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759B1 - 호 세션 관리 시스템 및 호 세션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호 세션 관리 시스템 및 호 세션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759B1
KR101516759B1 KR1020080106483A KR20080106483A KR101516759B1 KR 101516759 B1 KR101516759 B1 KR 101516759B1 KR 1020080106483 A KR1020080106483 A KR 1020080106483A KR 20080106483 A KR20080106483 A KR 20080106483A KR 101516759 B1 KR101516759 B1 KR 101516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ession
terminal device
radio channel
releas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6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7542A (ko
Inventor
김정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6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759B1/ko
Publication of KR20100047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7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의 해제 이벤트 시 트래픽을 감시하여 효율적으로 해당 호 세션을 유지 또는 삭제할 수 있는 호 세션 관리 시스템 및 호 세션 관리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호 세션 관리 시스템은, 기 설정한 호 세션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정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구되는 소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호 세션을 통해 연결된 무선망제어기가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의 해제를 요청하고, 이에 이동통신패킷교환국(SGSN)이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상기 호 세션을 통해 연결된 소정의 패킷교환국에 알리면, 상기 이동통신패킷교환국으로부터 상기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수신하면, 패킷교환국(GGSN)이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감시하여, 소정의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상기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패킷교환국이 상기 이동통신패킷교환국으로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호 세션의 삭제를 요청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호 세션, 호 삭제, 무선망, 자원

Description

호 세션 관리 시스템 및 호 세션 관리 방법{CALL SESSION MANAGEMENT SYSTEM AND CALL SESSION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호 세션 관리 시스템 및 호 세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의 해제 이벤트 시 트래픽을 감시하여 효율적으로 해당 호 세션을 유지 또는 삭제함으로써, 망 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호 세션 관리 시스템 및 호 세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네트워크 시장이 광범위해지고, 각종 컨텐츠를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의 종류 및 형태가 다양해지면서, 사용자들이 자신의 단말장치(PDA, 이동통신단말장치 등)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회가 많아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사용자들의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는 것이 당연하다.
일반적인 종래의 데이터 서비스에서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소정 단말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해당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을 할당하고 호 세션을 활성화함으로써 코어망노드(SGSN, GGSN)와 단말장치 간에 데이터 호 세션이 설정되면, 해당 단말장치가 호 세션을 통해 컨텐츠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 서 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이때,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장치가 무선 호가 도달할 수 없는 음영지역에 진입하거나 또는 단말장치의 해당 무선채널의 에러로 인해로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무선망 내의 무선채널을 해제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헌데, 종래의 데이터 서비스에서는,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무선망 내의 무선채널을 해제하는 경우에도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호 세션은 계속 유지되고 이러한 호 세션을 삭제하는 방안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종래의 데이터 서비스에서는,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무선망 내의 무선채널을 해제하는 경우, 대응하는 호 세션은 여전히 유지됨에 따라 망 자원을 낭비하게 되는 불합리함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기 설정한 호 세션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정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구되는 소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호 세션을 통해 연결된 무선망제어기가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의 해제를 요청하고, 이에 이동통신패킷교환국(SGSN)이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상기 호 세션을 통해 연결된 소정의 패킷교환국에 알리면, 상기 이동통신패킷교환국으로부터 상기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수신하면, 패킷교환국(GGSN)이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감시하여, 소정의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상기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패킷교환국이 상기 이동통신패킷교환국으로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호 세션의 삭제를 요청하는 호 세션 관리 시스템 및 호 세션 관리 방법을 제공하여,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의 해제 이벤트 시 트래픽을 감시하여 효율적으로 해당 호 세션을 유지 또는 삭제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기 설정한 호 세션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정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구되는 소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호 세션을 통해 연결된 무선망제어기가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의 해제를 요청하고, 이에, 이동통신패킷교환국(SGSN)이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감시하여, 소정의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상기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패킷교환국이 상기 호 세션을 통해 연결된 소정의 패킷교환국으로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호 세션의 삭제를 요청하는 호 세션 관리 시스템 및 호 세션 관리 방법을 제공하여,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의 해제 이벤트 시 트래픽을 감시하여 효율적으로 해당 호 세션을 유지 또는 삭제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호 세션 관리 시스템은, 기 설정한 호 세션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정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구되는 소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의 해제를 요청하는 무선망제어기; 상기 무선망제어기로부터 상기 무선채널 해제가 요청되면,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상기 호 세션을 통해 연결된 소정의 패킷교환국에 알리는 이동통신패킷교환국(SGSN); 및 상기 이동통신패킷교환국으로부터 상기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수신하면,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감시하여, 소정의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패킷교환국으로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호 세션의 삭제를 요청하는 패킷교환국(GGSN)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통신패킷교환국은, 상기 무선망제어기로부터 상기 무선채널 해제가 요청되면, 상기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옵션필드에 체크한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Update PDP Context Request를 상기 패킷교환국으로 제공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알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통신패킷교환국은, 패킷교환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호 세션의 삭제가 요청되면,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호 세션의 비활성을 요청하고, 상기 무선망제어기로부터의 상기 무선채널 해제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망제어기로 상기 무선채널의 해제를 명령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호 세션 관리 시스템은, 기 설정한 호 세션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정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구되는 소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의 해제를 요청하는 무선망제어기; 및 상기 무선망제어기로부터 상기 무선채널 해제가 요청되면,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감시하여, 소정의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호 세션을 통해 연결된 소정의 패킷교환국으로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호 세션의 삭제를 요청하는 이동통신패킷교환국(SGSN)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통신패킷교환국은,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호 세션의 비활성을 요청하고, 상기 무선망제어기로부터의 상기 무선채널 해제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망제어기로 상기 무선채널의 해제를 명령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호 세션 관리 방법은, 기 설정한 호 세션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정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구되는 소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호 세션을 통해 연결된 무선망제어기가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의 해제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무선망제어기로부터 상기 무선채널 해제가 요청되면, 이동통신패킷교환국(SGSN)이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상기 호 세션을 통해 연결된 소정의 패킷교환국에 알리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패킷교환국으 로부터 상기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수신하면, 패킷교환국(GGSN)이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감시하여, 소정의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상기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패킷교환국이 상기 이동통신패킷교환국으로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호 세션의 삭제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통신패킷교환국이 상기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알리는 단계는, 상기 무선망제어기로부터 상기 무선채널 해제가 요청되면, 상기 이동통신패킷교환국이 상기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옵션필드에 체크한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Update PDP Context Request를 상기 패킷교환국으로 제공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알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패킷교환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호 세션의 삭제가 요청되면, 상기 이동통신패킷교환국이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호 세션의 비활성을 요청하는 단계; 패킷교환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호 세션의 삭제가 요청되면, 상기 이동통신패킷교환국이 상기 무선망제어기로부터의 상기 무선채널 해제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망제어기로 상기 무선채널의 해제를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호 세션 관리 방법은, 기 설정한 호 세션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정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구되는 소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호 세션을 통해 연 결된 무선망제어기가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의 해제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무선망제어기로부터 상기 무선채널 해제가 요청되면, 이동통신패킷교환국(SGSN)이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감시하여, 소정의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상기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패킷교환국이 상기 호 세션을 통해 연결된 소정의 패킷교환국으로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호 세션의 삭제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상기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패킷교환국이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호 세션의 비활성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상기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패킷교환국이 상기 무선망제어기로부터의 상기 무선채널 해제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망제어기로 상기 무선채널의 해제를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호 세션 관리 시스템 및 호 세션 관리 방법에 의하면, 기 설정된 호 세션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구되는 소정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으면 SGSN과 GGSN 간의 호 세션을 해제함으로써, 단말장치의 무선채널 뿐 아니라 해당 호 세션 역시 삭제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호 세션 관리 시스템 및 호 세션 관리 방법에 의하면,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구되는 소정 이벤트 시 단말장치의 무선채널 뿐 아니라 해당 호 세션 역시 삭제할 수 있어, 망 자원의 낭비를 개선하고 호 세션 관리 측면에서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 세션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 세션 관리 시스템은, 기 설정한 호 세션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정 단말장치(10)에 대응하여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구되는 소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의 해제를 요청하는 무선망제어기(RNC)(20)와, 무선망제어기(20)로부터 무선채널 해제가 요청되면,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상기 호 세션을 통해 연결된 소정의 패킷교환국(40)에 알리는 이동통신패킷교환국(SGSN)(30)과, 이동통신패킷교환국(SGSN)(30)으로부터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수신하면,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감시하여, 소정의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동통신패킷교환국(SGSN)(30)으로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상기 호 세션의 삭제를 요청하는 패킷교환국(GGSN)(40)을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장치(10)는, 자신이 지원하는 통신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네트워크 내의 무선망제어기(RNC)(20)를 통해 코어망노드(SGSN(30), GGSN(40)을 포함)와의 데이터 호 세션을 설정하여, 인터넷망(50)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이면 어떤 형태이든 가능하며, 예를 들어, 영상통화 또는 음성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 PDA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단말장치(10)는, 사용자가 소정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선택함에 따라, SGSN(30)에 접속하여 호 세션 활성화를 요청하고, 이에 SGSN(30)으로부터 호 세션 활성화 요청에 대응하는 활성화 수용 응답이 수신되면, 단말장치(10)는, 자신을 담당하는 기지국을 제어하는 (RNC)(20), SGSN(30), GGSN(40)를 통해 호 세션이 설정되어 이 호 세션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단말장치(10)는, (RNC)(20), SGSN(30), GGSN(40)를 통한 호 세션을 통해 인터넷망(50)과의 데이터 패킷 인터페이스를 실현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 서비스(예 : 증권현황정보파일 검색 서비스, 네이트 검색 서비스 등)를 제공하는 해당 컨텐츠서버(7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무선망제어기(RNC)(20, 이하에서는 RNC(20)라 함)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호 세션을 설정하는 단말장치(10)에 대응하여 무선채널을 설정/해제하며, 해당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을 통한 무선 트래픽을 감시한다.
RNC(20)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기 설정한 호 세션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을 통한 무선 트래픽을 감시를 통해,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구되는 소정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10)가 무선 호 도달 가능한 영역을 벗어나거나, 또는 무선 호 도달이 불가능한 상태가 발생되거나, 단말장치(10)에서 장시간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장치(10)로부터의 무선 트래픽을 RNC(20)가 인지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의 에러로 인해 단말장치(10)로부터의 무선 트래픽을 RNC(20)가 인지할 수 없는 경우도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10)에 대응하여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구되는 소정 이벤트는, 소정의 트래픽감시시간 동안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을 통한 무선 트랙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에, RNC(20)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기 설정한 호 세션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장치(10)에 대하여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구되는 이벤트가 발생한다고 판단되면,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의 해제를 이동통신패킷교환국(SGSN)(30)으로 요청한다. 이는, RNC(20)가 Iu Release Request를 이동통신패킷교환국(SGSN)(30)으로 제공함으로써,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의 해제를 이동통신패킷교환국(SGSN)(30)으로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의 해제 요청에 따라 이동통신패킷교환국(SGSN)(30)으로부터 무선채널의 해제를 명령이 수신되면, RNC(20)는 단말장치(10)에 대응하여 설정된 무선채널을 해제한다.
이동통신패킷교환국(SGSN)(30, 이하에서는 SGSN(30)라 함)은,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단말장치(10)에 대응하여 호 세션을 유지하며, 해당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호 세션을 통한 데이터 트래픽을 감시할 수 있다.
SGSN(30)은,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기 설정한 호 세션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호 세션을 유지하는 중, RNC(20)로부터 해당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무선채널 해제가 요청되면,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상기 호 세션을 통해 연결된 패킷교환국(GGSN)(40)에 알린다. 즉, RNC(20)로부터 단말장치(10)에 대응하여 Iu Release Request가 수신됨에 따라 무선채널 해제가 요청되면, SGSN(30)은,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Update PDP Context Request를 패킷교환국(GGSN)(40)으로 제공하되 이때 Update PDP Context Request의 Private 옵션필드에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체크하여 패킷교환국(GGSN)(40)으로 제공함으로써,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알릴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패킷교환국(GGSN)(40)에 알림에 따라 패킷교환국(GGSN)(40)으로부터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호 세션의 삭제가 요청되면, SGSN(30)은, 단말장치(10)로 호 세션의 비활성을 요청하고, RNC(20)로부터의 전술한 무선채널 해제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으로써 RNC(20)로 무선채널의 해제를 명령한다. 즉, 패킷교환국(GGSN)(40)으로부터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호 세션의 삭제가 요청되면, SGSN(30)은, 단말장치(10)로 Deactivate PDP Context Request를 제공하여 호 세션의 비활성을 요청하고, RNC(20)로 Iu Release Command를 제공하여 무선채널의 해제를 명령할 수 있다.
패킷교환국(GGSN)(40, 이하에서는 GGSN(40)라 함)은,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단말장치(10)에 대응하여 호 세션을 유지하여 단말장치(10)가 호 세션 을 통해 인터넷망(5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호 세션을 통한 데이터 트래픽을 감시할 수 있다.
GGSN(40)은, SGSN(30)으로부터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수신하면,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호 세션을 통한 데이터 트래픽을 감시한다. 즉, GGSN(40)은, SGSN(30)으로부터 Private 옵션필드에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체크된 Update PDP Context Request가 수신되면,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감시한다.
이에, 소정의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GGSN(40)은, SGSN(30)으로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호 세션의 삭제를 요청한다. 즉, GGSN(40)은, 호 삭제 대기시간(예 : t초) 동안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Delete PDP Context Request를 SGSN(30)으로 제공하여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호 세션의 삭제를 요청할 수 있다. 물론, 소정의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감시한 결과 호 삭제 대기시간 이내에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는 경우, GGSN(40)은, 단말장치(10)에 대응하여 호 세션을 유지할 것이다.
이에, GGSN(40)이 SGSN(30)으로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호 세션의 삭제를 요청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SGSN(30)이 단말장치(10)로 호 세션의 비활성을 요청하고 RNC(20)로 무선채널의 해제를 명령함으로써, 단말장치(10)의 호 세션을 위한 단말장치의 무선채널이 해제되어 단말장치(10) 및 RNC(20)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호 세션이 해제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무선채널 해제가 요청되면, 바로 해당하는 무선채널을 해제하는 것이 아니라, GGSN(40)에서 해당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장시간(호 삭제 대기시간)동안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SGSN(30)로 호 세션 해제를 요청함으로써, 비로소 무선채널과 데이터 호 세션을 모두 해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호 세션 관리 시스템은, 기 설정된 호 세션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장치(10)에 대응하여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구되는 소정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SGSN(30)이 이러한 이벤트를 GGSN(40)로 알리면, GGSN(40)은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으면 SGSN(30)에 호 세션 삭제를 요청함으로써, 단말장치(10)의 무선채널 뿐 아니라 해당 호 세션 역시 삭제하여 망 자원의 낭비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호 세션 관리 시스템은, GGSN(40)에서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있지만, 이러한 판단은 SGSN(30) 측에서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하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및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며, 동작이 동일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호 세션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SGSN(30)은, RNC(20)로부터 무선채널 해제가 요청되면, 단말장치(10)에 대응 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감시하여, 소정의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호 세션을 통해 연결된 GGSN(40)으로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상기 호 세션의 삭제를 요청한다.
다시 말해, SGSN(30)은,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기 설정한 호 세션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호 세션을 유지하는 중, RNC(20)로부터 해당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무선채널 해제가 요청되면,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호 세션을 통한 데이터 트래픽을 감시한다. 즉, SGSN(30)은, RNC(20)로부터 단말장치(10)에 대응하여 Iu Release Request가 수신됨에 따라 무선채널 해제가 요청되면,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감시한다.
이에, 소정의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SGSN(30)은, GGSN(40)으로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호 세션의 삭제를 요청한다. 즉, SGSN(30)은, 호 삭제 대기시간(예 : t초) 동안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Delete PDP Context Request를 GGSN(40)으로 제공하여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호 세션의 삭제를 요청할 수 있다. 물론, 소정의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감시한 결과 호 삭제 대기시간 이내에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는 경우, SGSN(30)은, 단말장치(10)에 대응하여 호 세션을 유지할 것이다.
이에, GGSN(40)은,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기 설정한 호 세션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호 세션을 유지하는 중, SGSN(30)으로부터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호 세션의 삭제가 요청되면, 단말장 치(10)에 대응하는 호 세션을 삭제한다.
그리고, SGSN(30)은, GGSN(40)으로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호 세션의 삭제를 요청함과 함께, 단말장치(10)로 호 세션의 비활성을 요청하고, RNC(20)로부터의 전술한 무선채널 해제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으로써 RNC(20)로 무선채널의 해제를 명령한다. 즉,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SGSN(30)은, 단말장치(10)로 Deactivate PDP Context Request를 제공하여 호 세션의 비활성을 요청하고, RNC(20)로 Iu Release Command를 제공하여 무선채널의 해제를 명령할 수 있다.
이에, SGSN(30)이 GGSN(40)으로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호 세션의 삭제를 요청하고, 단말장치(10)로 호 세션의 비활성을 요청하고, RNC(20)로 무선채널의 해제를 명령함으로써, 단말장치(10)에 대응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호 세션이 해제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무선채널 해제가 요청되면 바로 해당하는 무선채널을 해제하는 것이 아니라, SGSN(30)에서 해당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장시간(호 삭제 대기시간)동안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GGSN(40)로 호 세션 해제를 요청하고 무선채널을 해제함으로써, 비로소 무선채널과 데이터 호 세션을 모두 해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따른 실시예에 따른 호 세션 관리 시스템은, 기 설정된 호 세션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장치(10)에 대응하여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구되는 소정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SGSN(30)은 호 삭 제 대기시간 동안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으면 GGSN(40)에 호 세션 삭제를 요청함으로써, 단말장치(10)의 무선채널 뿐 아니라 해당 호 세션 역시 삭제하여 망 자원의 낭비를 해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 세션 관리 방법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호 세션 관리 방법은, 기 설정한 호 세션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장치(10)에 대응하여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구되는 소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호 세션을 통해 연결된 RNC(20)가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의 해제를 요청하는 단계와, RNC(20)로부터 상기 무선채널 해제가 요청되면, SGSN(30)이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상기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상기 호 세션을 통해 연결된 GGSN(40)에 알리는 단계와, SGSN(30)으로부터 상기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수신하면, GGSN(40)이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감시하여, 소정의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상기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존재하지 않는 경우, GGSN(40)이 SGSN(30)으로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상기 호 세션의 삭제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호 세션 관리 방법의 제어 흐름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먼저, 단말장치(10)의 사용자가 소정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선택함에 따라, 단말장치(10)가 호 세션 활성화를 요청하여 기존의 호 세션 흐름에 따라 (RNC)(20), SGSN(30), GGSN(40)를 통한 호 세션이 설정되고(S10), 단말장치(10)는 데이터 서비스(예 : 증권현황정보파일 검색 서비스, 네이트 검색 서비스 등)를 제공하는 해당 컨텐츠서버(7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S20).
RNC(20)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기 설정한 호 세션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을 통한 무선 트래픽을 감시를 통해,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구되는 소정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판단한다(S30). 예를 들어, 단말장치(10)가 무선 호 도달 가능한 영역을 벗어나거나, 또는 무선 호 도달이 불가능한 상태가 발생되거나, 단말장치(10)에서 장시간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장치(10)로부터의 무선 트래픽을 RNC(20)가 인지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의 에러로 인해 단말장치(10)로부터의 무선 트래픽을 RNC(20)가 인지할 수 없는 경우도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10)에 대응하여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구되는 소정 이벤트는, 소정의 트래픽감시시간 동안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을 통한 무선 트랙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한다.
RNC(20)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기 설정한 호 세션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장치(10)에 대하여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구되는 이벤트가 발생한다고 판단되면,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의 해제를 SGSN(30)으로 요청한다(S40). 이는, RNC(20)가 Iu Release Request를 SGSN(30)으로 제공함으로써,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의 해제를 SGSN(30)으로 요청할 수 있다.
SGSN(30)은,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기 설정한 호 세션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호 세션을 유지하는 중, RNC(20)로부터 해당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무선채널 해제가 요청되면,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상기 호 세션을 통해 연결된 GGSN(40)에 알린다(S50). 즉, RNC(20)로부터 단말장치(10)에 대응하여 Iu Release Request가 수신됨에 따라 무선채널 해제가 요청되면, SGSN(30)은,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Update PDP Context Request를 GGSN(40)으로 제공하되 이때 Update PDP Context Request의 Private 옵션필드에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체크하여 GGSN(40)으로 제공함으로써,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알릴 수 있다.
GGSN(40)은, SGSN(30)으로부터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수신하면, 타이머를 구동하고,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호 세션을 통한 데이터 트래픽을 감시한다(S60). 즉, GGSN(40)은, SGSN(30)으로부터 Private 옵션필드에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체크된 Update PDP Context Request가 수신되면,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감시한다.
이에, 소정의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70), 존재하지 않는 경우 GGSN(40)은, SGSN(30)으로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호 세션의 삭제를 요청한다(S80). 즉, GGSN(40)은, 호 삭제 대기시간(예 : t초) 동안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Delete PDP Context Request를 SGSN(30)으로 제공하여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호 세션의 삭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S70단계에서 판단 결과, 소정의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감시한 결과 호 삭제 대기시간 이내에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는 경우, GGSN(40)은, 단말장치(10)에 대응하여 호 세션을 유지할 것이다(S200).
이에, GGSN(40)으로부터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호 세션의 삭제가 요청되면, SGSN(30)은, 단말장치(10)로 호 세션의 비활성을 요청하고(S90), RNC(20)로부터의 전술한 무선채널 해제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으로써 RNC(20)로 무선채널의 해제를 명령한다(S100). 즉, GGSN(40)으로부터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호 세션의 삭제가 요청되면, SGSN(30)은, 단말장치(10)로 Deactivate PDP Context Request를 제공하여 호 세션의 비활성을 요청하고, RNC(20)로 Iu Release Command를 제공하여 무선채널의 해제를 명령할 수 있다. 이처럼, SGSN(30)이 단말장치(10)로 호 세션의 비활성을 요청하고 RNC(20)로 무선채널의 해제를 명령하면, 단말장치(10)의 호 세션을 위한 단말장치(10)의 무선채널이 해제되어 단말장치(10) 및 RNC(20)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호 세션이 해제될 것이다(S110,S120).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무선채널 해제가 요청되면, 바로 해당하는 무선채널을 해제하는 것이 아니라, GGSN(40)에서 해당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장시간(호 삭제 대기시간)동안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SGSN(30)로 호 세션 해제를 요청함으로써, 비로소 무선채널과 데이터 호 세션을 모두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호 세션 관리 방법의 제어 흐름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2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호 세션 관리 방법은, 기 설정한 호 세션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장치(10)에 대응하여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구되는 소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호 세션을 통해 연결된 RNC(20)가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의 해제를 요청하는 단계와, RNC(20)로부터 상기 무선채널 해제가 요청되면, SGSN(30)이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감시하여, 소정의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상기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존재하지 않는 경우, SGSN(30)이 호 세션을 통해 연결된 GGSN(40)으로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호 세션의 삭제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호 세션 관리 방법의 제어 흐름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단말장치(10)의 사용자가 소정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선택함에 따라, 단말장치(10)가 호 세션 활성화를 요청하여 기존의 호 세션 흐름에 따라 RNC(20), SGSN(30), GGSN(40)를 통한 호 세션이 설정되고(S10), 단말장치(10)는 데이터 서비스(예 : 증권현황정보파일 검색 서비스, 네이 트 검색 서비스 등)를 제공하는 해당 컨텐츠서버(7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S20).
RNC(20)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기 설정한 호 세션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을 통한 무선 트래픽을 감시를 통해,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구되는 소정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판단한다(S30).
RNC(20)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기 설정한 호 세션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장치(10)에 대하여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구되는 이벤트가 발생한다고 판단되면,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의 해제를 SGSN(30)으로 요청한다(S40). 이는, RNC(20)가 Iu Release Request를 SGSN(30)으로 제공함으로써,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의 해제를 SGSN(30)으로 요청할 수 있다.
SGSN(30)은,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기 설정한 호 세션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호 세션을 유지하는 중, RNC(20)로부터 해당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무선채널 해제가 요청되면, 타이머를 구동하고,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감시한다(S60'). 즉, SGSN(30)은, RNC(20)로부터 단말장치(10)에 대응하여 Iu Release Request가 수신됨에 따라 무선채널 해제가 요청되면, 타이머를 구동하고,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감시한다.
이에, 소정의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70'), 소정의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SGSN(30)은, GGSN(40) 으로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호 세션의 삭제를 요청한다(S80'). 즉, SGSN(30)은, 호 삭제 대기시간(예 : t초) 동안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Delete PDP Context Request를 GGSN(40)으로 제공하여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호 세션의 삭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GGSN(40)은,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기 설정한 호 세션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호 세션을 유지하는 중, SGSN(30)으로부터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호 세션의 삭제가 요청되면,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호 세션을 삭제한다.
이때, S70'단계에서 판단 결과, 소정의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감시한 결과 호 삭제 대기시간 이내에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는 경우, SGSN(30)은, 단말장치(10)에 대응하여 호 세션을 유지할 것이다(S200').
그리고, SGSN(30)은, GGSN(40)으로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호 세션의 삭제를 요청함과 함께, 단말장치(10)로 호 세션의 비활성을 요청하고(S90'), RNC(20)로부터의 전술한 무선채널 해제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으로써 RNC(20)로 무선채널의 해제를 명령한다(S100'). 즉,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SGSN(30)은, 단말장치(10)로 Deactivate PDP Context Request를 제공하여 호 세션의 비활성을 요청하고, RNC(20)로 Iu Release Command를 제공하여 무선채널의 해제를 명령할 수 있다. 이처럼, SGSN(30)이 단말장치(10)로 호 세션의 비활성을 요청하고 RNC(20)로 무선채널의 해제를 명령하면, 단말장치(10)의 호 세션을 위한 단말장치(10)의 무선채널이 해제되어 단말장치(10) 및 RNC(20)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호 세션이 해제될 것이다(S110',S120').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무선채널 해제가 요청되면, 바로 해당하는 무선채널을 해제하는 것이 아니라, SGSN(30)에서 해당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장시간(호 삭제 대기시간)동안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GGSN(40)으로 호 세션 해제를 요청함으로써, 비로소 무선채널과 데이터 호 세션을 모두 해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따른 호 세션 관리 방법은, 기 설정된 호 세션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장치(10)에 대응하여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구되는 소정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으면 SGSN(30)과 GGSN(40) 간의 호 세션을 해제함으로써, 단말장치(10)의 무선채널 뿐 아니라 해당 호 세션 역시 삭제하여 망 자원의 낭비를 해결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기 설정된 호 세션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구되는 소정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으면 SGSN과 GGSN 간의 호 세션을 해제함으로써, 단말장치의 무선채널 뿐 아니라 해당 호 세션 역시 삭제할 수 있는 호 세션 관리 시스템 및 호 세션 관리 방법을 적용할 경우, 망 자원 낭비 개선 및 호 세션 관리 효율성 측면에서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SGSN 및 GGSN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 세션 관리 시스템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호 세션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호 세션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말장치 20 : RNC
30 : SGSN 40 : GGSN
50 : 인터넷망 70 : 컨텐츠서버

Claims (10)

  1. 기 설정한 호 세션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정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구되는 소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의 해제를 요청하는 무선망제어기;
    상기 무선망제어기로부터 상기 무선채널 해제가 요청되면,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전송하는 이동통신패킷교환국(SGSN); 및
    상기 이동통신패킷교환국으로부터 상기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수신하면, 소정의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패킷교환국으로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호 세션의 삭제를 요청하는 패킷교환국(GGSN)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패킷교환국은,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호 세션의 비활성을 요청하고, 상기 무선망제어기로부터의 상기 무선채널 해제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망제어기로 상기 무선채널의 해제를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세션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패킷교환국은,
    상기 무선망제어기로부터 상기 무선채널 해제가 요청되면, 상기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옵션필드에 체크한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Update PDP Context Request를 상기 패킷교환국으로 제공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세션 관리 시스템.
  3. 삭제
  4. 기 설정한 호 세션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정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구되는 소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의 해제를 요청하는 무선망제어기; 및
    상기 무선망제어기로부터 상기 무선채널 해제가 요청되면, 소정의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호 세션을 통해 연결된 소정의 패킷교환국으로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호 세션의 삭제를 요청하는 이동통신패킷교환국(SGSN)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패킷교환국은,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호 세션의 비활성을 요청하고, 상기 무선망제어기로부터의 상기 무선채널 해제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망제어기로 상기 무선채널의 해제를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세션 관리 시스템.
  5. 삭제
  6. 기 설정한 호 세션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정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구되는 소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호 세션을 통해 연결된 무선망제어기가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의 해제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무선망제어기로부터 상기 무선채널 해제가 요청되면, 이동통신패킷교환국(SGSN)이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패킷교환국으로부터 상기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수신하면, 패킷교환국(GGSN)이 소정의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상기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패킷교환국이 상기 이동통신패킷교환국으로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호 세션의 삭제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호 세션의 삭제가 요청되면, 상기 이동통신패킷교환국이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호 세션의 비활성을 요청하는 단계;
    패킷교환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호 세션의 삭제가 요청되면, 상기 이동통신패킷교환국이 상기 무선망제어기로부터의 상기 무선채널 해제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망제어기로 상기 무선채널의 해제를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세션 관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패킷교환국이 상기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알리는 단계는,
    상기 무선망제어기로부터 상기 무선채널 해제가 요청되면, 상기 이동통신패킷교환국이 상기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옵션필드에 체크한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Update PDP Context Request를 상기 패킷교환국으로 제공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청됨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세션 관리 방법.
  8. 삭제
  9. 기 설정한 호 세션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정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무선채널의 해제가 요구되는 소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호 세션을 통해 연결된 무선망제어기가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무선채널의 해제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무선망제어기로부터 상기 무선채널 해제가 요청되면, 이동통신패킷교환국(SGSN)이 소정의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상기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패킷교환국이 상기 호 세션을 통해 연결된 소정의 패킷교환국으로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호 세션의 삭제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상기 호 삭제 대기시간 동안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패킷교환국이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호 세션의 비활성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패킷교환국이 상기 무선망제어기로부터의 상기 무선채널 해제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망제어기로 상기 무선채널의 해제를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세션 관리 방법.
  10. 삭제
KR1020080106483A 2008-10-29 2008-10-29 호 세션 관리 시스템 및 호 세션 관리 방법 KR101516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483A KR101516759B1 (ko) 2008-10-29 2008-10-29 호 세션 관리 시스템 및 호 세션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483A KR101516759B1 (ko) 2008-10-29 2008-10-29 호 세션 관리 시스템 및 호 세션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542A KR20100047542A (ko) 2010-05-10
KR101516759B1 true KR101516759B1 (ko) 2015-04-30

Family

ID=42274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6483A KR101516759B1 (ko) 2008-10-29 2008-10-29 호 세션 관리 시스템 및 호 세션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7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786B1 (ko) * 2010-10-11 2018-09-1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데이터 세션 상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2491941A (zh) * 2019-09-12 2021-03-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管理方法,相关产品及通信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820B1 (ko) * 2003-01-29 2005-04-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Wcdma 시스템에서의 일반 패킷 무선서비스(gprs) 호 처리방법
KR20060117159A (ko) * 2005-05-12 2006-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 채널을 미리 설정하는 방법 및장치
KR100779403B1 (ko) * 2004-01-08 2007-11-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KR20080092802A (ko) * 2007-04-13 2008-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저 단말기의 무선 자원 제어 상태를 아이들 상태로천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820B1 (ko) * 2003-01-29 2005-04-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Wcdma 시스템에서의 일반 패킷 무선서비스(gprs) 호 처리방법
KR100779403B1 (ko) * 2004-01-08 2007-11-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KR20060117159A (ko) * 2005-05-12 2006-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 채널을 미리 설정하는 방법 및장치
KR20080092802A (ko) * 2007-04-13 2008-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저 단말기의 무선 자원 제어 상태를 아이들 상태로천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542A (ko) 2010-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82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user equip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459126B1 (ko) 통신망의 세션 유지 제어 방법
RU2263411C2 (ru) Способ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услуги передачи пакетных данных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KR20100038447A (ko) 노드 b 내 버퍼의 선택적 퍼징을 용이하게 하는 rnc
US20060252430A1 (en) Frequency layer dispersion
JP6750126B2 (ja) ページングエリア特定方法、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ノードおよびコアネットワークノード
WO2008116378A1 (fr) Procédé et dispositif correspondant pour le rétablissement d&#39;un support de transmission
KR20110008311A (ko)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WO2011127652A1 (zh) Emps在csfb机制中的处理方法、装置及系统
WO2018127231A1 (zh) 一种终端空闲态的处理方法及装置
US200902795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leasing quality of service resources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N110431866B (zh) 控制面连接管理方法和装置
KR20070060414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 설정 지연의 최소화를 위한 호설정 방법 및 장치
US20060176845A1 (en) User equipment-based resourc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JP4464992B2 (ja) 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状態通知方法
WO2010051696A1 (zh) 一种无线资源释放的方法和系统
WO2013064067A1 (zh) 一种网络拥塞控制的方法和系统
KR101516759B1 (ko) 호 세션 관리 시스템 및 호 세션 관리 방법
JP2004511982A (ja) 2層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接続解除
CN113133063A (zh) 一种会话释放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EP1333695B1 (en) System, first and second entity and method for assigning and releasing resources
WO2007108131A1 (ja) 輻輳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WO2011150649A1 (zh) 分组数据网关重分配的方法和装置
WO2012059032A1 (zh) 一种释放lipa连接的方法、装置及系统
KR100791602B1 (ko) 세션을 관리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