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144B1 -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144B1
KR101511144B1 KR20140004031A KR20140004031A KR101511144B1 KR 101511144 B1 KR101511144 B1 KR 101511144B1 KR 20140004031 A KR20140004031 A KR 20140004031A KR 20140004031 A KR20140004031 A KR 20140004031A KR 101511144 B1 KR101511144 B1 KR 101511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t
frame
groove
operat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4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종만
Original Assignee
(주)자연환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자연환기시스템 filed Critical (주)자연환기시스템
Priority to KR20140004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1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5Cyclic ventilation, e.g. alternating air supply volume or reversing flow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을 열지 않고도 환기를 시킬 수 있으며, 유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창호용 자연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통풍구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통풍구를 개폐하는 플랩과,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일단에 마련된 엔드캡을 포함한다. 상기 엔드캡은, 전방으로 개방된 작동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의 바닥이 볼록하며 상기 작동공간과 연결된 제1슬롯이 측면에 형성된 몸체와, 상기 작동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공간의 바닥에 밀착되도록 하면이 오목하며 하면 일측에 작동홈이 형성된 가이드 블록과, 상기 작동공간을 덮도록 상기 몸체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작동공간 측 일면에 안내홈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몸체와 상기 커버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작동홈과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슬롯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조작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측면에 슬라이드가 결합되고, 상기 몸체와 상기 슬라이드 사이에 회전판이 개재된다. 상기 슬라이드에는 상부로 볼록한 원호 형상의 제2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제2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안내공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창호용 자연환기장치{NATURAL VENTILATION APPARATUS FOR WINDOW}
본 발명은 창호용 자연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창문을 열지 않고도 환기를 시킬 수 있으며, 유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창호용 자연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내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부유세균 등은 호흡기 질환과 각종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고, 건축자재에서 배출되는 포름알데히드, 휘발성유기화합물 등은 두통, 기침, 가려움증 등의 질병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오염된 공기를 배출하고 신선한 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창문을 열어 실내공기를 환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의 창문은 건물의 지붕 또는 벽면에 미닫이 또는 여닫이 구조로 설치된다. 상술한 미닫이 또는 여닫이 구조의 창문은 짧은 시간에 환기를 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나, 개방된 창문을 통해 매연, 스모그, 황사, 꽃가루 등이 여과 없이 유입되어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는 단점 또한 갖는다. 특히, 냉방 또는 난방을 실시하는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창문을 열어 환기시킬 경우 더운 공기 또는 찬 공기가 유입되어 실내온도를 변화시키기 때문에 그에 따른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연 통풍이 가능한 장치가 제안되고 있으며,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081397호(2010.07.15.)에 게재되어 있다.
창호용 통풍 환기장치는, 창틀과 창유리 사이에 설치되며 내측프레임(20)과 외측프레임(22)으로 이루어진 통풍 개폐구조체(10)와, 통풍 개폐구조체(10)의 공기통로(3)를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개폐플랩(4)과, 통풍 개폐구조체(10)의 양측을 마감하기 위하여 조립되는 엔드캡(14)과, 엔드캡(14)에 개폐플랩(4)을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된 레버(12)를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창호용 통풍 환기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첫째, 레버(12)의 조작시 개폐플랩(4)을 회전시키는 회전조작핀(88)은 엔드캡(14)의 측면에 형성된 홈을 따라 일정 구간에서만 왕복운동을 한다. 이러한 구조의 회전조작핀(88)은 개폐플랩(4)을 개방 또는 폐쇄 위치에서만 고정하므로, 사용자가 공기통로(3)의 개방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없다.
둘째, 회전조작핀(88)을 회전시키는 레버(12)가 엔드캡(14)의 전면을 통해 실내 측으로 돌출되는 구조이므로 그릴커버(16)를 이용하여 창호용 통풍 환기장치를 덮을 수 없다. 즉, 그릴커버(16)는 실내 측으로 노출된 통풍구(18)을 덮기 위해 내측프레임(20)에 부착되는데, 그릴커버(16)가 엔드캡(14)까지 연장될 경우 돌출된 레버(12)로 인하여 간섭이 발생한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081397호(2010.07.15.)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통풍구의 개방량을 조절하여 유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할 수 있는 창호용 자연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레버를 하향으로 돌출시켜 마감패널과의 간섭을 방지함으로써 마감패널을 이용하여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호용 자연환기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자연환기장치는, 통풍구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통풍구를 개폐하는 플랩과,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일단에 마련된 엔드캡을 포함한다.
상기 엔드캡은, 전방으로 개방된 작동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의 바닥이 볼록하며 상기 작동공간과 연결된 제1슬롯이 측면에 형성된 몸체와, 상기 작동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공간의 바닥에 밀착되도록 하면이 오목하며 하면 일측에 작동홈이 형성된 가이드 블록과, 상기 작동공간을 덮도록 상기 몸체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작동공간 측 일면에 안내홈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몸체와 상기 커버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작동홈과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슬롯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조작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측면에 슬라이드가 결합되고, 상기 몸체와 상기 슬라이드 사이에 회전판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에는 상부로 볼록한 원호 형상의 제2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제2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안내공이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조작핀이 상기 제1슬롯, 상기 안내공, 상기 제2슬롯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2슬롯을 따라 이동한다. 즉, 상기 조작레버의 상승 또는 하강시 상기 조작핀이 상기 제2슬롯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플랩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통풍구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상기 조작레버는, 상기 작동홈과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며 변형되는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편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내홈의 내벽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편의 측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은 상기 안내홈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조작레버가 특정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편은,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재질의 판재와, 상기 판재의 일면에 형성된 다수의 접촉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판재와 상기 접촉편이 상기 작동홈의 내벽에 밀착되어 안내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는 마감패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마감패널은 상기 엔드캡을 덮을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다른 한편, 상기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상기 통풍구가 마련되며, 상기 플랩이 상기 상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조작레버의 상승 또는 하강시킬 경우 조작핀이 작동홈과 제2슬롯을 따라 이동하며 플랩을 회전시키고, 이에 프레임의 통풍구가 개방 또는 폐쇄된다. 이때, 커버의 안내홈과 조작레버의 이동편에 고정홈과 고정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고정홈이 안내홈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므로 조작레버가 특정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통풍구의 개방량을 조절하여 유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조작레버가 몸체와 커버 사이에 개재되어 이동(상승 또는 하강)하는 구조이므로, 조작레버와 마감패널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마감패널을 이용하여 엔드캡을 덮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창호용 자연환기장치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자연환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자연환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중 엔드캡의 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의 A-A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자연환기장치의 작동상태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자연환기장치(1)는, 통풍구(210)가 형성된 프레임(200)과, 통풍구(210)를 개폐하는 플랩(300)과, 프레임(200)의 양단에 각각 마련된 엔드캡(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200)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상부 프레임(220)과, 상부 프레임(220)의 하부에 위치되고 평행하게 배치된 하부 프레임(230)을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220)과 하부 프레임(230)은 상하로 소정거리 이격되고, 그 사이에 통풍구(210)가 마련된다. 상부 프레임(220)의 하면에는 장착홈(222)이 형성되고, 장착홈(222)에는 플랩(30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부 프레임(230)의 상면에는 통풍구(210)의 폐쇄시 플랩(300)이 접촉되는 플레이트(232)가 마련된다.
플랩(300)은 상부 프레임(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통풍구(210)를 개방 또는 폐쇄하거나 통풍구(210)의 개방량을 조절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플랩(300)은 통풍구(210)를 통해 출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도록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진 판재로 제작된다. 이때, 플랩(300)의 일단, 즉 후술할 구동측 엔드캡(100)에 마련된 조작핀(146)이 삽입되는 조작홈(310)이 형성된다(도 3 참조).
한편, 프레임(200)의 전면에는 마감패널(400)이 설치된다. 마감패널(400)은 통풍구(210)를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며, 통풍구(210)를 통해 공기가 출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출입공(410)을 포함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마감패널(400)은 프레임(200)과 엔드캡(100)을 모두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는데, 이는 마감패널(400)을 이용하여 창호용 자연환기장치(1)의 전면을 가림으로써 창호의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엔드캡(100)은, 프레임(200)의 좌측단에 설치되고 플랩(300)을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레버(130)가 마련된 구동측 엔드캡(100a)과, 프레임(200)의 우측단에 설치되며 조작레버(130)가 마련되지 않은 종동측 엔드캡(100b)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구동측 엔드캡(100a)을 기준으로 엔드캡(1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엔드캡(100)은, 프레임(200)에 결합되는 몸체(110)와, 몸체(110)의 작동공간(111)에 설치된 가이드 블록(120)과, 몸체(110)의 전면에 결합된 커버(130)과, 몸체(110)와 커버(130) 사이에 개재된 조작레버(140)로 구성된다.
몸체(110)는 전반적으로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이고, 프레임(도 3의 200)과 접촉되는 측면이 프레임(200)의 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몸체(110)의 내부에는 소정의 작동공간(111)이 형성되고, 작동공간(111)은 몸체(110)의 전방으로 개방된다. 작동공간(111)의 바닥(112)은 평면이 아닌 상부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가이드 블록(12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그리고 후술할 작동홈(124)이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몸체(110)의 측면에는 슬라이드 홈(113)이 형성되고, 슬라이드 홈(113)의 바닥에는 작동공간(111)과 연결된 제1슬롯(114)이 형성된다. 슬라이드 홈(113)에는 슬라이드(115)가 삽입되고, 몸체(110)와 슬라이드(115) 사이에는 회전판(116)이 개재된다. 슬라이드(115)는 두께가 얇은 직사각형 패널이며, 회전판(116)이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홈(117)이 형성되고, 원형홈(117)의 바닥에는 상부로 볼록한 원호 형상의 제2슬롯(118)이 형성된다. 회전판(116)은 두께가 얇은 원형 패널이며, 원형홈(117)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제2슬롯(118)과 대응되는 위치에 안내공(119)이 형성된다.
한편, 몸체(100)의 측면 둘레에는 장착돌기(110a), 밀봉돌기(110b), 체결공(110c)이 형성된다. 장착돌기(110a)는 프레임(200)과의 결합시 항상 일정한 위치에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결정수단이고, 밀봉돌기(110b)는 엔드캡(100)과 프레임(200) 사이로 빗물,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수단이다. 또한, 체결공(110c)는 엔드캡(100)을 프레임(200)에 고정하는 고정나사(미도시)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가이드 블록(120)은 작동공간(111)에 삽입 가능한 블록의 형태이다. 가이드 블록(120)의 하면(122)은 작동공간(111)의 바닥(112)에 밀착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며, 하면(122)의 일측에는 작동홈(124)이 형성된다. 작동홈(124)은 작동공간(111)의 바닥(112)과 함께 후술할 탄성편(144)의 이동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커버(130)는 상하로 연장된 직사각형의 패널 형상이다. 커버(130)는 몸체(110)의 전면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개방된 작동공간(111)을 폐쇄한다. 또한, 커버(130)의 후면에는 안내홈(132)이 형성되고, 안내홈(132)의 내벽에는 고정홈(134)이 형성된다. 이때, 고정홈(134)은 조작레버(140)를 특정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안내홈(132)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다수개로 이루어진다.
조작레버(140)는 플랩(300)을 회전시켜 통풍구(210)를 개방 또는 폐쇄하거나 개방량을 조절하는 수단이다. 조작레버(140)는 크게 이동편(142), 탄성편(144), 조작핀(146), 결합부(148)로 이루어진다.
이동편(142)은 안내홈(132)에 삽입 가능한 직사각형 패널이며, 그 측면에는 커버(130)의 고정홈(134)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43)가 형성된다.
탄성편(144)는 이동편(142)의 상부에서 연장되며 이동편(142)에 비해 폭이 좁은, 즉 가이드 블록(120)의 작동홈(124)에 삽입 가능한 폭을 가진 직사각형 패널이다. 이러한 탄성편(144)은 원호 형상의 작동홈(12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변형이 가능한 재질 및 형상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도시된 것처럼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재질의 판재(144a)와, 판재(144a)의 일면에 형성된 접촉편(144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접촉편(144b)은 판재(144a)를 작동홈(122)의 내벽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그리고 판재(144a)가 원활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판재(144a)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다수개로 이루어진다.
조작핀(146)은 탄성편(144)의 상단에 형성되고, 제1슬롯(114), 안내공(119), 제2슬롯(118)을 차례로 관통하여 몸체(110)의 외부로 돌출되며, 플랩(300)의 조작홈(310)에 삽입된다. 이때, 조작핀(146)의 이동방향은 회전판(116)의 안내공(119)과 슬라이드(115)의 제2슬롯(118)에 의해 안내된다. 결국, 조작핀(146)은 원호 형상인 제2슬롯(118)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결합부(148)는 이동편(142)의 하부에서 돌출되며, 소정의 길이를 가진 연장부(150)가 결합된다. 연장부(150)는 조작레버(140)의 길이를 연장함으로써 신장이 작은 사용자도 편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연장부(15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조작레버(140)의 이동편(142)은 커버(130)의 안내홈(1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안내홈(132)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되, 고정돌기(143)가 고정홈(134)에 삽입될 경우 해당 위치에서 고정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홈(134)이 안내홈(132)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3개로 이루어지므로 이동편(142)이 상단, 중단, 하단에서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이동편(142)이 특정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이유는 조작레버(140)에 의해 작동되는 플랩(300)을 이용하여 통풍구(210)의 개방량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자연환기장치(1)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레버(140)를 아래로 당겨 하강시키면 탄성편(도 6의 144)이 작동홈(도 6의 122)을 따라 이동하며 안내홈(도 6의 132)에 삽입된다. 그와 동시에, 조작핀(146)이 탄성편(144)과 함께 제2슬롯(118)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며 플랩(30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플랩(300)의 하단이 하부 프레임(230)의 플레이트(232)에 접촉되어 통풍구(210)를 폐쇄한다. 이때, 조작레버(140)의 고정돌기(143)는 다수개의 고정홈(134) 중 최하부에 위치된 고정홈(134)에 삽입된다(도 5 참조).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조작레버(140)를 위로 밀어 상승시키면 탄성편(도 6의 144)이 작동홈(도 6의 122)을 따라 이동하며 작동홈(도 6의 122)에 삽입된다. 그와 동시에, 조작핀(146)이 탄성편(144)과 함께 제2슬롯(118)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며 플랩(30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플랩(300)의 하단이 하부 프레임(230)의 플레이트(232)에서 이격되어 통풍구(210)를 개방한다. 이때, 조작레버(140)의 고정돌기(143)는 다수개의 고정홈(134) 중 최상부에 위치된 고정홈(134)에 삽입된다(도 5 참조).
반면, 조작레버(140)를 조작하여 고정돌기(도 6의 143)가 다수개의 고정홈(도 6의 134) 중 중단에 위치된 고정홈(134)에 삽입되면, 조작핀(146)이 제2슬롯(118)의 중앙에 위치되고, 플랩(300) 또한 하부 프레임(230)의 플레이트(232)에서 약간 이격되어 통풍구(210)를 부분적으로 개방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100: 엔드캡
110: 몸체 120: 가이드 블록
130: 커버 140: 조작레버
150: 연장부 200: 프레임
210: 통풍구 220: 상부 프레임
230: 하부 프레임 300: 플랩
310: 조작홈 400: 마감패널
410: 출입공

Claims (10)

  1. 통풍구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통풍구를 개폐하는 플랩과,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일단에 마련된 엔드캡을 포함하는 창호용 자연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드캡은,
    전방으로 개방된 작동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의 바닥이 볼록하며, 상기 작동공간과 연결된 제1슬롯이 측면에 형성된 몸체;
    상기 작동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공간의 바닥에 밀착되도록 하면이 오목하며, 하면 일측에 작동홈이 형성된 가이드 블록;
    상기 작동공간을 덮도록 상기 몸체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작동공간 측 일면에 안내홈이 형성된 커버;
    상기 몸체와 상기 커버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작동홈과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레버; 및
    상기 조작레버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슬롯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조작핀을 포함하며,
    상기 조작레버의 상승 또는 하강시 상기 조작핀이 상기 플랩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통풍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면에 슬라이드가 결합되고, 상부로 볼록한 원호 형상의 제2슬롯이 상기 슬라이드에 형성되며,
    상기 조작핀이 상기 제1슬롯과 상기 제2슬롯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2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슬라이드 사이에 회전판이 개재되고, 상기 제2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안내공이 상기 회전판에 형성되며,
    상기 조작핀이 상기 제1슬롯, 상기 안내공, 상기 제2슬롯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2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는, 상기 작동홈과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며 변형되는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편의 타단에 상기 조작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의 내벽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편의 측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이 상기 안내홈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조작레버가 특정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재질의 판재와, 상기 판재의 일면에 형성된 다수의 접촉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판재와 상기 접촉편이 상기 작동홈의 내벽에 밀착되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동편의 일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면에는, 상기 프레임과의 결합을 위한 장착돌기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밀봉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는 마감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감패널은 상기 엔드캡을 덮을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상기 통풍구가 마련되며, 상기 플랩이 상기 상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20140004031A 2014-01-13 2014-01-13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101511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4031A KR101511144B1 (ko) 2014-01-13 2014-01-13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4031A KR101511144B1 (ko) 2014-01-13 2014-01-13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1144B1 true KR101511144B1 (ko) 2015-04-14

Family

ID=53034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4031A KR101511144B1 (ko) 2014-01-13 2014-01-13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11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1040B1 (ko) * 2016-01-13 2017-12-20 엄애화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CN110068123A (zh) * 2019-05-27 2019-07-30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卡扣组件及空调内机
CN111980161A (zh) * 2020-08-21 2020-11-24 王子亮 一种可调节透气屋顶与墙体的装配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8457A (ko) * 2010-12-17 2012-06-27 허종만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8457A (ko) * 2010-12-17 2012-06-27 허종만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1040B1 (ko) * 2016-01-13 2017-12-20 엄애화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CN110068123A (zh) * 2019-05-27 2019-07-30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卡扣组件及空调内机
CN111980161A (zh) * 2020-08-21 2020-11-24 王子亮 一种可调节透气屋顶与墙体的装配系统
CN111980161B (zh) * 2020-08-21 2022-03-29 王子亮 一种可调节透气屋顶与墙体的装配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8368Y1 (ko) 창틀고정용 환기장치
KR101511144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RU181244U1 (ru) Вентиляционный клапан приточной вентиляции
KR101249337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101511143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CN209742714U (zh) 一种百叶窗
KR101249338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101716286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200440195Y1 (ko) 창문용 통풍 개폐장치
KR101446523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20150132894A (ko) 창호용 환기장치
KR101713288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CN209944698U (zh) 用于风管机的回风组件和风管机
JP6422719B2 (ja) 換気装置付き建具
KR200481687Y1 (ko) 환기창용 셔터 개폐장치의 결로 방지 장치
KR100917264B1 (ko) 환기장치
CN209763442U (zh) 用于风管机的回风组件和风管机
CN217357089U (zh) 室内机及空调器
CN209763443U (zh) 用于风管机的回风组件和风管机
CN214791469U (zh) 一种空调器
CN110792378B (zh) 一种百叶通风装置
JP7377537B2 (ja) 窓装置
CN210832468U (zh) 出风框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KR101811040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101210422B1 (ko) 창호를 이용한 자연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