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754B1 - 교의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교의치 - Google Patents

교의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교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754B1
KR101518754B1 KR1020140026179A KR20140026179A KR101518754B1 KR 101518754 B1 KR101518754 B1 KR 101518754B1 KR 1020140026179 A KR1020140026179 A KR 1020140026179A KR 20140026179 A KR20140026179 A KR 20140026179A KR 101518754 B1 KR101518754 B1 KR 101518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ntic
phonetic
base
cutting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욱태
김경성
Original Assignee
김욱태
김경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욱태, 김경성 filed Critical 김욱태
Priority to KR1020140026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Dentures without palates; Partial dentures, e.g. brid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의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교의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새들 타입의 폰틱을 제조하는 1단계(S1); 폰틱의 하부 저면과 측면을 절삭하여 불필요한 부위를 절삭하는 2단계(S2); 폰틱의 양 가장자리를 절삭하여 치간칫솔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3단계(S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염증, 기타 치주질환이 낮아지게 되고, 음식물 잔류도 현저히 낮아질 수 있으며, 자기세척 기능이 향상될 수 있어 가글로도 세척효과를 볼 수 있었고, 재 보철 치료과정 중 환자의 치주점막 상태의 치료에서도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교의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교의치{manufacturing method of bridge-prosthesis and threrof product}
본 발명은 교의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교의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강점막의 건강을 지속적으로 유지, 보지 및 치간유두를 보존시켜 치간공극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심미적이며, 발음에도 이상이 없는 최종보철물을 제작과정에서 교의치 폰틱 베이스의 하방에 염증의 발생을 방지할수있는 교의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교의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손상된 치아를 대체할 수 있는 신소재의 개발과 더불어 최첨단 의료장비의 등장으로 인해 손상된 치아의 기능이 주변 치아에 영향을 주지않고 치아의 기능을 손상되기 전 상태로 복원하는 기술의 구현이 가능해지고 있다.
수복치료의 목표 중 하나는 생리적인 치주환경을 수립하고 치주건강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손상된 치아를 보철물로 대체하는 경우는 보철물이 제공하는 기능적인 보완과 사용자가 느끼는 이물감 및 추가적인 잇몸질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보철물은 제작한다.
치관 외형, 변연 위치 및 폰틱 베이스 디자인(pontic base design)은 모두 치주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이중 폰틱 디자인은 많은 연구자들이 폰틱(pontic)에 인접한 무치악점막 염증은 아마도 치태 축적에 의한 반응일것이라고 보고하였다.
폰틱 베이스 하방을 불량하게 제작하면 음식물이 끼고 혀에 불편감을 주고 발음에도 영향을 초래하므로, 염증 반응을 예방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라는 것은 확고하다.
국내 공개특허 제2008-0037548호에는 '치과 보철을 제작함에 있어서 의치 제조용 재료'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구치부 교의치 제작할때 폰틱(pontic)은 저작압을 견딜 수 있고 구강점막의 건강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보호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한다.
교의치 제작 때 폰틱 제작방법은 다양하게 실무현장에서 이뤄지고 있고, 실무현장에서 대부분 구치부 폰틱 베이스는 릿지 랩 타입(ridge lap type)으로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폰틱 베이스를 무압으로 인상을 채득하는 방법은 사실상 어렵고 압력이 가해진 상태의 인상체에서 모델을 만들고 폴리싱되어 부드럽게 이행되지 못하고 거칠고 각진 상태로 구강 내에 장착되는 경우가 있다.
제작공정이 표준화 되지않아 치과기공사의 경험에 의한 통상적인 제작방법으로 교의치 환자의 폰틱 베이스가 제작되어 하방에 염증의 발생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염증발생을 방지하고, 음식물 잔류의 최소화 및 자동세척(self-cleasing)이 가능하고 구강점막의 건강을 지속적으로 유지, 보호 및 치간 유두를 보존시켜 치간 공극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기능과 심미성을 지니고, 발음에도 이상이 없는 자연치와 같은 교의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새들 타입의 폰틱을 제조하는 1단계; 폰틱의 하부 저면과 측면을 절삭하여 불필요한 부위를 절삭하는 2단계; 폰틱의 양 가장자리를 절삭하여 치간칫솔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의치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1단계는 치아가 발거된 빈 공간을 갖는 주 모형을 준비하고, 폰틱을 치아가 발거된 빈 공간에 삽입 배치한 후 퍼티로 눌러 주변 치아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단계는 폰틱 설면부의 측면에 하방부가 볼록한 경사를 갖도록 설정하여 선을 표시하고, 폰틱 베이스에 협설 중앙부에 선을 표시하며, 폰틱 설측면에 표시한 선과 상기 협설 중앙에 표시된 선을 연결하며, 폰틱 베이스의 설측부위 연결된 부위를 사면으로 절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단계는 폰틱 베이스 양접촉면 하방부위의 폰틱 베이스를 줄여 치간칫솔이 들어가 설측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절삭할 면을 표시하고, 접촉면 하방부위의 폰틱 베이스 양 가장자리를 절삭하며, 구강 점막에 닿을 폰틱 베이스 주변의 각진 부위를 둥글게 정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염증, 기타 치주질환이 낮아지게 되고, 음식물 잔류도 현저히 낮아질 수 있으며, 자기세척 기능이 향상될 수 있어 가글로도 세척효과를 볼 수 있었고, 재 보철 치료과정 중 환자의 치주점막 상태의 치료에서도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의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 내지 17은 본 발명에 따른 교의치의 제조 공정을 보여주는 도면대용 사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의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 내지 17은 본 발명에 따른 교의치의 제조 공정을 보여주는 도면대용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의치의 제조방법은,
새들 타입의 폰틱을 제조하는 1단계(S1);
폰틱의 하부 저면과 측면을 절삭하여 불필요한 부위를 절삭하는 2단계(S2);
폰틱의 양 가장자리를 절삭하여 치간칫솔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3단계(S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실시예>
1단계(S1)
도 2와 같이 치아가 발거된 빈 공간을 갖는 주 모형을 준비한다(S1-1).
새들 타입(Saddle type)으로 폰틱을 제작한다(도 3 참조)(S1-2),
폰틱을 치아가 발거된 빈 공간에 삽입 배치한 후 퍼티(putty)로 눌러 주변 치아와 연결한다.(도 4 참조)(S1-3)
2단계(S2)
폰틱 설면부에 5∼6 mm정도에 베이스 면을 줄여 폰틱 베이스 설면 하방부가 볼록한 경사를 갖도록 설정하고 표시한다(도 5 참조)(S2-1).
폰틱 베이스에 협설 1/2 중앙부에 선을 긋어 표시한다(S2-2)(도 6 참조).
폰틱 설측면 5∼6 mm부위에 표시한 선과 상기 협설 중앙에 표시된 선을 연결한다(도 7 참조).(S2-2)
폰틱 베이스의 설측부위 연결된 부위를 사면으로 조각도로 절삭한다(도 8 참조)(S2-3).
절삭된 설측면을 확인하기 위하여 치아가 발거된 빈 공간에 폰틱를 퍼티로 고정하여 절삭된 부위를 확인한다(도 9 참조)(S2-4).
폰틱 베이스의 양 접촉면의 하방 부위를 절삭한다(S2-5).
3단계(S3)
폰틱 베이스 양접촉면 하방부위의 폰틱 베이스를 줄여 치간 칫솔이 잘 들어가 저작된 음식물 잔사가 쉽게 설측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여 구강점막의 치주조직의 보호할 수 있도록 절삭할 면을 표시하고, 접촉면 하방부위의폰틱 베이스 양 가장자리를 절삭한다.(도 10 및 도 11 참조)
도 12와 같이 구강 점막에 닿을 부위를 줄여서 표시된 폰틱 베이스 주변의 각진 부위를 둥글게 정리한다(S3-1).
도 13과 같은 접촉 면적의 협측의 형태의 길이는 인접치와 같게 하고 설측은 ridge crest까지 닿게 하여 구강점막의 건강을 지속적으로 유지, 보호 및 치간유두를 보존시켜 심미적이고 발음에 이상이 없게 한다.
하방에 염증의 발생을 방지하고 자기세척(self-cleasing)이 될 수 있는 대체신기법기술이 적용된 폰틱 베이스를 형성한다.
다음 단계는 폰틱을 퍼티를 이용하여 주모형에 고정시켜 본다(도 14 참조)(S3-2).
도 15와 같은 협측 잇몸부에 닿는 예리한 부분을 표시하여 베이스를 둥글게 만든다(도 16 참조).
구치부 릿지 랩 타입의 폰틱 베이스를 완성한다(S3-3)(도 17조 참조).
치과의사의 소견으로 염증, 기타 치주질환과음식물 잔류 및 자기세척의 가능성 여부를 구분, 관찰, 기록한 환자의 구강환경에 관련된 자료를 확보하여 타당성을 검증한 본 연구의 결과는 [표 1]과 같이 나타났다.
그룹 A(종래기술)와 그룹 B(본 발명) 간의 비교
평가기준(%) 그룹 A(n=100) 그룹 B(n=100)
염증, 그리고 다른 치주질환 96 3
음식 잔여물 100 91
가글 후, 잔여 음식 찌꺼기 53 13
자기 세척 가능성 71 8
치주적 유지성능 61 3
염증, 기타 치주질환은 기존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작한 폰틱 베이스(A군)에서는 96%, 본 발명(B군)으로 제작된 3%으로 나타났다.
음식물잔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작된 폰틱 베이스 주변에 100% 잔사가 남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91%으로 나타나 유일한 차이를 보였다.
가글 후 검사결과는 53%와 13%로 본 발명을 적용한 폰틱 베이스 주변이 더 청결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자기세척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작한 폰틱 베이스(A군)에서는 71%, 본 발명을 적용한 방법 8%로 청소성과 치주점막보호가 잘 이뤄지고 있다.
재보철 치료 과정 중 환자에 나타나는 치주점막상태에 치료 유, 무면에서 61%와 3%로 본 발명을 적용한 방법의 구치부 교의치 폰틱 베이스를 릿지 랩 타입(ridge lap type)이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S1 : 1단계 S2 : 2단계
S3 : 3단계

Claims (6)

  1. 새들 타입의 폰틱을 제조하는 1단계(S1);
    폰틱의 하부 저면과 측면을 절삭하여 불필요한 부위를 절삭하는 2단계(S2);
    폰틱의 양 가장자리를 절삭하여 치간칫솔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3단계(S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의치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치아가 발거된 빈 공간을 갖는 주 모형을 준비하고,
    폰틱을 치아가 발거된 빈 공간에 삽입 배치한 후 퍼티로 눌러 주변 치아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의치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폰틱 설면부의 측면에 하방부가 볼록한 경사를 갖도록 설정하여 선을 표시하고,
    폰틱 베이스에 협설 중앙부에 선을 표시하며,
    폰틱 설측면에 표시한 선과 상기 협설 중앙에 표시된 선을 연결하며,
    폰틱 베이스의 설측부위 연결된 부위를 사면으로 절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의치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폰틱 베이스 양접촉면 하방부위의 폰틱 베이스를 줄여 치간칫솔이 들어가 설측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절삭할 면을 표시하고,
    접촉면 하방부위의 폰틱 베이스 양 가장자리를 절삭하며,
    구강 점막에 닿을 폰틱 베이스 주변의 각진 부위를 둥글게 정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의치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폰틱 베이스는 협측 잇몸부에 닿는 예리한 부분을 둥글게 만든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의치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교의치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의치.
KR1020140026179A 2014-03-05 2014-03-05 교의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교의치 KR101518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179A KR101518754B1 (ko) 2014-03-05 2014-03-05 교의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교의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179A KR101518754B1 (ko) 2014-03-05 2014-03-05 교의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교의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8754B1 true KR101518754B1 (ko) 2015-05-26

Family

ID=53394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179A KR101518754B1 (ko) 2014-03-05 2014-03-05 교의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교의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87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7267A (ko) * 2005-04-29 2008-01-1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가요성 대칭형 치과용 크라운
JP2008523935A (ja) * 2004-12-21 2008-07-10 ヨハン フェイト, 歯科インプラント
KR20090096288A (ko) * 2008-03-07 2009-09-10 권오달 치과용 보철물 및 그 보조장치
JP2010119420A (ja) * 2008-11-17 2010-06-03 Panasonic Corp 義歯と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3935A (ja) * 2004-12-21 2008-07-10 ヨハン フェイト, 歯科インプラント
KR20080007267A (ko) * 2005-04-29 2008-01-1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가요성 대칭형 치과용 크라운
KR20090096288A (ko) * 2008-03-07 2009-09-10 권오달 치과용 보철물 및 그 보조장치
JP2010119420A (ja) * 2008-11-17 2010-06-03 Panasonic Corp 義歯とそ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ggoner et al. Restorative dentistry for the primary dentition
Dylina Contour determination for ovate pontics
Cazaux et al. Twenty-nine-month follow-up of a paediatric zirconia dental crown
Akoğlu Vanlıoğlu et al. Esthetic outcome evaluation of maxillary anterior single-tooth bone-level implants with metal or ceramic abutments and ceramic crowns.
Robinson et al. Techniques for restoring worn anterior teeth with direct composite resin
US20160022379A1 (en) Assemblies For Improved Periodontal Surgery And Recovery Therefrom
KR101518754B1 (ko) 교의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교의치
Srivastava et al. The neutral zone: Concept and technique
KR102139071B1 (ko) 교정미백장치
EP3684289B1 (en) Kit for measuring a size of a gingival space and selecting an appropriate shaped dental matrix
Sakamuri et al. An unusual mandibular second molar mimicking maxillary first molar–a Rare occurrence
Mhatre et al. Modified ovate pontic design for immediate anterior tooth replacement
CN206641925U (zh) 一种牙齿保持器
CN105407831A (zh) 正畸矫正器
Pareek et al. Tooth wear: A review
KR20130061701A (ko) 치아 발치시 cad/cam을 이용한 완전 무삭제 브리지 치아 보철물 제작 방법
RU2423948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ременных зубных протезов
Giri et al. Pulpektomi teknik crowndown pressureless dan step back disertai restorasi onlay logam pada gigi molar pertama kanan mandibula pulpitis irreversibel disertai karies kelas i profunda perforasi pada mesiooklusal
CN113648095A (zh) 一种牙齿美学手术环切导板的制作方法
WO2023033764A1 (en) A novel anterior segmented-anatomical matrix system
Hirschfeld Mechanics of Mastication in Relation to the Health of the Periodontium
Guruprasada Creating natural gingival profiles of missing anterior teeth using ovate pontic
Banerji et al. Cavity Preparation
JP2023101863A (ja) マウスピース製造方法、マウスピースキット、及びマウスピース
Banerji et al. Mandibular Anterior Direct Build‐up: Injection Moulding Techn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