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263B1 - 위생적 조직 봉입장치 - Google Patents

위생적 조직 봉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263B1
KR101518263B1 KR1020130003405A KR20130003405A KR101518263B1 KR 101518263 B1 KR101518263 B1 KR 101518263B1 KR 1020130003405 A KR1020130003405 A KR 1020130003405A KR 20130003405 A KR20130003405 A KR 20130003405A KR 101518263 B1 KR101518263 B1 KR 101518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lide carrier
door
slide
tiss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1305A (ko
Inventor
김재원
Original Assignee
강원도립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도립대학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도립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03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263B1/ko
Publication of KR20140091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6Embedding or analogous mounting of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0Staining; Impregnating ; Fixation; Dehydration; Multistep processes for preparing samples of tissue, cell or nucleic acid material and the like for analysis
    • G01N1/31Apparatus therefor
    • G01N2001/315Basket-type carriers for tissu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직 봉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조직 봉입장치는 슬라이드가 꽂혀지는 슬라이드 캐리어와; 봉입제가 저장되며, 상기 슬라이드 캐리어가 공급되어 상기 봉입제에 담겨짐으로써 냄새의 퍼짐이 1차적으로 방지되는 컨테이너와;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가 내재되어 냄새의 퍼짐이 2차적으로 방지되는 함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직 봉입장치는 슬라이드 캐리어가 내재된 컨테이너를 함체의 내부에 공급하여 봉입을 진행함으로써 냄새가 외부로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위생적 조직 봉입장치{Apparatus for mounting tissue}
본 발명은 조직 봉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함체의 내부에 슬라이드를 적치한 상태에서 봉입이 이루어짐으로써 봉입과정에서 발생하는 냄새가 외부로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직 봉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험절제표본을 만드는 과정은 샘플(Sample), 고정(fixation), 세척(Washing), 포매(Embedding), 박절(Sectioning), 신전(Flattening), 염색(Staining), 봉입(Mounting)의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과정에 있어서, 상기 고정(fixation)은 생체조직의 구조를 생체와 거의 같게 보호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즉, 세포의 주요 구성 요소인 단백질을 단단하게 보호함으로써 부패와 자가 분해를 방지한다.
이러한 고정에 사용되는 고정액으로는 아세틱 알콜(Acetic alcohol), 부인스 용액(Bouin's solution), 카노이 용액(Carnoy's solution), 포르말린(중성완충) 파라포름알데히드(Formalin (neutral buffered) Paraformaldehyde), 젱커 용액(Zenker's solution) 등이 주로 사용된다.
세척(Washing)은 고정이 끝난 조직에 침착되어 있는 고정액의 색소와 주성분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세 한다. 주로 조직을 신선한 물에 담그는 방법을 사용한다.
포매(Embedding)는 조직의 단면을 얇게 박절하기 위하여 적당한 물질을 시료에 삼투시켜서 고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포매과정에는 광학현미경용으로는 파라필린(paraffin), 젤라틴(gelatin), 세로이딘(celloidin) 등이 사용되고, 전자현미경용으로는 에폰 812 나알라루다이트 등의 에폭시수지를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포매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탈수(Dehydration), 투명(Clearing), 침투(Infiltration)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탈수는 젖은 조직에는 바로 파라핀이 침투가 되지 않으므로 탈수를 시켜야 한다. 그리고, 투명은 알콜을 포매물질과 잘 혼합되는 물질로 치환시키는 과정으로서 크실렌(xylene)이 주로 이용된다. 침투는 파라핀에 넣어 용매는 증발시키고 조직의 빈 공간은 파라핀으로 메우는 과정이다.
그리고, 박절(Sectioning)은 포매과정을 거치면서 고화된 조직을 얇게 절단함으로써 조직의 형태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박절은 마이크로톰(microtome)에 칼을 고착시키고 각도를 조절한 후, 조직 전면이 나올 때까지 파라핀을 조금씩 깍아 내고, 박절한다.
그리고, 박절과정에서 조직이 구겨지므로 신전기위에서 열을 가하여 본래의 크기만큼 신전시킨다.
염색(Staining)은 조직의 구조를 보기 위하여 색소를 사용하여 착색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러한 염색에는 헤마톡실(Hemtoxylin) 혹은 에오신(Eosin)이 주로 사용된다.
그리고, 봉입(Mounting)은 조직편을 봉입제를 사용하여 커버글라스로 덮어 보관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염색한 조직편(組織片)은 그대로 방치하면 건조하여 투명성(透明性)을 잃고 검사가 불가능하게 되므로 봉입제(封入劑)를 사용하여 커버글라스로 덮어서 조직편을 봉한다.
이러한 봉입은 염색을 마친 다음 영구표본을 만들기 위하여 조직 속의 물을 제거하는 탈수과정을 거친 다음 방부처리(방부제 phenol)와 투명처리(투명제 xylene)를 한 후 커브글라스(coverglass)를 덮는다.
이때, 봉입제로는 글리세린glycerin, 젤라틴gelatin, 고무시럽, 발삼balsam, 비오라이트(Bio-Light) 등이 있다.
이러한 봉입과정에 있어서, 슬라이드가 보관된 캐리어를 봉입제가 저장된 투명 컨테이너에 담근 후 일정 시간 동안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봉입과정에서는 봉입제로 사용되는 크실렌 등으로부터 악취가 발생되므로, 캐리어가 담겨진 컨테이너를 후드와 같은 환기장치로 이동시키고 후드 인접위치에서 냄새를 배출하면서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캐리어가 담겨진 컨테이너를 탈취 기능이 적용된 함체의 내부에 보관함으로써 악취가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위생적인 조직 봉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슬라이드가 꽂혀지는 슬라이드 캐리어와;
봉입제가 저장되며, 상기 슬라이드 캐리어가 공급되어 상기 봉입제에 담겨짐으로써 냄새의 퍼짐이 1차적으로 방지되는 컨테이너와;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가 내재되어 냄새의 퍼짐이 2차적으로 방지되는 함체를 포함하는 조직 봉입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직 봉입장치는 슬라이드 캐리어가 내재된 컨테이너를 함체의 내부에 공급하여 봉입을 진행함으로써 냄새가 외부로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직 봉입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직 봉입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캐리어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봉입제가 저장되는 투명 컨테이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도어의 다른 실시예로서 탄력부재가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직 봉입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조직 봉입장치는 슬라이드(Slide;19)가 꽂혀지는 슬라이드 캐리어(Carrier;7)와;
봉입제(W)가 저장되며, 슬라이드 캐리어(7)가 담겨짐으로써 봉입이 이루어지는 컨테이너(Container;5)와;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5)가 내재되어 냄새가 퍼지는 것을 방지하는 함체(3)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조직 봉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캐리어(7)는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몸체(13)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몸체(13)의 내부에는 슬라이드(19)가 삽입되는 꽂이(23)가 배치된다.
이 꽂이(23)는 서로 일정 간격씩 떨어져 배치되며, 이때 간격은 슬라이드(19) 두께 정도이다. 따라서, 슬라이드(19)의 양단이 이 꽂이(23)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캐리어(7)의 중간부 외측에는 지지대(15)가 상향으로 돌출되고, 이 지지대(15)의 상단에 손잡이(17)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손잡이(17)를 잡고 슬라이드 캐리어(7)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5)는 상기 슬라이드 캐리어(7)의 외부크기 보다 큰 용적을 갖으며 투명 혹은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몸체(19)와; 상기 몸체(19)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뚜껑(11)을 포함한다.
이러한 컨테이너(5)에 있어서, 상기 몸체(19)는 투명 혹은 반투명 재질의 글래스 혹은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따라서, 컨테이너(5)의 외부에서 내부를 인식할 수 있음으로 컨테이너(5)의 내부에 저장된 크실렌과 같은 봉입제(W)와 슬라이드 캐리어(7)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물론, 상기에서는 몸체(19)가 투명 혹은 반투명 재질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불투명 재질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5)는 상부가 개방되며, 이 개방구에는 뚜껑(11)이 장착됨으로써 닫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테이너(5)의 내부에 슬라이드 캐리어(7)를 담은 후, 뚜껑(11)을 닫음으로써 폐쇄시킬 수 있다. 컨테이너(5)의 뚜껑(11)을 닫음으로써 컨테이너(5)에 저장된 봉입제(W)로부터 발생되는 냄새가 외부로 퍼지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캐리어(7)가 내재된 컨테이너(5)는 함체(3)의 내부로 공급됨으로써 2차적으로 냄새의 퍼짐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함체(3)는 케이스(Case;10)와; 상기 케이스(10)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컨테이너(5)가 입출입 가능한 도어(Door;9)와; 상기 케이스(10)의 벽체 내부에 채워짐으로써 냄새의 유출을 방지하는 탈취재(D)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함체(3)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는 사방이 밀폐된 육면체 형상을 갖으며, 그 내부에 슬라이드 캐리어(7)가 담긴 컨테이너(5)가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는 일측면에 도어(9)가 구비된다. 이때, 이 도어(9)는 여닫이 방식 혹은 미닫이 등이 선택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하로 여닫는 구조가 가능하다.
즉, 도어(9)는 케이스(10)의 벽체에 형성된 출입구(G)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홈(h)과; 상기 가이드홈(h)의 내부로 진출입함으로써 출입구(G)를 차단하거나 개방시키는 차단판(8)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 차단판(8)을 상부로 밀어 올리면 가이드홈(h)의 내부로 진입함으로써 출입구(G)를 개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출입구(G)가 개방된 상태에서 컨테이너(5)가 함체(3)의 내부로 진입될 수 있다.
그리고, 차단판(8)을 놓으면, 차단판(8)의 자중에 의하여 낙하하게 되고, 차단판(8)의 하단이 출입구(G) 하부의 수납홈(h1)에 삽입된다.
따라서, 차단판(8)이 출입구(G)를 폐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함체(3) 내부의 냄새가 외부로 퍼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0)의 벽체는 일정 두께로 형성되며, 이 벽체의 내부에는 냄새를 차단하는 탈취재(脫臭劑; deodorant;D)가 내재된다.
이러한 탈취재(D)로는 활성탄, 실리카겔, 활성 백토와, 과망간산 칼륨 수용액, 표백분 수용액, 포르말린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캐리어(7)가 담진 컨테이너(5)가 도어(9)를 통하여 함체(3)의 내부에 공급되거나, 함체(3)의 내부에 놓여졌을 때, 냄새가 함체(3)의 외부로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벽체의 내부에 탈취재가 채워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터 등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함체(3)의 내부에 놓여진 컨테이너(5)의 슬라이드(19) 봉입 상태를 관찰할 때에는 도어(9)를 개방한 후 외측에서 관찰하게 된다.
혹은, 도어(9)를 투명하게 형성함으로써 개방하지 않고도 외측에서 관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판(8)의 테두리에 스폰지와 같은 탄력성을 갖는 탄력부재(23)를 부착하고, 가이드홈(h)의 내측에도 탄력부재(24)를 장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차단판(8) 및 가이드홈(h)에 탄력부재(23,24)를 부착함으로써 차단판(8)이 출입구(G)를 밀폐시켰을 경우 함체(3)를 보다 안정적으로 밀봉시킬 수 있다.
1: 조직 봉입장치
3: 함체
5: 캐리어
7: 컨테이너
9: 도어

Claims (6)

  1. 슬라이드가 꽂혀지는 슬라이드 캐리어와;
    봉입제가 저장되며, 상기 슬라이드 캐리어가 공급되어 상기 봉입제에 담겨짐으로써 냄새의 퍼짐이 1차적으로 방지되는 컨테이너와;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가 내재되어 냄새의 퍼짐이 2차적으로 방지되는 함체를 포함하며,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슬라이드 캐리어 보다 큰 용적을 갖으며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함체는 내부의 용적이 상기 컨테이너 보다 큰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컨테이너가 입출입 가능하며 투명하게 형성된 도어와, 상기 케이스의 벽체 내부에 채워짐으로써 냄새의 유출을 방지하는 탈취재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케이스의 벽체에 형성된 출입구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의 내부로 진출입이 됨으로써 상기 출입구를 차단하거나 개방시키는 차단판을 포함함으로써 상하부 방향으로 여닫는 구조이고,
    상기 가이드홈과 도어의 테두리에는 탄력부재가 부착됨으로써 냄새를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캐리어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열되어 슬라이드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꽂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봉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캐리어의 몸체는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이고, 상기 몸체에는 손잡이가 돌출되는 조직 봉입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30003405A 2013-01-11 2013-01-11 위생적 조직 봉입장치 KR101518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405A KR101518263B1 (ko) 2013-01-11 2013-01-11 위생적 조직 봉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405A KR101518263B1 (ko) 2013-01-11 2013-01-11 위생적 조직 봉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305A KR20140091305A (ko) 2014-07-21
KR101518263B1 true KR101518263B1 (ko) 2015-05-11

Family

ID=51738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405A KR101518263B1 (ko) 2013-01-11 2013-01-11 위생적 조직 봉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82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904Y1 (ko) * 2006-05-10 2006-07-19 주식회사 옥시 레킷벤키저 탈취제 케이스 어셈블리
JP2007183162A (ja) * 2006-01-06 2007-07-19 Sakura Seiki Kk 組織標本のパラフィン浸透処理方法及びその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3162A (ja) * 2006-01-06 2007-07-19 Sakura Seiki Kk 組織標本のパラフィン浸透処理方法及びその処理装置
KR200421904Y1 (ko) * 2006-05-10 2006-07-19 주식회사 옥시 레킷벤키저 탈취제 케이스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305A (ko) 2014-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32424B1 (en) Fluid displacement tissue container for molecular and histology diagnostics
US10639636B2 (en) Closed kit for tissue containment and stabilization for molecular and histopathology diagnostics
JP2019049577A (ja) 組織サンプル容器及び方法
US9301497B2 (en) Device for sampling tissue from an animal and corresponding storage means
KR101823438B1 (ko) 고정액의 충전 및 외부노출방지 구조를 갖는 조직검체 운반용기
ES2829774T3 (es) Instrumento de crioconservación de tejido biológico recogido y procedimiento para congelar fragmentos de tejido recogido
KR101518263B1 (ko) 위생적 조직 봉입장치
RU2009129523A (ru) Сосуд для тестирования, индикаторная полоска, набор для тестирования и способ тестирования
KR102056068B1 (ko) 조직 보존 용기
US20210148796A1 (en) Cassette for inserting a tissue sample
US20190316993A1 (en) Disposable container for stains or reagents for staining machines of biological material and staining system comprising said container
CN106697502B (zh) 样本储存装置及样本系统
US20150087018A1 (en) Cassette
US20150087019A1 (en) Processing method and cassette
CN208572945U (zh) 一种红火蚁诱集取样器
KR101862991B1 (ko) 2차 감염 방지가 가능한 밀폐형 래피드 진단키트
SK142298A3 (en) Device for optical analysis of specimens
CN212767290U (zh) 一种活塞式防有毒气体泄露病理保存瓶
CN214825169U (zh) 多功能生物显微玻片标本收纳盒
CN211109016U (zh) 一种预防被虫蛀的标本盒
CN215525822U (zh) 一种免疫组织化学实验用保湿盒
CN220040464U (zh) 一种早孕排卵检测试纸组合装置
CN213121323U (zh) 一种免疫组化实验一体化装置
CN212275394U (zh) 一种病理切片染色缸
JP3069987U (ja) 除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