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407B1 - 결로방지 기능을 가진 창호 - Google Patents

결로방지 기능을 가진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407B1
KR101518407B1 KR1020130118641A KR20130118641A KR101518407B1 KR 101518407 B1 KR101518407 B1 KR 101518407B1 KR 1020130118641 A KR1020130118641 A KR 1020130118641A KR 20130118641 A KR20130118641 A KR 20130118641A KR 101518407 B1 KR101518407 B1 KR 101518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plate
window
heat generating
hea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8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0077A (ko
Inventor
석영진
박경의
Original Assignee
(주)행성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행성화학 filed Critical (주)행성화학
Priority to KR1020130118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407B1/ko
Publication of KR20150040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0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로방지 기능을 가진 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온도와 내부 온도의 현격한 차이로 인하여 창호의 투명판재 표면에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하고자, 창호의 투명판재 둘레에 설치되는 간봉의 내부에 발열부와 함께 단열부재를 설치하여, 투명판재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급격한 온도변화를 효율적으로 완화시켜 줌으로써, 결로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 기능을 가진 창호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투명한 얇은 두께의 판재형으로 형성되는 투명판재; 상기 투명판재의 둘레부에 형성되는 간봉; 상기 간봉에 내장되는 발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결로방지 기능을 가진 창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결로방지 기능을 가진 창호{A window with the function of preventing condensation}
본 발명은 결로방지 기능을 가진 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온도와 내부 온도의 현격한 차이로 인하여 창호의 투명판재 표면에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하고자, 창호의 투명판재 둘레에 설치되는 간봉의 내부에 발열부와 함께 단열부재를 설치하여, 투명판재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급격한 온도변화를 효율적으로 완화시켜 줌으로써, 결로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 기능을 가진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는 석영, 탄산소다, 석회암 등을 혼합하여 높은 온도에서 녹인 다음, 급격히 냉각시킴으로써 만들어지는 투명하고 단단한 물질로, 과거부터 현재까지 각종 건축, 기구, 장치 등에 관련된 여러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유리는 주로 창호에 설치되어, 내부와 외부를 투명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등이 주요 기능이며, 이러한 기능은 상기 유리 뿐만 아니라 투명플라스틱으로 형성하는 경우도 많다.
다만, 본 발명의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대표적인 예시로써 유리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유리로써 창호를 구성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겨울철과 같이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가 심한 경우에는,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유리의 특성상, 유리의 표면에는 현격한 온도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실내의 공기 중에 존재하던 수분이 유리의 표면에서 급격히 응결되는 결로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결로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유리가 설치된 창호의 아래측에는 결로현상으로 발생한 다량의 물이 고이게 되고, 상기와 같은 다량의 물은 건축물이나 장치 등에 심각한 문제점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결로현상을 방지하고자, 2개 이상의 유리를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하되, 각 유리 사이에는 공기공간부를 형성함으로써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복층유리가 안출되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복층유리 또한 결로현상을 완전하게 방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심지어, 복층유리를 구성하는 각 유리 사이에 형성된 공기공간부의 내부에서도 결로현상이 발생하므로, 상기 공기공간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간봉의 내부에 흡습제를 충진하고, 상기 간봉의 일측에는 히터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공기층에서의 결로현상은 물론, 내부측 유리의 표면에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흡습제와 히터를 이용한 구성은 결로방지효율이 낮을 뿐 아니라, 주로 조망수단으로써 이용되는 창호의 투명판재에 히터가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어 미관상 좋지 아니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공기공간부의 둘레에 히터와 흡습제를 포함하는 구성은 설치구조 또한 매우 복잡하여 제조공정은 물론이고, 현장에서의 작업효율도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29670호 '열선이 구비된 복층유리 창호'(2005. 3. 28.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창호의 투명판재의 둘레에 설치되는 간봉의 내부에 발열부와 함께 단열부재를 형성하여, 투명판재 표면 혹은 공기공간부에서 발생하는 급격한 온도차를 효율적으로 완화시킴으로써, 상기 결로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 기능을 가진 창호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창호의 투명판재 둘레에 설치되는 간봉은 그 양단을 연결구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연결구의 삽입부에는 간봉에 내장된 발열부와 접촉되는 접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에는 상기 접지부와 연결되는 전선 연결부가 형성되어, 간봉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외부 전원의 인가구조를 간소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 기능을 가진 창호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개시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은, 일정 두께의 투명판재; 상기 투명판재 사이의 둘레부에 형성되되, 발열부가 내장되는 간봉;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기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간봉은,
일정 형상의 막대형으로 형성되는 본체의 내부에 발열부가 투명판재 중앙측 방향으로 내장되고, 상기 발열부의 반대측으로는 단열부재가 내장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일정 두께로 수평분할된 일측부와 타측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일측부는 열전달계수가 높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타측부는 열전달계수가 낮은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일측부는 투명판재 중앙측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전달계수가 높은 재질은 금속이고, 열전달계수가 낮은 재질은 비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측부에는 탄성체결돌부가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탄성체결돌부가 탄성있게 끼워져 체결되는 탄성체결홈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탄성체결돌부와 탄성체결홈의 탄성체결로 일체형의 본체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봉은 연결구를 통하여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구는, 일정 형상으로 절곡된 연결본체; 상기 연결본체의 양측에 형성되어 각 간봉의 측단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간봉의 발열부와 접촉되는 접지부; 상기 연결본체에 형성되되, 접지부와 연결되어 전선을 착탈식으로 체결할 수 있는 전선 연결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의 외면에는 걸림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는 간봉의 내측면에는 상기 걸림돌부가 걸림체결되는 걸림홈이 대응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기술적,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창호의 투명판재 둘레에 설치되는 간봉에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발열부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발열부가 간봉의 외부에 노출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던 종래와는 달리, 본 발명은 간봉의 내부에 발열부를 설치함으로써, 결로방지 기능의 제공은 물론이고, 창호의 외관이 깔끔해지고 정돈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의 간봉의 내부에는 발열부는 물론, 발열부의 열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간봉을 구성하는 본체의 일측부(투명판재 중앙측)는 금속으로, 상기 본체의 타측부는 비금속(非金屬)으로 형성하여 발열부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가 간봉을 통하여 투명판재 중앙측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결로생성의 방지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의 투명판재의 둘레에 설치되는, 막대형상의 간봉은 일정 각도로 절곡된 연결구를 통하여 각 측단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봉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제조 및 설치작업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간봉의 측단에 삽입되는 연결구의 삽입부에는 접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의 일측에는 상기 접지부와 연결되는 전선 연결부를 형성함으로써, 발열부에 전기를 인가하는 구조를 더욱 간소화하여, 복잡한 전선의 설치로 인한 합선의 위험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상의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연결구를 이용한 간봉 연결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간봉의 체결구조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간봉의 체결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연결구를 이용한 간봉 연결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연결구를 이용한 간봉 연결 상세단면도 1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연결구를 이용한 간봉 연결 상세단면도 2
상기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창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테두리형상으로 형성된 창호틀(100)의 내측에, 투명한 얇은 두께의 판재형으로 형성되는 투명판재(10); 상기 투명판재(10) 사이의 둘레에 형성되되, 발열부가 내장되는 간봉(20); 을 포함하는 구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발열부(30)에 전기를 인가하게 되면, 상기 발열부(30)에는 열에너지가 발생하여 그 외측의 간봉(20)에 상기 열에너지를 전달 및 공급하게 되고, 상기 열에너지를 전달받은 간봉(20)은 상기 투명판재(10)를 포함하여 주변에 열을 발산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간봉(20)은 투명판재(10)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투명판재(10)는 상기 간봉(20)에서 발산되는 많은 열을 받게 되고, 상기 열은 외부온도와 내부온도의 차이가 현격하게 발생하는 투명판재(10) 표면의 온도차이를 완화시켜주게 되어, 결국 내부공기 중의 수분 입자가 투명판재(10) 표면에서 응결되는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간봉(20)은, 일정 형상의 단면을 가진 막대형으로 형성되되, 내부가 비어있는 본체(21); 상기 본체(21)의 내부에 설치되어 본체(21)에 열에너지를 제공하는 발열부(30); 상기 본체(21)의 내부에 형성되되, 그 반대측으로 형성되는 단열부재(2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간봉(20)을 구성하는 본체(21)는, 열전달계수가 높은 재질로 형성하되, 금속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Aluminum)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금속으로 형성되는 간봉(20)의 내부에는 발열부(30)와 단열부재(22)가 내장되는데, 상기 발열부(30)는 투명판재(10) 중앙측 방향으로 내장되되, 상기 간봉(20)의 내측벽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단열부재(22)는 그 반대측인 외측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발열부(30)는 열을 발생시키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전기저항을 통하여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개시하는 바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열코일, 발열필름, 발열판, 발열선 등 전기저항을 통하여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수단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발열부(30)에 전기를 인가하게 되면, 상기 발열부(30)에는 열에너지가 발생하게 될 것이고, 상기 열에너지는 1차적으로 상기 발열부(30)와 밀착된 본체(21)로 전달될 것이며, 이 때, 상기 발열부(30)는 간봉(20)의 내부에서도 투명판재 중앙측 방향으로 밀착설치되어 있고, 그 반대측에는 단열부재(2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발열부(30)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는 상기 간봉(20)이 위치한 투명판재(10)의 둘레부에서 투명판재(10) 중앙측 방향으로만 전달되어, 결국, 투명판재(10)의 전면에 열에너지를 발산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발열부(30)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는 단열부재(22)에 의해 차단된 방향이 아니라 투명판재(10) 중앙측 방향으로만 전달되고, 상기 열에너지를 전달받은 간봉(20) 또한 투명판재(10) 중앙측 방향으로 열을 보다 집중적으로 발산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투명판재(10)의 표면에는 전체적으로 열이 가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외부온도와 내부온도의 현격한 차이로 인한 투명판재(10) 표면의 급격한 온도변화를 보다 효율적으로 완화시켜줄 수 있게 되며, 이러한 급격한 온도차이의 효율적인 완화로 인하여, 투명판재(10) 표면의 결로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발열부(30)와 단열부재(22)는 투명판재(10) 둘레의 모든 간봉(20) 내부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상기 발열부(30)에 인가되는 전기에너지와 결로방지효율을 감안하여, 서로 대칭되는 위치의 간봉(20) 내부에만 발열부(30)와 단열부재(2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간봉(20)은 상하좌우측으로 연결하여 설치하되, 상하측에 위치한 간봉(20)의 내부에만 발열부(30)와 단열부재(2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결로방지효율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좌측 및 우측의 간봉(20) 내부에는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제(미도시)를 내장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간봉(20)을 형성하는 구성 중, 본체(21)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일측부(21a)는 열전달계수가 높은 알루미늄으로 형성하고, 그 반대측인 타측부(21b)는 열전달계수가 거의 없는 플라스틱으로써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일측부(21a)는 투명판재(10) 중앙측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본체(21)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열부(30)는 열전달계수가 높은 재질로 형성된 부분의 내측벽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도록 하되, 그 반대측에는 단열부재(22)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간봉(20)의 발열부(30)에 전기를 인가하게 되면, 상기 발열부(30)의 열에너지는 본체(21) 중에서도 열전달계수가 높은 재질로 형성된 일측부(21a)로만 열전달이 이루어지고, 그 반대측에는 열전달계수가 낮은 타측부(21b)와, 단열부재(22)로 인하여 열전달이 완전히 차단된다.
이에 따라, 발열부(30)의 열에너지는 다른 방향으로 발산되지 아니하고, 투명판재(10) 중앙측 방향으로만 발산되어, 외부온도와 내부온도의 차이에 의한 투명판재(10) 표면의 온도차이를 더욱 효율적으로 완화시켜줄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투명판재(10) 표면의 결로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복층유리의 구성에도 적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복층유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투명판재(10)를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하되, 각 투명판재(10)의 사이에는 공기공간부(50)를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각 투명판재(10) 사이의 둘레, 즉, 공기공간부(50)의 둘레에는 투명판재(10)의 부착 및 공기공간부(50)의 밀폐, 각 투명판재(10) 사이의 간격 유지를 위하여 일정 두께의 실리콘 수지층(6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복층유리 또한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그 해결을 위하여, 상기 공기공간부(50)의 둘레에 본 발명의 발열부(30)가 내장된 간봉(20)을 포함하여 설치하되, 상기 간봉(20)은 공기공간부(50)에 긴밀하게 끼워지는 너비를 가진 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간봉(20)을 각 투명판재(10)의 사이, 즉, 공기공간부(50)의 둘레에 긴밀하게 끼워주게 되면, 그 자체의 설치만으로도 각 투명판재(10)의 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된다.
무엇보다도, 상기 간봉(20)의 내부에는 발열부(30)와 단열부재(22)가 설치되는데, 이 때, 상기 발열부(30)는 간봉(20)의 내측벽면에 밀착설치되되, 공기공간부(50) 측(즉, 투명판재 중앙측 방향)으로 설치되고, 단열부재(22)는 그 반대측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기 발열부(30)에 전기를 인가하게 되면, 상기 발열부(30)에는 열에너지가 발생되고, 상기 열에너지는 상기 발열부(30)와 밀착된 본체(21)로 전달된다.
이 때, 상기 간봉(21)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열부(30)는 공기공간부(50) 측 방향으로 밀착하여 설치되고, 그 반대측, 즉, 외측 방향으로는 단열부재(22)가 형성되어, 상기 발열부(30)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는 공기공간부(50) 측 방향으로만 전달되므로, 간봉(20) 또한 공기공간부(50) 측으로 형성된 부분이 주로 가열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열에너지를 공기공간부(50) 측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발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발열부(30)에 인가되는 전기에너지와 결로방지효율을 감안하여, 간봉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열부(30)와 단열부재(22)는 상측과 하측의 간봉(20)의 내부에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공기공간부(50) 내에서의 결로방지효율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좌측 및 우측의 간봉(20) 내부에는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제(미도시)를 내장할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간봉(20)에서 발산되는 열에너지는, 공기공간부(50)의 온도차이를 효율적으로 완화시켜 공기공간부(50) 내의 투명판재(10) 표면에서의 결로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공기공간부(50)에서의 온도차이를 완화시켜주게 되면, 실내 측, 즉, 내부측으로 형성된 투명판재(10)의 표면 또한 그 온도차이가 완화되므로 상기 내부측 투명판재(10) 표면의 결로현상도 함께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간봉(20)을 형성하는 구성 중, 본체(21)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공기공간부(50) 측 방향으로 형성된 부분은 열전달계수가 높은 재질로 형성하고, 그 반대측은 열전달계수가 거의 없는 재질로써 일체로 형성하게 되면, 발열부(30)의 열에너지는 공기공간부(50) 측 방향으로 그대로 전달되고, 그 반대측으로는 열에너지의 전달이 완전히 차단되어, 공기공간부(50) 내에서의 결로현상은 물론이고, 내부측 투명판재(10) 표면의 결로현상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간봉(20)의 내부에 발열부(30)와 단열부재(22)를 내장하고, 상기 간봉(20)의 본체(21)를 열전달계수가 높은 재질과, 열전달계수가 낮은 재질로 구성되는 구조로 형성하는 데 있어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1)를 일정 두께의 일측부(21a)와 타측부(21b)로 수평으로 분할하되, 상기 일측부(21a)와 타측부(21b)는 탄성체결을 통하여 본체(21)로서 일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일측부(21a)에는 탄성체결돌부(21a-1)가 타측부(21b)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타측부(21b)에는 상기 탄성체결돌부(21a-1)에 대응되는 탄성체결홈(21b-1)을 형성하여, 상기 탄성체결돌부(21a-1)가 탄성체결홈(21b-1)에 탄성있게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일측부(21a)와 타측부(21b)로써 본체(21)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탄성체결돌부(21a-1)는 그 단면이 직삼각형 형상으로 형성하되, 그 경사면은 타측부(21b)의 탄성체결홈(21b-1)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탄성체결홈(21b-1)은 상기 탄성체결돌부(21a-1)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간봉(20)은 막대형상으로서, 각 측단이 서로 연결되어 테두리 형상으로서 투명판재(10)의 표면 둘레 혹은 공기공간부(50)의 둘레에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상기 간봉(20)의 각 측단 연결구조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형태와 각도로 절곡된 연결구(40)를 이용하여 간봉(20)의 각 측단을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상기 간봉(20)을 연결하는 연결구(40)는, 일정 형상으로 절곡된 연결본체(41); 상기 연결본체(41)의 양측에 형성되어 각 간봉(20)의 측단에 삽입되는 삽입부(42); 상기 삽입부(42)의 일측에 형성되어, 간봉(20)의 발열부(30)와 접촉되는 접지부(4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접지부(43)는 외부의 전선(45)과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연결구(40)의 양측에 형성된 각 삽입부(42)를 각 간봉(20)의 각 측단에 삽입하게 되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봉(20)은 연결구(40)의 절곡된 형태와 각도에 따라 연결되며, 이 때, 상기 삽입부(42)에 형성된 접지부(43)는 간봉(20) 내부에 형성된 발열부(30)와 접촉된다.
이 때, 상기 전선(45)을 통하여 접지부(43)에 전기를 인가하게 되면, 상기 접지부(43)와 접촉된 발열부(30)에는 전기가 흐르게 되고, 발열부(30)는 전기저항으로 인하여 열에너지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 발열부(30)에 발생한 열에너지는 간봉(20)에 전달 및 공급되는 것이다.
또 한편, 상기 연결본체(41)의 일측에 전선 연결부(44)를 형성하고, 상기 전선 연결부(44)와 접지부(43)가 통전가능하도록 전선(45)으로 연결하는 구성을, 연결구(40)와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막대형상으로 형성된 간봉(20)을 테두리형으로 연결할 때에, 상기 연결구(40)를 이용하여, 그 삽입부(42)를 간봉(20)의 측단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간봉(20)을 테두리 형상으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간봉(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열부(30)에 전기를 인가하는 구성에 있어서도 상기 연결구(40)의 연결본체(41)에 형성된 전선 연결부(44)에 전선(45)을 연결하기만 하면 되므로, 발열부(30)에 전기를 인가하는 구성을 보다 안전하면서도 간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전선 연결부(44)는 홈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에 끼워져 체결되는 전선(45)의 말단 또한 상기 홈 형상에 삽입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전선(45)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구(40)의 삽입부(42)는 간봉(20)의 측단에 긴밀하고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삽입부(42)의 외면에 걸림돌부(42a)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42a)가 삽입되는 간봉(20)의 내측면에는 상기 걸림돌부(42a)가 대응되게 끼움체결되는 걸림홈(42b)을 형성한 구성을 개시하고자 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돌부(42a)와 걸림홈(42b)의 체결구조는, 상기 간봉(20)에 삽입부(42)의 삽입은 용이하게 이루어지더라도, 삽입된 삽입부(42)의 이탈은 용이하지 아니하는 체결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삽입부(42)의 외면에 형성되는 걸림돌부(42a)는 그 측단면이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되되, 경사면은 삽입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와 같은 형태의 걸림돌부(42a)에 대응되는 걸림홈(42b)은 간봉(20)의 내측벽면에 상기 걸림돌부(42a)와 서로 대응되는 형태의 홈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돌부(42a)가 형성된 삽입부(42)를 걸림홈(42b)이 형성된 간봉(20)의 측단에 삽입하게 되면, 삽입부(42)의 삽입은 용이하게 이루어지나, 상기 걸림돌부(42a)가 걸림홈(42b)에 삽입되면, 걸림돌부(42a)의 끝단이 걸림홈(42b)의 끝단에 삽입되면서 체결되므로, 상기 삽입부(42)는 간봉(20)의 측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더 이상 이탈되지 아니하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걸림돌부(42a) 및 걸림홈(42b)의 체결구성과 관련하여, 상기와 같은 형태로 설명하였으나, 삽입은 용이하면서 그와 반대방향으로 이탈이 용이하지 아니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은 어떠한 구성이라도 채용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전체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은 형태에 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한 범위 내에서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10 : 투명판재 20 : 간봉
21 : 본체 21a : 일측부
21a-1 : 탄성체결돌부 21b : 타측부
21b-1 : 탄성체결홈 22 : 단열부재
30 : 발열부 40 : 연결구
41 : 연결본체 42 : 삽입부
42a : 걸림돌부 42b : 걸림홈
43 : 접지부 44 : 전선 연결부
45 : 전선 50 : 공기공간부
60 : 실리콘 수지층 100 : 창호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일정 두께의 투명판재(10); 상기 투명판재(10) 사이의 둘레부에 형성되고 발열부(30)가 내장되는 간봉(2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간봉(20)은 일정 형상의 막대형으로 형성되는 본체(21)의 내부에 발열부(30)가 투명판재(10) 중앙측 방향으로 내장되고, 상기 발열부(30)의 반대측으로는 단열부재(22)가 내장되는 결로방지 기능을 가진 창호에 있어서;.
    상기 본체(21)는 일정 두께로 수평분할된 일측부(21a)와 타측부(21b)로 이루어지되, 상기 일측부(21a)는 열전달계수가 높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타측부(21b)는 열전달계수가 낮은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일측부(21a)는 투명판재(10) 중앙측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측부(21a)에는 탄성체결돌부(21a-1)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부(21b)에는 탄성체결돌부(21a-1)가 탄성있게 끼워져 체결되는 탄성체결홈(21b-1)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결돌부(21a)와 탄성체결홈(21b)의 탄성체결로 일체형의 본체(21)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 기능을 가진 창호.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30118641A 2013-10-04 2013-10-04 결로방지 기능을 가진 창호 KR101518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641A KR101518407B1 (ko) 2013-10-04 2013-10-04 결로방지 기능을 가진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641A KR101518407B1 (ko) 2013-10-04 2013-10-04 결로방지 기능을 가진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077A KR20150040077A (ko) 2015-04-14
KR101518407B1 true KR101518407B1 (ko) 2015-05-07

Family

ID=53031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8641A KR101518407B1 (ko) 2013-10-04 2013-10-04 결로방지 기능을 가진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84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186B1 (ko) 2018-07-20 2019-05-22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고열전도성 물질을 이용한 결로방지 창호
KR101981178B1 (ko) 2018-07-20 2019-05-22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단열재를 이용한 결로방지 창호
KR102073287B1 (ko) * 2019-04-16 2020-02-04 이태원 조명 및 온도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복층유리
KR20200021133A (ko) 2018-08-20 2020-02-28 주식회사 성경 조명 및 결로차단 기능을 구비한 발열 이중 유리창 창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5759B1 (ko) 2015-05-26 2018-01-1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발전기를 구비한 창호용 결로저감 시스템
KR102629209B1 (ko) * 2019-10-14 2024-01-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극지 운항 선박의 윈도우 프레임 결빙 방지 장치
KR102259327B1 (ko) * 2020-07-16 2021-06-01 김정호 창호결로방지용 슬림형 난방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408B1 (ko) * 2012-04-05 2013-04-26 삼성유리공업 주식회사 Led램프가 삽입된 복층유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408B1 (ko) * 2012-04-05 2013-04-26 삼성유리공업 주식회사 Led램프가 삽입된 복층유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186B1 (ko) 2018-07-20 2019-05-22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고열전도성 물질을 이용한 결로방지 창호
KR101981178B1 (ko) 2018-07-20 2019-05-22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단열재를 이용한 결로방지 창호
KR20200021133A (ko) 2018-08-20 2020-02-28 주식회사 성경 조명 및 결로차단 기능을 구비한 발열 이중 유리창 창호
KR102073287B1 (ko) * 2019-04-16 2020-02-04 이태원 조명 및 온도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복층유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077A (ko) 201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407B1 (ko) 결로방지 기능을 가진 창호
JP5979841B2 (ja) 電熱装置
KR100609452B1 (ko) 피티씨 로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리히터
US20200049912A1 (en) Shield cage assembly
KR101086915B1 (ko) 에너지 효율 창문을 위한 밀폐시스템
JP4352973B2 (ja) Led照明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照明器具
JP2021501275A5 (ko)
JP6224394B2 (ja) 蓄電装置
KR101285300B1 (ko) 창 구조물
KR101511525B1 (ko) 도어
WO2009035192A1 (en) Heating apparatus
KR20120103362A (ko) 내구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킨 공조기의 복합프레임
KR100720129B1 (ko) 피티씨 히터
US9655169B2 (en) Electric heater
JP2013008451A (ja) 端子台及びこの端子台を備えた設備機器
KR101327874B1 (ko) 반도체 처리액 냉각가열장치
KR200465006Y1 (ko) 방열기
JP5621123B2 (ja) サッシ
KR102076501B1 (ko) 이격판이 구비된 온돌난방 및 그 시공방법
KR200464306Y1 (ko) 공조기용 단열패널
KR101460545B1 (ko) 복층 창호 결로 방지용 발열 장치
KR20130035341A (ko) 방열핀이 구비된 탄소히터
KR101898222B1 (ko) 코너 및 문틀을 위한 단열 프레임 조립체
KR102287537B1 (ko) 단열 및 조립성이 향상된 창문틀
TWM511174U (zh) 具有增大受風面積的陶瓷加熱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