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715B1 -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715B1
KR101507715B1 KR20130048560A KR20130048560A KR101507715B1 KR 101507715 B1 KR101507715 B1 KR 101507715B1 KR 20130048560 A KR20130048560 A KR 20130048560A KR 20130048560 A KR20130048560 A KR 20130048560A KR 101507715 B1 KR101507715 B1 KR 101507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plastic
drying
air
main plate
pulverized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8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9796A (ko
Inventor
송재경
손영곤
김명기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그린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그린폴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48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715B1/ko
Publication of KR20140129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9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fluid currents, e.g. issuing from a nozzle, e.g. pneumatic, flash, vortex or entrainment dryers
    • F26B17/101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fluid currents, e.g. issuing from a nozzle, e.g. pneumatic, flash, vortex or entrainment dryers the drying enclosure having the shape of one or a plurality of shafts or ducts, e.g. with substantially straight and vertical axis
    • F26B17/105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fluid currents, e.g. issuing from a nozzle, e.g. pneumatic, flash, vortex or entrainment dryers the drying enclosure having the shape of one or a plurality of shafts or ducts, e.g. with substantially straight and vertical axis the shaft or duct, e.g. its axis, being other than straight, i.e. curved, zig-zag, closed-loop, spi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24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2017/001Pretreating the materials before recov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의 건조를 위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와, 상기 공기공급부에서 연결부를 통해 공기를 공급받는 공기유입부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공기유동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본판과, 상기 본판 하부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관은 세척된 폐플라스틱이 담겨 있는 톤백에 직접 삽입되어 상기 본판으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다수개의 중공을 통해 배출하여 건조함으로써, 건조방법이 간단하고,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대형 건조 장치의 필요성을 재고하여 투자비가 절감되는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 건조 장치{The Drying Device for The Crushing Product of Washed Waste Plastic}
본 발명은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의 건조를 위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와, 상기 공기공급부에서 연결부를 통해 공기를 공급받는 공기유입부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공기유동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본판과, 상기 본판 하부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관은 세척된 폐플라스틱이 담겨 있는 톤백에 직접 삽입되어 상기 본판으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다수개의 중공을 통해 배출하여 건조함으로써, 건조방법이 간단하고,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대형 건조 장치의 필요성을 재고하여 투자비가 절감되는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공이 쉽고 녹슬지 않으며, 내구성이 양호한 플라스틱은 석유공업의 발달과 생활의 편리성 추구로 인하여 사용량이 증대되고 있는 반면에, 플라스틱은 자연분해 되지 않은 물질로, 매립을 통한 처분에도 오랫동안 썩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소각을 통한 처분에도 완전연소가 어려우며 유독가스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이에 대한 해결책이 시급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폐플라스틱의 재활용이 권장되고 있으며,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함으로써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 매립을 통한 토양의 오염을 막을 뿐만 아니라, 많은 경제적 이익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플라스틱의 재활용을 위해 입고되는 폐플라스틱 원료는 종류와 색깔 및 크기가 모두 상이하여 특정상품으로 재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 용기나 프레임 및 필름 등의 생산에 이용하기 위하여 칩(chip) 형태로 재생된다.
상기의 과정에서의 폐플라스틱은 세척-절단-혼합-건조-용융-몰딩-냉각-절단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상기 입고되는 폐플라스틱에는 여러 가지 이물질과 수분을 포함함으로써 용융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을 유발함으로써, 자력선별이나 풍력선별 또는 정밀한 수선별로 처리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척을 한 후에 남아 있는 수분은 용융과정에서 기포의 형성과 폭발, 열손실을 동반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생산되는 플라스틱 내에 기공을 형성하게 되어 재활용품의 품질에 중대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폐플라스틱 분쇄품과 첨가제 등을 배합기에 넣어 리본타입 블랜더를 돌려가며 내외부의 히팅과 링블로워를 통해 분쇄품을 건조하는데, 분쇄품의 건조시간이 길며, 생산성 저하 및 기계의 수리비 증가 등의 문제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6-071153에는 수분을 포함한 폐플라스틱을 건조하는 폐플라스틱 건조 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폐플라스틱 건조 장치는 대량의 폐플라스틱을 건조할 수 있으나, 건조 장치의 부피가 크며 작업 비용 또한, 과다하게 투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 : 일본공개특허공보 2006-071153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이 간단한 건조 장치를 형성하여, 세척된 폐플라스틱이 담겨 있는 톤백에 직접 삽입하여 건조함으로써, 건조 시간의 단축과 생산비가 절감되는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이 간단한 건조 장치를 형성하여, 세척된 폐플라스틱이 담겨 있는 톤백에 직접 삽입하여 건조함으로써, 대형 건조 장치의 필요성을 재고하여 투자비가 절감되는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 건조 장치는 폐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해 입고되는 폐플라스틱 분쇄품을 건조하는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 건조장치에 있어서,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의 건조를 위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와 상기 공기공급부에서 연결부를 통해 공기를 공급받는 공기유입부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공기유동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본판;과 상기 본판 하부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관;은 세척된 폐플라스틱이 담겨 있는 톤백에 직접 삽입되어 상기 본판으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다수개의 중공을 통해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 건조 장치는 구성이 간단한 건조 장치를 형성하여, 세척된 폐플라스틱이 담겨 있는 톤백에 직접 삽입하여 건조함으로써, 건조 시간의 단축과 생산비가 절감되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이 간단한 건조 장치를 형성하여, 세척된 폐플라스틱이 담겨 있는 톤백에 직접 삽입하여 건조함으로써, 대형 건조 장치의 필요성을 재고하여 투자비가 절감되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 건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 건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 건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 건조 장치의 동작 및 사용방법을 나타낸 개략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 건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 건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 건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 건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 건조 장치의 동작 및 사용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 건조 장치는 가열공기를 공급받는 공기유입부(11)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본판(10)과, 상기 본판(10)에서 공급받은 건조한 가열공기를 일정한 이격으로 형성되는 중공(21)을 통해 배출하되, 상기 본판(10) 하부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지관(2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본판(10) 중앙에는 건조한 가열공기를 공급받는 공기유입부(11)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건조한 가열공기를 상기 지관(20)으로의 고른 분배를 위하여, 상기 본판(10)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권장 되지만, 상기 공기유입부(11)는 작업환경 및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판(10) 하부에는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지관(20)이 형성된다.
상기 지관(20)은 일정하게 이격되어 형성되는 중공(21)을 포함하며, 상기 중공(21)을 통해 건조한 가열공기를 배출하여 폐플라스틱의 분쇄품을 건조한다.
또한, 상기 지관(20)은 선택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21) 또한,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이 끼지 않을 정도의 선택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 상기 지관(20)은 하나 이상의 선택되는 개수로 형성 되며, 상기 중공(21) 또한, 하나 이상의 선택되는 개수로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본판(10)과 지관(20)은 스테인레스, 플라스틱, 유리 등 다양한 재료로 형성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 건조 장치는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이 담겨 있는 톤백(50)에 직접 삽입되어 건조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강도가 필요한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 건조 장치는 상기와 같이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이 담겨 있는 톤백(50)에 직접 삽입되어 건조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공급부(30)는 링블로워 등을 이용하여 연결부(40)로 배출한다.
상기 공기공급부(30)에서 배출된 건조한 가열공기는 상기 연결부(40)를 통해 상기 본판(10)으로 공급한다.
상기 연결부(40)는 호스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자유로운 작업이 가능하며, 고무 재질의 호스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재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10 : 본판
11 : 공기유입부
20 : 지관
21 : 중공
30 : 공기공급부
40 : 연결부
50 : 톤백

Claims (1)

  1. 폐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해 입고되는 폐플라스틱 분쇄품을 건조하는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 건조장치에 있어서,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의 건조를 위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30);와
    상기 공기공급부(30)에서 연결부(40)를 통해 공기를 공급받는 공기유입부(11)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공기유동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본판(10);과
    상기 본판(10) 하부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관(20);은 세척된 폐플라스틱이 담겨 있는 톤백(50)에 직접 삽입되어 상기 본판(10)으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다수개의 중공(21)을 통해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공기공급부(30)에서 배출된 건조된 가열공기를 상기 본판(10)으로 공급하는 연결부(4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40)는 고무재질의 유연한 호스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관(20)이 상기 톤백(50)으로의 직접 삽입이 자유롭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 건조장치.
KR20130048560A 2013-04-30 2013-04-30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 건조 장치 KR101507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8560A KR101507715B1 (ko) 2013-04-30 2013-04-30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8560A KR101507715B1 (ko) 2013-04-30 2013-04-30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 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796A KR20140129796A (ko) 2014-11-07
KR101507715B1 true KR101507715B1 (ko) 2015-04-07

Family

ID=52454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8560A KR101507715B1 (ko) 2013-04-30 2013-04-30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7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699A (ko) 2015-10-05 2017-04-13 (주)그린폴 재생 또는 복합 폴리프로필렌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6599U (ja) * 1992-10-15 1994-05-17 株式会社アジクリエーション 押入布団乾燥機
JP2000127157A (ja) 1998-10-23 2000-05-09 Kawasaki Kiko Co Ltd 合成樹脂再生原料の乾燥処理方法並びに装置
KR200263436Y1 (ko) * 2001-10-27 2002-02-04 허미선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기 위한 건조기
JP2005125139A (ja) 2003-10-21 2005-05-19 Earth Technica:Kk プラスチック廃材乾式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6599U (ja) * 1992-10-15 1994-05-17 株式会社アジクリエーション 押入布団乾燥機
JP2000127157A (ja) 1998-10-23 2000-05-09 Kawasaki Kiko Co Ltd 合成樹脂再生原料の乾燥処理方法並びに装置
KR200263436Y1 (ko) * 2001-10-27 2002-02-04 허미선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기 위한 건조기
JP2005125139A (ja) 2003-10-21 2005-05-19 Earth Technica:Kk プラスチック廃材乾式洗浄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699A (ko) 2015-10-05 2017-04-13 (주)그린폴 재생 또는 복합 폴리프로필렌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796A (ko) 2014-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6641B1 (ko) 슬러지를 이용한 펠릿 제조 장치
CN104708730A (zh) 一种pet瓶的回收工艺
CN104708732A (zh) 一种新型再生塑料薄膜粉碎装置
CN107627488A (zh) 注塑料回收再利用装置
KR101507715B1 (ko) 세척된 폐플라스틱 분쇄품 건조 장치
KR101583305B1 (ko) 폐합성수지 재생방법
KR20170006471A (ko) 생활폐기물 처리시스템의 파쇄 탈분기
KR20200098879A (ko) 펄프 몰드 성형품의 제조방법
KR101982532B1 (ko) 폐스티로폼 재활용 및 연료화를 위한 대용량 스팀식 감용기
CN211440866U (zh) 一种自动上料和二次回收系统
CN204566464U (zh) 一种新型再生塑料薄膜粉碎装置
KR101151664B1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사료 제조 장치
CN106903822A (zh) 新型3d打印机废材回收装置
KR101798633B1 (ko) 재생 또는 복합 폴리프로필렌 제조방법
CN111023710A (zh) 一种废塑料裂解用脱水装置
CN204622384U (zh) 塑料造粒机生产线
CN205364294U (zh) 一种全自动废旧轮胎处理生产线
CN203818270U (zh) 一种带烘干功能的碎屑机
CN105107569A (zh) 一种揉搓机
CN206690456U (zh) 节能环保型注塑机
EP2631051B1 (en) Post consumer scrap film recycling process
KR101206068B1 (ko) 폐전선 수지피복물의 재활용 방법
CN209971218U (zh) 一种脉冲式分级橡胶粉碎研磨装置
CN208148267U (zh) 废泡沫降解设备
CN204235794U (zh) 一种粉尘分离器自动化回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