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3802B1 - 게임 캐릭터 교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게임 캐릭터 교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3802B1
KR101513802B1 KR1020130115938A KR20130115938A KR101513802B1 KR 101513802 B1 KR101513802 B1 KR 101513802B1 KR 1020130115938 A KR1020130115938 A KR 1020130115938A KR 20130115938 A KR20130115938 A KR 20130115938A KR 101513802 B1 KR101513802 B1 KR 101513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probability
component
game
attribu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5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6918A (ko
Inventor
함선우
권혁빈
Original Assignee
(주)스마일게이트엔터테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마일게이트엔터테인먼트 filed Critical (주)스마일게이트엔터테인먼트
Priority to KR1020130115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3802B1/ko
Publication of KR20150036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6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6Computing the motion of game characters with respect to other game characters, game objects or elements of the game scene, e.g. for simulating the behaviour of a group of virtual soldiers or for path f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게임 캐릭터 교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구성요소를 통해 생성된 게임 캐릭터의 게임 캐릭터 교배 방법은, 구성요소를 증여할 증여자 캐릭터와 구성요소를 증여받을 수증자 캐릭터가 선택되면, 상기 증여자 캐릭터의 구성요소별 속성이 재추첨될 가능성이 높아지도록 구성요소별 추첨 확률을 조정하는 단계; 상기 증여자 캐릭터의 다수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증여 대상으로 선택되면, 상기 조정된 추첨 확률에 따라 상기 증여대상 각각의 속성을 추첨하는 단계; 및 상기 증여대상 각각의 속성을 상기 수증자 캐릭터에 반영하여 새로운 캐릭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게임 캐릭터 교배 동작을 통해 생성될 수 있는 캐릭터 종류는 획기적으로 증가시키되, 사용자 필요시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특성의 캐릭터를 보다 손쉽고 신속하게 만들 수 있도록 해준다.

Description

게임 캐릭터 교배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ROSSBREEDING CHARACTER IN GAME}
본 발명은 게임 캐릭터 교배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캐릭터 교배 동작을 통해 생성할 수 있는 캐릭터 종류를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게임 캐릭터 교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온라인 게임들은 캐릭터를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한다. 즉, 액션 게임, 스포츠 게임, 롤 플레잉 게임과 같은 다양한 게임들은 게임 유저가 하나의 캐릭터를 선택하여 게임을 진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캐릭터가 단순히 게임 유저의 아바타로써 동작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게임 진행 능력치(예를 들어, 공격력, 방어력, 민첩성 등)을 반영하도록 함으로써, 많은 게임 유저는 캐릭터를 성장 또는 구매하여 게임 진행에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최근에 들어서는 캐릭터 교배 시스템을 도입하고, 이를 통해 게임 유저가 두 개의 캐릭터를 선택, 교배하여 새로운 외형 및 게임 능력치를 가지는 새로운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게임 유저에게 새로운 재미를 부여하고 있다.
다만, 종래의 캐릭터 교배 시스템은 캐릭터 단위로 교배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캐릭터 교배 동작을 통해 생성될 수 있는 캐릭터 종류가 상대적으로 작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타이니팜이라는 게임의 경우, 흰 강아지와 검은 강아지를 교배하는 경우 흰 강아지, 검은 강아지, 회색 강아지가 나올 확률을 각각 45,45,10%로 설정하고, 이 3가지 결과 값 중 하나만 나오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캐릭터 교배 시스템을 통해 생성되는 캐릭터 종류가 작은 경우, 캐릭터의 랜덤성이 낮아져 게임 유저의 흥미가 손쉽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캐릭터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속성을 고려하여 캐릭터 교배 동작을 세분화시킴으로써, 교배 동작을 통해 생성될 수 있는 캐릭터의 종류가 획기적으로 증가될 수 있도록 하는 게임 캐릭터 교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캐릭터의 구성요소 속성 증여 동작을 지원하여, 사용자 필요시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속성을 가지는 캐릭터를 보다 손쉽고 신속하게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게임 캐릭터 교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수의 구성요소를 통해 생성된 캐릭터의 게임 캐릭터 교배 방법은, 구성요소를 증여할 증여자 캐릭터와 구성요소를 증여받을 수증자 캐릭터가 선택되면, 상기 증여자 캐릭터의 구성요소별 속성이 재추첨될 가능성이 높아지도록 구성요소별 추첨 확률을 조정하는 단계; 상기 증여자 캐릭터의 다수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증여 대상으로 선택되면, 상기 조정된 추첨 확률에 따라 상기 증여대상 각각의 속성을 추첨하는 단계; 및 상기 증여대상 각각의 속성을 상기 수증자 캐릭터에 반영하여 새로운 캐릭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는 증여자 캐릭터의 희귀 정도 또는 게임 등급에 따라 추첨 확률 조정량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법에서는 증여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게임 아이템의 소유 여부에 따라 추첨 확률 조정량이 가변될 수도 있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요소별 추첨 확률은 동일 구성 요소에 속하는 다수의 속성 각각에 매핑된 추첨 확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구성요소에 속하는 다수의 속성 각각에 대한 추첨 확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증여대상 각각의 속성을 추첨하는 단계는 상기 구성요소별 추첨 확률에서 상기 증여 대상 각각에 대응되는 구성요소의 추첨 확률만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추첨 확률을 기반으로 상기 증여 대상 각각에 대응되는 속성을 추첨 및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 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별 추첨 확률은 동일 구성요소에 속하는 다수의 하위 속성 각각에 매핑된 다른 상위 속성 그룹으로의 전이 확률과, 동일 상위 속성에 속하는 다수의 하위 속성 각각에 매핑된 추첨 확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면, 상기 증여대상 각각의 속성을 추첨하는 단계는 상기 구성요소별 추첨 확률에서 상기 증여 대상 각각에 대응되는 구성요소의 전이 확률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전이확률을 기반으로 상기 증여 대상 각각에 대응되는 상위 속성을 추첨 및 결정하는 단계; 상기 구성요소별 추첨 확률에서 상기 추첨된 상위 속성에 대응되는 추첨 확률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추첨 확률을 기반으로 상기 증여 대상 각각에 대응되는 하위속성을 추첨 및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수의 구성요소를 통해 생성된 캐릭터에 대한 교배 동작을 수행하는 게임 캐릭터 교배 장치는, 다수의 속성이 구성요소 단위로 그룹핑된 후, 상기 다수의 속성 각각의 추첨 확률이 그룹 단위로 저장된 제1 확률표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구성요소를 증여할 증여자 캐릭터와 구성요소를 증여받을 수증자 캐릭터가 선택되면, 상기 증여자 캐릭터의 구성요소별 속성이 재추첨될 가능성이 높아지도록 구성요소별 추첨 확률을 조정하고, 상기 증여자 캐릭터의 다수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증여 대상으로 선택되면, 상기 조정된 추첨 확률에 따라 상기 증여대상 각각의 속성을 추첨한 후 상기 수증자 캐릭터에 반영하여 새로운 캐릭터를 생성하는 교배 수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캐릭터 교배 장치 및 방법은 게임 캐릭터 교배 동작을 통해 생성될 수 있는 캐릭터의 종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될 수 있도록 하여, 캐릭터의 랜덤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게임 유저의 흥미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특정 캐릭터의 구성 요소 속성을 다른 캐릭터에 증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즉 하나의 캐릭터만을 남기되, 남겨진 캐릭터가 없어지는 캐릭터가 가지고 있던 구성요소의 속성을 증여받을 수 있는 가능성을 높여줌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속성을 가지는 캐릭터를 보다 손쉽고 신속하게 만들 수 있도록 해준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게임 캐릭터 교배 방법을 지원하기 위한 확률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게임 캐릭터 교배 방법을 지원하기 위한 확률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 기반 게임 캐릭터 교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속성 기반 게임 캐릭터 교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게임 캐릭터 교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게임 캐릭터 교배 방법을 지원하기 위해 제1 확률표를 조정한 예를 시한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게임 캐릭터 교배 방법을 지원하기 위해 제2 및 제3 확률표를 조정한 예를 시한 도면이다.
도9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게임 캐릭터 교배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1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교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등급 표시 아이콘 크기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게임 캐릭터 교배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캐릭터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는 사람, 동물 등을 형상화한 캐릭터로, 눈, 코, 입, 몸통, 꼬리, 날개, 헤어, 색상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조합하여 생성된다.
캐릭터는 구성요소 각각의 속성에 따라 그 형상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동일한 용이라 하더라도 꼬리, 날개, 색상의 속성에 따라"흰 날개에 검은 몸과 회색 꼬리를 가진 용"가 될 수도, "파란 날개에 붉은 몸과 노란 꼬리를 가진 용"이 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각각의 속성을 다양하게 변화시킴으로써 캐릭터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하여, 캐릭터 교배 동작 또한 구성요소 단위로 수행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도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요소 각각의 속성을 상위 속성과 하위 속성으로 나눈 후, 캐릭터 교배 동작을 속성 단위로 수행할 수도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캐릭터 교배 단위가 더욱 세분화되어, 캐릭터 교배 동작을 통해 생성되는 캐릭터 종류가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릭터 교배 동작을 통해 캐릭터 색상을 결정하되, 캐릭터 교배 동작이 구성요소 단위로 수행된다면, 캐릭터의 색상이 블루(blue), 레드(red), 그린(green), 엘로우(yellow)의 총 4가지로 변화되나, 캐릭터 교배 동작이 속성 단위로 수행된다면, 캐릭터의 색상이 "블루의 하위 속성 개수(예를 들어, 4) + 레드의 하위 속성 개수(예를 들어, 4) + 그린의 하위 속성 개수(예를 들어, 5) + 엘로우의 하위 속성 개수(예를 들어, 6)"의 총 19가지로 변화 될 수 있다.
도2 및 도3은 본 발명의 게임 캐릭터 교배 방법을 지원하기 위한 확률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와 같이 구성되는 제1 확률표 각각은, 도1의 (a)와 같이 구성되는 캐릭터에 대한 구성요소 단위 캐릭터 교배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구성요소 각각에 대응된다. 이는 제1 확률표 각각은 동일 구성요소에 속하는 다수의 속성 각각에 대한 추첨 확률이 저장된다.
도3의 (a)와 같이 구성되는 제2 확률표 각각은, 도1의 (b)와 같이 구성되는 캐릭터에 대한 구성요소 단위 캐릭터 교배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구성요소 각각에 대응된다. 그리고 제2 확률표 각각에는 다수의 하위 속성 각각에 대한 다른 상위 속성 그룹으로의 전이 확률이 저장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확률표에 따르면, 하나의 하위 속성에 대응되는 전이 확률을 모두 더하면, 50%이 되는 특징을 가진다. 즉, "deep blue"의 하위 속성의 Blue group, Red group, Purple group, Yellow group, Black group으로의 전이 확률은 2, 30, 10, 5, 3으로 이를 모두 더하면 50%가 됨을 알 수 있다.
도3의 (b)와 같이 구성되는 제3 확률표 각각은, 도1의 (b)와 같이 구성되는 캐릭터에 대한 속성 단위 캐릭터 교배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상위 속성 각각에 대응된다. 그리고 제3 확률표 각각에는 동일 상위 속성에 속하는 다수의 하위 속성 각각에 대한 추첨 확률이 저장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 기반 게임 캐릭터 교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는 도2의 제1 확률표를 기반으로 수행된다.
만약, 두 개의 캐릭터가 선택되고(S11), 이들의 교배가 요청되면(S12), 캐릭터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파악하고, 파악된 구성요소들 각각에 대응되는 제1 확률을 모두 수집한다(S13).
단계 S13을 통해 수집된 제1 확률표를 기반으로, 구성요소 기반 캐릭터 교배 동작을 수행한다. 즉, 눈, 코, 입, 몸통, 꼬리, 날개, 헤어, 색상 각각에 대한 캐릭터 교배 동작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S14).
단계 S14에서는 눈, 코, 입, 몸통, 꼬리, 날개, 헤어, 색상과 같은 각각에 대한 캐릭터 교배 동작이 독립적으로 수행될 것이다. 즉, 캐릭터의 색상은 표1에서와 같은 제1 확률표에 따라 "blue", "Red", "Purple", "Yellow", "Black"중 하나가 35%, 15%, 33%, 12%, 5%의 확률로 랜덤 추첨되고,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캐릭터의 나머지 구성요소에 대한 속성도 결정된다.
Collar group 확률(%)
blue 40
deep blue 10
sky blue 25
ocean blue 20
blue black 5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캐릭터 교배 동작은 캐릭터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즉, 눈, 코, 입, 몸통, 꼬리, 날개, 헤어 각각에 대해 수행되므로, 본 발명의 캐릭터 교배 동작을 통해 생성될 수 있는 캐릭터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될 수 있는 것이다.
단계 S14의 구성요소 기반 캐릭터 교배 동작이 완료되면, 캐릭터 교배 동작 결과를 눈, 코, 입, 몸통, 꼬리, 날개, 헤어, 색상과 같은 구성요소 각각에 반영한 후(S15), 이들을 모두 조합하여 새로운 캐릭터를 생성한다(S16).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속성 기반 게임 캐릭터 교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만약, 두 개의 캐릭터가 선택되고(S21), 이들의 교배가 요청되면(S22), 캐릭터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파악하고, 파악된 구성요소들 각각에 대응되는 제2 확률을 모두 수집한다(S23).
단계 S23을 통해 수집된 제2 확률표를 기반으로 한 구성요소 기반 캐릭터 교배 동작을 수행하여, 눈, 코, 입, 몸통, 꼬리, 날개, 헤어, 색상과 같은 구성요소 각각에 대한 상위 속성을 결정한다(S24).
단계 S24에서는 눈, 코, 입, 몸통, 꼬리, 날개, 헤어, 색상과 같은 각각에 대한 캐릭터 교배 동작이 독립적으로 수행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색상에 대한 캐릭터 교배 동작에 대해서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만약, 교배 요청된 두 개의 캐릭터 중 하나(이하, 제1 캐릭터)의 색상이 스카이 블루(sky blue)이고, 나머지 하나(이하, 제2 캐릭터)의 색상이 오션 블루(ocean blue) 이라면, 색상 구성요소에 대응되는 제2 확률표에서 스카이 블루(sky blue) 색상에 대응되는 추첨 확률과 오션 블루(ocean blue) 색상에 대응되는 추첨 확률만을 추출한다.
그러고 나서, 이하 표2에서와 같이 스카이 블루(sky blue) 색상에 대응되는 추첨 확률과 오션 블루(ocean blue) 색상에 대응되는 추첨 확률을 동일 항목별로 더하여 색상 구성요소 추첨을 위한 최종 추첨 확률을 산출한다. 참고로, 스카이 블루(sky blue) 색상에 대응되는 확률합과 오션 블루(ocean blue) 색상에 대응되는 확률합 각각은 50%이므로, 이 둘은 합한 최종 추첨 확률은 100%이 된다.
그러고 나서, 최종 추첨 확률을 기반으로 교배를 통해 생성될 캐릭터의 색상을 결정한다. 즉, "blue Group", "Red Group", "Purple Group", "Yellow Group", "Black Group"중 하나의 색상 그룹을 15%, 15%, 33%, 32%, 5%의 확률로 랜덤 추첨하도록 한다.
(%)
교배 결과 색상
Blue Red Purple Yellow Black
sky blue 5 10 30 2 3
ocean blue 10 5 3 30 2
최종 추첨 확률 15 15 33 32 5
단계 S24를 통해 구성요소 각각에 대한 상위 속성이 결정 완료되면, 해당 상위 속성에 대응되는 제3 확률을 모두 수집한 후(S25), 이들을 기반으로 속성 기반 캐릭터 교배 동작을 수행하여, 눈, 코, 입, 몸통, 꼬리, 날개, 헤어, 색상과 같은 구성요소 각각에 대한 하위 속성을 결정한다(S26).
즉, 단계 S24를 통해 캐릭터 색상이 블루 그룹으로 결정되었으면, 캐릭터의 색상에 관련된 다수의 제3 확률표 중에서 표3와 같이 블루 그룹에 대응되는 제3 확률표만을 획득한 후, 이를 기반으로 랜덤 함수를 돌려 "blue", "deep blue", "sky blue", "ocean blue", "blue black"중 하나의 색상을 20%, 20%, 1%, 30%, 29%의 확률로 랜덤 추첨하도록 한다.
Blue group 확률(%)
blue 20
deep blue 20
sky blue 1
ocean blue 30
blue black 29
단계 S26를 통해 눈, 코, 입, 몸통, 꼬리, 날개, 헤어, 색상과 같은 구성요소 각각에 대한 하위 속성이 모두 결정되면, 해당 속성을 구성요소에 반영한 후 이들을 모두 조합하여 새로운 캐릭터를 생성한다(S27).
이와 같이, 도5의 게임 캐릭터 교배 방법은 도4의 게임 캐릭터 교배 방법에 비해 더욱 세분화된 캐릭터 교배 동작을 수행하므로, 더욱 증가된 경우 수를 제공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한편,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 중에는 제1 캐릭터의 구성요소1과 제2 캐릭터의 구성요소2를 합치고자 하는 욕구도 존재할 수 있는 데, 앞서 설명된 캐릭터 교배 동작은 너무 많은 경우의 수를 가지므로, 매우 많은 횟수의 캐릭터 교배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제1 캐릭터의 구성요소1과 제2 캐릭터의 구성요소2가 우연히 같이 나오길 바라는 수 밖에 없게 된다.
이는 사용자를 몹시 지치게 하고, 확률이 너무 낮아 캐릭터 교배 동작을 통해 제1 캐릭터의 구성요소1과 제2 캐릭터의 구성요소2 모두 가지는 캐릭터를 실제 생성하기가 불가능에 가까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카드 게임처럼 둘 중 하나의 캐릭터만을 남기되, 남겨진 캐릭터가 없어지는 캐릭터가 가지고 있던 구성요소의 속성을 증여받을 가능성을 인위적으로 증가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속성을 가지는 캐릭터를 보다 손쉽고 신속하게 만들 수 있도록 해준다.
도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게임 캐릭터 교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이를 위해 증여자 캐릭터의 색상 구성요소가 수증자 캐릭터에 증여될 수 있도록 하는 캐릭터 교배 동작에 대해서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만약, 두 개의 캐릭터의 교배 동작이 요청되고, 두 개의 캐릭터 중 하나가 증여자 캐릭터로, 나머지 하나가 수증자 캐릭터로 선택되면(S31), 증여자 캐릭터의 구성요소 각각에 대응되는 추첨 확률을 조정하여, 증여자 캐릭터의 구성요소별 속성이 재추첨될 가능성이 높아지도록 한다(S32).
즉, 본 발명에서는 증여자 캐릭터가 도1의 (a)의 구조를 가지며 색상 구성요소가 "Black"의 속성을 가진다고 가정하면, 색상 구성요소에 대응되는 추첨 확률은 도7에서와 같이 조정되고, 도1의 (b)의 구조를 가지며 색상 구성요소가 "Black"의 속성을 가진다고 가정하면, 색상 구성요소에 대응되는 추첨 확률은 도8에서와 같이 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도7과 같은 조정 후 제2 확률표는 도3의 조정 전 제2 확률표와 달리, 하나의 하위 속성에 대응되는 전이 확률을 모두 더하면 100%이 되는 확률값을 가지도록 한다. 이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배 동작은 두개 캐릭터의 확률을 모두 고려하여 수행되는 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교배 동작은 증여자 캐릭터의 확률만을 고려하여 수행되는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색상 구성요소의 교배 동작시 블루 그룹(Blue group)를 1차 선택할 확률은 "5%"에서 "60%"로 증가되고, 블루 그룹에서 스카이 블루(sky blue)를 2차 선택할 확률은 "1%"에서 "60%"로 증가되도록 조정하여, 교배 동작시 증여자 캐릭터의 색상 구성요소의 속성이 재추첨될 확률이 급격히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증여자 캐릭터의 다수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증여 대상으로 선택되면(S33), 조정된 추첨 확률(즉, 도7 또는 도8의 확률표)에 따라 증대 대상 각각의 속성을 추첨하도록 한다(S34).
즉, [표4]에서와 같이 조정된 다른 그룹으로의 전이 확률을 기반으로, "blue Group", "Red Group", "Purple Group", "Yellow Group", "Black Group"중 하나의 색상 그룹을 60%, 10%, 20%, 4%, 6%의 확률로 색상 구성 요소의 상위 속성을 랜덤 추첨하도록 한다. 그리고 색상 구성 요소의 상위 속성이 "blue Group"으로 결정되었으면, [표5]에서와 같이 조정된 하위 속성 추첨 확률을 기반으로 랜덤 함수를 돌려 "blue", "deep blue", "sky blue", "ocean blue", "blue black"중 하나의 색상을 6%, 4%, 60%, 20%, 10%의 확률로 랜덤 추첨하도록 한다.
Collar group Blue Red Purple Yellow Black
sky blue 60 10 20 4 6
Blue group 확률(%)
blue 6
deep blue 4
sky blue 60
ocean blue 20
blue black 10
그리고 단계 S34의 추첨 동작이 완료되면, 증대 대상 각각의 속성을 수증자 캐릭터에 반영하여 새로운 캐릭터를 생성하도록 한다(S35).
본 발명에서는 증여자 캐릭터의 희귀 정도 또는 게임 등급(level)에 따라 추첨 확률 조정량 달리 해줄 수 있도록 한다. 즉, 증여자 캐릭터의 희귀 정도가 높을수록, 레벨이 높을 수록, 증여자 캐릭터의 구성요소 속성의 재추첨 확률을 더욱 많이 증가시켜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증여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게임 아이템을 발급 또는 판매한 후, 해당 게임 아이템을 구비한 사용자가 캐릭터 증여 동작을 요청하면, 상기의 추첨 확률 조정량이 더욱 증가되도록 할 수 도 있을 것이다.
도9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게임 캐릭터 교배 시스템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게임 캐릭터 교배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10 ~ 130), 네트워크(200), 게임 서버(300) 및 캐릭터 교배 장치(400)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10 ~ 130)은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게임 클라이언트가 설치되고,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게임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게임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며, 입력 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인가받아 네트워크(200)를 통해 게임 서버(300) 및 캐릭터 교배 장치(4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10 ~ 130)은 사용자에게 게임의 진행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명령을 인가받기 위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게임 클라언트를 구동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10 ~ 130)은 컴퓨터, 태블릿 PC, 이동 통신 단말기, 전용 게임기로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2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10 ~ 130)과 게임 서버(300) 및 소리 제어 장치(400) 사이에 통신을 제공한다. 네트워크(200)는 통신 및 통신망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네트워크(200)은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네트워크(200)는 근거리 네트워크 및 원거리 광역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게임 서버(300)는 사용자들이 접속하여 게임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하여 접속하게 되는 서버 컴퓨터이다. 게임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10 ~ 130)에서 구동 가능한 게임 컨텐츠가 포함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110 ~ 130) 로 제공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10 ~ 130)이 접속할 수 있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게임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서버(300)는 사용자들이 게임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도록 각종 서비스 기능을 부가 서비스로서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뿐 만 아니라 게임 서버는 게임 진행 시에 사용될 수 있는 각종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결제 수단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3 에서는 하나의 게임 서버(300)만을 도시하였으나, 복수개의 게임 서버(300)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복수개의 게임 서버(300)는 기능에 따라 구분되어 각기 다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게임 서버(300)은 각각 독립적으로 게임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소정 개수의 게임 서버(300)가 그룹으로 게임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게임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110 ~ 130)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수행하는 게임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게임 서버(300)는 복수개의 캐릭터와 복수개의 맵 정보를 게임 컨텐츠로서 제공할 수 있다. 캐릭터는 온라인 게임 중 일 종목을 사용자들이 체험할 수 있는 게임 내에 등장하는 모든 캐릭터들을 의미한다. 캐릭터는 게임 화면 상에 등장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게임 내에서 일정한 행동을 하게 된다. 또한, 캐릭터는 게임의 수행 결과에 따라서 일정한 경험치를 쌓으면서 레벨이 상승될 수 있으며, 레벨의 상승에 따라서 캐릭터의 능력치가 강해 질 수 있다.
또한 맵은 사용자가 운용하는 캐릭터가 주어진 미션을 수행하기 위하여 활동하는 게임 상의 가상 공간을 의미한다. 맵은 게임의 종류에 따라 그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제공된다. 게임의 종류에 따라서 맵은 실제 세계의 지상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숲이나 산속 또는 도시로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종류의 게임에서는 하늘이나 바닷속 또는 우주 공간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즉 맵은 특정한 공간을 지칭하지 않고, 게임의 종류에 따라 어떤 형태의 가상 공간이라도 맵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캐릭터 교배 장치(40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온라인 게임상에의 캐릭터 교배 동작을 수행하고, 캐릭터 교배 동작을 통해 새로운 캐릭터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10 ~ 130)에 표시하기 위해 구비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캐릭터 교배 장치(400)는 앞서 설명된 확률표들을 사전에 생성 및 등록하며, 필요한 경우 게임 관리자가 이들을 업데이트할 수도 있도록 한다.
즉, 캐릭터 교배 장치(400)는 사용자가 게임 서버(300)가 서비스하는 게임을 진행하던 도중에 사용자가 두 개의 캐릭터를 선택하여 이들의 교배를 요청하면, 앞서 설명된 구성요소 또는 속성 단위로 캐릭터 교배 동작을 수행하고, 캐릭터 교배 결과를 사용자 단말(110 ~ 130)에 통보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교배되는 두 개의 캐릭터는 동일 사용자가 구비한 두 개의 캐릭터일 수도 있고, 두 명의 사용자가 각각 구비한 두 개의 캐릭터일 수도 있을 것이다.
도9 에서는 캐릭터 교배 장치(400)가 별도의 장치로 도시되었으나, 캐릭터 교배 장치(4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10 ~ 13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으며, 게임 서버(30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캐릭터 교배 장치(4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10 ~ 130) 및 게임 서버(300)에서 구동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도1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교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캐릭터 교배 장치(400)는 수신부(410), 저장부(420), 교배 수행부(430) 및 캐릭터 제공부(440)를 포함한다.
수신부(410)는 먼저 게임 서버(300)로부터 사용자가 교배 요청한 두 개의 캐릭터에 대한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캐릭터 구성 정보에는 도1의 (a) 또는 (b)에서와 같은 캐릭터를 구성하는 다수의 구성요소, 다수의 구성요소 각각에 속하는 다수의 속성에 대한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있을 것이다.
저장부(420)는 앞서 설명된 확률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한다.
교배 수행부(430)는 사용자가 교배 요청한 두 개의 캐릭터를 분석하여, 교배 요청된 캐릭터가 도1의 (a)와 같이 구성되는 지 또는 도1의 (b)와 같이 구성되는 지 파악한다. 만약, 캐릭터의 각 구성요소에 속하는 속성들이 도1의 (a)와 같이 비계층적 구조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제1 확률표를 기반으로 구성요소 기반 캐릭터 교배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새로운 캐릭터를 생성하도록 한다. 반면, 캐릭터의 각 구성요소에 속하는 속성들이 도1의 (b)와 같이 계층 구조를 가질 경우에는 제2 확률표를 기반으로 구성요소 기반 캐릭터 교배 동작을 수행한 후, 제3 확률표를 기반으로 속성 기반 캐릭터 교배 동작을 추가 수행함으로써, 새로운 캐릭터를 생성하도록 한다.
또한, 교배 수행부(430)는 캐릭터의 구성요소 증여 동작을 지원하여, 사용자가 교배할 두 개의 캐릭터 중 증여자로 선택된 캐릭터의 구성 요소 속성이 최대한 많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해주기도 한다.
즉, 구성요소를 증여할 증여자 캐릭터와 구성요소를 증여받을 수증자 캐릭터가 선택되면, 증여자 캐릭터의 구성요소별 속성이 재추첨될 가능성이 높아지도록 구성요소별 추첨 확률을 조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증여자 캐릭터의 다수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증여 대상으로 선택되면, 조정된 추첨 확률에 따라 증여대상 각각의 속성을 추첨한다. 그리고 추첨된 증여대상 각각의 속성을 수증자 캐릭터에 반영하여 새로운 캐릭터를 생성하도록 한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캐릭터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모두에 대해 캐릭터 교배 동작을 수행되도록 하나, 필요한 경우 구성요소 중 일부만을 선택하고 이에 대해서만 캐릭터 교배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도 있을 것이다. 즉, 캐릭터 교배 동작이 수행될 구성요소의 종류를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 명령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하나 이상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캐릭터 교배 장치 및 표시방법을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뿐 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 등의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다수의 구성요소를 통해 생성된 캐릭터의 게임 캐릭터 교배 방법에 있어서,
    구성요소를 증여할 증여자 캐릭터와 구성요소를 증여받을 수증자 캐릭터가 선택되면, 상기 증여자 캐릭터의 구성요소별 속성이 재추첨될 가능성이 높아지도록 구성요소별 추첨 확률을 조정하는 단계;
    상기 증여자 캐릭터의 다수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증여 대상으로 선택되면, 상기 조정된 추첨 확률에 따라 상기 증여대상 각각의 속성을 추첨하는 단계; 및
    상기 증여대상 각각의 속성을 상기 수증자 캐릭터에 반영하여 새로운 캐릭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구성요소별 추첨 확률은
    동일 구성 요소에 속하는 다수의 속성 각각에 매핑된 추첨 확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구성요소에 속하는 다수의 속성 각각에 대한 추첨 확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캐릭터 교배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증여자 캐릭터의 희귀 정도 또는 게임 등급에 따라 추첨 확률 조정량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캐릭터 교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증여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게임 아이템의 소유 여부에 따라 추첨 확률 조정량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캐릭터 교배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여대상 각각의 속성을 추첨하는 단계는
    상기 구성요소별 추첨 확률에서 상기 증여 대상 각각에 대응되는 구성요소의 추첨 확률만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추첨 확률을 기반으로 상기 증여 대상 각각에 대응되는 속성을 추첨 및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캐릭터 교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별 추첨 확률은
    동일 구성요소에 속하는 다수의 하위 속성 각각에 매핑된 다른 상위 속성 그룹으로의 전이 확률과, 동일 상위 속성에 속하는 다수의 하위 속성 각각에 매핑된 추첨 확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캐릭터 교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증여대상 각각의 속성을 추첨하는 단계는
    상기 구성요소별 추첨 확률에서 상기 증여 대상 각각에 대응되는 구성요소의 전이 확률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전이확률을 기반으로 상기 증여 대상 각각에 대응되는 상위 속성을 추첨 및 결정하는 단계;
    상기 구성요소별 추첨 확률에서 상기 추첨된 상위 속성에 대응되는 추첨 확률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추첨 확률을 기반으로 상기 증여 대상 각각에 대응되는 하위속성을 추첨 및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캐릭터 교배 방법.
  8. 제1항 내지 제3항 또는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게임 캐릭터 교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9. 다수의 구성요소를 통해 생성된 캐릭터에 대한 교배 동작을 수행하는 게임 캐릭터 교배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속성이 구성요소 단위로 그룹핑된 후, 상기 다수의 속성 각각의 추첨 확률이 그룹 단위로 저장된 제1 확률표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구성요소를 증여할 증여자 캐릭터와 구성요소를 증여받을 수증자 캐릭터가 선택되면, 상기 증여자 캐릭터의 구성요소별 속성이 재추첨될 가능성이 높아지도록 구성요소별 추첨 확률을 조정하고, 상기 증여자 캐릭터의 다수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증여 대상으로 선택되면, 상기 조정된 추첨 확률에 따라 상기 증여대상 각각의 속성을 추첨한 후 상기 수증자 캐릭터에 반영하여 새로운 캐릭터를 생성하는 교배 수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성요소별 추첨 확률은
    동일 구성 요소에 속하는 다수의 속성 각각에 매핑된 추첨 확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구성요소에 속하는 다수의 속성 각각에 대한 추첨 확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게임 캐릭터 교배 장치.
KR1020130115938A 2013-09-30 2013-09-30 게임 캐릭터 교배 장치 및 방법 KR101513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938A KR101513802B1 (ko) 2013-09-30 2013-09-30 게임 캐릭터 교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938A KR101513802B1 (ko) 2013-09-30 2013-09-30 게임 캐릭터 교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6918A KR20150036918A (ko) 2015-04-08
KR101513802B1 true KR101513802B1 (ko) 2015-04-22

Family

ID=53033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5938A KR101513802B1 (ko) 2013-09-30 2013-09-30 게임 캐릭터 교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38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7227A1 (ko) * 2021-07-02 2023-01-05 주식회사 에넴 이미지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06825A (ko) 2022-07-07 2024-01-16 주식회사 이에스소프트 가상세계에서 캐릭터의 차별화 및 희소성 도출을 위한 성장모델 기반의 캐릭터 성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6918A (ko)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6467B1 (ko) 캐릭터들이 복수의 상이한 가상 공간들 내에서 표명되게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
US11303730B2 (en) Dynamic online game implementation on a client device
US2016028415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media content sharing and management
CN105935493A (zh) 计算机系统、游戏装置及用于控制角色的方法
US20150052458A1 (en) Cross platform sharing of user-generated content
JP5926329B2 (ja) プログラム、通信システム、サーバの制御方法、及びサーバ
CN109920167A (zh) 用于实现基于计算机活动的挑战的方法和系统
US9295919B2 (en) Smart ping system
US20230065576A1 (en) Battle settlement interface display metho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180071616A1 (en) Custom game boards
CN104203358A (zh) 游戏资产赠与的回报
WO2023103618A1 (zh) 虚拟物品的获取方法、装置、设备、介质及程序产品
KR101513802B1 (ko) 게임 캐릭터 교배 장치 및 방법
JP2016123871A (ja) ゲーム録画映像に対応するゲーム付加情報を生成する方法、デバイス及びサーバ
US11058954B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secondary game within an online game
KR101500873B1 (ko) 게임 캐릭터 교배 장치 및 방법
US10814225B2 (en) Game with an area of effect for structures impacting a surrounding area
US20130324240A1 (en) Systems and methods of icon optimization in game user interface
KR101492337B1 (ko) 게임 캐릭터 교배 장치 및 방법
US20140278844A1 (en)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offline gameplay
KR20150017016A (ko) 게임 스킬 구현 방법 및 서버
US9687744B2 (en) Method for providing battle game, server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O2023231557A9 (zh) 虚拟对象的互动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WO2024104029A1 (zh) 基于三维虚拟环境的社交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1394822B1 (ko) 온라인 게임 등급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