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236B1 - 대형 채광창의 가압성형장치 - Google Patents

대형 채광창의 가압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236B1
KR101510236B1 KR20140007237A KR20140007237A KR101510236B1 KR 101510236 B1 KR101510236 B1 KR 101510236B1 KR 20140007237 A KR20140007237 A KR 20140007237A KR 20140007237 A KR20140007237 A KR 20140007237A KR 101510236 B1 KR101510236 B1 KR 101510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lding
driving means
driving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7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철
정채봉
이을영
김종민
Original Assignee
(주)에이비엠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비엠그린텍 filed Critical (주)에이비엠그린텍
Priority to KR20140007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2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2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2043/3602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means for positioning, fastening or clamping the material to be formed or preforms inside the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프레임(12)과, 상기 성형프레임(12) 후면 일측에 마련되는 가열프레임(16)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프레임부(10)와; 상기 가열프레임(16) 상부 일측에 판상으로 마련되는 가열부(20)와; 지지틀(32)과, 상방으로 만곡된 성형봉(342)이 마련되어 상기 지지틀(32) 상부에 결합되는 성형틀(34)과, 상기 지지틀(32)을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제1구동수단(36)을 포함하여 상기 성형프레임(12) 하부 내측에 마련되는 성형부(30)와;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성형프레임(12) 상부의 좌, 우측 각각에 마련되는 가이드부(40)와; 상기 가이드부(40) 상부에 마련되며 성형시트가 안치되는 안치틀(52)과, 상기 안치틀(52) 전면 일측에 마련되는 제2구동수단(54)과, 상기 제2구동수단(54)의 작동에 따라 안치틀(52)에 안치되는 성형시트의 모서리부위를 구속하는 복수 개의 클램핑바(56)를 포함하는 시트고정부(50)와; 상기 성형프레임(12) 일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시트고정부(50)를 전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키는 제3구동수단(60)으로; 이루어지는 대형 채광창의 가압성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대형 채광창의 가압성형장치{A pressure-molding apparatus for large size of day lighting windows}
본 발명은 채광창의 가압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쇄구조의 성형틀이 아닌 봉으로 이루어지는 개방구조의 성형틀을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폴리싱 작업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표면 조도가 뛰어난 대형의 채광창을 가압성형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연채광(Day lighting)은 건축에서 쓰이는 용어 중의 하나로써, 주간의 직접 태양광이나 간접 태양광과 같은 자연광을 실내로 끌어들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건축에서 금전적인 경제성을 고려했을 때의 전기에너지의 절약은 물론 건축물에 거주하는 거주자 또는 공장 근로자의 심리상태를 밝고 쾌적하게 이끌어주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학교의 학생들이나 공장의 근로자들은 인공조명보다 자연광 환경하에서 학습능률이나 작업능률이 향상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즉, 자연광을 이용하여 실내에 적당한 조도를 유지시켜줌으로써 인공조명 사용을 자제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연색성(Color rendering)의 제고로 학습능률이나 업무효율은 물론 건강증진에 큰 효과를 발휘하는 한편 건축물의 외관에도 상당한 영향을 준다. 이 때문에, 공장이나 학교 등에서 자연채광 설비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는 추세이다
자연채광 설비 중에서 가장 중요한 채광창(day lighting windows)은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투명체의 합성수지 소재를 일정형상으로 성형하여 만들어진다. 태양이 지면으로부터 일정고도를 가지며 일주함을 감안하여 채광창은 대개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부가 볼록한 비구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채광창 자체가 건축물의 외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근자에는 이 중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이 가능한 후자의 설치가 증가되고 있다.
종래 채광창은 도 7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볼록한 형상의 가압부(30)가 마련되는 상부금형(10)과, 상기 상부금형(10)의 가압부(30)에 대응하는 함몰부가 마련되는 하부금형(20)을 준비한 다음, 상기 하부금형(20) 상부에 판상의 합성수지 시트(40)를 안치시킨 상태에서 상부금형(10)으로 합성수지 시트(40)를 가압하고 이를 냉각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가압부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럴 경우 채광창의 형상도 이에 따라 변경됨은 물론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방식은 두가지 점에서 문제가 있는데, 그 중의 하나는 채광창의 표면조도 값이 낮은 것이다(달리 표현하면 채광창의 표면 거칠기가 높음). 이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금형의 가압부 자체가 폐쇄구조로 이루어짐에 기인한다. 즉, 아무리 금형의 가압부를 정밀하게 샌딩 및 폴리싱하더라도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소재의 특성상 그 표면조도 값은 일정한 한계가 있는데, 이러한 금형의 가압부 표면조도가 채광창의 표면에 그대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채광창의 채광효율이 이에 비례하여 떨어질 수 밖에 없다.
다른 하나는 금형의 크기와 관계가 있다. 단일의 채광창으로서 보다 많은 자연광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그 크기가 커져야 하는데 채광창을 성형하는 금형은 이에 비례하여 대폭 크게 할 수는 없다. 이는 금형이라는 성형수단의 특성상 경제적 관점에서 현실적으로 수용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이다. 설사 경제적인 관점을 무시하고 금형의 크기를 대폭 증가시킨다 할지라도 금형 크기와 관계없이 금형 자체의 표면조도 값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한계를 가지고 있어 여전히 동일한 문제를 안고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13882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형상의 대형 채광창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에 비해 현저히 향상된 표면조도 값을 가지는 채광창을 구현할 수 있는 가압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성형프레임(12)과, 상기 성형프레임(12) 후면 일측에 마련되는 가열프레임(16)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프레임부(10)와; 상기 가열프레임(16) 상부 일측에 판상으로 마련되는 가열부(20)와; 지지틀(32)과, 상방으로 만곡된 성형봉(342)이 마련되어 상기 지지틀(32) 상부에 결합되는 성형틀(34)과, 상기 지지틀(32)을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제1구동수단(36)을 포함하여 상기 성형프레임(12) 하부 내측에 마련되는 성형부(30)와;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성형프레임(12) 상부의 좌, 우측 각각에 마련되되 각 후단 부위는 가열부(20)가 위치하는 상기 가열프레임(16)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가이드부(40)와; 상기 가이드부(40) 상부에 마련되며 성형시트가 안치되는 안치틀(52)과, 상기 안치틀(52) 전면 일측에 마련되는 제2구동수단(54)과, 상기 제2구동수단(54)의 작동에 따라 안치틀(52)에 안치되는 성형시트의 모서리부위를 구속하는 복수 개의 클램핑바(56)를 포함하는 시트고정부(50)와; 상기 성형프레임(12) 일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시트고정부(50)를 전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키는 제3구동수단(6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고정부(50)에는, 상기 안치틀(52)의 전측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2구동수단(54)의 로드(55)와 연동되어 제2구동수단(54)의 작동에 따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는 제1구동봉(522)과, 상기 제1구동봉(522)과 대향하는 안치틀(52)의 후측 상부에 설치되는 제2구동봉(524)과, 상기 안치틀(52)의 좌, 우측 각 상부에 설치되는 제3, 4구동봉(526, 528)이 마련되며; 상기 제1구동봉(522) 양단과 상기 제3, 4구동봉(526, 528) 각 일단 사이에는 제2구동수단(54)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제1구동봉(522)의 회전력을 제3, 4구동봉(526, 528)으로 전달하는 제1기어(533)가 매개되며, 상기 제2구동봉(524) 양단과 상기 제3, 4구동봉(526, 528) 각 타단 사이에는 제3, 4구동봉(526, 528)의 회전력을 제2구동봉(524)으로 전달하는 제2기어(535)가 매개되며; 상기 클램핑바(56)는, 상기 제1, 2, 3, 4구동봉(522, 524, 526, 528) 각각의 회전운동과 연동되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는 제1, 2, 3, 4클램핑바(561, 563, 565, 567)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압성형장치는 성형시트와 접하며 성형시트에 대한 성형작업을 수행하는 성형수단을 성형봉으로 구성하여 성형시트와의 접점을 최소화하는 개방구조를 제안함으로써, 성형수단의 표면과 접한 상태로 가압되어 성형시트의 표면조도 값이 떨어지는 현상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압성형장치는 복수 개의 성형봉을 이용하여 크기를 달리하는 다양한 형상의 성형수단을 용이하게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큰 경제적 부담없이 다양한 형상의 대형 채광창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성형장치의 개략적인 전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성형장치의 개략적인 측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성형장치에 있어 성형틀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도 4a 및 도 5a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성형장치에 있어 시트고정부의 개략적인 작동구성도.
도 4b 및 도 5b 각각은 도 4a 및 도 5a 각각에 있어 제2구동수단과 클램핑바의 개략적인 작동구성도.
도 6a 내지 도 6f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성형장치의 개략적인 작동구성도.
도 7은 종래 판상의 합성수지 시트를 성형하는 장치의 일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성형장치의 개략적인 전체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성형장치의 개략적인 측면구성도를 보여준다. 각기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부(10)와, 가열부(20) 및 성형부(30)와, 가이드부(40)와, 시트고정부(50)와, 제3구동수단(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하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지지프레임부(10)는 장치 전반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성형프레임(12)과 가열프레임(1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성형프레임(12) 및 가열프레임(16) 각각은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복수 개의 파이프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열프레임(16)은 성형프레임(12)의 후면 일측에 마련된다.
상기 가열부(20)는 성형작업의 재료가 되는 성형시트를 가열하는 수단으로서, 가열프레임(16) 상부 일측에 마련된다. 가열부(20)는 통상적인 히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성형시트가 판상으로 이루어짐을 감안하면 적어도 성형시트의 전체를 가열할 수 있는 크기의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형부(30)는 성형프레임(12) 하부 내측에 마련되며 성형시트를 의도하는 형상으로 성형하는 부분으로서, 지지틀(32)과 성형틀(34), 그리고 제1구동수단(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틀(32)은 성형프레임(12) 하부 내측에 수평하게 위치한다. 지지틀(32)은 일정두께를 가지는 판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사각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성형부(30)가 챔버에 의해 밀폐되며, 챔버 하부에 공기주입단이 마련되는 경우에는 후자의 경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성형틀(34)은 성형시트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성형을 수행하는 수단으로서 성형봉(342)이 마련되어 지지틀(32)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성형봉(342)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파이프부재 또는 다각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방으로 만곡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통상적으로 채광창의 중앙부위가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이 채광효율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도 3에 개시된 a 내지 c 각각은 이러한 성형틀(34)의 일례로서, 파이프부재를 이용하여 상방으로 만곡시켜 형성되는 성형봉(342)의 예를 보여준다. 도면에는 성형봉(342)이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져 중앙부위가 상방으로 만곡된 경우가 개시되어 있으나, 성형봉은 단수, 또는 3개 이상의 복수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성형봉의 만곡부위 역시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적용될 수도 있다. 미설명도면부호 346은 하부틀이다.
본 발명이 성형틀(34)을 구성함에 있어 종래와 같이 볼록면과 같은 폐쇄구조로 하지 않고 성형봉으로 구성하여 성형시트와의 접점을 최소화하는 개방구조로 한 이유는, 성형과정에서 성형틀과 성형시트 상호간의 접촉면을 최소화하여 성형된 채광창의 표면조도 값이 성형틀 자체가 가지는 표면조도에 의해 영향받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구동수단(36)은 지지틀(32)을 상하방향으로 일정거리 승하강시키는 수단이다. 제1구동수단(36)과 지지틀(32)의 상호 결합관계의 일례로서 도면에는, 제1구동수단(36)의 피스톤로드(도면 미표시) 단부를 가압판(35)에 고정하고, 지지틀(32)과 수직봉(31)으로 연결되는 베이스판(33)을 지지틀(32) 하부에 마련한 다음, 상기 가압판(35)과 베이스판(33) 사이를 가이드봉(37)으로 매개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제1구동수단(36)이 수직방향으로 작동하면, 이에 연동하여 가이드봉(37)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성형틀(34)이 결합된 지지틀(32)이 함께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게 된다. 하지만, 이는 단지 하나의 예 일뿐 본 발명은 다양한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제1구동수단은 통상적인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면에 개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은 성형부(30)가 챔버에 의해 밀폐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성형부(30)는 성형틀(34)이 승하강하는 공간인 상부측을 제외하고 그 측면 및 하면 모두가 챔버에 의해 감싸지며, 챔버 하부에는 공기주입단 또는 공기유출단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럴 경우, 제1구동수단(36)의 작동으로 성형틀(34)이 상승하여 성형시트의 일면을 가압한 상태에서 공기주입단를 통해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유출시키면, 유입 또는 유출되는 공기가 성형틀(34)과 접하지 않는 성형시트의 일면을 일정압력으로 균등하게 지지하게 됨으로써 성형시트는 더욱 완전하게 의도하는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40)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성형프레임(12) 상부의 좌, 우측 각각에 마련된다. 가이드부(40) 각각의 후단 부위는 가열부(20)가 위치하는 가열프레임(16)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열프레임(16) 영역에서는 가열부(20) 하방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고정부(50)는 안치틀(52)과 제2구동수단(54), 그리고 클램핑바(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가이드부(40) 상부에 마련된다. 상기 안치틀(52)은 성형시트가 안치되는 부분으로서 전술한 지지틀(32)과 유사하게 중앙부위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사각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구동수단(54)은 클램핑바(56)의 작동을 위한 수단으로서 안치틀(52)의 전면에 마련된다. 제2구동수단(54)은 하나 이상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통상적인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클램핑바(56)는 안치틀(52)에 거치되는 성형시트의 모서리부위를 구속하는 수단으로서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제2구동수단(54)과 연계된 클램핑바(56)의 구체적인 작동구성을 도 1 및 도 2, 그리고 도 4a 내지 도 5b 각각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안치틀(52)의 전측 상부 및 후측 상부 각각에는 제1구동봉(522) 및 제2구동봉(524)이 설치되며, 안치틀(52)의 좌, 우측 상부 각각에는 제3구동봉(526) 및 제4구동봉(528)이 설치된다. 도 4b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1구동봉(522)은 가동단(521)에 매개되어 제2구동수단(54)의 로드(55)와 연결되며, 제2구동수단(54)의 작동에 따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한다. 즉, 제2구동수단(54)의 직선운동은 가동단(521)에 의해 회전운동으로 변경되는 것이다. 상기 제1, 2, 3, 4구동봉(522, 524, 526, 528) 각각은 통상의 봉형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봉(522) 양단과 상기 제3, 4구동봉(526, 528) 각 일단 사이에는 제1기어(533)가 매개되며, 상기 제2구동봉(524) 양단과 상기 제3, 4구동봉(526, 528) 각 타단 사이에는 제2기어(535)가 매개된다. 상기 제1, 2기어(533, 535) 각각은 제1구동봉(522)의 회전력을 제3, 4구동봉(526, 528)으로 전달하고, 제3, 4구동봉(526, 528)의 회전력을 제2구동봉(524)으로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통상적인 베벨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클램핑바(56)는 제1, 2, 3, 4구동봉(522, 524, 526, 528) 각각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1, 2, 3, 4클램핑바(561, 563, 565, 567)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2, 3, 4구동봉(522, 524, 526, 528) 각각의 회전운동과 연동되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한다. 도 4b와 같이, 제1클램핑바(561)는 제1연동단(562)의 단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연동단(562)은 가동단(521)과 연동된다.
제1클램핑바(561)를 제외한 제2, 3, 4클램핑바(563, 565, 567) 각각은 가동단(521)의 매개없이 제2, 3, 4구동봉(524, 526, 528) 각각에 결합되는 제2, 3, 4연동단(564, 566, 568)의 각 단부에 마련된다. 즉, 제2, 3, 4구동봉(524, 526, 528) 각각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면, 제2, 3, 4클램핑바(563, 565, 567)가 마련되는 제2, 3, 4연동단(564, 566, 568) 각각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제2구동수단(54)이 일방향으로 작동하면, 로드(55)를 통해 전달되는 수평운동은 가동단(521)에 의해 회전운동으로 변환된다. 이에 따라, 도 5b와 같이 가동단(521)과 결합되어 있던 제1구동봉(522)은 일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제1연동단(562)도 함께 일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면서 그 단부에 마련되어 있던 제1클램핑바(561)가 안치틀(52) 상부에 안치되어 있는 성형시트(S)의 모서리 부위를 구속하게 된다.
한편, 제1구동봉(522)의 양단은 제1기어(533)에 의해 제3, 4구동봉(526, 528) 각 일단과 연결되어 있고, 제3, 4구동봉(526, 528)의 각 타단은 제2기어(535)에 의해 제2구동봉(524) 양단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구동봉(522)이 일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면 곧 바로 제2, 3, 4구동봉(524, 526, 528) 각각도 일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게 되고, 이와 함께 제2, 3, 4구동봉(524, 526, 528) 각각과 결합되어 있는 제2, 3, 4연동단(564, 566, 568) 각각도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 즉, 도 4b에 개시된 것과 같이, 성형시트의 각 모서리 부위는 제1, 2, 3, 4클램핑바(561, 563, 565, 567) 각각에 의해 긴밀하게 구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3구동수단(60)은 시트고정부(50)를 가이드부(40)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키는 수단으로서 성형프레임(12) 일측면에 마련된다. 제3구동수단은 통상적인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성형작업을 전술한 각 구성의 설명 및 첨부된 도 6a 내지 도 6f 각각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6a에 개시된 것과 같이, 성형재료로서의 성형시트(S)를 시트고정부(50)의 안치틀(52) 상부에 안치한다. 상기 성형시트(S)는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서 투명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성형시트(S)의 존재 및 그 위치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불투명하게 처리하였다.
성형시트(S)가 안치틀(52) 상부에 안치되면, 도 6b와 같이 시트고정부(50)의 제2구동수단(54)을 일방향으로 작동시켜 클램핑바(56)가 성형시트(S) 각 모서리 부위를 긴밀하게 가압하도록 한다. 성형시트(S)는 클램핑바(56)의 가압력에 의해 안치틀(52) 상부에 단단하게 구속된다.
클램핑(56)에 의해 성형시트(S)가 시트고정부(50)에 긴밀하게 구속되면, 제3구동수단(60)을 일방향으로 작동시켜, 성형시트(S)가 안치된 시트고정부(50)를 가열부(20) 직하방으로 이동시킨다. 도 6c와 같이 성형시트(S)가 가열부(20) 직하방에 위치하면 제3구동수단(6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가열부(20)를 작동하여 성형시트(S)을 일정시간 가열한다. 가열의 정도는 성형시트 재질의 특성 등을 감안하여 이루어지며, 성형작업이 용이한 정도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정시간 가열되어 성형시트(S)가 적당히 연화되면, 제3구동수단(60)을 타방향으로 작동시켜 도 6d와 같이 성형시트(S)가 안치된 시트고정부(5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이 상태에서, 성형부(30)의 제1구동수단(36)을 일방향으로 작동시켜 지지틀(32)을 승강시킨다. 이에 따라 지지틀(34)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성형틀(34)이 성형시트(S)의 하면과 접하게 되며, 지지틀(32)이 더 승강하면 성형시트(S)는 도 6e와 같이 성형틀(34)에 대응되는 채광창의 형상으로 서서히 변화한다.
지지틀(32)이 승강하면서 성형시트(S)가 의도하는 채광창의 형상을 갖추게 되면, 제1구동수단(36)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그 상태를 일정시간 유지한다. 이 과정에서 성형시트(S)는 서서히 냉각되면서 채광창으로 구현되는 것이다. 즉, 성형시트(S)의 하면은 성형틀(34)을 이루는 성형봉과 최소한의 접점으로 접하면서 성형틀에 대응하는 채광창의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이다.
성형시트(S)에 대한 성형작업이 완료되면, 성형부(30)의 제1구동수단(36)을 타방향으로 작동시켜 성형틀(34)이 결합된 지지틀(32)을 원위치로 복귀시킨 다음, 시트고정부(50)의 제2구동수단(54)을 타방향으로 작동시킨다. 제2구동수단(54)이 타방향으로 작동하면, 도 6f와 같이 성형시트(S)의 각 모서리 부위를 가압하고 있던 클램핑바(56)가 해제되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뒤이어 채광창의 형상으로 성형된 성형시트(S)를 회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작업이 완료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지지프레임부 20 : 가열부
30 : 성형부 40 : 가이드부
50 : 시트고정부 60 : 제3구동수단

Claims (2)

  1. 성형프레임(12)과, 상기 성형프레임(12) 후면 일측에 마련되는 가열프레임(16)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프레임부(10)와;
    상기 가열프레임(16) 상부 일측에 판상으로 마련되는 가열부(20)와;
    지지틀(32)과, 상방으로 만곡된 성형봉(342)이 마련되어 상기 지지틀(32) 상부에 결합되는 성형틀(34)과, 상기 지지틀(32)을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제1구동수단(36)을 포함하여 상기 성형프레임(12) 하부 내측에 마련되는 성형부(30)와;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성형프레임(12) 상부의 좌, 우측 각각에 마련되되 각 후단 부위는 가열부(20)가 위치하는 상기 가열프레임(16)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가이드부(40)와;
    상기 가이드부(40) 상부에 마련되며 성형시트가 안치되는 안치틀(52)과, 상기 안치틀(52) 전면 일측에 마련되는 제2구동수단(54)과, 상기 제2구동수단(54)의 작동에 따라 안치틀(52)에 안치되는 성형시트의 모서리부위를 구속하는 복수 개의 클램핑바(56)를 포함하는 시트고정부(50)와;
    상기 성형프레임(12) 일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시트고정부(50)를 가이드부(40)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키는 제3구동수단(60)으로;
    이루어지는 대형 채광창의 가압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고정부(50)에는,
    상기 안치틀(52)의 전측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2구동수단(54)의 로드(55)와 연동되어 제2구동수단(54)의 작동에 따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는 제1구동봉(522)과, 상기 제1구동봉(522)과 대향하는 안치틀(52)의 후측 상부에 설치되는 제2구동봉(524)과, 상기 안치틀(52)의 좌, 우측 각 상부에 설치되는 제3, 4구동봉(526, 528)이 마련되며;
    상기 제1구동봉(522) 양단과 상기 제3, 4구동봉(526, 528) 각 일단 사이에는 제2구동수단(54)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제1구동봉(522)의 회전력을 제3, 4구동봉(526, 528)으로 전달하는 제1기어(533)가 매개되며, 상기 제2구동봉(524) 양단과 상기 제3, 4구동봉(526, 528) 각 타단 사이에는 제3, 4구동봉(526, 528)의 회전력을 제2구동봉(524)으로 전달하는 제2기어(535)가 매개되며;
    상기 클램핑바(56)는, 상기 제1, 2, 3, 4구동봉(522, 524, 526, 528) 각각의 회전운동과 연동되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는 제1, 2, 3, 4클램핑바(561, 563, 565, 567)가 마련되는; 대형 채광창의 가압성형장치.
KR20140007237A 2014-01-21 2014-01-21 대형 채광창의 가압성형장치 KR101510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7237A KR101510236B1 (ko) 2014-01-21 2014-01-21 대형 채광창의 가압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7237A KR101510236B1 (ko) 2014-01-21 2014-01-21 대형 채광창의 가압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0236B1 true KR101510236B1 (ko) 2015-04-08

Family

ID=53033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7237A KR101510236B1 (ko) 2014-01-21 2014-01-21 대형 채광창의 가압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02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629A (ko) * 2003-04-24 2004-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이용한 시작차용 윈도우의성형방법
JP2009101564A (ja) 2007-10-23 2009-05-14 Sintokogio Ltd 材料クランプ方法および該方法に用いられる材料クランプ装置
JP2010132002A (ja) 2010-02-09 2010-06-17 Sintokogio Ltd 熱可塑性樹脂シートの成形設備
JP2011184142A (ja) 2010-03-09 2011-09-22 Toyota Boshoku Corp 基材成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629A (ko) * 2003-04-24 2004-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이용한 시작차용 윈도우의성형방법
JP2009101564A (ja) 2007-10-23 2009-05-14 Sintokogio Ltd 材料クランプ方法および該方法に用いられる材料クランプ装置
JP2010132002A (ja) 2010-02-09 2010-06-17 Sintokogio Ltd 熱可塑性樹脂シートの成形設備
JP2011184142A (ja) 2010-03-09 2011-09-22 Toyota Boshoku Corp 基材成形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65227B (zh) 贴合设备
CN207925052U (zh) 一种城乡规划布局展示装置
KR101510236B1 (ko) 대형 채광창의 가압성형장치
CN111677155A (zh) 一种建筑幕墙机构
CN113628501A (zh) 一种美术教学用智能型教学演示设备
CN212102555U (zh) 一种玻璃灯罩吹制成型模具
CN211821959U (zh) 设计用环境光模拟装置
CN203673731U (zh) 光色散演示器
CN208796478U (zh) 一种环艺设计多媒体教学投影设备
CN212480914U (zh) 一种建筑工程施工用照明装置
CN108261002A (zh) 一种环境艺术设计竹艺展示装置
CN204276585U (zh) 多曲面成型铝单板雨罩组件加工设备
CN207818134U (zh) 一种教育宣传栏
CN113123495A (zh) 一种高采光率pc中空阳光板幕墙结构
ITUB20154707A1 (it) Metodo di applicazione di moduli fotovoltaici integrati in un edificio
CN204579404U (zh) 一种铁皮石斛的育苗系统
CN206322432U (zh) 光纤显示屏
CN204540110U (zh) 一种温室大棚用立体多层滚动采光苗床装置
CN2557614Y (zh) 房屋透光装置
CN211776354U (zh) 一种钢结构遮雨棚的调节机构
CN107856463A (zh) 一种高效率的玻璃杯表面烤花装置
CN203686794U (zh) 一种舞台炫光调整地板灯
CN217133445U (zh) 一种光学镜片位移调整机构
CN213211391U (zh) 一种大型场馆人员疏散安全模拟装置
CN206846666U (zh) 景观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