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176B1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176B1
KR101507176B1 KR1020090062155A KR20090062155A KR101507176B1 KR 101507176 B1 KR101507176 B1 KR 101507176B1 KR 1020090062155 A KR1020090062155 A KR 1020090062155A KR 20090062155 A KR20090062155 A KR 20090062155A KR 101507176 B1 KR101507176 B1 KR 101507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power control
power
interference
sin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6144A (ko
Inventor
김동철
노민석
권영현
곽진삼
문성호
한승희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06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0Open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channel quality metrics, e.g. SIR, SNR, CIR, Eb/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ath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전력제어를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전력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제어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상향링크 전력은 목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에 따라 정해지고, 상기 목표 SINR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요구되는 최소율의 SINR 및 잡음 및 간섭에 대한 제어인자에 의해 결정된다. 정확한 전력제어를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경로손실 및 셀간 간섭 등의 영향을 줄여 무선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Method for uplink power control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절한 송신전력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차세대 멀티미디어 무선통신 시스템은 초기의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벗어나 영상, 무선 데이터 등의 다양한 정보를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로 처리할 것을 요구한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가질 수 있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이 최근 주목받고 있다. OFDM은 주파수 대역을 다수의 직교 부반송파로 분할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중 반송파 변조 기법으로, 낮은 복잡도로 심벌간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 효과를 감쇄시킬 수 있다. OFDM은 직렬로 입력되는 데이터 심벌을 N개의 병렬 데이터 심벌로 변환하여, 각각 분리된 N개의 부반송파(subcarrier)에 실어 송신한다. 부반송파는 주파수 차원에서 직교성을 유지하도 록 한다. 각각의 직교 채널은 상호 독립적인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frequency selective fading)을 경험하게 되고, 전송되는 심벌의 간격이 길어져 심벌간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OFDMA)은 OFDM을 변조 방식으로 사용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가능한 부반송파의 일부를 각 사용자에게 독립적으로 제공하여 다중 접속을 실현하는 다중 접속 방법을 말한다. OFDMA는 부반송파라는 주파수 자원을 각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각각의 주파수 자원은 다수의 사용자에게 독립적으로 제공되어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결국 주파수 자원은 사용자마다 상호 배타적으로 할당된다.
한편, 무선통신 시스템은 효율적인 시스템 구성을 위해 셀(cell) 구조를 갖는다. 셀이란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넓은 지역을 작은 구역으로 세분한 구역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셀의 중심부에 기지국(Base Station; BS)을 설치하여 단말(User Equipment; UE)을 중계하며, 셀은 하나의 기지국이 제공하는 서비스 영역을 말한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기지국과 단말 간의 거리에 따른 경로손실(path-loss) 및 인접 셀로부터의 간섭에 의한 셀간 간섭(inter-cell interference)을 줄이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전력제어 기법을 사용한다. 전력제어 기법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을 어느 정도 유지하면서 가장 낮은 전력 레벨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송신전력을 조절하는 기법이다. 특히, 다중 셀 환경에서 셀 경계 부근에 있는 단말들은 경로손실과 셀간 간섭 등에 많은 영향을 받 는다. 단말은 인접 셀에 간섭을 주지 않으면서 경로손실에 따라 서비스 품질이 저하되지 않도록 적절한 송신전력을 결정하여 데이터를 전송하여야 한다.
경로손실 또는 셀간 간섭 등을 줄일 수 있도록 적절한 송신전력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제어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경로손실 또는 셀간 간섭 등을 줄일 수 있도록 적절한 송신전력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전력제어를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전력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제어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상향링크 전력은 목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에 따라 정해지고, 상기 목표 SINR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요구되는 최소율의 SINR 및 잡음 및 간섭에 대한 제어인자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전력제어를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전력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RF부, 및 상기 RF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력제어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향링크 전력을 목표 SINR에 따라 정하고, 상기 목표 SINR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요구되는 최소율의 SINR 및 잡음 및 간섭에 대한 제어인자에 의해 결정된다.
정확한 전력제어를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경로손실 및 셀간 간섭 등의 영향을 줄여 무선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은 단말(10; Mobile Station, MS) 및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단말(10)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UE(User Equipment),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은 일반적으로 단말(1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하나의 기지국(20)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할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20)에서 단말(10)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 UL)는 단말(10)에서 기지국(20)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10)의 일부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0)의 일부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일 수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Carrier FDMA) 및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송신기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송신기(100)는 인코더(110-1,...,110-K), 변조기(120-1,..., 120-K), 계층 맵퍼(130), 프리코더(140), 부반송파 맵퍼(150-1,...,150-K) 및 OFDM 신호 발생기(160-1,...,160-K)를 포함한다. 송신기(100)는 Nt(Nt 1)개의 송신 안테나(170-1,..,170-Nt)를 포함한다.
인코더(110-1,...,110-K)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정해진 코딩 방식에 따라 인코딩하여 부호화된 데이터(coded data)를 형성한다. 변조기(120-1,...,120-K)는 부호화된 데이터를 신호 성상(signal constellation) 상의 위치를 표현하는 심볼로 배치한다.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에는 제한이 없으며, m-PSK(m-Phase Shift Keying) 또는 m-QAM(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일 수 있다. 예를 들어, m-PSK는 BPSK, QPSK 또는 8-PSK 일 수 있다. m-QAM은 16-QAM, 64-QAM 또는 256-QAM 일 수 있다.
계층 맵퍼(130)는 프리코더(140)가 안테나 특정 심볼을 각 안테나의 경로로 분배할 수 있도록 입력 심볼의 계층을 정의한다. 계층(layer)은 프리코더(140)로 입력되는 정보 경로(information path)로 정의된다. 프리코더(140) 이전의 정보 경로를 가상 안테나(virtual antenna) 또는 계층(layer)이라 할 수 있다.
프리코더(140)는 입력 심볼을 다중 송신 안테나(170-1,..,170-Nt)에 따른 MIMO 방식으로 처리하여 안테나 특정 심볼을 출력한다. 프리코더(140)는 코드북(codebook) 기반의 프리코딩을 이용할 수 있다. 프리코더(140)는 안테나 특정 심볼을 해당 안테나 경로의 부반송파 맵퍼(150-1,...,150-K)로 분배한다. 프리코더(140)에 의해 분배되어 하나의 부반송파 맵퍼를 통해 하나의 안테나로 보내어지는 각 정보 경로를 스트림(stream)이라 한다. 이를 물리적 안테나(physical antenna)라 할 수 있다.
부반송파 맵퍼(150-1,...,150-K)는 안테나 특정 심볼을 적절한 부반송파에 할당하고, 사용자에 따라 다중화한다. OFDM 신호 발생기(160-1,...,160-K)는 안테나 특정 심볼을 OFDM 방식으로 변조하여 OFDM 심볼을 출력한다. OFDM 신호 발생기(160-1,...,160-K)는 안테나 특정 심볼에 대해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를 수행할 수 있으며, IFFT가 수행된 시간 영역 심볼에는 CP(cyclic prefix)가 삽입될 수 있다. OFDM 심볼은 각 송신 안테나(170-1,..,170-Nt)를 통해 송신된다.
MIMO 시스템에서 송신기(100)는 두 가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하나는 SCW 모드이고, 다른 하나는 MCW 모드이다. SCW 모드에서는 MIMO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송신 신호가 동일한 송신률(data rate)을 갖는다. MCW 모드에서는 MIMO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데이터가 독립적으로 인코딩되어, 송신 신호가 서로 다른 송신률을 가질 수 있다. MCW 모드는 랭크가 1보다 큰 경우에 동작한다.
도 3은 프레임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슈퍼프레임(Superframe, SU)은 슈퍼프레임 헤더(Superframe Header, SFH)와 4개의 프레임(frame, F0, F1, F2, F3)을 포함한다. 각 슈퍼프레임의 크기는 20ms이고, 각 프레임의 크기는 5ms인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슈퍼프레임 헤더는 슈퍼프레임의 가장 앞서 배치될 수 있으며, 공용 제어 채널(Common Control Channel)이 할당된다. 공용 제어채널은 슈퍼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에 대한 정보 또는 시스템 정보와 같이 셀 내의 모든 단말들이 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제어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채널이다.
하나의 프레임은 다수의 서브프레임(Subframe, SF0, SF1, SF2, SF3, SF4, SF5, SF6, SF7)을 포함한다. 각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전송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은 6 또는 7개의 OFDMA 심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프레임에는 TDD(Time Division Duplexing) 방식 또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TDD 방식에서, 각 서브프레임은 동일한 주파수에서 서로 다른 시간에 상향링크 전송 또는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즉, TDD 방식의 프레임내의 서브프레임들은 시간영역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고 서로 다른 시간에 이루어질 수 있다. FDD 방식에서, 각 서브프레임은 동일한 시간의 서로 다른 주파수에서 상향링크 전송 또는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즉, FDD 방식의 프레임내의 서브프레임들은 주파수 영역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고,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서브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구획(Frequency Partition)을 포함한다. 주파수 구획은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자원유닛(Physical Resource Unit, PRU)으로 구성된다. 주파수 구획은 연속적(Contiguous/localized) PRU 및/또는 분산적(Distributed/non-contiguous) PRU를 포함할 수 있다. 주파수 구획은 부분적 주파수 재사용(Fractional Frequency Reuse, FFR) 또는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서비스(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 MBS)와 같은 다른 목적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PRU는 복수개의 물리적으로 연속적인 OFDMA 심볼과 복수개의 물리적으로 연속적인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자원할당을 위한 기본적인 물리적 유닛으로 정의된다. PRU에 포함되는 OFDMA 심볼의 수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OFDMA 심볼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6 OFDMA 심볼로 구성될 때, PRU는 18 부반송파 및 6 OFDMA 심볼로 정의될 수 있다. 논리적 자원유닛(Logical Resource Unit, LRU)은 분산적(distributed) 자원할당 및 연속적(contigious) 자원할당을 위한 기본적인 논리 단위이다. LRU는 복수개의 OFDMA 심볼과 복수개의 부반송파로 정의되고, PRU에서 사용되는 파일럿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하나의 LRU에서의 적절한 부반송파의 개수는 할당된 파일럿의 수에 의존한다.
분산 자원유닛(Distributed Resource Unit, DRU)은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DRU는 하나의 주파수 구획 내에 분산된 부반송파 그룹을 포함한다. DRU의 물리적 크기는 PRU의 물리적 크기와 같다. DRU에서 분산된 각 부반송파 그룹을 형성하는 최소의 물리적으로 연속된 부반송파 단위는 하나 이상의 부반송파가 될 수 있다.
연속 자원유닛(Contiguous Resource Unit or Localized Resource Unit, CRU)은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 이득을 얻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CRU는 국부적 부반송파 그룹을 포함한다. CRU의 물리적 크기는 PRU의 물리적 크기와 같다. CRU 및 DRU는 주파수 영역에서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지원될 수 있다.
도 4는 물리적 자원유닛의 맵핑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시스템의 대역폭에서 사용되는 전체 부반송파는 PRU들을 구성한다. 하나의 PRU는 주파수 영역에서 18 부반송파를 포함하고 시간 영역에서 6 OFDMA 심볼 또는 7 OFDMA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PRU의 주파수 영역에서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PRU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서브프레임의 유형에 의존한다. 서브프레임의 유형에는 6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유형-1 및 7 OFDMA 심볼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유형-2가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5 OFDMA 심볼, 9 OFDMA 심볼 등 다양한 수의 OFDMA 심볼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유형이 정의될 수 있다.
PRU들은 미리 정해진 PRU 파티셔닝(PRU partitioning) 방법에 따라서 서브밴드(subband) 및 미니밴드(miniband)로 나누어진다(S110). 서브밴드는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하는 PRU의 단위 또는 CRU를 형성하는 최소단위를 의미한다. 서브밴드의 주파수 영역의 크기는 4 PRU가 될 수 있다. 미니밴드는 분산되는 PRU의 단위 또는 DRU를 형성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미니밴드의 주파수 영역의 크기는 1 PRU 또는 PRU의 정수배가 될 수 있다. 전체 PRU에서 서브밴드의 크기인 4 PRU 단위로 선택되어 서브밴드 및 미니밴드로 할당될 수 있다. 서브밴드에 속하는 PRU를 PRUSB라 하고 미니밴드에 속하는 PRU를 PRUMB라 한다. 전체 PRU의 수는 PRUSB의 수와 PRUMB의 수의 합과 같다. 서브밴드의 PRUSB 및 미니밴드의 PRUMB는 재배열된다(reordered). 서브밴드의 PRUSB는 0에서 (PRUSB의 수-1)까지 넘버링되고, 미니밴드의 PRUMB는 0에서 (PRUMB의 수-1)까지 넘버링된다.
미니밴드의 PRUMB는 각 주파수 구획에서 주파수 다이버시티(frequency diversity)를 보장할 수 있도록 주파수 영역에서 뒤섞기 위해서 미니밴드 퍼뮤테이션(miniband permutation)된다(S120). 즉, 넘버링된 PRUMB는 미리 정해진 퍼뮤테이션(또는 맵핑 규칙)에 따라 섞여서 PPRUMS (permuted-PRUMS)이 된다.
이후, PRUSB 및 PRUMB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구획으로 할당된다. 주파수 구획별로 CRU/DRU의 할당, 섹터 특정 퍼뮤테이션, 부반송파 퍼뮤테이션 등의 셀 특정 자원맵핑 과정이 수행된다.
이제,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향링크 전력제어는 초기 측정(initial calibration) 및 데이터의 손실 없이 전송전력의 주기적 조절을 위해 지원된다. 상향링크 전력제어 알고리즘은 경로손실, 쉐도잉(shadowing) 및 패스트 페이딩(fast fading)을 보상하기 위한 OFDM 심볼의 전송전력을 결정한다. 상향링크 전력제어는 셀 간섭 레벨을 제어하여야 한다.
송신 단말은 최대 전력 레벨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동일한 전송전력 비중을 유지하여야 한다. 다시 말해, 단말에게 할당되어 사용 중인 LRU의 수가 줄어들 때, 단말은 추가적인 전력제어 메시지 없이 전체 전송전력은 비례적으로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전송전력 레벨은 신호 보전 사항 및 조절 요구에 의해 지시되는 최대 레벨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단말은 전송전력 비중을 변경하도록 요구하는 전력제어 메시지를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간섭 레벨의 제어를 위하여, 각 셀의 현재의 IoT(Interference plus noise over Thermal noise) 레벨은 기지국 간에 공유되어야 한다.
전력제어 방법은 개방루프 전력제어(open loop power control; OLPC)와 폐루프 전력제어(closed loop power control; CLPC)로 나눌 수 있다. 폐루프 전력제어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어진 전력제어 메시지를 가지고 전력을 올리거나 내리는 방법이다. 개방루프 전력제어는 기지국으로부터 직접적인 증감 명령(UP/DOWN command)을 받지 않고 여러 요소들을 기반으로 단말이 직접 송신전력을 결정하게 된다. 물론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의 간섭량 수준 혹은 특별한 오프셋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또는 단말은 필요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더 많은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도 있 다. 이러한 것을 바탕으로 단말은 다음 송신전력을 결정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개방루프 전력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전력제어 메시지를 전송한다(S210). 전력제어 메시지는 상향링크 전력제어를 위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전력제어 메시지는 특정 단말에 대하여 유니캐스트되는 단말 특정 메시지이거나, 일반 단말에 대하여 브로드캐스트되는 일반 메시지일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전력제어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전력제어를 수행한다(S220). 개방루프 전력제어가 사용될 때, 부반송파별 전력 및 송신안테나별 전력 또는 부반송파별 전력 및 스트림별 전력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수학식 1과 같이 유지될 수 있다.
Figure 112009041619789-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09041619789-pat00002
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목표 상향링크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이다. 목표 상향링크 SINR 값을 계산하는 모드는 전력제어 메시지를 통하여 시그널링될 수 있다. P는 현재의 전송을 위한 스트림(stream) 당 부반송파별 전송전력 레벨(dBm)이다. L은 추정되는 현재의 평균 상향링크 전달손실(propagation loss)이다. L은 단말의 송신안테나 이득 및 경로손실을 포함한다. NI는 수신안테나 이득을 포함하지 않는 기지국의 부반송파 당 잡음 및 간섭의 추정되는 평균 전력 레벨이다. NI는 일반적으로 기지국에서 브로드캐스트되는 정보이지만, 전력제어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에게 시그널링될 수도 있다.
Figure 112009041619789-pat00003
는 단말 특정 전력 오프셋의 보정항으로써, 단말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초기값은 0일 수 있다.
Figure 112009041619789-pat00004
는 단말 특정 전력 오프셋의 보정항으로써, 전력제어 메시지를 통하여 기지국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추정되는 현재의 평균 상향링크 전달손실 L은 프레임의 프리앰블(preamble)의 실제 부반송파를 통하여 수신되는 전체 전력에 기반하여 계산될 수 있다.
상향링크 전력은 목표 상향링크 SINR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면, 상향링크 전력제어를 위한 파라미터들이 수학식 2를 이용하여 협상될 수 있다.
Figure 112009041619789-pat00005
여기서, C/N은 현재의 전송을 위한 변조/FEC(forward error correction) 비율의 일반화된 부반송파 대 잡음비(Carrier to noise ratio)이다. R은 변조/FEC 비율의 반복 횟수이다.
OLPC 모드 1은 전체 시스템 처리량 및 셀 가장자리에서의 동작 간의 균형(tradeoff) 및 IoT(Interference plus noise over Thermal noise) 제어를 위한 목표 SINR 값을 나타낸다. OLPC 모드 1은 제어 파라미터
Figure 112009041619789-pat00006
Figure 112009041619789-pat00007
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09041619789-pat00008
은 기지국에 의해 기대되는 최소율의 SINR의 요구이다. 즉,
Figure 112009041619789-pat00009
은 셀 가장자리의 단말의 성능 향상을 위한 최소 SINR이다.
Figure 112009041619789-pat00010
는 기지국에 의해 유니캐스트되는 전력제어 메시지를 통하여 정해질 수 있다.
Figure 112009041619789-pat00011
은 4비트로 dB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Figure 112009041619789-pat00012
은 {-∞, -3, -2.5, -2, -1.5, -1, 0, 0.5, 1, 1.5, 2, 2.5, 3, 3.5, 4, 4.5} 사이의 dB 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최소 SINR을 정함으로써 셀 가장자리 단말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Figure 112009041619789-pat00013
는 페어니스(fairness) 및 IoT 제어 인자로서,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다.
Figure 112009041619789-pat00014
는 잡음 및 간섭 전력에 대한 하향링크 신호의 비율로서, 단말에 의해 측정된다. 따라서,
Figure 112009041619789-pat00015
는 잡음 및 간섭에 대한 제어인자이다.
Figure 112009041619789-pat00016
는 4비트로 {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의 값을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9041619789-pat00017
는 각 주파수 구획마다 서로 달리 정해질 수 있다.
Figure 112009041619789-pat00018
의 값이 커지면 전체 처리량은 증가하지만, 셀 중앙부의 단말들의 최대 전력이 커짐으로써 간섭 레벨이 증가하여 셀 가장자리 단말의 성능을 악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전체 단말의 상황을 고려하여
Figure 112009041619789-pat00019
값을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09041619789-pat00020
는 기지국의 수신안테나의 개수에 따른 인자로서,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트 될 수 있다.
Figure 112009041619789-pat00021
는 MAC(media access control) 전력제어 모드 시그널링으로 부터 시그널링될 수 있다.
Figure 112009041619789-pat00022
는 3 비트로 {1, 1/2, 1/4, 1/8, 1/16, 0, reserved, reserved}를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9041619789-pat00023
는 MAC 전력제어 모드 시그널링에서 1비트로 0 또는 1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즉,
Figure 112009041619789-pat00024
는 TNS(total number of streams)의 on/off 기능을 가진다. 즉
Figure 112009041619789-pat00025
는 TNS의 적용여부를 지시하는 스트림 인자이다.
Figure 112009041619789-pat00026
는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어 전송될 수 있다.
TNS는 상향링크 MAP 정보에서 지시되는 LRU에서 전체 스트림의 수를 나타낸다. TNS는 기지국에 의해 유니캐스트될 수 있다. SU-MIMO의 경우, TNS 값은 사용자 당 스트림의 수인 Mt로 정해질 수 있다. 동일한 LRU에서 여러 사용자의 자원이 할당되는 CSM(collaborated spatial multiplexing)의 경우, TNS 값은 스트림의 총계인 TNS로 정해질 수 있다. 제어채널 전송의 경우, TNS 값은 1로 정해질 수 있다.
표 1은 변조방식에 대한 일반화된 C/N의 일예를 나타낸다.
Figure 112009041619789-pat00027
단말은 상술한 제안하는 방법에 따라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제어한 후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S230). 상향링크 데이터는 사용자 데이터 및 제어정보를 포함한다. 즉, 제안하는 상향링크 전송전력 제어방법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전력 또는 제어정보의 전송전력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시스템 성능 향상, 셀간 간섭 제어, 셀 가장자리의 성능 향상 등을 위한 상향링크 개방루프 전력제어는 단일화된 알고리즘(unified algorithm)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제안하는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은 단일 스트림 전송을 기본으로 하며, 다중 스트림의 경우는 최종 결정된 값 또는 적절한 중간값에
Figure 112009041619789-pat00028
의 추가 연산이 수행된다. 이는 동일 자원에서 다중 사용자에 대한 다중 스트림의 간섭을 단일 사용자의 단일 스트림의 간섭 수준으로 낮추는 역할을 수행한다. 최소한의 제어정보를 통하여 상향링크 전력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수학식 3은 단일 스트림 전송에서 상향링크 전송전력의 일예를 나타낸다.
Figure 112009041619789-pat00029
여기서,
Figure 112009041619789-pat00030
는 주어진 요구 SINR을 달성하기 위한 단말의 스트림 당 전송전력 레벨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41619789-pat00031
는 페어니스 및 IoT 제어 인자로서, 기지국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다. 또한,
Figure 112009041619789-pat00032
는 주파수 구획을 고려할 때 각 주파수 구획별로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다.
Figure 112009041619789-pat00033
은 추정된 하향링크 SIR(signal to interference ratio) 또는 SINR이다.
수학식 4 내지 8은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구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낸다.
Figure 112009041619789-pat00034
여기서,
Figure 112009041619789-pat00035
은 서빙셀(serving cell)을 위해 단말에서 추정되는 경로손실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41619789-pat00036
는 가장 강한 간섭셀(interfering cell)을 위해 단말에서 추정되는 경로손실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41619789-pat00037
는 TNS에 대응되는 것으로, 상향링크 MAP 정보에서 지시되는 스트림의 수를 나타낸다. SU-MIMO의 경우,
Figure 112009041619789-pat00038
는 사용자 당 스트림의 수로 정해질 수 있다. CSM의 경우,
Figure 112009041619789-pat00039
는 스트림의 총계로 정해질 수 있다. 제어채널 전송의 경우,
Figure 112009041619789-pat00040
값은 1로 정해질 수 있다.
Figure 112009041619789-pat00041
Figure 112009041619789-pat00042
Figure 112009041619789-pat00043
Figure 112009041619789-pat00044
수학식 4 내지 8은 수학식 3에서
Figure 112009041619789-pat00045
값의 역할을 하는 파라미터에 두 가지 옵션을 적용하는 형태이다. 초기에 기지국이 단말의 전력제어 모드를 결정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정해질 수 있다.
Figure 112009041619789-pat00046
또는 단말이 기지국에 특정 모드를 요구할 수 있도록, 초기 결정값이
Figure 112009041619789-pat00047
값이 아닌 경우 다음과 같이 정해질 수 있다.
Figure 112009041619789-pat00048
오프셋으로 구분되는 2개의 파라미터의 위치에 따라 수학식 3 및 4가 구분된다. 수학식 4 및 5는
Figure 112009041619789-pat00049
의 위치에 따라 구분된다. 수학식 6 및 7은 동일한 개념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는 결정된
Figure 112009041619789-pat00050
값에서 항상 다중 스트림을 고려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요소이다.
수학식 9 내지 12는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구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Figure 112009041619789-pat00051
Figure 112009041619789-pat00052
Figure 112009041619789-pat00053
Figure 112009041619789-pat00054
수학식 9 내지 12는
Figure 112009041619789-pat00055
을 선택하는 모드가 아닌 경우, 이를 대체하는 값으로
Figure 112009041619789-pat00056
Figure 112009041619789-pat00057
값을 직접 비교하여 큰 값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수학식 13은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구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Figure 112009041619789-pat00058
Figure 112009041619789-pat00059
,
Figure 112009041619789-pat00060
,
Figure 112009041619789-pat00061
를 상호 비교하여
Figure 112009041619789-pat00062
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Figure 112009041619789-pat00063
은 수학식 3과 같고,
Figure 112009041619789-pat00064
Figure 112009041619789-pat00065
=1인 경우 수학식 4의
Figure 112009041619789-pat00066
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향링크 전력제어를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안하는 OLPC 모드 1의 수행 성능이 다른 방식에 비하여 우수함을 볼 수 있다.
도 7은 단말의 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50)은 프로세서(processor, 51), 메모리(memory, 52), RF부(RF unit, 53),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 54), 사용자 인터페이스부(user interface unit, 55)를 포함한다. 프로세서(51)는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을 구현하여, 제어 평면과 사용자 평면을 제공한다. 각 계층들의 기능은 프로세서(51)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제안하는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메모리(52)는 프로세서(51)와 연결되어, 단말 구동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및 일반적인 파일을 저장한다. 디스플레이부(54)는 단말의 여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 잘 알려진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5)는 키패드나 터치스크린 등 잘 알려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RF부(53)는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radio signal)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계층들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 간 상호접속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제1 계층), L2(제2 계층), L3(제3 계층)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제1 계층에 속하는 물리계층은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한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하며, 제3 계층에 위치하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은 단말과 네트워크 간에 무선 자원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RRC 계층은 단말과 네트워크 간에 RRC 메시지를 서로 교환한다.
상술한 모든 기능은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코딩된 소프트웨어나 프로그램 코드 등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과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코드의 설계, 개발 및 구현은 본 발명의 설명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송신기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프레임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물리적 자원유닛의 맵핑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개방루프 전력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향링크 전력제어를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단말의 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Claims (12)

  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전력제어를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전력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제어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상향링크 전력은 목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을 지시하는 제1 변수, 추정되는 현재의 평균 전달손실(propagation loss)을 지시하는 제2 변수, 기지국의 부반송파 당 잡음 및 간섭의 추정되는 평균 전력 레벨을 지시하는 제3 변수,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는 단말 특정 전력 오프셋을 지시하는 제4 변수를 합산한 값을 사용하여 정해지고, 상기 목표 SINR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요구되는 최소율의 SINR 및 잡음 및 간섭에 대한 제어인자에 의해 결정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율의 SINR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유니캐스트(unicast)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및 간섭에 대한 제어인자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broadcast)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SINR은 전체 스트림(stream) 수의 적용여부를 지시하는 스트림 인자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SINR은
    Figure 112015022742669-pat00071
    와 같이 결정되고, 이때
    Figure 112015022742669-pat00091
    은 상기 목표 SINR,
    Figure 112015022742669-pat00072
    은 상기 최소율의 SINR,
    Figure 112015022742669-pat00073
    는 상기 잡음 및 간섭에 대한 제어 인자,
    Figure 112015022742669-pat00074
    는 잡음 및 간섭 전력에 대한 하향링크 신호의 비율,
    Figure 112015022742669-pat00075
    는 기지국의 수신안테나의 개수에 따른 인자,
    Figure 112015022742669-pat00076
    는 전체 스트림 수의 적용여부를 지시하는 스트림 인자, TNS는 논리적 자원유닛에서 전체 스트림의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Figure 112009041619789-pat00077
    는 페어니스(fairness) 및 IoT(Interference plus noise over Thermal noise)의 제어 인자이고, 주파수 구획별로 브로드캐스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전력은 개방루프 전력제어에 있어서 부반송파별 송신전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전력은 개방루프 전력제어에 있어서 스트림별 송신전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전력은 개방루프 전력제어에 있어서 송신안테나별 송신전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11. 삭제
  12.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전력제어를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전력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RF부; 및
    상기 RF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력제어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향링크 전력을 목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을 지시하는 제1 변수, 추정되는 현재의 평균 전달손실(propagation loss)을 지시하는 제2 변수, 기지국의 부반송파 당 잡음 및 간섭의 추정되는 평균 전력 레벨을 지시하는 제3 변수,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는 단말 특정 전력 오프셋을 지시하는 제4 변수를 합산한 값을 사용하여 정하고, 상기 목표 SINR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요구되는 최소율의 SINR 및 잡음 및 간섭에 대한 제어인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090062155A 2008-07-08 2009-07-08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KR1015071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879008P 2008-07-08 2008-07-08
US61/078,790 2008-07-08
US15688509P 2009-03-03 2009-03-03
US61/156,885 2009-03-03
US17321809P 2009-04-28 2009-04-28
US61/173,218 2009-04-28
US22206509P 2009-06-30 2009-06-30
US61/222,065 2009-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144A KR20100006144A (ko) 2010-01-18
KR101507176B1 true KR101507176B1 (ko) 2015-03-31

Family

ID=41507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155A KR101507176B1 (ko) 2008-07-08 2009-07-08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359059B2 (ko)
KR (1) KR101507176B1 (ko)
WO (1) WO201000523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15481B2 (en) * 2008-09-05 2013-08-20 Mediatek Inc. Power management for multi-carrier transmission
KR101608784B1 (ko) * 2009-01-21 2016-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데이터를 위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599769B2 (en) * 2009-07-06 2013-12-03 Intel Corporation Uplink open loop power control system
US8738065B2 (en) * 2009-10-02 2014-05-27 Kyocera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large cell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WO2011049286A1 (en) * 2009-10-23 2011-04-2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340593B2 (en) * 2009-11-10 2012-12-25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control uplink power
KR101716494B1 (ko) * 2009-11-14 2017-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1719801B (zh) * 2009-11-25 2013-01-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功率检测的方法及系统
US8559360B2 (en) * 2009-12-11 2013-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for uplink
KR101310901B1 (ko) * 2009-12-15 2013-09-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셀룰러 시스템에서 전송전력 제어방법
US8295335B2 (en) 2009-12-31 2012-10-23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control uplink power
KR101593238B1 (ko) * 2010-01-20 2016-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30004911A (ko) * 2010-02-24 2013-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전력 제어 상태를 보고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US8918135B2 (en) 2010-03-08 2014-12-2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KR101689883B1 (ko) * 2010-03-19 2016-12-26 주식회사 케이티 양방향 중계 네트워크에서의 전력 제어 방법
WO2011145890A2 (ko) 2010-05-20 2011-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및 사용자기기
US9148858B2 (en) * 2010-07-12 2015-09-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2153984A2 (ko) * 2011-05-10 2012-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전송전력 결정방법 및 사용자기기
CN102917436B (zh) * 2011-08-02 2017-03-15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在共小区标识的异构网络中进行上行功率控制的方法
CN102340858B (zh) * 2011-09-30 2014-11-0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pusch功率控制中目标sinr设置方法及装置
KR101835026B1 (ko) * 2011-09-30 2018-03-09 주식회사 팬택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향링크 신호 방법
CN103379604B (zh) * 2012-04-20 2018-04-2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动态tdd小区中的上行功率控制方法
MX360522B (es) * 2013-03-22 2018-11-07 Huawei Tech Co Ltd Metodo, aparato y sistema de control de potencia.
US9974027B2 (en) 2016-02-23 2018-05-15 Spidercloud Wireless, Inc. System and method for closed loop uplink power control
IL267295B (en) 2016-12-13 2022-08-0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device for satellite power control
KR102369320B1 (ko) 2017-02-13 2022-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시분할 복신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간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5192A (ko) * 2004-08-13 2006-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통신시스템에서 부반송파의 개별적 송신전력 제어가가능한 폐루프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70119936A (ko) * 2006-06-16 2007-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04039A (ko) * 2006-07-04 2008-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7737B2 (ja) * 2003-08-12 2006-11-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JP4299270B2 (ja) * 2004-06-09 2009-07-22 三星電子株式会社 向上した上りリンクサービスを支援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送信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060016042A (ko) * 2004-08-16 2006-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업링크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FI20055242A0 (fi) * 2005-05-20 2005-05-20 Nokia Corp Radioresurssien ohjaus HSUPA-järjestelmässä
WO2007044316A1 (en) * 2005-10-06 2007-04-1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for ofdma based evolved utra
US8098644B2 (en) * 2006-01-18 2012-01-17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resource allocation in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8774083B2 (en) 2006-05-04 2014-07-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948548B1 (ko) * 2006-05-24 2010-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 제어 장치및 방법
US7738907B2 (en) 2006-06-20 2010-06-1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power control in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7558255B2 (en) * 2006-07-13 2009-07-07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of switching modes of uplink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753369B1 (ko) * 2006-08-30 2007-08-30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시스템의 셀간 간섭을 저감하는 방법
EP3694262A1 (en) * 2006-10-03 2020-08-1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Combined open loop/closed lopp (cqi-based) uplink transmit power control with interference mitigation for e-utra
US7917164B2 (en) * 2007-01-09 2011-03-29 Alcatel-Lucent Usa Inc. Reverse link power control
US7999740B2 (en) * 2008-06-20 2011-08-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fast rang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8682327B2 (en) * 2009-03-13 2014-03-25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search in a communication network
KR101702666B1 (ko) * 2010-07-29 2017-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20049535A (ko) * 2010-11-09 2012-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레인징 신호를 이용한 상향 링크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5192A (ko) * 2004-08-13 2006-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통신시스템에서 부반송파의 개별적 송신전력 제어가가능한 폐루프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70119936A (ko) * 2006-06-16 2007-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04039A (ko) * 2006-07-04 2008-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17953A1 (en) 2011-05-19
US8359059B2 (en) 2013-01-22
KR20100006144A (ko) 2010-01-18
WO2010005236A2 (en) 2010-01-14
WO2010005236A3 (en) 201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176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US85939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072918B2 (en) Network-based inter-cell power control for multi-channel wireless networks
US8358611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ple code words in a multiple antenna system
US84837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124693B (zh) 用于lte共享数据信道的调制和编码方案调整的系统和方法
US8744362B2 (en) Base station
US8605664B2 (en)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in a SC-FDMA system
KR101228960B1 (ko) 역방향 링크 트래픽 전력 제어
KR101424264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Mehta et al. Antenna selection in LTE: From motivation to specification
KR101910475B1 (ko) 단말 및 그 단말에서 랜덤 억세스 수행을 위한 전력 제어 방법
EP2098093B1 (en) Adaptive resource allocation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ransceiver for implementing the same
KR20130038394A (ko) 채널 추정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선 송수신 유닛 특유의 파일럿 신호 전송 및 무선 송수신 유닛 특유의 파일럿 신호 전력 부스팅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2187716A (zh) 用户装置和基站装置以及通信控制方法
KR2012012331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채널 품질 정보 송신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07026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525619B1 (ko) 다중안테나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전송방법
CN116193558A (zh)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US11757598B2 (en) Communications devices,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US8494067B2 (en) Pilot transmission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ang et al. WiMAX overview and system performance
US8553525B2 (en) Method of transmitting data based on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CN111615183B (zh)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WO2023138552A1 (zh)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