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247B1 - 컵 - Google Pa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247B1
KR101507247B1 KR1020130149975A KR20130149975A KR101507247B1 KR 101507247 B1 KR101507247 B1 KR 101507247B1 KR 1020130149975 A KR1020130149975 A KR 1020130149975A KR 20130149975 A KR20130149975 A KR 20130149975A KR 101507247 B1 KR101507247 B1 KR 101507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eight
liquid
shape
proje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환
윤빛나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49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2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8Other details of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등의 액체가 담기면 위에서 보여지는 액체의 담긴 모양이 캐릭터 모양 등이 다양한 형상을 나타냄으로써 음료를 컵에 담아 마시는 사용자에게 재미를 제공할 수 있는 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컵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액체가 담길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컵 본체와, 컵 본체의 내면에 수용공간의 중앙 쪽으로 돌출 구비된 복수의 돌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컵은 음료 등의 액체가 담기는 수용공간 중앙 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물을 구비함으로써, 음료 등의 액체가 담길 때 위에서 보여지는 액체의 담긴 모양이 캐릭터 모양 등 다양한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컵{Cup}
본 발명은 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 등의 액체가 담기면 위에서 보여지는 액체의 담긴 모양이 캐릭터 모양 등이 다양한 형상을 나타냄으로써 음료를 컵에 담아 마시는 사용자에게 재미를 제공할 수 있는 컵에 관한 것이다.
컵은 다양한 음료를 담기 위한 용기로, 담기는 음료의 종류에 따라 커피컵, 차컵, 맥주컵, 우유나 주스를 위한 유리컵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뜨거운 커피나 차를 담아 사용하는 커피컵이나 차컵은 보통 사기로 만들어지고 손잡이가 있다. 커피컵과 차컵은 음료의 맛을 위해 다소 다른 구조를 취하기도 하는데, 커피는 뜨거울 때 맛이 있기 때문에 커피컵은 되도록 천천히 식을 수 있도록 위가 약간 좁고 깊게 만들어지고, 홍차는 약간 식은 것이 맛이 좋기 때문에 차컵은 위가 약간 넓게 만들어지기도 한다. 맥주를 위한 맥주컵은 유리로 만들어지며 손잡이가 있는 것이 보통이다. 상온 또는 차가운 우유나 주스를 위한 컵은 손잡이가 없는 구조를 갖기도 한다.
컵은 이에 담기는 음료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취하는데, 손잡이가 있는 컵, 손잡이가 없는 것, 뚜껑이 있는 컵, 뚜껑이 없는 컵, 중간에 공기층이 마련된 이중 컵 등 다양한 구조의 것이 있다. 또한 컵은 재질에 따라, 사기컵, 유리컵, 금속컵, 플라스틱컵, 나무컵, 종이컵 등이 있다.
컵의 역사는 오래되었지만, 새로운 기능이나 편의성이 부여된 새로운 구조의 컵이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54725호(2013. 04. 09 등록)에는 컵의 입체적인 디자인을 향상시킨 컵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40802호(2011. 04. 20 공개)에는 광고 효과를 높인 컵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66299호(2013. 06. 20 공개)에는 양치용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칫솔을 거치할 수 있는 기능성 컵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72376호(2013. 07. 02 공개)에는 걸어 보관하기 용이하도록 걸고리를 구비하여 위생성을 높이 컵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80160호(2013. 07. 12 공개)에는 찻잎 등의 거름대상 물질과 음용액체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거름 기능을 갖는 컵이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현재 새로운 기능이나 편의성이 부여된 새로운 구조의 컵이 다양하게 소개된 바 있지만, 컵의 기능과 편의성, 디자인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 개발이 지속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 등의 액체가 담기면 위에서 보여지는 액체의 담긴 모양이 캐릭터 모양 등 다양한 형상을 나타내되, 남아있는 음료의 양에 따라 위에서 보여지는 액체의 담긴 모양이 변함으로써 음료를 컵에 담아 마시는 사용자에게 재미를 줄 수 있는 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컵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액체가 담길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컵 본체와, 상기 컵 본체의 내면에 상기 수용공간의 중앙 쪽으로 돌출 구비된 복수의 돌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돌출물은 상기 수용공간의 높이에 따라 다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출물은 상기 컵 본체의 바닥면에서부터 시작하여 상기 컵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게 위치한 제 1 높이까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돌출물은 그 형성 높이에 따라 제 1 돌출물, 제 2 돌출물 및 제 3 돌출물로 구분되되, 상기 제 1 돌출물은 그 상단이 상기 제 1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돌출물은 그 상단이 상기 컵 본체의 바닥면과 상기 제 1 높이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3 돌출물은 그 상단이 상기 컵 본체의 바닥면과 상기 제 2 높이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컵 본체 외면의 상기 제 1 높이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제 1 수위 표시마크가 표시되고, 상기 컵 본체 외면의 상기 제 2 높이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제 2 수위 표시마크가 표시되며, 상기 컵 본체 외면의 상기 제 3 높이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제 3 수위 표시마크가 표시될 수 있다.
삭제
상기 제 1 수위 표시마크는 액체가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제 1 높이까지 채워질 때 상기 컵 본체의 위에서 보여지는 액체가 담긴 모양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수위 표시마크는 액체가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제 2 높이까지 채워질 때 상기 컵 본체의 위에서 보여지는 액체가 담긴 모양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3 수위 표시마크는 액체가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제 3 높이까지 채워질 때 상기 컵 본체의 위에서 보여지는 액체가 담긴 모양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컵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내부공간이 마련된 외컵과,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액체가 담길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에 탈착식으로 삽입 결합되는 내컵과, 상기 내컵의 내면에 상기 수용공간의 중앙 쪽으로 돌출 구비된 복수의 돌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돌출물은 상기 수용공간의 높이에 따라 다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출물은 상기 내컵의 하단에서부터 시작하여 상기 내컵의 하단으로부터 상향 이격되게 위치한 제 1 높이까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돌출물은 그 형성 높이에 따라 제 1 돌출물, 제 2 돌출물 및 제 3 돌출물로 구분되되, 상기 제 1 돌출물은 그 상단이 상기 제 1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돌출물은 그 상단이 상기 내컵의 하단과 상기 제 1 높이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3 돌출물은 그 상단이 상기 내컵의 하단과 상기 제 2 높이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상기 내컵 외면의 상기 제 1 높이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제 1 수위 표시마크가 표시되고, 상기 내컵 외면의 상기 제 2 높이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제 2 수위 표시마크가 표시되며, 상기 내컵 외면의 상기 제 3 높이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제 3 수위 표시마크가 표시되며, 상기 외컵에는 상기 내컵이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될 때, 상기 제 1 수위 표시마크, 상기 제 2 수위 표시마크 및 상기 제 3 수위 표시마크가 상기 외컵의 외부에서 보여지도록 하기 위한 투과창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내컵의 하부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외컵과 상기 내컵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홈이 구비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컵은 음료 등의 액체가 담기는 수용공간 중앙 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물을 구비함으로써, 음료 등의 액체가 담길 때 위에서 보여지는 액체의 담긴 모양이 캐릭터 모양 등 다양한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컵은 돌출물의 형상을 수용공간의 높이에 따라 다르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음료를 마셔 음료의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위에서 보여지는 액체의 담긴 모양이 바뀌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음료를 컵에 담아 마시는 사용자에게 재미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컵을 아이들용으로 사용하면, 아이들이 음료를 마실 때 흥미를 갖게 할 수 있어 마시기 싫어하는 음료를 먹이는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컵을 액체가 담기는 양에 따라 나타낸 측면도(a) 및 평면도(b)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컵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컵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컵(10)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13)이 마련된 컵 본체(12)와, 컵 본체(12)의 내면에 수용공간(13)의 중앙 쪽으로 돌출 구비된 복수의 돌출물(22)(23)(24)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컵(10)은 복수의 돌출물(22)(23)(24)에 의해 위에서 보여지는 액체(L;도 3참조)의 담긴 모양이 남아있는 액체(L)의 양에 따라 달라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컵(10)에 액체(L)가 담길 때, 컵(10)의 위에서 보여지는 액체(L)의 담긴 모양은 사과 모양이며, 컵(10)에 담긴 액체(L)의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위에서 보여지는 액체(L)의 담긴 모양은 사람이 사과를 베어 먹음에 따라 작게 변하는 사과의 모양으로 바뀌게 된다.
컵 본체(12)는 통상의 컵에 구비된 것과 같이 그 내부에 음료 등의 액체(L)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13)을 가지며, 컵 본체(12)의 외면 일측에는 손잡이(14)가 구비된다. 컵 본체(12)의 외면에는 복수의 수위 표시마크(15)(16)(17)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표시된다. 제 1 수위 표시마크(15)는 컵 본체(12) 외면의 제 1 높이(18)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제 2 수위 표시마크(16)는 컵 본체(12) 외면의 제 1 높이(18)보다 낮은 제 2 높이(19)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며, 제 3 수위 표시마크(17)는 컵 본체(12) 외면의 제 2 높이(19)보다 낮은 제 3 높이(20)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여기에서, 제 1 높이(18), 제 2 높이(19) 및 제 3 높이(30)는 컵의 구조 설계 시 임의적으로 설정될 수 있는 높이로, 설계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 1 수위 표시마크(15)는 액체(L)가 수용공간(13)의 제 1 높이(18)까지 채워질 때 컵 본체(12)의 위에서 보여지는 액체(L)가 담긴 모양에 대응하는 형상, 즉 온전한 사과의 측면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2 수위 표시마크(16)는 액체(L)가 수용공간(13)의 제 2 높이(19)까지 채워질 때 컵 본체(12)의 위에서 보여지는 액체(L)가 담긴 모양에 대응하는 형상, 즉 사람이 한 입 베어 먹은 사과의 측면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 3 수위 표시마크(17)는 액체(L)가 수용공간(13)의 제 3 높이(20)까지 채워질 때 컵 본체(12)의 위에서 보여지는 액체(L)가 담긴 모양에 대응하는 형상, 즉 거의 다 베어 먹은 사과의 측면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복수의 수위 표시마크(15)(16)(17)는 컵 본체(12) 내부에 담기는 액체(L)의 수위가 어느 높이 일 때, 액체(L)의 담긴 모양이 어떤 모양을 나타낼지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는 수위 표시마크(15)(16)(17)를 보고 컵 본체(12)에 액체(L)가 담기기 전이나, 컵 본체(12)에 액체(L)가 담기더라도 컵 본체(12) 위에서 바라보지 않고 컵 본체(12)에 채워지는 액체(L)의 수위에 따라 액체(L)의 담긴 모양이 어떤 모양을 나타내는지 짐작할 수 있다.
수위 표시마크(15)(16)(17)의 표시 위치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컵 본체(12)의 내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돌출물(22)(23)(24) 형성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수위 표시마크(15)는 컵 본체(12)의 최상단에 표시될 수 있고, 제 1 수위 표시마크(15)와 제 2 수위 표시마크(16) 사이의 간격과, 제 2 수위 표시마크(16)와 제 3 수위 표시마크(17) 사이의 간격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돌출물(22)(23)(24)은 컵 본체(12) 내면에 다른 높이와 다른 모양으로 구비된다. 수용공간(13)에서 복수의 돌출물(22)(23)(24)이 형성된 부분은 컵 본체(12)의 바닥면에서 컵 본체(12)의 상단에 인접하는 수용공간(13)의 제 1 높이(18)까지이다. 이들 복수의 돌출물(22)(23)(24)은 그 형성 높이에 따라 제 1 돌출물(22)과, 제 2 돌출물(23) 및 제 3 돌출물(24)로 구분될 수 있다.
제 1 돌출물(22)은 컵 본체(12)의 바닥면에서 수용공간(13)의 제 1 높이(18)까지 형성되고, 제 2 돌출물(23)은 제 1 높이(18)와 컵 본체(12)의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높이(19)에서 제 2 높이(19)와 컵 본체(12)의 바닥면 사이의 제 3 높이(20)까지 형성된다. 그리고 제 3 돌출물(24)은 제 3 높이(20)에서 컵 본체(12)의 바닥면까지 형성된다.
따라서 수용공간(13)에 담기는 액체(L)의 수면이 제 1 높이(18) 또는 제 1 높이(18)와 제 2 높이(19) 사이에 있을 때, 액체(L)의 담긴 모양은 제 1 돌출물(22)의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수용공간(13)에 담기는 액체(L)의 수면이 제 2 높이(19) 또는 제 2 높이(19)와 제 3 높이(20) 사이에 위치할 때, 액체(L)의 담긴 모양은 제 1 돌출물(22) 및 제 2 돌출물(23)의 영향을 받는다. 또한 수용공간(13)에 담기는 액체(L)의 수면이 제 3 높이(20) 또는 제 3 높이(20)와 컵 본체(12)의 바닥면 사이에 있을 때, 액체(L)의 담긴 모양은 제 1 돌출물(22) 및 제 3 돌출물(24)의 영향을 받는다.
컵 본체(12)에 담기는 액체(L)의 수위에 따른 구체적인 액체(L)의 담긴 모양의 변화는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다.
즉,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용공간(13)에 채워지는 액체(L)의 수위가 제 1 높이(18)보다 높을 때, 액체(L)의 담긴 모양은 컵 본체(12)의 내면 형상에 대응하는 원형이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용공간(13)에 채워지는 액체(L)의 수위가 제 1 높이(18) 또는 제 1 높이(18)와 제 2 높이(19) 사이 일 때, 액체(L)의 담긴 모양은 제 1 돌출물(22)의 영향을 받아 온전한 사과의 측면 모양을 나타낸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용공간(13)에 채워지는 액체(L)의 수위가 제 2 높이(19) 또는 제 2 높이(19)와 제 3 높이(20) 사이 일 때, 액체(L)의 담긴 모양은 제 1 돌출물(22) 및 제 2 돌출물(23)의 영향을 받아 사람이 한 입 베어 먹은 사과의 측면 모양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용공간(13)에 채워지는 액체(L)의 수위가 제 3 높이(20) 또는 제 3 높이(20)보다 낮을 때, 액체(L)의 담긴 모양은 제 1 돌출물(22) 및 제 3 돌출물(24)의 영향을 받아 거의 다 베어 먹은 사과의 측면 모양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컵(10)의 위에서 보여지는 액체(L)의 담긴 모양이 사과 모양이고, 컵 본체(12) 내면에 구비된 복수의 돌출물(22)(23)(24)의 영향으로 컵(10)에 담긴 액체(L)의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위에서 보여지는 액체(L)의 담긴 모양이 사람이 사과를 베어 먹음에 따라 작게 변하는 사과의 모양으로 바뀌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컵 본체(12) 내면에 돌출 구비되는 돌출물의 형상이나 개수, 형성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컵 본체(12)의 외면에 표시되는 수위 표시마크(15)(16)(17)의 모양도 돌출물 형상에 맞춰 다양하게 바뀔 수 있다.
예컨대, 돌출물의 형상은 컵 본체(12) 위에서 보여지는 액체(L)의 담긴 모양이 사과 이외의 다른 과일, 동물, 각종 캐릭터, 문양 등 다양한 형상을 나타낼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수용공간(13)의 높이를 여러 구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에 서로 다른 캐릭터를 형성할 수 있는 돌출물을 마련하면, 하나의 컵(10)에서 수용공간(13)에 채워지는 액체(L)의 수위에 따라 위에서 보여지는 액체(L)의 담긴 모양이 여러가지 캐릭터로 바뀌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제 1 돌출물(22)의 경우, 그 상단은 제 1 높이(18)에 위치하고 그 하단은 제 1 높이(18) 아래의 다양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돌출물(23)의 경우는 그 상단이 제 2 높이(19)에 위치하고 그 하단은 제 2 높이(19) 아래의 다양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3 돌출물(24)은 그 상단이 제 3 높이(20)에 위치하고 그 하단은 제 3 높이(20) 아래의 다양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컵 본체(12)의 평면 형상을 도시된 것과 같은 원형 이외의 다양한 다른 형상으로 하고, 컵 본체(12)의 평면 형상에 맞춰 돌출물의 형상을 다양화함으로써, 위에서 보여지는 액체(L)의 담긴 모양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컵(10)은 컵 본체(12)의 내면에 수용공간(13) 중앙 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물(22)(23)(24)을 구비함으로써, 음료 등의 액체(L)가 담길 때 위에서 보여지는 액체(L)의 담긴 모양이 캐릭터 모양 등 다양한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돌출물(22)(23)(24)의 형상이 수용공간(13)의 높이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가 음료를 마셔 음료의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위에서 보여지는 액체(L)의 담긴 모양이 바뀌게 된다. 따라서 음료를 컵(10)에 담아 마시는 사용자에게 재미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컵(10)을 아이들용으로 사용하면, 아이들이 음료를 마실 때 흥미를 갖게 할 수 있어 마시기 싫어하는 음료를 먹이는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컵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컵(30)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내부공간(33)이 마련된 외컵(32)과, 외컵(32)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내컵(37)과, 내컵(37)의 내면에 수용공간(13)의 중앙 쪽으로 돌출 구비된 복수의 돌출물(22)(23)(24)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내컵(37)에 마련되는 복수의 돌출물(22)(23)(24)은 상술한 것과 같은 것으로, 그 개수나 형상, 내컵(37) 내에서의 위치는 상술한 컵(10)의 컵 본체(12) 내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돌출물(22)(23)(24)과 같다.
외컵(32)은 내컵(37)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33)을 갖고, 외컵(32)의 외면에는 손잡이(14)가 구비된다. 외컵(32)의 내면에는 한 쌍의 결합홈(34)이 마련된다. 각 결합홈(34)은 내부공간(33)에 수용되는 내컵(37)의 삽입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외컵(32)의 일측에는 투과창(35)이 구비된다. 외컵(32)에 내컵(37)이 삽입될 때, 투과창(35)과 마주하는 내컵(37)의 외면 일부는 이 투과창(35)을 통해 외컵(32) 외부로 드러날 수 있다. 즉, 내컵(37)이 외컵(32)에 결합될 때, 내컵(37)의 외면에 표시된 복수의 수위 표시마크(15)(16)(17)가 외컵(32)의 투과창(35)에 위치하게 되며, 투과창(35)을 통해 복수의 수위 표시마크(15)(16)(17)가 외컵(32)의 외부로 드러나게 된다.
내컵(37)은 그 내부에 음료 등의 액체(L)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13)을 갖는다. 내컵(37)의 외면에는 복수의 수위 표시마크(15)(16)(17)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표시된다. 제 1 수위 표시마크(15)는 내컵(37) 외면의 제 1 높이(18)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제 2 수위 표시마크(16)는 내컵(37) 외면의 제 1 높이(18)보다 낮은 제 2 높이(19)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며, 제 3 수위 표시마크(17)는 내컵(37) 외면의 제 2 높이(19)보다 낮은 제 3 높이(20)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이들 수위 표시마크(15)(16)(17)의 구체적인 형상이나, 형성 위치는 상술한 것과 같다.
내컵(37)의 외면에는 외컵(32)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홈(34)에 대응하는 한 쌍의 결합돌기(38)가 구비된다. 내컵(37)이 외컵(32)의 내부공간(33)에 수용될 때, 한 쌍의 결합돌기(38)가 한 쌍의 결합홈(34)에 삽입됨으로써, 내컵(37)은 외컵(32)에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외컵(32)에 형성되는 결합홈(34)과 내컵(37)에 마련되는 결합돌기(38)는 내컵(37)과 외컵(32)의 결합력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내컵(37)이 외컵(32)에 결합될 때 내컵(37)을 외컵(32) 내부의 정해진 위치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복수의 돌출물(22)(23)(24)은 내컵(37) 내면에 다른 높이와 다른 모양으로 구비된다. 수용공간(13)에서 복수의 돌출물(22)(23)(24)이 형성된 부분은 내컵(37)의 바닥면에서 수용공간(13)의 제 1 높이(18)까지이다. 이들 복수의 돌출물(22)(23)(24)은 그 형성 높이에 따라 제 1 돌출물(22)과, 제 2 돌출물(23) 및 제 3 돌출물(24)로 구분될 수 있다. 이들 돌출물(22)(23)(24)은 내컵(37)에 채워지는 액체(L)의 내컵(37) 위에서 보여지는 액체(L)의 담긴 모양을 다양한 형상이 되도록 하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구조나 기능은 상술한 것과 같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컵(30)은 내컵(37)이 외컵(32)에 결합된 상태에서, 내컵(37)의 수용공간(13)에 음료 등의 액체(L)가 채워지면, 위에서 보여지는 액체(L)의 담긴 모양이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복수의 돌출물(22)(23)(24)의 영향으로 사과의 측면 모양을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수용공간(13)에 담긴 음료를 마셔 음료의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위에서 보여지는 액체(L)의 담긴 모양이 달라지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컵(30)은 내부에 복수의 돌출물(22)(23)(24)이 구비된 내컵(37)이 외컵(32)에 탈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내컵(37)만 바꾸어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형상의 돌출물이 구비된 내컵(37)을 복수로 구비해 놓고, 내컵(37)만 바꾸어 사용함으로써, 위에서 보여지는 액체(L)의 담긴 모양을 다양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여러가지 재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외컵(32)과 내컵(37)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내컵(37)과 외컵(32)의 결합력 증가를 위한 결합홈(34)과 결합돌기(38)는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외컵(32)의 내면에 하나 또는 복수의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내컵(37)의 외면에 외컵(32)에 구비되는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결합홈이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내컵(37)은 그 하부가 개방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30 : 컵 12 : 컵 본체
13 : 수용공간 14 : 손잡이
15, 16, 17 : 제 1, 2, 3 수위 표시마크
18, 19, 20 : 제 1, 2, 3 높이
22, 23, 24 : 제 1, 2, 3 돌출물
32 : 외컵 33 : 내부공간
34 : 결합홈 35 : 투과창
37 : 내컵 38 : 결합돌기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액체가 담길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컵 본체; 및
    상기 컵 본체의 내면에 상기 수용공간의 중앙 쪽으로 돌출 구비된 복수의 돌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물은 상기 수용공간의 높이에 따라 다른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돌출물은 상기 컵 본체의 바닥면에서부터 시작하여 상기 컵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게 위치한 제 1 높이까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돌출물은 그 형성 높이에 따라 제 1 돌출물, 제 2 돌출물 및 제 3 돌출물로 구분되되,
    상기 제 1 돌출물은 그 상단이 상기 제 1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돌출물은 그 상단이 상기 컵 본체의 바닥면과 상기 제 1 높이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3 돌출물은 그 상단이 상기 컵 본체의 바닥면과 상기 제 2 높이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컵 본체 외면의 상기 제 1 높이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제 1 수위 표시마크가 표시되고, 상기 컵 본체 외면의 상기 제 2 높이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제 2 수위 표시마크가 표시되며, 상기 컵 본체 외면의 상기 제 3 높이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제 3 수위 표시마크가 표시되며,
    상기 제 1 수위 표시마크는 액체가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제 1 높이까지 채워질 때 상기 컵 본체의 위에서 보여지는 액체가 담긴 모양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수위 표시마크는 액체가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제 2 높이까지 채워질 때 상기 컵 본체의 위에서 보여지는 액체가 담긴 모양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3 수위 표시마크는 액체가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제 3 높이까지 채워질 때 상기 컵 본체의 위에서 보여지는 액체가 담긴 모양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6.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내부공간이 마련된 외컵;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액체가 담길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에 탈착식으로 삽입 결합되는 내컵; 및
    상기 내컵의 내면에 상기 수용공간의 중앙 쪽으로 돌출 구비된 복수의 돌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물은 상기 수용공간의 높이에 따라 다른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돌출물은 상기 내컵의 하단에서부터 시작하여 상기 내컵의 하단으로부터 상향 이격되게 위치한 제 1 높이까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돌출물은 그 형성 높이에 따라 제 1 돌출물, 제 2 돌출물 및 제 3 돌출물로 구분되되,
    상기 제 1 돌출물은 그 상단이 상기 제 1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돌출물은 그 상단이 상기 내컵의 하단과 상기 제 1 높이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3 돌출물은 그 상단이 상기 내컵의 하단과 상기 제 2 높이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컵 외면의 상기 제 1 높이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제 1 수위 표시마크가 표시되고, 상기 내컵 외면의 상기 제 2 높이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제 2 수위 표시마크가 표시되며, 상기 내컵 외면의 상기 제 3 높이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제 3 수위 표시마크가 표시되며,
    상기 제 1 수위 표시마크는 액체가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제 1 높이까지 채워질 때 상기 내컵의 위에서 보여지는 액체가 담긴 모양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수위 표시마크는 액체가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제 2 높이까지 채워질 때 상기 내컵의 위에서 보여지는 액체가 담긴 모양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3 수위 표시마크는 액체가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제 3 높이까지 채워질 때 상기 내컵의 위에서 보여지는 액체가 담긴 모양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컵에는 상기 내컵이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될 때, 상기 제 1 수위 표시마크, 상기 제 2 수위 표시마크 및 상기 제 3 수위 표시마크가 상기 외컵의 외부에서 보여지도록 하기 위한 투과창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컵의 하부가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컵과 상기 내컵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홈이 구비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KR1020130149975A 2013-12-04 2013-12-04 KR101507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975A KR101507247B1 (ko) 2013-12-04 2013-12-04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975A KR101507247B1 (ko) 2013-12-04 2013-12-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7247B1 true KR101507247B1 (ko) 2015-03-30

Family

ID=53028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975A KR101507247B1 (ko) 2013-12-04 2013-12-04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2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439Y1 (ko) * 2001-07-14 2001-11-17 이영근 투명창이 구비된 종이컵
KR101047893B1 (ko) * 2009-02-20 2011-07-08 김강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439Y1 (ko) * 2001-07-14 2001-11-17 이영근 투명창이 구비된 종이컵
KR101047893B1 (ko) * 2009-02-20 2011-07-08 김강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3583B2 (en) Cup lid for beverages with foam
RU2583366C2 (ru) Чайная чашка и способ ее выполнения
ES1075191U9 (es) Capsula para cafe, te y otros productos solubles.
CA2954473A1 (en) Combined vessel lid and tea bag receptacle and method of using
KR200474817Y1 (ko) 테이크아웃 컵
CN211066041U (zh) 一种内杯结构及双层杯结构
KR200455166Y1 (ko) 식품용기
KR200471638Y1 (ko) 일회용 컵용 컵뚜껑
JP2011136749A (ja) 蓋付き食品容器
KR101507247B1 (ko)
KR101140050B1 (ko) 혼합주 제조기
JP2005224261A (ja) 飲用具
JP4476316B2 (ja) 茶漉し付きティーポット
KR200482067Y1 (ko) 멀티형 핸드 커피드립기
KR101341852B1 (ko)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
KR200274344Y1 (ko) 식품용기
KR20190001722U (ko) 향배출부가 구성된 컵 뚜껑
JP3197073U (ja) ドリップ具
KR200426927Y1 (ko) 차 우림구
KR20170053602A (ko) 음식물 용기
KR200466728Y1 (ko) 유아용 다용도 컵
KR102210040B1 (ko) 티백을 가진 홀더
WO2015186876A1 (ko) 컵의 상단에 결합하여 이종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용기
KR101047893B1 (ko)
US20150246295A1 (en) Spill-Proof Bubble Solution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