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9261B1 - 시트 조절 펌핑 앗세이 - Google Patents

시트 조절 펌핑 앗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9261B1
KR101509261B1 KR20090014320A KR20090014320A KR101509261B1 KR 101509261 B1 KR101509261 B1 KR 101509261B1 KR 20090014320 A KR20090014320 A KR 20090014320A KR 20090014320 A KR20090014320 A KR 20090014320A KR 101509261 B1 KR101509261 B1 KR 101509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gear shaft
seat
pumping
frictio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14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5175A (ko
Inventor
강신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20090014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9261B1/ko
Publication of KR20100095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5Gear wheel driven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펌핑 앗세이(펌핑 디바이스)는 시트 조절된 클러치 작동 력을 보존하는 브레이크 유닛(7)에 대한 마찰력 산포를 균일하게 형성하는 마찰 재(11)가 환형 고리형상을 이루면서 위·아래 부위가 서로 단차 간격 A를 갖음과 더불어, 안쪽 면이 안쪽 공간으로 튀어나온 접촉 단(15)을 형성해 줌에 따라, 기어 축(9)을 감싼 후 클러치가 수용된 하우징(1)에 결합된 커버(2)가 조립되면, 상기 기어 축(9)과 커버(2)사이 공간에서 압축 변형을 일으켜 항상 균일한 마찰력 산포를 제공하면서 상대 부품과의 안정된 결합 조건 형성은 물론, 작동 시 기어 슬립이나 작동 력 과다 또는 미약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특징이 있게 된다.
마찰력 산포, 마찰 재, 펌핑

Description

시트 조절 펌핑 앗세이{Seat height adjusting pumping assembly}
본 발명은 시트 조절 펌핑 앗세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품간 누적 공차 흡수로 일정한 마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시트 조절 펌핑 앗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시트는 시트 등받이 각도 조절을 위한 리클라이너가 구비된다.
이와 더불어, 시트 트랙을 따라 시트 전체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는 워크 인 장치와 같은 편의 장치도 구비되는데, 이러한 워크 인 장치는 시트를 이동 간격을 조절하고 시트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즉, 최전방 위치로 시트를 이동한 후 고정 상태로 전환시켜 주는 시트 트랙과 연동되도록 설치되어진다.
또한, 상기 시트 트랙 내부로는 링크수단을 설치하고, 이러한 링크수단을 시트 외측으로 설치된 손잡이에 연결해 시트 쿠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시트 높이조절 장치를 더 구비할 수도 있게 된다.
이러한 시트 높이조절 장치는 통상적으로, 시트 쿠션 내에서 시트쿠션의 링크수단과 연결되어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다양한 구조의 펌핑 디바이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펌핑 디바이스는 일례로, 레버의 업·다운 동작을 시트 쿠션의 링크수단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수단과, 동작 완료된 시트쿠션의 링크수단을 움직이지 못하게 구속하는 브레이크 수단으로 구성되어진다.
이와 더불어, 펌핑 디바이스 작동 시 시트 쿠션을 올려주는 링크수단이 힌지 결합 부위를 이용해 원활한 상승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회전 링크 앗세이를 갖추게 된다.
이러한 펌핑 디바이스는 클러치 수단과 브레이크 수단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커버간 오버 랩(Overlap) 공차 즉, 하우징의 입구 부위를 막도록 커버가 결합될 때 발생하는 오버 랩(Overlap) 공차를 적절하게 일례로, 약 0.55mm ~ 0.8mm를 갖도록 조립해 주게 된다.
하지만, 펌핑 디바이스를 이루는 하우징과 커버간 오버 랩(Overlap) 공차는 실제적으로 약 0.55mm ~ 0.8mm 범위를 갖지 못하고, 각 기계 요소들 공차와 같은 여러 요인으로 인해 실제적으로 약 -0.1mm ~ 0.8mm 정도의 오버 랩(Overlap) 공차를 갖게 되고, 이러한 오버 랩(Overlap) 공차로 인해 펌핑 디바이스의 품질 불량을 야기하게 된다.
일례로, 펌핑 디바이스의 오버 랩(Overlap) 공차가 약 -0.1mm인 경우, 브레이크 수단을 구성하는 기어 슬립(Gear Slip)이 발생되고, 약 0.8mm인 경우는 작동 력이 과다 발생되는 현상을 가져오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펌핑 디바이스를 이루는 브레이크 수단은 구속력을 갖도록 마찰력 산포를 형성하는 마찰 재가 구비되고, 이러한 마찰 재는 약 0.3Nm ~ 0.5Nm 정도의 마찰력을 적정 수준으로 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마찰 재는 품질 저하로 인하여, 불규칙적인 접촉면을 갖게 되고, 이로 인해 실제적으로는 약 0.0Nm ~ 10Nm 정도를 갖게 됨에 따라, 마찰력 산포를 과다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기 마찰 재의 마찰력 산포를 불규칙은 큰 마찰력 시 작동 력이 증가되는 반면, 작은 마찰력은 기어 슬립(Gear Slip)을 발생시켜,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시트 높낮이를 조절하는 펌핑 앗세이(펌핑 디바이스)를 이루는 브레이크 유닛의 기어 슬립 방지를 위해 마찰력을 부여하는 마찰 재가, 조립 상태에서 클러치를 수용한 하우징의 입구 부위로 결합되는 커버와 브레이크 기어 사이에서 변형되면서 균일한 마찰력 산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펌핑 앗세이(펌핑 디바이스)는 브레이크 유닛의 마찰력 산포를 부여하는 마찰 재가 마찰력 산포를 적정하게 유지해 줌에 따라, 작용이 중복되는 일부 구성요소를 삭제해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갖는 펌핑 앗세이(펌핑 디바이스)를 제조하는데 도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펌핑 앗세이(펌핑 디바이스)는 브레이크 유닛의 마찰력 산 포를 부여하는 마찰 재가 억지 끼움 조건으로 압입되고, 각 기계 요소들을 모두 단순히 적층(Stack Up)방식으로 조립됨에 따라, 펌핑 앗세이(펌핑 디바이스)의 조립 공정을 보다 단순화 할 수 있도록 함에도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 조절 펌핑 앗세이(펌핑 디바이스)가 시트 쿠션의 조절을 위한 작동 력을 발생시키는 클러치 유닛의 작동 력을 보존하면서, 시트에 구비된 링크 쪽 기어에 맞물리는 기어를 형성한 기어 축에 끼워져 일정한 마찰력 산포를 형성해 주는 마찰 재를 포함해 브레이크 유닛이 구성되되,
상기 마찰 재는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탄성 변형되도록, 상기 기어 축의 단차 공간으로 끼워져 상기 기어 축에 접촉되는 안쪽 공간 면을 이루는 접촉 단과, 바깥쪽 외면의 위쪽 부위를 이루는 변형 단이 조립 간격을 초과한 오버 랩(Overlap) 변형 간격 B, A를 각각 갖고, 상기 변형 단에 대해 바깥쪽 외면의 아래 쪽 부위를 이루는 기준 단은 조립 간격에 미치지 못한 여유 간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 단은 바디의 안쪽 공간을 향해 경사진 상·하 경사면에 이어지면서, 호 형상 단면으로 안쪽 공간을 향해 튀어나온 접촉 돌기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접촉 돌기는 상·하 경사면이 이어지는 부위로 단차면을 깎아 내, 접촉 돌기가 상·하 경사면에 대해 돌출 간격 B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 높낮이를 조절하는 펌핑 앗세이(펌핑 디바이스)가 기어에 대한 마찰력 산포를 조정하는 마찰 재가 클러치를 수용한 하우징과 결합되는 커버와 조립 상태에서, 항상 균일한 마찰력 산포를 제공하면서 상대 부품과의 안정된 결합 조건 형성은 물론, 작동 시 기어 슬립이나 작동 력 과다 또는 미약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게된다.
또한, 본 발명의 펌핑 앗세이(펌핑 디바이스)는 마찰 재가 갖는 작용으로 중복되는 일부 구성요소를 삭제할 수 있어,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갖는 펌핑 앗세이(펌핑 디바이스)를 제조함은 물론, 마찰 재가 억지 끼움 조건으로 압입하고, 각 요소들을 모두 단순히 적층(Stack Up)해 조립이 이루어지므로, 전체적인 조립 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 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조절 펌핑 앗세이의 구성 도를 도시한 것인 바, 본 발명의 펌핑 앗세이는 시트 쿠션의 조절을 위한 작동 력을 발생시키는 클러치 유닛(3)과, 상기 클러치 유닛(3)의 작동 력을 보존하는 브레이크 유닛(7), 상기 클러치 유닛(3)을 수용하는 하우징(1) 및 상기 하우징(1)의 입구 부위를 가리면서, 서로간에 약 0.55mm ~ 0.8mm 내 오버 랩(Overlap) 공차를 갖도록 조립되는 커버(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클러치 유닛(3)은 통상적으로, 롤러를 갖춘 롤러 블록과, 상기 롤러 블록을 작동시키는 레버 블록을 갖추고, 회전 상태를 형성하도록 서로 조립됨과 더불어 항상 정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도 갖추게 되며, 이러한 클러치 구조는 기본적인 구성으로, 각 사양에 따라 다를 수 여러 기계 요소들이 더 부가 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 유닛(7)은 클러치 유닛(3)에 조립된 기어 케이스(8)에 결합되고, 시트에 구비된 링크 쪽 기어에 맞물리는 기어를 형성한 기어 축(9)과, 상기 기어 축(9)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개재된 베어링(10)과 더불어, 조립 상태에서 하우징(1)의 입구 부위에 결합된 커버(2)를 이용해, 상기 기어 축(9)에 대한 마찰력 산포를 고르게 형성하는 마찰 재(11)를 포함해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마찰 재(11)는 환형 고리형상을 이루면서 바깥 면이 함몰되고, 안쪽 면이 튀어나온 단면 형상을 갖는 바디(12)를 형성하고, 상기 바디(12)의 바깥 단면은 위·아래 부위가 서로 단차 간격 A를 갖도록, 아래쪽의 기준 단(13)에 대해 위쪽인 변형 단(14)이 더 큰 직경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준 단(13)에 대한 변형 단(14)의 단차 간격 A는 조립된 상태에 서, 상기 기준 단(13)과 변형 단(14)이 커버(2)에 밀착될 수 있도록 변형되는 정도로 형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마찰 재(11)는 바디(12)의 안쪽 면이 튀어나온 접촉 단(15)을 형성하는데, 상기 접촉 단(15)은 바디(12)의 안쪽 공간을 향해 경사진 상·하 경사 면(15b,15c)에 이어지면서, 호 형상 단면으로 안쪽 공간을 향해 튀어나온 접촉 돌기(15a)를 갖추게 된다.
이때, 상기 접촉 돌기(15a)는 상·하 경사 면(15b,15c)이 이어지는 부위로 단차 면(15d)을 깎아 내, 접촉 돌기(15a)가 상·하 경사 면(15b,15c)에 대해 돌출 간격 B를 갖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핑 앗세이(펌핑 디바이스)는 시트 조절된 클러치 작동 력을 보존하는 브레이크 유닛(7)에 대한 마찰력 산포를 균일하게 형성하는 마찰 재(11)가 환형 고리형상을 이루면서 위·아래 부위가 서로 단차 간격 A를 갖음과 더불어, 안쪽 면이 안쪽 공간으로 튀어나온 접촉 단(15)을 형성해 줌에 따라, 기어 축(9)을 감싼 후 클러치가 수용된 하우징(1)에 결합된 커버(2)가 조립되면, 상기 기어 축(9)과 커버(2)사이 공간에서 압축 변형을 일으켜 항상 균일한 마찰력 산포를 제공하면서 상대 부품과의 안정된 결합 조건 형성은 물론, 작동 시 기어 슬립이나 작동 력 과다 또는 미약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특징이 있게 된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펌핑 앗세이는 마찰 재(11)는 시트 쿠션의 조절을 위한 작동 력을 발생시키는 클러치 유닛(3)의 작동 력을 보존하는 브레이크 유닛(7) 에 끼워져 조립되는데, 이는 베어링(10)과 더불어 기어 케이스(8)에 결합된 기어 축(9)을 감싼 상태로 조립된다.
이러한, 상기 마찰 재(11)는 기어 축(9)을 감싼 상태에서 하우징(1)과 커버(2)가 서로간에 약 0.55mm ~ 0.8mm 내 오버 랩(Overlap) 공차를 갖고 조립되면, 상기 커버(2)가 기어 축(9)에 대해 갖는 조립 구조를 이용해 압축 변형되면서 균일한 마찰력 산포를 형성해 주게 된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 재(11)는 환형 고리형상 바디(12)의 안쪽 공간을 이루는 접촉 단(15)이 기어 축(9)에 밀착되고, 바디(12)의 바깥쪽은 커버(2)부위로 밀착되도록, 기어 축(9)의 단차 공간(9a)으로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마찰 재(11)가 단순히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는 바디(12)의 위·아래 바깥 단면 부위가 갖는 단차 간격 A 즉, 아래쪽 단면의 기준 단(13)에 대해 위쪽인 변형 단(14)이 더 큰 직경을 갖음에 따라, 상기 기준 단(13)은 비 접촉 상태로 되지만, 상기 변형 단(14)은 조립 간격을 초과한 오버 랩(Overlap)간격 A를 갖게 된다.
일례로, 상기 기준 단(13)이 커버(2)에 대해 갖는 비 접촉 오버 랩(Overlap)길이는 약 +0.6mm ~ +0.95mm이며, 상기 변형 단(14)이 커버(2)에 대해 갖는 접촉 오버 랩(Overlap) 길이는 약 -0.25mm ~ 0mm 정도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마찰 재(11)의 안쪽 공간을 이루는 접촉 단(15)은 튀어나온 접촉 돌기(15a)도, 마찰 재(11)의 바깥쪽 외면과 마찬가지로 기어 축(9)의 외면에 대해 접촉 오버 랩(Overlap) 간격 B를 갖게 된다.
이때, 상기 접촉 돌기(15a)는 기어 축(9)에 대한 접촉 부위를 집중해 주는 작용과 더불어, 조립이 완료 된 상태에서 마찰 재(11)의 아래쪽 단면의 기준 단(13)이 커버(2)쪽으로 밀려나 밀착될 수 있도록, 상·하 경사 면(15b,15c)에 이어지는 부위로 단차 면(15d)을 깎아 내 간격 B로 돌출 된 호 형상 단면을 이루게 된다.
일례로, 상기 접촉 돌기(15a)가 갖는 접촉 오버 랩(Overlap)길이는 약 -0.15mm ~ -0.4mm정도이다.
이와 같이, 상기 마찰 재(11)가 조립 공간에 대해 갖는 오버 랩(Overlap)으로 인하여, 하우징(1)과 커버(2)가 조립이 완료되면, 마찰 재(11)를 이루는 접촉 단(15)과 위쪽을 이루는 변형 단(14)은 압축 변형되고, 이러한 압축의 반작용으로 아래쪽을 이루는 기준 단(13)쪽이 팽창됨에 따라, 상기 마찰 재(11)는 기어 축(9)과 커버(2)사이로 완전 밀착되어 항상 균일한 마찰력 산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일례로, 펌핑 앗세이를 이루도록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마찰 재(11)는 접촉 돌기(15a)쪽의 접촉 오버 랩(Overlap)은 약 -0.15mm로 형성되고, 위쪽을 이루는 변형 단(14)의 접촉 오버 랩(Overlap)은 약 -0.15 ~ -0.25mm로 형성되며, 아래쪽을 이루는 기준 단(13)의 접촉 오버 랩(Overlap)은 약 +0.2mm~ -0.25mm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마찰 재(11)가 형성하는 오버 랩(Overlap)으로 인해, 상기 마찰 재(11)가 형성하는 오버 랩(Overlap)대비 마찰력 산포는 측정 시 약 0.3Nm ~ 0.5Nm정도를 형성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한 펌핑 앗세이는 클러치 유닛(3)과 브레이크 유닛(7)의 조립 공정도 보다 간단하게 이루어지는데, 이는 사용자 레버의 회전력 전달받는 클러치 유닛(3)과, 상기 클러치 유닛(3)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사용자 하중을 제거하는 기어(9)가 회전되는 브레이크 유닛(7)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들을 서로 적층(Stack Up)하는 방식으로 결합해 조립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어 축(9)의 단차 공간(9a)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커버(2)와 함께 밀착 상태를 형성하는 마찰 재(11)는 단순한 방식으로 즉, 상기 기어 축(9)의 외주 면으로 억지 끼움 방식을 통해 압입 하여 조립한 후, 커버(2)를 하우징(1)의 입구 부위로 결합하면, 상기 마찰 재(11)로 인해 약 0.3Nm ~ 0.5Nm 마찰력 산포 값을 갖는 펌핑 앗세이(펌핑 디바이스)가 조립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조절 펌핑 앗세이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찰 재를 적용한 시트 조절 펌핑 앗세이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 커버
3 : 클러치 유닛 7 : 브레이크 유닛
8 : 기어 케이스 9 : 기어 축
10 : 베어링 11 : 마찰 재
12 : 바디 13 : 기준 단
14 : 변형 단 15 : 접촉 단
15a : 접촉 돌기 15b,15c : 상·하 경사 면
15d : 단차 면

Claims (3)

  1. 시트 쿠션의 조절을 위한 작동 력을 발생시키는 클러치 유닛(3)의 작동 력을 보존하면서, 시트에 구비된 링크 쪽 기어에 맞물리는 기어를 형성한 기어 축(9)에 끼워져 일정한 마찰력 산포를 형성해 주는 마찰 재(11)를 포함해 브레이크 유닛(7)이 구성되되,
    상기 마찰 재(11)는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탄성 변형되도록, 상기 기어 축(9)의 단차 공간(9a)으로 끼워져 상기 기어 축(9)에 접촉되는 안쪽 공간 면을 이루는 접촉 단(15)과, 바깥쪽 외면의 위쪽 부위를 이루는 변형 단(14)의 각각은 조립 간격이 초과된 오버 랩(Overlap) 변형 간격을 형성하며, 상기 변형 단(14)에 대해 바깥쪽 외면의 아래 쪽 부위를 이루는 기준 단(13)은 조립 간격에 미치지 못한 여유 간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조절 펌핑 앗세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15)은 바디(12)의 안쪽 공간을 향해 경사진 상·하 경사 면(15b,15c)에 이어지면서, 호 형상 단면으로 안쪽 공간을 향해 튀어나온 접촉 돌기(15a)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조절 펌핑 앗세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촉 돌기(15a)는 상·하 경사 면(15b,15c)이 이어 지는 부위로 단차 면(15d)을 깎아 내, 접촉 돌기(15a)가 상·하 경사 면(15b,15c)에 대해 돌출 간격 B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조절 펌핑 앗세이.
KR20090014320A 2009-02-20 2009-02-20 시트 조절 펌핑 앗세이 KR101509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4320A KR101509261B1 (ko) 2009-02-20 2009-02-20 시트 조절 펌핑 앗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4320A KR101509261B1 (ko) 2009-02-20 2009-02-20 시트 조절 펌핑 앗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175A KR20100095175A (ko) 2010-08-30
KR101509261B1 true KR101509261B1 (ko) 2015-04-06

Family

ID=42758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14320A KR101509261B1 (ko) 2009-02-20 2009-02-20 시트 조절 펌핑 앗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92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534B1 (ko) * 2017-12-26 2019-02-13 현대트랜시스(주) 차량용 시트의 펌핑 디바이스
KR101947535B1 (ko) * 2017-12-26 2019-02-13 현대트랜시스(주) 차량용 시트 펌핑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641B1 (ko) 2007-03-21 2007-12-27 주식회사다스 차량 시트쿠션용 펌핑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641B1 (ko) 2007-03-21 2007-12-27 주식회사다스 차량 시트쿠션용 펌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175A (ko) 2010-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4769B2 (ja) 車両用シートの高さ調節装置
KR101947534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 디바이스
EP2261074B1 (en) Seat reclin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491883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US9376035B2 (en) Seat angle regulator and seat with same
KR101491884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101417523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JPH04129677A (ja) 電動スクリュードライバにおけるクラッチ装置
JP6370715B2 (ja) ブレーキ装置
KR101509261B1 (ko) 시트 조절 펌핑 앗세이
JP6163074B2 (ja) ブレーキ装置
KR20140016064A (ko) 시트 높이 조절용 펌핑 디바이스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높이 조절 장치
JP6382340B2 (ja) ドラムブレーキ装置
KR101294382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JP5131054B2 (ja) 弾性軸継手及び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565574B1 (ko) 시트용 높이 조절장치
KR20110122045A (ko) 차량용 시트 높이 조절 장치
KR102215294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20180077521A (ko) 리드 스크류 구조체 및 조립체, 그리고 이를 이용한 후륜 조향 장치
JP2020090989A (ja) 動力伝達装置
KR101943962B1 (ko) 자동차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WO2017010496A1 (ja) ブレーキ装置
CN107933383B (zh) 一种电动座椅及其角度调节装置
JP5297343B2 (ja) クラッチ装置及びシートリフタ装置
JP2017026140A (ja) ブレー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