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530B1 - 고용량 나노복합소재(활성탄/금속산화물-탄소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용량 나노복합소재(활성탄/금속산화물-탄소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530B1
KR101511530B1 KR20130011169A KR20130011169A KR101511530B1 KR 101511530 B1 KR101511530 B1 KR 101511530B1 KR 20130011169 A KR20130011169 A KR 20130011169A KR 20130011169 A KR20130011169 A KR 20130011169A KR 101511530 B1 KR101511530 B1 KR 101511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nanofibers
metal oxide
carbon
catalyst
do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11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8476A (ko
Inventor
정한기
윤석민
김형국
Original Assignee
비나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나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나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11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1530B1/ko
Publication of KR20140098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combined with metals, oxides or hydroxides provided for in groups B01J23/02 - B01J23/36
    • B01J23/7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combined with metals, oxides or hydroxides provided for in groups B01J23/02 - B01J23/36 with alkali- or alkaline earth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19Catalysts containing parts with different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16Reduc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32Carbon-based
    • H01G11/36Nanostructures, e.g. nanofibres, nanotubes or fullere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나노섬유 표면을 선택적 흑연화 및 금속산화물(FePO4) 도핑을 통해 전기전도도가 높고 용량이 증가된 전극을 제조할 수 있는 고용량 나노복합소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고용량 나노복합소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고용량 나노복합소재는 열 CVD법으로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고, 저온 흑연화 처리에 의하여 표면이 선택적 흑연화된 탄소나노섬유와 금속산화물이 도핑된 고용량 나노복합소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고용량 나노복합소재(활성탄/금속산화물-탄소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HIGH CONDUCTIVE CARBON NANO FIBER AND THE CARBON NANO FIBER MADE THEREBY}
본 발명은 고용량 나노복합소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고용량 나노복합소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탄소나노섬유 표면을 선택적 흑연화 및 금속산화물(FePO4) 도핑을 통해 전기전도도가 높고 용량이 증가된 전극을 제조할 수 있는 고용량 나노복합소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고용량 나노복합소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슈퍼 커패시터는 정전기적(electrostatic) 특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기 화학적 반응을 이용하는 배터리에 비하여 충방전 회수가 거의 무한대이고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에너지의 충방전 속도가 매우 빨라 그 출력 밀도가 배터리의 수십 배 이상이다.
따라서 기존의 화학전지 배터리로는 구현하지 못하는 슈퍼 커패시터의 특성으로 인하여, 산업계 전반에 걸쳐 슈퍼 커패시터의 응용 분야가 점차 확대되는 추세이다. 특히, 요즘과 같은 고유가 시대에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또는 연료전지자동차(Fuel Cell Vehicle, FCV) 등과 같은 차세대 환경 친화 차량 개발 분야에 있어 에너지 버퍼로서 슈퍼 커패시터의 효용성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즉, 슈퍼 커패시터는 보조 에너지 저장장치로서 화학전지 배터리와 병용됨으로써, 순간적인 에너지의 공급과 흡수는 슈퍼 커패시터가 담당하고, 평균적인 차량의 에너지 공급은 배터리가 담당함으로써 전반적인 차량 시스템의 효율 개선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수명 연장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동전화나 동영상 레코더와 같은 휴대용 전자 부품에서 보조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중요성 및 용도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슈퍼 커패시터는 크게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 EDLC)와 산화·환원 커패시터(Pseudo capacitor)로 분류된다. 상기 EDLC는 표면에 전기 이중층이 생성되어 전하를 축적하고, 수도 커패시터는 활물질로 사용되는 금속 산화물의 산화·환원 반응에 의해 전하를 축적한다.
그런데 상기 수도 커패시터는 금속 산화물로 사용되는 재료(특히, 루테늄 산화물)의 가격이 고가이고, 또한 사용 후 폐기시 상기 재료가 친환경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반해, EDLC는 전극물질 자체가 갖는 뛰어난 안정성과 함께 친환경적인 탄소재료를 이용한다. 이러한 탄소 전극물질에는 활성 탄소분말(ACP : Activated Carbon Powder), 탄소 나노튜브(CNT : Carbon Nano Tube), 흑연, 기상성장 탄소섬유(VGCF : Vaopr Growen Carbon Fiber), 탄소 에어로겔(Carbon aerogel), 폴리 아크릴로나이트릴(PAN : Poly acrylonitrile) 및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 Poly Vinylidenefluoride)와 같은 고분자를 탄화하여 제조하는 탄소나노섬유(CNF : Carbon Nano Fiber) 및 활성화 탄소나노섬유(ACNF : Activated Carbon Nano Fiber) 등이 사용된다. 상기 탄소재료 이외에 도전성을 부여하기 위해 카본 블랙 등의 도전재를 첨가한다.
EDLC 는 일반적으로 전류 집전체, 전극, 전해질 및 분리막으로 구성되며, 분리막으로 인해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된 두개의 전극 사이에 전해질이 충진되어 있고, 전류 집전체는 전극에 효과적으로 전하를 충전시키거나 방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EDLC의 전극재료로 사용되는 활성탄소 전극은 미세기공으로 이루어진 다공질로서 넓은 비표면적을 가지고 있어, 활성탄소 전극에 (-)를 걸어주면 전해질로부터 해리되어 나온 (+) 이온이 활성탄소 전극의 기공 내로 들어가서 (+)층을 이루고, 이는 활성탄소 전극의 계면에 형성된 (-)층과 전기 이중층을 형성하면서 전하를 충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EDLC 커패시터의 축전용량은 활성탄소 전극의 구조 및 물성에 크게 의존하는데, 요구되는 특성으로는 비표면적이 클 것, 물질 자체의 내부저항이 작을 것, 그리고 탄소 소재의 밀도가 높을 것 등이 있다.
그런데 종래에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7-69280호 등에서 개시된 활성탄소 전극에 대한 기술들에서는, 전기전도도가 우수하면서도 용량이 큰 전극재료가 개발되어 있지 않아서 이에 대한 연구개발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탄소나노섬유 표면에 열분해 탄소 도핑 및 표면 선택적 흑연화를 통해 전기전도도가 높고 용량이 증가된 전극을 제조할 수 있는 고용량 나노복합소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고용량 나노복합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고용량 나노복합소재는 열 CVD법으로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고, 저온 흑연화 처리에 의하여 표면이 선택적 흑연화된 탄소나노섬유와 금속산화물이 도핑된 고용량 나노복합소재로 구성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용량 나노복합소재(활성탄/금속산화물-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은, 1) Ni/Fe/Mg 촉매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Ni/Fe/Mg 촉매를 사용하여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탄소나노섬유를 산처리하는 단계; 4) 산처리된 상기 탄소나노섬유를 흑연화 처리하는 단계; 5) 흑연화 처리된 상기 탄소나노섬유 표면을 금속산화물 도핑하는 단계; 및 6) 금속산화물 도핑된 상기 탄소나노섬유와 활성탄을 복합화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1) 단계는,
a) Ni(NO3)2 : Fe(NO3)3 : Mg(NO3)2에 증류수 및 Citric acid(HOOCCH2C(OH)(COOH)CH2COOH)를 혼합하여 Ni/Fe/Mg 촉매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Ni/Fe/Mg 촉매를 필터링하고 건조하는 단계; 및 c) 건조된 상기 Ni/Fe/Mg 촉매를 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 단계는,
d) 산화된 상기 Ni/Fe/Mg 촉매를 10℃/min의 승온속도로 590℃까지 승온하는 단계; e) 질소와 수소의 비율이 8 : 2인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환원하는 단계; 및 f) 에틸렌(C2H2)와 수소의 비율이 3 : 1인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켜 탄소나노섬유를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 단계는,
g) 탄소나노섬유 1g 당 10% HCl용액 100ml를 혼합하여 48 시간 동안 산처리하는 단계; h) 상기 탄소나노섬유를 필터링하고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4) 단계는,
아르곤(Ar) 가스를 300cc/min의 속도로 투입한 상태에서 15℃/min 의 승온속도로 2800℃ 까지 승온하고, 20분 동안 흑연화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5) 단계는,
i) 흑연화 처리된 상기 탄소나노섬유에 1M urea, 1M FeSO4 , citric acid 및 (NH4)H2PO4를 혼합하여 금속산화물(FePO4)를 도핑하는 단계; j) 상기 금속산화물 도핑된 탄소나노섬유를 필터링하고 건조하는 단계; 및 k) 건조된 상기 금속산화물 도핑된 탄소나노섬유를 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6) 단계에서는,
금속산화물 도핑된 탄소나노섬유와 활성탄을 1:9 비율로 48시간 혼합하여 복합화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고용량 나노복합소재는 비교적 저온 흑연화 공정을 통하여 고 전기전도성 탄소나노섬유를 제조 할 수 있으며, 금속산화물의 도핑에 의하여 소량을 사용하여도 리튬이온 커패시터 전극의 용량을 현저히 증가시키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용량 탄소나노섬유 나노복합소재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SEM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TEM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은 실시예 2의 TEM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은 실시예 2의 TG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는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전기전도도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전지용량평가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과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원발명의 고용량 나노복합소재 제조방법은 1) Ni/Fe/Mg 촉매를 제조하는 단계로 시작된다. 이 단계에서는 탄소나노섬유 제조를 위한 촉매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구체적으로 a) Ni(NO3)2 : Fe(NO3)3 : Mg(NO3)2에 증류수 및 Citric acid(HOOCCH2C(OH)(COOH)CH2COOH)를 혼합하여 Ni/Fe/Mg 촉매를 제조하는 단계;와, b) 전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Ni/Fe/Mg 촉매를 필터링하고 건조하는 단계; 및 c) 건조된 상기 Ni/Fe/Mg 촉매를 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2) 전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Ni/Fe/Mg 촉매를 사용하여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이 단계에서는 상기 Ni/Fe/Mg 촉매를 사용하여 H-type 탄소나노섬유를 성장시켜 제조하는데, 구체적으로 이 단계(S200)는 d) 산화된 상기 Ni/Fe/Mg 촉매를 10℃/min의 승온속도로 590℃까지 승온하는 단계; e) 상기 온도에서 상기 Ni/Fe/Mg 촉매를 질소와 수소의 비율이 8 : 2인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환원하는 단계; 및 f) 탄소원인 에틸렌(C2H2)와 수소의 비율이 3 : 1인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켜 탄소나노섬유를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3) 상기 탄소나노섬유를 산처리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예를 들어 이 단계에서는 제조된 탄소나노섬유를 탄소나노섬유 1g 당 10% HCl 용액 100ml 를 혼합하여 48시간 동안 산처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4) 산처리된 상기 탄소나노섬유를 흑연화처리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 단계에서는 아르곤(Ar) 가스를 300cc/min의 속도로 투입한 상태에서 15℃/min 의 승온속도로 2800℃ 까지 승온하고, 20분 동안 흑연화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는 5) 흑연화 처리된 상기 탄소나노섬유에 금속산화물을 도핑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 단계에서는 흑연화 처리된 탄소나노섬유 표면에 금속산화물 도핑을 하는 단계로서, 구체적으로 i) 흑연화 처리된 상기 탄소나노섬유에 1M urea, 1M FeSO4 , citric acid 및 (NH4)H2PO4를 혼합하여 금속산화물(FePO4)를 도핑하는 단계; j) 상기 금속산화물 도핑된 탄소나노섬유를 필터링하고 건조하는 단계; 및 k) 건조된 상기 금속산화물 도핑된 탄소나노섬유를 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6) 금속산화물 도핑된 탄소나노섬유와 활성탄 복합화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 단계에서는 금속산화물 도핑된 탄소나노섬유와 활성탄을 1:9 비율로 48시간 혼합하여 복합화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실제로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는 실시예와 제조된 실시예를 다른 비교예와 비교한 결과를 설명한다.
실시예 1 : 탄소나노섬유 나노복합소재의 제조
먼저 Ni/Fe/Mg 촉매 촉매를 제조하기 위하여 Ni(NO3)2 : Fe(NO3)3 : Mg(NO3)2를 중량비로 1:1:1 비율로 혼합한 후 약 30분 동안 교반한다. 이렇게 혼합된 용액에 증류수를 100cc 넣어 약 30분 교반한다. 여기에 Citric acid(HOOCCH2C(OH)(COOH)CH2COOH)를 20g 첨가한 후 반응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약 1시간 교반하고, 상온에서 24 시간동안 방치한다.
상기 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물질은 수차례 수세과정을 거쳐 불순물을 충분히 제거한 후 110 ℃에서 12 시간 동안 건조한다. 건조 후에 Air를 200cc/min투입하여, 10oC/min로 600도 까지 승온 후 600도에서 4시간 동안 산화 과정을 거친다. 산화된 촉매는 10oC/min로 590도 까지 승온(N2, 200cc/min) 후 환원과정을 (200cc/min, N2:H2=8:2비율) 2시간 동안 진행 후, 에틸렌을 (200cc/min, C2H2:H2=3:1) 1시간 동안 반응시켜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한다.
제조된 탄소나노섬유는 탄소나노섬유 1g 당 10% HCl용액 100ml를 혼합하여 48시간동안 산처리를 한다. 산처리된 탄소나노섬유는 탄소나노섬유에 1M urea:1M FeSO4:citric acid를 중량비로 1:1:1 비율로 혼합한 후 약 30분 동안 교반한다. 이렇게 혼합된 용액에 증류수를 100cc 넣어 약 30분 교반한다. 여기에 1M (NH4)H2PO4를 100cc 첨가한 후 60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수차례 수세과정을 거쳐 불순물을 충분히 제거한 후 110 ℃에서 12 시간 동안 건조한다. 건조 후에 Air를 200cc/min투입하여, 5oC/min로 300도 까지 승온 후 300도에서 4시간 동안의 산화 과정을 통하여 금속산화물 도핑된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한다. 마지막으로, 금속산화물 도핑된 탄소나노섬유와 활성탄을 1:9 비율로 48시간 혼합하여 복합화처리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탄소나노섬유 나노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고용량 탄소나노섬유 나노복합소재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진행하되, 금속산화물 도핑전에 흑연화처리를 한다. 즉, 산처리 후에 Ar을 300cc/min투입하여, 15oC/min로 2800도 까지 승온 후 2800도에서 20min 동안 흑연화처리를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고용량 탄소나노섬유 나노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1로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진행하되, 탄소나노섬유 대신 시중에서 구입 가능한 (주)한화나노텍사의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2로서 시중에서 구입 가능한 Kansai Coke & Chemicals 사의 활성탄을 사용하였다.
이하에서는 제조된 실시예 1, 2와 비교예들에 대하여 전기전도도 및 전지로 제조되었을 때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를 설명한다.
먼저, 실시예 1의 표면 형태학적 관찰을 위하여 전자주사현미경(SEM :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으로 측정하여 이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평균 섬경은 약 70nm로 측정되었다.
도 3은 실시예 2의 결정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투과전자현미경(TEM :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으로 측정한 것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제조된 고 전기전도성 탄소나노섬유의 표면은 H-type의 탄소나노섬유와 유사한 결정구조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 2의 금속산화물 도핑에 의한 표면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측정한 것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표면에 도핑된 금속산화물의 크기는 약 10nm정도의 결정구조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 2의 금속산화물 도핑 함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열중량분석기(TG : thermogravimetry)로 측정한 것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도핑된 금속산화물의 함량은 약 60wt.%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전기전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경우 전기전도도 값이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 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전지용량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전기전도도는 전지용량은 표준의 CR2032 코인셀을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전극 슬러리는 활성탄 MSP-20을 사용하여 활물질/도전재/바인더의 중량비를 80/10/10wt.%로 제조하였고, 알루미늄 호일위에 코팅하여 전극을 제조하였다. 또한, 전해액은 전해액은 1.3M LiPF6 in EC/DMC/DEC=3/5/2를 사용하여 0.2C, 2~4V의 전압범위에서 충방전을 실시하여 용량을 평가하였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경우 전지용량이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 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Claims (8)

1) Ni/Fe/Mg 촉매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Ni/Fe/Mg 촉매를 사용하여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탄소나노섬유를 산처리하는 단계;
4) 산처리된 상기 탄소나노섬유를 흑연화처리하는 단계;
5) 흑연화 처리된 상기 탄소나노섬유 표면을 금속산화물 도핑하는 단계; 및
6) 금속산화물 도핑된 상기 탄소나노섬유와 활성탄을 복합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용량 나노복합소재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는,
a) Ni(NO3)2 : Fe(NO3)3 : Mg(NO3)2에 증류수 및 Citric acid(HOOCCH2C(OH)(COOH)CH2COOH)를 혼합하여 Ni/Fe/Mg 촉매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Ni/Fe/Mg 촉매를 필터링하고 건조하는 단계; 및
c) 건조된 상기 Ni/Fe/Mg 촉매를 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량 나노복합소재의 제조방법.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는,
d) 산화된 상기 Ni/Fe/Mg 촉매를 10℃/min의 승온속도로 590℃까지 승온하는 단계;
e) 질소와 수소의 비율이 8 : 2인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환원하는 단계; 및
f) 에틸렌(C2H2)와 수소의 비율이 3 : 1인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켜 탄소나노섬유를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량 나노복합소재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는,
g) 탄소나노섬유 1g 당 10% HCl용액 100ml를 혼합하여 48 시간 동안 산처리하는 단계;
h) 상기 탄소나노섬유를 필터링하고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량 나노복합소재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 단계는,
아르곤(Ar) 가스를 300cc/min의 속도로 투입한 상태에서 15℃/min 의 승온속도로 2800℃ 까지 승온하고, 20분 동안 흑연화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량 나노복합소재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5) 단계는,
i) 흑연화 처리된 상기 탄소나노섬유에 1M urea, 1M FeSO4 , citric acid 및 (NH4)H2PO4를 혼합하여 금속산화물(FePO4)를 도핑하는 단계;
j) 상기 금속산화물 도핑된 탄소나노섬유를 필터링하고 건조하는 단계; 및
k) 건조된 상기 금속산화물 도핑된 탄소나노섬유를 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고용량 나노복합소재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6) 단계에서는,
금속산화물 도핑된 탄소나노섬유와 활성탄을 1:9 비율로 48시간 혼합하여 복합화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량 나노복합소재의 제조방법.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하여 제조되는 고용량 나노복합소재.
KR20130011169A 2013-01-31 2013-01-31 고용량 나노복합소재(활성탄/금속산화물-탄소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511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1169A KR101511530B1 (ko) 2013-01-31 2013-01-31 고용량 나노복합소재(활성탄/금속산화물-탄소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1169A KR101511530B1 (ko) 2013-01-31 2013-01-31 고용량 나노복합소재(활성탄/금속산화물-탄소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476A KR20140098476A (ko) 2014-08-08
KR101511530B1 true KR101511530B1 (ko) 2015-04-13

Family

ID=51745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11169A KR101511530B1 (ko) 2013-01-31 2013-01-31 고용량 나노복합소재(활성탄/금속산화물-탄소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15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633B1 (ko) * 2016-12-30 2019-06-2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그래핀 섬유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그래핀 섬유복합체
KR102158415B1 (ko) * 2018-12-14 2020-09-21 재단법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 질소산화물 저감용 첨착활성탄소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481B1 (ko) 2007-04-16 2009-04-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초극세 탄소 섬유에 축적한 금속산화물로 이루어진슈퍼커패시터용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49736A (ko) * 2007-11-14 2009-05-19 삼성전기주식회사 고분자 복합체
KR101077216B1 (ko) 2009-06-18 2011-10-27 금호전기주식회사 탄소나노섬유를 포함하는 전자방출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전자방출원
KR101315486B1 (ko) 2012-04-03 2013-10-07 (주)썬텔 고전기전도성 탄소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481B1 (ko) 2007-04-16 2009-04-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초극세 탄소 섬유에 축적한 금속산화물로 이루어진슈퍼커패시터용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49736A (ko) * 2007-11-14 2009-05-19 삼성전기주식회사 고분자 복합체
KR101077216B1 (ko) 2009-06-18 2011-10-27 금호전기주식회사 탄소나노섬유를 포함하는 전자방출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전자방출원
KR101315486B1 (ko) 2012-04-03 2013-10-07 (주)썬텔 고전기전도성 탄소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476A (ko) 2014-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ao et al. ZIF-8/ZIF-67-derived 3D amorphous carbon-encapsulated CoS/NCNTs supported on CoS-coated carbon nanofibers as an advanced potassium-ion battery anode
US10741335B2 (en) Partially surface-mediated lithium ion-exchanging cells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Javed et al. Carbon quantum dots from glucose oxidation as a highly competent anode material for lithium and sodium-ion batteries
He et al. Enabling multi-chemisorption sites on carbon nanofibers cathodes by an in-situ exfoliation strategy for high-performance Zn–ion hybrid capacitors
Zhu et al. Cotton derived porous carbon via an MgO template method for high performance lithium ion battery anodes
Chang et al. Ultrafine Sn nanocrystals in a hierarchically porous N-doped carbon for lithium ion batteries
Nan et al. Nitrogen-enriched electrospun porous carbon nanofiber networks as high-performance free-standing electrode materials
Pender et al. Carbon nitride transforms into a high lithium storage capacity nitrogen-rich carbon
Guo et al. Growth of highly nitrogen-doped amorphous carbon for lithium-ion battery anode
Zhang et al. Exceptional rate performance of functionalized carbon nanofiber anodes containing nanopores created by (Fe) sacrificial catalyst
Lian et al. Construction of T-Nb2O5 nanoparticles on/in N-doped carbon hollow tubes for Li-ion hybrid supercapacitors
Chen et al. Mesoporous single crystals Li 4 Ti 5 O 12 grown on rGO as high-rate anode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ies
US8889298B2 (en) Surface-mediated lithium ion-exchanging energy storage device
Qian et al. A free-standing Li4Ti5O12/graphene foam composite as anode material for Li-ion hybrid supercapacitor
Qiu et al. N-doped carbon encapsulated ultrathin MoO 3 nanosheets as superior anodes with high capacity and excellent rate capability for Li-ion batteries
Li et al. N, S co-doped porous carbon microtubes with high charge/discharge rates for sodium-ion batteries
KR101832663B1 (ko) 고밀도 및 고용량 특성을 갖는 3차원 그래핀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극 소재
Luna-Lama et al. Biomass-derived carbon/γ-MnO2 nanorods/S composites prepared by facile procedures with improved performance for Li/S batteries
Liao et al. A high-energy sodium-ion capacitor enabled by a nitrogen/sulfur co-doped hollow carbon nanofiber anode and an activated carbon cathode
KR102389113B1 (ko) 이산화탄소로부터 리튬이온배터리용 탄소기반 음극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리튬이온배터리용 탄소기반 음극
Park et al. Superior lithium storage in nitrogen-doped carbon nanofibers with open-channels
Wang et al. Hierarchically Porous Carbon Nanofibers Encapsulating Carbon‐Coated Mini Hollow FeP Nanoparticles for High Performance Lithium and Sodium Ion Batteries
Kan et al. Nitrogen functionalized carbon nanocages optimized as high-performance anodes for sodium ion storage
Zheng et al. Nitrogen-doped activated porous carbon for 4.5 V lithium-ion capacitor with high energy and power density
Geng et al. Oxygen-doped carbon host with enhanced bonding and electron attraction abilities for efficient and stable SnO2/carbon composite battery an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