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3790B1 -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3790B1
KR101513790B1 KR1020130011304A KR20130011304A KR101513790B1 KR 101513790 B1 KR101513790 B1 KR 101513790B1 KR 1020130011304 A KR1020130011304 A KR 1020130011304A KR 20130011304 A KR20130011304 A KR 20130011304A KR 101513790 B1 KR101513790 B1 KR 101513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mage file
image
user terminal
provid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1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5929A (ko
Inventor
김동욱
양주일
장정환
윤종호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1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3790B1/ko
Publication of KR20130025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06Q30/0256User searc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정보 제공 방법은 정보 제공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이미지 파일을 분석하여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이미지와 매치되는 이미지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바인딩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미지 파일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검색 시스템과 같은 정보 제공 시스템은 키워드와 상기 키워드에 연관된 정보 간의 연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등록시켜두고, 사용자가 특정 키워드를 제시했을 때 이에 매치되는 정보들을 나열하는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일 예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94282호(공개일 2010년 08월 26일)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는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제공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브라우저의 화면 일 측에 삽입되어 정보를 표시하고 브라우저로부터 키워드의 입력을 통한 정보 검색 요청이 발생되면 그 키워드를 추출하는 정보 표시 모듈 및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되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정보 표시 모듈로 정보를 제공하고 정보 표시 모듈로부터 키워드가 수신되면 내부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키워드와 관련된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조회하는 정보 에이전트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되는 에이전트를 기반으로 브라우저의 일 측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정보 제공 방법은 텍스트 형태의 키워드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공받고자 하는 정보에 해당하는 키워드를 기억하지 못 할 경우 원하는 정보를 제공받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정보 제공 방법은 정보를 제공받고자 할 때 마다 그에 해당하는 키워드를 입력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지인들에게 해당 정보를 알려주거나 유통시키기도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보다 간편하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보다 편리하게 정보를 전달하거나 유통시킬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지인들에게 보다 간편하게 정보를 전달하거나 유통시킬 수 있는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정보 제공 방법은 정보 제공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이미지 파일을 분석하여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이미지와 매치되는 이미지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바인딩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파일의 시그니처 정보 또는 상기 이미지 파일의 EXIF(Exchangable Image File Format)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기 저장된 복수개의 이미지 파일 중 상기 추출된 식별 정보와 매칭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의 특징값을 추출함으로써 상기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이고,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기 저장된 복수개의 이미지 파일 중 상기 추출된 특징값과 매칭되는 특징값을 가지는 이미지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파일과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바인딩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신한 이미지 파일과 상기 수신한 바인딩 정보를 연관시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파일은 상기 바인딩 정보가 존재함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 정보는 상기 이미지가 사용자 단말에서 최초 표시될 때 이미지 형태로 상기 이미지에 부가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알림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 저장될 경우 상기 이미지에서 제거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알림 정보는 상기 이미지의 외측에 분리 가능한 형태로 부가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바인딩 정보와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광고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정보 제공 방법은 정보 제공 장치가 정보 제공 서버로 이미지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바인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바인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딩 정보는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의해 상기 이미지 파일이 식별되는 경우 획득될 수 있다.
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한 이미지 파일을 분석하여 이미지를 식별하는 식별부, 상기 식별된 이미지와 매치되는 이미지 파일을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바인딩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는 정보 제공 서버로 이미지 파일을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바인딩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및 상기 수신한 바인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딩 정보는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의해 상기 이미지 파일이 식별되는 경우 획득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배포 장치는 이미지 파일을 기초로 정보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 상기 이미지 파일을 전송하는 코드와,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바인딩 정보를 획득하는 코드와, 상기 수신한 바인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딩 정보는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의해 상기 이미지 파일이 식별되는 경우 획득될 수 있다.
이미지 파일을 기초로 정보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는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 이미지 파일을 전송하는 코드와,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바인딩 정보를 획득하는 코드와, 상기 수신한 바인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딩 정보는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의해 상기 이미지 파일이 식별되는 경우 획득될 수 있다.
별도의 키워드 입력 없이 이미지 파일을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면 해당 이미지 파일에 바인딩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지인들에게 정보를 전달하거나 유통시키고자 하는 경우 해당 정보에 대한 URL, 전화번호 등을 입력할 필요 없이 해당 정보가 바인딩된 이미지 파일만 전송하면 되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게 정보를 전달하거나 유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제공 서버가 바인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제공 장치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알림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제공 장치와 정보 제공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제공 서버가 바인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먼저,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미지 파일을 수신한다(110). 이 때,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나 인터넷 등을 통해 이미지 파일을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이미지 파일을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 이외에,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되는 이미지 파일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미지 파일일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이미지 파일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운로드한 이미지 파일이거나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 파일 등일 수 있다.
정보 제공 서버는 이미지 파일이 수신되면, 이를 분석하여 이미지를 식별한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서버는 이미지를 식별하기 위하여 수신한 이미지 파일의 시그니처(Signature) 정보 또는 상기 이미지 파일의 EXIF(Exchangable Image File Format)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시그니처 정보는 중복 이미지 제거에 사용될 수 있고, 상기 EXIF 정보는 유사 이미지 검색 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시그니처 정보와 EXIF 정보에는 해당 이미지 파일에 대한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제공 서버는 이미지 파일의 시그니처 정보 또는 EXIF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해당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파일에서 이미지가 식별되면, 정보 제공 서버는 식별된 이미지와 매치되는 이미지 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130). 일 예로, 정보 제공 서버는 이미지 파일의 시그니처 정보 또는 EXIF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식별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복수개의 이미지 파일 중 이미지 파일의 시그니처 정보 또는 EXIF 정보 등으로부터 추출된 식별 정보와 매칭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에는 이미지 파일과 해당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바인딩 정보가 연관되어 등록될 수 있다. 상기 바인딩 정보는 키워드 대신 특정 이미지 파일이 수신되는 경우 이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제공하기 위하여 이미지 파일에 바인딩된 정보로, 일 예로 특정 웹사이트로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전화번호, 광고 정보,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 등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로부터 등록시키고자 하는 이미지 파일과 이에 대한 바인딩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한 이미지 파일과 수신한 바인딩 정보를 연관시켜 등록할 수 있다. 이 때, 등록시키고자 하는 이미지 파일이 시그니처 정보와 EXIF 정보에서 식별 정보가 추출되지 않는 이미지 파일인 경우, 정보 제공 서버는 해당 이미지 파일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해당 이미지 파일에 식별 정보를 삽입할 수도 있다.
한편, 정보 제공 서버는 필요에 따라 이미지 파일 수신 시 소정의 특징값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신한 이미지 파일로부터 이미지의 특징값을 추출함으로써 이미지를 식별하고, 소정의 특징값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 저장된 복수개의 이미지 파일 중 추출된 특징값과 매칭되는 특징값을 가지는 이미지 파일을 검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정보 제공 서버는 상술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파일에 매치되는 이미지 파일이 검색되면, 검색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바인딩 정보를 이미지 파일을 전송한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140). 이 때, 정보 제공 서버는 추가적으로 이미지 파일의 이미지와 관련된 광고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된 바인딩 정보를 획득한 애플리케이션은 획득한 바인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애플리케이션은 바인딩 정보가 URL인 경우, 사용자 단말의 웹 브라우저를 실행시키고 상기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상기 URL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URL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바인딩 정보가 전화번호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의 통화 기능을 실행시키고 상기 전화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자동으로 해당 전화번호로 호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바인딩 정보가 광고 정보이거나 메시지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광고 정보 또는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파일에는 해당 이미지에 대한 바인딩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바인딩 정보가 존재함을 알리는 알림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림 정보는 일 예로, 읽을 수 있는(readable) 텍스트 정보, 소정의 이미지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 정보는 필요에 따라 바인딩 정보이거나 칼라 코드(Color Code)일 수도 있다.
상기 알림 정보는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미지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최초 표시될 때 이미지 형태로 상기 이미지에 부가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 정보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단말에 저장될 경우 이미지에서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의 외측에 분리 가능한 형태로 부가될 수 있다. 상기 알림 정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후 도 3 및 도 4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제공 장치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정보 제공 장치는 정보를 제공 받기 위하여 정보 제공 서버로 이미지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210). 그러면, 정보 제공 서버는 도 1을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한 이미지 파일이 식별되는 경우 이에 매치되는 이미지 파일을 검색하고, 검색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바인딩 정보를 정보 제공 장치로 전송한다.
일 예로, 상기 바인딩 정보는 정보 제공 서버가 이미지 파일의 시그니처 정보 또는 이미지 파일의 EXIF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기 저장된 복수개의 이미지 파일 중 추출된 식별 정보와 매칭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검색하여 검색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바인딩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바인딩 정보는 정보 제공 서버가 이미지 파일로부터 이미지의 특징값을 추출하고, 기 저장된 복수개의 이미지 파일 중 추출된 특징값과 매칭되는 특징값을 가지는 이미지 파일을 검색하여 검색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바인딩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획득될 수도 있다.
정보 제공 장치는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한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바인딩 정보를 획득하면(220), 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230). 이 때, 정보 제공 장치는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정보 제공 서버에 의해 선택되고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광고 정보 또한 획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정보 제공 장치는 획득한 바인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획득한 광고 정보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바인딩 정보는 특정 웹사이트로의 URL, 전화번호, 광고 정보,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 등일 수 있다. 이 경우, 정보 제공 장치는 바인딩 정보가 URL인 경우, 사용자 단말의 웹 브라우저를 실행시키고 상기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상기 URL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URL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가 상기 웹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바인딩 정보가 전화번호인 경우,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의 통화 기능을 실행시키고 상기 전화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자동으로 해당 전화번호로 호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바인딩 정보가 광고 정보이거나 메시지인 경우, 정보 제공 장치는 광고 정보 또는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정보 제공 장치는 지인들에게 정보를 보다 간편하게 전달하고 유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인의 사용자 단말로 이미지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 제공 장치는 기존 이미지 파일의 이미지에 바인딩 정보가 존재함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부가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고, 알림 정보가 부가된 이미지 파일을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미지 파일에 부가되는 알림 정보는 일 예로, 읽을 수 있는 형태의 텍스트 정보, 소정의 이미지 등이거나, 바인딩 정보, 칼라 코드(Color Code) 등일 수 있다. 상기 알림 정보는 이미지 파일의 이미지가 사용자 단말에서 최초 표시될 때 이미지 형태로 상기 이미지에 부가되어 표시되거나, 사용자 단말에 저장될 경우 상기 이미지에서 제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알림 정보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미지의 외측에 분리 가능한 형태로 부가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알림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바인딩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이미지(310)의 일측에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알림 정보(32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에는 일 예로, 알림 정보(320)로서 이미지(310)에 칼라 코드가 포함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칼라 코드에는 고유의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제공 서버는 이미지 파일의 시그니처 정보, 이미지 파일의 EXIF 정보 또는 이미지(310)의 특징값을 이용하는 방법 이외에, 이미지(310)에 포함된 칼라 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이미지 파일을 식별할 수도 있다.
한편, 이미지(310)에는 알림 정보(320)로서 바인딩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이 경우 바인딩 정보가 URL이라면, 사용자는 이미지(310)에 포함된 URL을 웹 브라우저에 입력함으로써 상기 URL에 해당하는 웹 사이트의 정보를 제공받거나, 정보 제공 장치를 통해 정보 제공 서버로 해당 이미지 파일을 전송함으로써 별도로 웹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하지 않더라도 상기 URL에 해당하는 웹 사이트가 사용자 단말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미지(310)에 알림 정보(320)로서 포함된 정보가 바인딩 정보라면, 사용자는 이미지(310)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입력함으로써 해당 전화번호로 호를 연결하거나, 정보 제공 장치를 통해 정보 제공 서버로 해당 이미지 파일을 전송함으로써 별도로 전화번호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해당 전화번호로 호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310)에는 알림 정보(320)로서 읽을 수 있는 형태의 텍스트 정보나 소정의 이미지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알림 정보(320)를 통해 해당 이미지 파일이 어떠한 바인딩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미지 파일에 쇼핑몰 전화번호가 바인딩되어 있는 경우, 이미지(310)에는 알림 정보(320)로서 "쇼핑몰 전화번호가 바인딩됨"과 같은 텍스트가 포함되거나, 해당 쇼핑몰에 대한 아이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미지 파일에 친구의 홈페이지에 대한 URL이 바인딩되어 있는 경우, 이미지(310)에는 알림 정보(320)로서 "친구의 홈페이지"와 같은 텍스트가 포함되거나, 친구 이미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알림 정보(32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미지(310)의 일측에 포함되는 형태 이외에, 이미지(310)의 외측에 분리 가능한 형태로 부가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미지(410)의 외측에는 분리 가능한 형태의 알림 정보(420)가 부가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알림 정보(420)는 이미지(410)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최초 표시될 때에만 이미지 형태로 이미지(410)에 부가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미지(410)로부터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제공 장치와 정보 제공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보 제공 장치(510)는 전송부(512), 획득부(514), 제어부(516) 및 생성부(518)를 포함하고, 정보 제공 서버(550)는 수신부(552), 식별부(554), 검색부(556) 및 제공부(558)를 포함하여 서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510)는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어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정보 제공 서버(550)로 전송하거나, 정보 제공 서버(550)로부터 획득한 바인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송부(51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 제공 서버(550)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획득부(514)는 정보 제공 서버(550)로부터 전송한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바인딩 정보를 획득한다. 이 때, 바인딩 정보는 정보 제공 서버(550)에 의해 전송한 이미지 파일이 식별되는 경우에 획득될 수 있고, 특정 웹사이트로의 URL, 전화번호, 광고 정보,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16)는 획득부(514)에서 획득한 바인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획득부(514)는 정보 제공 서버(550)로부터 이미지와 관련된 광고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516)는 광고 정보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도록 사용자 단말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516)는 정보 제공 서버(550)로부터 획득한 바인딩 정보가 URL인 경우, 정보 제공 장치(510)가 포함된 사용자 단말의 웹 브라우저를 실행시키고 상기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상기 URL이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URL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가 상기 웹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16)는 바인딩 정보가 전화번호인 경우, 사용자 단말의 통화 기능을 실행시키고 상기 전화번호가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자동으로 해당 전화번호로 호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516)는 바인딩 정보가 광고 정보이거나 메시지인 경우, 광고 정보 또는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생성부(518)는 지인들에게 정보를 보다 간편하게 전달하고 유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존 이미지 파일의 이미지에 바인딩 정보가 존재함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부가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알림 정보가 부가된 이미지 파일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텍스트 정보, 소정의 이미지, 바인딩 정보, 칼라 코드 등일 수 있다. 상기 알림 정보는 이미지 파일의 이미지가 사용자 단말에서 최초 표시될 때 이미지 형태로 상기 이미지에 부가되어 표시되거나, 사용자 단말에 저장될 경우 상기 이미지에서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정보 제공 서버(55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 제공 장치(510)로부터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고, 수신한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바인딩 정보를 검색한 후 검색된 바인딩 정보를 다시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 제공 장치(5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수신부(552)는 정보 제공 장치(510)로부터 이미지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정보 제공 장치(510)로 수신되는 이미지 파일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미지 파일일 수 있으며, 정보 제공 장치(510)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식별부(554)는 수신부(552)에서 수신한 이미지 파일을 분석하여 이미지를 식별한다. 식별부(554)는 일 예로, 이미지를 식별하기 위하여 수신한 이미지 파일의 시그니처 정보 또는 수신한 이미지 파일의 EXIF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검색부(556)는 식별부(554)에서 식별된 이미지와 매치되는 이미지 파일을 검색한다. 일 예로, 검색부(556)는 식별부(554)가 이미지 파일의 시그니처 정보 또는 EXIF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식별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복수개의 이미지 파일 중 이미지 파일의 시그니처 정보 또는 EXIF 정보 등으로부터 추출된 식별 정보와 매칭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이미지 파일과 해당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바인딩 정보가 연관되어 등록될 수 있다. 정보 제공 서버(550)는 수신부(55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등록시키고자 하는 이미지 파일과 이에 대한 바인딩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이들을 연관시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도 있다.
한편, 식별부(554)는 기 선택된 특징값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신부(552)에서 수신된 이미지 파일에서 이미지의 특징값을 추출함으로써 이미지를 식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검색부(556)는 기 선택된 특징값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 저장된 복수개의 이미지 파일 중 식별부(554)에서 추출된 특징값과 매칭되는 특징값을 가지는 이미지 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
제공부(558)는 검색부(556)에서 검색된 이미지 파일에 바인딩된 바인딩 정보를 정보 제공 장치(510)로 제공한다. 이 때, 검색부(556)는 추가적으로 이미지 파일의 이미지와 관련된 광고 정보를 검색할 수 있고, 이 경우 제공부(448)는 검색부(556)에서 검색된 광고 정보를 정보 제공 장치(5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정보 제공 장치(510)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정보 제공 장치(510)는 애플리케이션 배포 장치에 의해 배포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배포 장치는 이미지 파일을 기초로 정보 제공 서버(550)와 연동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정보 제공 서버(550)로 상기 이미지 파일을 전송하는 코드, 정보 제공 서버(550)로부터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바인딩 정보를 획득하는 코드, 수신한 바인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바인딩 정보는 정보 제공 서버(550)에 의해 상기 이미지 파일이 식별되는 경우 획득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정보 제공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는 운영 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는 각각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위치 정보 제공 장치를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위치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정보 제공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2)

  1. 정보 제공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이미지 파일을 분석하여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이미지와 매치되는 이미지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바인딩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파일의 시그니처 정보 또는 상기 이미지 파일의 EXIF(Exchangable Image File Format)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기 저장된 복수개의 이미지 파일 중 상기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식별 정보와 매칭되는 이미지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의 특징값을 추출함으로써 상기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이고,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기 저장된 복수개의 이미지 파일 중 상기 추출된 특징값과 매칭되는 특징값을 가지는 이미지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5.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정보 제공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이미지 파일을 분석하여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이미지와 매치되는 이미지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바인딩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이미지 파일과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바인딩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신한 이미지 파일과 상기 수신한 바인딩 정보를 연관시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6. 정보 제공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이미지 파일을 분석하여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이미지와 매치되는 이미지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바인딩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파일은,
    상기 바인딩 정보가 존재함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 정보는,
    상기 이미지가 사용자 단말에서 최초 표시될 때 이미지 형태로 상기 이미지에 부가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 저장될 경우 상기 이미지에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정보는,
    상기 이미지의 외측에 분리 가능한 형태로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9. 정보 제공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이미지 파일을 분석하여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이미지와 매치되는 이미지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바인딩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바인딩 정보와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광고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0. 정보 제공 장치가 정보 제공 서버로 이미지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바인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바인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딩 정보는,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의해 상기 이미지 파일이 식별되는 경우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딩 정보는,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이미지 파일의 시그니처 정보 또는 상기 이미지 파일의 EXIF(Exchangable Image File Format)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기 저장된 복수개의 이미지 파일 중 상기 추출된 식별 정보와 매칭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바인딩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딩 정보는,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이미지의 특징값을 추출하고, 기 저장된 복수개의 이미지 파일 중 상기 추출된 특징값과 매칭되는 특징값을 가지는 이미지 파일을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바인딩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 상기 바인딩 정보가 존재함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부가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알림 정보가 부가된 이미지 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정보는,
    상기 이미지가 사용자 단말에서 최초 표시될 때 이미지 형태로 상기 이미지에 부가되어 표시되고, 사용자 단말에 저장될 경우 상기 이미지에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정보는,
    상기 이미지의 외측에 분리 가능한 형태로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의해 선택되고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광고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7.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한 이미지 파일을 분석하여 이미지를 식별하는 식별부;
    상기 식별된 이미지와 매치되는 이미지 파일을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바인딩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부는,
    상기 이미지 파일의 시그니처 정보 또는 상기 이미지 파일의 EXIF(Exchangable Image File Format)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검색부는,
    기 저장된 복수개의 이미지 파일 중 상기 추출된 식별 정보와 매칭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버.
  18. 삭제
  19. 정보 제공 서버로 이미지 파일을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바인딩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및
    상기 획득한 바인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딩 정보는,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의해 상기 이미지 파일이 식별되는 경우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딩 정보는,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이미지 파일의 시그니처 정보 또는 상기 이미지 파일의 EXIF(Exchangable Image File Format)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기 저장된 복수개의 이미지 파일 중 상기 추출된 식별 정보와 매칭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바인딩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장치.
  21. 이미지 파일을 기초로 정보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 상기 이미지 파일을 전송하는 코드와,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바인딩 정보를 획득하는 코드와,
    상기 획득한 바인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딩 정보는,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의해 상기 이미지 파일이 식별되는 경우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배포 장치.
  22.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0011304A 2013-01-31 2013-01-31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13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304A KR101513790B1 (ko) 2013-01-31 2013-01-31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304A KR101513790B1 (ko) 2013-01-31 2013-01-31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1348A Division KR101900044B1 (ko) 2014-11-03 2014-11-03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929A KR20130025929A (ko) 2013-03-12
KR101513790B1 true KR101513790B1 (ko) 2015-04-20

Family

ID=48177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1304A KR101513790B1 (ko) 2013-01-31 2013-01-31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379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929A (ko) 2013-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4254B2 (en) Terminal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219228B1 (ko) 이미지 코드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9040960A (zh) 一种实现位置服务的方法和装置
US10496696B2 (en) Search method and apparatus
WO2016199662A1 (ja) 画像情報処理システム
JP2014010723A (ja) 検索装置および検索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2014010722A (ja) 検索装置および検索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101509226B1 (ko) 모바일 검색 환경에서 모바일 url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13567B1 (ko) 디지털 컨텐츠의 공유를 위한 웹 서버, 스크린 샷 서버, 웹 브라우저 및 대상 단말의 동작 방법
US20150348100A1 (en) Search engine server that searches data based on criteria included in an electronic record received from a computing device
US1024203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6622319B2 (ja) 検索語リスト提供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方法
US20200117321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applications to a computing device
KR101900044B1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13790B1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70277722A1 (en) Search service providing apparatus,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2034897B1 (ko) 방송 프로그램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정보 제공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JP2016033798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9064020B2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processing program, recording medium having information providing processing program recorded thereon,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JP5659500B2 (ja) Webサービス記憶プログラム、および、Webサービス記憶装置
CN104598220B (zh) 一种用于提供并实现网页辅助功能的方法和装置
GB2509891A (en) Generating a tailored schema description of a web service
KR101403159B1 (ko) 객체에 관한 부가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633899B1 (ko) 경조사비 이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서버 및 단말기 그리고 컴퓨터프로그램
JP6035941B2 (ja) 検索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検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