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478B1 -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478B1
KR101516478B1 KR1020130090147A KR20130090147A KR101516478B1 KR 101516478 B1 KR101516478 B1 KR 101516478B1 KR 1020130090147 A KR1020130090147 A KR 1020130090147A KR 20130090147 A KR20130090147 A KR 20130090147A KR 101516478 B1 KR101516478 B1 KR 101516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viol
composition
present
skin
wrink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4665A (ko
Inventor
김효진
이상화
류종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30090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478B1/ko
Priority to PCT/KR2013/008636 priority patent/WO2014051357A1/ko
Publication of KR20150014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4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4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비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겐 합성 촉진제, 스테비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약학 조성물,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스테비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elasticity and wrinkles of skin}
본 발명은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섬유아세포의 콜라겐합성을 촉진하고, 피부의 탄력과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피부의 탄력과 주름을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포 외 기질(matrix)의 주요 구성 성분인 콜라겐은 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로서 세포 외 간질에 존재한다. 또한, 생체 단백질 총 중량의 약 30%를 차지하는 중요한 단백질로서 견고한 3중 나선구조를 가지고 있다. 콜라겐은 피부, 건(tendon), 뼈 및 치아의 유기 물질의 대부분을 형성하는데, 특히 뼈와 피부 (진피)에 그 포함량이 높다. 대부분의 다른 체 구조물에서는 섬유상 봉입체로서 존재한다. 콜라겐은 비교적 약한 면역원인데, 콜라겐의 나선 구조에 의한 잠재성 항원 결정인자의 차폐가 그 일부 원인이고, 이 나선 구조는 또한 콜라겐이 단백질 분해에 대한 내성을 갖도록 한다.
피부에 존재하는 콜라겐의 기능으로는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접착의 지탱, 세포분할과 분화(유기체의 성장 혹은 상처 치유시)의 유도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콜라겐은 연령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노화에 의해 감소하며, 이는 피부의 주름 형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근래에 들어 피부 노화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발전되면서 피부에서의 콜라겐의 중요한 기능이 밝혀지고 있다.
종래에는 콜라겐의 피부 보습효과에 기초하여 화장품에 콜라겐을 배합하는 제품들이 출시되어 있으나, 이들 화장품은 콜라겐을 피부 표면에 도포하는 것으로, 고분자인 콜라겐의 경피 흡수에 의한 보습작용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본질적으로 피부 기능을 개선한다고 말할 수 없다.
한편, 콜라겐합성 촉진물질로 기존에 레티노산(retinoic acid), TGF(transforming growth factor 발암증식인자),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 베튤린산(betulinic acid), 클로렐라 추출물(섬유아세포 증식 촉진작용) 등이 알려져 있으나, 피부적용시 자극과 발적 등의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기능을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생체에 안전하고 기존의 콜라겐 합성능 촉진 물질보다 효과가 높은 새로운 콜라겐 합성 촉진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새로운 콜라겐 합성 촉진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스테비올(Steviol)이 강력한 콜라겐 합성촉진 효과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스테비올(Stevi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겐 합성 촉진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의 탄력을 향상시키고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한, 스테비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테비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테비올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테비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스테비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겐 합성 촉진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69063035-pat00001

본 발명자들은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우수한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갖는 물질을 개발하던 중, 상기 화학식 1의 스테비올이 매우 강력한 콜라겐 합성촉진 효과가 있음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현재까지 스테비올의 콜라겐 합성 촉진능 및 피부 주름 개선효과에 관해서는 전혀 알려진 바가 없었다.
하지만, 본 발명자들의 연구 결과, 상기 화학식 1의 스테비올은 생체에 안전하고 피부의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효과가 뛰어나 피부의 탄력을 향상시키고 피부 주름 개선효과 또한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콜라겐(collagen)"이란 결합 조직의 주성분이며 뼈와 피부에 주로 분포하는 성분으로, 특히 피부의 구조와 형태를 유지하고 단단한 강도와 탄력을 제공하는 경단백질이다. 피부가 노화되거나 자외선, 열 등에 노출이 되면 콜라겐 합성능력이 떨어지고 콜라겐 양이 급속히 감소하게 된다. 콜라겐 양이 줄어들게 되면, 근육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이른바 주름(wrinkle)이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의 콜라겐 합성 촉진제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스테비올은 Stevia rebaudiana로부터 처음 분리된 다이테르펜(diterpene) 화합물로서,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내지며, 천연상태의 스테비올은 남아메리카의 파라과이ㆍ아르헨티나ㆍ브라질 등의 국경 산간지에서 자라는 Stevia rebaudiana의 잎에 함유된 천연 감미료인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의 기본골격 구조를 이룬다. 스테비올의 배당체인 스테비오사이드는 설탕의 약 300배에 달하는 단맛을 내는 천연 감미료로서, 차를 만들어 마시거나 껌 대용으로 하며 청량음료, 다이어트 식품 등의 감미료로 사용된다. 또한, 당뇨병, 심장병 등을 위한 저혈당제로 이용하기 위하여 감미료의 분말, 정제, 티백으로 유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테비올은 이와 동일한 효능을 갖는 범위 내에서 스테비올 수화물, 스테비올 유도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천연 물질로부터 분리하거나, Sigma-Aldrich Co. LLC 등의 국내외의 다양한 화학 회사들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콜라겐 합성 촉진제에 있어서, 스테비올의 함량은 0.00001 내지 99.9 중량%로 포함되거나 전체함량으로도 포함될 수 있으며, 유효함량 범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콜라겐 합성 촉진제는 여러 가지 경구 또는 비경구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스테비올에 더하여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액체 또는 고체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서는, 상기 화학식 1의 스테비올을 인간 유래의 섬유아세포 배양액에 첨가한 후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실험한 결과, 스테비올을 첨가한 실험군의 경우 스테비올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30% 이상의 콜라겐 합성증가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실시예 1)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스테비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스테비올의 작용에 의하여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의 탄력을 향상시키고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인체에 적용하여도 독성이 없어 안전하다.
본 발명의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스테비올은 스테비올을 포함하는 콜라겐 합성 촉진제와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주름"이란, 피부가 쇠하여 생긴 잔줄을 의미하는데, 유전자에 의한 원인, 피부 진피에 존재하는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감소, 외부환경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주름 개선"이란, 피부에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주름을 완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피부 탄력"이란, 진피층에 존재하는 엘라스틴(elastin)으로 구성된 탄력섬유에 의해 나타나는 탄성을 말하며, 이러한 탄력섬유는 고무와 같이 매우 낮은 탄성계수를 가지고 있어서, 작은 힘에 의해서도 쉽게 변형되고, 또 그 힘이 제거되었을 때는 쉽게 원형으로 되돌아 온다. 또한, 탄력섬유는 엘라스틴이라는 무정형의 기질에 미원섬유(microfibrils)들이 박혀 있는 형태를 띠고 있으며, 엘라스틴은 라이신에서 유래한 데스모신(desmosine)과 아이소데스모신(isodesmosine)이라는 탄력섬유에서만 발견되는 아주 톡특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이다. 이러한 데스모신과 아이소데스모신 등은 긴 펩타이드사슬안에서 가교(cross-links)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가 엘라스틴으로 하여금 고무와 같은 성질을 갖게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피부 탄력 개선"이란 엘라스틴으로 구성된 탄력섬유가 콜라겐(collagen)이라고 하는 교원섬유와 함께 존재하는데, 엘라스틴과 콜라겐이 충분히 존재하는 상태에서 피부 탄력이 유지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00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스테비올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스테비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비올의 함량이 0.00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스테비올의 함량 증가에 비하여 효과의 증가가 미미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연고, 크림, 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이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콜,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의 스테비올에 더하여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개선 기능을 갖는 물질을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주름 또는 탄력 개선 성분을 포함하게 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주름 및 탄력 개선 효과는 더욱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주름 또는 탄력 개선 성분의 추가시에는 복합 사용에 따른 피부 안전성, 제형화의 용이성, 유효성분들의 안정성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주름 및 탄력 개선용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주름 개선 성분으로서, 레티노산, TGF,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 베튤린산 및 클로렐라 추출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주름 개선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주름 개선 성분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01 중량%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중량%는 콜라겐 합성 촉진 활성, 피부 안전성, 화학식 1의 스테비올과의 제형화 시의 용이성 등의 요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스테비올을 0.2 중량%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여성의 안면부에 1일 2회 3개월간 도포한 후, 주름 및 탄력 개선에 대하여 확인한 결과, 스테비올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에 비하여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시험예 1)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스테비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스테비올 및 조성물 내의 스테비올 함량 등은 상기에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외용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탄력 및 주름 개선용 약학 조성물은 연고, 크림 등의 외용제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비경구 투여 중 경피투여,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topical application) 경로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1일 0.0001 내지 1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스테비올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테비올을 포함하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스테비올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0001 중량% 내지 10 중량%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식품이 음료일 경우,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스테비올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스테비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체의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의 탄력을 개선하거나 주름을 예방 및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스테비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상기 개체는, 쥐, 가축, 인간 등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도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의 피부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접촉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해당 조성물을 피부 내부로 흡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도포로 주름의 발생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하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도포로 주름 상태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거나, 피부 탄력이 이전보다 강해지거나, 노화로 인한 피부의 탄력 소실의 속도를 늦추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의 스테비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겐 합성 촉진제 및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은 스테비올의 뛰어난 콜라겐 합성 촉진능으로 인하여 피부에 적용시 우수한 콜라겐 합성 향상 및 주름과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스테비올의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상기 화학식 1의 스테비올을 인간유래의 섬유아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수준에서 콜라겐 합성촉진효과를 실험하였다. 생합성된 콜라겐의 측정은 PICP EIA kit(Procollagen Type I C-Peptide Enzyme ImmunoAssay KIT)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스테비올을 0.25㎍/ml, 0.5㎍/ml가 되도록 하여 Vitamin C와 대조군과 함께 각각 인간 섬유아세포의 배양배지에 첨가하여 1일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취하여 PICP EIA Kit로 각 농도에서 콜라겐 생합성 정도를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50nm에서 측정하였다. 콜라겐 생합성능은 대조군(무첨가)에 대한 상대적인 합성능으로 증가율을 계산하여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표 1]
스테비올의 농도에 따른 콜라겐 합성능
Figure 112013069063035-pat00002
*반복수 = 6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스테비올은 인간 유래의 섬유아세포에 대하여 우수한 콜라겐 합성 촉진능을 가짐이 확인되었다.
제조예 1 및 비교예 1: 스테비올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연고의 제조
스테비올을 함유하거나(제조예 1) 함유하지 않는(비교예 1) 피부 외용 연고 제제를 하기 표 2의 조성에 따라 제조하였다.
[표 2]
Figure 112013069063035-pat00003

제조예 2 및 비교예 2: 스테비올을 함유하는 크림의 제조
스테비올을 함유하거나(제조예 2) 함유하지 않는(비교예 2) 크림 제제를 하기 표 3의 조성에 따라 제조하였다.
[표 3]
Figure 112013069063035-pat00004

제조예 3 및 비교예 3: 스테비올을 함유하는 유연화장수의 제조
스테비올을 함유하거나(제조예 3) 함유하지 않는(비교예 3) 유연화장수 제제를 하기 표 4의 조성에 따라 제조하였다.
[표 4]
Figure 112013069063035-pat00005
제조예 4 및 비교예 4: 스테비올을 함유하는 영양화장수의 제조
스테비올을 함유하거나(제조예 4) 함유하지 않는(비교예 4) 영양화장수 제제를 하기 표 5의 조성에 따라 제조하였다.
[표 5]
Figure 112013069063035-pat00006

제조예 5 및 비교예 5: 스테비올을 함유하는 팩의 제조
스테비올을 함유하거나(제조예 5) 함유하지 않는(비교예 5) 팩 제제를 하기 표 6의 조성에 따라 제조하였다.
[표 6]
Figure 112013069063035-pat00007

제조예 6 및 비교예 6: 스테비올을 함유하는 에센스의 제조
스테비올을 함유하거나(제조예 6) 함유하지 않는(비교예 6) 에센스 제제를 하기 표 7의 조성에 따라 제조하였다.
[표 7]
Figure 112013069063035-pat00008

시험예 1: 스테비올을 포함하는 에센스의 주름개선 효과 확인
상기 제조예 6과 비교예 6의 에센스에 대해서 건강한 35세에서 50세의 여성을 대상으로 주름개선 효과를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35세에서 50세까지의 여성 30명을 15명씩 2개의 군으로 구분하고 1군은 스테비올을 0.2% 함유하는 제조예 6의 에센스를, 2군은 비교예 6의 에센스를 안면부에 1일 2회 3개월간 도포하였다.
3개월 후 주름의 개선 정도를 피험자의 설문 및 주름의 영상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피험자의 설문은 주름개선 및 탄력증진에 관하여 사용전과 비교하여 개선 없음, 약간의 개선, 상당한 개선의 3단계로 판정하였으며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8]
본 발명에 의한 제조예의 주름개선 효과
Figure 112013069063035-pat00009

상기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조예를 사용한 경우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하였다.
한편, 주름의 영상분석에 의한 평가는 실험이 시작되기 전 눈 밑의 레플리카(replica)를 채취하고(Xantopren, Bayer), 실험이 종료된 직후 레플리카를 눈밑의 동일 부위에서 채취하여 영상분석을 통해 주름의 2차원적 분석으로 주름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영상분석에 의한 주름밀도의 측정 결과는 표 9에 사용 전의 주름 밀도에 대한 감소율을 평균하여 나타내었다.
[표 9]
본 발명에 의한 제조예의 주름개선 효과(영상분석)
Figure 112013069063035-pat00010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테비올을 포함하는 제조예를 도포한 경우 주름의 밀도가 사용전보다 크게 감소하였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스테비올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의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잘 보여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스테비올 또는 이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겐 합성 촉진제.
    [화학식 1]
    Figure 112013069063035-pat00011

  2.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스테비올 또는 이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3069063035-pat00012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00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스테비올 또는 이의 수화물을 포함하는 것인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외용연고, 크림, 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피부 주름개선 성분 또는 피부탄력 증진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추가의 피부 주름개선 성분은 레티노산, TGF,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 베튤린산 및 클로렐라 추출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9. 하기 화학식 1의 스테비올 또는 이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3069063035-pat00013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00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스테비올 또는 이의 수화물을 포함하는 것인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약학 조성물.
  11. 하기 화학식 1의 스테비올 또는 이의 수화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3069063035-pat00014

KR1020130090147A 2012-09-28 2013-07-30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16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147A KR101516478B1 (ko) 2013-07-30 2013-07-30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CT/KR2013/008636 WO2014051357A1 (ko) 2012-09-28 2013-09-26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147A KR101516478B1 (ko) 2013-07-30 2013-07-30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665A KR20150014665A (ko) 2015-02-09
KR101516478B1 true KR101516478B1 (ko) 2015-05-04

Family

ID=52571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147A KR101516478B1 (ko) 2012-09-28 2013-07-30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4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68811A (zh) * 2021-10-18 2021-12-10 天津尚美化妆品有限公司 一种紫丁香苷在制备改善皮肤弹性及改善皱纹的组合物中的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6795A (ja) 2009-12-16 2011-06-30 Maruzen Pharmaceut Co Ltd I型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6795A (ja) 2009-12-16 2011-06-30 Maruzen Pharmaceut Co Ltd I型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665A (ko) 2015-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610B1 (ko) 제니포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51763A (ko) 주름개선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
KR101516478B1 (ko)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81226B1 (ko) 레바우디오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79977A (ko) 프레이럽토린 에이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78259A (ko) 아이소스테비올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452582B1 (ko) 테트라하이드로팔마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61933B1 (ko) 4-(4-하이드록시페닐)-2-부타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434034B1 (ko) 홀시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56322B1 (ko) 가르데노시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101505712B1 (ko) 히파코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56321B1 (ko) 디오스메틴 7-o-베타-d-글루코피라노시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20170080069A (ko) 에스큘렌토사이드 에이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80074A (ko) 브라시놀라이드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76429A (ko) 폴리갈라사포닌 f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80084A (ko) 네포딘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79975A (ko) 아주골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418909B1 (ko) 8-진저롤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40042586A (ko) 스테비오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26452A (ko) 브레비스카핀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20160026443A (ko) 로가닉산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20170076490A (ko) 투베이모사이드 b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78251A (ko) 옥시페우세다닌 수화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76416A (ko) 오바쿠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80077A (ko) 호모플란타지닌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