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7620B1 - 영상표시장치의 칼라 킬러 회로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의 칼라 킬러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620B1
KR101517620B1 KR1020080115513A KR20080115513A KR101517620B1 KR 101517620 B1 KR101517620 B1 KR 101517620B1 KR 1020080115513 A KR1020080115513 A KR 1020080115513A KR 20080115513 A KR20080115513 A KR 20080115513A KR 101517620 B1 KR101517620 B1 KR 101517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lor
video
killer
out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6626A (ko
Inventor
유지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5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620B1/ko
Publication of KR20100056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0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lour k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44Colour synchronisation
    • H04N9/45Generation or recovery of colour sub-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04N9/78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for separating the brightness signal or the chrominance signal from the colour television signal, e.g. using comb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실시예의 영상표시장치의 칼라 킬러 회로는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신호와 반송색 신호를 분리하고 출력하는 색신호 분리부; 기준 부반송파에 근거하고, 상기 반송색 신호를 복조하여 채도 신호를 출력하는 색 복조부; 및 상기 반송색 신호 중의 칼라 버스트 신호의 레벨을 측정하고, 상기 칼라 버스트 신호의 레벨이 기설정된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에 제 1 칼라 킬러 신호를 출력하는 칼라 버스트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칼라 버스트 검출부는 상기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소스 기기의 종류에 따라 상기의 기준값을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칼라 킬러 신호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의 칼라 킬러 회로{A color killer circuit of an image display device}
본 실시예는 디지털 비디오 디코더등의 디지털 영상 처리 회로를 갖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컬러 킬러 회로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국가별로 방송 시스템 규격에 상응하는 부 반송파(sub carrier) 주파수에 따라 비디오 게임 장비는 동일하게 선택된다. 예컨대, 영상표시장치에 연결가능한 비디오 게임 장비는 각 국가의 규격에 상응하는 부 반송파 주파수로 선택되어 있으며, NTSC의 경우 3.58Mhz이고, PAL의 경우 4.43Mhz로 선택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NTSC 규격에 의한 방송 시스템을 따르는 국가에서는, 영상표시장치 역시 부 반송파의 주파수가 NTSC 시스템에 상응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PAL 규격에 의한 방송 시스템을 따르는 국가에서도 PAL 규격에 의한 부 반송파로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영상표시장치에 연결가능한 비디오 게임 장비는 각 방송 시스템의 규격에 상응하는 부 반송파를 갖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이러한 비디오 게임 장비는 상이한 부 반송파 주파수를 사용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호환이 이루어지 지 않는다.
도 2에는 크랙(crack)된 비디오 게임 장비를 사용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비디오 게임 장비가 crack-NTSC를 갖추더라도 4.43Mhz 부 반송파(PAL)로 인코딩된 소스 시그널이 영상표시장치에서 디코딩되면, CVBS 시그널의 컬러 버스트(color burst) 레벨이 기설정된 값보다 작은 레벨로 검출되어 영상표시장치의 화면 하단에 노 칼라(no color)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반면에, 이러한 크랙된 비디오 게임 장비를 소스 시그널이 3.58Mhz의 부 반송파를 갖는 NTSC 소스인 경우에는, 정상적인 색 재현(full color)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크랙된 장비(비디오 게임 장비로서, 예를 들면, 플레이스테이션)를 사용하는 조건에서도, 그 사용환경에 따라 컬러 버스트 신호에 의하여 노 칼라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특정의 외부 기기가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기기로부터 영상 신호가 제공되는 경우에, 칼라 킬러의 동작점을 가변시킴으로써, 사용자 바램에 따라 상기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의 색 재현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영상표시장치는 칼라 킬러 회로를 제안한다.
실시예의 영상표시장치의 칼라 킬러 회로는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신호와 반송색 신호를 분리하고 출력하는 색신호 분리부; 기준 부반송파에 근거하고, 상기 반송색 신호를 복조하여 채도 신호를 출력하는 색 복조부; 및 상기 반송색 신호 중의 칼라 버스트 신호의 레벨을 측정하고, 상기 칼라 버스트 신호의 레벨이 기설정된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에 제 1 칼라 킬러 신호를 출력하는 칼라 버스트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칼라 버스트 검출부는 상기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소스 기기의 종류에 따라 상기의 기준값을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칼라 버스트 검출부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된 소스 기기가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장비인 경우에, 상기의 기준값을 낮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색 신호의 오차를 검출하고, 검출된 값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 색 출력을 0으로 하기 위한 제 2 칼라 킬러 신호를 출력하는 칼라 버 스트 복조오차 검출부와, 상기의 제 1 칼라 킬러 신호 및 제 2 칼라 킬러 신호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외부에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의 영상표시장치의 칼라 킬러 회로에 의해서,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특정의 외부 기기에 대해서는 칼라 킬러의 동작점이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화면의 일부에 색 재현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영상 신호의 파형도를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영상 신호는, 예를 들면, 도 3의 파형도에 나타나듯이, 휘도 신호(Y), 색 신호(C) 및 컬러 버스트 신호을 1 개의 신호에 중첩한 형태를 갖는다. 디지털 비디오 인코더 등에 있어서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에 변환하기 위한 반도체 집적 회로의 내부에 영상 신호 생성 회로가 설치되고, 도시된 바와 같은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회로가 알려져 있다.
디지털 휘도 신호(Y)를 지연 회로에 의하여, 색 신호(C)와의 타이밍 위상 조정을 행하며, 디지털 색 신호(C)는 컬러 버스트 신호 합성 회로에 의하여, 컬러 버스트 신호를 중첩한다. 타이밍 위상 조정되는 휘도 신호와 컬러 버스트 신호가 중첩되는 색 신호는, 가산기에 의하여 가산되고 복합적인 영상 신호가 생성된다. 이러한 복합적인 영상 신호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에 의하여 아날로그의 영상 신호로 변환된 다음, 출력된다.
영상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의 복합적인 영상 신호에는, 컬러 영상신호 또는 모노크로(monochrome) 영상신호 모두 항상 칼라 버스트 신호가 중첩되어 있다. 이것은 영상 출력 단자에 접속되는 영상 신호 수신용의 모니터, 레코더등의 수신장치에서는 복합화된 휘도 신호(Y)와 색 신호(C)를 컬러 버스트 신호에 근거하고, 신호 분리(Y/C분리)를 행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영상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칼라 버스트 신호의 세기가 기설정된 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노 칼라로 화면에 표시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이러한 회로를 보통 칼라 킬러 회로라고 부른다. 다만, 본 실시예에 의한 칼라 킬러 회로는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되어 영상신호를 제공하는 기기가 플레이스테이션과 같은 비디오 게임 장비일 경우에, 칼라 킬러 회로의 동작점을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동작에 의하여 방송 시스템의 다른 규격으로 설계되어 있는 비디오 장비라고 하더라도 정상적인 영상의 색 재현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칼라 킬러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실시예의 컬러 킬러 회로는, 디지털 비디오 디코더등의 디지털 영상 처리 회로등에 설치되는 회로이고, 색신호 분리부(110), 기준 부반송파 발생부(120), 칼라 버스트 진폭 검출부(130)(이하, 'CB 진폭 검출부'라고 함), 색 복조부(140), 칼라 버스트 복조오차 검출부(150)(이하, 'CB 복조오차 검출부'라고 함), 논리합 게이트(160)를 포함한다.
이러한 칼라 킬러 회로에서는, 칼라 버스트 신호의 진폭과, 생성한 기준 부반송파에 따른 반송색 신호를 복조한 채도 신호의 오차로부터 색을 지워 없애기 위한 칼라 킬러 신호를 출력하고 있다.
즉, 휘도 신호(Y)의 위에 반송색 신호(C)이 중첩되는 복합 영상 신호(IN)가 색신호 분리부(110)에 입력되면, 상기 색신호 분리부(110)에서는 복합 영상 신호(IN)으로부터 휘도 신호(Y)와 반송색 신호(C)를 분리하고, 분리한 반송색 신호를 CB 진폭 검출부(130) 및 색 복조부(140)에 출력한다.
상기 CB 진폭 검출부(130)에서는, 상기 반송색 신호 중의 칼라 버스트 신호의 진폭을 측정하고, 기준값 이하라면, 색을 지워 없애기 위한 칼라 킬러 신호를 논리합 게이트(160)에 출력한다.
특히, 상기 CB 진폭 검출부(130)는 상기의 복합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소스의 종류에 따라 칼라 킬리 신호를 출력하는데 사용하는 기준값을 가변시키며, 영상표시장치의 영상 모드가 비디오 게임기의 화면 재생일 경우에는 기준값을 6dB 이상 을 더 낮출 수 있다.
즉, 영상표시장치로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소스 기기가 비디오 게임 장비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의 기기일 경우에는, 칼라 킬러 신호를 출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값이 가변될 수 있는 것이며, 영상표시장치의 영상 모드 또는 소스 기기의 종류에 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의 마이컴이 상기 CB 진폭 검출부(130)로 전달하여 주거나, 상기 CB 진폭 검출부(130)가 모드의 변경 또는 소스 기기의 종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한편, 색 복조부(140)는 기준 부반송파 발생부(120)로부터 발생되는 기준 부반송파 sin파 및 기준 부반송파 cos파로 이루어진 기준 부반송파에 근거하여 반송색 신호를 복조하고, U신호 및 V신호로 이루어진 채도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색 복조부(140)의 출력측에, 칼라 버스트의 복조 오차를 검출하는 CB 복조오차 검출부(150)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반송색 신호로부터 채도 신호를 복조하는 것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보기로 한다.
색 복조는 도 5의 복합 영상 신호중에서 칼라 버스트 신호로부터 기준 부반송파(기준 부반송파 sin파(5B) 및 기준 부반송파 cos파(5C))을 발생하고, 반송색 신호(5A)를 복조한다. 즉, 반송색 신호(5A)에 기준 부반송파 sin파(5B)를 곱하고(5A×5B=5D), 반송색 신호(5A)에 기준 부반송파 cos파(5C)를 곱하고(5A×5C=5E), 그 결과를 로우 패스 필터(low pass filter)에 의한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여 U신호(5F)를 생성한다.
그리고, 반송색 신호(5A)와 기준 부반송파 cos파(5C)의 곱의 결과에 대해 로우 패스 필터에 의한 고주파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V신호(5G)를 생성하면, U신호(5F) 및 V신호(5G)로 이루어지는 채도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상기 CB 복조오차 검출부(150)는 컬러 버스트 신호의 U신호(5F) 및 V신호(5G)의 오차를 검출하고, 이 오차를 기준 부반송파 발생부(120)에 피드백하고, 기준 부반송파의 오차를 조정하는 것과 함께 그 오차를 제 2 칼라 킬러 신호로서 논리합 게이트(160)로 출력한다. 이 경우의 칼라 버스트 신호는 U신호 성분만 나타나고, V신호 성분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제 1 의 칼라 킬러 신호를 출력하는 CB 진폭 검출부(130)의 동작과 관련하여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CB 진폭 검출부(130)는 반송색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컬러 버스트 신호의 레벨에 따라 칼라 킬러 신호를 출력하는데, 상기 칼라 킬러 신호의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값은 영상표시장치의 영상 모드등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칼라 버스트 신호의 레벨에 따라 칼라 킬러의 동작점이 가변되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과 도 7에는 동일한 크기의 칼라 버스트 레벨(B)이 도시되어 있으나, 칼라 킬러의 동작점의 가변에 따라 노 칼라(no color)로 나타나거나 풀 칼라로 나타나게 된다.
즉, 상기 CB 진폭 검출부(130)는 검출되는 칼라 버스트 신호에 대해서 사용자 요청 또는 자동으로 그 기준값을 가변시키며, 칼라 킬러의 동작점이 가변되는 시점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외부 기기가 연결된 경우, 영상표시장치의 외부 입력 이 컴포넌트 또는 RGB로 선택되는 경우등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의 메뉴를 진입한 다음, 칼라 킬러의 동작점을 가변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등록한 외부 기기(플레이스테이션)에 대해서는 칼라 킬러의 동작점이 기 설정되어 있는 기준값보다 낮은 값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의 경우는, 플레이스테이션과 같이 특정의 외부 기기가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된 경우에, 칼라 킬러의 동작점이 기 설정된 A값에서 C값으로 낮아진 경우이며, 이러한 경우에 동일한 칼라 버스트 레벨(B)에 대해서 노 칼라로 처리되던 것이 풀 칼라로 색 재현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의 칼라 킬러 회로에 의하여, 비디오 게임 장비에 크랙등을 설치하여야 할 필요가 없게 되며, 크랙 등을 설치하더라도 발생할 수 있었던 노 칼라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과 도 2는 방송 시스템 환경에 따라 설계되는 영상표시장치와 비디오 게임 장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복합 영상 신호에 휘도 신호, 색 신호 및 칼라 버스트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칼라 킬러 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색의 복조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6 및 도 7은 칼라 버스트 레벨에 따라 칼라 킬러의 동작점을 가변시키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Claims (5)

  1.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신호와 반송색 신호를 분리하고 출력하는 색신호 분리부;
    기준 부반송파에 근거하고, 상기 반송색 신호를 복조하여 채도 신호를 출력하는 색 복조부;
    상기 반송색 신호 중의 칼라 버스트 신호의 레벨을 측정하고, 상기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소스 기기의 종류에 따라 기 설정된 기준값을 가변시키며, 상기 칼라 버스트 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에 제 1 칼라 킬러 신호를 출력하는 칼라 버스트 검출부;
    상기 색 신호의 오차를 검출하고, 검출된 값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 색 출력을 0으로 하기 위한 제 2 칼라 킬러 신호를 출력하는 칼라 버스트 복조오차 검출부; 및
    상기의 제 1 및 제 2 칼라 킬러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외부에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칼라 킬러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버스트 검출부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된 소스 기기가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장비인 경우에, 상기의 기준값을 낮게 설정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칼라 킬러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기기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비디오 게임 장비인 경우에, 상기의 기설정된 기준값을 6dB만큼 낮게 설정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칼라 킬러 회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출력 수단은 상기 제 1 칼라 킬러 신호와 제 2 칼라 킬러 신호의 논리합을 구하는 논리합 게이트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칼라 킬러 회로.
KR1020080115513A 2008-11-20 2008-11-20 영상표시장치의 칼라 킬러 회로 KR101517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513A KR101517620B1 (ko) 2008-11-20 2008-11-20 영상표시장치의 칼라 킬러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513A KR101517620B1 (ko) 2008-11-20 2008-11-20 영상표시장치의 칼라 킬러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626A KR20100056626A (ko) 2010-05-28
KR101517620B1 true KR101517620B1 (ko) 2015-05-04

Family

ID=42280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513A KR101517620B1 (ko) 2008-11-20 2008-11-20 영상표시장치의 칼라 킬러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62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5888A (ja) 2000-03-31 2001-10-12 Fujitsu General Ltd ディジタルカラー映像信号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5888A (ja) 2000-03-31 2001-10-12 Fujitsu General Ltd ディジタルカラー映像信号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626A (ko) 201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4979A (en) Estimation of noise using burst gate response to video signal
JPWO2002060188A1 (ja) Y/c分離回路および方法
GB2256991A (en) Impulse noise eliminating circuit for a television receiver
KR930003178B1 (ko) 상관적응형 휘도신호와 색신호 분리회로
US5426470A (en) Luminance and chrominance signal separation circuit employing comparison of level detected signal with a reference level
EP024131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colour video signals using a digital comb filter
US8493509B2 (en) Digital video formatting scheme for analog format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filtering
KR101517620B1 (ko) 영상표시장치의 칼라 킬러 회로
JP2750572B2 (ja) 画像変化の検出器
US8248536B2 (en) Video luminance chrominance separation
EP0221734B1 (en) Dot interference detector
US20040179141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ducing cross-color distortion in a composite video signal decoder
US5523797A (en) Luminance signal and color signal separating circuit
KR101018383B1 (ko) 반송색신호의 주파수특성 보정장치 및 그 방법
KR920004124B1 (ko) 복합영상신호의 인터리이브 관계 검출회로
JP2698637B2 (ja) 輝度信号・色度信号分離回路
US7330217B1 (en) Chroma phase error correction circuitry and methods and systems utilizing the same
JP4834411B2 (ja) カラーキラー回路
US7139037B1 (en) Circle correction in digital low-pass filter
JPH0644219Y2 (ja) テレビジヨン信号のデイジタル処理装置
KR920010039B1 (ko) 칼라신호 복조회로
JP2649254B2 (ja) カラーテレビジョン信号のfm伝送受信装置
KR920008627B1 (ko) 동작 검출 정보 송. 수신에 의한 텔레비젼 신호 처리 시스템
JPH05145802A (ja) インパルスノイズ除去装置
US20060087587A1 (en) Video signal generator generating monochrome signal without color noi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