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7925B1 -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와 폴리아민 기반의 유무기계 스마트 복합 균열 보수재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와 폴리아민 기반의 유무기계 스마트 복합 균열 보수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925B1
KR101517925B1 KR1020140182178A KR20140182178A KR101517925B1 KR 101517925 B1 KR101517925 B1 KR 101517925B1 KR 1020140182178 A KR1020140182178 A KR 1020140182178A KR 20140182178 A KR20140182178 A KR 20140182178A KR 101517925 B1 KR101517925 B1 KR 101517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ck
weight
polyamine
bisphenol
in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호
김경민
양능원
황인수
박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릭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릭,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릭
Priority to KR1020140182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9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2Alcohols; Phenols;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와 폴리아민 기반의 유무기계 스마트 복합 균열 보수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이크로 시멘트와 슬래그 미분말을 함유하는 무기계 재료 충전제로 10~70 중량%,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를 함유하는 1액형 유기계 재료 10~40 중량% 및 폴리아민을 함유하는 2액형 유기계 재료 20~50 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복합열화 현상에 의해 발생한 균열부위를 보수하고 이로 인해 구조물의 내구성능 회복 및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데 효과적인 균열 보수재 개발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에 주입하고, 이로 인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 저하 및 균열 부위가 광범위하게 퍼지지 않도록 하는 보수재료이며, 유기계와 무기계 균열 보수재의 단점을 개선하고 장점을 부각시킨 새로운 개념의 보수재로 0.3㎜ 이하 균열부위, 누수균열, 습식균열, 건조균열, 관통균열 등 그 활용범위가 다양하여 보다 사용성이 향상되고 균열 환경에 제약이 없이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와 폴리아민 기반의 유무기계 스마트 복합 균열 보수재 조성물{ORGANIC AND INORGANIC SMART COMPLEX CRACKS REPAIRING MATERIALS COMPOSITION BASED ON BISPHENOL OXIRANE POLYMER AND POLYAMINE}
본 발명은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와 폴리아민 기반의 유무기계 스마트 복합 균열 보수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0.3㎜ 이하의 균열부분에 적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보수용으로 유기계 균열보수재의 장점과 무기계 균열보수재의 장점을 서로 융합한 균열 보수재로서 탄성력을 향상시키고, 부착강도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와 폴리아민 기반의 유무기계 스마트 복합 균열 보수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은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을 통해 경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수분 증발로 인한 건조 수축 등 사용재료, 시공조건, 환경조건 및 구조조건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균열 발생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 발생하는 균열은 구조물의 내력, 내구성, 방수성 및 미관 등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균열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설할 때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콘크리트의 역학적 성질의 결점은 파괴시 변형이 압축에서 2~4×10-3㎏f/㎠, 인장에서 1~2×10-3㎏f/㎠ 정도로 작으며, 인장강도가 작고 체적변화(건조수축, 온도신축, 습도신축 등)가 큰 점 등이다. 이러한 결점은 바로 균열 생성에 영향을 미친다.
콘크리트 균열은 콘크리트 타설 후부터 응결이 종료할 때까지 발생하는 초기균열과 경화 후에 발생하는 균열로 대별할 수 있다.
초기균열은 콘크리트 내에서의 불균등한 침하, 콘크리트 표면에서의 급격한 수분손실, 콘크리트 표면의 경화가 진행되는 동안 내부 콘크리트의 침하가 동시에 이루어짐에 의한 균열, 거푸집 변형에 따른 균열 및 진동, 재하에 의한 균열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에 발생하는 균열의 종류는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 알칼리골재반응, 이상물질의 혼입, 철근의 녹 등의 화학반응에 의하여 일어나는 균열, 열응력 등 콘크리트 내외의 온도차에 의하여 생기는 균열, 구조물의 형상, 배근상의 응력집중에 기인하는 균열, 하중과다 또는 과격한 기계진동에 의한 균열, 지진 충격 등의 우발사고에 의한 균열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하는 균열 부위는 보수 및 보강을 하지 않게 되면 균열 부위의 간격이 더욱 넓어져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가 발생한 부위에 대한 보수 및 보강하기 위한 방법은 다양하게 시행되고 있으며, 이 중 하나로 콘크리트 균열 부위 내에 주입재를 주입하는 방식이 있다.
주입재를 통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및 보강재료로는 유기 및 무기계 주입재가 사용되고 있는데 시멘트계 보수재, 우레탄계 보수재 및 에폭시계 보수재 등 다양한 보수재를 균열 부위의 환경상황에 맞춰 적용하고 있으며,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는 시멘트계 보수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재료의 강도 이외에 보수부에서 보수재료와 모재간의 일체성이 요구된다. 기존의 에폭계의 경우, 유기계로서 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분이 달라 열팽창 계수 및 외적 요인 등에 의하여 장기적으로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으며, 보수 사용수명도 길지 않다. 무기계의 경우, 기존 조성이 콘크리트 구조물 조성에 가까우며 에폭시계 보수재의 단점을 개선할 수 있지만, 미세한 균열 및 부착강도가 유기계 보수재에 비해 떨어지는 경향이 있어 사용하는 데는 제약을 받는다.
국내 특허등록 10-1318935호인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및 차수용 무기질계무수축 초미립 주입재 조성물은 구조물의 작은 공간내로 침투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강한 경화체를 형성하고 우수한 휨강도와 부착강도 및 방수성을 발현할 수 있는 보수 및 차수용 무기질계 무수축 초미립 주입계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소개한다.
또한, 국내 특허등록 10-0979180호인 급결형 마이크로 시멘트 조성물은 별도의 규산이나 급결성분 약액을 사용하지 않는 1액형의 주입재로서 급결형 마이크로 시멘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수경성이 양호한 무기질 결합재를 주재로 함으로써 종래의 물유리나 특수 규산을 사용하는 2액형 또는 1.5액형 주입시공에 비해 강도 발현이 높고 투수저항성이 뛰어나 시공 이후의 구조물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고 있다.
일본 특허등록 제02686459호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용 주입재는 미분말 고로 슬래그, 미분말 포틀랜드 시멘트, 고분자 및 고성능 감수제로 이루어진 보수재에 있어서, 상기 고로 슬래그와 포틀랜드 시멘트의 합량에 대해 알칼리 자극제를 1.5~4.5 중량% 및 증점제를 0.05~0.2중량% 배합하여 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보수재가 나타내고 있지만, 고분자의 사용 목적은 접착 강도의 향상이며, 탄성 타입의 보수재는 아니다.
또 일본 특허등록 제02627936호인 무기 탄성 주입재는 수경성재료, 골재 및 혼화재, 고탄성 고분자 분산제 및 에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무기 탄성 보수재가 개시되어 있고, 이러한 무기계 보수재는 수분 증발에 의한 체적 수축 개선에는 어느 정도 효과적이며 탄성 유형의 보수재이지만, 균열 부위나 콘크리트 들뜬 부위에 주입성이 떨어진다.
또한, 일본 특개평 5-017196호에서는 20㎛ 이하의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알칼리 자극제에 Tg0℃미만의 고분자 분산제가 첨가된 탄성 보수재가 나타내고 있으며, 또 일본 특개평 5-058689호에서는 20㎛ 이하의 포틀랜드 시멘트나 고로 슬래그 미분말을 고형분 환산으로 고분자/시멘트 비율이 30% 이하에서 사용되는 고분자 분산제를 이용한 보수재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보수재는 저온에서 충분한 탄성을 얻지 못하고 일정 기간 경과 후 탄성이 손상되며, 충분한 균열 보수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등의 단점이 있다.
(선행기술 1) 국내 특허등록 10-1318935호 (선행기술 2) 국내 특허등록 10-0979180호 (선행기술 3) 일본 특허등록 제02686459호 (선행기술 4) 일본 특개평 5-017196호 (선행기술 5) 일본 특개평 5-05868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0.3㎜ 이하의 균열부분에 적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보수용으로 유기계 균열보수재의 장점과 무기계 균열보수재의 장점을 서로 융합한 균열 보수재로서 탄성력을 향상시키고, 부착강도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와 폴리아민 기반의 유무기계 스마트 복합 균열 보수재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마이크로 시멘트와 슬래그 미분말을 함유하는 무기계 재료 충전제로 10~70 중량%,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를 함유하는 1액형 유기계 재료 10~40 중량% 및 폴리아민을 함유하는 2액형 유기계 재료 20~50 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기계 재료 충전제는 마이크로 시멘트 10~80 중량%, 슬래그 미분말 10~70 중량%, CSA 팽창제 5~10 중량% 및 알칼리 활성제 1~10 중량%로 혼합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마이크로 시멘트와 슬래그 미분말은 블레인 값(Blaine value) 3,000~5,000㎠/g이다.
여기에서 또, 상기 1액형 유기계 재료는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 15~34 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1~5 중량% 및 물 65~80 중량%로 혼합된 액상타입의 혼합재료로 수용성이다.
여기에서 또, 상기 2액형 유기계 재료는 폴리아민 5~30 중량%, 변성 폴리아민 1~5 중량% 및 물 69~90 중량%로 혼합된 액상타입의 혼합재료로 수용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와 폴리아민 기반의 유무기계 스마트 복합 균열 보수재 조성물에 따르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복합열화 현상에 의해 발생한 균열부위를 보수하고 이로 인해 구조물의 내구성능 회복 및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데 효과적인 균열 보수재 개발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에 주입하고, 이로 인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 저하 및 균열 부위가 광범위하게 퍼지지 않도록 하는 보수재료이며, 유기계와 무기계 균열 보수재의 단점을 개선하고 장점을 부각시킨 새로운 개념의 보수재로 0.3㎜ 이하 균열부위, 누수균열, 습식균열, 건조균열, 관통균열 등 그 활용범위가 다양하여 보다 사용성이 향상되고 균열 환경에 제약이 없이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와 폴리아민 기반의 유무기계 스마트 복합 균열 보수재 조성물의 실내 작업성 평가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와 폴리아민 기반의 유무기계 스마트 복합 균열 보수재 조성물의 목업 테스트를 통한 주입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와 폴리아민 기반의 유무기계 스마트 복합 균열 보수재 조성물의 실제 주입 방법 및 시공사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와 폴리아민 기반의 유무기계 스마트 복합 균열 보수재 조성물의 실제 주입 부위의 코어채취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와 폴리아민 기반의 유무기계 스마트 복합 균열 보수재 조성물의 제조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와 폴리아민 기반의 유무기계 스마트 복합 균열 보수재 조성물은 마이크로 시멘트와 슬래그 미분말을 함유하는 무기계 재료 충전제로 10~70 중량%,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를 함유하는 1액형 유기계 재료 10~40 중량% 및 폴리아민을 함유하는 2액형 유기계 재료 20~50 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무기계 재료 충전제가 10 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면 작업성능 및 주입재의 경화, 강도와 더불어 충진 깊이가 적은 단점이 있고, 70 중량%를 초과하면 재료분리 및 균열보수재의 강도 등단점이 있으며, 1액형 유기계 재료가 10 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면 부착성능이 저하되는 동시에 자체 경화속도가 지연되는 단점이 있고, 40 중량%를 초과하면 재료분리 및 빠른 경화로 작업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2액형 유기계 재료가 20 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면 경화가 지연되는 단점이 있고, 50 중량%를 초과하면 재료분리 단점이 있다.
그리고, 무기계 재료 충전제는 마이크로 시멘트 10~80 중량%, 슬래그 미분말 10~70 중량%, CSA(Calcium Sulfur Aluminate) 팽창제 5~10 중량% 및 알칼리 활성제 1~10 중량%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마이크로 시멘트가 10 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면 경화속도가 지연되는 동시에 강도의 단점이 있고, 80 중량%를 초과하면 재료분리 단점이 있고, 고로 슬래미분말이 10 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면 재료분리 단점이 있고, 70 중량%를 초과하면 경화가 지연되는 단점이 있으며, CSA 팽창제가 5 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면 단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단점이 있으며, 알칼리 활성제가 1 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면 강도발현 등 단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재료분리 및 강도발현의 단점이 있다.
또한, 마이크로 시멘트와 슬래그 미분말은 미세균열(0.3mm 이하)까지 보수할 수 있도록 블레인 값(Blaine value) 3,000~5,000㎠/g인 것이 바람직한데, 블레인 값(Blaine value)이 3,000㎠/g 미만이면 주입깊이 및 미세균열에 주입하기 힘든 단점이 있고, 5,000㎠/g을 초과하면 균열주입재의 점도 및 미분으로 인한 인체에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 1액형 유기계 재료는 점성을 증진시키며 모체 콘크리트와의 부착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재료로서,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 15~34 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1~5 중량% 및 물 65~80 중량%로 혼합된 액상타입의 혼합재료로 수용성인 것이 바람직한데,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가 15 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면 재료분리 현상 단점이 있고, 34 중량%를 초과하면 경화가 되지 않는 단점이 있고, 프로필렌 글리콜이 1 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면 촉진작용을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5 중량%를 초과하면 액상의 점도를 떨어트리는 단점이 있으며, 물이 65 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면 고 점도의 액상이 만들어 지는 단점이 있고, 80 중량%를 초과하면 물과 같은 점도로 부착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 2액형 유기계 재료는 무기계 재료 충전제와 1액형 유기계 재료의 경화제로 사용되는 것으로 폴리아민 5~30 중량%, 변성 폴리아민 1~5 중량% 및 물 69~90 중량%로 혼합된 액상타입의 혼합재료로 수용성인 것이 바람직한 데, 폴리아민이 5 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면 1액과의 반응하는 촉진 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30 중량%를 초과하면 경화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단점이 있고, 변성 폴리아민이 1 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면 경화촉진 반응을 하지 않는 단점이 있고, 5 중량%를 초과하면 재료분리의 단점이 있으며, 물이 69 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면 촉진성능을 발휘하지 않는 단점이 있고, 80 중량%를 초과하면 과도한 점도로 주입시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2액형 유기계 재료는 1액형 유기계 재료와 일정 비율에 맞춰 혼입한 후, 무기계 재료 충전제를 1분간 혼입한 후 주입기를 통하여 균열부위에 주사하는 방법이 적용된다.
이하,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본 실험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함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와 폴리아민 기반의 유무기계 스마트 복합 균열 보수재 조성물의 실내 작업성 평가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와 폴리아민 기반의 유무기계 스마트 복합 균열 보수재 조성물의 목업 테스트를 통한 주입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와 폴리아민 기반의 유무기계 스마트 복합 균열 보수재 조성물의 실제 주입 방법 및 시공사례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와 폴리아민 기반의 유무기계 스마트 복합 균열 보수재 조성물의 실제 주입 부위의 코어채취 사진이다.
먼저, 마이크로 시멘트 60 중량%, 고로 슬래미분말 20 중량%, CSA 팽창제 5 중량% 및 알칼리 활성제 5 중량%를 혼합하여 무기계 재료 충전제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 35 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5 중량% 및 물 60 중량%를 혼합하여 1액형 유기계 재료를 제조하였다.
또, 폴리아민 5 중량%, 변성 폴리아민 5 중량% 및 물 90 중량%를 혼합하여 2액형 유기계 재료를 제조하였다.
이러한 상태에서, 1액형 유기계 재료 20 중량%, 2액형 유기계 재료 20 중량%, 무기계 재료 충전제 60 중량%로 혼합하여 보수재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보수재를 도 1에서와 같이 실험실에서 아크릴판을 주입성능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유기계(에폭시계열)와 같은 퍼짐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주입성능이 우수한 유기계와 유사한 성능을 발휘하고 무기계의 단점인 주입시 균열 깊숙이 충진되지 않는 성능을 보안하였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보수재를 실제 현장에 발생한 균열부위에 시험시공을 한 예다.
도 3에서는 현장시공후의 모습이며 균열부위의 충진으로 모체콘크리트와의 일체화된 모습의 예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위의 현장에 시공한 후 균열주입부위를 코어채취하여 모체콘크리트와의 일체성을 보여주는 정면의 예이다.
도 5에서는 도 4와 같이 현장에서 시공한 부위를 코어채취하여 측면에서의 균열깊이 정도와 모체콘크리트와의 일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예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보수재와 유기계 균열 보수재 및 무기계 균열 보수재와 재열 28일 압축강도 성능을 비교한 결과 아래의 표 1과 같다.
유기계 균열 보수재
(에폭시 수지계)
무기계 균열 보수재
(폴리머 초미립자 시멘트계)
본 발명
MPa 60 40 40
상기의 표 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압축 강도는 기준 강도를 만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와 폴리아민 기반의 유무기계 스마트 복합 균열 보수재 조성물은 기존의 무기계 균열제의 압축강도와 동일한 성능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기존균열 깊숙이 침투하여 균열을 충진하는 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기존의 무기계의 단점인 부착강도는 1액과 2액의 액상 유기계 성분으로 기능을 향상시켰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5)

  1. 마이크로 시멘트와 슬래그 미분말을 함유하는 무기계 재료 충전제로 10~70 중량%,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를 함유하는 1액형 유기계 재료 10~40 중량% 및 폴리아민을 함유하는 2액형 유기계 재료 20~50 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와 폴리아민 기반의 유무기계 스마트 복합 균열 보수재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계 재료 충전제는,
    마이크로 시멘트 10~80 중량%, 슬래그 미분말 10~70 중량%, CSA 팽창제 5~10 중량% 및 알칼리 활성제 1~10 중량%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와 폴리아민 기반의 유무기계 스마트 복합 균열 보수재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시멘트와 슬래그 미분말은,
    블레인 값(Blaine value) 3,000~5,0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와 폴리아민 기반의 유무기계 스마트 복합 균열 보수재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액형 유기계 재료는,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 15~34 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1~5 중량% 및 물 65~80 중량%로 혼합된 액상타입의 혼합재료로 수용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와 폴리아민 기반의 유무기계 스마트 복합 균열 보수재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액형 유기계 재료는,
    폴리아민 5~30 중량%, 변성 폴리아민 1~5 중량% 및 물 69~90 중량%로 혼합된 액상타입의 혼합재료로 수용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와 폴리아민 기반의 유무기계 스마트 복합 균열 보수재 조성물.
KR1020140182178A 2014-12-17 2014-12-17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와 폴리아민 기반의 유무기계 스마트 복합 균열 보수재 조성물 KR101517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178A KR101517925B1 (ko) 2014-12-17 2014-12-17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와 폴리아민 기반의 유무기계 스마트 복합 균열 보수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178A KR101517925B1 (ko) 2014-12-17 2014-12-17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와 폴리아민 기반의 유무기계 스마트 복합 균열 보수재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7925B1 true KR101517925B1 (ko) 2015-05-07

Family

ID=53393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178A KR101517925B1 (ko) 2014-12-17 2014-12-17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와 폴리아민 기반의 유무기계 스마트 복합 균열 보수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9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488B1 (ko) 2015-06-16 2016-01-19 (주)대우건설 수용성 팽창 및 급결 성능을 가지는 무기계 지수제 조성물
KR101672952B1 (ko) 2015-10-28 2016-11-04 (주)대우건설 변성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 보수용 탄성 주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2508A (ja) * 1998-08-31 2000-03-07 Asahi Bondo Kogyo Kk 水性エポキシ樹脂注入材
KR20010028551A (ko) * 1999-09-21 2001-04-06 명호근 초미립자 시멘트를 사용한 연속섬유보강 시멘트
KR100670924B1 (ko) * 2006-04-05 2007-01-19 (주)두영티앤에스 폴리머 시멘트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KR101135175B1 (ko) * 2011-08-11 2012-04-16 강상수 칼슘 알루미네이트 골재를 사용한 보호 몰탈 및 그에 사용되는 유무기 복합 하이브리드 코팅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2508A (ja) * 1998-08-31 2000-03-07 Asahi Bondo Kogyo Kk 水性エポキシ樹脂注入材
KR20010028551A (ko) * 1999-09-21 2001-04-06 명호근 초미립자 시멘트를 사용한 연속섬유보강 시멘트
KR100670924B1 (ko) * 2006-04-05 2007-01-19 (주)두영티앤에스 폴리머 시멘트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KR101135175B1 (ko) * 2011-08-11 2012-04-16 강상수 칼슘 알루미네이트 골재를 사용한 보호 몰탈 및 그에 사용되는 유무기 복합 하이브리드 코팅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488B1 (ko) 2015-06-16 2016-01-19 (주)대우건설 수용성 팽창 및 급결 성능을 가지는 무기계 지수제 조성물
KR101672952B1 (ko) 2015-10-28 2016-11-04 (주)대우건설 변성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 보수용 탄성 주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4062B1 (ko) 손상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심층 미세 균열 억제 및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 공법
KR101720504B1 (ko) 내구성능이 개선된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유지 보수 공법
KR101492233B1 (ko) 내화학성 및 내화성 모르타르 조성물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내화학성 및 내화성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화 보수 시공 공법
KR100635464B1 (ko) 섬유로 보강된 몰탈 및 그 섬유로 보강된 몰탈을 이용한보수보강 공법
KR10176713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재 조성물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 공법
KR10244756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재 및 이를 이용한 균열보수공법
KR101598073B1 (ko)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친환경 경관석 패널
KR100697221B1 (ko) 메타카올린을 사용한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
KR101056825B1 (ko) 수성바인더 수지를 이용한 몰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공법
KR101517925B1 (ko) 비스페놀 옥시란 중합체와 폴리아민 기반의 유무기계 스마트 복합 균열 보수재 조성물
KR101586488B1 (ko) 수용성 팽창 및 급결 성능을 가지는 무기계 지수제 조성물
JP2009256121A (ja) 吹付け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吹付け補修工法
CN108455910A (zh) 一种高韧性纤维增强建筑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365606B1 (ko) 방수 및 방청성능이 향상된 친환경 폴리머 모르타르
KR101963579B1 (ko) 조기강도 발현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649208B1 (ko) 신속 개방이 가능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스케일링 및 스폴링 보수용 응급보수공법 및 그 공법에 사용되는 상온 응급 경화형 세라믹혼합물
KR20150068101A (ko) 고강도 프리스트레스드 콘크리트 파일용 시멘트 혼합물 및 이를 포함한 콘크리트 조성물
CN107963841B (zh) 一种膨胀性软岩巷道注浆材料
KR101557636B1 (ko) 수분반응제 및 고탄성에폭시수지 마감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복합탄성방수방식공법
KR101876551B1 (ko) 콘크리트 보수 공법
KR20120080812A (ko) 급결성 고분말 시멘트를 포함한 숏크리트 조성물
JP3638894B2 (ja) ポリマーセメント組成物
KR20100129399A (ko) 시멘트 무첨가 콘크리트용 수용성 결합재 및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KR100559150B1 (ko) 나노 합성 무기질 폴리머를 함유하는 콘크리트 및건축구조물의 균열보수 · 보강재 조성물
KR101631476B1 (ko) 그라우팅 약액 조성물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