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754B1 - 극판 2매 검출기 - Google Patents

극판 2매 검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754B1
KR101508754B1 KR20140143498A KR20140143498A KR101508754B1 KR 101508754 B1 KR101508754 B1 KR 101508754B1 KR 20140143498 A KR20140143498 A KR 20140143498A KR 20140143498 A KR20140143498 A KR 20140143498A KR 101508754 B1 KR101508754 B1 KR 101508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roller
fastened
displacement
electro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43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세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엔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엔엘테크 filed Critical (주)제이엔엘테크
Priority to KR20140143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06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 B65H7/1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responsive to double feed or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8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ro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극판 2매 검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다수개의 극판이 롤러로 유입되었을 경우 가변롤러의 변위를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2단으로 등폭하여 상기 변위값을 센서를 통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판 2매 검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롤러(21, 22)를 지지하는 프레임(30)과; 상기 프레임(30)에 체결된 고정롤러(22)와; 상기 고정롤러(22)와 맞은편이 위치하며, 일측부에 체결된 탄성부재의 의해 고정롤러(22) 방향으로 하는 가압롤러(21)와; 상기 가압롤러(21) 일측부에 체결되며, 제 1링크와 힌지 결합하는 롤러 힌지(24)와; 양끝단부와 고정볼트와 체결되는 홀를 구비하며, 끝단부에 형성된 홀과 상기 롤러 흰지(24)와 체결되며, 타 끝단부는 체결볼트(39)에 의해 체결되는 제 1링크(31)와; 상기 제 1링크(31)와 제 3링크(33)을 연결하는 제 2링크(32)와; 상기 제 2링크(32)와 연결되며, 타측부는 변위 스틱(35)와 체결되는 제 3링크(33)와; 상기 프레임(30)의 슬로터(34)에 고정되며, 상기 변위 스틱(35)의 변위 위치를 측정하는 다수개의 센서(5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3개의 링크 조합으로 증폭비율이 매우 높고, 좁은 공간에 설치할 수 있으며, 먼지와 진동이 심한 곳에서도 높은 분해능과 내구성을 겸하고 있다.

Description

극판 2매 검출기{2 sheet of plate detector}
본 발명은 극판 2매 검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다수개의 극판이 롤러로 유입되었을 경우 가변롤러의 변위를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2단으로 등폭하여 상기 변위값을 센서를 통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판 2매 검출기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극판 표면에 활물질을 도포하여 양극판과 음극판(이하, 극판이라 함)을 구성하고, 그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하여 전극조립체를 만든 후,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이나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 내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전극조립체에 주로 액체 전해질을 주입 또는 함침시키거나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은 양극판을 감싸는 분리막을 형성하는 엔벨로퍼 부(6)를 구비하여 양극판과 격리판을 형성한 후, 음극판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전극 극판 조립체를 형성하는 배터리 자동 조립장치에 적용되는 극판 2매 검출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히 극판에 분리막을 봉투형태로 성형하여 봉인하는 것을 통상적으로 엔벨로프(envelpoe)라고 한다.
도 5는 통상적인 엔벨로퍼의 자동설비의 구성도이다.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엔벨로프(9)는 양극판을 공급하고 이송하는 양극판 공급부(2)와, 분리막 봉투를 형성하여 상기 양극판을 삽입하는 엔벨로퍼부(6)와, 상기 격리판에 삽입된 양극판 상부에 음극판을 적층하는 음극판 공급부(3)과, 추가적으로 상기 격리판에 삽입된 양극판 하부에 음극판을 적층하는 음극판 공급부(4)와, 분리막을 공급하는 분리막 공급부(1)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양극판 공급부(2) 및 음극판 공급부(3, 4)에 극판이 두 개 이상 공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극판의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은 접촉식과 비접촉식으로 분류되며, 통상적으로 비접촉식을 많이 이용하지만, 비접촉식은 극판의 재질에 따라 검출 능력이 달라지고, 분당 80 ~ 100매 정도의 중속까지는 적용가능하지만, 분당 120매 이상의 고속에서는 극판의 2매 이상 공급되는 것을 측정하지 못하는 애러 발생 빈도가 높아진다.
상기 원인으로는 첫째, 극판에 활물질을 도포되어 있어, 금속 중복 검출기의 성능이 떨어지고, 둘째, 활물질이 비산되어 광학센서의 노이즈 및 오작동의 원인이 되며, 진동과 소음이 많이 발생하여 센서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것이 주요 원인이다.
극판의 두께를 측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비접촉식보다는 접촉식이 보다 높은 내구성과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접촉식으로 박판의 두께 변화를 증폭시키는 종래 기술은 한 개의 링크구조와 상기 링크의 변위량을 측정하는 변위센서를 사용하여, 미세한 박판 두께 변화를 정확하지 계측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박판의 극판 두께를 측정하여 2매 이상 공급될 경우, 이를 인지하기 위해서는 박판의 두께 변화를 증폭시키는 기술이 필요하며, 차지하는 공간이 작아야 하며, 먼지와 진동이 많은 현장에서 고속으로 이송되는 현장에서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극판 중복 검출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1. KR 10-1992-0009015, '종이류 두께 검출장치', 공개일자:1990.11.14. 2. KR 10-2003-0054157, '통과물의 두께 검출장치', 공개일자:2003.07.02. 3. KR 10-0567490, '수표 중복 이송 검출 장치 및 검출방법', 등록일자: 2006.03.28. 4. KR 10-2014-0015765, '극판 두께 측정장치 및 방법', 공개일자:2014.02.07. 5. KR 10-1413511, '두께 측정시스템', 등록일자: 2014.06.24.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한 것으로, 박판의 극판 두께를 3개의 링크구조로 2번의 증폭효과와, 공간을 최소화하면서 먼지와 진동이 많은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접촉식 극판 2매 검출기를 개시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분해능이 우수한 저렴한 센서와 3개의 링크의 조합으로 분당 120~150매 이상의 고속에서도 정확하게 극판의 중복을 검출할 수 있는 극판 2매 검출기를 개시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측부에 센서(50)를 체결하기 위한 슬로터(34)와, 제 1링크(31)와 제 3링크(33)의 중심축과 체결되며, 롤러(21, 22)를 지지하는 프레임(30)과; 상기 프레임(30)에 체결되며, 회전하는 고정롤러(22)와; 상기 고정롤러(22)와 맞은편이 위치하며, 일측부에 체결된 탄성부재의 의해 고정롤러(22) 방향으로 하는 가압롤러(21)와; 상기 가압롤러(21) 일측부에 체결되며, 제 1링크와 힌지 결합하는 롤러 힌지(24)와; 양끝단부와 고정볼트와 체결되는 홀를 구비하며, 끝단부에 형성된 홀과 상기 롤러 흰지(24)와 체결되며, 타 끝단부는 체결볼트(39)에 의해 체결되는 제 1링크(31)와; 상기 제 1링크(31)와 제 3링크(33)을 연결하는 제 2링크(32)와; 상기 제 2링크(32)와 연결되며, 타측부는 변위 스틱(35)와 체결되는 제 3링크(33)와; 상기 프레임(30)의 슬로터(34)에 고정되며, 상기 변위 스틱(35)의 변위 위치를 측정하는 다수개의 센서(5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판 2매 검출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변위 스틱(35)의 변위 값을 증폭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링크(31)와 제 3링크(33)의 구동길이(a)가 피동길이(b)에 비해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판 2매 검출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변위 스틱(35)의 채터링 내지 오작동으로 인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개의 센서(50)사이 간격을 넓혀서 중립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극판 2매 검출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배터리 조립에 사용되는 극판의 오류는 극판조립체를 다 완성한 후 통전시험에서 확인할 수만 있어서, 극판이 2매 공급이 되면 불량손실이 엄청나는데, 본 발명은 극판이 2매이상 공급되지 않도록 검출하여, 전체적인 제품 불량과 손실을 줄이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지렛대 효과로 변위를 증폭시키는 제 1링크(31)와 제 3링크(33)와, 상기 링크(31, 33)를 연결하는 제 2링크(32)의 조합으로, 2개의 증폭효과를 얻을 수 있어, 미세한 두께 변화에도 쉽게 감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접촉식으로, 롤러에 유입되는 재질에 상관없이 동일한 효과를 가지며, 수표, 종이, 금속 판재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및 극판에도 적용가능하다.
넷째, 3개의 링크 조합으로 좁은 공간에 설치할 수 있으며, 기계식으로 먼지와 진동이 심한 곳에서도 높은 분해능과 내구성을 겸하고 있다.
다섯째, 비접촉식의 센서에 비해 50% 이상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분당 150~200매 이상의 고속 이송에도 안정적인 작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이며, 다른 방향에서의 사시도.
도 3은 구성요소의 분해도.
도 4는 정상상태(A)와 2매 중복 상태(B)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엔벨로퍼의 구성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과감하게 생략하였다. 일 예로서, 가압 롤러와 프레임에 체결된 스프링, 롤러 하우징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포퍼(stoper) 등은 통상적이므로 미도시한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부분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양극판을 감싸는 분리막을 형성하는 엔벨로퍼 부(6)를 구비하여 양극판과 격리판을 형성한 후, 음극판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전극 극판 조립체를 형성하는 배터리 자동 조립장치에 적용되는 극판 2매 검출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히 극판에 분리막을 봉투형태로 성형하여 봉인하는 것을 통상적으로 엔벨로프(envelpoe)라고 한다.
상기 엔벨로프 자동화 설비를 통하여, 조립된 배터리의 최종검사는 양극판과 음극판으로 구성된 극판조립체를 용접하여 연결시킨 후 통전시험으로 제품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극판이 2매 공급이 되면 배터리 전체를 폐기처분해야되며, 그로 인한 불량손실이 엄청나게 심각한 수준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극판이 2매이상 공급되지 않도록 검출하여, 전체적인 제품 불량과 손실을 줄이는 효과를 가진다.
도 5는 통상적인 엔벨로퍼의 자동설비의 구성도이다.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엔벨로프(9)는 양극판을 공급하고 이송하는 양극판 공급부(2)와, 분리막 봉투를 형성하여 상기 양극판을 삽입하는 엔벨로퍼부(6)와, 상기 격리판에 삽입된 양극판 상부에 음극판을 적층하는 음극판 공급부(3)과, 추가적으로 상기 격리판에 삽입된 양극판 하부에 음극판을 적층하는 음극판 공급부(4)와, 분리막을 공급하는 분리막 공급부(1)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양극판 공급부(2) 및 음극판 공급부(3, 4)에 극판이 두 개 이상 공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극판 조립체에 사용되는 금속 중복 검출기는 금속판재 두께를 측정하여 2매 이상의 판재가 공급되었을 경우에 이것을 검출하는 센서로, 철, 알루미늄, 동, 황동, 스트인레스 등과 같은 금속재질의 판재를 주로 검출한다.
상기 금속 중복 검출기는 센서헤드간 거리에 있어서, 10~ 70mm의 거리에서 0.01~10mm의 두께를 가진 금속판재의 2매 중복되는 것을 검출할 수 있으며, 100~150만원의 고가에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극판 조립체의 경우에는 금속표면에 이온화를 활성하기 위한 활물질을 0.5~1mm정도 도포된 상태이다. 상기 활물질은 Fiber flock, 황산(H2SO4), 물, 침산액, BaSO4, Carbon black, Lignin 및 오일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로 형성된다.
상기 금속 중복 검출기는 극판에 활물질을 도포되어 있어 중복 검출 성능이 떨어지고, 제조공정에서 활물질이 비산되어 광학센서의 노이즈 및 오작동의 원인이 되며, 진동과 소음이 많이 발생하여 센서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약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극판의 두께를 측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비접촉식보다는 접촉식이 보다 높은 내구성과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접촉식으로 박판의 두께 변화를 증폭시키는 종래 기술은 한 개의 링크구조와 상기 링크의 변위량을 측정하는 변위센서를 사용하여, 미세한 박판 두께 변화를 정확하지 계측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박판의 극판 두께를 측정하여 2매 이상 공급될 경우, 이를 인지하기 위해서는 박판의 두께 변화를 증폭시키는 기술이 필요하며, 차지하는 공간이 작아야 하며, 먼지와 진동이 많은 현장에서 고속으로 이송되는 현장에서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극판 중복 검출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한 것으로,
첫째, 박판의 극판 두께를 3개의 링크구조로 2번의 증폭효과와, 공간을 최소화하면서 먼지와 진동이 많은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접촉식 극판 2매 검출기를 개시하고자 한다.
둘째,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분해능이 우수한 저렴한 센서와 3개의 링크의 조합으로 분당 120~150매 이상의 고속에서도 정확하게 극판의 중복을 검출할 수 있는 극판 2매 검출기를 개시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이며, 다른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구성요소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극판 2매 검출기는, 일측부에 센서(50)를 체결하기 위한 슬로터(34)와, 제 1링크(31)와 제 3링크(33)의 중심축과 체결되며, 롤러(21, 22)를 지지하는 프레임(30)과; 상기 프레임(30)에 체결되며, 회전하는 고정롤러(22)와; 상기 고정롤러(22)와 맞은편이 위치하며, 일측부에 체결된 탄성부재의 의해 고정롤러(22) 방향으로 하는 가압롤러(21)와; 상기 가압롤러(21) 일측부에 체결되며, 제 1링크와 힌지 결합하는 롤러 힌지(24)와; 양끝단부와 고정볼트와 체결되는 홀를 구비하며, 끝단부에 형성된 홀과 상기 롤러 흰지(24)와 체결되며, 타 끝단부는 체결볼트(39)에 의해 체결되는 제 1링크(31)와; 상기 제 1링크(31)와 제 3링크(33)을 연결하는 제 2링크(32)와; 상기 제 2링크(32)와 연결되며, 타측부는 변위 스틱(35)와 체결되는 제 3링크(33)와; 상기 프레임(30)의 슬로터(34)에 고정되며, 상기 변위 스틱(35)의 변위 위치를 측정하는 다수개의 센서(5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롤러(22)는 다수개가 일렬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컨베어 벨트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 가압롤러(21)는 원통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롤러(22)와 함께 극판을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가압롤러(22)는 일측부에 롤러 하우징(23)과 체결된다.
상기 롤러 하우징(23) 가압롤러(22)가 상하로만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며, 프레임과 체결된 탄성부재에 의하여 가압롤러(22)를 고정롤러(21)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른 탄성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링크(31)와 제 3링크(33)는 양끝단부에 연결을 위한 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끝단부 사이에 고정볼트(38)가 관통할 수 있는 홀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볼트(38)는 상기 제 1링크(31)와 제 3링크(33)를 프레임(30)과 체결되며, 지렛대의 기준점이 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볼트(38)과 체결볼트(39)는 외측부에 베어링을 구비하여, 링크(31, 32, 33)이 구속된 범위내에서 회전할 수 있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지렛대 효과로 변위를 증폭시키는 제 1링크(31)와 제 3링크(33)와, 상기 링크(31, 33)를 연결하는 제 2링크(32)의 조합으로, 박판의 작은 두께변화에도 큰 폭으로 증폭하여, 극판이 2개이상으로 공급됨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3개의 링크 조합으로 좁은 공간을 차지하며, 접촉식으로 롤러를 통과하는 재질과 상관없이 두께 변화를 계측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센서(50)는 2개 이상이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 개는 정상적인 것을 검출하기 위함이며, 다른 한 개는 극판이 2매 이상 동시에 중첩되었을 경우에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센서(50)는 근접센서나, 광학센서를 이용하기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저렴하면서도 먼지와 진동이 심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분해능력을 보이기 때문이다.
상기 프레임(30)의 슬로터(34)는 트랙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수 개의 일렬로 형성된 홀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 슬포터(34)로 인하여, 롤러(21, 22)사이에 공급되는 극판 내지 판재 두께를 고려하여 센서(50)를 설치할 수 있다.
도 4는 정상상태(A)와 2매 중복 상태(B)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정상상태(A)로, 극판에 가압롤러(21)과 고정롤러(22)에 유입되면 극판의 두께만큼 가압롤러(21)이 올라가게 된다.
상기 가압롤러(21)의 상승은, 상기 롤러 흰지(24)와 체결된 제 1링크(31)를 고정볼트(38)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링크(31)에 있어서, 롤러 흰지(24)와 체결볼트(39)와 체결된 위치점과 고정볼트(38)와 체결되는 위치점 간의 거리를 '구동길이(a)'라고 정의하고, 고정볼트(38)와 체결되는 위치점과 제 2링크(32)와 체결되는 위치점 간의 거리를 '피동길이(b)'라고 정의하며, 같은 방법으로 제 3링크(33)에 있어서, 고정볼트와 체결되는 위치점과 제 2링크(32)와 체결되는 위치점 간의 거리를 '구동길이(a)'라고 정의하고, 고정볼트(38)와 변위 스틱(35) 체결부까지의 거리를 '피동길이(b)'라고 정의 한다.
본 발명에서 변위 스틱(35)의 변위 값을 증폭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링크(31)와 제 3링크(33)의 구동길이(a)가 피동길이(b)에 비해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으로 변위스틱(35)에 도달하는 변위 폭을 최대 10이상 증폭이 가능하며, 제 1링크(31)과 제 3링크(33)의 조합으로 차지하는 공간은 적으면서 변위의 증폭비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상기 가압롤러(21)는 자중과 탄성부재에 의하여 원상태로 복귀하는데, 고속으로 작동할 경우에는 자중과 탄성부재로 인하여 가압롤러(21)가 원상태로 바로 복귀하지 못하고, 서서히 감쇄되는 채터링 현상이 발생할 수 도 있다.
또한, 극판 표면에 도포되는 활물질의 비균질성으로 인하여, 증폭비가 높은 경우에는 변위스틱(35)의 변위가 심하게 흔들릴 수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변위 스틱(35)의 채터링 내지 오작동으로 인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개의 센서(50)사이 간격을 넓혀서 중립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50)간의 중립구간을 설정함으로, 가압롤러(21)의 채터링, 불균질한 활물질의 도포두께 및 극판 조립체에서 발생되는 진동 등의 원인으로 발생되는 변위스틱(35)의 오류를 2매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50)가 감지하지 않아, 전체 시스템의 멈춤 현상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상기 센서(50)간의 중립구간이 가능한 이유는, 3개의 링크 조합으로 큰 폭의 변위 증폭비을 도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중립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중립구간을 설정하고 센서(50) 체결 위치를 설정해야 되므로, 프레임(30)에서 센서를 고정하는 부분에서는 슬로터(34)를 형성하여 셋팅작업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1: 분리막 공급부, 2: 양극판 공급부, 3,4 : 음극판 공급부,
5: 이송 가이드, 6: 엔벨로퍼 부, 9: 엔벨로퍼,
10: 극판, 20: 롤러, 21: 가압롤러,
22: 고정롤러, 23: 롤러하우징, 24: 롤러 힌지,
30: 프레임, 31: 제 1링크, 32: 제 2링크,
33: 제 3링크, 34: 슬로터, 35: 변위 스틱,
38: 고정볼트, 39: 체결볼트,
50: 센서

Claims (3)

  1. 일측부에 센서(50)를 체결하기 위한 슬로터(34)와, 제 1링크(31)와 제 3링크(33)의 중심축과 체결되며, 롤러(21, 22)를 지지하는 프레임(30)과;
    상기 프레임(30)에 체결되며, 회전하는 고정롤러(22)와;
    상기 고정롤러(22)와 맞은편이 위치하며, 일측부에 체결된 탄성부재의 의해 고정롤러(22) 방향으로 하는 가압롤러(21)와;
    상기 가압롤러(21) 일측부에 체결되며, 제 1링크와 힌지 결합하는 롤러 힌지(24)와;
    양끝단부와 고정볼트와 체결되는 홀를 구비하며, 끝단부에 형성된 홀과 상기 롤러 흰지(24)와 체결되며, 타 끝단부는 체결볼트(39)에 의해 체결되는 제 1링크(31)와;
    상기 제 1링크(31)와 제 3링크(33)을 연결하는 제 2링크(32)와;
    상기 제 2링크(32)와 연결되며, 타측부는 변위 스틱(35)와 체결되는 제 3링크(33)와;
    상기 프레임(30)의 슬로터(34)에 고정되며, 상기 변위 스틱(35)의 변위 위치를 측정하는 다수개의 센서(50);를 구비하되,
    변위 스틱(35)의 변위 값을 증폭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링크(31)와 제 3링크(33)의 구동길이(a)가 피동길이(b)에 비해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판 2매 검출기.
  2. 제 1항에 있어서,
    변위 스틱(35)의 채터링 내지 오작동으로 인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개의 센서(50)사이 간격을 넓혀서 중립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판 2매 검출기.
  3. 삭제
KR20140143498A 2014-10-22 2014-10-22 극판 2매 검출기 KR101508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3498A KR101508754B1 (ko) 2014-10-22 2014-10-22 극판 2매 검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3498A KR101508754B1 (ko) 2014-10-22 2014-10-22 극판 2매 검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8754B1 true KR101508754B1 (ko) 2015-04-08

Family

ID=53033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43498A KR101508754B1 (ko) 2014-10-22 2014-10-22 극판 2매 검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7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369B1 (ko) 2015-06-14 2015-10-12 (주)제이엔엘테크 배터리 자동 조립 장치
CN108613609A (zh) * 2018-06-07 2018-10-02 武汉武耀安全玻璃股份有限公司 一种夹层玻璃叠差仪
CN111486808A (zh) * 2020-04-29 2020-08-04 中国兵器装备集团自动化研究所 一种薄壁回转体壁厚差测量组件及检测装置
KR102333365B1 (ko) 2021-05-21 2021-12-02 (주)제이엔엘테크 배터리 극판 공급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9015A (ko) * 1990-10-29 1992-05-28 김광호 반도체 칩의 보호회로
JPH06270480A (ja) * 1993-03-18 1994-09-27 Kofu Nippon Denki Kk 用紙厚さ検出装置
KR20140015765A (ko) * 2012-07-24 2014-02-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극판 두께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413511B1 (ko) 2013-11-28 2014-07-04 컨트롤코리아 주식회사 두께 측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9015A (ko) * 1990-10-29 1992-05-28 김광호 반도체 칩의 보호회로
JPH06270480A (ja) * 1993-03-18 1994-09-27 Kofu Nippon Denki Kk 用紙厚さ検出装置
KR20140015765A (ko) * 2012-07-24 2014-02-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극판 두께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413511B1 (ko) 2013-11-28 2014-07-04 컨트롤코리아 주식회사 두께 측정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369B1 (ko) 2015-06-14 2015-10-12 (주)제이엔엘테크 배터리 자동 조립 장치
CN108613609A (zh) * 2018-06-07 2018-10-02 武汉武耀安全玻璃股份有限公司 一种夹层玻璃叠差仪
CN111486808A (zh) * 2020-04-29 2020-08-04 中国兵器装备集团自动化研究所 一种薄壁回转体壁厚差测量组件及检测装置
KR102333365B1 (ko) 2021-05-21 2021-12-02 (주)제이엔엘테크 배터리 극판 공급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8754B1 (ko) 극판 2매 검출기
US4958525A (en) Web tension measuring assembly
JPWO2009013787A1 (ja) 紙葉厚み検出装置
CN106017295B (zh) 一种纸币厚度测量装置及纸币厚度检测方法
RU265995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толщины лист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JPS6069585A (ja) 紙葉検知装置
CN103373622B (zh) 薄片体重叠输送检测装置
EP0063159B1 (en) Improvements in sheet handling machines
KR101209006B1 (ko) 롤 상태 자동측정장치가 구비된 롤 조립체, 이를 구비한 라미네이팅 장치, 압연롤 장치 및 코팅장치
JP2013036768A (ja) 電極シートの検査装置
KR100397573B1 (ko) 종이 낱장 이송 감지장치
JP4064061B2 (ja) シート状材料搬送装置
WO2022080209A1 (ja) 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電池製造設備の検査方法
CN206818394U (zh) 运转中滚轮的检测系统
US20120260813A1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a running direction of a substrate web
KR101598995B1 (ko) 와이어 위치 감지장치
JP4446932B2 (ja) 紙葉類厚み検出装置
CN217766029U (zh) 绝缘膜检测设备
EP0133818A1 (en) Sheet feeding machines
DE102022129086B3 (de) Transport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transport einer warenbahn oder von stückgut entlang eines transportwegs
US20170278335A1 (en) Thickness detection device
KR950002957Y1 (ko) 지폐 중복이송 검지장치
KR102474420B1 (ko) 롤 성능 평가장치
KR20180122123A (ko) 롤투롤 시스템용 가이드롤 부재
CN106600811B (zh) 一种分轴式纸币测厚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