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842B1 - 취수 차단이 가능한 집수장치 - Google Patents

취수 차단이 가능한 집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842B1
KR101510842B1 KR20140059838A KR20140059838A KR101510842B1 KR 101510842 B1 KR101510842 B1 KR 101510842B1 KR 20140059838 A KR20140059838 A KR 20140059838A KR 20140059838 A KR20140059838 A KR 20140059838A KR 101510842 B1 KR101510842 B1 KR 101510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intake
pipe
ho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59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웅권
Original Assignee
(주)한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140059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8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40Other devices for confining, e.g. trenches,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4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surface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valves, in the pipe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또는 하천 주변의 지중에 설치되는 집수정; 상기 집수정으로부터 하천의 하부로 연장되고 복수 개의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연장관; 상기 연장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관통홀부에 대향되는 복수 개의 취수홀부가 형성되는 유공관; 상기 취수홀부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홀부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거르는 이물질제거부; 상기 유공관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홀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부; 및 상기 유공관을 회전시켜 상기 취수홀부 또는 상기 밀폐부를 상기 관통홀부에 대향되게 위치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취수 차단이 가능한 집수장치 {WATER INTAKE APPARATUS WITH BLOCKING FUNCTION FOR WATER INTAKE}
본 발명은 취수 차단이 가능한 집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집수정의 상부에서 이루어지는 조작에 의해 지중에 매설되는 유공관을 회전시키면서 취수를 차단할 수 있는 취수 차단이 가능한 집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하상(河床)은 모래, 자갈 등이 퇴적된 구조로 되어 있어서 투수성이 좋음은 물론, 오염물(예컨대, 슬라임(slime), 스케일(scale), 슬러지(sludge) 등)을 흡착하여 걸려내는 능력이 우수하며 하상의 미생물에 의한 오염물 분해 능력이 우수하여, 자연적, 친환경적으로 수질을 개선, 즉 여과시키는 기능이 월등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하상의 여과기능을 이용하여, 하상을 통과하면서 수질 개선된, 즉 여과된 하천수를 집수하여 간접취수원로 이용하거나 하천에 재투입하여 하천수질개선 및 하천유지용수(건천화방지)로 사용하는 공법을 하상여과공법이라다.
이러한 하상여과공법을 이용한 집수시스템은 집수정과 유공관을 구비하여, 하천 바닥의 모래, 자갈 등이 퇴적된 대수층에서 여과된 물을 유공관을 이용하여 집수정으로 흘러 보냄으로써 집수하게 된다.
하천의 바닥을 개착하여 집수공이 천공된 유공관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그 끝단을 하상의 측면에 유공관의 깊이보다 깊게 설치되어 있는 집수정에 연결하며, 유공관 상측으로는 자갈로서 휠터층(Filter gravel)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하천바닥을 흐르는 물이나 지하수가 자갈휠터층을 통하여 유공관 내부로 모여서 집수정을 통하여 물을 뽑아 올려 사용하는데, 이러한 집수시스템은 하상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특성 및 지하수의 유입 특성을 이용하여 하천의 수질을 개선하거나 하천 유지용수 및 간접취수 확보를 위하여 이용된다.
종래의 유공관에 설치된 스크린은 유공관의 주연부에 유공관을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스크린에는 하천수가 필터링된 후에 유공관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다수의 슬릿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슬릿은 스크린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갖도록 이격 형성되며, 스크린(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스크린의 일단에서부터 타단까지 'ㅡ'자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공관과 스크린 사이에는 스크린을 지지하게 위한 별도의 지지대가 설치되는데, 지지대는 고리 형상의 부재로서 그 내면은 유공관의 외면과 접촉되고 그 외면은 스크린의 내면과 접촉되어 스크린이 유공관의 외면에 일정 거리 이격되게 권취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4658호(2014년 1월 27일 공고, 발명의 명칭 : 집수용 유공관의 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집수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집수 시스템은, 집수작업을 차단하는 별도의 기능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집수정 내부 또는 유공관의 파손여부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고, 집수정 또는 유공관의 보수작업을 행할 때에 하천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에 의해 작업이 용이치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집수정의 상부에서 이루어지는 조작에 의해 지중에 매설되는 유공관을 회전시키면서 취수를 차단할 수 있는 취수 차단이 가능한 집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천 또는 하천 주변의 지중에 설치되는 집수정; 상기 집수정으로부터 하천의 하부로 연장되고 복수 개의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연장관; 상기 연장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관통홀부에 대향되는 복수 개의 취수홀부가 형성되는 유공관; 상기 취수홀부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홀부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거르는 이물질제거부; 상기 유공관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홀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부; 및 상기 유공관을 회전시켜 상기 취수홀부 또는 상기 밀폐부를 상기 관통홀부에 대향되게 위치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상기 취수홀부에 설치되는 취수브래킷; 및 상기 취수브래킷에 설치되고 상기 취수브래킷을 통과하는 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거르는 스크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작부는, 상기 유공관의 단부에 설치되는 핸들; 상기 핸들에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집수정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압대의 조작이 완료된 후에 상기 가압대의 위치를 고정시켜 상기 유공관의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압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 상기 집수정에 설치되고 상기 유공관이 개방된 상태인 경우에 상기 손잡이부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고정돌기; 및 상기 집수정에 설치되고 상기 유공관이 폐쇄된 상태인 경우에 상기 손잡이부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밀폐부는, 상기 관통홀부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홀부를 밀폐시키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취수홀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유공관에 설치되는 지지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취수 차단이 가능한 집수장치는, 집수정 외부에 위치하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유공관을 회전시키면서 취수 차단을 행할 수 있으므로 취수 차단 후에 집수정으로부터 물을 배수시키면 집수정 및 유공관 내부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CCTV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 집수장치의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취수 차단이 가능한 집수장치는, 집수정 및 유공관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 후에 작업자가 집수정 내부로 들어가 집수정 또는 유공관의 보수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집수장치의 관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수 차단이 가능한 집수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수 차단이 가능한 집수장치의 유공관이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수 차단이 가능한 집수장치의 유공관 및 연장관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수 차단이 가능한 집수장치의 고정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수 차단이 가능한 집수장치의 유공관 및 연장관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수 차단이 가능한 집수장치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취수 차단이 가능한 집수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수 차단이 가능한 집수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수 차단이 가능한 집수장치의 유공관이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수 차단이 가능한 집수장치의 유공관 및 연장관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수 차단이 가능한 집수장치의 고정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수 차단이 가능한 집수장치의 유공관 및 연장관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수 차단이 가능한 집수장치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수 차단이 가능한 집수장치는, 하천 또는 하천 주변의 지중에 설치되는 집수정(10)과, 집수정(10)으로부터 하천의 하부로 연장되고 복수 개의 관통홀부(14)가 형성되는 연장관(12)과, 연장관(1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관통홀부(14)에 대향되는 복수 개의 취수홀부(32)가 형성되는 유공관(30)과, 취수홀부(32)에 설치되고 관통홀부(14)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거르는 이물질제거부(50)와, 유공관(30)에 설치되고 관통홀부(14)를 밀폐시키는 밀폐부(80)와, 유공관(30)을 회전시켜 취수홀부(32) 또는 밀폐부(80)를 관통홀부(14)에 대향되게 위치시키는 조작부(70)를 포함한다.
하천의 주변에 수직방향을 지중으로 집수정(10)이 설치되고, 본 실시에는 한 쌍의 집수정(10)이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며, 한 쌍의 집수정(10) 사이에 복수 개의 연장관(12)이 설치되어 한 쌍의 집수정(10)이 연결되어 통하도록 한다.
하천의 하부의 유입되는 물은 연장관(12)의 관통홀부(14)를 통해 연장관(12) 내부로 유입되고, 집수정(10) 측으로 흘러 집수정(10) 내부로부터 물을 취수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하나의 집수정(10)에 연장관(12)이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연장관(12) 내부에는 취수홀부(32)가 형성되는 유공관(3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취수홀부(32)는 관통홀부(14)와 대향되게 배치되므로 하천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은 관통홀부(14) 및 취수홀부(32)를 통해 유공관(30) 내부로 유입되어 집수정(10)으로 모아지게 된다.
이때, 취수홀부(32)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이물질제거부(50)를 통과하게 되므로 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은 걸러지게 되므로 이물질의 누적에 의해 유공관(3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물질제거부(50)는, 취수홀부(32)에 설치되는 취수브래킷(52)과, 취수브래킷(52)에 설치되고 취수브래킷(52)을 통과하는 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거르는 스크린부재(54)를 포함한다.
취수브래킷(52)은 취수홀부(32)에 압입되거나 결합될 수 있는 홀부 모양으로 형성되고, 취수브래킷(52)의 홀부에는 스크린부재(54)가 설치되어 취수브래킷(52)을 통과하는 이물질이 스크린부재(54)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조작부(70)는, 유공관(30)의 단부에 설치되는 핸들(72)과, 핸들(72)에 설치되는 회전축(74)과, 회전축(7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집수정(10)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압대(76)를 포함한다.
유공관(30)의 단부에는 링 모양의 핸들(72)이 설치되고, 핸들(72)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축(74)에 가압대(76)의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가압대(76)는 집수정(10)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고, 다수 개의 고정브래킷(78)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집수정(10) 내벽에 설치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가압대(76)가 집수정(10) 내측 또는 외측으로 슬라이딩되면 회전축(74)이 집수정(10) 내측 또는 외측으로 당겨지면서 핸들(72)이 회전되므로 유공관(30)이 연장관(12) 내부에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취수홀부(32)와 관통홀부(14)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면 관통홀부(14) 및 취수홀부(32)를 통해 물이 유공관(30) 내부로 유입되어 집수정(10)에 모이게 된다.
반대로, 가압대(76)의 작동에 의해 유공관(30)이 회전되어 취수홀부(32)가 관통홀부(14)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면 밀폐부(80)가 관통홀부(14)를 막아 관통홀부(14)를 통한 물의 유입이 차단되어 취수 차단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취수 차단이 이루어지고, 집수정(10)으로부터 물이 배출되면 집수정(10), 유공관(30) 및 연장관(12) 내부에 물이 배수되면서 작업자가 집수정(10) 및 유공관(30) 내벽을 육안으로 관찰하거나 집수정(10) 내부에 설치되는 CCTV에 의해 집수정(10) 또는 유공관(30) 내벽을 관찰하면서 보수작업의 필요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가압대(76)의 조작이 완료된 후에 가압대(76)의 위치를 고정시켜 유공관(30)의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부(90)를 더 포함하고, 고정부(90)는, 가압대(7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94)와, 집수정(10)에 설치되고 유공관(30)이 개방된 상태인 경우에 손잡이부(94)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고정돌기(96)와, 집수정(10)에 설치되고 유공관(30)이 폐쇄된 상태인 경우에 손잡이부(94)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고정돌기(98)를 포함한다.
가압대(76)의 상단부에 손잡이부(94)가 힌지부(9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집수정(10)의 내벽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속되게 제1고정돌기(96)와 제2고정돌기(98)가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손잡이부(94)를 잡고 다기거나 밀면서 유공관(30)을 회전시켜 관통홀부(14)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고, 제1고정돌기(96) 또는 제2고정돌기(98)에 손잡이부(94)를 결합시켜 가압대(76)의 수직방향 이동을 구속하게 된다.
가압대(76)의 수직방향 이동이 구속되면 유공관(30)의 회전도 구속되므로 관통홀부(14)의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가 유지되므로 작업자의 의도와 다르게 관통홀부(14)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공관(30)의 외벽에는 걸림돌기(34)가 형성되고, 연장관(12)의 내벽에는 걸림돌기(34)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홈부(16)가 형성되므로 유공관(30)을 연장관(12) 내부에 삽입하면 걸림돌기(34)가 가이드홈부(16)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가이드홈부(16)의 넓이는 걸림돌기(34)의 두께와 비교하여 넓게 형성되므로 걸림돌기(34)는 가이드홈부(16) 내부에서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걸림돌기(34)가 가이드홈부(16)의 일단부에 배치되면 취수홀부(32)와 관통홀부(14)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걸림돌기(34)가 가이드홈부(16)의 타단부에 배치되면 밀폐부(80)와 관통홀부(14)가 대향되게 배치되어 관통홀부(14)의 폐쇄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의 밀폐부(80)는, 관통홀부(14)에 삽입되어 관통홀부(14)를 밀폐시키는 탄성부재(82)와, 탄성부재(82)를 지지하고 취수홀부(32)와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유공관(30)에 설치되는 지지패널(84)을 포함한다.
지지패널(84)은 유공관(30)의 외벽에 형성되는 안착홈부(88)에 삽입되어 지지패널(84)은 유공관(30)의 외벽으로 돌출되기 않게 결합되고, 안착홈부(88) 중앙부에는 지지패널(84)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축(84a)이 결합되는 결합홀부(86)가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패널(84)의 상면에 탄성부재(82)를 접착시킨 후에 지지패널(84)을 회전시키면서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축(84a)을 결합홀부(86)에 체결하면 탄성부재(82)가 유공관(30)의 외벽에 돌출되게 결합된다.
탄성부재(82)는 유공관(30)의 외벽으로 돌출되게 곡면을 이루는 모양으로 형성되고,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탄성부재(82)가 관통홀부(14)에 대향되게 배치되면, 관통홀부(14)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돌출되면서 관통홀부(14)를 폐쇄하게 된다.
또한, 유공관(30)이 회전되어 관통홀부(14)와 탄성부재(82)가 이격될 때에는 탄성부재(82)가 압축되면서 연장관(12)과 유공관(30)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되므로 탄성부재(82)가 관통홀부(14)와 이격되면서 관통홀부(14)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수 차단이 가능한 집수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가 가압대(76)를 조작하여 유공관(30)을 회전시키고 손잡이부(94)를 제1고정돌기(96)에 삽입하면, 취수홀부(32)와 관통홀부(14)가 대향되게 배치되면서 하천으로부터 하부로 스며드는 물은 관통홀부(14) 및 취수홀부(32)를 통해 유공관(30) 내부로 유입되고, 집수정(10)으로 모이게 된다.
따라서 집수정(10)을 통해 취수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되고, 취수홀부(32)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은 스크린부재(54)에 의해 걸러지므로 유공관(30) 및 집수정(10)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집수정(10) 또는 유공관(30) 내부에 보수작업의 진행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점검이 개시되면 작업자는 제1고정돌기(96)로부터 손잡이부(94)를 분리시켜 손잡이부(94)를 잡고 가압대(76)를 밀거나 당기면서 유공관(30)을 회전시킨다.
이때, 유공관(30)이 회전되면서 취수홀부(32)와 관통홀부(14)가 이격되면 탄성부재(82)가 관통홀부(14)에 대향되게 배치되면서 탄성부재(82)가 관통홀부(14)에 삽입되어 관통홀부(14)를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관통홀부(14) 및 취수홀부(32)를 통해 유입되던 물이 차단되어 취수 차단이 이루어지게 되고, 작업자가 집수정(10)으로부터 물을 배수시키면 집수정(10) 또는 유공관(30) 내벽을 작업자가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집수정(10) 및 유공관(30)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 후에 점검작업 또는 보수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집수정의 상부에서 이루어지는 조작에 의해 지중에 매설되는 유공관을 회전시키면서 취수를 차단할 수 있는 취수 차단이 가능한 집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취수 차단이 가능한 집수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취수 차단이 가능한 집수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집수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집수정 12 : 연장관
14 : 관통홀부 16 : 가이드홈부
30 : 유공관 32 : 취수홀부
34 : 걸림돌기 50 : 이물질제거부
52 : 취수브래킷 54 : 스크린부재
70 : 조작부 72 : 핸들
74 : 회전축 76 : 가압대
78 : 고정브래킷 80 : 밀폐부
82 : 탄성부재 84 : 지지패널
84a : 고정축 86 : 결합홀부
88 : 안착홈부 90 : 고정부
92 : 힌지부 94 : 손잡이부
96 : 제1고정돌기 98 : 제2고정돌기

Claims (5)

  1. 하천 또는 하천 주변의 지중에 설치되는 집수정;
    상기 집수정으로부터 하천의 하부로 연장되고 복수 개의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연장관;
    상기 연장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관통홀부에 대향되는 복수 개의 취수홀부가 형성되는 유공관;
    상기 취수홀부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홀부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거르는 이물질제거부;
    상기 유공관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홀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부; 및
    상기 유공관을 회전시켜 상기 취수홀부 또는 상기 밀폐부를 상기 관통홀부에 대향되게 위치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유공관의 단부에 설치되는 핸들;
    상기 핸들에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집수정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압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대의 조작이 완료된 후에 상기 가압대의 위치를 고정시켜 상기 유공관의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압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
    상기 집수정에 설치되고 상기 유공관이 개방된 상태인 경우에 상기 손잡이부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고정돌기; 및
    상기 집수정에 설치되고 상기 유공관이 폐쇄된 상태인 경우에 상기 손잡이부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대의 상단부에 상기 손잡이부가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집수정의 내벽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속되게 상기 제1고정돌기와 상기 제2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유공관의 외벽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관의 내벽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부의 넓이는 상기 걸림돌기의 두께와 비교하여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 차단이 가능한 집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상기 취수홀부에 설치되는 취수브래킷; 및
    상기 취수브래킷에 설치되고 상기 취수브래킷을 통과하는 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거르는 스크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 차단이 가능한 집수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상기 관통홀부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홀부를 밀폐시키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취수홀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유공관에 설치되는 지지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 차단이 가능한 집수장치.
KR20140059838A 2014-05-19 2014-05-19 취수 차단이 가능한 집수장치 KR101510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9838A KR101510842B1 (ko) 2014-05-19 2014-05-19 취수 차단이 가능한 집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9838A KR101510842B1 (ko) 2014-05-19 2014-05-19 취수 차단이 가능한 집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0842B1 true KR101510842B1 (ko) 2015-04-09

Family

ID=53034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59838A KR101510842B1 (ko) 2014-05-19 2014-05-19 취수 차단이 가능한 집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08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01041A (zh) * 2015-10-21 2015-12-30 西安长庆科技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季节性浅滩河流河漫滩式取水构筑物及取水工艺
KR102165395B1 (ko) * 2020-06-02 2020-10-14 해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오존 고도산화처리(aop)를 이용한 지하 유출수 및 우수 재활용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6756A (ja) * 2001-08-10 2003-02-26 Japan Drilling Co Ltd 多孔管およびその敷設方法
JP2009056407A (ja) * 2007-08-31 2009-03-1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ストレーナ装置
KR101256029B1 (ko) * 2012-09-07 2013-04-18 류제철 여과 집수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6756A (ja) * 2001-08-10 2003-02-26 Japan Drilling Co Ltd 多孔管およびその敷設方法
JP2009056407A (ja) * 2007-08-31 2009-03-1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ストレーナ装置
KR101256029B1 (ko) * 2012-09-07 2013-04-18 류제철 여과 집수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01041A (zh) * 2015-10-21 2015-12-30 西安长庆科技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季节性浅滩河流河漫滩式取水构筑物及取水工艺
CN105201041B (zh) * 2015-10-21 2017-09-15 西安长庆科技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季节性浅滩河流河漫滩式取水构筑物及取水工艺
KR102165395B1 (ko) * 2020-06-02 2020-10-14 해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오존 고도산화처리(aop)를 이용한 지하 유출수 및 우수 재활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1632B2 (en) Surface water filtration device
US20210156133A1 (en) Partitioned separator water treatment system with upflow filter
US6045691A (en) Sewer eco-collar for opening with covers
US20050199537A1 (en) Storm drain filtration system
US20130056399A1 (en) Storm water filtration Device
KR101688845B1 (ko) 침투 여과통 부착을 통한 투수성능 및 투수지속성 증대로 초기우수처리 및 지하수 함양효과를 극대화시킨 침투형 빗물받이
KR20120081116A (ko) 우수 여과 장치, 시스템 및 방법
JP3148921U (ja) 雨水濾過器
KR101473631B1 (ko) 여과식 비점오염 정화 장치
KR100597203B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우수받이 시스템
KR101510842B1 (ko) 취수 차단이 가능한 집수장치
KR101270468B1 (ko) 집수여과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KR20150095472A (ko) 여재를 포함한 회전식 카트리지 빗물받이
KR100726157B1 (ko) 매립시설 침출수 정화장치 및 방법
KR20160116250A (ko)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2131749B1 (ko)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690674B1 (ko) 우수 비점오염물 여과장치
KR101940779B1 (ko) 다기능 스크린모듈이 적용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124604B1 (ko) 교량용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1936331B1 (ko) 와류형 우수처리장치
JP3208560U (ja) ダストトラップ
US20130043171A1 (en) Storm water pollution full capturing system
KR101652669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KR20190105307A (ko) 우수의 처리를 위한 여과 장치
KR200350829Y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우수받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