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9658B1 -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9658B1
KR101509658B1 KR20130049415A KR20130049415A KR101509658B1 KR 101509658 B1 KR101509658 B1 KR 101509658B1 KR 20130049415 A KR20130049415 A KR 20130049415A KR 20130049415 A KR20130049415 A KR 20130049415A KR 101509658 B1 KR101509658 B1 KR 101509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ntenna pattern
insulating film
terminal portion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9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9420A (ko
Inventor
이재영
임문수
허태현
김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ublication of KR20140099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73Antenna details
    • G06K19/07777Antenna details the antenna being of the inductive type
    • G06K19/07779Antenna details the antenna being of the inductive type the inductive antenna being a coil
    • G06K19/07783Antenna details the antenna being of the inductive type the inductive antenna being a coil the coil being plan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기재의 일면에 배치되는 금속박을 타발하여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안테나 패턴을 절연필름의 일면에 전사하여 제품 동작 신뢰성이 우수한 근거리 무선통신용 안테나 또는 무선충전용 안테나를 제공하며,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이 크게 절감된다.

Description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ANTENNA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안테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 단말에 채용되는 NFC 또는 NFC/WPC 일체형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거리 무선통신(NFC;Near Field Communication)은 휴대용 단말과 외부장치 간에 표준화된 13.56㎒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근거리에서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기술을 말한다. 근거리 무선통신은 결제뿐만 아니라 슈퍼마켓이나 일반 상점에서 물품 정보나 방문객을 위한 여행 정보 전송, 교통출입통제 잠금장치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된다.
최근에는 태블릿,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단말의 시장이 급속이 확대되고 있고, 휴대용 단말은 근거리 무선통신(즉, NFC)을 이용하여 단말 간의 정보 교환, 결제, 티켓 예매, 검색 등의 기능을 포함하는 추세에 있다. 그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에 사용되는 근거리 무선통신용 안테나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근거리 무선통신용 안테나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공법으로 제조된다. 즉, 근거리 무선통신용 안테나는 절연필름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인쇄하여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여 제조된다.
근거리 무선통신용 안테나를 포함한 안테나는 작동 시 발열 문제 및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기설정된 두께 이상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공법으로, 절연필름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인쇄하여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므로 안테나 패턴을 기설정된 두께 이상으로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인쇄된 안테나 패턴에 도금을 추가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인쇄된 안테나 패턴에 도금을 추가로 하므로, 제조 비용이 비싸고,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국내공개특허 제2007-0043922호(2007.04.26) "안테나 모듈용 자심 부재,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정보 단말"
본 발명의 목적은 안테나 패턴의 두께 확보가 용이하고, 제조공정이 간단하며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제품 동작 신뢰성이 우수한 안테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과제는, 기재에 합지된 금속박을 타발하여 루프 형상의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타발된 상기 안테나 패턴을 절연필름에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한 안테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a) 기재에 합지된 금속박을 타발하여 제1 및 제2단자부를 갖는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b) 이웃하는 제1 및 제2단자홀을 갖는 절연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c) 상기 절연필름의 제1단자홀과 상기 안테나 패턴의 제1단자부가 일치하도록 정렬하여 상기 안테나 패턴을 상기 절연필름에 전사하는 단계; 및 d) 상기 절연필름에 전사된 안테나 패턴의 제2단자부를 안테나 패턴과 쇼트되지 않도록 제1단자부 측으로 접어 절연필름의 제2단자홀과 일치시킨 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 안테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PET 필름에 동박을 합지하는 단계; 상기 동박을 타발하여 외측의 제1단자부와 내측의 제2단자부를 갖는 루프 형상의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 패턴을 제외한 동박의 스크랩을 제거하는 단계; 이웃하는 제1 및 제2단자홀을 갖는 절연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절연필름의 제1단자홀과 상기 제1단자부의 단부가 일치하도록 정렬하여 상기 안테나 패턴을 상기 절연필름에 전사하는 단계; 상기 제2단자부의 벤딩시 제2단자부가 겹쳐질 안테나 패턴 부분에 쇼트 방지를 위한 절연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 패턴의 제2단자부를 상기 절연 테이프의 상면으로 벤딩하여 제2단자부의 단부가 상기 제2단자홀과 일치하도록 하는 단계; 벤딩된 상기 제2단자부와 제1단자부의 강도 보강 및 산화 방지를 위한 단자커버시트를 절연필름에 부착하는 단계; 핫 프레스 공정을 이용하여 절연필름에 안테나 패턴을 완전히 접합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의 단부를 TIN 도금하는 단계; 및 최종 설계된 안테나 형상으로 절연필름을 타발하는 단계;를 포함한 안테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기재에 합지된 금속박을 타발하여 형성되며, 복수회 감긴 루프 형상의 안테나 패턴; 및 상기 안테나 패턴이 전사되는 절연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은 금속박으로 형성된 안테나 패턴을 타발로 절연필름에 전사시켜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제품 동작 신뢰성이 우수하다. 또한, 추가의 도금공정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 제조방법의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 제조방법의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 제조방법의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서 전사하는 단계의 서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서 절연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2단자부를 접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서 단자커버시트를 부착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안테나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안테나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서 제1단자부 및 제2단자부의 단부를 벤딩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인 안테나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서 단자커버시트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제조방법은 기재에 합지된 금속박을 타발하여 루프 형상의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타발된 상기 안테나 패턴을 절연필름에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한 안테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또한,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제조방법은, a) 기재에 합지된 금속박을 타발하여 제1 및 제2단자부를 갖는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b) 이웃하는 제1 및 제2단자홀을 갖는 절연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c) 상기 절연필름의 제1단자홀과 상기 안테나 패턴의 제1단자부가 일치하도록 정렬하여 상기 안테나 패턴을 상기 절연필름에 전사하는 단계, 및 d) 상기 절연필름에 전사된 안테나 패턴의 제2단자부를 안테나 패턴과 쇼트되지 않도록 제1단자부 측으로 접어 절연필름의 제2단자홀과 일치시킨 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 안테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상기 기재는 상기 안테나 패턴이 제 형상을 유지하게 하기 위해 제공되는 매우 얇고 투명한 필름이며, 예를 들어, PI필름, PET필름 중 하나 일 수 있으며,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PET필름을 사용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절연필름은 ET 필름 또는 PI 필름인 것을 일 예로 하며, PI필름은 두께가 얇고 유연하며 내열성, 내곡성이 우수하며 치수변경이 적고 열에 강하므로 열을 이용하는 타발된 금속박을 전사하는 경우 절연필름으로 적합하며, PET 필름은 가격이 상대적으로 상기 PI필름보더 저렴한 장점이 있다.
상기 금속박은 알루미늄박(Al foil), 동박(Cu foil) 은박(Ag foil)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상기 기재의 두께는 60~90㎛ 이고, 상기 절연필름의 두께는 25~40㎛ 이며, 상기 금속박의 두께는 10~35㎛이다.
또한, 도 3을 참고하면, PET 필름에 동박을 합지하는 단계, 상기 동박을 타발하여 외측의 제1단자부와 내측의 제2단자부를 갖는 루프 형상의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 패턴을 제외한 동박의 스크랩을 제거하는 단계, 이웃하는 제1 및 제2단자홀을 갖는 절연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절연필름의 제1단자홀과 상기 제1단자부의 단부가 일치하도록 정렬하여 상기 안테나 패턴을 상기 절연필름에 전사하는 단계; 상기 제2단자부의 벤딩시 제2단자부가 겹쳐질 안테나 패턴 부분에 쇼트 방지를 위한 절연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 패턴의 제2단자부를 상기 절연 테이프의 상면으로 벤딩하여 제2단자부의 단부가 상기 제2단자홀과 일치하도록 하는 단계; 벤딩된 상기 제2단자부와 제1단자부의 강도 보강 및 산화 방지를 위한 단자커버시트를 절연필름에 부착하는 단계; 핫 프레스 공정을 이용하여 절연필름에 안테나 패턴을 완전히 접합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의 단부를 TIN 도금하는 단계; 및 최종 설계된 안테나 형상으로 절연필름을 타발하는 단계;를 포함한 안테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를 상기 제1 및 제2단자홀에 일치시키는 것은 상기 제1 및 상기 제2단자부가 상기 제1 및 제2단자홀에 정렬하는 것이고, 서로 크기가 다른 바 1대1로 일치시키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상기 절연필름을 타발하는 단계(600)는 상기 절연필름을 타발하여 최종적으로 설계된 안테나를 제조하는 것으로, 상기 절연필름에서 상기 안테나 패턴의 둘레로 절연필름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도 4를 참고하여, 상기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기재(10)의 일면에 금속박(20)이 점착되어 합지된다. 상기 금속박(20)은 비용 대비 효율이 우수한 동박인 것을 일 예로 하며, 동박 이외에도 안테나 패턴(30)을 형성할 수 있는 어떠한 금속박(20)도 사용이 가능하며, 알루미늄박 또는 은박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금속박(20)은 제조하고자 하는 안테나 패턴(30)에 대응되게 타발된다. 상기 기재(10)는 상기 안테나 패턴(30)에 대응되게 타발된 부분에서 하프 커팅(half Cutting)되어 일면에 상기 안테나 패턴(30)이 타발된 금속박(20)이 점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 상기 안테나 패턴(30)은 상기 제1단자부(34) 및 제2단자부(32)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별도로 단자부를 형성해야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한다. 상기 안테나 패턴(30)은 상기 제1단자부(34)가 안테나 패턴(30)의 외측에 위치하고, 제2단자부(32)가 안테나 패턴(30)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금속박(20)에서 상기 안테나 패턴(30)을 제외한 부분을 제거하면 상기 기재(10)의 일면에는 상기 안테나 패턴(30)만 남게 된다.
상기 안테나 패턴(30)은 복수회 감긴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근거리 무선통신용 안테나 패턴(30a)인 것을 일 예로 하며, 본 발명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용 안테나 패턴(30a)은 사각 루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 상기 절연필름(40)은 상기 절연필름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이웃하는 두 개의 단자홀, 즉, 제1단자홀(41b)과 제2단자홀(41a)이 형성된다. 상기 제1단자홀(41b)은 상기 제1단자부(34)를 상기 절연필름(40)의 이면으로 노출시키는 구멍이고, 상기 제2단자홀(41a)은 상기 제2단자부(32)를 상기 절연필름(40)의 이면으로 노출시키는 구멍이다. 상기 절연필름(40)의 이면은 상기 안테나 패턴(30)이 전사된 면의 반대면이다.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는 각각의 단부가 상기 제1단자홀(41b)과 제2단자홀(41a)에 일치되어 상기 절연필름(40)의 양면에서 각각 노출된다.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에 대한 실시 예는 하기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타발된 상기 안테나 패턴(30)은 상기 절연필름(40)에 전사된다.
상기 전사하는 단계에서, 상기 안테나 패턴(30)이 전사되는 상기 절연필름(40)의 일면에는 상기 절연필름(40)이 접착되는 접착층이 구비된다. 또는, 상기 접착층은 상기 안테나 패턴(30)의 표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접착층은 상기 안테나 패턴(30)이 전사되는 상기 절연필름(40)의 일면 또는 상기 안테나 패턴(30)의 표면 중 어느 한 측에 구비되어 상기 안테나 패턴(30)이 상기 절연필름(40)의 일면에 전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재(10)의 점착층보다 상기 접착층에 더 접착력이 강한 접착제가 구비되어 상기 기재(10)에 점착된 상태로 유지되는 상기 안테나 패턴(30)이 상기 절연필름(40)으로 원활하게 전사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전사하는 단계에서, 상기 안테나 패턴(30)은 제1단자부(34)가 상기 제1단자홀(41b)에 일치되도록 정렬되어 전사된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전사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박(20)에서 상기 안테나 패턴(30)을 제외한 부분을 제거하고, 상기 기재(10)와 상기 절연필름(40)을 겹쳐지도록 배치한 후 열압착하여 상기 안테나 패턴(30)을 상기 절연필름(40)으로 전사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기재(10)는 열압착 후 상기 절연필름(40)에서 분리된다.
상기 안테나 패턴(30)을 제외한 부분은 상기 안테나 패턴(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누를 수 있는 지그로 상기 안테나 패턴(30)을 누른 상태에서 상기 금속박(20)에서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금속박(20)에서 상기 안테나 패턴(30)을 제외한 부분을 제거할 때 상기 안테나 패턴(30)의 일부분도 함께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전사하는 단계는 지그를 이용하여 상기 안테나 패턴(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누른 상태에서 안테나 패턴(30)을 제외한 부분(스크랩)을 상기 기재로부터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전사하는 단계에서, 상기 안테나 패턴(30)의 전사를 위한 열 압착 온도는 70~200℃ 범위이고, 열 압착 시간은 5~10분이며, 압력은 700~1200PSI 범위이다. 상기 기재(10)을 분리하는 과정은 상기 안테나 패턴(30)이 상기 절연필름(40)에 전사된 후 상기 기재(10)을 분리하여 제거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전사하는 단계의 제2실시 예는, 상기 기재(10)에서 상기 안테나 패턴(30)을 분리하여 상기 절연필름(40)에 전사할 수 있다.
상기 전사하는 단계는 상기 안테나 패턴(30)의 형상과 대응되는 진공흡착패턴이 구비된 금형으로 상기 기재(10)에서 상기 안테나 패턴(30)을 진공 흡착하여 분리하고, 분리된 상기 안테나 패턴(30)을 상기 절연필름(40)의 일면에 직접 전사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금형에서 진공흡착패턴을 상기 안테나 패턴(30)에 대응되게 위치시킨 후 상기 진공흡착패턴으로 상기 안테나 패턴(30)을 흡착하여 상기 기재(10)과, 상기 금속박(20)에서 상기 안테나 패턴(30)을 제외한 부분을 한꺼번에 분리하여 제거한 후 상기 안테나 패턴(30)을 상기 절연필름(40)의 일면에 직접 전사한다.
상기 전사하는 단계의 제2실시예는 자동화가 가능하여 작업 시간이 단축된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전사하는 단계의 제3실시 예는, 상기 기재(10)과 상기 절연필름(40)에 겹쳐지게 배치하고 상기 안테나 패턴(30)이 형성된 부분에만 열을 가해 압착하는 과정 및 상기 기재(10)을 상기 절연필름(40)에서 분리하여 상기 기재(10)과 상기 금속박(20)에서 상기 안테나 패턴(30)을 제외한 부분(스크랩)을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전사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박(20)에서 상기 안테나 패턴(30)을 제외한 부분을 제거하지 않고 이루어진다. 즉, 상기 금속박(20)에서 상기 안테나 패턴(30)이 타발 되어진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금속박(20)의 표면에 상기 절연필름(40)이 맞붙게 되고, 상기 안테나 패턴(30)이 형성된 부분만 열을 가해 압착하여 상기 안테나 패턴(30)만 상기 절연필름(40)에 전사되도록 한다. 상기 안테나 패턴(30)만 상기 절연필름(40)에 전사된 상태에서 상기 기재(10)을 분리하면 상기 기재(10)과 함께 상기 금속박(20)에서 상기 안테나 패턴(30)을 제외한 부분도 분리되어 제거된다.
상기 안테나 패턴(30)을 타발로 절연필름(40)의 일면에 전사하는 단계(200)의 제3실시예는 상기 기재(10)과 상기 금속박(20)에서 상기 안테나 패턴(30)을 제외한 부분을 함께 제거된다.
따라서, 별도의 전사 과정이 필요없어 작업 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전사 작업 시 상기 안테나 패턴(30)의 위치가 틀어지는 불량도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제조 방법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절연필름(40)의 이면에 상기 안테나 패턴(30)의 단자부를 별도로 형성하고, 상기 단자부와 상기 안테나 패턴을 연결하는 연결용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30)의 단자부는 상기 안테나 패턴(30)의 양단부와 각각 연결될 수 있게 2개 형성된다. 상기 단자부와 상기 연결용 패턴은 도전성 패이스트를 스크린 인쇄하여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도전성 페이스트는 은 페이스트, 구리 페이스트, 실버코티드 카파 페이스트 중 선택된 1종일 수 있다. 실버코티드 카파 페이스트는 구리(Cu)의 표면에 은(Ag)이 코팅된 형태의 금속 입자를 활용한 인쇄용 금속 페이스트이다.
스크린 인쇄 후에는 열풍 또는 근적외선 방사를 이용하여 단자부 또는 연결용 패턴을 건조한다. 스크린 인쇄를 통해 단자부와 연결용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에칭과정이 생략되어 패턴 형성공정이 간단하다. 상기 단자부 또는 상기 연결용 패턴은 도금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동도금, 니켈도금, 금도금 중 하나로 도금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금도금은 접촉저항 및 단자 산화방지 등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며, 전해 도금, 무전해 도금, 스퍼터링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이 중, 금도금은 비용문제를 인해 무전해 도금이 가장 적합하다. 무전해 도금을 이용한 단자부의 금도금은 단자부에 니켈을 먼저 무전해 도금한 후 그 위에 금을 무전해 도금하여 환원반응으로 금을 도금한다.
이 경우, 상기 절연필름(40)에는 상기 안테나 패턴의 양 단부에 상기 연결용 패턴과 연결을 위한 비아홀을 형성한다. 상기 비아홀은 상기 안테나 패턴을 상기 연결용 패턴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안테나 패턴이 절연필름(40)의 일면에 전사되면 비아홀을 덮게 된다. 그리고, 비아홀을 통해 상기 안테나 패턴은 연결용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8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상기 고정하는 단계는, 제2단자부(32)가 겹쳐질 상기 안테나 패턴 부분에 절연 테이프(50)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 패턴(30)의 제2단자부(32)를 상기 절연 테이프(50)의 상면으로 접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의 강도 보강 및 산화 방지를 위한 단자커버시트(60)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사하는 단계는 상기 제1단자부(34)의 단부가 상기 제1단자홀(41b)에 일치되도록 상기 안테나 패턴(30)을 상기 절연필름(40)에 전사한다.
상기 제1단자부(34)와 상기 제2단자부(32)는 각각 상기 안테나 패턴(30)의 외측과 내측에서 각각 상기 안테나 패턴(30)에 연결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단자부(34)와 상기 제2단자부(32)는 양 단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의 연장선에서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콘넥터와의 연결 시 편의성을 위해 상기 제1단자부(34)와 상기 제2단자부(32)는 상기 안테나 패턴(30)의 외측에서 서로 이격되고 나란하게 이웃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2단자부(32)를 상기 절연필름(40)에서 분리하여 상기 안테나 패턴부(31)의 외측 방향으로 접어 상기 제1단자부(34)와 나란하게 배치한다.
그런데, 상기 제2단자부(32)를 접어 상기 제1단자부(34)와 나란하게 배치하면, 상기 제2단자부(32)가 상기 안테나 패턴부(31)에 겹쳐지게 되어 전기적 접속 즉, 쇼트가 발생한다. 상기 제2단자부(32)와 상기 안테나 패턴(30)을 절연시키기 위해 상기 안테나 패턴(30)에 절연 테이프(50)를 부착한다.
상기 절연 테이프(50)는 상기 제2단자부(32)가 접혀져 겹쳐지는 상기 안테나 패턴(30)의 일부분에 부착되며, 적어도 일면에 접착제가 구비된 테이프 형태로 부착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절연 테이프(50)는 양 측단부 중 어느 한 측단부가 상기 제2단자부(32)가 접힘 부분과 일치되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상기 제2단자부(32)는 상기 안테나 패턴(30)의 단부 측에서 꺾여진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절연 테이프(50)는 측단부가 상기 안테나 패턴(30)의 측단부와 일치되게 부착된다. 상기 측단부는 상기 제2단자부(32)의 측단부가 연결되는 상기 안테나 패턴(30)의 측단부이다. 상기 제2단자부(32)는 상기 안테나 패턴(30)과 연결되는 부분에서 접혀져 상기 안테나 패턴(30)과 연결 상태를 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단자부(32)를 접어 상기 제1단자부(34)에 나란하게 위치시키고, 상기 제2단자부(32)의 단부가 상기 제2단자홀(41b)에 일치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1단자부(34)와 상기 제2단자부(32)의 단부는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 두개의 상기 제1단자홀(41b)과 제2단자홀(41a)에 일치되어 각각 상기 절연필름(40)의 이면으로 노출된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단자커버시트(60)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한 바와 같이 나란하게 배치된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의 일부분을 덮어 커버하는 단자커버시트(60)를 상기 절연필름(40)에 부착하는 것이다. 상기 단자커버시트(60)는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의 강도 보강 및 산화 방지를 한다.
상기 단자커버시트(60)는 적어도 일면에 접착제가 구비된 테이프 형태로 부착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단자커버시트(60)는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하는 단자 노출구멍(61)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 노출구멍(61)은 상기 제1단자홀(41b)과 제2단자홀(41a)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단자 노출구멍(61)은 상기 단자 노출구멍(61)으로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가 노출되면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단자커버시트(60)가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와 일부분 겹치도록 형성된다.
상기 단자커버시트(60)는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의 강성을 보강하여 납땜 등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가 손상되거나, 접속부분이 단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안테나 패턴(30)은 핫 프레스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절연필름(40)에 완전히 접합되어 상기 안테나 패턴(30)과 상기 절연필름(40)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의 단부는 다른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외부로 노출되므로, 강도 증대 및 산화 방지를 위해 TIN도금을 하는 단계로 도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안테나의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안테나 패턴(30)이 전사되고, 상기 단자커버시트(60)를 부착하는 단계가 완료된 절연필름(40)은 최종 설계된 안테나 형상으로 타발되어 안테나의 제조가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 타발하는 단계는, 상기 절연필름(40)의 제1 및 제2단자부(34, 32)의 단부 사이에 홈이 형성되도록 타발하여 단자간 쇼트를 방지한다.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제조방법에서, 상기 안테나 패턴(30)은 복수회 감긴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무선충전용 안테나 패턴(3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 패턴(30b)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복수회 감기는 루프 형상으로 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용 안테나 패턴(30a)과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 패턴(30b)은 효과적인 작동을 위해 기설정된 두께 이상의 확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기설정된 두께 이상의 금속박(20)을 타발로 상기 절연필름(40)에 직접 전사하므로 저비용으로 안테나 패턴(30)의 두께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30)은 복수회 감긴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근거리 무선통신용 안테나 패턴(30a)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용 안테나 패턴(30a)의 안쪽에 배치되며 복수회 감긴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무선충전용 안테나 패턴(30b)을 포함한다.
즉, 상기 안테나 패턴(30)을 형성하는 단계(100)는 상기 금속박(20)을 타발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용 안테나 패턴(30a)과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 패턴(30b)을 형성한다.
상기 금속박(20)에 타발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용 안테나 패턴(30a)과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 패턴(30b)은 상기 절연필름(40)의 일면에 전사된다.
이후에는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제조방법의 실시 예를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근거리 무선통신용 안테나 패턴(30a)과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 패턴(30b)이 함께 타발되어 전사된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용 안테나 패턴(30a)은 양 단부에 제1 및 제2단자부(34, 32)가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하는 단계를 통해 제1 및 제2단자부(34, 32)가 나란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절연필름(40)의 이면에는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 패턴(30b)의 단자부(30c) 및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와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 패턴(30b)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용 패턴(30d)을 형성한다.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 패턴(30b)의 단자부(30c)는 무선충전용 패턴의 양 단부가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 패턴(30b)의 양단부와 각각 연결될 수 있게 2개 형성된다.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 패턴(30b)의 단자부(30c)와 상기 연결용 패턴(30d)은 도전성 패이스트를 스크린 인쇄하여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도전성 페이스트는 은 페이스트, 구리 페이스트, 실버코티드 카파 페이스트 중 선택된 1종일 수 있다. 실버코티드 카파 페이스트는 구리(Cu)의 표면에 은(Ag)이 코팅된 형태의 금속 입자를 활용한 인쇄용 금속 페이스트이다.
스크린 인쇄 후에는 열풍 또는 근적외선 방사를 이용하여 연결용 패턴(30d)을 건조한다. 스크린 인쇄를 통해 연결용 패턴(30d)을 형성하는 경우 에칭과정이 생략되어 패턴 형성공정이 간단하다.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 패턴(30b)의 단자부(30c) 또는 상기 연결용 패턴(30d)은 도금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동도금, 니켈도금, 금도금 중 하나로 도금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금도금은 접촉저항 및 단자 산화방지 등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며, 전해 도금, 무전해 도금, 스퍼터링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이 중, 금도금은 비용문제를 인해 무전해 도금이 가장 적합하다. 무전해 도금을 이용한 단자부의 금도금은 단자부에 니켈을 먼저 무전해 도금한 후 그 위에 금을 무전해 도금하여 환원반응으로 금을 도금한다. 또한, 상기 절연필름(40)에는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 패턴(30b)의 양 단부에 상기 연결용 패턴(30d)과 연결을 위한 비아홀(30e)을 형성한다.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 패턴(30b)의 단자부(30c)는 근거리 무선통신용 패턴과 무선충전용 안테나 패턴(30b)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근거리 무선통신용 안테나 패턴(30a)과 무선충전용 안테나 패턴(30b)이 절연필름(40)의 일면에 전사되면 무선충전용 안테나 패턴(30b)은 비아홀(30e)을 덮게 된다. 그리고, 비아홀(30e)을 통해 무선충전용 안테나 패턴(30b)은 단자부(30c)와 연결되는 연결용 패턴(30d)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제조방법은, 상기 제2단자부(32)의 벤딩 후, 상기 절연필름(40)의 제1 및 제2단자홀(41b, 41a)에 위치되는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의 단부를 절연필름(40)의 이면으로 접어 접혀진 상기 제1단자부(34)의 사이와 상기 제2단자부(32)의 사이에 각각 절연필름이 개재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절연필름이 개재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를 접어 제1 및 제2단자부(34, 32)의 강성을 보강하여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가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와 접속되는 콘넥터와의 접속을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는 중앙에 중공이 형성된 타원 또는 원형의 형상을 가져 절반이 접혀져 겹쳐지게 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의 단부는 각각 상기 절연필름(40)의 이면 측으로 접혀지고, 상기 제1단자부(34)의 사이와 상기 제2단자부(32)의 사이에는 상기 제1단자부(34)의 단부 및 상기 제2단자부(32)의 단부 테두리를 따라 안쪽으로 상기 절연필름(40)의 일부분이 개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의 단부를 각각 절연필름(40)의 이면 측으로 접으면 상기 절연필름(40)의 양면에 각각 상기 단자커버시트(60)를 부착하여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의 강성을 보강하고, 산화를 방지한다.
도 10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는, 기재에 합지된 금속박을 타발하여 형성되며, 복수회 감긴 루프 형상의 안테나 패턴(30) 및 상기 안테나 패턴(30)이 전사되는 절연필름(40)을 포함한다. 상기 절연필름은 PET 필름 또는 PI 필름이고, 상기 금속박은 알루미늄박(Al foil), 동박(Cu foil) 은박(Ag foil)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상기 절연필름의 두께는 25~40㎛ 이며, 상기 금속박의 두께는 10~3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테나 패턴(30)의 양 단부에는 제1 및 제2단자부(34, 32)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안테나 패턴(30)은 복수로 감겨진 루프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제2단자부(32)는 상기 안테나 패턴(30)의 안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1단자부(34)는 바깥 측에 배치된다. 콘넥터와의 연결 시 편의성을 위해 상기 제1단자부(34)와 상기 제2단자부(32)는 상기 안테나 패턴(30)의 외측에서 서로 이격되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테나 패턴(30)은 안쪽으로 배치된 상기 제2단자부(32)가 상기 안테나 패턴(30)의 외측으로 벤딩되어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가 나란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는, 상기 제2단자부(32)가 벤딩되어 겹쳐질 때 상기 안테나 패턴(30)과 겹쳐져 접촉되는 부분에 부착되는 절연 테이프(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 테이프(50)는 상기 제2단자부(32)가 벤딩되어 상기 안테나 패턴(30)과 접속되는 부분에서 상기 안테나 패턴(30)의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여 쇼트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절연 테이프(50)는 양 측단부 중 어느 한 측단부가 상기 제2연결 패턴부(33)가 접힘 부분과 일치되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단자부(32)를 상기 절연필름(40)에서 분리하여 상기 안테나 패턴(30)의 외측 방향으로 접어 상기 제1단자부(34)와 나란하게 배치한다.
상기 절연필름(40)에는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를 상기 절연필름(40)의 이면으로 노출시키는 단자홀 즉, 제1, 2단자홀(41b, 4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2단자홀(41b, 41a)은 상기 절연필름(40)의 양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의 접속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안테나 패턴(30)은 복수로 감기는 루프 형상을 가지는 근거리 무선통신용 안테나 패턴(30a), 및 복수로 감기는 루프 형상을 가지며 근거리 무선통신용 안테나 패턴의 안쪽에 배치되는 무선충전용 안테나 패턴(40b)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단자부(34)와 상기 제2단자부(32)는 양 단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의 연장선에서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다.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안테나 패턴(30)에서 상기 제2단자부(32)의 벤딩부에는 안테나 패턴(30)의 폭을 확대시키는 확장 패턴부(3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 패턴부(36)는 상기 접힘 부분에서의 접속면적을 증대시켜 접혀진 부분에서 상기 안테나 패턴(30)이 단락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확장 패턴부(36)는 상기 안테나 패턴(30)의 단부 측에서 꺽여진 형태로 배치되는 상기 제2단자부(32)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 구비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확장 패턴부(36)는 상기 안테나 패턴(30)과 상기 제2단자부(32)가 연결되는 부분에서 폭을 증대시키고, 상기 제2단자부(32)는 상기 안테나 패턴(30)과 연결되는 부분에서 접혀진다.
도 16 및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안테나 패턴(30)은 안쪽에 배치되는 제2단자부(32)와 바깥측에 배치되는 제1단자부(34)가 있고, 상기 안테나 패턴(30)의 안쪽에서 제2단자부(32)는 상기 제1단자부(34)와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꺽여진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제2단자부(32)는 꺽여진 부분에서 일단부까지의 중간에서 접혀져 접힌부분에서 꺽여진 부분까지 겹쳐지고, 상기 일단부가 타단부와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2단자부(32)에서 접힘 부분은 상기 안테나 패턴(30)의 안쪽에서 상기 절연 테이프(5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서로 겹쳐진다. 이는 상기 안테나 패턴(30)의 안쪽에 형성된 제2단자부(32)를 상기 안테나 패턴(30)의 바깥측에 형성된 단자부(34)의 옆에 나란하게 배치하기 위해서 상기 제2단자부(32)의 일단부측 일부분을 접을 경우 접힌 부분에서 단락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단자부(32)는 꺽여진 부분에서 접혀진 부분까지 겹쳐지므로 접혀진 부분에서 단락이 발생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안테나 패턴(30)과 제2단자부(32)를 연결하여 안테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안정적으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벤딩된 상기 제2단자부(32)는 접혀져 상기 타단부에 형성된 상기 제1단자부(34)의 옆에 이웃하여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2단자홀(41b, 41a)이 형성된 경우 그 단부가 각각 상기 제1, 2단자홀(41b, 41a)에 정확하게 일치되어야 하므로 접혀지는 위치가 정확해야 한다.
상기 제2단자부(32)에는 상기 제2단자부(32)의 벤딩 부분을 안내하는 접힘 가이드 홈(36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힘 가이드 홈(36a)은 상기 제2단자부(32)가 벤딩될 때 상기 제2단자부(32)의 단부를 정확한 위치로 배치시킨다. 또한 접힘 부분에서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확장 패턴부(3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힘 가이드 홈(36a)이 형성된 부분에서 안테나 패턴(30)의 폭이 좁아지므로, 상기 제2단자부(32)의 접힘부분에 확장 패턴부(36)를 형성하고, 상기 확장 패턴부(36)에 상기 제2단자부(32)의 접힘 부분을 안내하는 접힘 가이드 홈(36a)이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제2단자부(32)는 꺽여진 부분이 서로 겹쳐지게 접혀져 접힘 부분에서의 접촉면적이 증대된다. 일 예로, 상기 제2단자부(32)는 하부 측으로 꺽여져 형성되고, 중간부분을 상부 측으로 접어 단부가 상기 안테나 패턴(30)의 바깥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2단자부(32)는 상부 측으로 일직선으로 접혀져 상기 제1단자부(31)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접힘 가이드 홈(36a)은 상기 확장 패턴부(36)의 양 측에 구비될 수도 있고, 일 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접힘 가이드 홈(36a)은 노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접힘 가이드 홈(36a)은 상기 제2단자부(32)의 일부분이 접혀져 상기 제1단자부(34)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는 점힘 위치를 안내한다.
더 상세하게, 상기 접힘 가이드 홈(36a)은 상기 제2단자부(32)의 접힘 위치를 안내하여 상기 제2단자부(32)가 접혀져 상기 제1단자부(34)와 이격되게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2)의 단부가 각각 상기 제1단자홀(41b)과 제2단자홀(41a)에 일치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의 단부는 선대칭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선대칭구조의 단부가 상기 제1, 2단자홀(41b, 41a)에서 상기 절연필름(4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절연필름(40)의 이면으로 벤딩된다.
도 1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는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의 단부를 노출되도록 하는 단자 노출구멍(61)이 형성된 단자커버시트(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단자커버시트(60)는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의 강도 보강 및 산화방지를 위해 상기 절연필름(40)에 부착된다. 상기 단자커버시트(60)는 적어도 일면에 접착제가 구비된 테이프 형태로 부착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단자 노출구멍(61)은 상기 제1, 2단자홀(41b, 41a)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단자커버시트(60)는 상기 단자 노출구멍(61)으로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가 노출되도록 부착된다. 상기 단자 노출구멍(61)은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단자커버시트(60)가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의 단부와 일부분이 겹쳐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단자 노출구멍(61)에는 그 단자 노출구멍(51)을 가로질러 단자커버시트(30)를 연결하는 연결부(62)가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62)는 양 단부가 상기 단자 노출구멍(61)을 가로 질러 상기 단자커버시트(60)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62)는 상기 단자커버시트(6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양 단부측이 상기 단자커버시트(60)에 부착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커버시트(60)는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와 연결된 상기 안테나 패턴(30)의 일부분을 커버하여 상기 단자부(32, 34)의 연결부분에서의 단락을 방지한다.
즉, 상기 단자커버시트(60)는 상기 제1단자부(34) 및 상기 제2단자부(32)를 노출시키는 2개의 단자 노출구멍(6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 패턴부(35)와 상기 제2연결 패턴부(33)를 커버한다.
상기 단자커버시트(60)는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가 상기 절연필름(40)의 이면 측으로 접혀진 경우 상기 절연필름(40)의 양면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절연필름(40)의 양면으로 노출된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의 강성을 보강하여 납땜 등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의 단락을 방지한다.
도 9의 A부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는 외측 테두리를 따라 일부분만 상기 단자커버시트(60)에 의해 덮여지고, 접속의 원활함을 위해 대부분이 상기 단자 노출구멍(61) 또는 상기 제1, 2단자홀(41b, 41a)을 통해 노출된다.
또한, 상기 안테나 형상으로 상기 절연 시트를 타발할 때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의 사이에는 상기 제1, 2단자홀(41b, 41a)에 위치된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간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홈(60a)가 형성된다. 상기 홈(60a)은 U자형을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단자부(32, 34)가 상기 단자커버시트(60)에 의해 덮여지는 부분은 두께(t)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일부분만이므로, 상기 단자 노출구멍(61)이 벌어지면서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가 손상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62)는 상기 단자 노출구멍(61)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34, 32)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일부분이 상기 단자커버시트(60)에 의해 덮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절연필름(40)에 금속박(20)을 타발한 안테나 패턴(30)을 전사를 통해 부착시켜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제품 동작 신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을 크게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 : 기재 20 : 금속박
30 : 안테나 패턴 40 : 절연필름
50 : 절연 테이프 60 : 단자커버시트

Claims (3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a) 기재에 합지된 금속박을 타발하여 제1 및 제2단자부를 갖는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b) 이웃하는 제1 및 제2단자홀을 갖는 절연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c) 상기 절연필름의 제1단자홀과 상기 안테나 패턴의 제1단자부가 일치하도록 정렬하여 상기 안테나 패턴을 상기 절연필름에 전사하는 단계; 및
    d) 상기 절연필름에 전사된 안테나 패턴의 제2단자부를 안테나 패턴과 쇼트되지 않도록 제1단자부 측으로 접어 절연필름의 제2단자홀과 일치시킨 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PET 필름 이고, 상기 절연필름은 PET 필름 또는 PI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은 알루미늄박(Al foil), 동박(Cu foil) 은박(Ag foil)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두께는 60~90㎛ 이고, 상기 절연필름의 두께는 25~40㎛ 이며, 상기 금속박의 두께는 10~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안테나 패턴은,
    안테나 패턴의 제1단자부가 안테나 패턴의 외측에 위치하고, 제2단자부가 안테나 패턴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제조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지그를 이용하여 상기 안테나 패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누른 상태에서 안테나 패턴을 제외한 부분(스크랩)을 상기 기재로부터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제조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안테나 패턴의 형상과 대응되는 진공흡착패턴이 구비된 금형으로 상기 기재에서 상기 안테나 패턴을 진공 흡착하여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제조방법.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기재와 상기 절연필름을 겹쳐 배치하고 상기 기재의 안테나 패턴이 형성된 부분에만 열을 가해 압착하는 과정; 및
    상기 기재를 상기 절연필름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금속박에서 상기 안테나 패턴을 제외한 부분(스크랩)을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제조방법.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제2단자부가 겹쳐질 안테나 패턴 부분에 절연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
    안테나 패턴의 제2단자부를 상기 절연 테이프의 상면으로 접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의 강도 보강 및 산화 방지를 위한 단자커버시트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제조방법.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필름의 제1 및 제2단자홀에 위치되는 안테나 패턴의 제1 및 제2단자부의 단부를 절연필름의 이면으로 접어 접혀진 단자부의 단부 사이에 절연필름이 개재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제조방법.
  16. PET 필름에 동박을 합지하는 단계;
    상기 동박을 타발하여 외측의 제1단자부와 내측의 제2단자부를 갖는 루프 형상의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 패턴을 제외한 동박의 스크랩을 제거하는 단계;
    이웃하는 제1 및 제2단자홀을 갖는 절연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절연필름의 제1단자홀과 상기 제1단자부의 단부가 일치하도록 정렬하여 상기 안테나 패턴을 상기 절연필름에 전사하는 단계;
    상기 제2단자부의 벤딩시 제2단자부가 겹쳐질 안테나 패턴 부분에 쇼트 방지를 위한 절연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 패턴의 제2단자부를 상기 절연 테이프의 상면으로 벤딩하여 제2단자부의 단부가 상기 제2단자홀과 일치하도록 하는 단계;
    벤딩된 상기 제2단자부와 제1단자부의 강도 보강 및 산화 방지를 위한 단자커버시트를 절연필름에 부착하는 단계;
    핫 프레스 공정을 이용하여 절연필름에 안테나 패턴을 완전히 접합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의 단부를 TIN 도금하는 단계; 및
    최종 설계된 안테나 형상으로 절연필름을 타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자부의 벤딩 후, 상기 절연필름의 제1 및 제2단자홀에 위치되는 안테나 패턴의 제1 및 제2단자부의 단부를 절연필름의 이면으로 접어 접혀진 단자부의 단부 사이에 절연필름이 개재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필름을 타발하는 단계는, 상기 절연필름의 제1 및 제2단자부의 단부 사이에 홈이 형성되도록 타발하여 단자간 쇼트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제조방법.
  19. 제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20. 기재에 합지된 금속박을 타발하여 형성되며, 복수회 감긴 루프 형상의 안테나 패턴; 및
    상기 안테나 패턴이 전사되는 절연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 패턴은 제1 및 제2단자부를 구비하며, 상기 안테나 패턴의 안쪽에 배치된 제2단자부가 절연테이프의 개재하에 상기 안테나 패턴의 외측으로 벤딩되어 상기 제1단자부와 제2단자부가 나란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필름은 PET 필름 또는 PI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은 알루미늄박(Al foil), 동박(Cu foil) 은박(Ag foil)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필름의 두께는 25~40㎛ 이며, 상기 금속박의 두께는 10~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24. 삭제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자부에는 벤딩을 안내하기 위한 벤딩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자부의 벤딩부에는 단자부의 폭을 확대시킨 확장 패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패턴부에는 상기 제2단자부의 벤딩을 안내하기 위한 벤딩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의 강도 보강 및 산화 방지를 위하여 절연필름에 부착되는 단자커버시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자커버시트는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의 단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단자 노출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노출구멍은 상기 단자부의 단부 테두리를 따라 상기 단자커버시트가 상기 단자부의 단부와 일부분이 겹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노출구멍에는 그 단자 노출구멍을 가로지르는 연결부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3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필름에는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의 단부를 절연필름의 이면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단자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단자홀에는 그 단자홀을 가로지르는 연결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단자부의 단부는 선대칭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선대칭 구조의 단부가 상기 제 1 및 제 2 단자홀에서 절연필름을 사이에 두고 절연필름의 이면으로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필름에서 제1 및 제2단자홀 사이에는 상기 제1 및 제2단자홀에 위치된 단자부간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35. 제20항 내지 제23항 및 제25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은 근거리 무선 통신용 안테나 패턴; 및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용 안테나 패턴의 안쪽에 배치되는 무선 충전용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KR20130049415A 2013-02-01 2013-05-02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 KR1015096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1949 2013-02-01
KR1020130011949 2013-0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420A KR20140099420A (ko) 2014-08-12
KR101509658B1 true KR101509658B1 (ko) 2015-04-08

Family

ID=51745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9415A KR101509658B1 (ko) 2013-02-01 2013-05-02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96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20221B2 (en) 2015-05-22 2019-06-1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Wireless power charging system
KR102414139B1 (ko) * 2021-11-04 2022-06-28 임채현 2차에 걸쳐 타발을 수행하여 특정 형상 또는 특정 회로를 구현하기 위한 전도체의 제조 방법
KR102583974B1 (ko) * 2023-05-25 2023-09-26 주식회사 케이앤에스아이앤씨 위성안테나용 반사판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6275A (ko) * 2010-05-17 2011-11-23 강민정 동박회로 안테나의 제조방법
KR20120105237A (ko) * 2011-03-15 2012-09-25 (주)이모트 루프 안테나, 그에 적합한 루프 안테나 제조 방법 그리고 알에프아이디 카드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6275A (ko) * 2010-05-17 2011-11-23 강민정 동박회로 안테나의 제조방법
KR20120105237A (ko) * 2011-03-15 2012-09-25 (주)이모트 루프 안테나, 그에 적합한 루프 안테나 제조 방법 그리고 알에프아이디 카드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420A (ko) 2014-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2383B2 (en) Wireless charging coil
CN105934804B (zh) 无线充电线圈
CN105977613B (zh) 天线装置及通信终端装置
JP5737413B2 (ja) 通信端末装置
JP4367013B2 (ja) 非接触通信媒体
CN204614955U (zh) 天线装置及通信终端设备
CN102243722B (zh) 无线ic器件
CN207250728U (zh) 天线装置以及电子设备
KR102022706B1 (ko) 안테나 모듈
KR101509658B1 (ko)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
CN113543476B (zh) 电路板组件及其制作方法、以及显示装置
KR101607834B1 (ko) 연성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연성인쇄회로기판
KR101576621B1 (ko)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
KR101607835B1 (ko)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
US20150028106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mart Card
CN209544597U (zh) 天线模块和包括天线模块的电子装置
JP4771106B2 (ja) Rfid用アンテナ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55735A (ko) 알에프아이디 안테나 제조방법
CN110137679B (zh) 一种nfc天线装置及其制造方法
KR101320873B1 (ko) Nfc 안테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nfc 안테나
JP2015106331A (ja) デュアルicカード
TWI781590B (zh) 導線平行嵌入式無線充電天線
CN208188872U (zh) 元器件内置装置及rfid标签
KR101285195B1 (ko) 엔에프시용 루프안테나 제조방법
JP2002280252A (ja) コンデンサ、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及びidタ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