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567B1 - 농기구 - Google Patents

농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567B1
KR101508567B1 KR20140145054A KR20140145054A KR101508567B1 KR 101508567 B1 KR101508567 B1 KR 101508567B1 KR 20140145054 A KR20140145054 A KR 20140145054A KR 20140145054 A KR20140145054 A KR 20140145054A KR 101508567 B1 KR101508567 B1 KR 101508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blade body
handle
cut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45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수근
Original Assignee
오수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수근 filed Critical 오수근
Priority to KR20140145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5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6Hoes; Hand cultivators
    • A01B1/12Hoes; Hand cultivators with blades provided with tee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00Hand-cutting implements for harvesting
    • A01D1/04Sick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흙속을 이동하면서 흙을 깎아내거나 풀의 뿌리를 자를 수 있는 날이 형성된 상변날부(11)와 하변날부(12)를 구비한 삼각형 형상의 날 몸체(10)와, 날 몸체(10)의 하변날부(12)에 접하는 모서리에 상단부가 연장되는 자루부(20) 및 자루부(20)의 하단부가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손잡이부(30)로 구성됨으로써, 흙을 밀거나 당겨서 깎아내고 풀뿌리를 쳐내거나 찍어내면서 긁어내며 잘린 풀을 걷어낼 수 있다.

Description

농기구{agricultural tool}
본 발명은 각종 농사일에 사용되는 농기구(새부리 호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흙속으로 밀거나 당겨서 깎아내고 풀뿌리를 쳐내거나 찍어내면서 긁어내며 잘린 풀을 걷어낼 수 있는 농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미는 밭농사에 주로 사용되는 농기구로서, 밭농사에서 땅을 파고 농작물을 심거나, 또는 농작물과 함께 성장한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잡초를 뽑아 제거하거나, 논과 같은 수중의 수초를 제거하거나, 산에서 각종 약초 및 산나물을 캐거나 혹은 콩이나 고추 등과 같은 작물의 씨앗을 뿌리고 흙을 뒤엎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각종 농사일에 많이 사용되는 종래의 호미는 자루와 일체로 형성된 쇠날과, 자루에 결합되어 작업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로 이루어져 있으며, 쇠날의 모양은 사용되는 지방의 자연적인 조건ㆍ토질ㆍ농작물에 따라 형태가 약간씩 다르지만, 사용되는 지역의 자연적인 조건과 농업경영의 성격에 따라 날의 모양과 자루의 길이에 차이가 있다.
그 중에서도 자갈이 많은 밭을 일구거나 산이나 들에서 약초 및 산나물 등을 캐기 위해 괭이와 같이 쇠날의 길이가 폭에 비해 길며 그 끝을 예리하게 제작하고, 자루의 끝단을 뾰족하게 형성하여 손잡이로 이용하기 위한 원통형의 나무토막 내부에 삽입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호미는 오랜 시간 동안 큰 개선 없이 사용되고 있는데, 비교적 토질이 무른 농경지에서는 잡초가 크게 자라기 전에 쇠날의 끝단으로 땅을 파서 흙을 뒤엎거나 긁어서 잡초를 파내 제거하기에 적합하고, 비교적 토질이 딱딱한 농경지에서 잡초의 뿌리가 깊고 굵을 경우에는 쇠날의 뾰족한 끝단 부분으로 잡초를 파내서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호미는 흙을 파서 잡초 등을 제거할 수는 있으나, 낫과 같이 잡초 등을 자를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위와 같은 종래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특허문헌 1에는 나물 캐기, 골 타기, 수초제거 또는 땅을 파고 농작물을 심거나 잡초를 제거할 때 땅속에 묻혀져 있는 나무뿌리 등을 호미에 형성된 낫으로 간단히 절단할 수 있는 낫 겸용 호미가 개시되어 있으나, 나무 뿌리 등이 땅속에서 외부로 드러난 경우에만 절단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으며,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농촌인력의 고령화에 따라 농작물을 심거나 잡초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하던 호미의 날부를 유선형으로 여러 종류의 길이별 손잡이를 교체할 수 있는 유선형 호미가 개시되어 있으나, 키가 큰 잡초를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890129 호(공고일자 2009. 03. 2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032808 호(공고일자 2011. 05. 04.)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잡이를 잡고 날 몸체를 앞뒤로 밀고당기면서 땅을 깎아내거나 땅속에서 풀의 뿌리를 자를 수 있도록 하는 농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를 잡고 날 몸체를 앞으로 당겨 풀의 뿌리를 자를 때 톱날에 풀을 걸어 풀뿌리를 뽑거나 뽑힌 풀을 걷을 때 톱날에 풀을 걸어 들어올 수 있도록 하는 농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땅을 깎아내거나 풀뿌리를 자르기 위해, 앞으로 당길 때 날 몸체의 떠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농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땅을 깎아내거나 풀뿌리를 자르기 위해, 앞으로 당길 때 날 몸체가 좌우로 벗어나지 않고 당기는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는 농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를 잡고 땅속에서 날 몸체를 밀고당길 때 밀고당기는 힘이 날 몸체의 전체에 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농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흙속을 이동하면서 흙을 깎아 내거나 풀의 뿌리를 자를 수 있는 날이 형성된 상변날부와 하변날부를 구비한 삼각형 형상의 날 몸체; 상기 날 몸체의 하변날부에 접하는 모서리에 상단부가 연장되는 자루부; 및 상기 자루부의 하단부가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농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상기 날 몸체의 하변날부의 전방부에는 풀을 뽑아내거나 걷어내기 위한 톱날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하변날부와 상기 자루부가 접하는 부분의 상기 날 몸체에 상기 자루부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톱날부가 끝나는 부분에서부터 상기 절개부까지의 상기 하변날부가 상기 날 몸체로부터 절곡되기 시작하여 상기 절개부까지 하향지게 절곡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날 몸체가 배면에서 보았을 때, 원호형상으로 절곡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날 몸체의 상변날부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손잡이부의 연장선과 직교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상변날부와 상기 하변날부 사이의 각도(A)가 25∼3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자루부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자루부가 우측으로 15∼25°로 기울어지게(B) 결합되고, 상기 자루부와 상기 몸체가 만나는 부분(C)이 15∼25°로 상기 자루부가 위로 꺾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날 몸체의 상변날부와 하변날부에 흙을 깎아 내거나 풀의 뿌리를 자를 수 있는 날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날 몸체를 앞뒤로 수평지게 밀고 당기면서 땅속에서 풀의 뿌리를 자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날 몸체의 하변날부의 전방부에 톱날을 형성함으로써, 손잡이를 잡고 날 몸체를 앞으로 당겨 풀의 뿌리를 자를 때 톱날에 풀을 걸어 풀뿌리를 뽑거나 뽑힌 풀을 걷을 때 톱날에 풀을 걸어 들어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변날부와 자루부가 접하는 부분의 날 몸체에 절개부를 형성하고, 하변날부를 톱날이 끝나는 부분부터 시작하여 절곡부에서 0∼45°까지 하향지게 절곡함으로써, 딱딱한 땅에서 사용하기 쉽고, 땅을 깎아 내거나 풀뿌리를 자르기 위해, 앞으로 당길 때 날 몸체의 떠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날 몸체를 원호형상으로 절곡하거나 상변날부가 손잡이의 연장선과 직교되게 형성하거나 또는 상변날부와 하변날부 사이의 각도를 약 30°(오차범위 ±5°)로 하거나 손잡이부와 자루부가 결합되는 곳에서 약 20°(오차범위 ±5°)로 우측으로 기울어(B)지게 하거나 몸체와 자루부가 만나는 부분(C)도 위로 약 20°(오차범위 ±5°)정도 꺾어지게 함으로써, 부분(C)의 효과로 하변날부를 뒤로 꺾지 않아도 날의 방향이 땅속을 향해 들어가기 쉽고, 또한 손잡이를 잡은 손이 들떠있어 땅에 닿지 않게 하고, 땅을 깎아 내거나 풀뿌리를 자르기 위해, 날 몸체를 밀거나 당길 때 힘이 골고루 분산되어 날 몸체가 좌우로 벗어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농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농기구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농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농기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농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농기구의 배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농기구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농기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농기구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흙속을 이동하면서 흙을 깎아내거나 풀의 뿌리를 자를 수 있는 날이 형성된 상변날부(11)와 하변날부(12)를 구비한 삼각형 형상의 날 몸체(10)와, 날 몸체(10)의 하변날부(12)에 접하는 모서리에 상단부가 연장되는 자루부(20) 그리고 자루부(20)의 하단부가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손잡이부(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자루부(20)는 날 몸체(10)와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으로서, 날 몸체(10)의 측변부의 연장선상에 놓여진다.
역삼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날 몸체(10)의 형상이나 날 몸체(10)에 연장되는 자루부(20)의 연장 위치는 작업자가 본 발명에 의한 농기구를 왼손으로 사용하는지 혹은 오른손으로 사용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날 몸체(10)와 자루부(20)가 철과 같은 금속재질에 의해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손잡이부(30)가 통상의 호미와 같이 나무나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재질에 의해 원통이나 다각형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손잡이부(30)를 잡은 손의 파지력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손잡이부(30)가 다각형인 경우 작업중 손잡이부(30)를 잡은 손이 좌우로 미끄러져 돌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날 몸체(10)의 상변날부(11)와 하변날부(12)는 직선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의 곡선으로 성형될 수도 있다. 특히, 날 몸체(10)가 배면에서 보았을 때 원호 형상으로 절곡 형성됨으로써, 흙을 깎아 내거나 풀뿌리 등을 자르는 등의 작업을 할 때 상변날부(11)나 하변날부(12)의 양측부에 비해 중앙부에 큰 부하가 걸리게 되어 작업자는 날 몸체(10)를 좌우로 벗어나지 않도록 하면서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농기구는, 날 몸체(10)의 하변날부(12)의 전방부, 즉 자루부(20)로부터 먼거리에 있는 하변날부(12)에 톱날부(12a)가 형성됨으로써, 날 몸체(10)의 톱날부(12a)에 풀뿌리 등을 걸어 뽑아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 뽑힌 풀더미를 톱날부(12a)에 걸어 들어올리는 등의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농기구는, 하변날부(12)와 자루부(20)가 접하는 부분의 날 몸체(10)에 자루부(20)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부(13)를 형성하고, 톱날부(12a)가 끝나는 부분에서부터 절개부(13)까지의 하변날부(12)를 날 몸체(10)로부터 0°에서 시작하여 45°로 하향지게 절곡함으로써, 땅을 깎아 내거나 풀뿌리를 자를 때, 날 몸체를 강하게 누르지 않아도 앞으로 당겨지는 날 몸체가 떠오르지 않고 땅속에서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변날부(12)에 톱날을 많이 만들 경우, 톱날부에 풀이 끼어서 작업에 상당한 방해가 된다. 또한, 땅이나 딱딱한 땅을 깎아 내거나 굳은 땅이나 딱딱한 땅에서 자란 풀뿌리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강한 힘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변날부(12)의 일부에만 톱날부를 형성하고 나머지는 날만을 형성해서 톱날 사이에 풀이 많이 끼는 것을 최소화하고 작업시 비교적 적은 힘으로 굳은 땅이나 딱딱한 땅에서도 작업이 용이하다. 하변날부(12)의 절곡된 부분을 땅에 대고 누르면서 힘을 주어 앞으로 당기면 땅이 처음에는 삼각 모양으로 파여지고 이어 일정한 폭을 유지하면서 파여지게 된다.
여기서, 굳은 땅 또는 딱딱한 땅이라 함은 밭고랑 작물 사이의 땅이 건조로 인해 굳어진 땅, 풀 방지용 비닐로 덮힌 고랑과 고랑 사이에 비닐이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덮은 흙이 굳어진 땅, 밭과 밭 사이 사람이 다녀서 굳어진 땅, 농장주변 통로 등을 말하며, 이러한 땅에서는 풀의 키가 건조와 눌림으로 인해 작은 편이라 다른 큰 농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설명된 호미만 가지고도 충분히 풀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농기구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날 몸체(10)의 상변날부(11)가 손잡이부(30)의 연장선과 직교되게 상변날부(11)를 가지는 날 몸체(10)를 형성함으로써, 날 몸체(10)를 밀어 흙을 깎아 내거나 풀뿌리 등을 자를 때 날 몸체(10)가 좌우로 기울어지지 않고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농기구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변날부(11)와 하변날부(12) 사이의 각도(A)가 약 30°(오차범위 ±5°)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날 몸체(10)를 전방으로 당겨 하변날부(11)로 흙을 깎아 내거나 풀뿌리를 자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농기구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자루부(20)를 손잡이부(30)에 오른쪽으로 약 20°(오차범위 ±5°)로 기울어(B)지게 결합하고 몸체와 자루부도 위로 약 20°(오차범위 ±5°) 꺾여(C)있어, 부분(C)의 효과로 하변날부를 뒤로 꺾지 않아도 날의 방향이 땅속을 향해 들어가기 쉽고, 또한 손잡이를 잡은 손이 들떠있어 땅에 닿지 않게 하고, 날 몸체(10)를 밀거나 당겨 흙을 깎아 내거나 풀뿌리 등을 자를 때 날 몸체(10)가 좌우로 기울어지거나 벗어나지 않고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농기구를 이용하여 도 4에서와 같이, 땅을 깎아 내거나 땅속에서 풀의 뿌리를 자를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날 몸체 11 : 상변날부
12 : 하변날부 12a : 톱날부
13 : 절개부 20 : 자루부
30 : 손잡이부

Claims (7)

  1. 흙속을 이동하면서 흙을 깎아 내거나 풀의 뿌리를 자를 수 있는 날이 형성된 상변날부와 하변날부를 구비한 삼각형 형상의 날 몸체;
    상기 날 몸체의 하변날부에 접하는 모서리에 상단부가 연장되는 자루부; 및
    상기 자루부의 하단부가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손잡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날 몸체의 하변날부의 전방부에는 풀을 뽑아내거나 걷어내기 위한 톱날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변날부와 상기 자루부가 접하는 부분의 상기 날 몸체에 상기 자루부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톱날부가 끝나는 부분에서부터 상기 절개부까지의 상기 하변날부가 상기 날 몸체로부터 절곡되기 시작하여 상기 절개부까지 하향지게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 몸체가 배면에서 보았을 때, 원호형상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 몸체의 상변날부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손잡이부의 연장선과 직교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상변날부와 상기 하변날부 사이의 각도(A)가 25∼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부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자루부가 우측으로 15∼25°로 기울어지게(B) 결합되고, 상기 자루부와 상기 몸체가 만나는 부분(C)이 15∼25°로 상기 자루부가 위로 꺾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구.
KR20140145054A 2014-10-24 2014-10-24 농기구 KR101508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5054A KR101508567B1 (ko) 2014-10-24 2014-10-24 농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5054A KR101508567B1 (ko) 2014-10-24 2014-10-24 농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8567B1 true KR101508567B1 (ko) 2015-04-07

Family

ID=53032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45054A KR101508567B1 (ko) 2014-10-24 2014-10-24 농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5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044Y1 (ko) * 2001-10-23 2002-02-02 송일동 톱니날과 끝단날을 동시에 갖는 호미
KR200272871Y1 (ko) 2002-01-08 2002-04-20 김성주 칼날을 갖는 호미
KR100578593B1 (ko) 2005-03-23 2006-05-12 김성주 호미
KR20100104193A (ko) * 2009-03-17 2010-09-29 서정원 등에 날이 형성된 호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044Y1 (ko) * 2001-10-23 2002-02-02 송일동 톱니날과 끝단날을 동시에 갖는 호미
KR200272871Y1 (ko) 2002-01-08 2002-04-20 김성주 칼날을 갖는 호미
KR100578593B1 (ko) 2005-03-23 2006-05-12 김성주 호미
KR20100104193A (ko) * 2009-03-17 2010-09-29 서정원 등에 날이 형성된 호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62081A1 (en) Garden tool
US20060288588A1 (en) Garden tool
US2040751A (en) Cultivator
US2642305A (en) Garden weeder
US20080264655A1 (en) Combination garden tool
KR101872251B1 (ko) 잡초제거기
US2243127A (en) Weeding and cultivating tool
US3164213A (en) Soil conditioning tool
US6415874B1 (en) Garden and landscaping implement
EP1909554B1 (en) Vegetation cutter
US10143121B2 (en) Garden tool
KR101508567B1 (ko) 농기구
US6360826B1 (en) Weed hook
US20180184568A1 (en) Gardening Tool
EP2405733B1 (en) Tool for engagement in the ground
US20140083726A1 (en) Drill Driven Weed Removal Tool
KR20150114836A (ko) 잡초 제거가 가능한 다용도 낫
US2497506A (en) Garden tool
US20200352090A1 (en) Rake having a spade implement
US20050133230A1 (en) Hand held garden too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3219949U (ja) コテ付き草取り具
US1749674A (en) Agricultural implement
US20170295712A1 (en) Hand-held weed extractor and cultivator
KR20190110394A (ko) 잡초제거기
JP4452759B1 (ja) 農具および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