터치 입력이 탐지되면 상기 특정 광고와 관련된 이미지 코드를 표시하는 과정;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인식한 코드 값이 수신되면 상기 이미지 코드와 상기 코드 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의 커플링을 맺는 과정; 및
    상기 커플링을 맺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과정을 처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로딩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상기 특정 광고에 대한 터치 입력이 탐지되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를 검색하기 위한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에 대하여 터치 스크린의 정전용량 변화에 따른 호버링(hovering) 입력이 발생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응답이 수신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의 커플링을 맺는 과정; 및
    상기 커플링을 맺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과정을 처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로딩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상기 특정 광고에 대한 터치 입력이 인식되면 상기 터치 입력이 인식된 인식시각을 저장하는 과정;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를 검색하기 위한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터치 입력이 해제되면 상기 터치 입력이 해제된 해제시각을 저장하는 과정;
    상기 디바이스 검색 메시지에 대해 응답하는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근접 센서의 센서 값에 대한 제1 변화시각 및 제2 변화시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인식시각, 상기 해제시각, 상기 제1 변화시각 및 상기 제2 변화시각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의 커플링을 맺는 과정; 및
    상기 커플링을 맺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과정을 처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시스템.
KR1020140069303A 2013-08-09 2014-06-09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22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53,359 US10366264B2 (en) 2013-08-09 2014-08-06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content among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5008 2013-08-09
KR1020130095008 2013-08-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039A true KR20150020039A (ko) 2015-02-25
KR101622466B1 KR101622466B1 (ko) 2016-05-19

Family

ID=5088816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766A KR101512239B1 (ko) 2013-08-09 2013-10-02 터치 명령 및 특이 터치를 이용한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 및 방법
KR1020130123550A KR101519225B1 (ko) 2013-08-09 2013-10-16 휴대용 디바이스 센서를 이용한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방법 및 시스템
KR1020140069303A KR101622466B1 (ko) 2013-08-09 2014-06-09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766A KR101512239B1 (ko) 2013-08-09 2013-10-02 터치 명령 및 특이 터치를 이용한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 및 방법
KR1020130123550A KR101519225B1 (ko) 2013-08-09 2013-10-16 휴대용 디바이스 센서를 이용한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5122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378A (ko) * 2015-04-07 2016-10-18 한국과학기술원 조도 패턴 인식 기반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방법 및 시스템
KR102485783B1 (ko) * 2022-09-20 2023-01-09 (주)크라이저 디지털 사이니지 기반 광고 솔루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674A (ko) * 2014-05-22 201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그리고 멀티미디어 시스템
KR20150144641A (ko) * 2014-06-17 201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90216B1 (ko) * 2014-12-10 2017-10-26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688743B1 (ko) * 2015-10-16 2016-12-22 한국과학기술원 적응형 패턴 인식 기반 고속 디바이스 커플링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66735B2 (en) * 2010-12-16 2014-10-21 Motor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a function of an electronic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378A (ko) * 2015-04-07 2016-10-18 한국과학기술원 조도 패턴 인식 기반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방법 및 시스템
KR102485783B1 (ko) * 2022-09-20 2023-01-09 (주)크라이저 디지털 사이니지 기반 광고 솔루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748A (ko) 2015-02-24
KR101512239B1 (ko) 2015-04-17
KR101622466B1 (ko) 2016-05-19
KR101519225B1 (ko) 2015-05-12
KR20140057150A (ko) 201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2466B1 (ko)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790401B2 (en) Platform for location and time based advertising
US2017009185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dentifying Visitors to Real-World Shopping Venues as Belonging to a Group
JP6433111B2 (ja) 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広告を提供する広告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CN106909297B (zh) 一种数据通信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触摸显示设备
KR101228478B1 (ko)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
US20160112768A1 (en)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broadcast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CN104272306B (zh) 向前翻
CN105229582A (zh) 基于近距离传感器和图像传感器的手势检测
US20130211938A1 (en) Retail kiosks with multi-modal interactive surface
CN102567617A (zh) 用于提供增强现实信息的装置和方法
KR20110090158A (ko) 사용자의 위치 혹은 근접도에 연동되는 인터랙티브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컨텐츠 표시 방법
US20240232949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sture-based cross channel commerce and marketing
US201702280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
WO2017078414A1 (ko)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첫 화면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방법
KR102383579B1 (ko) 지도 서비스에서 업체 정보를 노출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1899578B1 (ko) 모바일 디스플레이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03662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content among devices
KR20140105674A (ko) 쿠폰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563841B1 (ko) 특이 터치 및 정전식 센서를 이용한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방법
KR20160108090A (ko)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11841505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platform for providing offline information to smart glass
KR102606379B1 (ko) 비접촉 자판기를 위한 자동 결제방법 및 온라인 영상인식 시스템
KR20230049534A (ko) 정보 플랫폼을 이용한 스마트 글래스의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597697B1 (ko) 광고 운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