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604B1 - 드럼 직분사형 세탁물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드럼 직분사형 세탁물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604B1
KR101507604B1 KR20130040624A KR20130040624A KR101507604B1 KR 101507604 B1 KR101507604 B1 KR 101507604B1 KR 20130040624 A KR20130040624 A KR 20130040624A KR 20130040624 A KR20130040624 A KR 20130040624A KR 101507604 B1 KR101507604 B1 KR 101507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module
housing
blowing
connec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0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3352A (ko
Inventor
이수진
김원희
Original Assignee
김원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희 filed Critical 김원희
Priority to KR20130040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604B1/ko
Publication of KR20140123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9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the bearing of the rotary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을 구비하고 있는 세탁물 건조장치에 있어서 세탁물이 위치하는 드럼 내부로 직접 열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빠르고 효과적으로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드럼 직분사형 세탁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면도어가 구비되어 있으며, 후면에 일정 크기의 원형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공간부와, 상기 상부공간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공간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공간부에 위치하며 후면에 일정 크기의 원형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1드럼; 양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공간부의 후면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제1드럼의 후면 개구와 일단이 연통되는 원통형의 연결모듈; 상기 연결모듈의 타단과 연통되어 상기 제1드럼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모듈; 및 상기 연결모듈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송풍모듈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에 열을 발생하여 전달하는 발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드럼 직분사형 세탁물 건조장치{Hot Air Direct Injection Type Laundry Dryer}
본 발명은 세탁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드럼을 구비하고 있는 세탁물 건조장치에 있어서 세탁물이 위치하는 드럼 내부로 직접 열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빠르고 효과적으로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드럼 직분사형 세탁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장치 등을 이용하여 의류나 각종 침구류 등과 같은 섬유제품을 세탁, 탈수한 후에는 세탁물을 건조대에 거치하여 태양광선과 자연풍을 이용하여 건조하게 되는데, 근래 들어서는 별도의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인공적으로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세탁장치와 건조장치를 하나의 장치에서 구현한 세탁건조장치도 이용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세탁물 건조장치 중에서 히터 등으로 세탁물이 수용된 공간의 공기를 가열하고, 세탁물의 수분을 흡수한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건조시키는 배기식 건조장치가 대표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도 1에는 종래 배기식 건조장치의 내부 구성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기식 건조장치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어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20)과, 상기 드럼(20)의 상부에 위치하여 드럼(20)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30)와, 상기 드럼(20) 내부의 공기가 상기 하우징(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된 배기 유로(40)와, 상기 배기 유로(40) 상에 설치된 송풍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배기식 건조장치의 작동 방식을 간단히 살펴보면, 세탁과 탈수가 끝난 세탁물을 상기 드럼(20) 내부로 투입한 후 상기 히터(30)를 작동시키면 상기 드럼(20)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이후 상기 드럼(20) 내부의 가열된 공기가 세탁물과 열 교환을 하면서 세탁물의 수분을 흡수하여 다습한 공기로 변하게 되며, 이와 같은 다습한 공기는 상기 송풍장치(50)를 통해 상기 배기 유로(40)를 타고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배기식 건조장치는 상기 드럼(20)의 상부에 위치한 히터(30)에 의하여 드럼(20) 내부의 공기가 간접적으로 가열되어 열 손실이 많이 발생하게 되어 에너지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드럼(20) 내부의 공기가 상기 송풍장치(50)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므로 상기 히터(30)에서 전달된 열이 충분히 상기 드럼(20) 내부를 가열하지 못하게 되어 세탁물의 건조에 장시간이 소요되어 건조 효율 역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86455호(1998년12월29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00730호(2006년07월06일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드럼을 구비하고 있는 세탁물 건조장치에 있어서 건조장치의 외측에 구비된 송풍장치와 발열장치에서 세탁물이 위치하는 드럼 내부로 직접 열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빠르고 효과적으로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드럼 직분사형 세탁물 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드럼 직분사형 세탁물 건조장치는, 전면도어가 구비되어 있으며, 후면에 일정 크기의 원형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공간부와, 상기 상부공간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공간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공간부에 위치하며 후면에 일정 크기의 원형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1드럼; 양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공간부의 후면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제1드럼의 후면 개구와 일단이 연통되는 원통형의 연결모듈; 상기 연결모듈의 타단과 연통되어 상기 제1드럼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모듈; 및 상기 연결모듈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송풍모듈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에 열을 발생하여 전달하는 발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발열모듈은 상기 연결모듈과 송풍모듈 내부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며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바형 전기저항 발열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바형 전기저항 발열체는 탄소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열모듈은, 상기 바형 전기저항 발열체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되 설치되어 있는 전후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고정가이드와, 타측 단부를 고정하는 제2고정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발열모듈은, 상기 바형 전기저항 발열체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가이드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모듈과 송풍모듈 사이에 위치하여 각각과 결합하되 설치된 전후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원형 판 형상의 제3고정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송풍모듈은, 상기 연결모듈과 연통하는 송풍덕트와, 상기 송풍덕트 연통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공간부 후면 개구에 고정되어 연결되는 고정튜브와, 상기 고정튜브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드럼의 후면 개구에 고정되어 연결되는 회전튜브와, 상기 고정튜브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튜브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하는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공간부에 위치하는 동력발생장치로부터 상기 회전튜브로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1드럼과 회전튜브를 회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에는, 내부에 상기 제1드럼을 내포하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공간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2드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드럼은 전방부 외주면에만 내외부를 관통하는 미세 타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공간부 후면에는 하나 이상의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드럼의 후면과 송풍모듈을 연결모듈로 연통한 후 연결모듈 내에 발열모듈이 구비되도록 하고, 송풍모듈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발열모듈로 가열하고 연결모듈을 제1드럼으로 직분사 공급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1드럼에 투입되어 있는 세탁물을 열 손실이 거의 없이 열풍으로 직접 건조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이 높을 뿐만 건조에 소모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건조 효율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열모듈을 길이가 긴 막대 형상의 바형 전기저항 발열체로 구성하고 연결모듈과 송풍모듈 내에서 제1 내지 제3고정가이드를 통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송풍모듈에서 연결모듈로 공급되는 공기의 진행을 방해함이 없이 효율적으로 가열하여 제1드럼 내부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는 다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모듈을 고정튜브와 회전튜브로 구성하고, 고정튜브와 회전튜브 사이에 베어링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튜브를 제1드럼과 함께 동력발생장치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드럼 내로 직접 열풍을 직분사함과 아울러 제1드럼을 일정 속도로 회전하여 제1드럼에 투입되어 있는 세탁물의 수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드럼의 전방부에만 제1드럼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미세 크기의 타공을 형성하고, 하우징의 하부공간부 후면에 상기 제1드럼의 타공으로 빠져나오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를 형성함으로써, 연결모듈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이 제1드럼 후면, 제1드럼 전방부 타공, 하우징 하부공간부 후면으로 유로를 형성하며 배출되게 되어 제1드럼의 전체에 타공을 형성하였을 때보다 장기간 제1드럼 내부에 머무르면서 세탁물의 수분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어 빠른 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배기식 건조장치의 내부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드럼 직분사형 세탁물 건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드럼 직분사형 세탁물 건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드럼 직분사형 세탁물 건조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드럼 직분사형 세탁물 건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드럼 직분사형 세탁물 건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발열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드럼 직분사형 세탁물 건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드럼 직분사형 세탁물 건조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드럼 직분사형 세탁물 건조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드럼 직분사형 세탁물 건조장치는 전면도어(1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외관을 형성하고 있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후면에 설치되어 있는 원통형의 연결모듈(400)과, 상기 연결모듈(400)과 연통되는 송풍모듈(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에는 상기 전면도어(110)가 설치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전면패널(121)과, 상기 전면패널(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패널(131)이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로 상기 하우징(100)을 이루는 프레임에 결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 상단에는 상단패널(150)이 역시 고정 장착되게 되는데, 상기 상단패널(150)의 후면, 즉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에는 세탁장치의 각종 동작을 제어장치(도면에는 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상단패널(150)에는 세탁장치의 상황 등을 나타내는 표시창과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버튼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후면에는 일정 크기의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모듈(400)이 장착되며, 상기 연결모듈(400)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드럼(200)과 연통되며, 타단은 상기 송풍모듈(500)과 연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송풍모듈(500)이 상기 연결모듈(400)을 통해 곧바로 상기 제1드럼(200) 내부로 열풍을 직분사하여 공급할 수 있어 상기 제1드럼(200) 내부에 투입되어 있는 세탁물을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송풍모듈(500)을 통해 상기 제1드럼(200)으로 공급된 열풍은 세탁물의 수분을 흡수한 후 상기 하우징(100)의 후면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배기구(13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데, 상기 배기구(132)를 통해 상기 제1드럼(200)과 연통되는 배기덕트(도면에는 미도시)가 상기 하우징(100) 내외부로 형성되며, 상기 배기덕트 이외에 상기 제1드럼(200)에서 배출되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호스(도면에는 미도시) 등도 상기 하우징(100) 내외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외관을 중심으로 살펴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럼 직분사형 세탁물 건조장치의 내부 구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드럼 직분사형 세탁물 건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드럼 직분사형 세탁물 건조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발열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드럼 직분사형 세탁물 건조장치의 하우징(100)은 크게 두 부분의 공간으로 구분되어 지는데, 즉, 상기 제1드럼(200) 등이 위치하는 상부공간부(120)와 상기 제1드럼(200)에 연통되는 배기덕트나 배수호스 등이 위치하는 하부공간부(130)로 나누어져 있다.
상기 상부공간부(120)의 전면은 상기 전면패널(121)이, 상기 하부공간부(130)의 전면은 상기 하부패널(131)이 폐쇄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상기 전면패널(121)은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에 앞서 언급하였듯이 볼트 등으로 단단하게 체결되지만, 상기 하부패널(131)은 유지 보수를 위하여 상기 하부패널(131)에 여닫을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상부공간부(120)에는 건조하고자 하는 세탁물이 상기 전면도어(110)를 통해 투입되어 위치하는 제1드럼(200)이 위치하는데, 상기 제1드럼(200)은 전면과 후면에 일정 크기의 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전면의 개구는 상기 전면도어(110)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세탁물을 투입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드럼(200)의 후면에 형성된 개구는 상기 연결모듈(400)을 통해 열풍이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모듈(400)의 내주면 둘레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제1드럼(200)의 후면 개구와 연결모듈(400)의 일단은 공급되는 열풍이 상기 제1드럼(200)과 연결모듈(400)의 연결부위를 통해 빠져 나가지 않도록 단단하게 밀폐되어 결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건조장치의 드럼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드럼의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여 세탁물이 뒤섞이면서 골고루 건조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럼 직분사형 세탁물 건조장치 또한 상기 제1드럼(200)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모듈(400)을 상기 하우징(100) 후면의 개구 부위에 결착되는 고정튜브(410)와, 상기 제1드럼(200)의 후면 개구 부위에 결착되는 회전튜브(420)와, 상기 고정튜브(410)의 내주면과 회전튜브(420)의 외주면 사이에 구비되는 베어링(430)으로 구성하고, 상기 회전튜브(420)를 벨트 등과 같은 동력전단수단으로 모터 등과 같은 동력발생장치와 연결하여 상기 회전튜브(450)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상기 제1드럼(200)과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모터 등과 같은 동력발생장치는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공간부(130)에 구비하는 것이 공간 활용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모듈(400)의 타단은 상기 제1드럼(200) 내부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송풍모듈(500)이 결착되는데, 상기 연결모듈(400)의 일단과 상기 제1드럼(200)의 후면 개구가 밀폐되면서 결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연결부위를 통해 열풍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단단하게 밀폐되면서 결착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송풍모듈(500)은 회전력에 의하여 공기를 이동시키는 송풍팬(520)과, 상기 송풍팬(520)을 구동하는 구동모터(530)와, 상기 구동모터(530)에 의하여 상기 송풍팬(520)이 구동되어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을 상기 연결모듈(400)로 유도하는 송풍덕트(5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풍덕트(510)와 송풍팬(520), 구동모터(530)은 상기 연결모듈(400)에 이어서 일직선으로 연달아 결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지만, 이와 같이 일직선으로 구성하는 경우 건조장치의 후면으로 너무 길게 돌출되어 장소적인 제약을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덕트(510)를 일자형이 아닌 상방으로 절곡되어 있는 L자형으로 구성하여 상기 송풍팬(520)이 상기 송풍덕트(51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송풍팬(520)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팬을 채택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시로코 팬으로 알려져 있는 다익형 팬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송풍팬(520)을 통해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에 열을 부가하여 열풍을 형성하기 위하여 발열모듈(600)을 구비하도록 하며, 효율적으로 열풍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송풍덕트(510)와 연결모듈(400)에 걸쳐서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송풍덕트(510)와 연결모듈(400) 내에 위치하면서도 상기 송풍팬(520)에 의하여 발생된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발열모듈(600)을 얇고 긴 막대 형상의 바형 전기저항 발열체(610) 다수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형 전기저항 발열체(610)는 전류의 흐름에 대한 저항으로 인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장치로 금속성 발열체와 비금속성 발열체가 있으며, 금속성 발열체로는 크롬이나 크롬 합금을 이용한 것이 대표적이며, 비금속성 발열체로는 탄소 재질을 이용한 것이 있다.
이중에서 탄소 재질의 비금속성 발열체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바형 전기저항 발열체(610)의 발열 효율을 높일 수 있어 전기 소모가 많을 수밖에 없는 세탁물 건조장치에서 경제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바형 전기저항 발열체(610)의 타측 단부에는 전기를 공급하고 회수할 수 있는 리드선(6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드선(611)은 상기 송풍덕트(510)의 일측면으로 빠져나와 전기 공급 장치(도면에는 미도시)에 연결된다.
상기 바형 전기저항 발열체(610)를 상기 송풍덕트(510)와 연결모듈(400) 내에 고정하기 위하여 제1고정가이드(620)와 제2고정가이드(630), 제3고정가이드(640)를 구비하도록 한다.
상기 제1고정가이드(620)는 상기 바형 전기저항 발열체(610)의 일단을 열풍 등에 의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데, 다수 개의 바형 전기저항 발열체(610)가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전체 바형 전기저항 발열체(610)의 일단을 고정하여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하여 준다.
이때, 상기 제1고정가이드(620)는 일반적으로 상기 연결모듈(400) 내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제1고정가이드(620)에 의하여 공기의 흐름이 최대한으로 방해받지 않도록 하여 주는 것이 중요하며, 따라서, 상기 제1고정가이드(620)에 공기가 흐를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여 유로를 확보하여 주도록 한다.
상기 제2고정가이드(630)는 상기 바형 전기저항 발열체(610)의 타단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다수 개의 바형 전기저항 발열체(610)가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 역시 전체를 고정하여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하여 준다.
상기 제2고정가이드(630)는 상기 송풍덕트(510)의 단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최대한 두께를 얇게 형성하기만 하면, 별도로 공기의 유로를 확보하여 줄 필요는 없을 것이다.
상기 바형 전기저항 발열체(610)의 중간 부분에는 제3고정가이드(640)을 이용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상기 제3고정가이드(640)는 상기 연결모듈(400)의 타단과 상기 송풍덕트(510)의 일단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모듈(400)과 송풍덕트(510)를 결착할 때 함께 결착되도록 하여 준다.
상기 제3고정가이드(640)는 상기 연결모듈(400)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유로 상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1고정가이드(610)와 마찬가지로 최대한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공간부를 형성하여 유로를 확보하여 주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발열모듈(600)을 이용하여 상기 제1드럼(200) 내로 이동하는 공기에 열을 부가하여 상기 제1드럼(200) 내로 열풍을 직접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제1드럼(200) 내로 공급된 공기는 세탁물의 수분을 흡수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제1드럼(20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상기 제1드럼(200)에 미세 타공(210)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미세 타공(210)을 상기 제1드럼(200) 전체에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제1드럼(200)의 후면으로 공급된 열풍이 중간에서 빠져 나가가게 되어 앞쪽에 위치한 세탁물에는 열풍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미세 타공(210)을 상기 제1드럼(200)의 전방부에만 형성하도록 하여 공급된 열풍이 중간에 빠져나가지 않고 앞쪽까지 잘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상기 하부공간부(130)에 형성되는 배기덕트(도면에는 미도시) 또한 상기 제1드럼(200)의 전방부와 배기구(131)을 연통하도록 형성하여 주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드럼(200)에 미세 타공(210)을 형성하는 경우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이 상기 제1드럼(200) 외부로 유출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제1드럼(200)이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원심력에 의하여 미세 타공(210)을 통해 수분이 배출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미세 타공(210)을 통해 배출되는 수분이 상기 하부공간부(130)로 떨어져 상기 하부공간부(130)에 위치하고 있는 동력발생장치 등과 같은 전기 또는 기계 장치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상기 제1드럼(200)의 외측에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2드럼(300)을 더 형성하여 배출되는 수분을 모을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상기 제2드럼(300)에 모이는 물은 상기 제2드럼(30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구(도면에는 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데, 앞서 언급하였듯이 상기 배기구(132)를 통해 상기 제2드럼(300)의 배수구에 배수호스를 연결하여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나 치환 등에 의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100 - 하우징 20 - 드럼
30 - 히터 40 - 배기 유로
50 - 송풍장치
110 - 전면도어
120 - 상부공간부 121 - 전면패널
130 - 하부공간부 131 - 하부패널
132 - 배기구 150 - 상단패널
200 - 제1드럼 210 - 미세 타공
300 - 제2드럼
400 - 연결모듈 410 - 고정튜브
420 - 회전튜브 430 - 베어링
500 - 송풍모듈 510 - 송풍덕트
520 - 송풍팬 530 - 구동모터
600 - 발열모듈 610 - 바형 전기저항 발열체
620 - 제1고정가이드 621 - 리드선
630 - 제2고정가이드 640 - 제2고정가이드

Claims (10)

  1. 전면도어가 구비되어 있으며, 후면에 일정 크기의 원형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공간부와, 상기 상부공간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공간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공간부에 위치하며 후면에 일정 크기의 원형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1드럼;
    양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공간부의 후면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제1드럼의 후면 개구와 일단이 연통되는 원통형의 연결모듈;
    상기 연결모듈의 타단과 연통되어 상기 제1드럼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모듈; 및
    상기 연결모듈과 송풍모듈 내부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며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바형 전기저항 발열체와, 상기 바형 전기저항 발열체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되 설치되어 있는 전후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고정가이드와, 타측 단부를 고정하는 제2고정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모듈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송풍모듈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에 열을 발생하여 전달하는 발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직분사형 세탁물 건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형 전기저항 발열체는 탄소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직분사형 세탁물 건조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모듈은,
    상기 바형 전기저항 발열체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가이드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모듈과 송풍모듈 사이에 위치하여 각각과 결합하되 설치된 전후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원형 판 형상의 제3고정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직분사형 세탁물 건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풍모듈은,
    상기 연결모듈과 연통하는 송풍덕트와, 상기 송풍덕트 연통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직분사형 세탁물 건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공간부 후면 개구에 고정되어 연결되는 고정튜브와, 상기 고정튜브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드럼의 후면 개구에 고정되어 연결되는 회전튜브와, 상기 고정튜브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튜브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하는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공간부에 위치하는 동력발생장치로부터 상기 회전튜브로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1드럼과 회전튜브를 회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직분사형 세탁물 건조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제1드럼을 내포하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공간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2드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직분사형 세탁물 건조장치.
  9.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5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1드럼은, 전방부 외주면에만 내외부를 관통하는 미세 타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직분사형 세탁물 건조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공간부 후면에는 하나 이상의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직분사형 세탁물 건조장치.
KR20130040624A 2013-04-12 2013-04-12 드럼 직분사형 세탁물 건조장치 KR101507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0624A KR101507604B1 (ko) 2013-04-12 2013-04-12 드럼 직분사형 세탁물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0624A KR101507604B1 (ko) 2013-04-12 2013-04-12 드럼 직분사형 세탁물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352A KR20140123352A (ko) 2014-10-22
KR101507604B1 true KR101507604B1 (ko) 2015-04-06

Family

ID=51994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0624A KR101507604B1 (ko) 2013-04-12 2013-04-12 드럼 직분사형 세탁물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60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138A (ko) * 2003-03-11 2004-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20090120075A (ko) * 2008-05-19 2009-11-24 (주)웰테크 온풍 기능이 부가된 천정 부착용 빨래 건조대
KR101125926B1 (ko) 2011-09-08 2012-03-21 이수천 세탁물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138A (ko) * 2003-03-11 2004-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20090120075A (ko) * 2008-05-19 2009-11-24 (주)웰테크 온풍 기능이 부가된 천정 부착용 빨래 건조대
KR101125926B1 (ko) 2011-09-08 2012-03-21 이수천 세탁물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352A (ko) 201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80120B (zh) 衣物处理装置
EP2990519B1 (en) Laundry dryer
EP3524727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100473B1 (ko) 폐열 회수수단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JP4083662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RU2005115278A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барабанного типа (варианты) и суш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акой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ы
CN208075511U (zh) 一种纺织面料烘干装置
KR100547653B1 (ko) 세탁물 건조장치
US7658015B1 (en) Clothes drying device
KR101507604B1 (ko) 드럼 직분사형 세탁물 건조장치
KR20070063997A (ko) 드럼세탁기의 건조장치
CN106676855B (zh) 烘干洗衣机
KR100446763B1 (ko) 의류 건조기의 포 가열장치
JP2006314839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CN100519910C (zh) 兼具烘干功能的滚筒洗衣机的隔热板连接结构
CN113235263A (zh) 底部进风烘干的门体洗涤机构和洗涤装置
CN109695122B (zh) 用于衣物处理设备的烘干系统和衣物处理设备
JP4379269B2 (ja) 洗濯乾燥機
KR100648171B1 (ko) 드럼세탁기의 제습장치
JP7426644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CN215447276U (zh) 一种显示屏电子元器件用除湿装置
JP6183633B2 (ja) 乾燥装置
CN108625131A (zh) 干衣设备
CN215405125U (zh) 底部进风烘干的门体洗涤机构和洗涤装置
CN211199697U (zh) 一种化纤面料生产用烘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