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255B1 - 선박용 조타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조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255B1
KR101511255B1 KR1020130160049A KR20130160049A KR101511255B1 KR 101511255 B1 KR101511255 B1 KR 101511255B1 KR 1020130160049 A KR1020130160049 A KR 1020130160049A KR 20130160049 A KR20130160049 A KR 20130160049A KR 101511255 B1 KR101511255 B1 KR 101511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dder
control
hydraulic pump
control panel
st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0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1255B9 (ko
Inventor
이선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305320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1125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이엠텍
Priority to KR1020130160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12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255B1/ko
Publication of KR10151125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25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08Steering gear
    • B63H25/12Steering gear with fluid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2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 B63H25/04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automatic, e.g. reacting to comp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조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박 운항자가 조작하는 조타핸들장치로부터 방향타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방향타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판넬이 구비되는 전기스탠드와, 상기 제어판넬에서 출력되는 방향타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오일을 펌핑하는 유압펌프수단과, 상기 유압펌프수단의 구동에 따라 유압펌프의 오일이 압력에 의해 투입되어 작동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중심축을 중심으로 틸팅하는 틸러와, 상기 틸러에 구비되어 선박의 진행 방향을 조정하는 방향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향타의 제어를 위한 방향타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전기스탠드는 제어신호의 송수신만을 수행하므로 유압펌프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유압배관을 전기스탠드에 연결할 필요가 없어 전체적으로 조타 장치의 설치가 간단하다.

Description

선박용 조타 장치 {Steering apparatus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조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전기스탠드의 조타핸들 조작에 따른 전기적인 제어신호에 의해 유압을 작동시켜 선박의 진행 방향을 조정하는 방향타를 작동하는 선박용 조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의 선박에는 그 진행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인 방향타(rudder)를 조작하여 조정하게 되는데, 방향타의 조절은 선실에 설치되어 있는 조타장치의 핸들을 항해사가 직접 조정하여 선박의 항해 방향을 조정한다.
이에 따라 방향타는 물의 흐름 속에 놓여 진 상태에서 받음각(물이 들어오는 각도)을 가질 때 여기에 작용하는 양력의 수직성분을 회두력으로 이용하여 선박의 진행방향을 조정하는 원리로 작동된다. 방향타에 요구되는 성능중에는, 큰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을 것, 받음각을 크게 하더라도 속도에 영향을 크게 미치지 않을 것, 받음각을 크게 변화시키더라도 양력의 착력점의 위치변화가 작을 것 등이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선박용 조타 장치의 일 예로 등록특허 제10-0429068호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선박용 자동조타 및 자동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동모터의 구동과 조타핸들을 이용한 선박용 조타 장치에 있어서, 기능선택 스위치부가 포함된 전자제어장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타핸들과 연결되는 핸들 연결용 스풀과;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운동을 감속시켜주는 감속기어와; 이 감속기어를 거쳐 상기 전동모터에 연결되는 전동모터기어와; 이 전동모터기어에 연결되어 있는 모터 연결용 기어와; 상기 전자제어장치부와 연결되며 통상의 외부전원의 공급을 받는 전자클러치 코일과; 상기 전자제어장치부의 전원이 off되어 있거나 상기 전동모터 또는 전자클러치 코일의 전원이 off된 소동조타 상태에서는 상기 모터 연결용 기어와 분리되어 상기 핸들 연결용 스풀과 결합되고, 상기 전자클러치 코일에 전원이 on되는 자동조타 상태에서는 상기 전자클러치 코일의 전자석에 의해 상기 모터 연결용 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핸들 연결용 스풀과 분리되는 핸들/모터 연결용 스풀과; 이 핸들/모터 연결용 스풀과 연결되는 헬륨펌프 및 이 헬륨펌프의 연결방향으로 이어지는 고압 오일호스와; 이 고압 오일호스의 내부에 있는 오일을 통하여 작동되는 실린더와; 이 실린더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꿔주는 틸러 및 이와 연결되는 방향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선박용 조타 장치는 또한, 조타핸들을 조작하거나 전동모터를 구동시에 핸들/모터 연결용 스풀이 작동되고 그로 인해 헬륨펌프의 연결방향으로 이어지는 고압 오일호스를 통해 오일이 이동하면서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구조여서 조타실 내 설비가 복잡하고 조타실과 타기실에 유압 호스를 설치해야 하므로 조타장치의 설치 및 위치 설정이 매우 까다롭다.
아울러, 조타실에 고정설치되는 조타핸들을 조작해야 하므로 선박 운항자의 행동에 많은 제약이 있었다.
참고문헌: 등록특허 제10-042906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향타의 직접적인 작동만 유압을 이용하고 그 유압작동이 전기스탠드의 조타핸들의 조작에 따른 전기적인 제어에 의해 이루어지는 선박용 조타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조타실내에서 유압을 직접 조정하지 않아 유압호스 등이 조타실내에 설치되지 않아 조타핸들이 구비되는 전기 스탠드를 조타실의 임의의 위치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어 조타실활용 폭도 넓힐 수 있는 선박용 조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향타의 조정을 선박 운항자가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는 선박용 조타 장치를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선박 운항자가 조작하는 조타핸들장치로부터 방향타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방향타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판넬이 구비되는 전기스탠드와, 상기 제어판넬에서 출력되는 방향타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오일을 펌핑하는 유압펌프수단과, 상기 유압펌프수단의 구동에 따라 유압펌프의 오일이 압력에 의해 투입되어 작동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중심축을 중심으로 틸팅하는 틸러와, 상기 틸러에 구비되어 선박의 진행 방향을 조정하는 방향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타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판넬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방향타 조작신호를 입력받으면 방향타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스탠드는, 선박 운항자가 조작하는 조타핸들장치와, 상기 조타핸들장치의 조작에 따른 방향타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방향타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판넬과, 방향타의 앵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계기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계기판에는 방향타의 앵글을 확인가능한 방향타 게이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방향타의 앵글을 측정하는 라다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전기스탠드에는 라다센서에서 계측되는 방향타의 앵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계기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스탠드의 제어판넬과 계기판은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전기스탠드는 조타실에 설치되며 상기 조타실 내부 벽면에는 상기 라다센서에서 계측되는 방향타의 앵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벽걸이형 게이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유압펌프수단은, 모터 구동에 따라 오일을 유압배관으로 펌핑하는 유압펌프와, 상기 제어판넬의 제어에 따라 상기 유압배관을 통해 상기 실린더로 투입되는 오일을 조절하는 솔레노이드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유압배관에 보조 배관으로 연결되어 유압배관 내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비상용 스티어링이 조타실에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향타의 제어를 위한 방향타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전기스탠드는 제어신호의 송수신만을 수행하므로 유압펌프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유압배관을 전기스탠드에 연결할 필요가 없어 전체적으로 조타 장치의 설치가 간단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타실내에 유압펌프수단의 구동을 위한 유압배관의 설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전기스탠드의 설치를 조타실의 임의의 장소에 설치할 수 있어 조타실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해 방향타를 조정이 가능하므로 선박 운항자가 좀더 자유롭게 선박조정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조타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조타 장치의 배선 연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스탠드 결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스탠드의 계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조타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조타 장치는 조타실(Wheelhouse)(1)에 선박의 진행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스탠드(100)와 리모트 콘트롤러(200)가 구비되고, 타기실(Steering Gear Room)(2)에 선박의 진행 방향을 조정하는 방향타(300)와 틸러(400) 및 실린더(500) 및 유압펌프수단(60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조타 장치는 선박 운항자가 조작하는 조타핸들장치(110)와 상기 조타핸들장치(110)로부터 방향타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방향타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판넬(120)이 구비되는 전기스탠드(100)와, 상기 제어판넬(120)에서 출력되는 방향타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오일을 펌핑하는 유압펌프수단(600)과, 상기 유압펌프수단(600)의 구동에 따라 유압펌프(610)의 오일이 압력에 의해 투입되어 작동되는 실린더(500)와, 상기 실린더(500)의 작동에 따라 중심축(410)을 중심으로 틸팅하는 틸러(400)와, 상기 틸러(400)에 구비되어 선박의 진행 방향을 조정하는 방향타(300)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전기스탠드(100)의 제어판넬(120)은 리모트 콘트롤러(200)로부터 방향타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방향타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유압펌프수단(60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기실(2)에는 틸러(400)의 회동으로 인해 방향타(300)가 움직이면 방향타(300)의 앵글을 측정하는 라다센서(700)가 구비되고, 상기 전기스탠드(100)에는 라다센서(700)에서 계측되는 방향타(300)의 앵글을 디스플레이하는 계기판(130)이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전기스탠드(100)는 선박 운항자가 수동으로 조작이 가능한 조타핸들장치(110)와, 상기 조타핸들장치(110)의 조작에 따른 방향타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방향타 의 조정 각도 등을 연산하여 방향타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판넬(120)과, 방향타 조작에 따른 감시 및 제어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계기판(13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조타핸들장치(110)는 상기 전기스탠드(100)의 케이스(101)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판넬(120)은 상기 케이스(101)의 내부 후측에 구비되며, 상기 계기판(130)은 상기 케이스(101)의 상부에 구비된다.
한편, 상기 조타핸들장치(110)는 조타핸들(112)을 조작시에 포텐션메타 등을 이용해 회전각도와 회전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상부에 영점조정 표시창(114)이 구비되어 영점 조정여부를 선박 운항자가 확인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조타핸들장치(110)의 조작을 통해 발생되는 방향타 조작신호는 제어판넬(120)로 입력된다.
상기 제어판넬(120)은 상기 조타핸들(112)의 조작에 따라 조타핸들장치(110)로부터 방향타 조작신호를 입력받음은 물론 리모트 콘트롤러(200)로부터 방향타 조작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방향타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유압펌프수단(6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200)에는 조작레버(210)가 구비되어 선박 운항자가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200)는 유선방식으로 상기 제어판넬(120)에 방향타 조작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방식으로 상기 제어판넬(120)에 방향타 조작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200)는 유선방식인 경우 케이스(101) 전면에 구비되는 입력단자(102)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무선 방식인 경우에는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200)와 제어판넬(120)에 무선통신모듈이 탑재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케이스(101)의 상부에 구비되는 계기판(130)의 중앙에는 방향타의 위치(방향타 앵글)를 확인가능한 방향타 게이지(139)가 구비되며, 이외에도 방향타 게이지(139)를 중심으로 양측에 선수가 좌현 또는 우현측으로 틀어질 때와 선수방위 목적지 방위가 편차가 생겼을 때 조정가능한 편차조정(TRIM) 볼륨(131)과, 배가 최대한 직진하도록 하기 위한 감도 조정(GAIN) 볼륨(132)과, 계기판 게이지의 영점을 조정하기 위한 게이지 영점 조정(CENTER ANGLE) 볼륨(133)과, 계기판 게이지의 최대각을 조정하기 위한 게이지 최대각 조정(MAXIMUM ANGLE) 볼륨(134)과, 게이지의 조명 밝기 조정(DIMMER)용 볼륨(135), 비상조타(NFU)/HANDLE/REMOTE 조작을 선택가능한 운전 선택(OPERATION) 스위치(136)와, 비상용 조타 레버(Non Follow-Up)인 NFU LEVER(137)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계기판(130)의 볼륨이나 레버의 조작신호는 제어판넬(120)로 입력되며 제어판넬(120)로부터의 방향타(300)의 위치 정보인 방향타 앵글은 방향타 게이지(139)로 출력되어 선박 운항자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판넬(120)에는 방향타의 좌 한계(L.LIM)를 조정하기 위한 좌 한계점 조정 볼륨, 방향타의 중심 조정 볼륨, 방향타의 우 한계(R.LIM)를 조정하기 위한 우 한계점 조정 볼륨, 리모트 콘트롤러의 탈거시 중심 조정을 위한 중심 조정 볼륨, 리모트 콘트롤러의 최대 감도 조정 볼륨, 핸들(휠) 연결용 중심 조정 볼륨, 리모콘 연결용 중심 조정 볼륨 등이 더 구비되어 십자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용해 제어 및 감시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스탠드(100)의 제어판넬(120)과 계기판(130) 등은 배터리(800)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된다. 물론, 조타실 내부 벽면에 설치되는 벽걸이형 게이지 역시 배터리(810)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게 된다.
여기서, 전기스탠드(100)의 제어판넬(120)과 계기판(130) 등은 발전기가 없는 중소형 선박에서는 제어신호를 조작하여 조작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전기스탠드(100)는 전기적인 방향타 조작신호와 제어신호 및 감지신호 등의 송수신만을 수행하는 것으로 유압펌프수단(600)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유압배관이 필요 없다. 따라서 유압펌프수단(600)의 오일 안내를 위한 유압배관(602)은 타기실(2)에만 설치하면 되므로 전체적으로 조타장치의 설치가 간단해지며 조타실(1)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조타실(1)의 전기스탠드에 구비되는 계기판(130) 이외에도 조타실 벽면에 부착되어 방향타의 앵글을 확인할 수 있는 벽걸이용 게이지(900)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판넬(120)과 계기판(130) 및 조타핸들장치(110), 벽걸이용 게이지(900) 등은 터미널 블록(901,902,903)을 이용해 배선함으로써 배선 정리를 깔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압펌프수단(600)은 상기 제어판넬(120)에서 출력되는 방향타 제어신호에 따라 오일을 펌핑하는 것으로, 모터(612) 구동에 따라 오일을 유압배관(602)으로 펌핑하는 유압펌프(610)와, 상기 제어판넬(1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유압배관(602)을 통해 상기 실린더(500)로 투입되는 오일을 조절하는 솔레노이드밸브(62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유압펌프수단(600)은 오일을 펌핑하여 실린더(500)를 구동시키게 되며 실린더 구동에 따라 실린더(500)의 피스톤(510)이 직선운동을 한다. 이때, 상기 피스톤(510)의 단부에는 틸러(400)의 일단부가 힌지결합되어 중심축(410)을 중심으로 틸러(400)를 틸팅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방향타(300)가 움직이게 된다.
상기 틸러(400)의 일측에는 라다센서(700)가 구비되어 방향타(300)의 앵글을 감지하며 그 방향타(300)의 앵글 정보는 제어판넬(120)로 전송되어 계기판(130)으로 디스플레이되며, 벽걸이형 게이지(900)에도 디스플레이되어 선박 운항자가 용이하게 방향타 앵글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타실(1)에는 부가적으로 전기적인 신호 계통에 이상이 있는 경우 직접 방향타의 운전 제어가 가능한 비상용 스티어링(650)이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비상용 스티어링(650)은 보조 배관(652)으로 유압배관(602)과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비상용 스티어링(650)의 비상핸들(651)을 조작하는 경우 유압배관(602) 내의 유체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방향타(300)를 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조타 장치의 작동 예를 설명한다.
선박의 운항자는 조타실(Wheelhouse)에서 전기스탠드(100)의 조타핸들장치(110)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200)를 조작하여 방향타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조타핸들장치(110)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200)를 조작하면 방향타 조작신호가 제어판넬(120)로 입력되어 연산과정을 거쳐 방향타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방향타 제어신호는 유압펌프수단(600)으로 입력되어 실린더(500)로 투입되는 오일의 압력을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실린더(500)의 피스톤(510) 단부에 일측 날개가 힌지결합되는 틸러(400)가 중심축을 중심으로 틸팅하게 되며, 그에 따라 선박의 진행 방향을 조정하는 방향타(300)의 각도가 조정된다.
이때, 틸러(400)의 틸팅으로 인해 방향타(300)가 움직이는 경우 라다센서(700)가 방향타(300)의 앵글을 측정하여 제어판넬(120)로 입력되어 계기판(130)에 디스플레이하며, 벽걸이형 게이지(900)를 통해서도 방향타(300)의 앵글 정보가 디스플레이되어 선박 운항자가 방향타(300)의 제어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조타실 2: 타기실
100: 전기스탠드 110: 조타핸들장치
112: 조타핸들 114: 영점조정 표시창
120: 제어판넬 130: 계기판
200: 리모트 콘트롤러 210: 조작레버
300: 방향타 400: 틸러
500: 실린더 510: 피스톤
600: 유압펌프수단 602: 유압배관
610: 유압펌프 612: 모터
620: 솔레노이드밸브 650: 비상용 스티어링
700: 라다센서 800: 배터리
900: 벽걸이용 게이지

Claims (9)

  1. 선박 운항자가 조작하는 조타핸들장치(110)로부터 방향타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방향타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판넬(120)이 구비되는 전기스탠드(100)와, 상기 제어판넬(120)에서 출력되는 방향타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오일을 펌핑하는 유압펌프수단(600)과, 상기 유압펌프수단(600)의 구동에 따라 유압펌프(610)의 오일이 압력에 의해 투입되어 작동되는 실린더(500)와, 상기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중심축을 중심으로 틸팅하는 틸러(400)와, 상기 틸러에 구비되어 선박의 진행 방향을 조정하는 방향타(300)로 구성되되,
    상기 유압펌프수단(600)은,
    모터 구동에 따라 오일을 유압배관(602)으로 펌핑하는 유압펌프(610)와, 상기 제어판넬(1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유압배관(602)을 통해 상기 실린더(500)로 투입되는 오일을 조절하는 솔레노이드밸브(6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넬(12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리모트 콘트롤러(200)로부터 방향타 조작신호를 입력받으면 방향타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스탠드(100)는,
    선박 운항자가 조작하는 조타핸들장치(110)와, 상기 조타핸들장치(110)의 조작에 따른 방향타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방향타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판넬(120)과, 방향타의 앵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계기판(1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타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계기판(130)에는 방향타(300)의 앵글을 확인가능한 방향타 게이지(139)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타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타(300)의 앵글을 측정하는 라다센서(7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전기스탠드(100)에는 라다센서(700)에서 계측되는 방향타의 앵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계기판(13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타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스탠드(100)의 제어판넬(120)과 계기판(130)은 배터리(800)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타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스탠드(100)는 조타실(1)에 설치되며 상기 조타실 내부 벽면에는 상기 라다센서(700)에서 계측되는 방향타의 앵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벽걸이형 게이지(9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타 장치.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배관(602)에 보조 배관(652)으로 연결되어 유압배관(602) 내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비상용 스티어링(650)이 조타실(1)에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타 장치.
KR1020130160049A 2013-12-20 2013-12-20 선박용 조타 장치 KR101511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049A KR101511255B1 (ko) 2013-12-20 2013-12-20 선박용 조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049A KR101511255B1 (ko) 2013-12-20 2013-12-20 선박용 조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1255B1 true KR101511255B1 (ko) 2015-04-21
KR101511255B9 KR101511255B9 (ko) 2022-07-20

Family

ID=53053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0049A KR101511255B1 (ko) 2013-12-20 2013-12-20 선박용 조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12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6978A (ko) * 2021-07-05 2023-01-12 손태승 선박용 변속레버 원격 조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용 변속 제어장치
KR20230006979A (ko) * 2021-07-05 2023-01-12 손태승 선박용 조타핸들 원격 조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용 조타장치
KR20230090114A (ko) * 2021-12-14 2023-06-21 (주)대성이앤티 소형 선박용 리모트컨트롤 조향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734U (ko) * 1999-06-17 2001-01-15 이선우 선박용 자동 조타장치
KR20010069812A (ko) * 2001-05-12 2001-07-25 황원 선박용 자동 조타 및 자동제어 장치
KR20070016279A (ko) * 2005-08-02 2007-02-08 모아텍 주식회사 소형 선박용 전동식 조타 모듈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734U (ko) * 1999-06-17 2001-01-15 이선우 선박용 자동 조타장치
KR20010069812A (ko) * 2001-05-12 2001-07-25 황원 선박용 자동 조타 및 자동제어 장치
KR100429068B1 (ko) * 2001-05-12 2004-04-28 삼영이엔씨 (주) 선박용 자동조타 및 자동제어 장치
KR20070016279A (ko) * 2005-08-02 2007-02-08 모아텍 주식회사 소형 선박용 전동식 조타 모듈 및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6978A (ko) * 2021-07-05 2023-01-12 손태승 선박용 변속레버 원격 조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용 변속 제어장치
KR20230006979A (ko) * 2021-07-05 2023-01-12 손태승 선박용 조타핸들 원격 조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용 조타장치
KR102559264B1 (ko) * 2021-07-05 2023-07-24 손태승 선박용 변속레버 원격 조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용 변속 제어장치
KR102605441B1 (ko) * 2021-07-05 2023-11-22 손태승 선박용 조타핸들 원격 조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용 조타장치
KR20230090114A (ko) * 2021-12-14 2023-06-21 (주)대성이앤티 소형 선박용 리모트컨트롤 조향장치
KR102656246B1 (ko) * 2021-12-14 2024-04-11 (주)대성이앤티 소형 선박용 리모트컨트롤 조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1255B9 (ko) 2022-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1628B2 (ja) 船舶推進装置の操舵装置および船舶
JP2959044B2 (ja) 船外機のステアリング装置
US10752327B2 (en) Steering system for vessel
KR101511255B1 (ko) 선박용 조타 장치
US10875617B2 (en) Hydraulic steering system for a vehicle
KR101422499B1 (ko) 조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A2353053C (en) Marine steering system having dual hydraulic and electronic output
US20150158522A1 (en) Steered wheel visual feedback system for variable rate steering systems
WO2020238814A1 (en) Electric steering system for ship propuls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0429068B1 (ko) 선박용 자동조타 및 자동제어 장치
JP4585570B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流体体積流量感応操舵法
CN110155294B (zh) 船用推进器电动转向系统的控制方法
AU2022365091A1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rotation speed of rotary table, and aerial work platform
JP4756605B2 (ja) 操舵システム
CA2895863C (en) Trolling motor with power steering
US10969787B2 (en) Sailboat steering system and method for steering a sailboat
US8015935B2 (en) Watercraft control apparatus
CN210191790U (zh) 操舵装置及船艇
CN110155293B (zh) 船用推进器电动转向系统、船用推进器及船艇
US20170106961A1 (en) Marine electric power assist steering rack and pinion
US10479469B2 (en) Steering system for an outboard motor
KR20160056637A (ko) 스마트 선외기
CN112407223A (zh) 海洋电力转向自动驾驶系统
CN218817292U (zh) 一种用于大通径液压操作阀的远程控制驱动器
KR20210008760A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선박의 항해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5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3800;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01218

Effective date: 2022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