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804B1 - Portable cablefeed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ortable cablefeed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804B1
KR101505804B1 KR1020130110228A KR20130110228A KR101505804B1 KR 101505804 B1 KR101505804 B1 KR 101505804B1 KR 1020130110228 A KR1020130110228 A KR 1020130110228A KR 20130110228 A KR20130110228 A KR 20130110228A KR 101505804 B1 KR101505804 B1 KR 101505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ble
roller
driving roller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02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30909A (en
Inventor
이무림
고재천
김대영
김재우
박상은
손정희
오태권
박순욱
백승철
송준선
안유진
유정석
이해영
지창열
홍순용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0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804B1/en
Publication of KR20150030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9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8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29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making a longitudinal, and a transverse or a helical cut
    • H02G1/1231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making a longitudinal, and a transverse or a helical cut using a swivelling cut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wire processing before connecting to contact memb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R43/02 - H01R43/26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36Features relating to cu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7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pushing backwards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는 케이블에 접하여 회전력에 의해 케이블을 이송방향으로 밀어주도록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구동롤러와, 구동롤러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구동롤러를 통과하는 케이블을 구동롤러 측으로 압착하는 가압롤러와, 구동롤러가 마련되는 제1프레임과, 가압롤러가 마련되는 제2프레임 및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서로 상대운동 가능토록 하여 구동롤러와 가압롤러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A portable cable laying apparatus is disclosed. A portable cable insta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e roller that receives a rotational force from a motor to push a cable in a conveying direction by a rotational force in contact with a cable, A first frame in which a driving roller is provided, a second frame in which a pressure roller is provided, and a second frame in which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are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a gap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pressing roller and the pressing roller.

Description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PORTABLE CABLEFEEDING APPARATUS}{PORTABLE CABLEFEEDING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한 손으로 조작이 가능하여 휴대성 및 작업성이 향상된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able install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cable installation apparatus in which an operator can operate with one hand to improve portability and workability.

일반적으로 케이블 포설작업은 선박과 같은 대형 구조물의 건조 시 각종 장비에 전원을 공급하고 장비들을 상호 연결하거나 통신공사를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작업으로서, 대규모의 인력이 투입되어 광범위한 지역에서 진행되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작업이다. In general, cable laying work is an operation required to supply power to various equipments, interconnection of equipments or communication construction when drying large structures such as ships, and it is carried out in a wide area with a large amount of manpower, This is the work that needs to be done.

종래에는 케이블 포설을 위하여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존하거나, 윈치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당기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케이블 포설작업이 수작업에 의해 수행될 경우, 작업자의 노동 강도가 매우 높고 선체 내부가 협소한 공간에서의 케이블 포설작업은 부주의로 인한 사고의 우려가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Conventionally, a method of manually relying on a worker for pulling a cable or pulling a cable by using a device such as a winch has been used. When the cable installation work is performed by hand, there is a concern that the labor intensity of the worker is very high and the cable installation work in a narrow space inside the hull is careless due to carelessness.

이와는 달리, 윈치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케이블 포설작업이 수행될 경우에는 인양 속도가 느리고 케이블에 가해지는 강한 장력으로 인하여 케이블이 손상되거나, 윈치 등의 장비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하여 과부하 현상에 따른 장비의 고장이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블이 이송되는 경로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는 윈치 등의 장비를 사용할 수 없어서 여러 명의 작업자가 직접 케이블을 당겨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On the contrary, when the cable installation work is performed by using a winch or the like, the lifting speed is low, the cable is damaged due to the strong tension applied to the cable, and the load applied to the equipment such as winch increases, There is a problem that equipment breakdown frequently occurs. Also, in the case where there is an obstacle in the path through which the cable is conveyed, it is not possible to use a device such as a winch, so that several workers have to pull the cable directly.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케이블과 접하여 케이블을 이송방향으로 밀어주는 롤러장치 또는 푸셔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그 크기가 크고 무거워 케이블의 포설경로 상에 배치시키는 데에 어려움이 따르며, 필요에 따라 롤러장치 또는 푸셔장치 등을 이동하면서 포설작업을 수행해야 할 경우에는 롤러장치 또는 푸셔장치의 이동에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roller device or a pusher device, which normally pushes the cable in the conveying direction, is used in contact with the cable. However, the size of the device is large and heavy and it is difficult to place the device on the cable laying path. When the laying operation is performed while moving the roller device or the pusher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vement of the roller device or the pusher device is restricted.

이에 따라 포설경로 상에 복수개의 롤러장치 또는 푸셔장치 등을 배치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되며, 작업 시간이 길어져 작업효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Accordingly, it is troublesome to dispose a plurality of roller devices or pusher devices or the like on the installation route, and the operation time is long and the operation efficiency is reduced.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8765호(2009. 09. 01. 공개)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9-0008765 (published on 09.01.2009)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구조가 단순화되고 조작이 용이한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portable cable laying apparatus that is simple in structure and easy to operat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케이블의 직경 크기에 따라 구동롤러와 가압롤러의 간격을 조절하여 케이블의 마찰, 미끄러짐 및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고 케이블을 용이하게 포설할 수 있는 케이블 포설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ble installation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friction, slip, and damage of a cable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a driving roller and a pressure roller according to a diameter of a cable, and facilitating installation of the cabl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케이블을 포설경로에 적재적소로 투입하여 이용이 가능한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cable laying apparatus which can be used by putting a cable in a proper place in a laying path.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포설작업의 인력 낭비를 최소화하고 생산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cable installation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waste of manpower in an installation work and improving productivity and efficienc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케이블에 접하여 회전력에 의해 케이블을 이송방향으로 밀어주도록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구동롤러를 통과하는 상기 케이블을 상기 구동롤러 측으로 압착하는 가압롤러와, 상기 구동롤러가 마련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가압롤러가 마련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이 서로 상대운동 가능토록 하여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가압롤러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riving apparatus for a vehicle, comprising: a driving roller that receives a rotational force from a motor to push a cable in a feeding direction by a rotational force in contact with a cable; A first frame on which the driving roller is provided, a second frame on which the pressure roller is provided, and a second frame on which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an interval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n interval between the driving roller and the pressing roller.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제1프레임에 마련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에 진입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제2프레임에 마련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The gap adjusting unit may include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first frame and a guide bar provided in the second frame to slide in the guide groove.

상기 제2프레임에는 상기 구동롤러를 통과하는 상기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가이드롤러가 적어도 하나 마련될 수 있다.At least one guide roller for supporting the cable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frame to prevent the cable from passing through the driving roller.

상기 제2프레임에는 작업자가 상기 제2프레임을 파지하여 상기 간격조절부를 조작할 수 있도록 파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 frame may be provided with a gripping portion so that an operator can grasp the second frame and operate the gap adjusting portion.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제1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된 위치를 유지시키는 홀딩부재를 더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And a holding member for holding a position where the second frame is slid on the first frame.

상기 홀딩부재는 상기 제1프레임에 마련되는 래칫 및 상기 제2프레임에 마련되되 상기 래칫에 걸려 상기 제2프레임의 위치를 유지하는 멈춤쇠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The holding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ratchet provided on the first frame and a detent provided on the second frame and held by the ratchet to hold the position of the second frame.

상기 모터에 동력을 전달해주는 동력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원은 휴대가 가능한 배터리 또는 에어탱크로 이루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And a power source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motor, wherein the power source may be a portable battery or an air tank.

상기 제1프레임의 하면에는 작업자의 손이 받쳐지는 손받침부를 더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may further include a handrest portion to which an operator's hand is supported.

상기 손받침부는 작업자의 손이 상기 손받침부에 결속될 수 있도록 결속밴드를 더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The hand hold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binding band so that a hand of an operator can be bound to the hand holding par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는 구조가 단순화되고 휴대성이 향상되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The portable cable insta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simplifying the structure, improving portability, and improving working efficiency.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는 복잡한 공간에서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케이블 포설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portable cable 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erforming the cable laying operation quickly and easily even in a complex spa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는 케이블을 이송시키는 구동롤러와 가압롤러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이 가능하여 케이블의 과도한 마찰, 미끄러짐 및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ortable cable insta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driving roller and the pressure roller for conveying the cable, thereby preventing excessive friction, slip, and damage to the cabl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는 케이블을 이송방향으로 밀어주므로 케이블에 가해지는 장력을 최소화하고, 케이블을 선출하는 장비에 과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장비의 고장을 크게 줄이는 효과를 가진다.The portable cable instal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tension applied to the cable by pushing the cable in the transport direction and prevents an overload from being applied to the equipment for selecting the cable,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의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에 작업자의 손이 파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하측면 사시도이다.
도 5(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홀딩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를 작업자가 휴대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cable insta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howing a portable cable instal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of the portable cable 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and of an operator is gripped in a portable cable insta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 and 5 (b) are side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portable cable instal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hold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A in Fig.
8 is a view showing a portable cable 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rried by an operato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fully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from the drawings, and the width, length, thickness, etc.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대형 구조물 예를 들어, 선박을 건조 시 각종 장비에 전원을 공급하고 장비들을 상호 연결하거나 통신공사 등을 위해 케이블을 포설하는 작업이 요구되며, 이와 같이 케이블을 케이블 트레이 또는 배설관로 등과 같은 포설경로 상에 포설시키는 작업을 케이블 포설작업이라 한다.Large structures For example, it is required to supply power to various equipments when interconnecting equipment, to install cables for telecommunication works, and so on. In this way, it is necessary to install the cables in a cable tray or an installation route The cable laying work is called cable laying work.

이러한 케이블 포설작업은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존하거나, 윈치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당기는 방법이 이용되었으나, 작업자의 노동 강도가 매우 높고 선체 내부가 협소한 공간에서는 부주의로 인한 사고의 우려가 존재하며, 윈치 등의 장비로 케이블을 당길 경우 케이블에 큰 장력이 걸려 케이블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ble installation work, a method of manually relying on a worker or pulling a cable by using a winch or the like is used, but there is a fear of accident due to carelessness in a work space where the worker is very strong and the inside of the hull is narrow , Winch, etc.,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tension is applied to the cable to break the cable.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코자, 케이블에 접하여 케이블을 이송방향으로 밀어주는 롤러장치 또는 푸셔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그 크기가 크고 무거워 케이블의 포성경로 상에 배치시키는 데에 어려움이 있고, 필요에 따라 롤러장치 또는 푸셔장치 등을 이동하면서 케이블 포설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히 요구되므로 휴대가 가능한 케이블 포설장치가 요구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roller device or a pusher device which pushes the cable in the conveying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cable is us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place the device on the foaming path of the cable, It is frequently required to perform a cable laying operation while moving a device or a pusher device. Therefore, a portable cable laying device is requir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100)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100)의 제1프레임(110) 및 제2프레임(120)이 각각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cable install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a portable cable install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of the portable cable installation device 1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100)는 주 몸체를 이루고 내부 공간에 모터(111)을 구비하는 제1프레임(110)과, 상기 제1프레임(110)에 마련되고 상기 모터(111)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케이블(1)에 접하여 회전력을 통해 케이블(1)을 이송방향으로 밀어주는 구동롤러(130)와, 상기 구동롤러(130)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구동롤러(130)를 통과하는 케이블(1)을 상기 구동롤러(130) 측으로 압착하는 가압롤러(140)와, 상기 가압롤러(140)가 마련되는 제2프레임(120) 및 상기 제1프레임(110) 상에서 상기 제2프레임(120)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구동롤러(130)와 상기 가압롤러(140)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150)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1 to 3, a portable cable install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rame 110 having a main body and a motor 111 in an inner space thereof, A driving roller 130 provided on the driving roller 110 and adapted to receive power from the motor 111 to push the cable 1 in a feeding direction through a rotating force in contact with the cable 1, A pressure roller 140 rotatably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roller 130 and pressing the cable 1 passing through the driving roller 130 to the driving roller 130 side, And an interval adjusting unit 150 for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driving roller 130 and the pressing roller 140 by sliding the second frame 120 on the first frame 110 .

상기 제1프레임(110)의 내부에는 모터(111)등의 구동장치가 마련되며, 상기 모터(111)는 후술할 동력원(200)으로부터 전선(201) 등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될 수 있다. A driving device such as a motor 111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frame 110 and the motor 111 can be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a power source 200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an electric wire 201 or the like .

한편 상기 제1프레임(110)은 상기 구동롤러(130)가 마련되는 측면이 개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구동롤러(130)의 일부분이 상기 제1프레임(110)의 개방된 면의 외부로 돌출 및 노출되도록 마련됨으로써, 포설되는 케이블(1)이 상기 구동롤러(130)의 노출된 부분에 접하여 상기 구동롤러(130)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롤러(130)의 일부분만 상기 제1프레임(110)의 외부로 돌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1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에 마련됨으로써, 케이블 포설작업 시 작업자의 옷 또는 기타 외부물질이 상기 구동롤러(130)에 말려들어가는 것을 막아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환경을 쾌적하게 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frame 110 may be provided with a side surface on which the driving roller 130 is provided. A portion of the driving roller 130 is protruded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pened surface of the first frame 110 so that the cable 1 to be installed contacts the exposed portion of the driving roller 130,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roller 130 can be transmitted. In addition, only a part of the driving roller 130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rame 110, and the rest of the driving roller 130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frame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terial from being entrained in the driving roller 130,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and making the working environment comfortable.

상기 제1프레임(110)은 상기 구동롤러(130)가 케이블과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확장된 확장부(11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구동롤러(130)는 상기 확장부(112)의 개방면에 돌출되어 마련되고, 이에 따라 케이블(1)이 상기 구동롤러(130)에 접하는 면적이 확대될 수 있다. The first frame 110 may be provided with an extension 112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driving roller 130 can stably contact the cable. The driving roller 130 protrudes from the opening of the extension 112 so that the contact area of the cable 1 with the driving roller 130 can be enlarged.

상기 구동롤러(130)는 상기 모터(111)과 웜기어 등의 동력전달구조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모터(111)의 회전축에 구동기어(113)가 마련되고,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하는 기어이(133)가 상기 구동롤러(130)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롤러(130)가 회전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감속기어 또는 벨트 등을 통해 동력이 전달되는 구성에도 동일하게 접목되어 이해되어야 한다.The driving roller 130 may be rotated by receiving power through the power transmitting structure such as the motor 111 and the worm gear. In this embodiment, a driving gear 113 is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111, and a gear 133 meshing with the driving gear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roller 13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is equally applied to a configuration in which power is transmitted through a reduction gear or a belt.

상기 구동롤러(130)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케이블(1)이 상기 구동롤러(130)와 접하는 쪽의 반대측에는 케이블(1)을 상기 구동롤러(130) 측으로 압착하는 가압롤러(140)가 적어도 한 개 마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롤러(140)는 케이블(1)과 상기 구동롤러(130)의 접촉영역의 전후에 한 쌍이 마련될 수 있으나, 케이블(1)의 직경 또는 종류 등을 고려하여 가압롤러(140)는 적정한 수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압롤러(140)는 케이블(1)의 이송방향을 따라 한 쌍이 마련됨으로써, 상기 가압롤러(140)가 케이블(1)에 접하는 접점이 증가하므로 하나의 가압롤러(140)에 의해 하나의 접점으로 케이블(1)에 접하여 케이블(1)을 이송시키는 경우보다 케이블(1)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 및 접촉하여 이송시킬 수 있다. The driving roller 130 is rotatable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roller 130. The driving roller 130 is provid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cable 1 is in contact with the driving roller 130, (140) may be provided. 1 and 4, a pair of pressure rollers 14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able 1 and the driving roller 130, but the diameter or type of the cable 1 The pressing roller 140 can be provided with a suitable number. The pair of pressure rollers 140 are provided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able 1 so that the contact point of the pressing roller 140 contacting the cable 1 increases, The cable 1 can be supported and contacted more stably than when the cable 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able 1 to carry the cable 1. [

상기 가압롤러(140)는 상기 제2프레임(120)에 마련되고, 상기 제1프레임(110)과 상기 제2프레임(120) 사이에는 간격조절부(150)가 마련되어, 상기 제2프레임(120)은 상기 제1프레임(11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pressure roller 140 is provided on the second frame 120 and a gap adjusting part 15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to form the second frame 120 May be provided to be slidable on the first frame 110.

상기 간격조절부(150)는 상기 제1프레임(110)의 확장부 하측 양쪽에 마련되는 가이드 홈(151) 및 상기 제2프레임(120)의 양측에 마련되되 상기 가이드 홈(151)에 진입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 바(152)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The gap adjusting unit 150 includes guide grooves 151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extended portion of the first frame 110 and both sides of the second frame 120 to enter the guide grooves 151 And a guide bar 152 slidingly moved.

상기 가이드 홈(151)은 상기 제2프레임(120)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가이드 바(152) 역시 상기 제2프레임(120)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바(152)가 상기 가이드 홈(151)에 진입하여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프레임(120)이 상기 제1프레임(110) 상에서 병진운동 가능해질 수 있다.The guide groove 151 is formed to be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frame 120 and at the same time the guide bar 152 is formed to be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frame 120, The second frame 120 can be translated on the first frame 110 by sliding the bar 152 into the guide groove 151.

다시 말해, 상기 제2프레임(120)에는 상기 가이드 바(152)가 마련되고, 상기 제1프레임(110)에는 상기 가이드 홈(151)이 마련되되, 상기 가이드 바(152)가 상기 가이드 홈(151)에 진입하여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프레임(120)이 상기 제1프레임(11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상기 제2프레임(120)에 마련된 상기 가압롤러(140)와 상기 제1프레임(110)에 마련된 상기 구동롤러(130)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the guide bar 152 is provided in the second frame 120, the guide groove 151 is provided in the first frame 110, and the guide bar 152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52 The second frame 120 is slidably moved on the first frame 110 so that the pressing roller 140 provided on the second frame 120 and the second frame 120 are slid, The interval between the driving rollers 130 provided in the first frame 110 can be easily adjusted.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프레임(120)에 상기 가이드 바(152)가 마련되고, 상기 제1프레임(110)에 상기 가이드 홈(151)이 마련된 경우에 접목하여 설시하나, 이와는 반대로 상기 제2프레임(120)에 가이드 홈(151)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110)에 가이드 바(152)가 마련되는 경우도 동일하게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uide bar 152 is provided on the second frame 120 and the guide groove 151 is provided on the first frame 110.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 guide groove 151 is formed in the frame 120 and a guide bar 152 is provided in the first frame 110.

상기 제2프레임(120)에는 상기 구동롤러(130)를 통과하는 상기 케이블(1)의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케이블(1)을 이송시키기 위해 가이드롤러(170)가 마련될 수 있다.A guide roller 170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frame 120 to prevent the cable 1 from passing through the driving roller 130 and to transfer the cable 1 stably.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롤러(170)는 상기 제2프레임(120)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케이블(1)의 상기 구동롤러(130)의 진입측 또는 토출측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거나, 진입측 및 토출측에 각각 한 개씩 한 쌍의 마련될 수도 있다. 1 to 5, the guide roller 170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second frame 120, and the guide roller 170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second frame 120, Or one pair may be provided on each of the entrance side and the discharge side.

상기 가이드롤러(170)는 상기 구동롤러(130)를 통과하는 케이블(1)의 하측을 접촉 및 지지하되, 상기 구동롤러(130) 또는 상기 가압롤러(140)의 회전축과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170)가 상기 구동롤러(130)를 통과하는 케이블(1)의 하측에서 회전하면서 케이블(1)을 지지함으로써, 케이블(1)의 이송 중 케이블(1)이 상기 구동롤러(130)의 하측으로 이탈하여 상기 제2프레임(120)과 간섭되어 케이블(1)에 손상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다 안정적으로 케이블(1)을 이송할 수 있게 된다.The guide roller 170 contacts and supports the lower side of the cable 1 passing through the drive roller 130 and rotat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 roller 130 or the pressure roller 140 . The guide roller 170 supports the cable 1 while rotating on the lower side of the cable 1 passing through the drive roller 130 so that the cable 1 is driven by the drive roller 130 So that the cable 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interfering with the second frame 120 and the cable 1 can be more stably transported.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구동롤러(130)를 통과하는 케이블이 상측으로 치우쳐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1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이드롤러(170)는 케이블(1)의 상측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guide roller 170 supports the upper side of the cable 1 so as to prevent the cable passing through the driving roller 130 from being shifted upward from the portable cable laying apparatus 100 .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프레임(120)에는 상기 간격조절부(150)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작업자의 손이 파지되는 파지부(125)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125)는 상기 제2프레임(120)의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마련되어, 작업자의 손가락이 상기 파지부(125)로 삽입시켜 파지함으로써, 상기 구동롤러(130)와 상기 가압롤러(140)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150)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4, the second frame 120 may be provided with a gripper 125 for gripping the operator's hand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gap adjuster 150 can be easily performed. The grip portion 125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second frame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operator's finger is inserted into the grip portion 125 to grip the drive roller 130 and the pressure roller 140 The interval adjusting unit 150 can be easily operated.

도 5는 상기 파지부(125)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상기 간격조절부(150)를 조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이송되는 케이블(1)을 상기 구동롤러(130)에 안정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해 상기 간격조절부(150)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롤러(130)와 상기 가압롤러(140)의 간격을 조절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작업자가 상기 파지부(125)에 손가락을 삽입시켜 움켜지게 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프레임(120)이 상기 제1프레임(110) 상에서 상기 간격조절부(150)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가압롤러(140)가 상기 구동롤러(130) 측으로 접근하여 케이블(1)이 상기 구동롤러(130)에 안정적으로 접촉하여 이송될 수 있게 된다.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or operates the gap adjusting unit 150 using the gripper 125. FIG. 5A, the driving roller 130 and the pressing roller 140 are rotated by using the gap adjusting unit 150 to stably contact the conveyed cable 1 with the driving roller 130. [ When the operator inserts a finger into the grip portion 125 and is gripped, as shown in FIG. 5 (b), the second frame 120 is moved in the direction The pressing roller 140 approaches the driving roller 130 and the cable 1 stably contacts the driving roller 130 while sliding on the frame 110 by the gap adjusting unit 150. [ So that it can be transported.

상기 제2프레임(120)이 상기 제1프레임(11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된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프레임(110)과 상기 제2프레임(120) 사이에는 홀딩부재(160)가 마련될 수 있다.A holding member 16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so that the second frame 120 can maintain a position where the second frame 120 is slid on the first frame 110 .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딩부재(160)는 상기 제1프레임(110)의 하면에 마련되는 래칫(161) 및 상기 제2프레임(120)에 마련되어 상기 래칫(161)에 걸려져 상기 제2프레임(120)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멈춤쇠(162)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4, 6 and 7, the holding member 160 includes a ratchet 161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110 and a ratchet 161 provided on the second frame 120, And a pawl 162 that is caught by the first frame 161 and maintains the position of the second frame 120.

이송되는 케이블(1)의 직경에 따라 상기 파지부(125)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롤러(130)와 상기 가압롤러(140)의 적정 간격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멈춤쇠(162)가 상기 래칫(161)의 기어이에 진입하여 걸림으로써, 상기 제2프레임(120)의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롤러(130)와 상기 가압롤러(140)의 간격을 재조정 해야 할 경우에는 작업자는 상기 멈춤쇠(162)를 돌려 상기 래칫(161)으로부터 상기 멈춤쇠(162)를 이탈시킨 후, 상기 파지부(125)에 삽입된 작업자의 손파지력을 조정하여 상기 간격조절부(150)를 조작할 수 있다. The detent 162 is pushed by the ratchet (not shown) in a state in which the proper distance between the driving roller 130 and the pressure roller 140 is positioned using the gripper 125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cable 1 to be conveyed, 161 to engage with gears of the second frame 120 to hold the second frame 120 in posi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driving roller 130 and the pressure roller 140 is to be readjusted, the operator turns the detent 162 to detach the detent 162 from the ratchet 161, The operator can manipulate the gap adjusting unit 150 by adjusting the hand gripping force of the operator inserted into the supporting unit 125.

기본적으로 상기 파지부(125)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손파지력으로 상기 구동롤러(130)와 상기 가압롤러(140)의 간격을 조절하나, 작업자의 손파지력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이송되는 케이블(1)에 과도한 가압력이 가해질 우려가 있으며, 작업자의 손파지력을 유지시킬 경우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홀딩부재(160)에 의해 상기 제2프레임(120)의 위치를 유지시킴으로써, 케이블(1)의 손상 또는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포설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작업피로도를 현저히 낮춰주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Basically, the gap between the driving roller 130 and the pressing roller 140 is adjusted by the gripping force of the operator using the gripper 125, but since the hand gripping force of the operator is not constan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n excessive pressing force is applied, and if the hand gripping force of the operator is maintained, the fatigue of the worker increases, thereby causing a safety accident. Therefore, by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frame 120 by the holding member 160,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or detachment of the cable 1, to perform stable installation work, an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work fatigue of the operator Effect.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를 작업자가 휴대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모터(111)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원(200)은 휴대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동력원(200)은 충전가능한 배터리 또는 에어탱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모터(111)에 동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휴대가 가능하다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8, a portable cable instal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by an operator. Referring to FIG. 8, a power source 200 for providing power to the motor 111 is provided to be portable . The power source 200 may be a rechargeable battery, an air tank, or the like. The power source 200 is not limited as long as the motor 111 is powered and portable.

상기 동력원(200)이 휴대가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케이블 포설경로 상에 별도의 전원공급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거나, 공장설비가 아직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작업자가 동력원(200)을 휴대하고 단독적으로 케이블 포설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power source 200 is portable, the power source 200 can be carried by the operator even when the power source is not provided on the cable installation path,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the operation.

상기 동력원(200)에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몸에 결착시켜 휴대할 수 있도록 휴대용끈(205)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동력원(200)을 멘 상태에서 케이블 포설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피로도를 현저히 낮추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The power source 200 may be provided with a portable strap 205 so that an operator can easily bind the portable strap 205 to the body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perform the cable laying operation while the power source 200 is being operated. And can have an effect of significantly lowering work fatigue.

상기 제1프레임(110)의 하면에는 작업자의 손을 받쳐주는 손받침부(115)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120)의 파지부(125)에 작업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므로, 상기 제1프레임(110)의 하면에 손받침부(115)를 마련하여 작업자의 손등 또는 손목이 받쳐질 수 있도록 마련함으로써,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100)의 휴대가 용이해질 수 있으며, 작업자의 팔 근육의 피로도를 낮춰줄 수 있다.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110 may be provided with a handrest portion 115 for supporting the operator's hand. The operator's finger is inserted into the grip 125 of the second frame 120 so that the hand frame 115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110 so that the operator's hand or wrist can be supported The portable cable laying apparatus 100 can be easily carried, and the fatigue of the arm muscles of the operator can be lowered.

상기 손받침부(115)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스펀지 등의 탄력이 있는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111)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의 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단열재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The hand holding part 115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a sponge so as to absorb vibrations and shocks and may be provid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so as to effectively block the transmission of heat generated from the motor 111 .

상기 손받침부(115)가 작업자의 손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1프레임(110)과 작업자의 손이 안정적으로 결속할 수 있도록 상기 손받침부(115)에는 결속밴드(116)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결속밴드(116)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제1프레임(110)이 작업자의 손에 안정적으로 탈착될 수 있다.A binding band 116 may be provided on the hand holding part 115 so that the first frame 110 and the operator's hands can be stably bound to each other while the hand holding part 115 is in contact with the operator's hand And the binding band 116 is made of an elastic member, so that the first frame 110 can be stably attached to and removed from the operator's han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100)는 케이블(1)을 효과적으로 포설시킬 수 있으며, 파지부(125)를 포함하는 제2프레임(120)과 슬라이딩 이동하는 간격조절부(150)를 포함하여 마련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으로 구동롤러(130)와 가압롤러(140)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케이블(1)을 안정적으로 이송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The portable cable installation apparatus 100 having the above structure can efficiently install the cable 1 and can provide a gap control unit 150 for sliding movement with the second frame 120 including the grip unit 125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driving roller 130 and the pressing roller 140 by a simple operation so that the cable 1 can be stably transported.

또한 휴대가 가능한 동력원(200)을 구비하여, 장비의 휴대성이 향상되고 케이블 포설경로 상에 전원공급장치 또는 공장설비가 아직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케이블 포설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ortability of the equipment by providing a portable power source 200 and to easily carry out the cable installation work even when the power supply device or the factory facility is not yet installed on the cable installation route .

뿐만 아니라 구조가 단순하여 중량이 감소하고 제1프레임(110)의 하면에 손받침부(115)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휴대가 용이해지고 작업자의 작업피로도를 현저히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weight is reduced and the hand holding portion 115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110, it is easy to carry and the worker's work fatigue can be remarkably lowered.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You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0 :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 110 : 제1프레임
111 : 모터 112 : 확장부
115 : 손받침부 116 : 결속밴드
120 : 제2프레임 130 : 구동롤러
140 : 가압롤러 150 : 간격조절부
151 : 가이드 홈 152 : 가이드 바
160 : 홀딩부재 161 : 래칫
162 : 멈춤쇠 170 : 가이드롤러
200 : 동력원
100: Portable cable installation device 110: First frame
111: motor 112: extension part
115: handrest portion 116: coupling band
120: second frame 130: drive roller
140: pressure roller 150:
151: guide groove 152: guide bar
160: holding member 161: ratchet
162: detent 170: guide roller
200: Power source

Claims (9)

케이블에 접하여 회전력에 의해 상기 케이블을 이송방향으로 밀어주도록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구동롤러를 통과하는 상기 케이블을 상기 구동롤러 측으로 압착하는 가압롤러;
상기 구동롤러가 마련되는 제1프레임;
상기 가압롤러가 마련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이 서로 상대운동 가능토록 하여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가압롤러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에는 작업자가 상기 제2프레임을 파지하여 상기 간격조절부를 조작하는 파지부가 마련되는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
A driving roller that contacts the cable and receives a rotational force from the motor to push the cable in a feeding direction by a rotational force;
A pressing roller which is rotatably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roller and which presses the cable passing through the driving roller toward the driving roller;
A first frame provided with the driving roller;
A second frame provided with the pressure roller; And
And an interval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n interval between the driving roller and the pressing roller so that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And a gripper for gripping the second frame and operating the gap adjusting unit is provided on the second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제1프레임에 마련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에 진입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제2프레임에 마련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하는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val adjusting unit
A guide groove provided in the first frame; And
And a guide bar provided on the second frame so as to slide into the guide groov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에는
상기 구동롤러를 통과하는 상기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가이드롤러가 적어도 하나 마련되는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second frame
Wherein at least one guide roller for supporting the cable is provided so as to prevent the cable from passing through the drive roll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제1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된 위치를 유지시키는 홀딩부재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holding member for holding a position where the second frame is slid on the first fram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재는
상기 제1프레임에 마련되는 래칫 및
상기 제2프레임에 마련되되 상기 래칫에 걸려 상기 제2프레임의 위치를 유지하는 멈춤쇠를 포함하는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holding member
A ratchet provided in the first frame,
And a detent provided on the second frame for hold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frame by being caught by the ratch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동력을 전달해주는 동력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원은 휴대가 가능한 배터리 또는 에어탱크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ower source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motor,
Wherein the power source comprises a portable battery or an air t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하면에는
작업자의 손이 받쳐지는 손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And a hand rest portion to which an operator's hand is support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손받침부는
작업자의 손이 상기 손받침부에 결속될 수 있도록 결속밴드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hand-
Further comprising a binding band so that an operator's hand can be bound to the hand-held portion.
KR1020130110228A 2013-09-13 2013-09-13 Portable cablefeeding apparatus KR1015058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228A KR101505804B1 (en) 2013-09-13 2013-09-13 Portable cablefeed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228A KR101505804B1 (en) 2013-09-13 2013-09-13 Portable cablefeed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909A KR20150030909A (en) 2015-03-23
KR101505804B1 true KR101505804B1 (en) 2015-03-25

Family

ID=53024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0228A KR101505804B1 (en) 2013-09-13 2013-09-13 Portable cablefeed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80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4371A (en) 2021-03-26 2022-10-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Cable feeder apparatus with portable stru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765U (en) * 2008-02-27 2009-09-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ortable cable feeder device
KR20110106562A (en) * 2010-03-23 2011-09-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ssistant device for installation of cable
KR101086748B1 (en) 2009-09-03 2011-11-25 오성국 Cable feeder
KR20130053770A (en) * 2011-11-16 2013-05-24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ortable cable feed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765U (en) * 2008-02-27 2009-09-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ortable cable feeder device
KR101086748B1 (en) 2009-09-03 2011-11-25 오성국 Cable feeder
KR20110106562A (en) * 2010-03-23 2011-09-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ssistant device for installation of cable
KR20130053770A (en) * 2011-11-16 2013-05-24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ortable cable feed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4371A (en) 2021-03-26 2022-10-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Cable feeder apparatus with portable structure
KR102582617B1 (en) * 2021-03-26 2023-09-25 한화오션 주식회사 Cable feeder apparatus with portable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909A (en) 2015-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493B1 (en) Portable Cable feeding apparatus
US20150096688A1 (en) Hand-carried taping machine with non-powered guide system
CN101080306B (en) Device for a hand-held machine-tool case
CN106687263B (en) Electric chain saw
EP2687470A1 (en) Cord accommodation apparatus
KR101525776B1 (en) Cable feeder
JP5850800B2 (en) Grabber
CN102284945B (en) For the equipment of hand-held power tool guiding
KR101505804B1 (en) Portable cablefeeding apparatus
KR101444344B1 (en) Cable gripper, and cable laying device having the same
KR20160104293A (en) device of bundie tape
CN108574249B (en) Mobile system
JP5921593B2 (en) Gripper-type electric wire laying device
KR101495490B1 (en) Cable pulling equipment
AU2017265066B2 (en) Screw rope for use in successive screw clamping machine
KR101479287B1 (en) Products transporting apparatus
KR101452815B1 (en) cable transfer apparatus
KR20120004649U (en) Cable tie cytting machine
KR20120025941A (en) Utility hose supplying module and cable supply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82617B1 (en) Cable feeder apparatus with portable structure
CN215398713U (en) Corrugated paper transfer device
JP4340180B2 (en) Insertion aid
KR101099706B1 (en) Apparatus for cable feeding
CN105563185B (en) A kind of electronic clamping device of sheet-like workpiece with LED light and its application method
KR20180114404A (en) Cable rolle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