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746B1 - Fasten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Fasten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746B1
KR101511746B1 KR20130110359A KR20130110359A KR101511746B1 KR 101511746 B1 KR101511746 B1 KR 101511746B1 KR 20130110359 A KR20130110359 A KR 20130110359A KR 20130110359 A KR20130110359 A KR 20130110359A KR 101511746 B1 KR101511746 B1 KR 101511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pair
support
protrusions
fasten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03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30969A (en
Inventor
조희은
Original Assignee
조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희은 filed Critical 조희은
Priority to KR20130110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1746B1/en
Publication of KR20150030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9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7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4Grid-like or open-work ceilings, e.g. lattice type box-like modules, acoustic baffles
    • E04B9/36Grid-like or open-work ceilings, e.g. lattice type box-like modules, acoustic baffles consisting of parallel slats
    • E04B9/366Grid-like or open-work ceilings, e.g. lattice type box-like modules, acoustic baffles consisting of parallel slats the principal plane of the slats being vert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체결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각각의 외측면의 상부에 제1 지지돌기가 구비되며, 서로 마주 보며 수직 설치된 한 쌍의 내부 결합 부재, 및 한 쌍의 내부 결합 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며, 한 쌍의 내부 결합 부재의 외부에서 내부 결합 부재와 각각 결합되고, 각각의 내측면의 상부에 제1 지지돌기에 의해 지지되는 제1 돌출부가 구비된 한 쌍의 외부 결합 부재(200)를 포함하며, 내부 결합 부재의 외측면의 하부에는 제2 지지돌기가 구비되고, 외부 결합 부재의 내측면의 하부에는 제2 지지돌기에 대응되는 제2 돌출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정 등에 설치된 구조물의 체결 구조에 있어서, 외력에 의해 1차 체결 구조가 해체되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2차 체결 구조가 형성됨으로써, 구조물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A fastening structure is disclo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pair of inner engagement members provided with first support protrusions on top of their respective outer sides and vertically opposed to each other, and a pair of inner engagement members provided below the pair of inner engagement members, And a pair of outer engaging members (200) coupled to the inner engaging members at the outer side of the inner engaging members and having first projection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ing projections at the upper portions of the respective inner side surfaces, A second support protrusion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ide surface, and a second protrusion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joint membe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fastening structure of a structure installed on a ceiling or the like, when a primary fastening structure is disassembled by an external force, a secondary fastening structure is automatically formed, so that a structure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Description

체결 구조체{Fastening Structure}{Fastening Structure}

본 발명은 체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 등에 설치된 구조물의 체결 구조에 있어서, 외력에 의해 1차 체결 구조가 해체되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2차 체결 구조가 형성됨으로써, 구조물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sten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stening structure of a structure installed on a ceiling or the like, in which a secondary fastening structure is automatically formed when a primary fastening structure is disassembled by an external force, To the fastening structure.

스크린 루버 구조체 등의 구조물을 천정에 결합 설치하는 인테리어 공사 등을 하는 경우에 시공자는 해당 구조물의 자중을 견디지 못하고 결합 부위가 파손됨에 따라, 구조물이 실내 공간의 거주자에게로 낙하되는 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철저히 방지해야 할 의무가 있다.A construction such as a screen louver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ceiling, the constructor can not withstand the self weight of the structure, and the joint portion is damaged, so that the structure falls into the occupant in the indoor space There is an obligation to thoroughly prevent it.

그러나, 종래 기술에 다른 체결 구조체는 시공 당시의 결합 부위가 자중 또는 외부 환경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에 구조물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예비적 장치나 구조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other fastening structures in the prior art have a problem in that they do not have a preliminary device or structure that can prevent the structure from falling when the joint at the time of construction is damaged by its own weight or external environmen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정 등에 설치된 구조물의 체결 구조에 있어서, 외력에 의해 1차 체결 구조가 해체되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2차 체결 구조가 형성됨으로써, 구조물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astening structure for a structure installed on a ceiling or the like, in which a secondary fastening structure is automatically formed when a primary fastening structure is disassembled by an external force, Structu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체결 구조체는, 각각의 외측면의 상부에 제1 지지돌기(110)가 구비되며, 서로 마주 보며 수직 설치된 한 쌍의 내부 결합 부재(100); 및 상기 한 쌍의 내부 결합 부재(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내부 결합 부재(100)의 외부에서 상기 내부 결합 부재(100)와 각각 결합되고, 각각의 내측면의 상부에 상기 제1 지지돌기(110)에 의해 지지되는 제1 돌출부(210)가 구비된 한 쌍의 외부 결합 부재(200)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결합 부재(100)의 외측면의 하부에는 제2 지지돌기(120)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 결합 부재(200)의 내측면의 하부에는 상기 제2 지지돌기(120)에 대응되는 제2 돌출부(2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astening structure comprising: a pair of inner joining members (100) provided with first support protrusions (110) on top of their respective outer surfaces, And a pair of inner joint members 100 and a pair of inner joint members 100. The pair of inner joint members 100 are coupled to the inner joint member 100 on the outer side of the pair of inner joint members 100, And a pair of outer engaging members 200 provided with a first protrusion 210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ing protrusions 110.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engaging member 100 is provided with a second supporting protrusion 210, And a second protrusion 22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120 is provided on an inner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joint member 200.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돌출부(210)가 상기 제1 지지돌기(110)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에, 상기 제2 돌출부(220)는 상기 제2 지지돌기(120)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수직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when the first protrusion 210 i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10, the second protrusion 220 is vertically spaced from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1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또한, 상기 외부 결합 부재(200)에 가해지는 수직 하중에 의해 상기 제1 돌출부(210)와 상기 제1 지지돌기(110)의 결합이 해체되는 경우에, 상기 외부 결합 부재(200)가 상기 소정의 간격만큼 낙하됨으로써, 상기 제2 돌출부(220)는 상기 제2 지지돌기(12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first protrusion 210 and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10 are disengaged from each other by the vertical load applied to the outer joint member 200, So that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220 is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s 120.

또한, 상기 제2 지지돌기(120)와 상기 제2 돌출부(220)의 결합면은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upling surfaces of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s 120 and the second protrusions 220 form an inclined surface.

본 발명에 따르면, 천정 등에 설치된 구조물의 체결 구조에 있어서, 외력에 의해 1차 체결 구조가 해체되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2차 체결 구조가 형성됨으로써, 구조물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fastening structure of a structure installed on a ceiling or the like, when a primary fastening structure is disassembled by an external force, a secondary fastening structure is automatically formed, so that a structure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구조체를 구성하는 상부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구조체를 구성하는 하부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서의 상부 구조체와 도 2에서의 외부 결합 부재의 1차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4는 도 1에서의 내부 결합 부재와 도 2에서의 외부 결합 부재의 2차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uperstructure constituting a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lower structure constituting a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the primary bonding state of the upper structure in Fig. 1 and the outer coupling member in Fig. 2, and Fig.
Fig. 4 is a view showing the secondary engagement state of the inner engagement member in Fig. 1 and the outer engagement member in Fig. 2;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to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mong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구조체를 구성하는 상부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구조체를 구성하는 상부 구조체는 서로 마주 보며 수직 설치된 한 쌍의 내부 결합 부재(100)를 포함한다.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uperstructure constituting a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upper structure constituting the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inner joining members 100 vertically installed facing each other.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한 쌍의 내부 결합 부재(100)의 상단부는 서로 일체로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와 같은 상부 구조체는 도 3에서와 같이 상부 구조체의 외부에서 결합되는 도 2에서의 하부 구조체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한 쌍의 내부 결합 부재(100)가 각각 외부를 향하는 탄성을 갖도록, 고탄성 및 고강도의 플라스틱 재질로 일체로서 제작됨이 바람직할 것이다.2, in which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inner engagement members 100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1, and the upper structure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structure as shown in FIG. 3, It is preferable that the pair of inner joining members 100 are integrally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of high elasticity and high strength so that each pair of the inner joining members 100 have elasticity toward the outside.

한편, 도 1에서의 상부 구조체는 천정 등에 설치됨으로써, 하부 구조체를 통해 하부 구조체에 결속되어 있는 스크린 루버 등의 각종 물건을 매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upper structure in FIG. 1 functions to hang various objects such as a screen louver that is attached to a lower structure through a lower structure by being installed on a ceiling or the like.

이를 위해, 상부 구조체를 구성하는 한 쌍의 내부 결합 부재(100)의 각각의 외측면에는 상부에 제1 지지돌기(110)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외측면의 하부에는 제2 지지돌기(120)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있다.To this end, the first support protrusions 110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outer side surfaces of the pair of inner engagement members 100 constituting the upper structure, The protrusions 120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구조체를 구성하는 하부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구조체를 구성하는 하부 구조체는 서로 마주 보며 수직 설치된 한 쌍의 외부 결합 부재(200)를 포함한다.2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lower structure constituting a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lower structure constituting the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external joining members 200 vertically installed facing each other.

한편, 도 2에서와 같이 한 쌍의 외부 결합 부재(200)의 하부에는 스크린 루버 등의 물건이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와 같은 하부 구조체는 도 3에서와 같이 하부 구조체의 내부에서 결합되는 도 1에서의 상부 구조체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한 쌍의 외부 결합 부재(200)가 각각 내부를 향하는 탄성을 갖도록, 고탄성 및 고강도의 플라스틱 재질로 일체로서 제작됨이 바람직할 것이다.2, it is preferable that objects such as a screen louver ar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outer joining members 200. Such a lower structure is coupled inside the lower structure as shown in FIG. 3 In order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with the upper structure in FIG. 1, it is preferable that the pair of external coupling members 200 are integrally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of high elasticity and high strength so as to have inward elasticity.

즉, 상부 구조체와의 결합을 위해, 하부 구조체를 구성하는 한 쌍의 외부 결합 부재(200)의 각각의 내측면의 상부에는 제1 돌출부(210)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내측면의 하부에는 제2 돌출부(220)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있다.That is, for coupling with the upper structure, the first protrusions 210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above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pair of outer joint members 200 constituting the lower structure, The second protrusions 220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도 3은 도 1에서의 상부 구조체와 도 2에서의 외부 결합 부재(200)의 1차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내부 결합 부재(100)의 외측면의 상부에 형성된 제1 지지돌기(110)는, 외부 결합 부재(200)의 내측면의 상부에 형성된 제1 돌출부(210)와 맞닿은 상태에서, 제1 돌출부(210)를 지지하게 되며, 제1 돌출부(210)는 제1 지지돌기(110)에 걸림과 동시에 거치됨으로써 하부 구조체는 상부 구조체를 통해 천정 등의 상부 구조물에 매달리게 된다.FIG. 3 is a view showing the primary bonding state of the upper structure in FIG. 1 and the outer coupling member 200 in FIG. 3,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1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joint member 10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protrusion 210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joint member 200 The first protrusions 210 are engaged with the first support protrusions 110 so that the lower structure is suspended from the upper structure such as the ceiling through the upper structure.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제1 지지돌기(110)와 제1 돌출부(210)가 정상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내부 결합 부재(100)의 외측면의 하부에 형성된 제2 지지돌기(120)와 외부 결합 부재(200)의 내측면의 하부에 형성된 제2 돌출부(220)는 상호 결합을 형성하지 아니한 채, 제2 돌출부(220)는 제2 지지돌기(120)와 소정의 간격(d) 만큼 수직 이격된 상태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제2 돌출부(220)와 제2 지지돌기(120)의 이격 거리(d)는 대략 2~3mm 정도가 됨이 바람직할 것이다.3, when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10 and the first protrusion 210 are normally engaged with each other,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120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joint member 100, The second protrusions 220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200 do not form mutual coupling while the second protrusions 220 ar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s 1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It is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In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d between the second protrusion 220 and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120 is approximately 2 to 3 mm.

도 4는 도 1에서의 내부 결합 부재(100)와 도 2에서의 외부 결합 부재(200)의 2차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외부 결합 부재(200)에 연결된 스크린 루버 등의 자중을 견디지 못하고 제1 돌출부(210)와 제1 지지돌기(110)의 결합이 해체되는 경우에 하부 구조체는 아래로 낙하하게 된다.Fig. 4 is a view showing the secondary engagement state of the inner engagement member 100 in Fig. 1 and the outer engagement member 200 in Fig. 4, when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210 and the first supporting protrusion 110 are disengaged from each other without being able to withstand the weight of the screen louver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external engaging member 200, the lower structure is caused to fall downward do.

그에 따라, 하부 구조체가 소정의 거리(d) 만큼 낙하된 상태에서, 내부 결합 부재(100)의 외측면의 하부에 형성된 제2 지지돌기(120)와 외부 결합 부재(200)의 내측면의 하부에 형성된 제2 돌출부(220)는 도 4에서와 같이 상호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하부 구조체의 추가의 낙하를 저지하게 된다.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120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inner engagement member 100 and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120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outer engagement member 200, The second protrusions 220 formed on the first protrusions 220 form a mutual coupling as shown in FIG. 4, thereby preventing further drop of the substructure.

즉, 제1 돌출부(210)와 제1 지지돌기(110)의 결합 구조가 해체되거나, 훼손되는 경우에 제2 지지돌기(120)는 제2 돌출부(220)를 지지함으로써, 하부 구조체의 낙하를 방지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protrusion 210 and the first protrusion 110 is disassembled or damaged, the second protrusion 120 supports the second protrusion 220, .

아울러, 낙하에 따른 충격에도 불구하고 제2 지지돌기(120)와 제2 돌출부(220)의 견고한 결합을 유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제2 지지돌기(120)의 상부면은 경사면을 형성토록 하고, 제2 돌출부(220)의 하부면 또한 이에 대응되는 경사면을 형성토록 함으로써, 도 3에서와 같이 제2 지지돌기(120)와 제3 돌출부의 결합면은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In order to induce a firm coupling between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s 120 and the second protrusions 220 in spite of the impact caused by the drop,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s 120 is inclined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rotrusion 220 also forms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otrusion 220 so that the coupling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120 and the third protrusion forms an inclined surface as shown in FIG. Lt; / RTI >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Furtherm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100: 내부 결합 부재, 110: 제1 지지돌기,
120: 제2 지지돌기, 200: 외부 결합 부재,
210: 제1 돌출부, 220: 제2 돌출부.
100: inner coupling member, 110: first support projection,
120: second support projection, 200: external coupling member,
210: first protrusion, 220: second protrusion.

Claims (4)

각각의 외측면의 상부에 제1 지지돌기(110)가 구비되며, 서로 마주 보며 수직 설치된 한 쌍의 내부 결합 부재(100); 및
상기 한 쌍의 내부 결합 부재(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내부 결합 부재(100)의 외부에서 상기 내부 결합 부재(100)와 각각 결합되고, 각각의 내측면의 상부에 상기 제1 지지돌기(110)에 의해 지지되는 제1 돌출부(210)가 구비된 한 쌍의 외부 결합 부재(200)
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결합 부재(100)의 외측면의 하부에는 제2 지지돌기(120)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 결합 부재(200)의 내측면의 하부에는 상기 제2 지지돌기(120)에 대응되는 제2 돌출부(220)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돌출부(210)가 상기 제1 지지돌기(110)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에,
상기 제2 돌출부(220)는 상기 제2 지지돌기(120)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수직 이격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내부 결합 부재(100)의 상부는 서로 일체로서 연결되어 있는 것인 체결 구조체.
A pair of inner joining members (100) provided with first support protrusions (110) on top of their respective outer surfaces and vertically facing each other; And
A pair of inner engagement members 100 ar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inner engagement members 100 and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inner engagement members 100 from the outside of the pair of inner engagement members 100, A pair of external engaging members 200 provided with first protrusions 210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protrusions 110,
/ RTI >
A second support protrusion 120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joint member 100,
A second protrusion 22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120 is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joint member 200,
When the first protrusion 210 i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10,
The second protrusions 220 are vertically spaced from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s 1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upper portions of the pair of inner joint members (100)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결합 부재(200)에 가해지는 수직 하중에 의해 상기 제1 돌출부(210)와 상기 제1 지지돌기(110)의 결합이 해체되는 경우에, 상기 외부 결합 부재(200)가 상기 소정의 간격만큼 낙하됨으로써, 상기 제2 돌출부(220)는 상기 제2 지지돌기(12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인 체결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irst protrusion 210 and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10 are disengaged from each other by the vertical load applied to the outer joint member 200, So that the second protrusion (220) is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1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돌기(120)와 상기 제2 돌출부(220)의 결합면은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인 체결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engagement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120) and the second protrusion (220) forms an inclined surface.
KR20130110359A 2013-09-13 2013-09-13 Fastening Structure KR1015117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0359A KR101511746B1 (en) 2013-09-13 2013-09-13 Fasten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0359A KR101511746B1 (en) 2013-09-13 2013-09-13 Fastening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969A KR20150030969A (en) 2015-03-23
KR101511746B1 true KR101511746B1 (en) 2015-04-13

Family

ID=53024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0359A KR101511746B1 (en) 2013-09-13 2013-09-13 Fastenin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174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472B1 (en) * 2016-08-31 2019-08-26 조희은 Bracket Structure Installed in Wal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1612A (en) * 1993-02-24 1994-09-09 Tokyo Electric Co Ltd Luminaire
KR0137227Y1 (en) * 1995-11-30 1999-05-15 김광호 Chassis holder fixing device
KR101103509B1 (en) * 2009-01-19 2012-01-06 유보영 Screen Louver
KR20130021738A (en) * 2011-08-23 2013-03-06 조희은 Fastening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1612A (en) * 1993-02-24 1994-09-09 Tokyo Electric Co Ltd Luminaire
KR0137227Y1 (en) * 1995-11-30 1999-05-15 김광호 Chassis holder fixing device
KR101103509B1 (en) * 2009-01-19 2012-01-06 유보영 Screen Louver
KR20130021738A (en) * 2011-08-23 2013-03-06 조희은 Fastening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969A (en) 2015-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17867A1 (en) Connecting corner for screens
JP5625019B2 (en) Floor structure
US20160102461A1 (en) Stair expansion joint system with freedom of movement between landings
KR101511746B1 (en) Fastening Structure
JP2016014288A (en) Aseismatic ceiling
JP2007291761A (en) Seismic ceiling structure
KR101427240B1 (en) Reinforcing Device for Double Floor
KR101471308B1 (en) Sound absorption type Soundproofing Panel
KR101061713B1 (en) Fixing structure of ceiling panel
KR101680111B1 (en) Constructing Method for Panel Screen Type Louver, and Louver Connecting Device Used Therein
JP6340222B2 (en) Mounting bracket for diagonal reinforcement members
KR20160015629A (en) Louver Structure Assembled with Lighting Device
JP6379133B2 (en) Ceiling foundation structure and suspension member
KR101466239B1 (en) Elastic supporting apparatus without demage of elastic rubber
KR20180136196A (en) Beam bracket and panel structure
KR101581915B1 (en) Fixing structure of wall and construction for using fastener
JP2015151686A (en) Structure for preventing fall of suspended ceiling
KR101442693B1 (en) Apparatus for construcing quake-proof of clean room wall pannel
KR101571005B1 (en) Constructing Method for Panel Screen Type Decoration
JP6216391B2 (en) Seismic isolation swing slab support device and seismic isolation swing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399782B1 (en) Column form support device
KR101400768B1 (en) Anti-vibration support struture
KR20150126760A (en) Structure For Fixing Indian Tent
JP5538860B2 (en) Panel structure, panel unit, and panel configuration method
JP2018150795A (en) Support device and seismic isolation scaffol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