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985B1 -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 - Google Patents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985B1
KR101510985B1 KR20140006687A KR20140006687A KR101510985B1 KR 101510985 B1 KR101510985 B1 KR 101510985B1 KR 20140006687 A KR20140006687 A KR 20140006687A KR 20140006687 A KR20140006687 A KR 20140006687A KR 101510985 B1 KR101510985 B1 KR 101510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accelerator pedal
substrate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6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원
김상현
Original Assignee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006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9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6/021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with means for providing feel, e.g. by changing pedal force characteri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0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position, not involving coordinate deter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커넥터가 견고하게 일체형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제품을 소형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는 커넥터가 인서트 사출 또는 이중 사출 방식에 의하여 차단벽에 관통되도록 배치되므로, 커넥터와 연결부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커넥터가 연결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이에 따라 제품을 소형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가 회전 운동이 아닌, 직선 운동을 하게 되므로, 회전축과 같은 별도의 구성이 필요 없게 되어, 그 구조가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Accelerator pedal Position Sensor with Integral Connector}
본 발명은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커넥터가 견고하게 일체형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제품을 소형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및 통신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기존 차량의 기계적 연결을 센서, 전기모터, 필드버스(fieldbus) 등으로 대체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맞추어, 과거에 사용되던 기계식 스로틀 시스템이 전자식 스로틀 시스템으로 대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자식 스로틀 시스템(Electric Throttle System, ETS)은 차량의 가속을 전자식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도 1에 일반적인 전자식 스로틀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식 스로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전자식 스로틀 시스템은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Accelerator pedal Position Sensor,APS)(10)를 가속 페달(5)에 장착하여 가속 페달(5)의 가압상태와 위치정보를 ECU(Electric Control Unit)(20)에 전달하고, ECU(20)는 가속 페달(5)의 가압상태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엔진으로 유입될 공기의 양을 계산하고, 그 결과에 따른 스로틀 밸브의 개폐각을 ETC(Electric Throttle Controller)(30)에 전송하여, 운전자가 요구하는 가속으로 차량의 주행속도를 제어한다.
한편, 종래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10)는 측정된 가속 페달(5)의 변위 값을 ECU(20)와 같은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커넥터(미도시)를 구비한다. 이러한 커넥터는 가속페달의 이동에 의한 압력 및 차량 자체의 떨림에 의한 압력 등을 견디기 위하여 종래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하는데, 이는 별도의 고정부재를 필요로 하여, 전체 부피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086622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커넥터가 견고하게 일체형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제품을 소형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과 대향되는 위치에 차단벽이 구비되는 연결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되 그 일단부는 상기 차단벽 방향에 구비되는 기판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 타측에 상기 기판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딩부; 상기 연결부에 수용되되 그 일단부는 상기 차단벽을 관통하여 상기 기판부와 연결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연결부의 개방된 외측 방향에 위치되는 커넥터; 및 상기 기판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의 위치 변위에 따라 상기 기판부에서 서로 다른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신호생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인서트 사출 또는 이중 사출에 의하여 상기 차단벽에 관통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차단벽에 관통되도록 구비되어, 그 일측은 상기 하우징 방향에 위치되고 그 타측은 상기 연결부 방향에 위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상기 기판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기판부에 삽입되는 결합핀; 및 상기 결합핀의 단부에서 상기 연결부의 외측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기판부와 상기 슬라이딩부 사이에 격벽이 구비되되, 상기 몸체와 마주보는 상기 격벽의 단부는 상기 차단벽과 이격되어, 상기 격벽과 상기 차단벽 사이에는 이격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의 상기 몸체의 일측은 상기 이격공간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격벽의 단부에는 상기 커넥터의 상기 몸체의 일측에 삽입되도록 고정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기판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이동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외부의 가속 페달과 연결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신호 생성 수단은: 상기 기판에 장착되는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에 장착되는 커서를 포함하고, 상기 커서의 이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자기장 변화를 상기 코일부가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는 커넥터가 인서트 사출 또는 이중 사출에 의하여 차단벽에 관통되도록 배치되므로, 커넥터와 연결부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커넥터가 연결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이에 따라 제품을 소형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넥터는 별도로 형성된 후, 연결부의 관통홀에 인서트 사출 또는 이중 사출 방식으로 수용되므로, 커넥터가 연결부의 관통홀에 견고하게 결합되며, 이에 따라, 하우징 및 연결부의 외형이 커넥터에 지지되면서 견고하게 유지되어, 외부 환경 변화 또는 외부의 압력이 하우징 및 연결부에 가해진다 하더라도, 하우징 및 연결부의 외형이 수축되지 않고 그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넥터가 연결부에 인서트 사출 또는 이중 사출 방식으로 일체형으로 구성되므로, 연결부의 수용부로 유입되는 수분이 연결부의 관통홀을 통하여 하우징 방향으로 유입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하우징 내부가 수분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가 회전 운동이 아닌, 직선 운동을 하게 되므로, 회전축과 같은 별도의 구성이 필요 없게 되어, 그 구조가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식 스로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가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의 하우징에 구비된 슬라이딩부가 슬라이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의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의 연결부에 삽입되는 커넥터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의 연결부와 커넥터 간의 세부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가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는 하우징(100), 기판부(300), 제 1 커버부(200), 제 2 커버부(250) 및 신호생성수단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차량의 가속 페달(미도시) 부근에 장착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일측과 타측은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내부 일측에 기판부(300)가 수용되고, 하우징(100)의 내부 타측에 슬라이딩부(400)가 수용된다. 이때,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기판부(300)와 슬라이딩부(400) 사이에 격벽(110)이 구비되어, 하우징(100) 내부가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그 결과, 하우징(100) 내부 타측으로 유입된 수분이 하우징(100) 내부 일측 즉, 기판부(300) 방향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되며, 따라서 하우징(100) 내부 타측으로 수분이 유입된다 하더라도 기판부(300)가 안전하게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기판부(300)와 ECU(20: 도 1 도시) 등의 외부 장치 간의 연결을 위하여 연결부(102)가 일체로 구비되고, 연결부(102) 내부에는 커넥터(150: 도 5 도시)가 구비되는데, 이들은 하기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기판부(300)는 하우징(100)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하우징(100)의 격벽(110)과 대향되는 일면에 후술하는 커서(412)의 위치변화에 따른 자기장 변화를 비접촉 방식으로 감지하도록 코일부(310)를 구비한다. 상기 코일부(310)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기판부(300)가 하우징(100)의 내부 일측에 장착될 때, 터미널(180)의 일단부와 대향되는 기판부(300)의 단부에는 커넥터(150)의 결합핀(170)이 삽입되도록 삽입홀(302)이 형성되어, 기판부(300)와 결합핀(170)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기판부(300)는 그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의 관통홀(30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격벽(110)에는 기판부(300)의 관통홀(304)과 대향되는 위치에 돌출가이드(11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가이드(111)에 상기 기판부(300)의 관통홀(304)에 삽입되도록 돌출부(111a)가 형성되어, 기판부(300)가 하우징(100)의 내부 일측에 장착될 때, 기판부(300)의 관통홀(304)에 돌출부(111a)가 삽입되어, 기판부(300)의 좌우 및 전후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제 1 커버부(200)는 하우징(100)의 개방된 일측을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기판부(300)와 마주보는 제 1 커버부(200)의 내면에는 기판부(300) 방향으로 가압부(210)가 돌출 형성된다. 가압부(210)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기판부(300)를 하우징(100)의 격벽(110)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기판부(300)는 돌출부(111a)에 의하여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고, 가압부(210)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므로, 기판부(3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처럼 기판부(300)는 돌출부(111a) 및 가압부(210)에 의하여 하우징(100)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기판부(300)의 유동이 제한되어, 후술하는 신호생성수단이 슬라이딩부(400)의 위치 변화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의 하우징에 구비된 슬라이딩부가 슬라이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내부 타측에는 슬라이딩부(400)와 제 2 커버부(250)가 구비된다.
슬라이딩부(400)는 하우징(100)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어 기판부(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러한 슬라이딩부(400)는 하우징(100)의 내부 타측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부(410)와, 상기 이동부(410)에서 하우징(1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20)를 포함한다.
제 2 커버부(250)는 하우징(100)의 개방된 타측을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 2 커버부(250)에는 슬라이딩부(400)의 돌출부(420)가 관통되도록 이동안내홀(252)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안내홀(252)은 슬라이딩부(400)의 돌출부(42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차량에 구비되는 가속 페달 등이 슬라이딩부(400)의 돌출부(420)에 연결되며,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가압하게 되면, 가속 페달의 이동 변위만큼 슬라이딩부(400)의 돌출부(420)가 하우징(100) 내부에서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슬라이딩부(400)가 회전 운동이 아닌, 직선 운동을 하게 되므로, 회전축과 같은 별도의 구성이 필요 없게 되어, 그 구조가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슬라이딩부(400)가 이동되면 이를 신호생성수단에서 감지하여, 가속페달의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상기 신호생성수단은 슬라이딩부(400)의 위치 변위에 따라 기판부(300)에서 서로 다른 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코일부(310)와 커서(412)를 포함한다. 코일부(310)는 자기장 변화를 연속적으로 감지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기판부(300)에 장착되어 커서(412)의 자기장 변화를 감지한다. 커서(412)는 영구자석, 금속, 동판 등으로 구성되며 코일부(310)와 대향되도록 슬라이딩부(400)의 이동부(410)에 장착된다. 그리고 슬라이딩부(400)의 이동부(410)가 이동되면, 이동부(410)의 커서(412)의 이동에 의한 자기장 변화를 기판부(300)의 코일부(310)가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므로, 코일부(310)의 출력 값에 따라 슬라이딩부(4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신호생성수단은 비접촉 방식으로 슬라이딩부(4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단자의 접촉 불량이 발생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의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의 연결부에 삽입되는 커넥터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부(102)는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일단부를 따라 일체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100)과 대향되는 그 내측은 차단벽(102a)이 구비되고, 그 외측은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부(102)의 내부에는 수용부(103)가 구비된다.
커넥터(150)는 연결부(102)에 수용되는 것으로, 몸체(160), 결합핀(170) 및 터미널(180)을 포함한다. 몸체(16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차단벽(102a)에 관통 위치되어, 그 일측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그 타측은 상기 연결부(102)의 수용부(103) 방향에 위치된다. 그리고 몸체(160) 일측의 격벽(110)과 대향되는 단부에는 후술하는 격벽(110)의 고정돌부(110a)가 삽입되도록 고정요부(162)가 형성되고, 몸체(160) 일측의 기판부(300)와 대향되는 상부에는 기판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나 이상의 결합핀(170)이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160)의 타측에는 ECU(20: 도 1 도시)와 같은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나 이상의 터미널(180)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핀(170)과 상기 터미널(180)은 각각 별도로 분리되는 것이 아니고, 상호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커넥터(150)는 하우징(100)과 연결부(102) 사이에 배치되는 관통홀(102b)에 삽입되는데, 이때, 커넥터(150)는 미리 제조된 후, 인서트 사출 또는 이중 사출 방식으로 상기 관통홀(102b)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하기 도면을 통하여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의 연결부와 커넥터 간의 세부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연결부(102)는 하우징(100)과 대향되는 내측에 차단벽(102a)이 구비되고, 그 외측은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벽(102a)에는 커넥터(150)의 몸체(160)가 관통되도록 관통홀(102b)이 형성된다.
커넥터(150)는 차단벽(102a)의 관통홀(102b)에 관통 위치되는 몸체(160)를 포함하며, 몸체(160)의 일측 단부에는 고정요부(162)가 형성되고, 몸체(160)의 일측 상부에는 결합핀(170)이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160)의 타측에는 터미널(180)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핀(170)과 상기 터미널(180)은 상호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는 격벽(110)의 단부는 몸체(160)의 일측이 하우징(100) 방향에 위치되도록 차단벽(102a)의 반대 방향으로 이격된다. 그 결과, 격벽(110)의 단부와 차단벽(102a) 사이에는 이격공간부(115)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60)의 일측은 이격공간부(115)에 위치된다. 이때, 몸체(160)의 일측 단부에는 요홈 형상으로 고정요부(162)가 형성되고, 격벽(110)의 단부에는 몸체(160)의 고정요부(162)에 삽입되도록 고정돌부(110a)가 돌출 형성되어, 몸체(160)가 격벽(11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또한 이격공간부(115)의 상부는 개방되어 커넥터(150)의 몸체(160)가 차단벽(102a)의 관통홀(102b)에 관통 위치될 때, 하우징(100) 방향으로 위치되는 몸체(160)의 일측 상부 및 몸체의 일측 상부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결합핀(170)은 이격공간부(115)의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외부로 개방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에 구비되는 기판부(300)의 삽입홀(304)이 결합핀(170)에 관통되어, 결합핀(170)과 기판부(300)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커넥터(150)는 몸체(160)를 기준으로 하여 그 일측 상부에 결합핀(170)이 형성되고 그 타측에 터미널(180)이 형성되므로, 몸체(160)가 관통홀(102b)에 삽입되기가 어려운 구조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커넥터(150)를 먼저 형성한 후, 상기 커넥터(150)를 하우징(100)과 연결부(102)가 형성되는 금형에 위치시킨다. 그 다음, 상기 금형에 하우징(100)과 연결부(102)가 형성되도록 수지를 투입하는 인서트 사출 또는 이중 사출 방식을 이용하여, 커넥터(150)의 몸체(160)가 연결부(102)의 관통홀(102b)에 관통 배치되도록 하여, 커넥터(150)와 연결부(102)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연결부(102)의 관통홀(102b)에 배치된 커넥터(150)의 몸체(160)는 연결부(10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인서트 사출 또는 이중 사출 방식을 이용하여 커넥터(150)가 차단벽(102a)에 관통되도록 배치되므로, 커넥터(150)와 연결부(102)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커넥터(150)가 연결부(102)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이에 따라 제품을 소형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넥터(150)가 연결부(102)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므로, 연결부(102)의 수용부(103)로 유입되는 수분이 연결부(102)의 관통홀(102b)을 통하여 하우징(100) 방향으로 유입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하우징(100) 내부가 수분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넥터(150)는 별도로 구성된 후, 연결부(102)의 관통홀(102b)에 인서트 사출 또는 이중 사출 방식으로 수용되므로, 커넥터(150)가 연결부(102)의 관통홀(102b)에 견고하게 결합되며, 이에 따라, 하우징(100) 및 연결부(102)의 외형이 커넥터(150)에 지지되면서 견고하게 유지되어, 외부 환경 변화 또는 외부의 압력이 하우징(100) 및 연결부(102)에 가해진다 하더라도, 하우징(100) 및 연결부(102)의 외형이 수축되지 않고 그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하우징 102: 연결부
102a: 차단벽 102b: 관통홀
103: 수용부 110: 격벽
110a: 고정돌부 115: 이격공간부
150: 커넥터 160: 몸체
162: 고정요부 170: 결합핀
180: 터미널 200: 제 1 커버부
210: 가압부 250: 제 2 커버부
252: 이동안내홀 300: 기판부
302: 삽입홀 304: 결합홀
310: 코일부 400: 슬라이딩부
410: 이동부 412: 커서
420: 돌출부

Claims (7)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과 대향되는 위치에 차단벽이 구비되는 연결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되 그 일단부는 상기 차단벽 방향에 구비되는 기판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 타측에 상기 기판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딩부;
    상기 연결부에 수용되되 그 일단부는 상기 차단벽을 관통하여 상기 기판부와 연결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연결부의 개방된 외측 방향에 위치되는 커넥터; 및
    상기 기판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의 위치 변위에 따라 상기 기판부에서 서로 다른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신호생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인서트 사출 또는 이중 사출에 의하여 상기 차단벽에 관통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차단벽에 관통되도록 구비되어, 그 일측은 상기 하우징 방향에 위치되고 그 타측은 상기 연결부 방향에 위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상기 기판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기판부에 삽입되는 결합핀; 및
    상기 결합핀의 단부에서 상기 연결부의 외측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기판부와 상기 슬라이딩부 사이에 격벽이 구비되되, 상기 몸체와 마주보는 상기 격벽의 단부는 상기 차단벽과 이격되어, 상기 격벽과 상기 차단벽 사이에는 이격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의 상기 몸체의 일측은 상기 이격공간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단부에는 상기 커넥터의 상기 몸체의 일측에 삽입되도록 고정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기판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이동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외부의 가속 페달과 연결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생성 수단은:
    상기 기판에 장착되는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에 장착되는 커서를 포함하고,
    상기 커서의 이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자기장 변화를 상기 코일부가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
KR20140006687A 2014-01-20 2014-01-20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 KR101510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6687A KR101510985B1 (ko) 2014-01-20 2014-01-20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6687A KR101510985B1 (ko) 2014-01-20 2014-01-20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0985B1 true KR101510985B1 (ko) 2015-04-09

Family

ID=53034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6687A KR101510985B1 (ko) 2014-01-20 2014-01-20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09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8507A (ja) * 1996-07-29 1998-02-13 Nippon Soken Inc 位置検出装置及び位置検出方法
KR20100029696A (ko) * 2008-09-08 2010-03-17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회전 각도 센서 유닛
KR20140034069A (ko) * 2012-09-11 2014-03-19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전기 커넥터
KR20140133995A (ko) * 2013-05-13 2014-11-21 주식회사 만도 페달 스트로크 센서의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8507A (ja) * 1996-07-29 1998-02-13 Nippon Soken Inc 位置検出装置及び位置検出方法
KR20100029696A (ko) * 2008-09-08 2010-03-17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회전 각도 센서 유닛
KR20140034069A (ko) * 2012-09-11 2014-03-19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전기 커넥터
KR20140133995A (ko) * 2013-05-13 2014-11-21 주식회사 만도 페달 스트로크 센서의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76333B1 (en) Pedal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383279B2 (en) Installation structure for pedal stroke sensor
US8448615B2 (en) Electromagnetic camshaft-adjuster device
US9933281B2 (en)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CN100578157C (zh) 磁场传感器
US20110234208A1 (en) Configurable non-contact position sensor
JP5189063B2 (ja) 回転角検出装置及びスロットル制御装置
CN105322721A (zh) 具有可卡锁的电子接口的传动-驱动单元
US20170261352A1 (en) Sensor unit for determining a rotor position of an electric motor and electric motor, preferably for a clutch actuator of a clutch actuation system of a motor vehicle
CN102639967B (zh) 位置传感器
JP2005227095A (ja) 磁気変量センサ
US20110273854A1 (en) Magnetic Field Sensor
EP1413725A1 (en) ENGINE CONTROLLER, ECU (ELECTRONIC CONTROL UNIT), ECU CASE, AND TPS (THROTTLE POSITION SENSOR)
KR101510985B1 (ko)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
KR20130060498A (ko) 전자식 가변 터보차저 액추에이터
KR101545807B1 (ko)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
CN105322703A (zh) 可插入的电子模块的传动-驱动单元
US20190194983A1 (en) Motor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with assembly aid
EP2786098B1 (en) Sensor module with a displacement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in a common housing
CN113631800A (zh) 电磁致动器结构
KR102048736B1 (ko) 페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200256095A1 (en) Motor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having an antenna
CN101828015B (zh) 内燃机的电气调节装置
CN113494929A (zh) 行程传感器模块
US9267609B2 (en) Valve having a sensor to determine an angle of rotation of a valve fl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