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424B1 -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 - Google Patents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424B1
KR101507424B1 KR1020140152635A KR20140152635A KR101507424B1 KR 101507424 B1 KR101507424 B1 KR 101507424B1 KR 1020140152635 A KR1020140152635 A KR 1020140152635A KR 20140152635 A KR20140152635 A KR 20140152635A KR 101507424 B1 KR101507424 B1 KR 101507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ealing
close contact
fluid
ad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섭
Original Assignee
실리콘밸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리콘밸리(주) filed Critical 실리콘밸리(주)
Priority to KR1020140152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4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4Hermetically-sealed casings sealed by potting, e.g. waterproof resin poured in a rigid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면에 좌,우측이 대칭되는 돌출부를 구비한 씰링부가 케이스에 밀착될 시 상기 돌출부 사이의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씰링부가 케이스에 진공 흡착되는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하부에 위치한 휴대폰 케이스의 밀폐를 위해 상부에 위치한 제 1휴대폰 케이스의 내면에 밀착되며, 좌,우측에 형성된 돌출부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호 대칭되는 단면 형태를 가진 탄성재질의 씰링부와 상기 씰링부의 하면에는 하부에 위치한 휴대폰 케이스의 내면과 밀착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에 위치한 휴대폰 케이스의 내면에 씰링부가 가압에 의해 밀착될 시 씰링부의 좌,우측에 위치한 돌출부 사이의 유체가 가압에 의해 외부로 빠져나가 돌출부 사이의 압력이 외부압력보다 낮은 상태가 되어 씰링부가 휴대폰 케이스에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sealing for cell phone using adsorption}
본 발명은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면에 좌,우측이 대칭되는 돌출부를 구비한 씰링부가 케이스에 밀착될 시 상기 돌출부 사이의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씰링부가 케이스에 진공 흡착되는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제품은 방수가 되지않아 생활중 유체의 침투로 인해 내부 전자 부품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일부 전자기기에서 널리 공지된 오링을 이용하여 케이스 내부로 유체와 같은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밀폐시키는 방법이 개발되었으나, 오링은 밀폐력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부족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 10-1432524호 "휴대 단말기용 백 패킹"과 같이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밀폐력을 높인 제품이 출시되었다.
하지만, 접촉면적은 증가하였으나, 밀폐수단이 밀폐를 위해 지속적으로 제품을 가압함에 따라, 현재 경량화되면서 얇아지고 있는 휴대 전자기기의 케이스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수단(111)의 형상이 일측(케이스 외부) 방향을 향하는 형태를 가짐에 따라, 101과 같이 일측에서의 유입을 방지하기에는 적합하였으나, 102와 같이 내부에서 빠져나가는(유실되는) 유체를 방지할 수 없으며, 내부 압력이 높아질 시 밀폐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효과만 있을 뿐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발열이나, 외부 환경에 따라 변하는 전자기기의 외부와 내부의 기압차이로 인해 팽창된 내부 유체가 외부로 빠져나가는(유실) 현상을 방지하기에는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부 유체가 외부로 빠져나간 후 일반적인 환경(전자기기의 미발열 상태 또는 기압차이가 발생하기 전 환경)에서 케이스 내부의 기압은 내부 유체의 유실로 인해 지속적으로 낮은 기압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케이스가 파손 또는 변형되거나, 내부 전자 부품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부로부터 침입되는 이물질이나, 수분이 수용하기 위한 오목라인(20a)을 구비하고 있으나, 밀폐효과의 증가가 없으며, 이물질이나, 수분이 오목라인(20a)에 잔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밀폐력을 증가시키지 않는 오목라인(20a)에 고여진 이물질이나, 수분으로 인해 위생상 유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432524호 "휴대 단말기용 백 패킹"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높은 밀폐력을 유지하면서 케이스가 손상되지 않는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 유체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내부 유체의 유실도 방지할 수 있는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은 상부에 위치한 제1 케이스와 하부에 위치한 제2 케이스로 이루어진 휴대폰 케이스의 밀폐를 위해 상부에 위치한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면에 밀착되며, 좌,우측에 형성된 돌출부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호 대칭되는 단면 형태를 가진 탄성재질의 씰링부와 상기 씰링부의 하면에는 하부에 위치한 상기 제2 케이스의 내면과 밀착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에 위치한 제1 케이스의 내면에 씰링부가 가압에 의해 밀착될 시 씰링부의 좌,우측에 위치한 돌출부 사이의 유체가 가압에 의해 외부로 빠져나가 돌출부 사이의 압력이 외부압력보다 낮은 상태가 되어 씰링부가 제1 케이스에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씰링부의 일측에 위치한 돌출부는 끝단이 상기 제1 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밀착되며, 타측에 위치한 돌출부는 끝단이 상기 일측에 위치한 돌출부의 방향과 정반대로 제1 케이스의 내측 방향으로 밀착되어 외측에서의 유체 유입뿐만 아니라, 내측에서의 유체 유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케이스와 밀착 시 끝단이 좌,우측 방향을 향하도록 돌출부 사이 내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에 위치한 제1 케이스와 하부에 위치한 제2 케이스로 이루어진 휴대폰 케이스의 밀폐를 위해 상부에 위치한 제1 케이스의 내면에 밀착되며, 좌,우측에 형성된 돌출부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호 대칭되는 단면 형태를 가진 탄성재질의 제1 씰링부와 하부에 위치한 제2 케이스의 내면에 밀착되며, 좌,우측에 형성된 돌출부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호 대칭되는 단면 형태를 가진 탄성재질의 제 2씰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씰링부 및 제 2씰링부가 가압에 의해 휴대폰 케이스에 밀착될 시 제 1씰링부 및 제 2씰링부의 좌,우측에 위치한 돌출부 사이의 유체가 가압에 의해 외부로 빠져나가 돌출부 사이의 압력이 외부압력보다 낮은 상태가 되어 제 1씰링부 및 제 2씰링부가 각각 접촉하는 제1 및 제2 케이스에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씰링부 및 제 2씰링부의 일측에 위치한 돌출부는 끝단이 상기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밀착되며, 타측에 위치한 돌출부는 끝단이 상기 일측에 위치한 돌출부의 방향과 정반대로 상기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의 내측 방향으로 밀착되어 외측에서의 유체 유입뿐만 아니라, 내측에서의 유체 유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씰링부와 제 2씰링부 사이에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에 위치한 제1 케이스와 하부에 위치한 제2 케이스로 이루어진 휴대폰 케이스의 밀폐를 위해 복수 개의 돌출부(산)와 오목부(골)이 교번하는 형태의 단면을 가진 탄성재질의 씰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씰링부가 가압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휴대폰 케이스에 밀착될 시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산) 사이에 위치한 오목부(골)의 유체가 가압에 의해 외부로 빠져나가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산) 사이 오목부(골)의 압력이 외부압력보다 낮은 상태가 되어 씰링부가 접촉하는 휴대폰 케이스에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씰링부는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착부재는 실리콘층, 필름층, 폼층, 접착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필름층은 PET, PP, PE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폼층은 아크릴, 우레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에 의하면, 씰링부의 양측에 상호 다른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며, 형성된 돌출부 사이에 위치한 유체가 가압에 의해 빠져나가 씰링부가 케이스에 진공 흡착되어 지속적인 가압없이 밀폐력을 유지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에 의하면, 씰링에 형성된 돌출부의 방향이 상이하여 외부 유체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내부 유체의 유실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휴대폰용 밀폐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을 도시한 평면도.
도 3 또는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이 케이스에 흡착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의 접착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6 또는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이 케이스에 흡착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 또는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이 케이스에 흡착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의 접착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 또는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이 케이스에 흡착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2A 또는 2B와 같이 소정의 형상을 가진 폐구형(폐루프형)의 구조를 가진다.
또한,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케이스의 밀폐를 위해 흡착되는 탄성재질의 씰링부(11)의 주변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는 접착부재(14)가 돌출된 형태이거나 돌출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재(2A의 14)가 삭제된 형태의 또 다른 실시예의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씰링부(11)는 쇼어A 경도로 40 ~ 80의 경도를 가지는 실리콘으로 구성됨이 가장 바람직하나, 실리콘 이외에 우레탄, 고무 재질로 대체될 수도 있다.
-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의 실시예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의 실시예(2A)의 단면(B-B') 및 케이스에 흡착되는 과정은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상부에 위치한 제1 케이스와 하부에 위치한 제2 케이스로 이루어진 휴대폰 케이스(12A, 12B)의 밀폐를 위해 상부에 위치한 제 1케이스(12A)의 내면에 밀착되며, 좌,우측에 형성된 돌출부(13)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호 대칭되는 단면을 가진 탄성재질의 씰링부(11)와 상기 씰링부(11)의 하면에는 하부에 위치한 제 2케이스(12B)의 내면과 밀착되는 접착부재(14)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에 위치한 제 1케이스(12A)의 내면에 씰링부(11)가 가압에 의해 밀착될 시 씰링부(11)의 좌,우측에 위치한 돌출부(13) 사이의 유체가 가압에 의해 외부로 빠져나가 돌출부(13) 사이 공간의 압력이 외부압력보다 낮은 상태가 되어 씰링부(11)가 제 1케이스(12A)에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의 씰링부(11)를 통해 상부에 위치한 제 1케이스(12A)에 흡착되고, 하부의 접착부재(14)를 통해 하부에 위치한 제 2케이스(12B)에 부착되어 상,하부 케이스(12A, 12B) 사이를 밀폐하게 된다.
이를 위해, 도 3의 3A와 같이 씰링부(11)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돌출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13)는 중심선(300)을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13)는 중심선(300)을 기준으로 소정의 경사각(302)을 가진 경사면(30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는 도 3의 3B와 같이 탄성을 가진 돌출부(13)가 제 1케이스(12A)와 접촉하여 밀착될 때 3C와 같이 돌출부(13)가 중심선(300)의 외측 방향으로 펼쳐지도록(가압에 의해 탄성 변형되도록)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돌출부(13)의 경사면을 통해 돌출부(13)가 제 1케이스(12A)에 밀착될 시 돌출부(13)의 끝단이 중심선(300) 방향이 아닌 중심선(300)의 외측 방향(303)을 향함에 따라 제 1케이스(12A)에 보다 확실하게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13)는 중심선(300)을 기준으로 소정의 경사각(302)이 변동되는 곡선의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하기 아래 상세히 설명).
또한, 상기 돌출부(13)가 탄성 재질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3C의 304와 같이 제 1케이스(12A)를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돌출부(13)가 제 1케이스(12A)의 내면에 보다 확실하게 밀착되어 높은 밀폐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3)가 제 1케이스(12A)의 내면에 밀착되는 과정(가압에 의해서)에서 씰링부(11)의 좌,우측에 위치한 돌출부(13)가 벌어지며, 제 1케이스(12A)와 씰링부(11) 사이 거리가 가까워 짐에 따라 돌출부(13) 사이 공간의 체적은 줄어들며, 내부(돌출부 사이의 공간)의 압력은 증가하게 된다.
또한, 가압에 의해 돌출부(13)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유체 압력이 돌출부(13)가 제 1케이스(12A)에 밀착되려는 탄성력(304)보다 커질 때 내부 유체(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유체)는 305와 같이 외부로 유출된다.
이는, 상기 돌출부(13)의 형상이 중심선(300)을 기준으로 양측을 향하는 형태를 가짐에 따라, 내부 유체가 탄성력에의해 제 1케이스(12A)에 밀착된 돌출부(13)를 밀어 내면서 형성되는 공간(이격)을 통해 양측 방향으로의 유출이 가능함에 따른 것이다.
반면, 중심선(300)을 기준으로 양측을 향하는 돌출부(13)의 형상 및 돌출부(13)의 탄성력에 의해 외부에서 돌출부(13) 사이의 공간으로의 유입은 불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에 위치한 유체 압력이 내부 유체(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유체) 보다 높은 압력을 가질 경우, 외부 유체는 돌출부를 가압하게(밀게) 되지만, 중심선(300)을 기준으로 양측을 향하는 돌출부(13)의 형상으로 인해 돌출부(13)를 제 1케이스(12A)에 밀착시키게 된다.
즉, 외부 압력이 높을 수록 돌출부는 외부 압력에 의해 제 1케이스(12A)에 더욱 밀착된다.
또한, 돌출부(13)가 제 1케이스(12A)의 내면에 밀착되기 위한 과정(가압)이 종료된 후에도 씰링부(11)는 제 1케이스(12A)에 진공 흡착되어 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돌출부(13)의 초기 위치로 복귀하려는 힘(탄성력, 304)에 의해 돌출부(13) 사이 공간의 체적은 증가되려는(초기 체적으로 복귀하려는) 힘이 작용하지만, 돌출부(13) 사이 공간의 체적은 유출된 유체에 의한 낮은 압력으로 인해 증가되지(초기 체적으로 복귀하지) 못하며, 돌출부(13)의 탄성력 및 돌출부(13) 사이 공간의 낮은 압력(진공상태와 유사한 상태)으로 인해 발생되는 흡착력에 의해 씰링부(11)는 제 1케이스(12A)에 흡착 된다.
즉, 돌출부(13)가 제 1케이스(12A)를 밀어내려는 힘에 의해 돌출부(13) 사이 공간의 체적은 증가되려 하지만, 외부 유체가 돌출부(13)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지 못함에 따라, 돌출부(13) 사이 공간은 돌출부(13)가 제 1케이스(12A)를 밀어내려는 힘에 비례되어 낮은 압력(진공상태와 유사한 상태)과 체적이 증가 되지 않으려는 힘을 통해 흡착력이 발생하여 씰링부(11)는 제 1케이스(12A)에 흡착된다.
또한, 돌출부(13)의 탄성력, 흡착력에 의한 강한 밀착력과 돌출부(12)의 형성 방향(외측 방향)에 의해 돌출부(13) 사이 공간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되어 지속적인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수분, 이물질 등의 외부 유체를 비롯하여 케이스(12A, 12B) 사이의 내부의 유체 또한 밀착된 돌출부(13)를 통과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돌출부(13) 사이 공간의 낮은 압력(진공상태와 유사한 상태)에 의한 흡착력에 의해 씰링부(11)가 제 1케이스(12A)에 흡착되려 함에 따라 케이스(12A, 12B)를 통해 밀폐수단을 가압하여 밀폐력을 유지하던 기존의 씰링과 달리 밀폐력을 유지하기 위한 가압이 필요하지 않아 가압에 의한 케이스(12A, 12B)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지속적인 가압 없이 씰링부(11)가 돌출부(13) 사이의 진공 상태와 유사한 낮은 압력으로 인해 발생되는 흡착력을 통해 제 1케이스(12A)에 밀착됨에 따라 케이스(12A, 12B)의 변형 및 지속적인 가압 없이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씰링부(11)의 상면에도 접착부재(하기 아래 상세히 설명)를 더 포함하여 보다 강하게 제 1케이스(12A)에 씰링부(11)가 흡착 및 부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씰링부(11)는 하면에 위치한 접착부재(14)를 통해 하부에 위치한 제 2케이스(12B)의 내면에 고정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재(14)는 필름층(31), 폼층(32), 접착층(33) 순으로 적층된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나, 실리콘층(34), 필름층(31), 폼층(32), 접착층(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실리콘층(34), 필름층(31), 폼층(32), 접착층(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거나, 실리콘층(34), 필름층(31), 폼층(32), 접착층(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접착부재(14)는 필름층(31)과 접착층(33)으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필름층(31)은 PET, PP, PE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접착부재(14)를 비롯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이 뒤틀리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폼층(32)은 아크릴, 우레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하부에 위치할 제 2케이스(12B)에 부착될 시 탄성을 통해 밀착되어 밀폐력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접착층(33)은 접착을 위한 접착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폼층(32)과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탄성과 접착의 역할을 수행하는 아크릴 (양면)접착테이프 등이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접착층(33)을 구비할 경우, 접착층(33)을 보호(이물질의 접착을 방지)하기 위해 종이, PET, PE, PP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형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형지는 부착부재(14)가 제 2케이스(12B)에 부착되기 전에 제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에 위치할 씰링부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실리콘층(34)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실리콘층(34), 필름층(31), 폼층(32), 접착층(33)은 공통적으로 정전기, 전자기 펄스 등으로 인한 전자기기 내부의 쇼크를 방지하기 위해 절연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다만, 실리콘층(34), 필름층(31), 폼층(32), 접착층(33)은 모두 소정의 탄성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접착부재(14)가 실리콘층(34), 필름층(31), 폼층(32), 접착층(33)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더라도 탄성에 의한 밀착을 통해 밀폐력을 유지하는데는 큰 문제가 없으나, 실리콘층(34), 필름층(31), 폼층(32), 접착층(33)을 모두 구비하는 것이 실리콘층(34)으로 인해 씰링부와 접착부재(14) 사이의 결합력이 높고, 필름층(31)으로 인해 케이스에 부착하기 전에 뒤틀림이 적으며, 폼층(32)으로 인해 제 2케이스(12B)와 결합 시 소정의 탄성을 가질 수 있게 되고, 접착층(33)으로 인해 제 2케이스(12B)와 높은 결합력으로 부착될 수 있음에 따라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복수 개의 층(필름층, 폼층, 접착층, 실리콘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사이의 결합은 이미 제조된 각각의 층을 접착제 또는 프라이머를 통해 적층 결합시키거나, 열압착을 통해 적층한 후 결합시킬 수도 있다.
또는, 하나의 층 상면에 다른 하나의 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폼층(32)을 형성한 다음 폼층(32)의 상면에 용융된 재료를 분사 또는 코팅하는 방법을 통해 필름층(31)을 직접 적층할 수도 있는 것이다.
-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의 변형 실시예
도 6 또는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의 실시예(2A)의 변형된 단면(B-B')을 도시한 것으로 씰링부(11)의 단면 형상이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6A~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씰링부(11)가 돌출부(13)로만 구성된 형태(도 2의 2B에 도시된 단면 C-C')이거나,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3)의 하부에 접착부재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바닥면(131)을 더 포함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6A와 같이 양측에 위치한 돌기부(13) 사이의 경사면이 맞붙어 있을 수 있지만, 6B와 같이 양측에 위치한 돌기부(13)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음이 보다 높은 흡착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6C와 같이 양측에 위치한 돌기부(13) 사이에 하부로 형성된 홈(130)을 구비하여 케이스에 흡착시 돌기부(13) 사이에서 발생하는 흡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는, 홈(130)의 체적만큼 가압(내부 유체의 유출) 전,후에 발생하는 돌기부(13) 사이 체적의 변화가 더욱 증가됨에 따라 더욱 높은 흡착력을 가지게 된다.
또한, 외측면이 항상 수직일 필요는 없으며, 6D와 같이 외측에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내측의 경사면이 양측을 향해 있다면(양측이 대칭으로 외측을 향한다면), 그 형상에 특별한 제약이 없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6E의 형태를 가지며, 돌출부(13)의 높이(306)는 0.5 ~ 1.5mm, 돌출부(13)의 폭(307)은 0.2 ~ 2mm, 돌출부(13)의 사이 간격(309)는 0.1 ~ 1mm, 바닥면(131)의 두께(308)는 0.3 ~ 0.5mm를 가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7A ~ 7C와 같이 돌출부(13)의 단면 형태가 직선이 아닌 경사면의 기울기가 지속적으로 변하는 곡선형일 수도 있으며, 양측에 위치한 돌출부(13)의 내측뿐만 아니라, 외측의 기울기도 지속적으로 변하는 곡선형일 수도 있다.
또한, 곡선형일 경우, 케이스와 밀착시 발생하는 돌출부(13)의 탄성변형 형태 및 케이스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직선형태의 경사면일 때 보다 높은 밀폐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돌출부(13)의 양 끝단이 중심측이 아니라 외측 방향을 향하고 있다면, 직선, 곡선의 단면 등을 포함해 홈의 유무와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된 돌출부(13)의 사이 거리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의 다른 실시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위치한 제1 케이스와 하부에 위치한 제2 케이스로 이루어진 휴대폰 케이스의 밀폐를 위해 상부에 위치한 제1 케이스의 내면에 밀착되며, 좌,우측에 형성된 돌출부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호 대칭되는 단면을 가진 탄성재질의 제 1씰링부(11A)와 하부에 위치한 제2 케이스의 내면에 밀착되며, 좌,우측에 형성된 돌출부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호 대칭되는 단면을 가진 탄성재질의 제 2씰링부(11B)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위에서 설명한 씰링부가 하부에 더 형성된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제 1씰링부(11A)와 제 2씰링부(11B)는 상기 위에서 설명한 씰링부와 동일하게 가압에 의해 휴대폰 케이스에 밀착될 시 제 1씰링부(11A) 및 제 2씰링부(11B)의 좌,우측에 위치한 돌출부 사이의 유체가 가압에 의해 외부로 빠져나가 돌출부 사이의 압력이 외부압력보다 낮은 상태가 되어 제 1씰링부(11A) 및 제 2씰링부(11B)가 각각 접촉하는 휴대폰 케이스에 흡착된다.
즉, 상부에 위치한 제 1케이스뿐만 아니라, 하측에 위치한 제 2케이스에도 흡착을 통해 밀폐력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접착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실시예보다 높은 밀폐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씰링부(11A)와 제 2씰링부(11B) 사이의 결합은 접착부재(14)를 통해 이루어지거나,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씰링부(11A)와 제 2씰링부(11B)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의 또 다른 실시예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부에 위치한 제1 케이스와 하부에 위치한 제2 케이스로 이루어진 휴대폰 케이스의 밀폐를 위해 복수 개의 볼록부(401)와 오목부(402)가 교번하는 단면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볼록부(401)의 상부가 소정의 간격으로 절삭된 형태이거나, 상면 또는 하면에 접착부재(14)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씰링부가 가압에 의해 상부에 위치한 제1 케이스와 하부에 위치한 제2 케이스로 이루어진 휴대폰 케이스(12A, 12B)에 밀착될 시 복수 개의 볼록부(이하 산, 401) 사이의 오목부(이하 골, 402)에 위치한 유체가 가압에 의해 405와 같이 외부로 빠져나가 복수 개의 산(401) 사이 골(402)의 압력이 외부압력보다 낮은 상태가 되며, 탄성력에 의해 초기 형태로 복귀하려는 힘이 발생하지만, 휴대폰 케이스(12A, 12B)와 접촉하고 있는 복수 개의 산(402)에 의해 골(402)의 체적 및 낮아진 압력은 초기상태로 복귀하지 못하게 되며, 골(402)에서 발생하는 씰링부가 접촉하는 케이스(12A, 12B)에 흡착된다.
즉, 상기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측면으로 복수 개 더 형성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지며, 복수 개의 산(401)과 골(402)이 교번하는 단면의 형태를 가질 경우, 흡착되는 부위가 많아짐에 따라 보다 높은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1 : 씰링부
12 : 케이스
13 : 돌출부
14 : 접착부재
401 : 산
402 : 골

Claims (9)

  1. 상부에 위치한 제1 케이스와 하부에 위치한 제2 케이스로 이루어진 휴대폰 케이스의 밀폐를 위해 상부에 위치한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면에 밀착되며, 좌,우측에 형성된 돌출부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호 대칭되는 단면 형태를 가진 탄성재질의 씰링부와;
    상기 씰링부의 하면에는 하부에 위치한 상기 제2 케이스의 내면과 밀착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에 위치한 제1 케이스의 내면에 상기 씰링부가 가압에 의해 밀착될 시 상기 씰링부의 좌,우측에 위치한 돌출부 사이의 유체가 가압에 의해 외부로 빠져나가 돌출부 사이의 압력이 외부압력보다 낮은 상태가 되어 상기 씰링부가 상기 제1 케이스에 흡착되며,
    상기 씰링부의 일측에 위치한 돌출부는 끝단이 상기 제1 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밀착되며, 타측에 위치한 돌출부는 끝단이 상기 일측에 위치한 돌출부의 방향과 정반대로 제1 케이스의 내측 방향으로 밀착되어 외측에서의 유체 유입뿐만 아니라, 내측에서의 유체 유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케이스와 밀착 시 끝단이 좌,우측 방향을 향하도록 돌출부 사이 내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
  4. 상부에 위치한 제1 케이스와 하부에 위치한 제2 케이스로 이루어진 휴대폰 케이스의 밀폐를 위해 상부에 위치한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면에 밀착되며, 좌,우측에 형성된 돌출부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호 대칭되는 단면 형태를 가진 탄성재질의 제1 씰링부와;
    하부에 위치한 상기 제2 케이스의 내면에 밀착되며, 좌,우측에 형성된 돌출부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호 대칭되는 단면 형태를 가진 탄성재질의 제2 씰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씰링부 및 제 2씰링부가 가압에 의해 휴대폰 케이스에 밀착될 시 제 1씰링부 및 제2씰링부의 좌,우측에 위치한 돌출부 사이의 유체가 가압에 의해 외부로 빠져나가 돌출부 사이의 압력이 외부압력보다 낮은 상태가 되어 제 1씰링부 및 제 2씰링부가 각각 접촉하는 제1 케이스 또는 제2 케이스에 흡착되며
    상기 제 1씰링부 및 제 2씰링부의 일측에 위치한 돌출부는 끝단이 상기 제1케이스 또는 제2 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밀착되며, 타측에 위치한 돌출부는 끝단이 상기 일측에 위치한 돌출부의 방향과 정반대로 상기 제1 케이스 또는 제2 케이스의 내측 방향으로 밀착되어 외측에서의 유체 유입뿐만 아니라, 내측에서의 유체 유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씰링부와 제 2씰링부 사이에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
  7. 상부에 위치한 제1 케이스와 하부에 위치한 제2 케이스로 이루어진 휴대폰 케이스의 밀폐를 위해 복수 개의 돌출부(산)와 오목부(골)이 교번하는 형태의 단면을 가진 탄성재질의 씰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씰링부가 가압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휴대폰 케이스에 밀착될 시 복수 개의 돌출부(산) 사이에 위치한 오목부(골)의 유체가 가압에 의해 외부로 빠져나가 복수 개의 돌출부(산) 사이 오목부(골)의 압력이 외부압력보다 낮은 상태가 되어 씰링부가 접촉하는 휴대폰 케이스에 흡착되며,
    상기 씰링부의 일측에 위치한 돌출부는 끝단이 상기 제1케이스 또는 제2 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밀착되며, 타측에 위치한 돌출부는 끝단이 상기 일측에 위치한 돌출부의 방향과 정반대로 상기 제1 케이스 또는 제2 케이스의 내측 방향으로 밀착되어 외측에서의 유체 유입뿐만 아니라, 내측에서의 유체 유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
  9. 제 1항, 제 6항,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실리콘층, 필름층, 폼층, 접착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필름층은 PET, PP, PE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폼층은 아크릴, 우레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
KR1020140152635A 2014-11-05 2014-11-05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 KR101507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635A KR101507424B1 (ko) 2014-11-05 2014-11-05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635A KR101507424B1 (ko) 2014-11-05 2014-11-05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7424B1 true KR101507424B1 (ko) 2015-03-31

Family

ID=53028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635A KR101507424B1 (ko) 2014-11-05 2014-11-05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4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53747A (zh) * 2016-09-05 2017-02-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保护壳及移动终端的保护方法
KR102102081B1 (ko) * 2019-10-23 2020-04-17 주식회사 바이더엠 Led 방폭등
KR20200112500A (ko) * 2019-03-22 2020-10-05 조인셋 주식회사 저 압축력의 표면 실장에 의한 솔더링이 가능한 전기접촉단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5281A (ja) * 1996-04-04 1997-10-21 Oki Electric Ind Co Ltd 防水用筐体構造
JP2012175056A (ja) 2011-02-24 2012-09-10 Kyocera Corp 携帯電子機器
JP2012211704A (ja) * 2012-07-26 2012-11-01 Jst Mfg Co Ltd シール構造を設けた機器
KR101432524B1 (ko) * 2014-03-15 2014-08-21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백 패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5281A (ja) * 1996-04-04 1997-10-21 Oki Electric Ind Co Ltd 防水用筐体構造
JP2012175056A (ja) 2011-02-24 2012-09-10 Kyocera Corp 携帯電子機器
JP2012211704A (ja) * 2012-07-26 2012-11-01 Jst Mfg Co Ltd シール構造を設けた機器
KR101432524B1 (ko) * 2014-03-15 2014-08-21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백 패킹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53747A (zh) * 2016-09-05 2017-02-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保护壳及移动终端的保护方法
KR20200112500A (ko) * 2019-03-22 2020-10-05 조인셋 주식회사 저 압축력의 표면 실장에 의한 솔더링이 가능한 전기접촉단자
KR102212350B1 (ko) * 2019-03-22 2021-02-05 조인셋 주식회사 저 압축력의 표면 실장에 의한 솔더링이 가능한 전기접촉단자
KR102102081B1 (ko) * 2019-10-23 2020-04-17 주식회사 바이더엠 Led 방폭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424B1 (ko) 흡착을 이용한 휴대폰용 씰링
GB0811058D0 (en) Sealed switchable glazing
KR101228603B1 (ko) 그라파이트 밀폐형 열전도성 탄성 가스켓
TW200709933A (en) Structured phosphor tape article
TW200729561A (en) Luminescenc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DE602005017168D1 (de) Doppelsaugdichtung
TW200616870A (en) Storage container
WO2005055311A3 (en) Device having a compliant electrical interconnects and compliant sealing element
TW200642526A (en) Light-emitting device
MY153006A (en) Wafer processing film
TW200614475A (en) Semiconductor device
TW200638859A (en) Structure having a characteristic of conducting or absorbing electromagnetic waves
ATE311009T1 (de) Geschachtelter diffusionsfilter
WO2010125028A3 (de) Optoelektronischer halbleiterkörper mit einem reflektierenden schichtsystem
WO2011156760A3 (en) Cooking belt
FR2960703B1 (fr) Dispositif optoelectronique avec electrode enterree
PH12019501778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for semiconductor substrate fabrica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SA518400532B1 (ar) أجهزة للمائع وطرق لتصنيعها
TW200801574A (en) Optical laminated body
SA519410003B1 (ar) عنصر قالبي
KR101895573B1 (ko) 복합 열전 부재
KR101801879B1 (ko) 복합 열전 부재
WO2012083180A3 (en) "packer assembly with sealing bodies"
SG11201908493VA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set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for semiconductor element transport
SG11201908764WA (en) Mask-integrated surface protective tape with release l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