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542B1 - 더블 전개형 앨범 - Google Patents

더블 전개형 앨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542B1
KR101506542B1 KR1020140058610A KR20140058610A KR101506542B1 KR 101506542 B1 KR101506542 B1 KR 101506542B1 KR 1020140058610 A KR1020140058610 A KR 1020140058610A KR 20140058610 A KR20140058610 A KR 20140058610A KR 101506542 B1 KR101506542 B1 KR 101506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bum
portions
marking
presen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희
Original Assignee
정석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희 filed Critical 정석희
Priority to KR1020140058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5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8Alb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1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with at least two separate sets of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2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화된 사진을 정리하고 보존하기 위한 앨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4개의 표지부가 나열되고 이들 각각의 표지부는 연결부에 의해 서로 이어져 있으며, 양측의 연결부에는 다수의 속지에 의한 속부재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하되, 중앙의 연결부는 양측 끝단의 표지부와 한 쌍의 속부재가 수용될 수 있는 폭을 갖고 형성되게 함으로써,
하나의 앨범 속에 서로 나누어진 두 개의 속부재가 위치하므로 이들 각각의 속부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인물 및 내용을 갖는 사진들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고, 분할 형성된 속부재는 표지부와의 접착력이 무게로 인해 약화 또는 상실되는 것을 감소시켜 앨범에 대한 사용 수명이 연장되도록 하는 것이며, 내향 전개 또는 외향 전개가 가능한 표지부를 이용하여 액자 형태로 전시 또는 장식할 수 있어 단순한 앨범이 아닌 스탠드형 액자로의 활용이 가능한 것이며, 일시에 4면이 전개 개방되므로 여러 사람이 동시에 앨범을 구경하거나 많은 사진을 한꺼번에 볼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 효율적인 개방감을 연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더블 전개형 앨범 {Double Open Album}
본 발명은 인화된 사진을 정리하고 보존하기 위한 앨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지부의 내부에 낱장의 속지가 부착 형성되어진 앨범에 있어, 다수의 속지로 이루어진 속부재를 2개체로 형성하여 이들 2개체의 속부재가 상기 표지부 내에 분할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분할된 속부재에 의해 표지부와 속부재 간의 접착부 손상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각기 전개되는 표지부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의 전시 및 장식이 가능하도록 한 앨범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앨범이라 함은 카메라에 의해 찍힌 영상을 적당한 크기로 인화지에 현상하여 만들어진 사진을 보관 및 정리하기 위한 것으로, 접착식 앨범과 압축식 앨범으로 구분되는 것이다.
상기의 접착식 앨범은 속지의 표면에 점착층을 형성하여 인화된 사진을 상기의 점착층에 붙여 보관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이고 필요에 따라 속지의 표면에 투명의 비닐지를 탈부착 또는 포켓 형태로 구성함에 따라 인화된 사진이 탈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인데 이와 같은 접착식 앨범은 과거로부터 오랜 기간 사용되던 방식으로 근자에는 점차 사양화의 길을 걷고 있다.
근자에는 상기의 접착식 앨범 대신 압축식 앨범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압축식 앨범은 사진을 속지에 대하여 접착한 후 이를 강력한 압력으로 압축한 후 건조과정을 거쳐 일정한 크기로 제단 형성한 것으로 사진의 매수와 관계없이 다양한 두께 및 크기로의 앨범 제작이 가능한 것은 물론 마감이 간결하고 깔끔하여 매우 고급스러우며 사진의 변형이나 탈색 또는 훼손이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특징을 갖고 있으나 전기한 접착식 앨범에 비해서는 제작과정의 복잡함으로 인해 다소 비싼 것이 흠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앨범은 접착식 앨범 또는 압축식 앨범의 구분과 관계없이 모두 동일한 형태 및 구성으로 만들어지게 되는 것으로 대부분 단단한 겉표지의 내부에 다수의 속지가 전개 가능한 형태로 부착됨에 따라 겉표지의 전개 및 속지의 전개를 통해 사진을 볼 수 있도록 한 북(book) 형태로 만들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앨범은 단순히 사진을 정리 및 보관하는 용도로 활용되므로 대부분의 앨범은 사진의 정리가 끝남과 동시에 책장이나 창고 등에 수납 및 보관되므로 활용 가치가 매우 떨어지는 것이고, 크고 두꺼운 두께를 갖고 있어 일반적인 형태의 책장에 꽂아 보관하는데에도 상당한 곤란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겉표지의 내부에 부착되는 속지는 인화된 사진의 량에 따라 다양한 두께를 갖게 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는 겉표지의 두께에 따라 속지의 매수가 결정되는 것인데 상기의 속지는 두껍고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고 이와 같은 속지가 겉표지에 일시에 접착되어 있게 되므로 상기의 겉표지와 속지의 접착부에는 상당한 무게감이 작용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무게감으로 인해 상기의 접착부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떨어지거나 벌어지면서 앨범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폐단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속지의 접착부에 대한 접착력의 상실로 인해 결국에는 겉표지와 속지가 완전히 분리되는 경우도 발생하는 것이고, 겉표지로부터 분리된 속지들은 재차 낱장으로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앨범 전체를 버려야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앨범의 겉표지 전면에 인화된 사진을 부착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앨범을 탁상에 올려놓고 전시 또는 장식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앨범 전면의 사진이 쉽게 오염되고 훼손되므로 사용자는 이와 같은 형태로의 앨범 사용을 기피하게 되어 전시 및 장식으로서의 실질적 효과를 거의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4개의 표지부가 나열되고 이들 각각의 표지부는 연결부에 의해 서로 이어져 있으며, 양측의 연결부에는 다수의 속지에 의한 속부재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하되, 중앙의 연결부는 양측 끝단의 표지부와 한 쌍의 속부재가 수용될 수 있는 폭을 갖고 형성되게 함으로써,
단일의 앨범 내에 서로 분할 형성된 속부재가 위치하여 기존 앨범에 비해 표지부와 속부재 간의 접착 고정력이 배가되는 것이고, 내측에 위치하는 표지부의 전면에는 사진을 함몰 부착 형성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의 전시 또는 장식이 가능한 것이며, 최대 4면이 전개 개방되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뛰어난 특징을 갖는 더블 전개형 앨범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4표지부가 나열되고 이들 표지부는 제1 내지 제3연결부에 의해 서로 이어지며, 양측의 제1 및 제3연결부에는 복수 개의 속지에 의한 제1 및 제2속부재가 위치하고, 중앙의 제2연결부는 양측 끝단의 제1표지부 및 제4표지부와 상기의 제1 및 제2속부재가 수용될 수 있는 폭을 갖고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앨범 속에 서로 나누어진 두 개의 속부재가 위치하므로 이들 각각의 속부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인물 및 내용을 갖는 사진들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고, 분할 형성된 속부재는 표지부와의 접착력이 무게로 인해 약화 또는 상실되는 것을 감소시켜 앨범에 대한 사용 수명이 연장되도록 하는 것이며, 내향 전개 또는 외향 전개가 가능한 표지부를 이용하여 액자 형태로 전시 또는 장식할 수 있어 단순한 앨범이 아닌 스탠드형 액자로의 활용이 가능한 것이며, 일시에 4면이 전개 개방되므로 여러 사람이 동시에 앨범을 구경하거나 많은 사진을 한꺼번에 볼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 효율적인 개방감을 연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앨범의 전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앨범의 평면 전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앨범의 전개 상태를 보인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앨범의 전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앨범의 부분 전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앨범의 사용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앨범의 다른 사용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앨범의 또 다른 사용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앨범의 또 다른 사용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앨범의 또 다른 사용 예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앨범의 전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앨범의 평면 전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앨범의 전개 상태를 보인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앨범의 전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앨범의 부분 전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앨범은 기존의 앨범과 마찬가지로 표지부의 내측에 다수의 속지에 의한 속부재가 위치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속부재를 2분할 구분 형성하여 이를 통해 다양한 장점 및 효과가 연출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앨범은 4개의 패널 형태로 된 제1 내지 제4표지부(11)(12)(13)(14)가 연속하여 나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제1 내지 제4표지부(11)(12)(13)(14)는 3개소의 제1 내지 제3연결부(21)(22)(23)에 의해 이어져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제1 내지 제3연결부(21)(22)(23) 중에서 양측단에 위치하고 있는 제1 및 제3연결부(21)(23)에는 다수의 속지에 의한 제1 및 제2속부재(31)(32)가 구분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3연결부(21)(23)의 폭은 제1 및 제2속부재(31)(32)의 두께와 일치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상기 제2연결부(22)는 전기한 제1 및 제2속부재(31)(32)의 두께와 제1표지부(11)와 제4표지부(14)를 합한 두께와 같은 폭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제1속부재(31)는 속지의 첫장과 마지막장을 상기 제1표지부(11)와 제2표지부(12)의 내면(11a)(12a)에 접착 형성함에 따라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제2속부재(32)는 속지의 첫장과 마지막장이 상기 제3표지부(13)와 제4표지부(14)의 내면(13a)(14a)에 접착 형성되게 함에 따라 서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속부재(31)(32)는 다수의 속지가 겹쳐져 각 끝단이 접착 고정됨에 따라 속지가 낱장으로 전개될 수 있는 형태의 것을 지칭하는 것인데, 이들 속부재(31)(32)의 속지는 접착식 속지 또는 압축식 속지가 모두 해당될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접착식 속지와 압축식 속지를 함께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제1 내지 제4표지부(11)(12)(13)(14)에 대한 제1 및 제2속부재(31)(32)의 접착 고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1속부재(31)는 제1 및 제2표지부(11)(12)의 내측에서 전개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제2속부재(32)는 제3 및 제4표지부(13)(14)의 내측에서 전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표지부(11)와 제1속부재(31) 및 제2표지부(12)를 납작하게 접고, 제3표지부(13)와 제2속부재(32) 및 제4표지부(14)를 납작하게 접은 상태에서 이들을 제2연결부(22)를 통해 재차 접게 되면 두꺼운 두께만을 갖는 앨범이 완성될 것이므로 이와 같은 상태로 앨범을 책장 등에 꼽아 보관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제1 내지 제4표지부(11)(12)(13)(14)의 외면(11b)(12b)(13b)(14b)에는 다양한 인쇄 방법을 통해 앨범의 특징을 표현하거나 그림 또는 이미지로서 장식성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인데,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표지부(11)의 외면(11b)과 제4표지부(14)의 외면(14b)에 각기 안치홈부(10)를 형성한 후 상기 안치홈부(10)에 별도로 구비된 표지사진(41)(44)을 부착 형성하여 더욱 장식성이 뛰어나고 활용도가 높은 앨범으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제1 및 제4표지부(11)(14)의 외면에 안치홈부(10)를 형성하되 상기의 안치홈부(10)는 제1 및 제4표지부(11)(14)의 외면에 내부가 비어 있는 상태를 갖는 일정 두께의 프레임 종이재를 부착 형성한 후, 상기의 제1 및 제4표지부(11)(14) 표면 전체와 상기 프레임 종이재 표면을 별도의 마감피혁으로 감싸 부착하게 되면 프레임 종이재가 갖고 있는 두께로 인해 비어 있는 프레임 종이재의 내측부는 자연스럽게 안치홈부(10)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안치홈부(10)에 별도로 구비된 앨범의 대표적인 표지사진(41)(44)을 부착 형성하게 되면 상기의 표지사진(41)(44)은 제1표지부(11) 및 제4표지부(14)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부착될 수 있어 외부로부터의 긁힘이나 오염 등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안전한 것이다.
상기의 기재에서는 안치홈부(10)를 제1 내지 제4표지부(11)(14)에만 형성한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제2표지부(12) 및 제3표지부(13)의 외면(12b)(13b)에도 안치홈부(10)를 형성하여 별도의 표지사진(41)(44)을 부착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본 발명의 앨범은 단일의 앨범 내부에 각기 독립된 두 개의 속부재가 위치되므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속부재를 전개하여 보거나 양측 모두의 속부재를 함께 볼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제1 및 제2속부재(31)(32)는 앨범의 전체 두께로부터 절반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앨범의 두께가 기존의 앨범 두께와 동일하다고 가정할 경우 본 발명에서의 속부재는 2분할 형성되어 있어 결국 표지부와의 접착부가 받게 되는 중량감이나 무게감이 기존의 앨범에 비하여 절반 이하로 떨어지게 될 것이므로 상기의 속부재가 표지부로부터 분리되거나 접착부가 훼손되는 문제점을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앨범은 단순히 기존 앨범과 같이 사진의 보관 및 정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스탠드형 액자로도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도 5의 도시와 같이 제2연결부(22)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전개시키면 제1 및 제4표지부(11)(14)의 외면(11b)(14b)에 부착되어 있던 표지사진(41)(44)이 평면상 'ㅅ'자 형태로 전개 및 노출될 것이므로 이를 통해 스탠드형 액자로의 활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전개 각도를 더욱 크게 하여 표지사진(41)(44)이 외측을 향하도록 전개시키면 평면상 'V'자 형태로 전개되면서 표지사진(41)(44)이 사방으로 노출되므로 더욱 우수한 전시 및 장식 효과를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앨범은 제1 및 제2속부재(31)(32)를 선택적으로 전개시킬 수 있는 것으로, 도 8의 도시와 같이 제2연결부(22)로부터 제1 및 제2표지부(11)(12)와 제1속부재(31)를 전개한 후 제1표지부(11)와 함께 제1속부재(31)를 전개함에 따라 일측 속부재에 대해서만 전개된 형태로 사용 또는 전시할 수 있는 것이고, 반대로 도 9의 도시와 같이 제2속부재(32)에 대해서만 전개시켜 이를 사용 또는 전시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앨범은 상기의 제1속부재(31) 또는 제2속부재(32)를 선택적으로 전개하거나 필요에 따라 양측을 모두 전개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앨범을 완전히 전개시키는 경우에는 도 10의 도시와 같이 제1속부재(31) 및 제2속부재(32)가 펼쳐지면서 4면의 속지가 드러나게 되므로 기존의 앨범과는 달리 4면이 펼쳐지는 형태를 갖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여러 사람이 동시에 앨범을 볼 수 있을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와 같이 4면이 펼쳐진 상태로 전시 또는 실내를 장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안치홈부
11,12,13,14 : 표지부
11a,12a,13a,14a : 내면
11b,12b,13b,14b : 외면
21,22,23 : 연결부
31,32 : 속부재
41,42 : 표지사진

Claims (5)

  1. 제1 내지 제4표지부(11)(12)(13)(14)가 나열되고 이들 표지부(11)(12)(13)(14)는 제1 내지 제3연결부(21)(22)(23)에 의해 서로 이어지며, 양측의 제1 및 제3연결부(21)(23)에는 복수 개의 속지에 의한 제1 및 제2속부재(31)(32)가 위치하고, 중앙의 제2연결부(22)는 양측 끝단의 제1표지부(11) 및 제4표지부(14)와 상기의 제1 및 제2속부재(31)(32)가 수용될 수 있는 폭을 갖고 형성된 더블 전개형 앨범에 있어서,
    상기 제1속부재(31)는 첫장과 마지막장이 제1표지부(11) 및 제2표시부(12)의 내면(11a)(12a)에 접착 고정되게 하고, 제2속부재(32)는 첫장과 마지막장이 제3표지부(13) 및 제4표지부(14)의 내면(13a)(14a)에 접착 고정되게 하여, 제1 및 제3연결부(21)(23)로부터 제1속부재(31) 및 제2속부재(32)가 전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전개형 앨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지부(11)와 제4표지부(14)의 외면(11b)(14b)에 안치홈부(10)를 형성하고, 상기 안치홈부 내에 표지사진(41)(44)이 제1표지부(11) 및 제4표지부(14)의 외면(11b)(14b)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부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전개형 앨범.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058610A 2014-05-15 2014-05-15 더블 전개형 앨범 KR101506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610A KR101506542B1 (ko) 2014-05-15 2014-05-15 더블 전개형 앨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610A KR101506542B1 (ko) 2014-05-15 2014-05-15 더블 전개형 앨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6542B1 true KR101506542B1 (ko) 2015-03-30

Family

ID=53028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610A KR101506542B1 (ko) 2014-05-15 2014-05-15 더블 전개형 앨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54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953Y1 (ko) * 2004-07-22 2004-12-03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증편용 속지 및 이를 이용한 파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953Y1 (ko) * 2004-07-22 2004-12-03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증편용 속지 및 이를 이용한 파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3451B2 (en) Collapsible self-expanding frames and displays and methods for using
US10021998B2 (en) Picture mount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JP3223656U (ja) 収納用コーナシール
KR101506542B1 (ko) 더블 전개형 앨범
JP2005335356A (ja) 組立額及びそれに関するシート
JP6568509B2 (ja) 写真アルバム及び写真アルバムの製造方法
KR101788125B1 (ko) 액자 겸용 책자
WO2009081721A1 (ja) 絵画表示物
JP5988664B2 (ja) アルバム
KR200484911Y1 (ko) 장식틀이 구비된 삽입식 액자앨범
JPH06305283A (ja) アルバム用台紙
JP6209415B2 (ja) アルバム及びアルバムの製造方法
KR200417251Y1 (ko) 코팅재를 구비하는 앨범 속지 구조
KR101783140B1 (ko) 부착식 메모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483080Y1 (ko) 다단 절첩 액자의 연속 책자
JP2004230575A (ja) 写真等の個別真空ファイル用の額縁付きカード,ルーズリーフおよび写真立て
US20090117295A1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hoto mount system
JP2009165800A (ja) 絵画表示物
KR20130004089U (ko) 앨범 제작용 포토포켓 속지
JP2022063404A (ja) アルバムの製造方法
KR20170001054A (ko) 앨범
KR20140147945A (ko) 사진 앨범
JP3189962U (ja) ポップアップ仕掛け付き冊子
KR200478281Y1 (ko) 사진 장식구
JP2000041809A (ja) 写真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