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3770A - Portable cable feed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ortable cable feed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53770A KR20130053770A KR1020110119398A KR20110119398A KR20130053770A KR 20130053770 A KR20130053770 A KR 20130053770A KR 1020110119398 A KR1020110119398 A KR 1020110119398A KR 20110119398 A KR20110119398 A KR 20110119398A KR 20130053770 A KR20130053770 A KR 2013005377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le
- roller
- support frame
- feeding
- press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29—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making a longitudinal, and a transverse or a helical cut
- H02G1/1231—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making a longitudinal, and a transverse or a helical cut using a swivelling cutting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wire processing before connecting to contact memb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R43/02 - H01R43/26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36—Features relating to cutting elemen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65—Machines the cutting elemen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Cable)을 포설하기 위한 케이블 피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케이블을 피딩하는 장치에 있어서, 내부 공간에 동력전달수단을 갖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케이블을 피드하는 복수개의 회전롤러로 형성된 하부롤러부; 상기 하부롤러부의 회전롤러 사이 중앙에 위치하여 케이블을 결합 피딩하기 위한 상부롤러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면에 고정되어 케이블의 외경에 따라 상기 상부롤러부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하부롤러부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가압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에 의하면, 케이블의 사이즈 및 재질에 따른 가압 롤러부의 높이 조정을 이용하여 케이블의 마찰 및 미끄러짐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인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feeding device for laying a cable (Cable).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s an apparatus for feeding a cable, the support frame having a power transmission means in the inner space; A lower roller part rotatably installed in an inner space of the support frame and formed of a plurality of rotating rollers for feeding a cable; An upper roller part positioned at a center between the rotating rollers of the lower roller part to couple and feed the cable; And a pressure adjusting part fixed to the side of the support frame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roller part by adjusting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upper roller part accor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cable.
According to the portable cable fee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pressure roller unit according to the size and material of the cable has an effect that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by minimizing the friction and slip of the cable.
Description
본 발명은 케이블(Cable)을 포설하기 위한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케이블의 크기 및 재질에 따라 케이블의 마찰 및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피딩 케이블을 적정하게 압착하여 피드하기 위한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able feeding device for laying a cable (C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portable cable feeding to feed and feed the feeding cable properly by preventing the friction and slipping of the cable according to the size and material of the cable Relates to a device.
일반적으로 케이블 포설은 선박 건조시 선박 내부의 전기 또는 통신공사용으로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해 많은 인력이 소요되는 작업으로 선박 1척당 소요되는 케이블 또는 전선의 길이는 배에 따라 약 80km~1,000km에 이르고 있다.In general, cable laying takes a lot of manpower to install cables through the use of electric or telecommunications engineering inside ships. The length of cables or wires per ship is about 80km ~ 1,000km depending on the ship. .
선체 내부 전기작업은 전로설치, 포설, 결선 등으로 진행되며, 그 중에서 케이블 포설작업은 대형선박, 소형선박 및 해양시추선 등의 내외부 곳곳에 수십 킬로미터의 케이블들을 각각 설치해야 하므로 대규모의 인력이 투입되어 광범위한 지역에서 동시에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The electric work inside the hull is carried out by the installation of the converter, the laying and the wiring. Among them, the cable laying work requires the installation of several tens of kilometers of cables inside and outside of the large ship, the small ship and the offshore drilling ship. Work must be done simultaneously in a wide range of locations.
이러한 케이블 포설작업에 이용되는 장치가 한국공개 실용공보(2009-0008756, 휴대용 케이블 피더장치)에 개시된다.An apparatus used for such a cable laying operation is disclosed in Korean Laid-Open Utility Publication (2009-0008756, portable cable feeder device).
상술한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몸체를 이루는 케이싱(110)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110)의 상판이 차폐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태로 구성되며 감속기(미도시)와 모터(미도시)로 구성된 구동수단이 설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장치(100)는 모터에 의해서 회전력을 공급받는 회전축(미도시)에 결합된 고무로 구성된 제1 및 제2 롤러(142,144)의 회전을 통하여 케이블이 이송되며, 상기 케이블은 가이드(172,174)를 통하여 롤러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또한, 상기 장치(100)는 조작핸들(160)을 조정하여 상판(112)에 형성된 장공(114)을 통하여 제2 롤러(144)를 제1 롤러(142)에 대하여 적정한 간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포설되는 케이블의 사이즈 및 재질에 따른 롤러의 접합력이 부족하여 케이블의 효율적인 이송을 할 수 없으며, 피팅 롤러가 고무로 구성되어 있어 케이블의 외피 재질에 의해 마모되는 문제 및 피더기를 케이블 전체구간의 중간에서는 설치 및 탈거가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cannot efficiently transport the cable due to the lack of the bonding force of the roller according to the size and the material of the cable installed, and the fitting roller is made of rubber so that the problem and the feeder are worn by the outer material of the cable There is a problem that installation and removal are not possible in the middle of the entire cable section.
또한, 한국공개특허 10-2011-24877(케이블 피드)은 다수개의 상부 피딩롤러(151)(152)가 장착된 상부회전축(180)이 설치되는 상부프레임(100)과 다수개의 하부 피딩롤러(251)(252)가 장착된 하부회전축(280)이 설치되는 하부프레임(200)을 가지고, 이들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은 상호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반대단에는 토글 클램프(28)(28')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나사부재(20) (20')의 죄임력으로 상기 피딩롤러(151)(251)(152)(252)사이의 접압력을 조정할 수 있게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24877 (cable feed) is the
그러나 다수의 케이블을 피딩할 때 케이블 굵기에 따른 마찰력 차이로 케이블 피딩 속도 차이가 발생하고, 상부 피딩모터와 하부 피딩롤러의 동기 제어를 위한 별도의 제어 시스템 필요하며, 케이블 탈거를 위해 케이블이 피더를 완전히 빠져나가야 하므로 피더의 설치 위치가 케이블 포설 시작위치에만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when feeding multiple cables, the cable feeding speed difference occurs due to the frictional force according to the cable thickness, and a separate control system for synchronous control of the upper feeding motor and the lower feeding roller is need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eeder should be installed only at the cable laying start position because it must be completely exit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케이블의 외경, 형상 및 재질에 따른 가압 롤러부의 높이 조정을 이용하여 케이블의 마찰 및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피팅롤러의 마모를 최소화하고, 케이블의 탈거를 어떠한 위치에서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he friction and slipping of the cable, to minimize the wear of the fitting roller, to remove the cable by using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pressure roller portion according to the outer diameter, shape and material of the cabl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cable feeding apparatus that can be easily carried ou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는 케이블을 피딩하는 장치에 있어서, 내부 공간에 동력전달수단을 갖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케이블을 피드하는 복수개의 회전롤러로 형성된 하부롤러부와 상기 하부롤러부의 회전롤러 사이 중앙에 위치하여 케이블을 결합 피딩하기 위한 상부롤러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면에 고정되어 케이블의 외경에 따라 상기 상부롤러부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하부롤러부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가압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Portable cable fee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is problem, in the device for feeding the cable, a plurality of the support frame having a power transmission means in the inner space and rotatably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frame to feed the cable Located in the center between the lower roller portion formed of two rotary rollers and the rotary rollers of the lower roller portion is fixed to the upper roller portion and the side of the support frame for coupling the cable and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upper roller portion accor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cable It may include; a pressure control unit for maintaining a constant interval with the lower roller portion by adjusting.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기 케이블이 인입되는 위치에 상기 케이블이 피딩되는 위치를 중앙부로 정렬하기 위한 인입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frame may further include a guide guide for aligning the position where the cable is fed to the position where the cable is inserted into the center portion.
또한, 상기 인입가이드부는 피드되는 케이블이 직접 접촉되어 케이블을 중앙부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롤러와 상기 피드되는 케이블의 굵기에 따라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피드 케이블의 직각 방향으로 형성된 장방형의 간격조절홈과 간격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가이드롤러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d guide portion is a rectangular spacing groove form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eed cable that can be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thickness of the guide roller and the feed cable and the guide roller for directing the cable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feed cable is directly contacted When the adjustment is completed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screw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guide roller.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기 케이블이 인출되는 위치에 상기 케이블을 피딩하기 위한 장소로 원활하게 피딩하기 위하여 상기 인입가이드부와 동일한 구조의 인출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lead guide portion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lead guide portion in order to smoothly feed the cable to a place for feeding the cable at a position at which the cable is drawn out to the support frame.
또한, 상기 가압조절부는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부회전롤러의 위치를 조절하는 가압위치조절부와 상기 가압위치조절부와 연동되어 조절된 위치를 고정 체결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ure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in the support frame may include a pressure position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rotary roller and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fixed position in conjunction with the pressure position control unit.
또한, 상기 가압위치조절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압조절 프레임과 상기 가압조절 프레임의 일측에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가압조절나사와 상·하부손잡이의 회전방향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는 한 개 이상의 스프링 및 상기 상부회전롤러가 부착된 상태로 상기 가압위치조절부에 의해 상하 이동을 하여 하부롤러와 케이블의 굵기에 적당한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상부회전롤러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long as the pressing position adjusting unit contracts or expand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ressure adjusting screw and the upper and lower handles which are moved up and down by the rotation of the handle on one side of the pressure adjusting frame and the pressure adjusting frame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At least one spring and the upper rotary roller may include an upper rotary roller fixing member for vertically moving by the pressing position adjusting unit to maintain a proper distance to the thickness of the lower roller and the cable.
여기서 상기 상·하부손잡이는 상기 가압조절나사를 상부 또는 하부에서도 회전할 수 있는 이중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Here, the upper and lower handles are installed in a dual structure capable of rotating the pressure adjusting screw in the upper or lower portion.
여기서, 상기 가압조절부는 케이블이 설치되는 어느 지점에서도 케이블을 해제 및 결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케이블이 피드되는 방향과 직각으로 90도 이상 회전 가능한 힌지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다.Here, the pressure control unit is formed in the support frame is formed in a hinge structure that can be rotated at least 90 degree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ble is fed in order to enable the release and coupling of the cable at any point where the cable is installed.
또한 상기 고정부는 케이블의 굵기에 따라 상기 상부회전롤러 고정부재의 일측과 연동하여 고정되기 위해 긴 막대형상의 내면에 걸림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조절고정부와 위치조절에 의해 케이블에 적절한 가압이 형성되면 상기 위치조절고정부를 걸림고정시키기 위한 걸림고정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fixing part is appropriately pressured to the cable by the position adjustment fixing portion and the position adjustment fixing member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ng rod shape to be fixed in conjunction with one side of the upper rotary roller fixing member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able. If the locking mechanism for locking the position adjustment fixing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하부롤러부는 벨트 풀리를 통하여 에어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2 개의 구동롤러가 양쪽으로 배치된 벨트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구동롤러의 중앙 상부에 위치하는 1 개의 상부 가압 롤러와 케이블을 가압하여 케이블 인입 및 피딩시 효과적으로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the lower roller portion is driven by a belt having two driving rollers coupled to the rotational shaft of the air motor through a belt pulley, and presses one upper pressing roller and a cabl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driving roller. This enables effective power transmission during cable entry and feeding.
또한, 상기 상부롤러부가 복수 개이고 상기 하부롤러부는 상기 상부롤러부보다 1 개가 더 많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roller portion may be plural and the lower roller portion may have a form in which one more than the upper roller portion.
여기서, 상기 하부롤러부가 3개 이상일 경우에는 동력이 전달되는 한 쌍의 구동롤러와 동력전달이 되지 않는 1개 이상의 보조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lower roller portion is three or more, it may be composed of a pair of driving rollers to which power is transmitted and one or more auxiliary rollers that are not to transmit power.
또한, 상기 구동롤러는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벨트 풀리를 통하여 에어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roller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air motor through the belt pulley to receive the driving force.
또한, 상기 상부롤러부와 상기 하부롤러부에 형성된 회전롤러 및 가이드롤러의 케이블이 접촉되는 외면에는 탄성의 재질이 부착되어 있어 피드되는 케이블의 마모를 방지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roller portion and the lower roller portion formed of the rotating roller and the guide roller in contact with the elastic material is attached to prevent the wear of the feed cable.
본 발명의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에 의하면, 케이블의 사이즈 및 재질에 따라 롤러를 역V형 지지방식 또는 역W형 지지방식을 채택하여 케이블의 가압 및 피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크기 및 무게를 소형 경량화할 수 있어 휴대성 및 설치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ortable cable fee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ler can be adopted by the reverse V type support method or the reverse W type support method according to the size and the material of the cable to effectively pressurize and feed the cable, and reduce the size and weight to be small and ligh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facilitate portability and installation.
또한, 본 발명의 케이블 피딩장치를 동시에 2대 이상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피딩장치의 추가적인 증설을 통해 중량의 케이블도 피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wo or more cable feeding apparatus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and us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weight of the cable can also be fed through additional expansion of the feeding apparatus.
또한, 상부 가압롤러부를 케이블 피딩 방향과 직각으로 90도 이상 회전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여 케이블의 삽입 및 탈거를 어떠한 위치에서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press roller portion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rotated 90 degrees or more at right angles to the cable feeding direc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inserted and removed from any position of the cable.
도 1은 종래의 고안에 따른 휴대용 케이블 피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의 정면도,
도 4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의 회전축 커플링결합 측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cable feeder devic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desig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cable fee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the portable cable feeding device shown in FIG.
4 is a side view of the portable cable feeding device shown in FIG. 2;
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coupling coupling shaft of the portable cable feeding device shown in FIG.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word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sense and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light of the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의 고정부 측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의 고정부 측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cable fee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portable cable feeding device shown in FIG. 2, FIG. 4 is a side view of a fixing part of the portable cable feeding device shown in FIG. 5 is a side view of the fixing part of the portable cable feeding device shown in FIG.
도 2 내지 5를 참조하면,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는 지지프레임(100)에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케이블을 피드하기 위해 하부롤러부(200)와 상기 하부롤러부의 회전롤러 중앙 상부에 위치하여 케이블을 지지 결합하여 피드하기 위한 상부롤러부(30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측면에 고정되어 케이블의 외경에 따라 상기 상부롤러부(30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하부롤러부(200)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가압조절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2 to 5, the portable cable feeding device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실시예에서는 상부롤러부가 2개이고, 하부롤러부의 회전롤러는 한 쌍의 구동롤러와 한 개의 보조롤러로 구성되어 있다. In the embodiment, there are two upper roller parts, and the rotating roller of the lower roller part is composed of a pair of driving rollers and one auxiliary roller.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내부공간에는 에어모터(70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2개의 롤러가 양 쪽으로 배치된 벨트에 의해 구동되며 케이블의 인입 및 피딩시 효과적인 동력전달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에어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지 않고 케이블이 피드되는 힘만으로 회전하는 보조롤러부(22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wo rollers rotating by the driving force of the
여기서 케이블의 중량에 의해 가압롤러부의 롤러를 증가할 필요가 있으면 상기 구동롤러부(210)는 증가시키지 않고 상기 상부롤러부(300)와 하부롤러부(200)의 보조롤러부(220)의 숫자를 늘리는 것만으로 충분하다.In this case, if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roller of the pressurizing roller part by the weight of the cable, the number of the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케이블이 인입되는 위치에 상기 케이블이 피딩되는 위치를 중앙부로 정렬하기 위하여 인입가이드부(500)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인입가이드부(500)는 피드되는 케이블에 직접 접촉되어 케이블을 중앙부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롤러(510)와 피드되는 케이블과 직각방향으로 케이블의 굵기에 따라 상기 가이드롤러(51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장방형으로 형성된 간격조절홈(520)과 케이블의 굵기에 따라 간격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가이드롤러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Wherein the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상기 케이블이 인출되는 위치에 상기 케이블을 피드하기 위한 장소로 원활하게 피드하기 위하여 상기 인입가이드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 인출가이드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상부롤러부(300)는 상기 하부롤러부(200)의 개수보다 1개가 적은 개수로 구성되어 있어 하부롤러부(200)의 중간 위치에 항상 상부롤러부(300)가 위치하도록 하여 역V형 또는 역W형의 지지방식으로 케이블을 지지하게 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역W형 지지방식으로 지지하고 있다.In this case, the
또한 상기 가압조절부(400)는 지지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상부회전롤러의 위치를 조절하는 가압위치조절부(410)와, 상기 가압위치조절부(410)와 연동되어 조절된 위치를 고정 체결시키는 고정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가압위치조절부(410)는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설치되는 가압조절 프레임(411)과 상기 가압조절 프레임(411)의 일측에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가압조절나사(412)와 상·하부손잡이의 회전방향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는 한 개 이상의 스프링(413) 및 상부회전롤러가 부착된 상태로 상기 가압위치조절부(410)에 의해 상하 이동을 하여 하부롤러와 케이블의 굵기에 적당한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상부회전롤러 고정부재(414)를 포함한다.Here, the pressure
여기서 상기 상·하부 손잡이는 상기 가압조절나사를 상부 또는 하부에서도 회전할 수 있는 이중 구조로 하여 현장의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upper and lower handles have a dual structure in which the pressure adjusting screw can be rotated even at the top or the bottom thereof so as to be appropriately us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site.
또한 상기 가압조절부(400)는 케이블이 설치되는 어느 지점에서도 케이블을 해제 및 결합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케이블이 피드되는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90도 이상 회전 가능한 힌지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고정부(420)는, 케이블의 굵기에 따라 상부 회전롤러 고정부재(414)의 일측과 연동하여 고정되기 위해 긴 막대형상의 내면에 걸림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조절고정부(421)와 위치조절에 의해 케이블에 적절한 가압이 형성되면 상기 위치조절고정부(421)를 걸림고정시키기 위한 걸림고정부(422)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걸림 나사부의 나사산은 직각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부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상부 회전롤러 고정부재(414)가 쉽게 하향될 수 있게 하고 나사산의 하부는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어 상부 회전롤러 고정부재(414)가 이탈되지 않도록 걸어준다. Here, the thread of the locking screw portion has a right triangle shape and the upper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upper rotating
이와 같이 케이블을 결합하고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걸림고정부(422)의 걸림을 해제하고 상기 위치조절고정부(421)의 걸림나사부를 해제하여 상기 가압조절부(400)를 축으로 90도 이상 힌지회전하게 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In this way, in order to couple and release the cable release the latch of the
또한 상기 상부롤러부(300)와 상기 하부롤러부(200) 인입가이드부(500) 및 인출가이드부(600)에 형성된 회전롤러에는 케이블이 접촉되는 외면에 피드되는 케이블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의 재질이 부착되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rotary rollers formed on the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케이블을 피드하는 방법을 설명하면,Referring to the method of feeding the cable by the above structure,
케이블을 신규로 피드할 때는, 먼저 케이블 굵기에 맞도록 위치조절 고정부(421)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 나사부의 높이를 설정한 후, 걸림 고정부(422)를 완전히 고정 시킨다. When newly feeding the cable, the height of the locking screw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osition adjusting fixing
이때 가압 위치조절부(410)의 조절 위치는 스프링이 최대의 길이를 유지 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At this time, the adjustment position of the pressure
이후 케이블을 인입가이드부(500)를 통과시켜, 하부롤러부(200)와 상부롤러부(300)를 거쳐 인출가이드부(600)를 통과하면 가압 위치조절부(410)의 스프링을 가압하여 케이블에 적절한 가압력이 유지되도록 하고, 에어모터(700)를 가동시킴으로써 피드작업이 진행되게 된다.
Thereafter, the cable passes through the
다른 실시예로 케이블이 설치되어 있는 중간에 피더기를 설치할 경우에는, 가압 위치조절부(410)의 하부에 설치된 손잡이(416)를 돌려 스프링이 최대한 가압되도록 조절하고, 가압 조절부(400)를 90도 이상 열어서 케이블을 피더기 위에 올려 놓는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feeder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cable, the
케이블이 올려지면 다시 상기 가압 조절부(400)를 걸림 고정부(422)를 이용하여 약간 가압하면서 걸어서 고정시킨 후, 상기 가압 위치조절부(410)의 하부 손잡이(416)를 이용하여 스프링의 가압력을 풀어준다.When the cable is raised, the
이후 상기 가압 위조절부(410)의 상부 손잡이(415)를 이용하여 스프링 가압력을 최대한 증가시켜 케이블에 적절한 가압력이 유지되도록 하여 피드작업이 진행되게 한다.
Thereafter, the spring pressing force is increased as much as possible using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obviously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 케이블피딩장치
100 : 지지프레임 200 : 하부롤러부
210 : 구동롤러부 220 : 보조롤러부
300 : 상부롤러부 400 : 가압조절부
410 : 가압위치조절부 411 : 가압조절 프레임
412 : 가압조절나사 413 : 스프링
414 : 고정부재 415 : 상부손잡이
416 : 하부손잡이 420 : 고정부
421 : 위치조절고정부 422 : 걸림고정부
500 : 인입가이드부 510 : 가이드롤러
520 : 간격조절홈 530 : 고정나사
600 : 인출가이드부 700 : 에어모터10: cable feeding device
100: support frame 200: lower roller portion
210: driving roller portion 220: auxiliary roller portion
300: upper roller portion 400: pressure control unit
410: pressure position control unit 411: pressure control frame
412: Pressure adjusting screw 413: Spring
414: fixing member 415: upper handle
416: lower handle 420: fixed part
421: position fixing government 422: jamming government
500: guide guide portion 510: guide roller
520: spacing adjustment groove 530: fixing screw
600: drawing guide part 700: air motor
Claims (13)
내부 공간에 동력전달수단을 갖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케이블을 피드하는 복수개의 회전롤러로 형성된 하부롤러부;
상기 하부롤러부의 회전롤러 사이 중앙에 위치하여 케이블을 결합 피딩하기 위한 상부롤러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면에 고정되어 케이블의 외경에 따라 상기 상부롤러부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하부롤러부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가압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
In the apparatus for feeding the cable,
A support frame having power transmission means in the inner space;
A lower roller part rotatably installed in an inner space of the support frame and formed of a plurality of rotating rollers for feeding a cable;
An upper roller part positioned at a center between the rotating rollers of the lower roller part to couple and feed the cable; And
And a pressure adjusting part fixed to the side of the support frame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roller part by adjusting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upper roller part accor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cable.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기 케이블이 인입되는 위치에 상기 케이블이 피딩되는 위치를 중앙부로 정렬하기 위한 인입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retracting guide part for aligning a position at which the cable is fed to a central portion at a position at which the cable is retracted to the support frame.
상기 인입가이드부는 피드되는 케이블에 직접 접촉되어 케이블을 중앙부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롤러와;
상기 피드되는 케이블의 굵기에 따라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피드 케이블의 직각 방향으로 형성된 장방형의 간격조절홈과;
간격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가이드롤러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guide guide portion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cable to be fed and guide roller for guiding the cable to the center;
A rectangular spacing adjusting groove formed in a right angle direction of the feed cable to adjust the spacing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able to be fed;
And a fixing screw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guide roller when the gap adjustment is completed.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기 케이블이 인출되는 위치에 상기 케이블을 피드하기 위한 장소로 원활하게 피드하기 위하여 상기 인입가이드부와 동일한 구조의 인출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ull-out guide part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pull-in guide part in order to smoothly feed the cable to a place for feeding the cable to a position at which the cable is drawn out to the support frame.
상기 가압조절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부회전롤러의 위치를 조절하는 가압위치조절부와;
상기 가압위치조절부와 연동되어 조절된 위치를 고정 체결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ssure control unit is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and the pressure position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rotary roller;
Portable cable feeding device comprising a; fixed portion for fastening the adjusted position in conjunction with the pressure position control unit.
상기 가압위치조절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압조절 프레임과;
상기 가압조절 프레임의 일측에 상·하부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가압조절나사와;
상기 가압조절나사를 상부 또는 하부에서도 회전할 수 있는 이중 구조로 형성된 상·하부손잡이와;
상기 상·하부손잡이의 회전방향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는 한 개 이상의 스프링; 및
상기 상부회전롤러가 부착된 상태로 상기 가압위치조절부에 의해 상하 이동을 하여 하부롤러부와 케이블의 굵기에 적당한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상부회전롤러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ressure position control unit and the pressure control frame is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A pressure adjustment screw which moves up and down by rotation of the upper and lower handles on one side of the pressure control frame;
Upper and lower handles formed of a dual structure capable of rotating the pressure adjustment screw i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ne or more springs that contract or expan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upper and lower handles; And
And a top rotating roller fixing member configured to maintain a proper distance to the thickness of the lower roller and the cable by vertically moving by the pressing position adjusting unit while the upper rotating roller is attached. Device.
상기 가압조절부는 케이블이 설치되는 어느 지점에서도 케이블을 해제 및 결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케이블이 피드되는 방향과 직각으로 90도 이상 회전 가능한 힌지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ressure control unit is formed in a hinge structure rotatable 90 degrees or mor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ble is fed to enable release and coupling of the cable at any point where the cable is installed is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Portable cable feeding device.
상기 고정부는, 케이블의 굵기에 따라 상기 상부회전롤러 고정부재의 일측과 연동하여 고정되기 위해 긴 막대형상의 내면에 걸림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조절고정부;와
위치조절에 의해 케이블에 적절한 가압이 형성되면 상기 위치조절고정부를 걸림고정시키기 위한 걸림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xing part, the position adjusting fixing part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ng rod-shaped locking screw to be fixed in conjunction with one side of the upper rotating roller fixing member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able; And
When the appropriate pressure is formed on the cable by the position adjustment, the locking device for locking the position adjustment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ortable cable feeding device.
상기 하부롤러부는 벨트 풀리를 통하여 에어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2 개의 구동롤러가 양쪽으로 배치된 벨트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구동롤러의 중앙 상부에 위치하는 1 개의 상부 가압 롤러와 케이블을 가압하여 케이블 인입 및 피딩시 효과적으로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roller part is driven by a belt having two driving roller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air motor through both belt pulleys, and presses one upper pressing roller and a cabl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driving roller to press a cable. Portable cable fee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transmission can be effectively carried out when pulling in and feeding.
상기 상부롤러부가 복수 개이고, 상기 하부롤러부는 상기 상부롤러부보다 1 개가 더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lurality of upper roller parts, and one lower roller part more than the upper roller part.
상기 하부롤러부의 회전롤러가 3개 이상일 경우에는 구동력이 전달되는 한 쌍의 구동롤러와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1개 이상의 보조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re are three or more rotary rollers of the lower roller part, a portable cable fee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ir of drive rollers to which the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and one or more auxiliary rollers to which the driving force is not transmitted.
상기 구동롤러는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벨트 풀리를 통하여 에어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e roller is a portable cable fee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air motor through the belt pulley to receive the driving force.
상기 상부 가압롤러부와 상기 하부 회전롤러부에 형성된 회전롤러 및 가이드롤러는 케이블이 접촉되는 외면에는 피드되는 케이블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의 재질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ting roller and the guide roller formed on the upper pressurizing roller portion and the lower rotating roller portion are portable cable feed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material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able contact to prevent abrasion of the cable to be f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9398A KR101291493B1 (en) | 2011-11-16 | 2011-11-16 | Portable Cable feed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9398A KR101291493B1 (en) | 2011-11-16 | 2011-11-16 | Portable Cable feed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3770A true KR20130053770A (en) | 2013-05-24 |
KR101291493B1 KR101291493B1 (en) | 2013-07-30 |
Family
ID=48662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19398A Expired - Fee Related KR101291493B1 (en) | 2011-11-16 | 2011-11-16 | Portable Cable feed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91493B1 (en)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2815B1 (en) * | 2013-12-04 | 2014-10-22 | 윤성용 | cable transfer apparatus |
CN104218500A (en) * | 2014-09-29 | 2014-12-17 | 国家电网公司 | Portable cable conveying device |
WO2015008923A1 (en) * | 2013-07-16 | 2015-01-22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Gripper device for wire laying |
KR20150022123A (en) * | 2013-08-22 | 2015-03-04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Gripper device for auto feeding cable |
KR101505804B1 (en) * | 2013-09-13 | 2015-03-2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Portable cablefeeding apparatus |
KR20150037351A (en) * | 2013-09-30 | 2015-04-08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A gipper for cable laying using one way clutch and timing belt |
KR20160006018A (en) * | 2014-07-08 | 2016-01-18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Cable pulling apparatus using thin wire gripper |
KR20160015106A (en) * | 2014-07-30 | 2016-02-12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Wiring device for pulling plural cables |
KR102011493B1 (en) * | 2018-05-16 | 2019-08-16 | 피에스이엔지 주식회사 | Cassette guide roller of cassette for analyzer tube pulling |
KR20190131200A (en) * | 2018-05-16 | 2019-11-26 | 피에스이엔지 주식회사 | Cassette for analyzer tube pulling |
IT201900001841A1 (en) * | 2019-02-08 | 2020-08-08 | Tesmec Spa | CABLE RECOVERY MACHINE |
KR20240097549A (en) * | 2022-12-20 | 2024-06-27 | 한화오션 주식회사 | Simple feeder apparatus for installing fine cable bund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5986B1 (en) * | 2018-12-28 | 2021-05-25 | (주)오트로닉스 | Apparatus for feeding cable |
KR101998045B1 (en) * | 2019-01-10 | 2019-07-08 | 박정식 | Feeding apparatus for wire follow |
KR102582617B1 (en) | 2021-03-26 | 2023-09-25 | 한화오션 주식회사 | Cable feeder apparatus with portable structur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1634B1 (en) * | 2007-07-27 | 2009-10-14 | 김용득 | Cable take-off |
KR100997102B1 (en) * | 2008-06-19 | 2010-11-30 | 심효일 | Cable routing |
-
2011
- 2011-11-16 KR KR1020110119398A patent/KR10129149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08923A1 (en) * | 2013-07-16 | 2015-01-22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Gripper device for wire laying |
KR20150022123A (en) * | 2013-08-22 | 2015-03-04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Gripper device for auto feeding cable |
KR101505804B1 (en) * | 2013-09-13 | 2015-03-2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Portable cablefeeding apparatus |
KR20150037351A (en) * | 2013-09-30 | 2015-04-08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A gipper for cable laying using one way clutch and timing belt |
KR101452815B1 (en) * | 2013-12-04 | 2014-10-22 | 윤성용 | cable transfer apparatus |
KR20160006018A (en) * | 2014-07-08 | 2016-01-18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Cable pulling apparatus using thin wire gripper |
KR20160015106A (en) * | 2014-07-30 | 2016-02-12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Wiring device for pulling plural cables |
CN104218500A (en) * | 2014-09-29 | 2014-12-17 | 国家电网公司 | Portable cable conveying device |
KR102011493B1 (en) * | 2018-05-16 | 2019-08-16 | 피에스이엔지 주식회사 | Cassette guide roller of cassette for analyzer tube pulling |
KR20190131200A (en) * | 2018-05-16 | 2019-11-26 | 피에스이엔지 주식회사 | Cassette for analyzer tube pulling |
IT201900001841A1 (en) * | 2019-02-08 | 2020-08-08 | Tesmec Spa | CABLE RECOVERY MACHINE |
EP3694064A1 (en) * | 2019-02-08 | 2020-08-12 | Tesmec SpA | Cable recovery machine |
KR20240097549A (en) * | 2022-12-20 | 2024-06-27 | 한화오션 주식회사 | Simple feeder apparatus for installing fine cable bund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91493B1 (en) | 2013-07-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91493B1 (en) | Portable Cable feeding apparatus | |
KR101505802B1 (en) | Cable guide device, and cable laying equipment having the same | |
KR102149524B1 (en) | Pulling system for 3-phase power cable | |
KR101525776B1 (en) | Cable feeder | |
KR101413414B1 (en) | Traction track tention adjusting device of cable routing caterpillar | |
KR200455845Y1 (en) | Cable routing | |
CN113224690B (en) | Cable laying stringing auxiliary device | |
KR20150034365A (en) | Apparatus for cable feeding | |
KR101664802B1 (en) | Cable pulling apparatus using thin wire gripper | |
CN219576467U (en) | Cable laying traction device | |
KR20150101772A (en) | apparatus of feeding cable feeding | |
CN105947779B (en) | A kind of adjustable automatic wire feeder | |
KR200280772Y1 (en) | A cable spreader | |
KR101516538B1 (en) | Apparatus for feeding cable | |
CN108975050A (en) | A kind of adjustable berth away from telpher | |
CN210876784U (en) | Cable processing equipment | |
CN118017400A (en) | Cable laying frame | |
KR101824134B1 (en) | Wire installation device regardless of wire thickness | |
CN215477624U (en) | Conveying apparatus | |
JP3124353U (en) | Cable wire drawing device | |
KR101505804B1 (en) | Portable cablefeeding apparatus | |
KR101452815B1 (en) | cable transfer apparatus | |
KR102681971B1 (en) | Multi-pulling system and cable laying method using the same | |
CN216074086U (en) | Conveying device | |
CN107800106B (en) | A kind of fixed traction device for underground cable in coal m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7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