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9687B1 - 차량용 워터 펌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워터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9687B1
KR101509687B1 KR20090120066A KR20090120066A KR101509687B1 KR 101509687 B1 KR101509687 B1 KR 101509687B1 KR 20090120066 A KR20090120066 A KR 20090120066A KR 20090120066 A KR20090120066 A KR 20090120066A KR 101509687 B1 KR101509687 B1 KR 101509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clutch
clutch disc
hole
brake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120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3121A (ko
Inventor
김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90120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9687B1/ko
Publication of KR20110063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10Pumping liquid coolant; Arrangements of coolan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10Pumping liquid coolant; Arrangements of coolant pumps
    • F01P5/12Pump-driv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워터 펌프는, ⅰ)중심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배면에 클러치실이 형성되는 풀리와, ⅱ)상기 풀리의 클러치실 내면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패드와, ⅲ)상기 풀리의 클러치실 내부에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에 선택적으로 밀착되게 설치되는 클러치 디스크와, ⅳ)상기 풀리의 관통홀에 풀리 베어링을 통해 결합되고, 외주 단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스프링 핀을 통하여 상기 클러치 디스크와 상호 연결되는 허브와, ⅴ)상기 클러치 디스크와 상기 허브 사이에서 상기 스프링 핀에 장착되며 상기 클러치 디스크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리턴 스프링과, ⅵ)상기 풀리의 클러치실 내부에서 상기 클러치 디스크의 배면에 대응하여 코일 케이스와 커버로 감싸여 설치되는 필드 코일과, ⅶ)펌프 바디에 펌프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 단부는 상기 허브의 중심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 단부는 실링 유닛이 개재된 상태로 임펠러와 연결되는 메인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풀리는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궤적 상에 적어도 하나의 방열공을 형성한다.
워터펌프, 클러치,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 풀리, 방열

Description

차량용 워터 펌프 {WATER PUMP FOR VEHICLE}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차량에 적용되는 워터 펌프(water pump)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식 클러치를 적용한 차량용 워터 펌프에 관한 것이다.
현재 차량 제작 메이커는 차량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연비개선과 에미션 저감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이중에서 에미션 규제를 충족시키기 원가와 중량이 크게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배기계의 촉매 로딩량을 높이거나 EGR 쿨러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냉각수를 강제 순환시키는 방식이 적용되며, 이를 위해 엔진의 실린더 및 실린더 헤드에 냉각수로를 형성하고, 워터펌프의 작동으로 냉각수로에 냉각수를 강제로 공급시켜 엔진의 온도를 안정되게 유지시킨다.
상기와 냉각수를 공급시키는 워터펌프는 벨트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동작되어 냉각수를 "라디에이터 → 실린더 → 실린더 헤드 → 라디에이터"로 순환시켜 엔진이 과열되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워터펌프는 벨트를 통해 전달되는 엔진의 동력에 의해 6장 정도의 날개를 가 지는 중앙의 임펠러가 회전하여 냉각수를 실린더측으로 펌핑하며, 회전속도는 풀리의 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나, 대략적으로 크랭크 축의 1.2 ~ 1.6배 속도로 회전된다.
상기한 워터펌프는 엔진의 시동과 동시에 벨트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동작되므로, 엔진의 워밍업 조건이나 냉각 조건에 관계없이 엔진의 동작에 따라 상시 작동되어 냉각수를 순환시킨다.
따라서, 엔진이 워밍업 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연비 및 배기가스의 안정화를 제공할 수 있으나, 엔진이 충분히 냉각되어 있는 상태에서 엔진이 시동되는 경우 냉각수의 순환에 따라 엔진의 워밍업 시간이 지연되고, 이에 따라 냉각된 구동부위의 마찰저항이 증가되어 마모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엔진의 냉각에 의해 연소 효율이 떨어져 연료 소모량이 증가되고, 배기가스의 온도 상승이 지연되어 촉매의 활성화 시간이 지연되므로 배기가스에 유해성 물질이 다량으로 배출되어 에미션을 불안정하게 형성시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그리고, 연료펌프의 상시 동작에 따라 크랭크축에 부하로 작용하게 되어 엔진의 출력 효율을 저하시키고, 이에 따라 연비 저하를 초래시키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이는 워터펌프가 벨트에 의하여 크랭크축과 연동되는 과정에 있어서 동력의 단속이 이루어지지 않고, 기계적인 결합만 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전자식 클러치를 적용하고, 엔진의 운전 조건과 냉각수의 온도 조건 등에 따라 전자식 클러치의 작동을 제어하여 냉각수의 펌핑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차량용 워터 펌프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워터 펌프는, ⅰ)중심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배면에 클러치실이 형성되는 풀리와, ⅱ)상기 풀리의 클러치실 내면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패드와, ⅲ)상기 풀리의 클러치실 내부에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에 선택적으로 밀착되게 설치되는 클러치 디스크와, ⅳ)상기 풀리의 관통홀에 풀리 베어링을 통해 결합되고, 외주 단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스프링 핀을 통하여 상기 클러치 디스크와 상호 연결되는 허브와, ⅴ)상기 클러치 디스크와 상기 허브 사이에서 상기 스프링 핀에 장착되며 상기 클러치 디스크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리턴 스프링과, ⅵ)상기 풀리의 클러치실 내부에서 상기 클러치 디스크의 배면에 대응하여 코일 케이스와 커버로 감싸여 설치되는 필드 코일과, ⅶ)펌프 바디에 펌프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 단부는 상기 허브의 중심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 단부는 실링 유닛이 개재된 상태로 임펠러와 연결되는 메인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풀리는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궤적 상에 적어도 하나의 방열공을 형성한다.
상기 차량용 워터 펌프에 있어서, 상기 방열공은 상기 관통홀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한 쌍으로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풀리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연속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워터 펌프에 있어서, 상기 방열공은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궤적 상에서 상기 풀리의 원주 방향을 따라 격자 형태로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워터 펌프는, 상기 풀리에 있어 상기 브레이크 패드가 장착되는 면의 반대면에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궤적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슬롯 형태의 방열홈들을 형성한다.
상기 차량용 워터 펌프에 있어서, 상기 방열홈은 상기 관통홀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반달 모양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워터 펌프는, 상기 방열공과 상기 방열홈이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궤적 상에 원주 방향을 따라 교차로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워터 펌프에 의하면, 엔진의 운전 조건과 냉각수의 온도 조건, 운전자의 의지에 따라 전자식으로 클러치를 작동시켜 풀리의 동력을 임펠러에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방식으로서 임펠러를 통한 냉각수의 펌핑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배기가스를 정화시키는 촉매의 로딩량을 추가하지 않아도 안정된 에미션을 확보할 수 있어 원가 절감을 제공하고, 배기계 부품이 따로 추가되지 않아 차량의 중량이 감소되어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 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엔진이 냉각된 상태에서 초기 시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냉각수의 순환이 차단되므로 엔진오일의 온도를 빠르게 높일 수 있어 오일 마찰이 저감되고, 각 구동부품의 마모가 최소화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엔진의 초기 시동시에 냉각수의 순환을 능동적으로 제어하여 엔진의 활성화 시간 단축과 안정된 연소로 연비 향상을 제공하고, 촉매의 활성화 시간을 단축시켜 에미션 안정화를 제공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풀리의 브레이크 패드가 장착되는 면의 반대면으로 개방된 방열공들 및/또는 방열홈들을 형성하므로, 풀리를 통한 마찰열의 방열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방열공들 및/또는 방열홈들을 통해 방열되는 마찰열을 외기와 직접적으로 접촉시키면서 냉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클러치 디스크와 브레이크 패드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열을 풀리를 통하여 적극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으므로, 풀리와 클러치 디스크 간의 마찰력을 떨어뜨리지 않기 때문에 풀리와 클러치 디스크 간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으며, 클러치 디스크를 통한 동력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부분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워터 펌프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워터 펌프(100)는 벨트를 통해 전달되는 엔진의 동력으로서 냉각수를 냉각 수로에 강제로 공급시켜 엔진의 온도를 안정되게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차량용 워터 펌프(100)는 기본적으로 펌프 바디(110)와,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와 연결되고 펌프 바디(1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크랭크 샤프트를 통해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는 풀리(130)와, 그 풀리(130)의 회전에 따라 펌프 바디(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냉각수를 펌핑하는 임펠러(150)를 포함한다.
따라서, 엔진의 시동에 따라 벨트를 통해 크랭크 샤프트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풀리(130)가 소정 비율의 속도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임펠러(150)가 회전하며 냉각수의 펌핑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냉각수는 임펠러(150)의 회전력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실린더에 형성된 냉각 수로에 펌핑(Pumping) 공급되어 엔진의 온도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시켜 준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용 워터 펌프(100)는 전자식 클러치를 적용하고, 엔진의 운전 조건과 냉각수의 온도 조건, 운전자의 의지에 따라 전자식 클러치의 작동을 제어하여 냉각수의 펌핑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워터 펌프(100)는 언급한 바 있는 펌프 바디(110), 풀리(130) 및 임펠러(150)를 기본적으로 구비하면서, 브레이크 패드(210)와, 클러치 디스크(220)와, 허브(230)와, 리턴 스프링(240)과, 필드 코일(260)과, 메인 샤프트(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펌프 바디(110)는 냉각수를 유입시키는 냉각수 유입구(111)를 형성하고 있으며, 하기에서 기술될 메인 샤프트(270)의 일측 단부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회전하는 풀리(130)를 일측에 구비하고, 메인 샤프트(270)의 다른 일측 단부와 연결되며 회전하는 임펠러(150)를 다른 일측에 구비하고 있다.
상기에서, 풀리(130)는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벨트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는 것으로서, 중앙에 관통홀(13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관통홀(131)에는 풀리 베어링(133)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풀리(130)에는 관통홀(131)의 둘레를 따라 배면에 클러치실(135)이 형성되고, 그 클러치실(135)의 내면에는 뒤에서 더욱 설명하는 브레이크 패드(21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홈(137)이 관통홀(131)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브레이크 패드(210)는 링 형상의 스틸 소재로서 이루어지며, 풀리(130)의 배면에 장착되는 바, 클러치실(135) 내면의 장착홈(137)에 끼워지며 본딩 접합된다.
상기 클러치 디스크(220)는 풀리(130)의 클러치실(135) 내부에서 브레이크 패드(210)에 대응하게 배치되며, 그 브레이크 패드(210)에 밀착 가능한 금속 소재의 원판 디스크 형태로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클러치 디스크(220)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으로 구획된 슬롯으로서의 장공(221)이 형성되어 있으며, 브레이크 패드(210)와의 결합 여부에 따라 풀리(130)에 공급되는 동력의 출력 여부가 제어된다.
상기 허브(230)는 풀리(130)의 관통홀(131)에 풀리 베어링(133)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수 개의 스프링 핀들(231)을 통하여 클러치 디스크(220)와 상호 연결된다.
상기에서, 스프링 핀들(231)은 허브(230)의 외주 단부와 클러치 디스크(220)의 내주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바, 그 허브(230)의 외주 단부에 형성된 제1 장착홀(233) 및 클러치 디스크(220)의 내주 단부에 형성된 제2 장착홀(223)에 연결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각 스프링 핀(231)은 제1 및 제2 장착홀(233, 223)을 관통하며 일측 단부가 허브(230)의 외주 단부에 지지되고, 다른 일측 단부는 클러치 디스크(220)의 내주 단부에 지지된다.
상기 리턴 스프링(240)은 클러치 디스크(220)와 허브(230) 사이에서 스프링 핀(231)에 장착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서 이루어지며, 클러치 디스크(220)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필드 코일(260)은 외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을 인가받아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풀리(130)의 클러치실(135) 내부에서 클러치 디스크(220)의 배면에 대응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필드 코일(260)은 자기력에 의해 자화될 수 있는 코일 케이스(261)에 설치되는 바, 그 코일 케이스(261)에 커버링 되는 커버(263)에 감싸이며 코일 케이스(261)의 내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코일 케이스(261)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획된 슬롯으로서의 장공(26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 샤프트(270)는 펌프 바디(110)에 펌프 베어링(271)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측 단부가 허브(230)의 중심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 단부는 펌프 바디(110)를 실링하는 실링유닛(273)이 개재된 상태로 언급한 바 있는 임펠러(150)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워터 펌프(100)에 의하면, 우선 필드 코일(26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일반적인 상 태에서 클러치 디스크(220)는 도 2에서와 같이, 리턴 스프링(240)의 탄성력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210)에 밀착된 상태에 있다.
이로써, 엔진의 동력이 벨트를 통해 풀리(130)에 제공되면, 클러치 디스크(220)가 스프링 핀(231)을 통해 허브(230)와 연결되며 브레이크 패드(210)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풀리(130)의 회전에 따라 엔진 동력이 클러치 디스크(220)와 허브(230)를 통해 메인 샤프트(270)에 전달되면서 그 메인 샤프트(270)가 회전하게 되므로, 임펠러(150)는 메인 샤프트(270)에 의해 회전하며 냉각수를 펌핑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은 냉각수의 펌핑은 엔진 회전수가 설정된 기준 회전수를 초과하여 엔진이 고속으로 동작하거나, 엔진 회전수가 기준 회전수 미만이나 냉각수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인 조건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냉각수의 펌핑은 엔진 회전수 및 냉각수의 온도에 관계없이 히터 스위치가 작동 온으로 검출된 경우, 실내의 신속한 난방을 제공하기 위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조건, 이를테면 엔진이 저속으로 동작하거나 냉각수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미만인 조건, 또는 히터 스위치가 작동 오프로 검출된 조건인 경우, 외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필드 코일(260)은 전원을 인가받아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필드 코일(260)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에 의해 코일 케이스(261)가 자화되면서 코일 케이스(261)는 도 3에서와 같이 자기력으로서 클러치 디스크(220)를 잡아 당긴다.
그러면, 상기 클러치 디스크(220)는 리턴 스프링(240)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코일 케이스(261) 쪽으로 이동하면서 브레이크 패드(210)와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클러치 디스크(220)가 브레이크 패드(210)와 분리되면서 클러치 디스크(220)와 브레이크 패드(210)의 연결이 단속되므로, 허브(230)를 통해 메인 샤프트(270)에 전달되는 동력이 차단되면서 풀리(130)는 공회전을 하게 되고, 임펠러(150)는 회전하지 않게 되면서 냉각수의 펌핑을 중지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워터 펌프(100)는 엔진의 운전 조건과 냉각수의 온도 조건 등에 따라 외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클러치를 전자식으로 작동시켜 풀리(130)의 동력을 임펠러(150)에 전달하거나 차단하게 되므로, 임펠러(150)를 통한 냉각수의 펌핑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배기가스를 정화시키는 촉매의 로딩량을 추가하지 않아도 안정된 에미션을 확보할 수 있어 원가 절감을 제공하고, 배기계 부품이 따로 추가되지 않아 차량의 중량이 감소되어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엔진이 냉각된 상태에서 초기 시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냉각수의 순환이 차단되므로 엔진오일의 온도를 빠르게 높일 수 있어 오일 마찰이 저감되고, 각 구동부품의 마모가 최소화되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엔진의 초기 시동시에 냉각수의 순환을 능동적으로 제어하여 엔진의 활성화 시간 단축과 안정된 연소로 연비 향상을 제공하고, 촉매의 활성화 시간을 단축시켜 에미션 안정화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워터 펌프(100)에 의하면, 필드 코일(26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조건 즉, 클러치 디스크(220)와 브레이크 패드(210)가 리턴 스프링(240)의 탄성력에 의해 밀착된 상태로 임펠러(150)가 회전하며 냉각수를 펌핑하는 경우에서는 클러치 디스크(220)와 브레이크 패드(210) 사이에서 마찰열이 발생하게 된다.
부연 설명하면, 클러치 디스크(220)와 브레이크 패드(210) 사이에서는 운전 조건에 따라 갑작스런 마찰을 발생하므로, 이 때 발생하는 열은 마찰 순간이 짧을수록 크게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 패드(210)가 풀리(130)에 고정되기 때문에, 클러치 디스크(220)의 작동에 의하여 브레이크 패드(210)에서 발생하는 열은 풀리(130)를 통하여 발열된다.
여기서, 클러치 디스크(220)와 브레이크 패드(21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한 브레이크 패드(210)의 표면 온도 상승은 그 마찰력을 떨어뜨리게 되고, 마찰력이 떨어지면 풀리(130)와 클러치 디스크(220) 간의 슬립이 발생되어 클러치 디스크(220)와 브레이크 패드(210)의 마찰 조건을 더욱 악화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마찰력의 저하는 엔진의 회전 동력이 임펠러(150)까지 전달되는 경로에서 동력 전달의 손실을 야기시키고, 동력 전달의 기능을 상실시키는 요인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워터 펌프(100)는 풀 리(130)로 전달되는 마찰열을 방열시키며 외기로서 냉각시키기 위한 방열수단(190)을 지닌 풀리(130)를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열수단(190)은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풀리(130)에 있어 브레이크 패드(210)의 장착 궤적 상에 형성되는 방열공(191) 및 방열홈(192)을 포함한다.
상기 방열공(191)은 풀리(130)의 브레이크 패드(210) 궤적 상에 관통된 방열 구멍으로서 이루어지며, 관통홀(131)의 중심(C)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한 쌍으로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풀리(1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연속적으로 배열된다.
이 때, 상기 풀리(130)의 클러치실(135) 내면에 브레이크 패드(210)가 장착되므로, 그 브레이크 패드(210)의 궤적 상에 형성된 방열공들(191)은 풀리(130)의 정면으로 개방되며 클러치실(135)에서 브레이크 패드(210)에 의해 폐쇄된다(도 3 참조).
그리고, 상기 방열홈(192)은 풀리(130)에 대한 방열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풀리(130)의 브레이크 패드(210)가 장착되는 면의 반대면에 그 브레이크 패드(210)의 궤적(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 개로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방열홈들(192)은 관통홀(131)의 중심(C)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풀리(130)의 정면 방향으로 개방된 반달 모양으로서 이루어지며, 방열공들(191)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풀리(130)에 방열수단(190)으로서 방열공들(191) 및 방열홈들(192)을 형성함에 따라, 클러치 디스크(220)와 브레이크 패드(210)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을 풀리(130)를 통해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풀리(130)의 브레이크 패드(210)가 장착되는 면의 반대면으로 개방된 방열공들(191) 및 방열홈들(192)을 형성하므로, 풀리(130)를 통한 마찰열의 방열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방열공들(191) 및 방열홈들(192)을 통해 방열되는 마찰열을 외기와 직접적으로 접촉시키면서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클러치 디스크(220)와 브레이크 패드(21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열을 풀리(130)를 통하여 적극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으므로, 풀리(130)와 클러치 디스크(220) 간의 마찰력을 떨어뜨리지 않기 때문에 풀리(130)와 클러치 디스크(220) 간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으며, 클러치 디스크(220)를 통한 동력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방열공들(191)이 풀리(130)의 정면으로 개방되며 클러치실(135)에서 브레이크 패드(210)에 의해 폐쇄되므로, 그 방열공들(191)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브레이크 패드(210)와 클러치 디스크(220)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워터 펌프에 적용되는 풀리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적용되는 풀리(330)는 변형 예로서, 방열공들(391)이 관통홀(331)의 중심(C)을 향하면서 브레이크 패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궤적 상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격자 형태로서 배열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방열공들(391)은 브레이크 패드의 궤적 상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서 배치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워터 펌프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워터 펌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워터 펌프에 적용되는 풀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워터 펌프에 적용되는 풀리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중심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배면에 클러치실이 형성되는 풀리;
    상기 풀리의 클러치실 내면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패드;
    상기 풀리의 클러치실 내부에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에 선택적으로 밀착되게 설치되는 클러치 디스크;
    상기 풀리의 관통홀에 풀리 베어링을 통해 결합되고, 외주 단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스프링 핀을 통하여 상기 클러치 디스크와 상호 연결되는 허브;
    상기 클러치 디스크와 상기 허브 사이에서 상기 스프링 핀에 장착되며 상기 클러치 디스크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리턴 스프링;
    상기 풀리의 클러치실 내부에서 상기 클러치 디스크의 배면에 대응하여 코일 케이스와 커버로 감싸여 설치되는 필드 코일; 및
    펌프 바디에 펌프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 단부는 상기 허브의 중심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 단부는 실링 유닛이 개재된 상태로 임펠러와 연결되는 메인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풀리는 상기 브레이크 패드가 장착되는 면의 반대면에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궤적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슬롯 형태의 방열홈들을 형성하고, 상기 방열홈은 상기 관통홀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반달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풀리는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궤적 상에 적어도 하나의 방열공을 형성하고, 상기 방열공과 상기 방열홈이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궤적 상에 원주 방향을 따라 교차로 배치되며,
    상기 방열공은 상기 관통홀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한 쌍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풀리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연속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풀리의 정면으로 개방되고 상기 클러치실에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 펌프.
  5. 삭제
  6. 삭제
KR20090120066A 2009-12-04 2009-12-04 차량용 워터 펌프 KR101509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20066A KR101509687B1 (ko) 2009-12-04 2009-12-04 차량용 워터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20066A KR101509687B1 (ko) 2009-12-04 2009-12-04 차량용 워터 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121A KR20110063121A (ko) 2011-06-10
KR101509687B1 true KR101509687B1 (ko) 2015-04-08

Family

ID=44397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120066A KR101509687B1 (ko) 2009-12-04 2009-12-04 차량용 워터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96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26588A (zh) * 2022-05-31 2022-09-30 东风马勒热系统有限公司 带散热系统的离合器螺线管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665U (ko) * 1997-04-18 1998-11-25 임경춘 클러치 장치
US6915887B2 (en) 2001-11-30 2005-07-12 Linning Trucktec Gmbh Drive member for a water pump of the cooling-water circuit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frictional shift clutch
JP2008520885A (ja) * 2004-11-23 2008-06-19 ダイコ ヨーロッパ エス.アール.エル. コン ウニコ ソシオ 内燃エンジンの冷却回路の再循環ポンプ作動装置
KR100928143B1 (ko) 2008-06-27 2009-11-24 지엠비코리아 주식회사 워터펌프의 전자클러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665U (ko) * 1997-04-18 1998-11-25 임경춘 클러치 장치
US6915887B2 (en) 2001-11-30 2005-07-12 Linning Trucktec Gmbh Drive member for a water pump of the cooling-water circuit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frictional shift clutch
JP2008520885A (ja) * 2004-11-23 2008-06-19 ダイコ ヨーロッパ エス.アール.エル. コン ウニコ ソシオ 内燃エンジンの冷却回路の再循環ポンプ作動装置
KR100928143B1 (ko) 2008-06-27 2009-11-24 지엠비코리아 주식회사 워터펌프의 전자클러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121A (ko)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4405B1 (ko) 차량용 워터 펌프
KR101114395B1 (ko) 차량용 워터 펌프
KR101063496B1 (ko) 클러치 워터펌프와 그것의 제어장치 및 방법
US5060774A (en) Temperature-controlled fan fluid coupling
US20130134008A1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Fluid Coupling Device With Fluid Scavenge Control
US20070022979A1 (en) Coolant pump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0870943B1 (en) Heavy duty viscous fan drive and bracket mounting assembly therefor
US6644933B2 (en) Water pump with electronically controlled viscous coupling drive
JP7016805B6 (ja) 粘性式クラッチ用のモーニングシックネスバルブシステム
US6725812B1 (en) Water pump driven by viscous coupling
JP2010514994A (ja) 重負荷多速度ファンクラッチ用の機械的すべりフェールセーフシステム
KR101448740B1 (ko) 차량용 워터 펌프
KR101509687B1 (ko) 차량용 워터 펌프
KR101509680B1 (ko) 차량용 워터 펌프
KR101448743B1 (ko) 차량용 워터 펌프
KR101448741B1 (ko) 차량용 워터 펌프
KR101448742B1 (ko) 차량용 워터 펌프
KR101234646B1 (ko) 차량용 워터 펌프
KR101601058B1 (ko) 차량용 워터 펌프
KR101145636B1 (ko) 차량용 워터 펌프
KR101575306B1 (ko) 차량용 워터 펌프
KR102474350B1 (ko) 냉각수 펌프유닛, 및 이를 구비한 엔진 냉각시스템
KR20120038300A (ko) 차량용 워터 펌프
US20020121420A1 (en) Fluid fan coupling device
KR20110063110A (ko) 차량용 워터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