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138B1 -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과의 접속 해제후 그 통신망에 대한 재접속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과의 접속 해제후 그 통신망에 대한 재접속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138B1
KR101512138B1 KR1020130069486A KR20130069486A KR101512138B1 KR 101512138 B1 KR101512138 B1 KR 101512138B1 KR 1020130069486 A KR1020130069486 A KR 1020130069486A KR 20130069486 A KR20130069486 A KR 20130069486A KR 101512138 B1 KR101512138 B1 KR 101512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onnection point
wireless communication
arbitrary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6780A (ko
Inventor
이상국
김영국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어플러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어플러그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어플러그
Priority to KR1020130069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138B1/ko
Priority to PCT/KR2014/004006 priority patent/WO2014204091A1/ko
Publication of KR20140146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는, 접속된 임의의 접속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그 임의의 접속점이 제공하는 서비스 속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되는 서비스 속도가 상기 무선 통신망에 대한 자신의 요구 속도를 충족하지 못하면 상기 임의의 접속점과의 접속이 해제되도록 한다. 그리고, 그 접속 해제된 임의의 접속점이 특별 접속점에 해당하는 지를 그 접속점이 보여준 신호특성에 근거하여 판별하고, 특별 접속점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그 접속점에 대해서 제한 시간동안에는 재접속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제한 시간은 이용가능한 접속점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망을 검색하는 시간격, 예를 들어 최소 주기보다 긴 시간이다.

Description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과의 접속 해제후 그 통신망에 대한 재접속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connection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fter connection being released from an access point of said network}
본 발명은, 무선 통신망을 형성하는 임의의 접속점( AP: Access Point )에 대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망이 발전하면서, 이용자들은 휴대폰은 물론이고,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 이하, “무선통신 단말기”로 통칭한다. )을 이용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를 브라우징(browsing)을 통해 확인하거나 또는 원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streaming)방식으로 수신하여 볼 수 있게 되었다.
통상, 무선통신 단말기는, 서로 다른 통신 인프라를 갖는 복수의 이종망들(hetero-geneous networks)( 예를 들어, 셀룰러(cellular) 방식의 이동 통신망과 Wi-Fi 무선랜 망 등 )에 접속할 수 있는 무선통신 자원(resource)을 구비하고 있는 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원하는 무선 통신망을 사용할 수 있도록 무선통신 단말기를 수동적으로 조작하거나 또는 망접속을 위한 모드 등을 설정해 두게 된다. 이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사업자의 통신정책 또는 요금정책 등으로 인해, 이종망들 각각의 서비스 이용에 대해 이용자에게 부과하는 비용이 다르고 또한 각 통신망이 제공하는 서비스 특성도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Wi-Fi 무선랜망( 이하, “Wi-Fi 망”이라 한다. )은 제공되는 서비스 속도가 비교적 빠른 편이지만, 서로 연접되지 않고 산포된 국소적인 서비스 권역을 가지는 한계가 있어, 통상 그 이용에 과금이 되고 있지 않다. 반면에, 셀룰러 방식의 이동 통신망( 예를 들어, 3G, 4G 등의 이동 통신망 )( 이하, “셀룰러 망”이라 한다. )은 광범위한 서비스 지역에 대해서 안정적인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또한 이동 중에도 서로 연접된 셀(cell)간의 핸드오버를 통해 연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서,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대해서는 그 사용량에 대하여 과금되고 있다.
이런 통신 서비스의 이용환경하에서,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따른 비용적 부담을 고려하는 이용자는, 주변에 Wi-Fi 망이 존재하는 경우에 그 통신망에 자동적으로 접속하도록 자신의 무선통신 단말기를 설정해 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설정된 무선통신 단말기는, 주기적으로 주변을 검색하여 접속할 수 있는, 예를 들어 무선신호의 세기가 일정 기준치 이상이 되는 Wi-Fi 망의 접속점이 있으면, 그 접속점에 접속요청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접속 IP주소를 할당받게 된다. 그리고, 그 접속된 접속점의 신호세기가 일정 기준치 이하가 되거나 또는 송신 신호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접속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그런데, 무선통신 서비스의 품질은 공간적으로 또는 시간적으로 그 변동성이 매우 높은 편이다. 따라서, 일정 기준치에 근접된 신호세기를 보이는 접속점의 경우에는 접속과 해제가 반복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이는,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에 있어서 그 연결성(connectivity)을 매우 저하시키게 된다. 다시 말하면, 불필요한 접속상태의 변경에 의해,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시각적 정보의 구성이 끊어지거나 또는 반복되거나 하는 상황, 또는 불필요하게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상황 등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무선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원격지 컨텐트를 플레이하여 시청하고 있는 중일 때 Wi-Fi 망에 대한 접속/해제의 반복적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컨텐트를 플레이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사용망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컨텐트 데이터를 이어받아 연속적으로 플레이하는 기능이 있다 하더라도, 그 반복적 사용망 전환에 소요되는 시간동안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어 결국 컨텐트 영상이 끊어지거나 플레이에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접속점 후단의 망 자원 등에 상당한 부하가 있는 경우에는, 접속점의 무선 신호세기가 양호하여 그 접속점에 접속하더라도 그 접속점을 통해 실제 제공되는 서비스 속도가 매우 불량할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 어플리케이션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의 수신이 매우 지연됨으로써 컨텐트의 플레이가 중단되거나 에러가 발생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망에 대한 접속이 해제된 후에 불필요한 재접속을 방지할 수 있는 망접속 제어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요구되는 데이터 서비스의 품질이 충족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접속점에 대해서는 접속이 유예되도록 함으로써, 접속망 또는 사용망의 불필요한 전환을 억제하는 망접속 제어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망을 형성하는 임의의 접속점이 신호세기가 높다는 이유로 인해 그 접속점에 반복적으로 접속 시도하는 것을 방지하는 망접속 제어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접속이 원활하지 못한 접속점에 대하여 그 사유에 따라 접속 유예를 적응적으로 행함으로써, 실질적인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 가능성이 높을 때에 해당 접속점에 재접속될 수 있게 하는 망접속 제어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명시적으로 서술된 목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이고 예시적인 하기의 설명에서 도출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하는 것을 그 목적에 당연히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여 원격지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상기 무선 통신망을 형성하는 이용가능한 접속점에 대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접속되도록 하고 또한 그 접속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는 제 1처리부와, 상기 제 1처리부에 의해 접속된 임의의 접속점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그 데이터를 요청한 실행 개체로 전달하면서 상기 임의의 접속점이 제공하는 서비스 속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되는 서비스 속도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기 무선 통신망에 대한 요구 속도를 충족하지 못하면 상기 제 1처리부에 요청하여 상기 임의의 접속점과의 접속이 해제되도록 하며, 또한, 상기 임의의 접속점이 보여준 신호특성에 근거하여 그 임의의 접속점이 특별 접속점에 해당하는 지를 판별하고, 특별 접속점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그 임의의 접속점에 대해서 제한 시간동안에는 상기 제 1처리부에 의해 재접속이 되지 않도록 하는 제 2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한 시간은 상기 제 1처리부가 이용가능한 접속점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망을 검색하는 시간격보다 긴 시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처리부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소켓(socket)을 생성한 실행 상태에 있는, 상기 실행 개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개체에 대한 각 지정 속도의 합으로부터 상기 요구 속도를 산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처리부는, 임의의 실행 개체의 요청에 따라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를 상기 임의의 실행 개체에 전달하면서, 상기 임의의 실행 개체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는 속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이용 속도를 상기 임의의 실행 개체에 대한 상기 지정 속도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 제 2처리부는, 상기 무선 통신망이 아닌 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실행 개체에 또한 전달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실행 개체가 상기 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는 속도를 상기 실행 개체에 대한 상기 지정 속도에서 감산한 값으로부터 상기 요구 속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상기 이용하는 속도를 상기 지정 속도에서 감산하지 않고 상기 요구 속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처리부는, 상기 실행 개체에 전달하는 데이터의 플레이 시에 요구되는 전송 속도로부터 상기 요구 속도를 산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처리부는, 상기 임의의 접속점의 신호특성이, 접속 해제 직전의 신호세기가 제 1기준치 이상임을 보인 경우에, 상기 임의의 접속점에 대해서 상기 특별 접속점으로 판별한다. 여기서, 상기 제 1기준치는, 상기 제 1처리부가 그 이상일 때만 접속시도하도록 지정된 기준 신호세기에 비해서 더 양호한 세기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처리부는, 상기 제 1처리부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접속점에 따라 상기 제 1기준치가 설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처리부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어느 한 접속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때는 그 접속점의 신호세기 변화를 확인하여, 그 접속점의 서비스 속도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기 무선 통신망에 대한 요구 속도를 충족하는 상태에서의 최저 신호세기를 상기 어느 한 접속점에 대한 상기 제 1기준치로 지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처리부는, 상기 임의의 접속점의 신호특성이, 상기 서비스 속도가 상기 요구 속도를 총족하고 있을 때의 신호세기에 비해서 접속 해제 직전의 신호세기가 일정 허용폭 이상으로 낮지 않음을 보였을 때, 상기 임의의 접속점에 대해서 상기 특별 접속점으로 판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처리부는, 상기 임의의 접속점이 상기 특별 접속점으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임의의 접속점이 보여준 신호특성 또는 서비스 속도 특성에 근거하여 상기 제한 시간의 길이를 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처리부는, 상기 임의의 접속점의 상기 서비스 속도 특성이, 접속 해제 전의 그 변화에 있어서 기 지정된 편차 이상임을 보인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상기 제한 시간을 더 짧게 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임의의 접속점의 상기 신호 특성이, 상기 서비스 속도가 상기 요구 속도를 총족하고 있을 때의 신호세기에 비해서 접속 해제 직전의 신호세기가 낮음을 보인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상기 제한 시간을 더 짧게 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처리부는, 상기 임의의 접속점이 상기 특별 접속점으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임의의 접속점이 보여준 서비스 속도가 상기 요구 속도에 미치지 못하는 정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한 시간의 길이를 정하되, 그 정도가 크면 낮은 경우에 비해서 더 긴 시간이 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한 시간을 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처리부는, 상기 임의의 접속점이 상기 특별 접속점으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임의의 접속점과의 접속 해제시와 일정 시간격내에 검색된 사용 가능한 접속점의 수에 근거하여 상기 제한 시간의 길이를 정하되, 그 수가 많으면 적은 경우에 비해서 더 긴 시간이 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한 시간을 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에에서는, 상기 제 2처리부는, 상기 제 1처리부에 의해 검색된 접속점들에, 상기 제한 시간이 경과한 후 지정된 시간은 경과하지 않은 상기 특별 접속점으로 판별되었던 접속점이 포함되어 있으면, 그 접속점에 대해서는 검색된 다른 접속점에 비해 상기 제 1처리부가 접속시도하는 우선순위가 낮아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처리부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실행 개체들이 그 실행을 기반으로 하는 운영시스템(Operating System)에 포함되어 동작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운영시스템을 기반으로 실행되는 특정 실행 개체에 포함되어 동작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여 원격지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 1처리부에 의해 접속 시도된 임의의 접속점에 대해 접속 실패하거나 접속 성공 후 해제되었을 때 그 실패 또는 해제가 기 지정된 사유에 의한 것이면, 상기 제 1처리부가 이용가능한 접속점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망을 검색하는 시간격보다 긴 시간인 제한 시간동안, 상기 임의의 접속점에 대해서는 상기 제 1처리부에 의해 재접속이 되지 않도록 하는 제 3처리부를, 상기 제 2처리부대신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 지정된 사유는, 접속 절차 중 인증과정에서의 실패와, 접속 절차 중 IP주소 할당과정에서의 실패와, 접속 절차 중 어소시에이션(association) 과정에서의 실패와, 접속 후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통한 인증과정에서의 실패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상기 무선 통신망에 대한 접속 해제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3처리부는, 상기 임의의 접속점에 대해 접속 실패하거나 접속 성공 후 해제되었을 때 그 실패 또는 해제가 상기 기 지정된 사유의 어디에 해당하는 지에 따라, 그 해당되는 사유에 대해 지정된 시간값으로써 상기 제한 시간을 정한다. 여기서, 인증과정에서의 실패의 사유에 대한 시간값은, 접속 절차 중의 그외 다른 접속실패 사유에 대한 시간값보다 더 길게 지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3처리부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운영시스템을 기반으로 실행되는 특정 실행 개체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임의의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를 상기 운영시스템을 통해 외부로 전송요청하고 그 요구에 대해 인증정보를 요구하는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제 1처리부에 요청하여 현재 접속된 접속점과의 접속이 해제되도록 한 뒤, 그 해제 사유를 접속 후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통한 인증과정에서의 실패로 지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여 원격지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 1처리부에 의해 접속된 임의의 접속점을 통해 원격지로 송신하는 데이터에 대한 수신확인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제 1처리부에 요청하여 상기 임의의 접속점과의 접속이 해제되도록 하며, 또한, 상기 임의의 접속점이 보여준 신호특성에 근거하여 그 임의의 접속점이 특별 접속점에 해당하는 지를 판별하고, 특별 접속점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처리부가 이용가능한 접속점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망을 검색하는 시간격보다 긴 시간인 제한 시간동안 그 임의의 접속점에 대해서는 상기 제 1처리부에 의해 재접속이 되지 않도록 하는 제 4처리부를 상기 제 2처리부대신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4처리부는, 원격지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생성한 통신소켓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운영시스템에 의해 폐쇄(close)되면, 원격지로 송신하는 데이터에 대한 수신확인(Ack)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간주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선 통신망을 형성하는 접속점에 대한 접속제어를 위한 일 방법은, 접속된 임의의 접속점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상기 임의의 접속점이 제공하는 서비스 속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되는 서비스 속도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기 무선 통신망에 대한 요구 속도를 충족하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성가 서비스 속도가 상기 요구 속도를 충족하지 못하면, 상기 임의의 접속점과의 접속이 해제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임의의 접속점이 규정된 신호특성을 보인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이용가능한 접속점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망을 검색하는 시간격보다 긴 시간인 제한 시간동안 상기 임의의 접속점에 대한 재접속은 제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선 통신망을 형성하는 접속점에 대한 접속제어를 위한 다른 일 방법은, 상기 무선 통신망의 임의의 접속점에 대해서 접속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임의의 접속점에 대해 접속 실패하거나 접속 성공 후 해제되었을 때 그 실패 또는 해제의 사유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사유가 상기 기 지정된 사유에 해당하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이용가능한 접속점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망을 검색하는 시간격보다 긴 시간인 제한 시간동안, 상기 임의의 접속점에 대한 재접속은 제한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프로그램 공급장치는,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 데이터가 외부에 제공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제 1프로그램, 제 2프로그램 또는 제 3프로그램이 수록되어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프로그램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경우, 무선 통신망을 형성하는 이용가능한 접속점에 대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접속되도록 하고 또한 그 접속이 해제되도록 하는 기능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접속된 임의의 접속점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그 데이터를 요청한 실행 개체로 전달하면서 상기 임의의 접속점이 제공하는 서비스 속도를 측정하는 기능과, 상기 측정되는 서비스 속도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기 무선 통신망에 대한 요구 속도를 충족하지 못하면 상기 임의의 접속점과의 접속이 해제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임의의 접속점이 보여준 신호특성에 근거하여 그 임의의 접속점이 특별 접속점에 해당하는 지를 판별하며, 특별 접속점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이용가능한 접속점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망을 검색하는 시간격보다 긴 시간인 제한 시간동안 상기 임의의 접속점에 대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재접속은 제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프로그램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경우, 무선 통신망을 형성하는 이용가능한 접속점에 대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접속되도록 하고 또한 그 접속이 해제되도록 하는 기능과, 접속 시도된 임의의 접속점에 대해 접속 실패하거나 접속 성공 후 해제되었을 때 그 실패 또는 해제가 상기 기 지정된 사유에 의한 것이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이용가능한 접속점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망을 검색하는 시간격보다 긴 시간인 제한 시간동안, 상기 임의의 접속점에 대한 재접속은 제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3프로그램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경우, 무선 통신망을 형성하는 이용가능한 접속점에 대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접속되도록 하고 또한 그 접속이 해제되도록 하는 기능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접속된 임의의 접속점을 통해 송신하는 데이터에 대한 수신확인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지를 확인하는 기능과, 수신확인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임의의 접속점과의 접속이 해제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임의의 접속점이 보여준 신호특성에 근거하여 그 임의의 접속점이 특별 접속점에 해당하는 지를 판별하며, 특별 접속점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이용가능한 접속점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망을 검색하는 시간격보다 긴 시간인 제한 시간동안 상기 임의의 접속점에 대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재접속은 제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본 발명 또는,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는, 특정의 무선 통신망, 예를 들어 Wi-Fi 망의 임의의 접속점이, 접속하여 사용하기에는 충분치 못한 경우, 또는 정상적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낮은 경우에, 그 접속점에 대해서는 이후의 검색에서 발견되더라도 상당 시간 동안은 무선통신 단말기가 접속하지 않도록 한다. 그렇게 접속을 유예시킨 시간내에는, 해당 접속점에 접속하더라도 원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접속하더라도 다시 해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접속 유예시간을 둠으로써 무선통신 단말기가 불필요한 재접속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특히, 신호세기만 높은 상태이고 실질적 데이터 서비스는 여러가지 이유로 인해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는 접속점에 반복적으로 접속하게 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가 있다. 이러한 불필요한 접속/해제 동작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연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접속 유예된 접속점 외의 다른 접속점이 보이는 경우 그 다른 접속점에 접속하도록 함으로써, Wi-Fi 망에 대한 접속 성공의 확률, 또는 데이터 서비스를 원하는 만큼 이용할 수 있는 확률을 매우 높이게 된다. 그리고, 접속 해제 또는 실패한 접속점에 대해서 재접속에 적합한 상태가 되는 예상시간을 반영하여 접속 유예시간을 동적으로 할당함으로써, 재접속하여 이용할 가능성이 높은 Wi-Fi 망의 접속점에 대해서는 빨리 재접속을 허용하고, 그렇지 않은 접속점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늦게 허용함으로써, 무선통신 단말기의 Wi-Fi 망 이용이 최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과의 접속 해제후 그 통신망에 대한 재접속을 제어하는 일 방법이 구현된 무선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예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과의 접속 해제후 그 통신망에 대한 재접속을 제어하는 일 방법을 수행하는 주 제어부에 대한 구성을 예시한 것이고,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에 따라 각기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절차들에 대한 각각의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실행 개체들의 현황을 파악하여 관리하기 위한 목록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현재 접속된 접속점의 서비스 속도를 추정하기 위해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에 대해 그 데이터 속도를 측정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a는, 무선 통신망을 형성하는 접속점들이 보여주는, 신호세기 대비 제공되는 서비스 속도의 통계적 특성의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불량 접속점으로 판별하는 기준으로 사용되는 신호세기 기준치를, 임의의 접속된 접속점에 대해 정하는 일 방식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량 접속점으로 판별된 접속점에 대해서 일시적으로 접속 유예시키기 위해 그러한 접속점을 등재하여 관리하기 위한 목록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불량 접속점으로 판별된 접속점이, 지정된 접속 유예시간 동안만 도 9의 목록에 등재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세기의 변화 특성으로부터 불량 접속점을 판별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실행 개체가 접속점을 통해 무선 통신망을 사용하는 경우에 그 접속점의 불량여부를 판별하는 일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실행 개체가 복수의 무선 통신망을 동시에 사용하고 있을 때, 특정 통신망의 접속점에 대한 불량여부를 판별하는 일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 불량 접속점으로 판별된 접속점에 대해서 그 사유에 따라 접속 유예시키는 시간이 다르게 지정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과의 접속 해제후 그 통신망에 대한 재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이 구현된 무선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예시한 것으로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는, 셀(cell)간의 핸드오버(handover)를 통해 이동동안 끊김없는 통신을 제공하는 셀룰러 망과 다른 특정 무선 통신망, 예를 들어 Wi-Fi 망 등을 모두 액세스할 수 있는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1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셀룰러 망의 지정된 방식에 따라 신호를 변조 또는 복조하여 셀룰러 망과 송수신하는 셀룰러 모뎀(1a)( RF신호의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요소이다 )과, 셀룰러 망에서 채택된 통신규약에 따라 데이터를 부호화(encoding)하거나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decoding)하는 셀룰러 코덱(1b)과, Wi-Fi 망의 지정된 방식에 따라 신호를 변조 또는 복조하여 Wi-Fi 망과 송수신하는 Wi-Fi 모뎀(2a)( RF신호의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요소이다 )과, Wi-Fi 망에서 채택된 통신규약에 따라 데이터를 부호화하거나 부호화된 데이터틀 복호하는 Wi-Fi 코덱(2b)과, 영상, 문자 등의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5)과, 임의 데이터나 정보 등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상에서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부(4)와, 입력되는 인코딩된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영상 및 오디오신호로 출력하는 디코더(8)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의 전면에 부착된 터치 센서(6a)와, 키(key) 및/또는 버튼(button)이 구비되어 있는 키패드(6b)와, 상기 터치 센서(6a)와 키패드(6b)상의 사용자 입력 및/또는 선택을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입력 정보를 출력하는 입력 제어부(6)와, 상기 입력 제어부(6)로부터의 입력 정보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구성요소들중 그에 맞는 구성요소에 적절히 데이터를 전송 또는 그로 부터 수신하거나 제어하며 그에 따른 결과나 사용자의 원하는 동작의 선택을 위한 UI 화면의 표시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4)를 제어하는 주 제어부(10)와, 상기 주 제어부(10)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메모리부(7)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주 제어부(10)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타 구성요소들과의 물리적 신호 교환 및/또는 정보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101)와, 상기 메모리부(7)에 설치되어 있는 실행 개체)( 본 명세서에서, "실행 개체"란,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세스를 지칭한다. )들에서 현재 실행 상태에 있는 실행 개체들(20이 의도한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기능들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고유의 기능( 통신, 입출력 등 )이 작동하도록, 상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101)를 통해 필요한 구성요소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운영 엔진부(102)와, 상기 실행 상태에 있는 실행 개체들(20)이 상기 운영 엔진부(102)에 예비된 기능을 요청하는 데 필요한 정보 인터페이스 기능을 위한 응용 인터페이스부(1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 제어부(10)는, 상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101)에 의한 제어동작 등에 수반되는 상기 구성요소들의 동작이 실행되도록 하는 명령코드들이 기록된 펌웨어(firmware)를 포함하며, 또한 그러한 펌웨어를 실행하는 하드웨어 자원, 예를 들어 CPU(110)와 캐쉬 메모리, 타이머(111), 그리고 실시간을 추적하는 시계부(112) 등을 포함한다. 물론, 상기 주 제어부(10)를 구성하는 상기 하드웨어 자원은 다양한 실행 개체들에 대해 상기 메모리부(7)에 설치하고, 그 설치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어플리케이션 등에 대해서 해당 명령코드들을 실행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101)와 상기 운영 엔진부(102)의 일부는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그 동작방식이 상세히 설명되는 상기 주 제어부(10)는 그 구현하는 형태 또는 사용된 자원의 유형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7)에는, 다양한 실행 개체들외에도, 실행 상태하에서 필요 시에, 상기 응용 인터페이스부(103)를 통해 상기 운영 엔진부(102)에 원하는 기능을 요청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고, 또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고, 그 입력에 기초해 의도된 동작을 실행하거나 필요한 정보를 설정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기본 프로세스( 이하, "내장(built-in) 프로세스"라고 칭한다. )가 기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내장 프로세스들은, 상기 주 제어부(10)에 의해 항상 그 실행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도 1에 예시한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구성은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구체적이고 예시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단지 하나의 예일 뿐,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기능의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되거나 또는 예시된 구성요소가 배제될 수도 있으며, 하드웨어로 구성된 요소의 일부 기능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지만, 도 1에 예시된 구성과는 상이하더라도, 이하에서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본 발명의 개념과 주제를 운영시스템(O/S)을 통해 구현하고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 또는 별도의 미들웨어 또는 플랫폼 등을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개념과 주제가 구현된 무선통신 단말기는, 청구범위의 해석에서 배제되지 않는 한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상기 주 제어부(10)의 운영 엔진부(102)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101)를 통해 상기 셀룰러 모뎀(1a)과 셀룰러 코덱(1b)를 활성화시켜 셀룰러 망에 접속되도록 한다. 즉, 셀룰러 망으로부터 접속 주소( 예를 들어, IP주소 )를 할당받고 필요한 정보 등을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101)를 통해 Wi-Fi 모뎀(2a)을 주기적으로 활성화시켜 현재 위치에서 Wi-Fi 망이 액세스가능한 지를 확인한다. 물론, 이러한 주기적 확인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상기 주 제어부(10)가 제공하는 적절한 UI를 통해 설정한 동작 환경정보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Wi-Fi 모뎀(2a)은 활성화상태가 되면, 지정된 RF신호대역을 복조하여 파일럿(pilot) 채널 신호를 검출하고, 신호가 검출되면 이를 상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101)를 통해 상기 운영 엔진부(102)에 통지한다. 그러면,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현재 물리적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인 Wi-Fi 망에 대해 접속상태로 만들기 위해 접속점( AP: Access Point )과의 필요한 정보 교환절차를 수행하여 그 접속점으로부터 접속 IP주소를 할당받아 이를 설정한다. 그리고, Wi-Fi 망에 대해 접속상태가 되면,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그 상태를 현재 실행 중인 다양한 실행 개체들(20)이 알 수 있도록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Wi-Fi 망의 이용가능 상태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드웨이 인터페이스부(101)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4)를 제어하여, 특정의 아이콘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의 특정 위치, 예를 들어 상단 상태바에 표시되게 한다. 물론, Wi-Fi 망 접속 상태를 나타내거나 또는 그 신호세기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표시하는 등의 동작은, 내장 프로세스가 상기 응용 인터페이스부(103)를 통해 필요한 기능을 상기 운영 엔진부(102)에 요청함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다중접속(multi-connection) 지원 시스템인 경우에는, Wi-Fi 망과 접속된 후에도 셀룰러 망과의 접속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다중접속 비지원 시스템인 경우에는, 셀룰러 망과의 접속을 해제하게 된다. 이 때, 접속상태를 위해 할당한 메모리 공간을 회수하며, 망 인터페이스 목록과 라우팅(routing) 테이블 갱신 등의 동작을 행하게 된다. 다중접속 지원 시스템으로서 셀룰러 망과의 접속을 유지하여 복수망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이더라도,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상기 실행 개체들(20)로부터의 통상의 망 사용 요청에 대해서는, 자신이 지정한 하나의 통신망을 사용하게 된다. 이 지정된 통신망을 "디폴트 통신망"이라 한다.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다중접속 상태에서는 Wi-Fi 망을 디폴트 통신망으로 설정하게 된다.
현재 접속된 Wi-Fi 망의 접속점에 대해서는, 주기적인 검색에서 해당 접속점이 보이지 않거나, 또는 그 접속점의 신호세기가 기 지정된 최저 기준치보다 낮으면,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그 접속점과의 접속을 해제하게 된다.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통상의 조건하에서는, 주변에서 Wi-Fi 망이 검색되는 지에 따라, 전술한 바에서와 같이 임의의 접속점에 접속하고 해제하는 동작을 행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에 따라, 특정의 조건이 충족되면, 예를 들어, 상기 실행 개체들(20) 중 임의의 개체가 외부로부터 컨텐트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중이면, Wi-Fi 망의 접속점에 대한 접속제어를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기 지정된 특별 실행 개체들 중에서 임의의 하나라도 실행 중이면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상기 특정의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한다. 다르게는, 임의의 실행 개체가 외부와의 통신을 위해 통신소켓을 생성 요청하면 상기 특정의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운영 엔진부(102)가, 상기 특정의 조건이 충족된 상태에서, Wi-Fi 망의 접속점에 대한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접속 제어와 관련된 동작들에 대한 도 3 내지 5의 예시적인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접속 제어 절차에 대한 예시이고, 도 4 및 5는, 그 접속 제어 절차에서 참조되는 불량 접속점 목록을 관리하기 위한 절차에 대한 예시이다.
구체적인 실시예들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현재 Wi-Fi 망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만약, 셀룰러 망에 대해서도 접속되어 있는 다중접속 상태라면 상기 운영 엔진부(102)에 의해서 디폴트 통신망이 Wi-Fi 망으로 지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디폴트 통신망이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임의의 실행 개체가 Wi-Fi 망을 지정하여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를 외부로 송신함으로써 Wi-Fi 망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연히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주 제어부(10)의 기반하에 실행되는 임의의 실행 개체가, 그 의도된 기능( 예를 들어, 정보 브라우징, 파일 송수신, 지정된 서버와의 필요한 데이터의 교환 또는 정보의 동기화, 컨텐트의 스트리밍 등 )을 수행하기 위해, 외부 서버에 특정의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 예를 들어 HTTP Request 또는 RTP/RTSP Request 등의 송신이 필요하면, 송신할 정보를, 상기 응용 인터페이스부(103)에 지정된 포맷에 따라 제공하면서 통신소켓의 생성을 요청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응용 인터페이스부(103)는, 그 제공된 정보를 해석하여, 요청한 동작을 행하는 데 상기 운영 엔진부(102)가 필요로 하는 정보와 액션(action) 등을 결정하여 상기 운영 엔진부(102)에 통지한다. 이러한 통지에 따라,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현재 접속된 또는 디폴트 통신망인 Wi-Fi 망으로부터 할당받은 접속 IP주소를 로컬 주소로 하고, 상기 통지된 정보( 또는 수신한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에 실린 정보 )에 의해 파악된 목적지의 IP주소( 이 IP주소를 얻기 위해 DNS 서버로부터의 주소획득 과정이 있을 수도 있다. )를 원격지 주소로하여 통신소켓을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파악된 목적지와 필요한 정보 교환을 수행하여 TCP 커넥션을 개설한다. 이러한 정보 교환에는 물론, 상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101)에 의해 상기 Wi-Fi 모뎀(2a)과 상기 Wi-Fi 코덱(2b)이 사용된다. TCP 커넥션이 성공적으로 개설되면,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앞서 생성한 통신소켓에 대해 해당 TCP 커넥션에 연계시키고 또한 상기 임의의 실행 개체에 대한 것으로 할당한다. 이러한 할당은, 상기 임의의 실행 개체에 대해 부여되어 있는 포트번호와 상기 생성한 통신소켓에 대한 로컬(local) 주소에서의 포트번호의 동일성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통신소켓의 생성과 할당이 종료되면,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그 통신소켓을 식별케 하는 식별자를 생성하여 상기 응용 인터페이스부(103)를 통해, 앞서 통신소켓의 생성을 요청한 상기 임의의 실행 개체에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임의의 실행 개체가 미디어 플레이어(21)이고, 따라서, 외부의 서버에 대해 요청한 것은 자신이 플레이할 컨텐트, 즉 미디어 데이터 파일인 것으로 가정한다. 비록,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컨텐트를 플레이하는 실행 개체로 가정하지만, 그외 다른 유형의 데이터를 외부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모든 실행 개체에 대해서도 후술하는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통신소켓의 식별자를 통지받은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1)는, 그 통지된 식별자를 지정하면서, 앞서 그 정보를 제공하였던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 예를 들어 HTTP Request를 상기 응용 인터페이스부(103)를 통해 상기 운영 엔진부(102)에 송신을 요청한다. 그러면,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수신된 식별자에 의해 해당 통신소켓을 특정하고, 그 통신소켓에 부여되어 있는 주소정보와 그 통신소켓에 연계된 TCP 커넥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1)로부터 수신한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를 패킷으로 구성하여 상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101)를 통해 Wi-Fi 망으로 전송되게 한다( 즉, 상기 Wi-Fi 모뎀(2a)과 상기 Wi-Fi 코덱(2b)의 자원이 사용되어 무선신호로서 외부로 송출되게 한다. ). 이와 같이 송신된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는 현재 접속된 Wi-Fi 망의 접속점과 그 후단의 데이터 통신망을 경유하여 목적지에 도달하고, 그 목적지의 서버는 그 요구에 대한 응답을 구성하여 요구의 발송지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Wi-Fi 망을 사용하는 통신소켓을 생성하고 나면, 그 통신소켓의 생성을 요청한 실행 개체, 즉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1)의 식별정보, 예를 들어 패키지명(package name)과 그 실행 개체에 대해 지정되어 있는 요구속도를 확인하여,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망사용 현황표(60)에 등재한다(6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1)가 상기 운영 엔진부(102)에 기 지정된 특별 실행 개체인 경우에 한하여 상기 망사용 현황표(60)에 등재될 수도 있다. 도 6의 Wi-Fi 망사용 현황표(60)에는 단지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1)만 등재되어 있으나, 다른 실행 개체가 요청하여 통신소켓을 생성한 경우에는 그 실행 개체도 당연히 등재될 수 있다. 하지만, 설명의 편의와 순서상, 망사용 현황표에는 일단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1)가 단독으로 등재된 것으로 한다. 복수개의 실행 개체를 등재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이후에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실행 개체의 식별정보에 대해 기 지정되어 있는 요구속도가 없을 경우에는, 디폴트로 지정된 요구속도를 사용하게 된다. 다르게는, 지정되어 있는 요구속도가 없는 실행 개체에 대해서는 상기 망사용 현황표(60)에 등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대신, 그러한 실행 개체에 대해서는, 통신소켓을 생성한 후 셀룰러 망 또는 Wi-Fi 망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그 통신소켓을 통해 해당 실행 개체로 전달하는 총 데이터를, 그 실행 개체가 실행 후 종료될 때까지의 시간으로 나눈 값( 또는, 임의의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가 있는 후 그 응답이 수신 완료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으로써, 그 응답 데이터의 크기를 나눈 값 ), 즉 평균 이용 속도를 요구속도로 지정해 두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기 지정된 외부의 특정 서버로부터, 다양한 실행 개체들에 대한 요구속도를 지정하고 있는 요구속도 지정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받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목적지의 서버가 전송한 응답은, 상기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의 전달 방향의 역으로 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Wi-Fi 통신 자원( 상기 Wi-Fi 모뎀(2a)과 상기 Wi-Fi 코덱(2b) )을 거쳐 상기 주 제어부(10)에 의해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1)에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1)는 그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해, 본래 의도된 기능, 예를 들어 상기 디코더(8)를 사용한 디코딩을 행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 상에 영상 등을 표현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1)는, 필요한 경우, 인코딩된 영상 또는 오디오의 데이터 블록들에 대해서, 상기 응용 인터페이스부(103)가 정하고 있는 적절한 정보 포맷에 따라 상기 운영 엔진부(102)에 요청함으로써, 상기 디코더(8)가 하드웨어적으로 처리하는 디코딩 동작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1)에 통신소켓을 통해 전달하는 동안, 현재 접속된 접속점에 대한 연결 특성, 예를 들어 제공되는 품질을 확인한다. 품질을 확인하기 위해 선정된 품질 요소는, 해당 접속점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의 속도가 될 수 있다. 물론, 이 외에도 전송 지연시간, 패킷 손실율, 접속 요청에 대한 응답 시간 등의 품질 요소가 선정되어 그로부터 또는 결합된 품질 요소들로부터 접속점의 품질을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선정된 품질 요소인 데이터 서비스의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1)에 통신소켓을 통해 전달하는 미디어 파일의 데이터를 수송하는 각 패킷의 수신속도를 파악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매 측정 주기(Tslotk, k=1,2,..)마다, 해당 주기동안 수신된 각 패킷의 데이터 크기(DSzki, k=1,2,..)의 합( Stotk= ΣDSzki )을, 각 수신에 소요된 시간들(Tpkki, k=1,2,..)의 합( Ttotk= ΣTpkki )으로 나누어서(701) 현 접속점의 서비스 속도를 측정함으로써, 서비스 속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S301). 물론, 해당 주기내에 수신되는 패킷이 없는 경우에는 그 주기에서는 수신속도를 측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1)가 기존에 생성한 통신소켓 외에 추가적으로 통신소켓을 생성 요청하여 Wi-Fi 망 사용을 위한 통신소켓을 복수개 생성한 경우에는,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 통신소켓에 대해서도 해당 실행 개체에 대해 등재한 후(611), 그 통신소켓을 통해 전달하는 패킷에 대해서 필요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수신속도 산출에 고려하게 된다(711). 보다 구체적으로, 패킷의 데이터가 수신되는 시구간이 타 소켓을 통한 패킷의 수신 시구간과 일부 중첩되는 경우 이 들에 대해서는 중첩된 시구간을 고려하여 수신속도를 산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추가 통신 소켓을 통해 수신되는 패킷(711)의 시구간이, 예를 들어, 두번쩨 주기(Tslot2)에서 최초 통신소켓을 통해 수신되는 임의 패킷(712)의 데이터가 수신되는 시구간과 중첩되면, 그 양 패킷의 데이터 크기(DSz21,DSzx)와 상기 중첩 시간(Tov)을 고려하여 다음의 식 [1]과 같이 해당 주기에서의 접속점의 서비스 속도(SvcSpd2)를 산출한다(702).
SvcSpd2 = [ΣDSz2i + DSzx]/[ΣTpk2i + Tpkx - Tov] 식 [1]
만약, 패킷의 데이터가 수신되는 시구간이 통신소켓간에 중첩되는 경우가 없다면,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하나의 통신소켓만을 선택하여 그 소켓을 통해 전달하는 데이터 서비스의 속도만을 측정하여 해당 주기에서의 서비스 속도로 추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통신소켓을 구분하여 수신속도를 측정하지 않고, 상기 Wi-Fi 코덱(2b)이 상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101)를 통해 전달하는 데이터에 대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측정함으로써 현 접속점에 대한 서비스 속도를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속적으로 현 접속점의 서비스 속도를 확인하면서, 그 서비스 속도가 해당 실행 개체, 즉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1)에 대해 지정된 요구속도를 충족하고 있는 지를 확인한다(S302). 모니터링하고 있는 현재의 서비스 속도가 지정된 요구속도 이상이면,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Wi-Fi 망의 접속점에 대한 별다른 접속 제어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만약, 현재의 서비스 속도가 지정된 요구속도보다 낮으면,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상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101)를 통해 상기 Wi-Fi 모뎀(2a)에 요청하여, 현 접속점의 현 시점에서의 신호세기(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 접속점의 식별정보, 예를 들어 SSID 또는 BSSID ( MAC 주소 ) 등을 확인한 후, 그 접속점에 대한 접속을 해제한다(S303).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현재의 서비스 속도가,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1)에 대해 지정된 요구속도보다 낮은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될 때에 한하여 단계 S303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현 접속점과의 접속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필요한 동작( 예를 들어, Wi-Fi 망 해제 이벤트 발생 등 )을 행하고 또한 셀룰러 망에 대한 접속을 진행한다. 만약, 현재 셀룰러 망에 대해 접속된 상태이면, 별도의 접속 동작없이 디폴트 통신망을 셀룰러 망으로 변경 설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중에, Wi-Fi 망과의 접속이 해제된 것을 인지하는 실행 개체들은, 필요한 경우 이전부터 접속되어 있는 또는 Wi-Fi 망 해제 후 새로이 접속된 셀룰러 망을 사용하여 데이터 이어받기를 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1)는, 원격지 컨텐트를 수신하여 플레이하고 있는 중에, 상기 운영 엔진부(102)에 의한 전술한 바와 같은 Wi-Fi 망 접속해제가 통지되면, 컨텐트 데이터를 셀룰러 망을 통해 이어받기 위해서, 현재까지 해당 컨텐트에 대해 수신된 데이터의 총량( 예를 들어, 'N-1' 바이트 )을 반영하여 그 이후부터의 데이터를 요청하는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를 작성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작성된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를 상기 응용 인터페이스부(103)를 통해 상기 운영 엔진부(102)에 전달하면서 전송 요청한다. 그러면,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자신이 수신한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를 현재 접속된 셀룰러 망을 통해, 해당 컨텐트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컨텐트 서버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컨텐트 서버는, 이전부터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었던 동일 컨텐트에 대해서 새로이 사용하는 셀룰러 망을 통해 N 바이트부터 전송하게 되고, 이 컨텐트 데이터는 상기 셀룰러 모뎀(1a)과 셀룰러 코덱(1b)에 의해 수신된 후, 상기 주 제어부(10)에 의해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1)에 제공된다. 따라서, 수신하는 컨텐트의 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운영 엔진부(102)에 의해 접속점과의 접속이 해제되어도 그 연속성이 보장되어 수신되므로 영상 및/또는 오디오를 끊김없이 사용자에게 표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접속점에 대한 접속을 해제한 후에는,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앞서 확인된 신호특성이 기 규정된 신호특성에 해당하는 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확인된 신호세기가 기 지정된 양호 기준치 이상인 지를 확인한다(S304). 여기서, 양호 기준치란, Wi-Fi 망을 형성하는 접속점들이 경부하(weak load) 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양호한 서비스 속도를 제공하는 최소 신호세기를 지칭하며,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상적으로 접속점에 접속하기 위한 최저 신호세기보다는 상당히 높은 값이다. Wi-Fi 망의 접속점들이 도 8a와 같은 통계적인 서비스 특성(80)을 보이는 경우라면, 상기 양호 기준치는 예시된 최저 신호세기(81)( 예를 들어, -85dBm )에서보다는 양호한 서비스 속도를 보이는(83) 신호세기 영역인 대략적으로 채색된 구간(82)내에서 선정될 수 있다. 접속해제 직전 확인한 신호세기가 상기 양호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접속을 해제한 상기 접속점을 특별처리가 필요한 접속점( 이하, 특별처리가 필요한 접속점을 "불량 접속점"이라 칭한다. )으로 판별하여 그 접속점에 대해서 불량 접속점 목록에 등재하기 위한 절차가 진행되도록 한다(S310).
전술한 바와 같이 정해지는 양호 기준치는 단일의 값으로 Wi-Fi 망의 모든 접속점에 대해 적용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양호 기준치가 임의의 접속점에 접속할 때 그 접속점에 대해 동적으로 정해질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접속하고 있는 접속점이 달라지면, 불량 접속점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기준인 양호 기준치도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Wi-Fi 망의 임의의 접속점에 접속된 상태에서, 임의의 실행 개체( 또는 실행 개체들 )가 요구하는 데이터를 원격지로부터 수신하고 있는 동안, 주기적으로 현 접속점의 신호세기를 검출하는 동작을 행하면서, 그 임의의 실행 개체에 대해 지정된 요구 속도를 충족하는 가장 낮은 신호세기를 파악하여 해당 접속점에 대한 양호 기준치로 지정하게 된다. 에를 들어, 도 8b에서와 같이, 현 접속점에 접속후 해제될 때까지의 서비스 속도가 임의 실행 개체의 요구 속도(841)를 충족하였다고 가정할 때, 그 접속동안에 측정된 신호세기 중 가장 낮은 신호세기(842)가 해당 접속점에 대한 양호 기준치로 지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양호 기준치가 정해지면 해당 접속점의 식별정보와 그 양호 기준치는 별도의 양호 기준치 목록에 등재되어 사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임의의 접속점을 통해 Wi-Fi 망에 접속되면,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그 임의의 접속점의 식별정보를 상기 양호 기준치 목록에서 검색하고, 동일 접속점이 있으면 그 접속점에 대해 지정된 양호 기준치를 불량 접속점인 지의 판별을 위한 단계(S304)에서 사용하고, 동일 접속점이 없으면, 도 8a를 참조로 설명한 방식으로 정해져 있는 양호 기준치를 사용하게 된다.
불량 접속점으로 판별된 접속점을 상기 불량 접속점 목록에 등재하기 위한 절차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불량 접속점의 통지가 있을 때에 한하여, 도 3에 예시된 접속 제어 절차의 수행과 독립하여 상기 운영 엔진부(102)에 의해서 동시에 수행되거나, 또는 별도의 내장 프로세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에 예시된 불량 접속점 등재 절차를 수행할 때는,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타 절차의 수행에서, 즉 도 3의 절차의 수행에서 통지된 접속점 식별정보를 불량 접속점 목록에 등재한다(S401). 그리고, 정해져 있는 접속 유예시간을 그 등재한 접속점에 대해 기입한다(S402). 이 접속 유예시간은, 상기 운영 엔진부(102)가 Wi-Fi 망이 이용가능한 지를 확인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행하는 검색의 시간격( 예를 들어 20초 또는 30초에 해당하는 주기 )보다는 긴 시간에 해당한다. 물론, 검색의 주기는 가변될 수도 있는 데, 검색 주기가 적응적으로 가변되는 경우에는 상기 접속 유예시간이 검색의 시간격보다 짧아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운영 엔진부(102)가, 반복적인 검색에서 접속점이 주변에서 발견되지 않는 경우 매 검색시마다 그 주기를 지수적으로 길어지게 하면, 상당한 횟수의 검색 후의 검색 시간격은 상기 접속 유예시간보다 길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고 있는, 상기 접속 유예시간이 검색의 시간격보다 긴 시간이라는 표현은,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의 초기( 상당한 시간 후의 적응적 동작을 행하기 전의 ) 동작 단계에서 그에 장착된 운영시스템이 Wi-Fi 망을 반복적으로 검색하도록 설정된 주기, 예를 들어 최소 주기보다는 긴 시간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도 9는, 빈(blank) 불량 접속점 목록에 최초 하나의 접속점이 등재된 것에 대한 예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접속 유예시간에 대해서, 일정 단위시간을 기준으로 표현된 값이 상기 불량 접속점 목록(90)에 기입된다. 상기 일정 단위시간은, 도 5에 예시된 절차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주기에 해당한다. 물론, 도 5의 절차를 반복 수행하기 위한 주기는 상기 운영 엔진부(102)에 의해 구비된 타이머(111)( 이 타이머는, 접속 유예시간 종료의 확인을 위한 것으로서, 이하 "확인용 타이머"라 칭한다. )에 설정된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확인용 타이머의 설정 값이 200 msec일 때, 접속 유예를 위해 지정된 시간이 120 초라면, 상기 정해져 있는 접속 유예시간은 600의 값에 상당하게 된다. 따라서, 그 값이 상기 불량 접속점 목록(90)에 상기 접속유예 시간값(91)으로서 기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불량 접속점 목록(90)에 하나의 엔트리가 생성되면,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상기 확인용 타이머를 활성화시킨다(S403). 이 활성화에 의해서, 상기 확인용 타이머는 자신에게 설정된 초기값( 예를 들어, 200msec에 해당하는 클럭(clock) 수 )마다 타임아웃(time-out)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동작을 반복한다. 그리고, 상기 확인용 타이머의 매 타임아웃마다 도 5에 예시된 이벤트 처리 절차가 상기 운영 엔진부(102)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확인용 타이머의 타임아웃이 발생되면, 도 5에 예시된 절차에 따라,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먼저 상기 불량 접속점 목록에 등재된 각 엔트리의 접속유예 시간값(C_Blk_Tvalk, k=1,2,..)을 1씩 감소시킨다(S501). 그리고, 그 감소된 값이 0이 되는 엔트리가 있는 지를 확인하고(S502), 그러한 엔트리가 없다면 이벤트 처리 절차를 종료하고, 만약 그러한 엔트리가 있다면 그 엔트리에 대해서는 상기 불량 접속점 목록에서 삭제한다(S503). 이렇게 상기 불량 접속점 목록에 등재된 후 삭제되는 것은, 해당 엔트리의 접속점이, 신호세기는 양호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실행 상태인 실행 개체, 예를 들어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1)가 요구하는 속도를 제공하지 못해 불량 접속점으로 등재된 후,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 등재 시점(1001)부터 지정된 접속 유예시간(1002)이 경과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접속 유예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해당 접속점에 대한 접속이 잠정적으로 제한되는데 이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운영 엔진부(102)가, 접속 해제한 접속점의 해제 직전 신호세기가 상기 양호 기준치 이상일 때를 불량 접속점으로 판별하였다. 이러한 판별은, 신호세기가 양호함에도 불구하고 해당 접속점이 적정한 서비스 속도를 제공하지 못한 것에 기인하며, 통상, 해당 접속점에 다수의 접속자들로 인해 트래픽이 집중되고 있거나 또는 그 접속점 후단의 통신상태가 일시적으로 과부하일 때 이런 현상이 발생할 수가 있다. 그런데, 접속점들의 서비스 특성은 그 제조사나 단말기와의 상호 특성에 따라 매우 다양할 수 있으므로, 어떤 접속점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정한 양호 기준치 이하일 때도 무선통신 단말기의 실행 개체가 요구하는 적정의 서비스 속도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신호세기의 순시값( instantaneous value )이 아닌 다른 신호특성, 예를 들어 신호세기의 변동성이 기 규정된 특성을 보였는 지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불량 접속점 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접속된 접속점을 통해 원격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데이터를 요구한 임의 실행 개체, 예를 들어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1)로 전달하는 동안, 주기적으로 그 접속된 접속점의 신호세기를 확인한다. 이러한 주기적 확인은, 현 접속점의 서비스 속도(TP)가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1)에 대해 지정된 요구속도(ReqSpd)를 충족하고 있는 지에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서비스 속도가 요구속도를 일정 시간(1110) 충족하지 못하여 현 접속점과의 접속을 해제하게 되면, 그 시간(1110) 동안 1회 이상 확인된 신호세기의 평균값(1121, 1122, 또는 1123)과, 서비스 속도가 요구 속도를 충족하던 가장 최근동안(1111)의 신호세기 평균값(1130)을 상호 비교한다. 그 비교결과, 전자가 후자보다 일정 허용치 범위를 벗어나 더 낮은 값이면( 1121의 경우 ),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접속을 해제한 접속점에 대해서 불량 접속점으로 판별하지 않고, 그렇지 않으면( 1122와 1123의 각 경우 ) 불량 접속점으로 판별하게 된다. 접속점이 제공하는 서비스 속도가 현재 요구되는 속도를 충족하지 못할 때의 신호세기가, 요구 속도를 충족하고 있는 동안의 신호세기에 비해서 더 낮아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서비스 속도가 저하된 것은, 앞서 예시적으로 열거한 이유 등으로 서비스 특성이 열악해 졌을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불량 접속점으로 판별하게 되는 것이다. 즉, 해당 접속점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근접함으로써 신호세기가 매우 양호해 지더라도 현 시점에는 서비스 속도가 개선될 여지는 낮은 것으로 예상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불량 접속점으로 판별되는 접속점에 대해서 그 불량 특성( 이 특성은, 예를 들어 신호특성과 서비스 속도 특성, 또는 서비스 속도의 부족 비율 등으로부터 결정된다. )을 구분하고 그 구분된 특성에 따라 접속 유예시간이 다르게 정해질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접속 해제한 접속점에 대해 접속 해제 직전에 확인된 신호세기가, 서비스 속도가 요구 속도를 충족하고 있을 때의 신호세기에 비해서 낮지 않는 조건( 도 11의 1122와 1123의 경우 )에서 그 접속점의 서비스 속도의 변화폭이 클수록 접속 유예시간이 짧아지게 한다. 예를 들어, 그 서비스 속도의 변화정도가 기 지정된 편차 이상이면 접속 유예시간이 60초로, 그렇지 않으면 120초로 지정한다( 실제적으로는, 지정 의도하는 시간에 해당하는 접속유예 시간값을 지정한다. ). 그리고, 접속 해제한 접속점에 대해 접속 해제 직전에 확인된 신호세기가 상기 양호 기준치보다는 높지만, 서비스 속도가 요구 속도를 충족하고 있을 때의 신호세기에 비해서 낮아진 경우라면, 접속 유예시간을 60초로 또는 그 보다 짧은 시간으로 지정한다.
불량 특성에 따라 접속 유예시간이 다르게 정해질 수 있는 또 다른 구체적 예로서는, 서비스 속도가 요구속도를 충족하고 있지 못하여 해제한 접속점에 대해 그 미총족의 정도에 따라 접속 유예시간을 조정하는 것이다. 요구속도에 대한 서비스 속도의 비(Req_ratio)가 0.9 이상이면 정해진 원래의 접속 유예시간(o_C_Blk_Tval)을, 0.9~0.7의 범위내이면 그 시간의 1.5배( 1.5*o_C_Blk_Tval )를, 0.7~0.5의 범위내이면 2배( 2.0*o_C_Blk_Tval )를, 0.5~0.3의 범위내이면 5배( 5.0*o_C_Blk_Tval )를, 그리고 0.3이하이면 10배( 10.0*o_C_Blk_Tval )를 불량 접속점으로 판별한 접속점에 대한 접속 유예시간으로 지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접속 유예시간이 주변 검색된 사용 가능한 접속점의 수에 근거하여 다르게 정해질 수도 있다.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제공되는 서비스 속도가 충분하지 못해 접속을 해제한 접속점이 불량 접속점으로 판별되면, 일정 시간, 예를 들어 60초가 경과하지 않은 가장 최신의 검색에서 발견된 사용 가능한 접속점의 수가 많으면 그렇지 않을 때보다 접속 유예시간을 더 길게 지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 가능한 접속점의 수가 하나이면 원래의 정해진 접속 유예시간(o_C_Blk_Tval)을, 2개이면 1.5배(1.5*o_C_Blk_Tval)를, 3~4개이면 3배(3.0*o_C_Blk_Tval)를, 그리고 5개 이상이면 5배(5.0*o_C_Blk_Tval)를 접속해제한 접속점에 대한 접속 유예시간으로 지정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 가능한 접속점"이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접속하여 실제적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접속점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된 기 지정된 서비스 식별자(SSID) 또는 이전에 접속한 바 있는 서비스 식별자(SSID)를 갖는 접속점들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전술한 예들에서와 같이 불량 특성에 따라 또는 사용 가능한 접속점의 수에 따라 달리 지정되는 접속 유예시간이 해당되는 접속점과 함께 상기 불량 접속점 목록에 등재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불량 접속점을 통지하는 과정(S310)에서, 앞서와 같은 방식으로 지정한 접속 유예시간( 접속유예 시간값 )을 함께 통지하고, 그 통지에 따라 도 4에 예시된 불량 접속점 등재 절차를 수행할 때, 그 통지된 접속점을 새로운 엔트리로 상기 불량 접속점 목록에 등재한 후 그 엔트리에 그 통지된 접속 유예시간을 기입하게 된다.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상기 불량 접속점 목록에서 접속유예 시간값이 0이 된 엔트리에 대해서 삭제한 후에, 상기 불량 접속점 목록에 등재된 접속점의 수, 즉 엔트리의 수가 0인 지를 확인한다(S504). 삭제 후 더 이상 등재된 접속점이 없으면,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상기 확인용 타이머에 대해서 비활성화시켜(S505), 도 5에 예시된 이벤트 처리 절차가 더 이상 수행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불량 접속점 목록에의 등재를 위해 접속 해제한 접속점을 통지한(S310) 후에는,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상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101)를 통해 상기 Wi-Fi 모뎀(2a)을 제어하여 주변의 Wi-Fi 망을 검색하도록 하는 동작을 주기적으로 수행한다(S311). 물론, 앞서 확인한 신호세기가 상기 양호 기준치보다 낮을 때는(S304), 접속 해제한 접속점에 대해 상기 불량 접속점 목록에 등재하는 절차없이, 주변 Wi-Fi 망의 주기적인 검색을 수행하게 된다.
검색을 행하는 동안 임의의 접속점이 발견되면(S312),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그 발견된 접속점에, 상기 불량 접속점 목록에 등재된 접속점이 있는 지를 확인한다(S313). 만약, 있다면, 그 접속점에 대해서는 대상 접속점에서 베제한다(S314). 이 과정에 의해, 불량 접속점으로 판별된 접속점에 대해서는, 접속 유예시간이 경과함으로써 상기 불량 접속점 목록에서 삭제될 때까지는( 즉, 도 10의 1002에 해당되는 시간에서는 ) 접속이 요청되지 않음으로써 접속이 제한되는 것이다.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발견된 접속점들에서 상기 불량 접속점 목록에 등재되어 있는 접속점이 없으면 그 전체를 대상 접속점으로 하고, 등재되어 있는 접속점이 있으면 그 접속점을 배제한 접속점들을 대상 접속점으로 하여 그 중에서 가장 높은 신호세기를 보이는 접속점을 선정하고, 상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101)를 통해 그 선정된 접속점의 식별정보를 상기 Wi-Fi 모뎀(2a)에 제공하면서 접속을 요청하게 된다(S315). 이로써,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는 다시 Wi-Fi 망에 대한 접속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이 접속이 있게 되면,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이벤트를 발생시켜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1)는 물론 실행상태에 있는 모든 실행 개체들(20)에게 Wi-Fi 망의 접속사실을 알리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발견된 접속점들에서, 가장 좋은 신호세기와 일정 제한폭( 예를 들어, 10dBm ) 이상 차이나지 않는 신호세기( 이들 모두는 접속을 위한 최저 신호세기(81)보다는 높은 )를 보이는 접속점이 복수개이고, 그 중 하나 이상이 상기 불량 접속점 목록에서 삭제된 지 기 지정된 전환용 시간( 예를 들어, 3분, 5분, 또는 10분 등 )이 경과하지 않은 것이면,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그 접속점에 대해서는 접속 우선순위를 낮추게 된다. 예를 들어, 3개의 접속점(AP1,AP2,AP3)이 Wi-Fi 망의 검색에서 발견되고, 신호세기는 차례대로 -64dBm, -70dBm, -78dBm 이며, 접속점 AP1이 상기 불량 접속점 목록에서 삭제된 후 아직 상기 전환용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시점이라고 가정하면, 가장 좋은 신호세기인 -64dBm과 10dBm 이내의 차이가 나는( -74dBm 이상 ) 신호세기를 보이는 접속점 AP2에 대해서 상기 접속점 A1보다 먼저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만약, 검색에서 발견된 접속점들이 모두 상기 불량 접속점 목록에서 삭제된 후 상기 전환용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시점이면, 당연히 그 중 가장 높은 신호세기를 보이는 접속점 순서대로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본 실시예를 위해서,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상태 전환중 접속점 목록을, 상기 불량 접속점 목록과 같은 방식으로 구성하여 관리한다. 즉, 상기 불량 접속점 목록에서 삭제한 접속점에 대해서는 상기 상태 전환중 접속점 목록에 상기 전환용 시간과 함게 등재하고, 그 등재시점부터 경과하는 시간에 따라 상기 등재한 전환용 시간을 감소시키게 되며, 그 감소된 시간이 0이 되면 상기 상태 전환중 접속점 목록에서 삭제하게 된다. 이렇게 상태 전환중 접속점 목록을 관리함으로써, 주기적 검색에 의해 발견되는 접속점들 중 상기 상태 전환중 접속점 목록에 등재되어 있는 접속점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은 접속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우선순위로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지금까지 설명한 도 3에 예시된 접속 제어 절차를, 전술한 바의 특정의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 동안에는(S320)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그러한 특정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상태가 되면, 예를 들어 기 지정된 특별 실행 개체들 중( 또는 임의의 실행 개체들에 대해서 ) 어느 하나도 실행 상태가 아니면 상기 접속 제어 절차의 수행을 종료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의 특정의 조건의 충족 여부와 무관하게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접속 제어 절차를 항상 수행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운영 엔진부(102)가 주기적 검색에 의해 발견되는 접속점에 대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접속되게 한 후에는, 기 지정된 특정의 서버에 임의 파일을 요청하고, 그 요청에 따라 상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101)를 통해 원격지로부터 수신되는 임의 파일의 데이터 수신 속도를 측정하면서 요구속도와 비교하게 된다. 이 때의 요구속도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실행 개체와 연관되어 지정된 것이 아니며, 상기 운영 엔진부(102)에 기 지정된 값( 에를 들어, Wi-Fi 망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적정 서비스 속도 )이 사용된다.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접속된 접속점을 선택적으로 불량 접속점으로 판별하고 그 접속점에 대해서는 접속을 잠정적으로 제한시키는 동작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수행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Wi-Fi 망을 사용하고 있는 실행 개체가 단일, 즉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1) 하나인 것으로 가정함에 따른 것들 이었다. 하지만, 통신소켓을 생성하여 외부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실행 개체는 복수개일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전술한 바의 Wi-Fi 망사용 현황표에는,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실행 게체가 등재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전술한 바의 도 3에 예시된 접속 제어 절차의 수행과정에서, 현재 접속된 접속점의 서비스 속도를 요구 속도와 비교할 때(S302), 실행 상태에 있는 다수의 실행 개체가 요구하는 속도( 이하, "요구 망속도"로 칭한다. )와 비교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다수의 실행 개체들의 각각에 대해 지정된 요구 속도의 합(1201)을 구하고 그 합을 요구 망속도로 하여 현 접속점의 서비스 속도(1202)와 비교하게 된다(S1210).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요구 망속도를 산출함에 있어서,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은 Wi-Fi 망사용 현황표(120)에 등재된 모든 실행 개체의 요구 속도를 합산하지 않고, 생성된 통신소켓을 통해 일정 시간( 예를 들어, 5분, 10분 등 ) 이상 데이터 송신 요청이 없는 실행 개체에 대해서는 그에 지정된 요구 속도를 요구 망속도의 산출을 위한 합산에서 배제할 수도 있다. 물론, 일정 시간 이상 통신소켓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없어서 해당 통신소켓이 폐쇄(close)됨으로써 등재된 실행 개체에 대한 통신소켓이 모두 없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Wi-Fi 망사용 현황표(120)에서 해당 실행 개체의 엔트리는 삭제하게 된다.
상기 주 제어부(10)의 상기 운영 엔진부(102)가 다중접속 지원 시스템인 경우에는, 상기 주 제어부(10)에 기반하여 실행되는 임의의 실행 개체가, 현재 접속상태에 있는 복수의 통신망, 즉 셀룰러 망과 Wi-Fi 망을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즉, Wi-Fi 망 사용을 위한 통신소켓 외에 셀룰러 망을 사용하기 위한 통신소켓의 생성을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운영 엔진부(102)에 요청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망사용 현황표가, 도 13에서와 같이, 각 실행 개체(1300)에 대해서, 무선 통신망의 종류를 구분하여 통신소켓을 기재하는 구조(1301)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도 13에서와 같이 무선 통신망을 통합하여 사용 현황을 파악하는 경우에, 상기 운영 엔진부(102)가, Wi-Fi 망에 대한 요구 망속도를, 통신소켓을 생성한 실행 개체들에 대해 지정된 각 요구 속도의 합으로부터 산출하는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셀룰러 망에 대해 생성된 통신소켓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한 속도를 측정한다. 이 때의 측정 방식은, 데이터가 수신되고 있는 동안의 데이터 속도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고, 일정 단위시간당 수신된 데이터의 양을 카운트하여 데이터 속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후자의 방식으로 측정되는 데이터 속도를, 도 7에 예시된 경우에서의 일 예를 적용해 보면, 첫번째 주기(Tslot1)의 경우에 ΣDSz1i/Tslot1이 된다. 이렇게 구하는 데이터 속도를, 앞서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구하는 수신속도 (=ΣDSz1i/ΣTpk1i)와 용어적으로 구분하기 위해 "이용 속도"라 칭하며, 이 이용 속도는, 측정 시간동안 수신된 데이터가 없는 경우 당연히 0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렇게 측정된 이용 속도(1311)를 해당 실행 개체에 대해 지정된 요구 속도(1312)에서 감산하여 얻은 실 요구속도(1313)를 Wi-Fi 망에 대한 요구 망속도를 산출을 위한 합산에 사용하게 된다(1314). 즉, 도 13의 망사용 현황표에 등재된 타 실행 개체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실 요구속도를 구하고, 이렇게 구해진 각 실 요구속도를 합산함으로써 최종적인 Wi-Fi 망에 대한 요구 망속도를 얻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얻어진 요구 망속도를 전술한 바와 같이 Wi-Fi 망의 현 접속점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있는 서비스 속도와 비교하게 된다(S302).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임의의 실행 개체가 셀룰러 망을 추가로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도, 셀룰러 망에 대한 이용 속도를 차감하지 않고 그 실행 개체에 대해 지정된 요구 속도 그대로 요구 망속도의 산출에 사용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는, 임의의 실행 개체에 대해 지정된 요구 속도를 근거로 Wi-Fi 망에 대한 요구 망속도를 산출하였다( 물론, 실행 개체가 단일인 경우 그 실행 개체의 요구 속도가 곧 요구 망속도가 된다. ).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임의 실행 개체가 외부로부터 수신하고 있는 컨텐트가 정상적 플레이를 위해 필요로 하는 전송 속도( 이하, "필요 속도"라 칭하며, 이는, 그 컨텐트의 데이터 크기를 그 컨텐트의 재생시간으로 나눈 속도에 해당한다. )로부터 요구 망속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1)가 통신소켓을 통해 송신요청한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를 현재 접속되어 있는 접속점을 통해 송신하여 그 응답을 수신할 때, 그 응답이 영상 또는 음성의 컨텐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면, 그 컨텐트의 필요 속도를 파악하여 이를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1)의 요구 속도로 간주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타 실행 개체가 없는 경우라면, 이렇게 파악된 필요 속도가 도 3에 예시된 현 접속점의 서비스 속도와 비교되는(S302) 요구 속도가 되는 것이다. 상기 타 실행 개체의 경우에도 그 실행 개체가 외부로부터 컨텐트를 수신하는 경우라면, 그 컨텐트의 필요 속도를 그 실행 개체에 대한 요구 속도로 간주하여, 요구 망속도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한다. 만약, 임의의 실행 개체가 수신하고 있는 데이터 개체( 예를 들어, 데이터 파일 등 )에 대한 필요 속도가 파악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그 실행 개체에 대해서는 지정된 요구 속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1)가 선택하여 수신하는 컨텐트의 필요 속도는 가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컨텐트에 대해서 서로 다른 품질의( 즉, 필요 속도가 서로 다른 ) 컴포넌트가 다수개 제공되는 경우에,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1)는 컨텐트의 플레이 도중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수신되는 데이터의 속도에 따라, 현재의 품질보다 더 낮은( 즉, 필요 속도가 더 낮은 ) 컴포넌트로 전환요청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전환요청을 위한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를 상기 운영 엔진부(102)가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1)로부터 수신하여 현재 접속되어 있는 접속점을 통해 송신함으로써, 그 응답( 즉, 더 낮은 필요 속도의 컨텐트 데이터의 파일을 포함하는 응답 )을 수신하여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1)에 전달할 때 그 컴포넌트의 필요 속도를 파악하여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1)에 대한 요구 속도를 갱신하게 된다. 즉, Wi-Fi 망에 대한 요구 망속도를 재산출하여 현 접속점의 서비스 속도와의 비교(S302)를 위해 사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임의의 실행 개체가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컨텐트의 필요 속도를 파악하는 동작은, 상기 운영 엔진부(102) 대신 별도의 특정 내장 프로세스에 의해서 수행될 수도 있다. 물론, 이 때는,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수신되는 컨텐트를 해당 실행 개체에 전달함과 동시에 그 선두의 일부 데이터를 상기 특정 내장 프로세스에 복사하여 전달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컨텐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임의의 실행 개체가 해당 컨텐트의 필요 속도를 최초에 또는 품질을 전환할 때마다 파악한 후, 상기 응용 인터페이스부(103)가 제공하는 적절한 정보 인터페이스 포맷을 통해 상기 운영 엔진부(102)에 그 파악된 필요 속도를 알려줄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운영 엔진부(102)가, 정해진 요구속도와 비교할 접속점의 서비스 속도를 추정하기 위해 패킷 데이터의 수신속도를 측정하였었다. 그런데, 현재 접속된 접속점의 서비스 품질이 열악한 경우에는, 패킷이 간헐적으로 수신됨으로써 그 수신동안에는 수신속도가 적정한 값으로 측정되지만 그 패킷간의 수신 시간격이 너무 길 수도 있고, 또는 임의의 패킷 수신 후에 그 이후의 패킷은 수신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생성된 통신소켓을 통한 임의 실행 개체의 요청에 따라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를 원격지로 전송한 후에 그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생성된 통신소켓을 통해 수신된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를 패킷화하여(packetizing) 상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101)를 통해 현재 접속된 Wi-Fi 망의 접속점으로 송신하고 난 후, 원격지로부터의 그 패킷에 대한 수신확인(Ack)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지에 따라 현 접속점을 불량 접속점으로 판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신확인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지연됨으로써 동일 패킷의 재전송이 일정 횟수 이상 있게 되면, Wi-Fi 망이 요구속도( 또는 요구 망속도 )를 충족하지 못하는 것이므로,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현재 접속된 접속점과의 접속을 해제하고, Wi-Fi 망 사용을 위해 생성한 통신소켓들에 대해서는 모두 폐쇄(close)하게 된다. 그리고, 그 접속 해제한 접속점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접속 해제전의 신호특성에 근거하여 선택적으로 불량 접속점으로 판별한다. 불량 접속점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접속 유예시간을, 검색 주기에 비해 상당히 긴 시간, 예를 들어 300초 이상으로 지정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Wi-Fi 망의 임의의 접속점에 접속된 상태에서, 그 접속점이 제공하는 서비스 속도가 충분하지 못함으로써 그 접속점과의 연결을 해제하였을 때, 그 접속점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불량 접속점으로 선정하여 접속 유예시간을 지정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접속 성공하지 못한 또는 접속후 위와는 다른 이유로 해제된 접속점에 대해서도 불량 접속점으로 선정함으로써 해당 접속점에 대한 재접속을 일정 시간 유예시킬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Wi-Fi 망 사용모드가 "ON"으로 지정되어 있으면( 이 사용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ON 또는 OFF 로 지정요청되고, 그 요청에 따라 상기 운영 엔진부(102)가 자신에게 설정한다. ), 기 지정된 주기, 예를 들어 20초마다 상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101)를 통해 상기 Wi-Fi 모뎀(2a)을 제어함으로써 접속가능한 접속점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주변에 있는 지를 검색한다. 이러한 검색에서 임의의 접속점이 발견되어 해당 접속점에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주 제어부(10)를 기반하여 실행되는 UI용 내장 프로세스를 통해 Wi-Fi 망 접속 해제를 요청하거나 또는 Wi-Fi 망 사용 모드를 OFF로 지정 요청하게 되면,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현재 접속된 접속점과의 접속을 해제한 후, 그 접속점에 대해서 불량 접속점 목록에 등재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등재되는 불량 접속점에 대한 접속 유예시간은, Wi-Fi 망의 검색 주기에 비해 비교적 긴 시간, 예를 들어 240초로 지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주기적인 검색에 의해 주변에서 Wi-Fi 망의 임의의 접속점이 발견되어 그 접속점에 대한 접속절차를 진행하였으나 접속에 실패하는 경우에, 그 접속 실패한 접속점에 대해서 불량 접속점 목록에 등재하고, 그 실패 사유예 따라 접속 유예시간을 동적으로 지정하게 된다.
통상 Wi-Fi 망의 접속점에 대한 접속절차는, 인증(authentication), 어소시에이션(association), IP 할당의 순서로 이루어지며, 필요시에는 IP 할당 후, 즉 접속 후 웹기반 인증(web-based authentication)이 추가될 수도 있다.
임의의 발견된 접속점에 대해서 상기의 접속절차를 진행하는 도중, 인증과정에서 실패하게 되면, 이는,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할 수 있는 자격, 예를 들어 적절한 인증 키(key)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구비하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접속점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입장에서 볼 때,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접속점으로 볼 수 있으므로,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그 접속점을 불량 접속점으로 판별하여 상기 불량 접속점 목록에 등재하게 된다. 그런데, 접속절차를 진행하는 접속점에 일시적으로 트래픽이 집중한 경우에도, 상기 운영 엔진부(102)가 송신한 인증 요청에 대한 인증 응답이 상당 시간 지연됨으로써 인증 절차가 실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1회의 인증 실패가 아닌 수 회에 걸친 반복적인 인증 실패에 대해서 해당 접속점을 상기 불량 접속점 목록에 등재한다. 그리고, 이러한 반복적인 인증 실패의 경우에도, 해당 접속점이 원천적으로 이용 불가능한 것이 아닐 수도 있으므로, 예를 들어 긴 시간 동안 적절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과부하 또는 장애 등의 상태에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접속 유예시간을 무한대로 하지 않고, Wi-Fi 망의 검색 주기에 비해 매우 긴 시간, 예를 들어 600초로 지정하게 된다.
만약, 상기의 접속절차를 진행하는 도중, 접속점과 단말기를 논리적 결합시키기 위한 어소시에이션(association) 과정이나, IP 할당 과정에서 실패하는 경우에도,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해당 접속점을 자신이 관리하는 상기 불량 접속점 목록에 등재할 수도 있다. 이 때는, 인증 과정에서 접속 실패한 경우에 비해서는 상당히 짧은 시간, 예를 들어 120초로 접속 유예시간을 지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접속 실패가 어소시에이션 과정에서 발생하였는 지 IP 할당 과정에서 발생하였는 지에 따라 다른 접속 유예시간을 지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IP 할당에서의 접속 실패에 대해서는 좀 더 긴 시간, 예를 들어 240초로 지정할 수도 있다. Wi-Fi 망의 임의의 접속점에 대한 접속과정에서, 어소시에이션이나 IP 할당 과정에서 접속 실패는 빈번히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에에서는, 이 접속 과정에서의 실패의 경우에는 해당 접속점을 상기 불량 접속점 목록에 등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만약, 동일한 과정에서의 접속 실패가 동일 사유로 기 지정된 회수 이상 연속적으로 발생한다면, 그 때는 해당 접속점을 상기 불량 접속점 목록에 등재하고 접속 유예시간에 대해서도 각 사유에 따라 앞서 예시한 시간으로써 지정할 수 있다.
특정 유형의 접속점들, 예를 들어 특정 이동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접속점들의 경우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접속 후 웹기반의 인증 과정이 추가로 진행될 수도 있다.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임의의 접속점에 대한 접속 후, 그 접속점을 통해 인증정보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에, 자신에게 설정되어 있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고유 식별정보, 예를 들어 가입자의 이동 전화번호 등을 응답으로서 제공한다. 그리고 그 제공된 정보에 대해 접속점으로부터 인증 실패가 수신되거나 인증정보 재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운영 엔진부(102)는,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보고, 현재 접속된 접속점과의 접속을 해제하고 해당 접속점을 상기 불량 접속점 목록에 등재하게 된다. 이 때, 그 접속점에 대한 접속 유예시간은, 전술한 바의 링크 게층에서의 인증 과정에서의 실패와 동일한 긴 시간, 예를 들어 600초로 지정하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면서 예로써 제시한 접속 유예시간들을 일목 요연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각 경우에 대한 접속 유예시간이 그 예시된 값으로 한정되어 사용되어야 함을 보여주기 위한 것은 아니며, 각 경우에 대한 접속 유예시간들의 상호 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즉, 도 14에 예시된 각 접속 유예시간에 대해 다른 시간값이 지정되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하지만, 예시되지 않는 시간값을 사용하더라도, 각 경우에 대한 시간값간의 상호 대소 관계는 준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일부의 사유에 대해서는, 도 14에 예시된 접속 유예 시간값간의 상호 관계가 준수되지 않는 시간값이 지정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러한 실시예의 경우에도, 접속 실패한 접속점 또는 접속 해제한 접속점에 대해서 불량 접속점의 여부를 판별하고 그에 따라 접속 유예시간을 지정하여 그 유예시간 동안에는 매 검색주기에서 해당 접속점이 발견되어도 접속되지 않도록 하는 동작이 이루어진다면, 본 발명의 청구범위가 특별히 배제하지 않는 이상 당연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지금까지 상세히 그 기능들을 설명한, 상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101), 상기 운영 엔진부(102), 그리고 상기 응용 인터페이스부(103)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프로그램 코드들의 집합은, 하나의 운영 소프트웨어로서, 통신망에 연결된 특정의 프로그램 공급서버로부터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에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로그램 공급서버는, 구비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록매체에 수록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대용량 저장수단과, 상기 대용량 저장수단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혀진 데이터를 연결된 통신망을 통해 타 장치로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통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운영 소프트웨어는 상기 대용량 저장수단의 기록매체에 수록되어 있게 된다. 상기 프로그램 공급서버의 상기 대용량 저장수단의 기록매체에 수록된 상기 운영 소프트웨어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요청함에 따라 이루어지는 통상의 온라인(on-line) 구매과정 등을 거쳐,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읽혀져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메모리부(7)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다운로드와 설치 동작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에 기 구비된 운영시스템(O/S)에 의해서 또는 그 운영시스템을 기반으로 실행되는 업그레이드(upgrade) 프로세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 소프트웨어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에 설치된 후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에 기 구비된 상기 주 제어부(10)의 전부 또는 일부를 대체하여 또는 보완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는, 불량 접속점 여부를 판별하고 그에 따라 접속 유예시간을 지정함으로써 접속점에 대한 접속을 제어하는 등의 동작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실행 개체들이 그 실행을 기반으로 하는 상기 주 제어부(10)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동작이 상기 주 제어부(10)를 기반으로 실행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응용 인터페이스부(103)를 통해, 적절한 정보 인터페이스 포맷으로 상기 운영 엔진부(102)에 필요한 요청을 행함으로써,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통신 자원( 상기 Wi-Fi 모뎀(2a)/상기 Wi-Fi 코덱(2b), 상기 셀룰러 모뎀(1a)/상기 셀룰러 코덱(1b) )을 제어하거나 사용하고, 또한 필요한 통신상태, 또는 사용망/접속망에 대한 정보 등을 얻게 된다. 그리고, 셀룰러 망 또는 Wi-Fi 망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속도 또는 그 망에 대한 이용 속도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주 제어부(10)와의 사이에 생성한 통신소켓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측정함으로써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원격지로부터 수신확인(Ack)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지에 대한 판단은,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자신이 Wi-Fi 망의 사용을 위해 생성한 통신소켓이 해제되는 지에 근거해서 판단할 수 있다. 무선통신 단말기내의 운영시스템은 원격지로부터 수신확인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연관된 통신소켓은 폐쇄하게 되므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이러한 통신소켓의 해제를 이벤트 등을 통해 인지하게 되면, 그 때의 접속점에 대해서 접속해제시키고, 그 해재 직전의 접속점의 신호특성으로부터 불량 접속점 여부를 판별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타 실행 개체가 외부에 전송하고자 하는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에 대해서 자신이 수신하여 이를 상기 주 제어부(10)를 통해서 송신하고 그 응답을 상기 주 제어부(10)로부터 받아서 타 실행 개체에 전달하는 중계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중계동작을 위해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된 내부 IP주소가 프록시(proxy) 서버 주소로서 상기 운영 엔진부(102)의 통신 환경정보에 지정될 수도 있고, 외부의 장치, 예를 들어 접속된 접속점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요구를 특정의 경우에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향(redirection) 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접속 실패한 접속점 또는 접속 후 인증 실패한 접속점에 대해서 그 사유에 따라 접속 유예시간을 다르게 지정하는 동작 등도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경우에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주 제어부(10)를 통해 Wi-Fi 망의 임의의 접속점에 대한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요청한 후, 상기 주 제어부(10)에 Wi-Fi 망 접속상태를 반복적으로 문의하여 그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접속 실패 시 그 실패 사유를 파악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인증 과정에서 그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예를 들어, 코드 )가 "Authenticating" - "Authenticated"로 상기 주 제어부(10)에 의해 표현되고, 어소시에이션 과정에서는 "Associating" - "Associated"로 표현되며, IP 할당 과정에서는 "Obtaining IP Address" - "Connected"로 표현되는 경우,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주 제어부(10)를 통해 확인하는 그 상태 정보가 "Authenticating"에서 "Disconneted"로 변경되면 인증 과정에서의 실패로, "Associating"에서 "Disconnected"로 변경되면 어소시에이션 과정에서의 실패로, 그리고 "Obtaining IP Address"에서 "Disconnected"로 변경되면 IP할당 과정에서의 실패로 그 실패 사유를 구분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구분된 사유에 따라, 해당 접속점에 대해서 그에 맞는 접속 유예시간을 지정하여 자신이 관리하는 불량 접속점 목록의 해당 엔트리에 등재하게 된다. 웹기반 인증 실패의 경우에는, Wi-Fi 망의 접속점이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임의의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를 상기 주 제어부(10)를 통해 외부로 송신한 후, 그 응답으로서 인증정보 입력을 위한 웹페이지가 수신되면 현재 접속된 접속점에 대해서는 웹기반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주 제어부(10)를 통해 해당 접속점에 대한 접속해제를 요청하고, 그 접속점에 대해서는 불량 접속점으로 선정하게 된다.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도,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프로그램 공급장치의 대용량 저장수단의 기록매체에 수록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통상의 온라인 구매과정 등을 거쳐,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읽혀져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메모리부(7)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된 후 실행될 수 있다.
지금까지, 무선통신 단말기가 접속점을 통해서 사용할 수 있는 무선 통신망으로서 고속의 무선랜망인 Wi-Fi 망을 예로 하여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구체적으로 예시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Wi-Fi 망외의, 제한된 좁은 공간에서 서비스 존을 형성함으로써 셀룰러 망에 비해 서비스 영역이 국지적이며 또한 서비스 존들(zones)이 산포되어 그들간의 통신의 연속성( 즉, 핸드오버 )을 보장하지 못하거나 부분적으로만 통신의 연속성이 보장되는 통신방식의 무선 통신망의 경우에도 그 무선 통신망을 형성하는 개별적인 접속점들에 대한 접속 제어를 위해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적용하는 무선 통신망이 다를 뿐, 본 명세서에 예시적으로 그 원리와 개념을 그대로 이용하거나 적용한 발명은 당연히 본 청구범위에 의한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과 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 등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경우가 아니라면, 상호 다양한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실시 가능하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1a: 셀룰러 모뎀 1b: 셀룰러 코덱
2a: Wi-Fi 모뎀 2b: Wi-Fi 코덱
4: 디스플레이 구동부 5: 디스플레이 패널
6a: 터치 센서 6b: 키패드
7: 메모리 8: 디코더
10: 주 제어부 20: 실행 상태에 있는 실행 개체
21: 미디어 플레이어 101: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
102: 운영 엔진부 103: 응용 인터페이스부
110: 중앙처리장치(CPU) 111: 타이머
112: 시계부(real-time clock)

Claims (26)

  1.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여 원격지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망을 형성하는 이용가능한 접속점에 대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접속되도록 하고 또한 그 접속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는 제 1처리부와,
    상기 제 1처리부에 의해 접속된 임의의 접속점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그 데이터를 요청한 실행 개체로 전달하면서 상기 임의의 접속점이 제공하는 서비스 속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되는 서비스 속도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기 무선 통신망에 대한 요구 속도를 충족하지 못하면 상기 제 1처리부에 요청하여 상기 임의의 접속점과의 접속이 해제되도록 하며, 또한, 상기 임의의 접속점이 보여준 신호특성에 근거하여 그 임의의 접속점이 특별 접속점에 해당하는 지를 판별하고, 특별 접속점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그 임의의 접속점에 대해서 제한 시간동안에는 상기 제 1처리부에 의해 재접속이 되지 않도록 하는 제 2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한 시간은 상기 제 1처리부가 이용가능한 접속점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망을 검색하는 시간격보다 긴 시간인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처리부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소켓(socket)을 생성한 실행 상태에 있는, 상기 실행 개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개체에 대한 각 지정 속도의 합으로부터 상기 요구 속도를 산출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처리부는, 임의의 실행 개체의 요청에 따라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를 상기 임의의 실행 개체에 전달하면서, 상기 임의의 실행 개체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는 속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이용 속도를 상기 임의의 실행 개체에 대한 상기 지정 속도로 사용하도록 더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처리부는, 상기 무선 통신망이 아닌 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실행 개체에 또한 전달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실행 개체가 상기 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는 속도를 상기 실행 개체에 대한 상기 지정 속도에서 감산한 값으로부터 상기 요구 속도를 산출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처리부는, 상기 실행 개체에 전달하는 데이터의 플레이 시에 요구되는 전송 속도로부터 상기 요구 속도를 산출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처리부는, 상기 임의의 접속점의 신호특성이, 접속 해제 직전의 신호세기가 제 1기준치 이상임을 보인 경우에, 상기 임의의 접속점에 대해서 상기 특별 접속점으로 판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기준치는, 상기 제 1처리부가 그 이상일 때만 접속시도하도록 지정된 기준 신호세기에 비해서 더 양호한 세기에 해당하는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처리부는, 상기 제 1처리부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접속점에 따라 상기 제 1기준치가 설정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제 1처리부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어느 한 접속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때는 그 접속점의 신호세기 변화를 확인하여, 그 접속점의 서비스 속도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기 무선 통신망에 대한 요구 속도를 충족하는 상태에서의 최저 신호세기를 상기 어느 한 접속점에 대한 상기 제 1기준치로 지정하도록 더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처리부는, 상기 임의의 접속점의 신호특성이, 상기 서비스 속도가 상기 요구 속도를 총족하고 있을 때의 신호세기에 비해서 접속 해제 직전의 신호세기가 일정 허용폭 이상으로 낮지 않음을 보였을 때, 상기 임의의 접속점에 대해서 상기 특별 접속점으로 판별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처리부는, 상기 임의의 접속점이 상기 특별 접속점으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임의의 접속점이 보여준 신호특성 또는 서비스 속도 특성에 근거하여 상기 제한 시간의 길이를 정하도록 더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처리부는, 상기 임의의 접속점의 상기 서비스 속도 특성이, 접속 해제 전의 그 변화에 있어서 기 지정된 편차 이상임을 보인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상기 제한 시간을 더 짧게 정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처리부는, 상기 임의의 접속점의 상기 신호 특성이, 상기 서비스 속도가 상기 요구 속도를 총족하고 있을 때의 신호세기에 비해서 접속 해제 직전의 신호세기가 낮음을 보인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상기 제한 시간을 더 짧게 정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처리부는, 상기 임의의 접속점이 상기 특별 접속점으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임의의 접속점이 보여준 서비스 속도가 상기 요구 속도에 미치지 못하는 정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한 시간의 길이를 정하되, 그 정도가 크면 낮은 경우에 비해서 더 긴 시간이 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한 시간을 정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처리부는, 상기 임의의 접속점이 상기 특별 접속점으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임의의 접속점과의 접속 해제시와 일정 시간격내에 검색된 사용 가능한 접속점의 수에 근거하여 상기 제한 시간의 길이를 정하되, 그 수가 많으면 적은 경우에 비해서 더 긴 시간이 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한 시간을 정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처리부는, 상기 제 1처리부에 의해 검색된 접속점들에, 상기 제한 시간이 경과한 후 지정된 시간은 경과하지 않은 상기 특별 접속점으로 판별되었던 접속점이 포함되어 있으면, 그 접속점에 대해서는 검색된 다른 접속점에 비해 상기 제 1처리부가 접속시도하는 우선순위가 낮아지게 하도록 더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처리부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실행 개체들이 그 실행을 기반으로 하는 운영시스템(Operating System)에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운영시스템을 기반으로 실행되는 특정 실행 개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처리부는, 상기 제 1처리부에 의해 접속 시도된 대상 접속점에 대해 접속 실패하거나 접속 성공 후 해제되었을 때 그 실패 또는 해제가 기 지정된 사유에 의한 것이면, 상기 제한 시간보다는 긴 시간인 제 2제한 시간동안, 상기 대상 접속점에 대해서는 상기 제 1처리부가 재접속 하지 않게 제어하도록 더 구성되되,
    상기 기 지정된 사유는,
    접속 절차 중 인증과정에서의 실패와,
    접속 절차 중 IP주소 할당과정에서의 실패와,
    접속 절차 중 어소시에이션(association) 과정에서의 실패와,
    접속 후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통한 인증과정에서의 실패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상기 무선 통신망에 대한 접속 해제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처리부는, 상기 대상 접속점에 대해 접속 실패하거나 접속 성공 후 해제되었을 때 그 실패 또는 해제가 상기 기 지정된 사유의 어디에 해당하는 지에 따라, 그 해당되는 사유에 대해 지정된 시간값으로써 상기 제 2제한 시간을 정하도록 더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처리부는, 인증과정에서의 실패의 사유에 대한 시간값을, 접속 절차 중의 그외 다른 접속실패 사유에 대한 시간값보다 더 길게 지정하고 있는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처리부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운영시스템을 기반으로 실행되는 특정 실행 개체에 포함되어 구성되고, 또한, 임의의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를 상기 운영시스템을 통해 외부로 전송요청하고 그 요구에 대해 인증정보를 요구하는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제 1처리부에 요청하여 현재 접속된 접속점과의 접속이 해제되도록 한 뒤, 그 해제 사유를 접속 후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통한 인증과정에서의 실패로 지정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20.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여 원격지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망을 형성하는 이용가능한 접속점에 대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접속되도록 하고 또한 그 접속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는 제 1처리부와,
    상기 제 1처리부에 의해 접속된 임의의 접속점을 통해 원격지로 송신하는 데이터에 대한 수신확인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제 1처리부에 요청하여 상기 임의의 접속점과의 접속이 해제되도록 하며, 또한, 상기 임의의 접속점이 보여준 신호특성에 근거하여 그 임의의 접속점이 특별 접속점에 해당하는 지를 판별하고, 특별 접속점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처리부가 이용가능한 접속점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망을 검색하는 시간격보다 긴 시간인 제한 시간동안 그 임의의 접속점에 대해서는 상기 제 1처리부에 의해 재접속이 되지 않도록 하는 제 2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무선통신 단말기.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처리부는, 원격지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생성한 통신소켓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운영시스템에 의해 폐쇄(close)되면, 원격지로 송신하는 데이터에 대한 수신확인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22.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선 통신망을 형성하는 접속점에 대한 접속제어 방법에 있어서,
    접속된 임의의 접속점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상기 임의의 접속점이 제공하는 서비스 속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되는 서비스 속도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기 무선 통신망에 대한 요구 속도를 충족하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성가 서비스 속도가 상기 요구 속도를 충족하지 못하면, 상기 임의의 접속점과의 접속이 해제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임의의 접속점이 규정된 신호특성을 보인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이용가능한 접속점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망을 검색하는 시간격보다 긴 시간인 제한 시간동안 상기 임의의 접속점에 대한 재접속은 제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접속코자 하는 대상 접속점에 대한 접속시도가 실패하거나 접속 성공 후 해제되었을 때 그 실패 또는 해제의 사유가 기 지정된 사유에 해당하면, 상기 제한 시간보다 긴 시간인 제 2제한 시간동안, 상기 대상 접속점에 대한 재접속은 제한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기 지정된 사유는,
    접속 절차 중 인증과정에서의 실패와,
    접속 절차 중 IP주소 할당과정에서의 실패와,
    접속 절차 중 어소시에이션(association) 과정에서의 실패와,
    접속 후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통한 인증과정에서의 실패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상기 무선 통신망에 대한 접속 해제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4. 타 장치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 데이터가 외부에 제공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수록되어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경우,
    무선 통신망을 형성하는 이용가능한 접속점에 대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접속되도록 하고 또한 그 접속이 해제되도록 하는 기능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접속된 임의의 접속점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그 데이터를 요청한 실행 개체로 전달하면서 상기 임의의 접속점이 제공하는 서비스 속도를 측정하는 기능과,
    상기 측정되는 서비스 속도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기 무선 통신망에 대한 요구 속도를 충족하지 못하면 상기 임의의 접속점과의 접속이 해제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임의의 접속점이 보여준 신호특성에 근거하여 그 임의의 접속점이 특별 접속점에 해당하는 지를 판별하며, 특별 접속점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이용가능한 접속점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망을 검색하는 시간격보다 긴 시간인 제한 시간동안 상기 임의의 접속점에 대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재접속은 제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인 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경우,
    접속 시도된 대상 접속점에 대해 접속 실패하거나 접속 성공 후 해제되었을 때 그 실패 또는 해제가 기 지정된 사유에 의한 것이면, 상기 제한 시간보다 긴 시간인 제 2제한 시간동안, 상기 대상 접속점에 대한 재접속은 제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 지정된 사유는,
    접속 절차 중 인증과정에서의 실패와,
    접속 절차 중 IP주소 할당과정에서의 실패와,
    접속 절차 중 어소시에이션(association) 과정에서의 실패와,
    접속 후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통한 인증과정에서의 실패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상기 무선 통신망에 대한 접속 해제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장치.
  26. 타 장치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 데이터가 외부에 제공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수록되어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경우,
    무선 통신망을 형성하는 이용가능한 접속점에 대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접속되도록 하고 또한 그 접속이 해제되도록 하는 기능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접속된 임의의 접속점을 통해 송신하는 데이터에 대한 수신확인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지를 확인하는 기능과,
    수신확인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임의의 접속점과의 접속이 해제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임의의 접속점이 보여준 신호특성에 근거하여 그 임의의 접속점이 특별 접속점에 해당하는 지를 판별하며, 특별 접속점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이용가능한 접속점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망을 검색하는 시간격보다 긴 시간인 제한 시간동안 상기 임의의 접속점에 대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재접속은 제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인 장치.
KR1020130069486A 2013-06-18 2013-06-18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과의 접속 해제후 그 통신망에 대한 재접속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12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486A KR101512138B1 (ko) 2013-06-18 2013-06-18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과의 접속 해제후 그 통신망에 대한 재접속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PCT/KR2014/004006 WO2014204091A1 (ko) 2013-06-18 2014-05-07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과의 접속 해제후 그 통신망에 대한 재접속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486A KR101512138B1 (ko) 2013-06-18 2013-06-18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과의 접속 해제후 그 통신망에 대한 재접속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780A KR20140146780A (ko) 2014-12-29
KR101512138B1 true KR101512138B1 (ko) 2015-04-16

Family

ID=52104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486A KR101512138B1 (ko) 2013-06-18 2013-06-18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과의 접속 해제후 그 통신망에 대한 재접속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12138B1 (ko)
WO (1) WO201420409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026A (ko) * 2009-03-10 2010-09-20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 단말 인증 방법과 그 인증 서버 및 사용자 단말
KR20120064954A (ko) * 2010-12-10 2012-06-20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 단말에서 무선 접속점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KR101289721B1 (ko) * 2011-01-28 2013-07-26 (주)네오위즈게임즈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그리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1320410B1 (ko) * 2011-09-29 2013-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진입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30051811A (ko) * 2011-11-10 2013-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세스 포인트 선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780A (ko) 2014-12-29
WO2014204091A1 (ko)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22100B2 (ja) 異種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シームレスハンドオーバ
US2013005831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channel in wireless network
KR102023402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 연결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JP2005513949A (ja) 長短距離組合せ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2005514832A (ja) セルラーネットワーク接続から制御コンテンツとメディアコンテンツとを分離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29159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인 무선망 액세스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WO2014194492A1 (zh) 接入点的选择方法及装置
WO20120828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session migration by predicting movements of a mobile device
US20190059036A1 (en) Slice management system and slice management method
WO2005027558A1 (en) Context transfer for seamless handover
WO2018035960A1 (zh) 一种中继网络连接方法及相关设备
KR101482516B1 (ko) 무선 통신망에의 추가 접속시의 망 사용을 제어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장치
US20160182313A1 (en) Service offloading method, device, and system
US10880903B1 (en) Multi-mode dynamic frequency selection system
JP4437761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装置、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ネットワーク分割方法
KR101697282B1 (ko)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접속기기의 유형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의 품질을 적응적으로 확인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20049555A (ko) 이기종 망간 핸드오버 시스템 및 방법
CN113543245A (zh) 用户设备切换基站的方法和网元设备
CN106105315B (zh) 基于无缝移动性条件的切换方法
KR101512138B1 (ko)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과의 접속 해제후 그 통신망에 대한 재접속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N108834188B (zh) 数据切换方法及系统
KR101440086B1 (ko) 복수의 무선 통신망간의 접속전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070982B1 (ko) 복수의 cdn 서버를 이용하여 휴대단말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제어 장치
KR20170138748A (ko) 스케줄링 정책 서버 및 스케줄링 정책 서버에서의 무선 데이터망 스케줄링 방법
KR101358806B1 (ko) 무선통신 단말기가 무선 통신망의 자원을 최소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이종망간 전환할 수 있게 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