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112B1 - 분진 토출구조를 갖는 핸드피스 - Google Patents

분진 토출구조를 갖는 핸드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112B1
KR101510112B1 KR20130054808A KR20130054808A KR101510112B1 KR 101510112 B1 KR101510112 B1 KR 101510112B1 KR 20130054808 A KR20130054808 A KR 20130054808A KR 20130054808 A KR20130054808 A KR 20130054808A KR 101510112 B1 KR101510112 B1 KR 101510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ollet chuck
handpiece
chuck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4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4873A (ko
Inventor
이종건
Original Assignee
(주)마이크로엔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이크로엔엑스 filed Critical (주)마이크로엔엑스
Priority to KR20130054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112B1/ko
Publication of KR20140134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0Straight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2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 A61C1/05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with turbine drive
    • A61C1/057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with turbine drive with means for preventing suction effect in turbine after deactivation of the drive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61C1/142Operating tool blocking means
    • A61C1/144Operating tool blocking means constricting the operating tool, e.g. chu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61C1/145Instruments or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61C1/147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in a straight handpie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진 토출구조를 갖는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손으로 파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구비되며, 각각 이격되어 한쌍으로 구비되는 리어베어링과, 상기 리어베어링의 사이에 구비되며, 양측에는 각각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축이 연장형성되어 리어베어링에 축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후방에 연결 구비되어 모터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 전방에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되며, 연결축, 회전축 및 척하우징이 전방으로 순차 연결되어 구비되는 스핀들부와, 상기 스핀들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 구비되며, 스핀들부가 원활하게 축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한쌍의 프론트베어링과, 상기 스핀들부의 척하우징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전방이 돌출되도록 삽입 구비되며, 내측은 관통형성되고, 전방에는 방사상으로 각각 이격되어 전방에서 중앙으로 수평되게 절개된 다수개의 절개홈이 형성되며, 절개홈의 전방에는 각각 외측으로 전방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상향 경사진 일측 단부가 수평되게 연장형성되면서도 수평연장된 내측으로 각각 단턱진 단턱부가 형성되는 보강부를 갖는 콜릿척과, 상기 콜릿척의 전방 외주연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내측이 관통형성되어 일측이 케이스부의 전방에 결합 구비되고, 외주연에는 관통된 다수개의 토출공이 형성되는 프론트케이스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분진 토출구조를 갖는 핸드피스{Handpiece with dust discharge structure}
본 발명은 분진 토출구조가 구비된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과 또는 네일샵 등에서 핸드피스를 사용하여 치아 또는 손톱 등을 가공할 시에 치아 또는 손톱 등이 가공되면서 발생 되는 분진이 핸드피스 내에 유입되어 베어링 또는 모터가 손상되는 것을 핸드피스에 콜릿척과 분진이 배출되는 토출공이 형성되는 프론트케이스를 구비하여 분진이 핸드피스 내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진 토출구조가 구비된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피스는 치과에서 치아를 절삭 또는 연마하기 위해 사용되는 치과기공용, 네일 아트를 하는 네일샵에서 손톱 등을 손질하는데 사용되는 네일아트용, 보석 등을 가공하는 보석세공용 등으로 연마의 대상이 되는 가공물을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이때, 상기 핸드피스는 연마의 대상이 되는 가공물을 가공할 시에 가공물이 연마되면서 발생하는 분진, 이물질 또는 물 등이 핸드피스의 입구를 통해 핸드피스 내부로 유입되어 핸드피스 내에 구비된 베어링 또는 모터가 핸드피스 내에 유입된 분진, 이물질 또는 물로 인해 마모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몸체 내부에 마이크로모터에 의해 고속회전하는 척커버가 장착되고, 상기 척커버는 몸체 내에서 공회전 되도록 다수의 베어링에 의해 창작되며, 상기 척커버는 내부에 공구를 압착고정할 수 있는 콜릿척이 장착되고, 몸체 선단에는 상기 척커버의 외주면에 씌워져 입구를 덮는 캡커버로 구성되되, 상기 척커버의 입구 측 베어링의 전방으로 웨이브와셔, 아웃칼라, 캡너트, 너트링이 순차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아웃칼라와 캡너트는 상호 간에 역방향으로 "ㄹ"형태의 분진차단경로를 갖는 핸드피스의 분진차단구조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핸드피스의 몸체 내부에 체결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척커버 입구 측 베어링의 선단으로부터 베어링의 외주면으로 씌워지는 베어링캡과, 일단은 상기 핸드피스의 척커버 선단에 체결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척커버 내부에 장착되는 콜렛척의 선단으로부터 콜렛척의 외주면으로 씌워지는 척캡을 구성하여서, 상기 베어링캡은 선단에 장착홈을 형성하여 이 장착홈에 척커버의 외주면에 근접되는 내관을 가진 부직포 타입의 입구차단용 패킹 필터링을 끼움 삽입함과, 상기 척캡은 선단에 장착홈을 형성하여 이 장착홈에 콜렛척에 고정되는 공구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내관을 가진 탄성체 형의 입구차단용 패킹 씰이 부착구성된 기술이 등록특허공보 제10-1236156호에서와 같이 공지된바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술은 핸드피스로 연마의 대상이 되는 가공물을 가공할 시에 가공물이 연마되면서 발생하는 분진, 이물질 또는 물 등이 핸드피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으나 핸드피스 내부로 분진, 이물질 또는 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패킹 씰을 핸드피스를 사용함에 따라 마모된 패킹 씰을 수시로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분진 토출구조를 갖는 핸드피스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3615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핸드피스를 사용하여 연마의 대상이 되는 가공물을 가공할 시에 가공물이 연마되면서 발생하는 분진, 이물질 또는 물 등이 핸드피스의 입구를 통해 핸드피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핸드피스에 콜릿척과 분진이 배출되는 토출공이 형성되는 프론트케이스를 구비하여 분진, 이물질 또는 물 등이 핸드피스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진 토출구조가 구비된 핸드피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손으로 파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구비되며, 각각 이격되어 한쌍으로 구비되는 리어베어링과, 상기 리어베어링의 사이에 구비되며, 양측에는 각각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축이 연장형성되어 리어베어링에 축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후방에 연결 구비되어 모터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 전방에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되며, 연결축, 회전축 및 척하우징이 전방으로 순차 연결되어 구비되는 스핀들부와, 상기 스핀들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 구비되며, 스핀들부가 원활하게 축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한쌍의 프론트베어링과, 상기 스핀들부의 척하우징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전방이 돌출되도록 삽입 구비되며, 내측은 관통형성되고, 전방에는 방사상으로 각각 이격되어 전방에서 중앙으로 수평되게 절개된 다수개의 절개홈이 형성되며, 절개홈의 전방에는 각각 외측으로 전방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상향 경사진 일측 단부가 수평되게 연장형성되면서도 수평연장된 내측으로 각각 단턱진 단턱부가 형성되는 보강부를 갖는 콜릿척과, 상기 콜릿척의 전방 외주연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내측이 관통형성되어 일측이 케이스부의 전방에 결합 구비되고, 외주연에는 관통된 다수개의 토출공이 형성되는 프론트케이스로 이루어지는 분진 토출구조를 갖는 핸드피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분진 토출구조가 구비된 핸드피스는 종래에 핸드피스를 사용하여 연마의 대상이 되는 가공물을 가공할 시에 가공물이 연마되면서 발생하는 분진, 이물질 또는 물 등이 핸드피스의 입구를 통해 핸드피스 내부로 유입되던 것이 핸드피스에 구비되는 콜릿척과 분진이 배출되는 토출공이 형성되는 프론트케이스로 인해 분진, 이물질 또는 물 등이 핸드피스 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핸드피스 내에 분진, 이물질 또는 물 등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핸드피스 내에 구비되는 베어링 및 모터가 분진, 이물질 또는 물 등으로 인해 손상 또는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분진 토출구조를 갖는 핸드피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분진 토출구조를 갖는 핸드피스의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분진 토출구조를 갖는 핸드피스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콜릿척 및 프론트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콜릿척 및 프론트케이스의 부분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분진 토출구조를 갖는 핸드피스의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콜릿척 및 프론트케이스의 부분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분진 토출구조를 갖는 핸드피스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손으로 파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케이스부(4)와, 상기 케이스부(4)의 내측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리어베어링(10)과, 상기 리어베어링(10)의 사이에 구비되는 모터(20)와, 상기 모터(20)의 후방에 연결 구비되는 전원부(30)와, 상기 모터(20)의 구동축(22) 전방에 연결되는 스핀들부(40)와, 상기 스핀들부(40)의 양측에 각각 결합 구비되는 한쌍의 프론트베어링(50)과, 상기 스핀들부(40)에 삽입 구비되는 콜릿척(60)과, 상기 콜릿척(60)의 전방 외주연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관통된 다수개의 토출공(72)이 형성되는 프론트케이스(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부(4)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손으로 파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부(4)는 내측이 관통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핸드피스(2)를 사용할 시에 파지가 편리하면서도 미끌림 등의 현상이 방지되도록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4)는 전후방이 개방된 원통형의 단일 객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본 발명에 의한 케이스부(4)는 다수개의 객체가 각각 결합되어 핸드피스(2)의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케이스부(4)의 내측에 삽입되어 구비되며, 각각 이격되어 한쌍으로 구비되는 리어베어링(1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리어베어링(10)은 후술 되는 모터(20)가 축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며, 모터(20)의 구동축(22)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모터(20)가 축 회전할 시에 모터(20)의 축 회전을 원활하게 하면서도 모터(20)가 축 회전할 시에 모터(20)의 떨림으로 인해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리어베어링(10)이 모터(20)의 구동축(22)을 감싸도록 결합 구비되어 구동축(22)의 구조적인 강도를 증가시켜 구동축(22)이 허용 응력 이상의 힘을 받았을 경우에도 구동축(22)이 변형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도 하는 것이다.
상기 리어베어링(10)의 사이에 구비되며, 양측에는 각각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축(22)이 연장형성되어 리어베어링(10)에 축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모터(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모터(20)에 연장형성되는 구동축(22)의 전방에는 후술 되는 스핀들부(40)의 연결축(42) 일측이 결합되어 구동축(22)이 모터(2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될 시에 원활하게 모터(20)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동축(22)의 선단부를 십자형태 또는 일자형태 등으로 가공하고 연결축(42)의 일측을 구동축(22)의 선단부 형태에 대응되게 형성하여 결합해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모터(20)는 후술 되는 전원부(3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50,000~55,000rpm 정도로 작동되는 고속의 모터(20)가 설치되어 사용됨이 바람직하며, 모터(20)가 50,000rpm 이하로 작동될 시에는 치과에서 핸드피스(2)를 사용하여 치아를 절삭할 시에 치아의 절삭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모터(20)가 55.000rpm이상으로 작동될 시에는 모터(20)에서 열이 과도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상기 모터(20)의 후방에 연결 구비되어 모터(20)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부(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전원부(30)는 모터에 전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나 내측에 일정한 전압이상으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여 모터(20)의 손상을 방지하는 퓨즈(32)가 구비되어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모터(20)의 구동축(22) 전방에 연결되어 모터(20)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되며, 연결축(42), 회전축(44) 및 척하우징(46)이 전방으로 순차 연결되어 구비되는 스핀들부(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핀들부(40)는 모터(2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연결축(42)의 내측은 구동축(22)의 선단부 형상에 따라 십자형태 또는 일자형태 등의 다각형으로 관통형성되어 구동축(22)의 전방이 연결축(42)의 내측에 삽입되며, 연결축(42)의 전방에는 연결축(42)의 내측 관통형상에 따라 십자형태 또는 일자형태 등의 다각형으로 후방 단부가 형성된 회전축(44)이 연결축(42)의 전방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회전축(44)의 전방에는 회전축(44)의 전방 단부 형상에 따라 내측이 십자형태 또는 일자형태 등의 다각형으로 관통형성된 척하우징(46)이 구비되어 회전축(44)의 전방이 척하우징(46)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호 간에 연결 구비된 연결축(42), 회전축(44) 및 척하우징(46)으로 이루어지는 스핀들부(40)는 서로 연동되어 모터(20)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되며 회전력을 전방으로 전달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44)의 전방 단부가 십자형태 또는 일자형태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척하우징(46)의 내측에 삽입되어 사용됨이 바람직하나 회전축(44)이 척하우징(46)과 상호 간에 연동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구조라도 무방한 것이다.
상기 스핀들부(40)의 양측에 각각 결합 구비되며, 스핀들부(40)가 원활하게 축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한쌍의 프론트베어링(5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베어링(50)은 스핀들부(40)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각각 스핀들부(40)의 외부를 감싸도록 끼워지는 것이며, 스핀들부(40)의 회전축(44) 및 척하우징(46)에 끼움 결합되어 사용됨이 바람직하나 프론트베어링(50)을 다수개 구비하여 연결축(42), 회전축(44) 및 척하우징(46)에 모두 결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프론트베어링(50)은 스핀들부(40)가 모터(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시에 회전으로 인한 떨림으로 스핀들부(40)에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핀들부(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회전축(44) 및 척하우징(46)에도 구조적인 강도를 증가시켜 회전축(44) 및 척하우징(46)에 허용 응력 이상의 힘이 가해질 경우에도 회전축(44) 및 척하우징(46)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스핀들부(40)의 척하우징(46)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전방이 돌출되도록 삽입 구비되며, 내측은 관통형성되고, 전방에는 방사상으로 각각 이격되어 전방에서 중앙으로 수평되게 절개된 다수개의 절개홈(62)이 형성되며, 절개홈(62)의 전방에는 각각 외측으로 전방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상향 경사진 일측 단부가 수평되게 연장형성된 보강부(64)를 갖는 콜릿척(6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콜릿척(60)은 가공물을 연삭, 연마, 절삭 또는 천공을 하기 위한 공구를 클램핑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직경의 공구를 콜릿척(60)의 전방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콜릿척(60)의 보강부(64)에는 각각 내측으로 단턱지게 형성되는 단턱부(66)가 형성되며, 단턱부(66)의 너비(H)는 1~4㎜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턱부(66)는 콜릿척(60)에 공구를 삽입하여 핸드피스(2)를 사용할 시에 연마 또는 천공의 대상이 되는 가공물이 연마 또는 천공되면서 발생하는 분진, 이물질 또는 물 등을 콜릿척(60)이 회전되면서 단턱부(66)로 인해 발생되는 풍력을 이용하여 단턱부(66)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단턱부(66)의 너비(H)가 1㎜이하로 형성될 시에는 단턱부(66)가 형성되는 면적이 작아 콜릿척(60)이 회전될 시에 단턱부(66)로 인한 풍력이 적게 발생되어 분진, 이물질 또는 물 등을 효과적으로 밀어낼 수 없고, 단턱부(66)의 너비(H)가 4㎜이상으로 형성될 시에는 콜릿척(60)의 보강부(64)가 약해져서 핸드피스(2)를 사용할 시에 콜릿척(60)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단턱부(66)의 형상은 콜릿척(60)이 회전할 시에 풍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한 것이다.
또한, 상기 콜릿척(60)의 절개홈(62) 후단에는 콜릿척(60)의 전방이 외측으로 벌어질 시에 절개홈(62)의 후단이 응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원형으로 관통된 홀(68)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홀(68)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콜릿척(60)의 전방에 다양한 직경의 공구를 삽입하면서 콜릿척(60)의 전방이 외측으로 벌어질 시에 절개홈(62)의 후단에 작용하는 응력을 분산하여 콜릿척(60)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콜릿척(60)의 전방 외주연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내측이 관통형성되어 일측이 케이스부(4)의 전방에 결합 구비되고, 외주연에는 사각형태로 관통된 다수개의 토출공(72)이 형성되는 프론트케이스(7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케이스(70)의 토출공(72)은 콜릿척(60)이 회전되면서 콜릿척(60)에 형성된 단턱부(66)로 인해 발생되는 풍력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는 분진, 이물질 또는 물 등이 토출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이며, 콜릿척(60)의 단턱부(66)에 대응되게 너비(h)가 1~4㎜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토출공(72)의 너비(h)는 1~4㎜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토출공(72)의 너비(h)가 1㎜이하로 형성될 시에는 단턱부(66)로 인해 발생되는 풍력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는 분진, 이물질 또는 물 등이 좁은 토출공(72)의 너비(h)로 인해 압력이 발생되어 효과적으로 토출되지 않으며, 토출공(72)의 너비(h)가 4㎜이상으로 형성될 시에는 프론트케이스(70)에서 토출공(72)이 차지하는 범위가 넓어져 프론트케이스(70)의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론트케이스(70)의 내경 및 콜릿척(60)의 보강부(64) 외경 사이의 간격(L)은 0.03~0.1㎜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간격(L)이 0.03㎜이하로 형성될 시에는 핸드피스(2)로 가공물을 연마 또는 천공하면서 발생되는 분진 또는 이물질 등이 프론트케이스(70)의 내경 및 콜릿척(60)의 보강부(64) 외경 사이에 껴서 콜릿척(60)이 원활하게 회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고, 간격(L)이 0.1㎜ 이상으로 형성될 시에는 핸드피스(2)로 가공물을 연마 또는 천공하면서 발생되는 분진 또는 이물질 등이 프론트케이스(70)의 내경 및 콜릿척(60)의 보강부(64) 외경 사이를 지나 핸드피스(2) 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분진 토출구조를 갖는 핸드피스(2)는 핸드피스(2) 내에 구비되는 콜릿척(60)과 분진이 배출되는 토출공(72)이 형성되는 프론트케이스(70)로 인해 분진, 이물질 또는 물 등이 핸드피스(2) 내로 유입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핸드피스(2) 내에 분진, 이물질 또는 물 등이 유입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됨으로써 핸드피스(2) 내에 구비되는 리어베어링(10), 프론트베어링(50) 및 모터(20)가 분진, 이물질 또는 물 등으로 인해 손상 또는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2 : 핸드피스 4 : 케이스부
10 : 리어베어링 20 : 모터
30 : 전원부 40 : 스핀들부
50 : 프론트베어링 60 : 콜릿척
70 : 프론트케이스

Claims (5)

  1.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손으로 파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케이스부(4);
    상기 케이스부(4)의 내측에 삽입되어 구비되며, 각각 이격되어 한쌍으로 구비되는 리어베어링(10);
    상기 리어베어링(10)의 사이에 구비되며, 양측에는 각각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축(22)이 연장형성되어 리어베어링(10)에 축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모터(20);
    상기 모터(20)의 후방에 연결 구비되어 모터(20)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부(30);
    상기 모터(20)의 구동축(22) 전방에 연결되어 모터(20)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되며, 연결축(42), 회전축(44) 및 척하우징(46)이 전방으로 순차 연결되어 구비되는 스핀들부(40);
    상기 스핀들부(40)의 양측에 각각 결합 구비되며, 스핀들부(40)가 원활하게 축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한쌍의 프론트베어링(50);
    상기 스핀들부(40)의 척하우징(46)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전방이 돌출되도록 삽입 구비되며, 내측은 관통형성되고, 전방에는 방사상으로 각각 이격되어 전방에서 중앙으로 수평되게 절개된 다수개의 절개홈(62)이 형성되며, 절개홈(62)의 전방에는 각각 외측으로 전방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상향 경사진 일측 단부가 수평되게 연장형성되면서도 수평연장된 내측으로 각각 단턱진 단턱부(66)가 형성되는 보강부(64)를 갖는 콜릿척(60);
    상기 콜릿척(60)의 전방 외주연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내측이 관통형성되어 일측이 케이스부(4)의 전방에 결합 구비되고, 외주연에는 관통된 다수개의 토출공(72)이 형성되는 프론트케이스(7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토출구조를 갖는 핸드피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릿척(60)의 절개홈(62) 후단에는 콜릿척(60)의 전방이 외측으로 벌어질 시에 절개홈(62)의 후단이 응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원형으로 관통된 홀(68)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토출구조를 갖는 핸드피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케이스(70)의 토출공(72) 및 콜릿척(60)의 단턱부(66) 각각의 너비(h)(H)는 1~4㎜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토출구조를 갖는 핸드피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케이스(70)의 내경과 콜릿척(60)의 보강부(64) 외경 사이의 간격(L)은 0.03~0.1㎜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토출구조를 갖는 핸드피스.
KR20130054808A 2013-05-15 2013-05-15 분진 토출구조를 갖는 핸드피스 KR101510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4808A KR101510112B1 (ko) 2013-05-15 2013-05-15 분진 토출구조를 갖는 핸드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4808A KR101510112B1 (ko) 2013-05-15 2013-05-15 분진 토출구조를 갖는 핸드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873A KR20140134873A (ko) 2014-11-25
KR101510112B1 true KR101510112B1 (ko) 2015-04-08

Family

ID=52455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4808A KR101510112B1 (ko) 2013-05-15 2013-05-15 분진 토출구조를 갖는 핸드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01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505A (ko) * 2018-07-02 2020-01-10 (주)세신정밀 핸드피스 조립체
KR20200145180A (ko) * 2019-06-21 2020-12-30 최보환 전기 수술용 핸드피이스의 작동봉 잠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6032A (ja) * 1998-02-18 1999-08-24 Osada Res Inst Ltd 歯科用ストレートハンドピース
US20070114730A1 (en) * 2005-04-07 2007-05-24 Kaltenbach & Voigt Gmbh Motor element, in particular medical handpiece with a collet chu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6032A (ja) * 1998-02-18 1999-08-24 Osada Res Inst Ltd 歯科用ストレートハンドピース
US20070114730A1 (en) * 2005-04-07 2007-05-24 Kaltenbach & Voigt Gmbh Motor element, in particular medical handpiece with a collet chuck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505A (ko) * 2018-07-02 2020-01-10 (주)세신정밀 핸드피스 조립체
KR102081607B1 (ko) 2018-07-02 2020-04-23 (주)세신정밀 핸드피스 조립체
KR20200145180A (ko) * 2019-06-21 2020-12-30 최보환 전기 수술용 핸드피이스의 작동봉 잠금장치
KR102199049B1 (ko) 2019-06-21 2021-01-06 최보환 전기 수술용 핸드피이스의 작동봉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873A (ko) 2014-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3820B2 (en) Drive system for interconnecting attachment devices and handheld rotary power tools
JP5011366B2 (ja) 工具ホルダおよび工具ホルダの組立方法
CN100540930C (zh) 携动及阻动装置
ES2211421T3 (es) Acoplamiento de seguridad conmutado por el par de giro para un mecanismo de detencion por apriete del mandril de una herramienta electrica.
WO2009059576A3 (de) Rotierendes schaftwerkzeug, insbesondere stufenreibahle
JP5011365B2 (ja) 空気駆動回転切削器
EP2736442B1 (en) Dental handpiece with a positive drive chuck and bur arrangement
CN107427984A (zh) 用于岩石钻头上的球齿的磨削工具
KR101510112B1 (ko) 분진 토출구조를 갖는 핸드피스
CN109788998B (zh) 用于操作旋转刀具的牙科治疗器械
KR200455067Y1 (ko) 방진 모터 구동형 핸드피스
US20040222600A1 (en) Gear reducing collet nut assembly
KR101804438B1 (ko) 비트 또는 소켓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전동공구
US20140355921A1 (en) Bearing for rotatably mounting a rotational part and dental handpiece with corresponding bearing
JP4108828B2 (ja) 切削油供給型工具ホルダ
KR101317310B1 (ko) 원터치식 핸드피스용 앵글
EP0010864A1 (en) Gas-driven dental handpiece having vibration isolating means
KR100933038B1 (ko) 그라인더휠 체결장치
KR102217335B1 (ko) 건드릴 머신의 숏드릴 연결구조
KR101345100B1 (ko) 분진 차단구조를 갖는 핸드피스
US20050142516A1 (en) Dental handpiece and kit including same
KR102393971B1 (ko) 임펠러 구비 핸드피스
KR101987860B1 (ko) 컨트롤 박스 제조용 절삭 공구
CN210056145U (zh) 一种新型骨钻快速装卡结构
JP4471637B2 (ja) 回転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