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592B1 - 회전링크를 이용하여 주행경로를 유지하는 관체 내부 주행장치 - Google Patents

회전링크를 이용하여 주행경로를 유지하는 관체 내부 주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592B1
KR101505592B1 KR1020130118674A KR20130118674A KR101505592B1 KR 101505592 B1 KR101505592 B1 KR 101505592B1 KR 1020130118674 A KR1020130118674 A KR 1020130118674A KR 20130118674 A KR20130118674 A KR 20130118674A KR 101505592 B1 KR101505592 B1 KR 101505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driving
traveling
sensing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8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휘
김은중
김성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8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F16L55/28Constructional aspects
    • F16L55/30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opulsion means, e.g. towed by cables
    • F16L55/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opulsion means, e.g. towed by cables being self-contain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30Inspecting, measu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체 내부 주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관체 내부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수단을 구비한 몸체, 상기 몸체상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가 상기 관체의 내면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유닛,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중간부가 상기 몸체상에서 상기 몸체의 주행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링크 및 상기 회전링크상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관체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몸체의 주행에 따라 회전하는 이동바퀴를 포함하는 틸팅유닛 및 상기 몸체 또는 상기 회전링크상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회전링크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 및 상기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몸체의 주행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주행조절유닛을 포함하는 회전링크를 이용하여 주행경로를 유지하는 관체 내부 주행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회전링크를 이용하여 주행경로를 유지하는 관체 내부 주행장치{Pipe Inside Moving Device Using Rotate Link as Keep Moving Direction}
본 발명은 관체 내부 주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주행장치에 구비된 회전링크의 틸팅 여부를 감지하여 주행경로를 조절하는 회전링크를 이용하여 주행경로를 유지하는 관체 내부 주행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체, 파이프등은 우리 생활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액체 상태의 물질을 이송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관체 내부를 흐르는 유체에 의해서 관체 내부가 부식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감지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관체 내부의 상태를 측정하거나 도장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대형 관체의 경우 직경 및 크기가 거대하여 내부 상태를 감지하는 것은 용이하지만, 내부를 도장하기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사람이 직접 들어가거나 별도의 장치가 관체 내부로 삽입되어 타워 내부를 도장하였다.
또한, 관체의 직경이 작아서 작업자가 직접 들어가지 못하는 정도의 경우 별도의 소형 로봇을 이용하여 관체 내부 상태의 감지 및 내부 도장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에 개발된 관체 내부를 이동하며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를 살펴보면 관체 내부를 이동할 수 있는 로봇에 관체 내부를 이동하며 내부상태를 감지하거나 내부에서 작업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관체 내부를 이동하며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는 별도의 캐터필러를 구비하여 관체 내부에서 이동하며 캐터필러는 폭 방향으로 가변되도록 구성되고, 이와 함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은 관체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이동을 할 수는 있지만, 주행경로를 이탈하는 것을 감지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이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주행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관체 내부에서 기울어진 상태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작업 품질이 저하되며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잇엇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98264호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체 내부에 삽입되어 관체 내부에서 이동하는 몸체와 회전링크의 틸팅상태를 감지하여 주행장치의 주행방향을 감지함으로써 주행경로를 유지하며 이동할 수 있는 회전링크를 이용하여 주행경로를 유지하는 관체 내부 주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링크를 이용하여 주행경로를 유지하는 관체 내부 주행장치는, 관체 내부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수단을 구비한 몸체, 상기 몸체상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가 상기 관체의 내면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유닛,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중간부가 상기 몸체상에서 상기 몸체의 주행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링크 및 상기 회전링크상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관체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몸체의 주행에 따라 회전하는 이동바퀴를 포함하는 틸팅유닛 및 상기 몸체 또는 상기 회전링크상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회전링크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 및 상기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몸체의 주행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주행조절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몸체의 좌 우측에 구비되며 상기 관체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구동바퀴 및 상기 몸체상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바퀴에 각각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구동바퀴의 회전속도 및 방향을 조절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링크의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 좌우에 구비된 각각의 상기 구동바퀴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바퀴는 상기 몸체상에서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틸팅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조절유닛은 상기 몸체상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의 기울기 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기울기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링크를 이용하여 주행경로를 유지하는 관체 내부 주행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관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작업을 수행하는 관체 내부 주행장치에서 몸체와 자유회전하며 양단에 구비된 이동바퀴가 관체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회전링크를 구비하여, 회전링크와 몸체의 틸팅여부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몸체의 주행방향을 조절 함으로써, 주행장치가 이동경로를 이탈하지 않고 올바르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몸체의 기울기 정보를 감지하는 별도의 기울기감지부를 더 구비며 관체 내부를 주행하는 주행장치의 기울기 여부를 판단하여 올바른 주행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몸체의 주행방향을 조절함으로써, 관체 내부 주행장치가 경로를 이탈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동하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체 내부 주행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관체 내부 주행장치가 관체 내부에서 주행방향을 이탈하여 회전링크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관체 내부 주행장치가 관체의 길이방향과 비틀어진 상태로 주행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의 관체 내부 주행장치가 이동유닛에 의해 주행경로와 주행?향이 일치하게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관체 내부 주행장치가 관체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주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도 1의 관체 내부 주행장치가 주행방향의 이탈을 감지하여 올바른 주행방향을 유지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체(P) 내부 주행장치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체(P) 내부 주행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관체(P) 내부 주행장치는 소형 또는 대형관 내부에서 이동하며, 탐사 또는 도장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로써, 일반적으로 관체(P)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며 내부에서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관체(P) 내부 주행장치는 몸체(100), 이동유닛(200), 틸팅유닛(300) 및 주행조절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0)는 관체(P) 내부를 따라 이동하며 관체(P) 내부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수단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작업수단은 관체(P) 내부의 도장, 촬영 및 코팅 등 다양한 작업을 위한 장치들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관체(P) 내부를 탐사하는 카메라 형태의 작업수단이 구비된다.
몸체(100)는 일반적으로 금속이나 플라스틱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동유닛(200)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관체(P) 내부측면을 따라 이동하며 작업수단을 이용해 작업을 수행한다.
이동유닛(200)은, 몸체(100)상에 구비되어 몸체(100)가 관체(P) 내면을 따라 전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구동바퀴(220)를 구비하여 구동바퀴(220)가 관체(P)의 내측면에 접촉하며 회전하여 몸체(100)를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닛(200)은 구동바퀴(220) 및 구동바퀴(220)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2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구동바퀴(220)는 몸체(100)의 좌 우측에 구비되며 관체(P)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바퀴(22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몸체(100)의 좌 우측 각각에 하나씩 구비되며 각각이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 하도록 구성된다.
구동수단(210)은 복수 개의 구동바퀴(220) 각각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바퀴(220)가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써, 복수 개 각각이 몸체(100)상에 구비되며 구동바퀴(220)에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회전하여 구동바퀴(220)의 회전속도 및 방향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구동수단(2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좌우에 한 쌍이 구비되어 각각이 독립적으로 회전하며 한 쌍의 구동바퀴(220) 각각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수단(210)은 구동바퀴(220)와 분리되어 별도의 동력전달수단(212)을 통해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구동수단(210)이 직접 구동바퀴(22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동유닛(200)이 구성됨에 따라 몸체(100)가 관체(P)의 내측면상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와 달리 이동유닛(200)은 구동바퀴(220) 형태가 아닌 궤도 또는 레일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동유닛(200)의 좌 우측 각각에서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여 이동유닛(200)의 진행속도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떤 형태로든 적용이 가능하다.
틸팅유닛(300)은 몸체(10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몸체(100)의 주행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크게 회전링크(310) 및 회전링크(310)에 결합되는 이동바퀴(320)를 포함한다.
회전링크(31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중간부가 몸체(100)상에서 몸체(100)의 주행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링크(3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를 기준으로 A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양단부에 구비된 이동바퀴(320)가 관체(P)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A방향이라 함은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P)의 주행방향D2와 교차되는 방향이다.
그리고 이동바퀴(320)는 회전링크(310)상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며 관체(P)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몸체(100)의 주행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바퀴(320)는 회전링크(310)의 양측 끝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별도의 구동력은 가지지 않는다, 그리고 각각의 이동바퀴(320)가 관체(P)의 내측면에 접촉한 상태로 몸체(100)의 주행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틸팅유닛(300)이 구비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주행장치가 관체(P)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관체(P)의 내측면에 안정적으로 접촉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주행조절유닛은 본 발명에 따른 관체(P) 내부 주행장치의 주행방향을 조절하는 구성으로써, 틸팅유닛(300)과 몸체(100)의 틸팅각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400) 및 몸체(100)의 주행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감지수단(400)은 몸체(100) 또는 회전링크(310)상에 구비되어 몸체(100)와 회전링크(310)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구성으로써 일반적인 레이저센서나 감지센서, 회전센서 등 다양한 형태의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감지수단(400)은 몸체(100)상에 구비되어 회전링크(310)가 틸팅되는 경우 틸팅여부 또는 틸팅각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후술하는 상기 제어부로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감지수단(400)에서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몸체(100)의 주행방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감지수단(400)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기초로 이동유닛(200)을 제어하여 몸체(100)의 주행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몸체(100)에 구비된 각각의 구동수단(210)을 제어하여 좌우에 각각에 구비된 구동바퀴(220)의 회전속도를 서로 다르게 하여 몸체(100)의 주행방향을 조절한다.
즉, 몸체(100)의 좌우에 구비된 구동바퀴(220)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함에 따라 몸체(100)의 주행방향이 조절되며, 이에 따라 회전링크(310)가 몸체(100)와 회전하며 회전링크(310)상에 구비된 이동바퀴(320)가 관체(P)의 내측면과 접촉상태를 유지하며 회전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링크(310)를 이용하여 주행경로를 유지하는 관체(P) 내부 주행장치가 구성됨에 따라, 관체(P)의 내부를 이동할 때 몸체(100)와 회전링크(310)의 회전 상태에 따라 주행장치의 직진성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몸체(100)의 주행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주행장치가 주행경로를 이탈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체(P) 내부 주행장치가 관체(P) 내측면상에서 이동하는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의 관체(P) 내부 주행장치가 관체(P) 내부에서 주행방향을 이탈하여 회전링크(310)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관체(P) 내부 주행장치가 관체(P)의 길이방향과 비틀어진 상태로 주행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의 관체(P) 내부 주행장치가 이동유닛(200)에 의해 올바른 주행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관체(P) 내부 주행장치가 관체(P)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주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주행장치가 관체(P)의 길이방향에 따른 주행경로를 이탈한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장치가 관체(P) 내부에서 이동하고 있는 상태로써, 몸체(100)와 회전링크(310)가 일정각도 틸팅된 상태로 주행을 하고 있다.
여기서, 몸체(100)는 관체(P)의 길이방향과 수평이 아닌 교차된 방향으로 비틀어져서 진행을 하고 있으며 좌우에 구비된 구동바퀴(220)는 관체(P)의 내측면과 접촉한 상태이다.
그리고 몸체(100)와 연결된 회전링크(310)는 관체(P)의 굴곡진 내면에 대응하여 양단부에 구비된 이동바퀴(320)가 관체(P)의 내측면에 각각 접촉할 수 있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P)의 길이방향과 평행하지 않는 경우 구동바퀴(220)와 이동바퀴(320)가 모두 관체(P)의 내측면상에 접촉하기 위해서 관체(P)의 굴곡 반경에 대응하여 몸체(100)부에서 회전링크(310)가 A방향으로 틸팅된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살펴보면 관체(P)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장치가 이동해야 하는 주행경로는 D1이고 실제 주행장치가 이동하는 주행방향은 D2방향이다.
이와 같은 경우 구동바퀴(220) 및 이동바퀴(320)가 모두 굴곡진 관체(P) 내측면에 접촉하기 위해서는 회전링크(310)가 필연적으로 틸팅되어야 한다. 이는 곡면형태의 관체(P) 내측면상에 4점 이상의 접촉 시 관체(P)의 길이방향에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지 않는 경우 각각의 지점이 서로 다른 높이상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주행장치의 주행방향인 D2가 관체(P)의 길이방향에 따른 주행경로 D1과 평행하지 않은 경우 몸체(100)와 회전링크(310)는 자유회전을 할 수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이동바퀴(320)가 관체(P) 내측면과의 접촉을 위해 회전링크(310)가 시계방향으로 틸팅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주행장치가 관체(P)의 내측면을 따라 지속적인 이동은 가능하지만, 관체(P)의 길이방향에 따른 올바른 주행경로를 이탈하였기 때문에 관체(P) 내부에서 수행하는 작업이 올바르게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작업수단을 통해 관체(P) 내부에서 도장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올바르게 도장되지 않아 도장품질이 저하되거나 도장상태가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주행장치가 관체(P) 내부에서 주행경로를 이탈하여 이동하면 회전링크(310)가 틸팅하게 되고 이를 감지수단(400)에서 감지하게 된다.
감지수단(400)에서 감지된 회전링크(310)의 틸팅여부 및 틸팅각도의 정보는 상기 제어부로 전달된다.
이어서, 주행장치가 관체(P)의 길이방향에 따른 주행경로를 이탈한 상태에서 다시 올바른 주행경로로 이동하는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감지수단(400)에서 회전링크(310)가 틸팅된 상태를 감지하여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면, 상기 제어부는 몸체(100)의 주행방향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몸체(100)에 구비된 이동유닛(200)은 한 쌍의 구동바퀴(220) 및 한 쌍의 구동수단(210)을 구비하여 각각이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좌우 한 쌍의 구동수단(210)이 서로 다른 속도로 구동력을 제공하여 한 쌍의 구동바퀴(220)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도록 조절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몸체(100)에 구비된 구동바퀴(220)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함에 따라 몸체(100)의 주행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장치의 주행방향이 주행경로 D1을 기준으로 D2방향과 같이 우측으로 향하는 경우 주행장치는 올바른 주행경로 D1을 따라 이동하기 위해 좌측으로 방향을 전환해야 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몸체(100) 좌측에 위치한 구동수단(210)과 우측에 위치한 구동수단(210)을 조작하여 각각에 연결된 구동바퀴(22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우측에 위치한 구동바퀴(220)가 상대적으로 더 빠르게 회전하도록 조절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구동바퀴(220)의 회전속도가 조절되어 주행장치의 주행방향 D2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P)의 길이방향에 따른 주행경로 D1과 평행하도록 조절된다.
구체적으로 도 2와 같이 주행장치의 주행방향이 주행경로 D1과 교차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가 구동바퀴(220)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몸체(100)의 주행방향인 D1이 D2와 평행지도록 조절되며 이에 따라 회전링크(310)와 몸체(100)가 틸팅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즉, 몸체(100)와 회전링크(310)의 틸팅상태를 감지수단(400)이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구동바퀴(220)의 속도를 조절하여 몸체(100)의 주행방향을 조절하며, 이에 따라 몸체(100)와 회전링크(310)가 틸팅되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하여 주행장치의 주행방향D2와 관체(P)의 길이방향에 따른 주행경로 D1이 평행하도록 한다.
또한, 감지수단(400)이 지속적으로 회전링크(310)와 몸체(100)의 회전상태 및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서 피드백함으로써, 몸체(100)가 주행경로를 이탈하지 않고 올바르게 D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바퀴(220)는 구동수단(210)에 의해 각각의 회전속도가 조절되며 이에 따라 몸체(100)의 주행방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달리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구동바퀴(220)가 좌우 또는 상하 틸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주행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주행조절유닛은 몸체(100)상에 구비되어 몸체(100)의 기울기 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기울기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울기감지부는 일반적인 중력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몸체(100)가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행장치가 관체(P) 내부에서 기울어진 상태로 주행하는 경우 관체(P) 내부에서 수행하는 작업이 올바르게 진행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주행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상기 기울기감지부에서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고, 몸체(100)의 기울기 정보를 전달받은 상기 제어부는 이동유닛(200)을 제어하여 몸체(100)의 주행경로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관체(P)의 경우 내측면이 둥근 형태이기 때문에 구동바퀴(220) 및 이동바퀴(320)가 모두 관체(P)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안정적으로 이동을 하더라도 기울어진 상태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이를 상기 기울기감지부에서 감지하여 몸체(100)가 수평을 이루며 관체(P)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체(P) 내부 주행장치가 주행경로를 이탈하지 않고 올바른 주행방향을 유지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1의 관체(P) 내부 주행장치가 주행방향의 이탈을 감지하여 올바른 주행방향을 유지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주행장치가 관체(P)의 길이방향에 따른 주행경로를 이탈하지 않고 올바른 주행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면 먼저 주행장치가 관체(P)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한다(S01).
그리고 이와 함께 감지수단(400)에서 회전링크(310)와 몸체(100)의 틸팅각도를 감지한다(S02). 감지된 회전링크(310)와 몸체(100)의 틸팅정보를 상기 제어부에서 수신받아(S03) 수신된 감지정보를 기초로 좌우 구동바퀴(220)의 회전속도를 조절한다(S04).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가 구동바퀴(22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몸체(100)의 주행방향을 조절한다.
여기서, 회전링크(310)와 몸체(100)의 틸팅상태가 지속되는지 여부를 감지수단(400)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판단한다(S05).
만약 다시 감지수단(400)에서 몸체(100)와 회전링크(310)의 틸팅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다시 구동바퀴(22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몸체(100)의 주행방향을 조절한다.
하지만, 감지수단(400)에서 몸체(100)와 회전링크(310)의 틸팅을 감지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구동바퀴(220)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하여 주행방향을 조절하지 않는다(S06).
즉, 몸체(100)와 회전링크(310)가 틸팅되는 것은 몸체(100)의 주행방향D2가 관체(P)의 주행방향 D1을 이탈한 상태를 의미하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가 몸체(100)와 회전링크(310)의 틸팅을 지속적으로 감지함으로써 주행로봇이 주행경로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몸체 110: 작업수단
200: 이동유닛 210: 구동수단
220: 구동바퀴 300: 틸팅유닛
310: 회전링크 320: 이동바퀴
400: 감지수단 P: 관체

Claims (5)

  1. 관체 내부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수단을 구비한 몸체;
    상기 몸체의 좌 우측에 구비되며 상기 관체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구동바퀴 및 상기 몸체상에서 상기 구동바퀴에 각각 연결되며 독립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구동바퀴의 회전속도 및 방향을 조절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가 상기 관체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유닛;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중간부가 상기 몸체상에서 상기 몸체의 주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회전축을 가지며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링크 및 상기 회전링크상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몸체의 주행에 따라 자유회전하며, 상기 관체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몸체가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바퀴를 포함하는 틸팅유닛; 및
    상기 몸체 또는 상기 회전링크상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회전링크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 및 상기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회전링크의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 좌우에 구비된 각각의 상기 구동바퀴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도록 조절하며 상기 몸체의 주행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주행조절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링크는 상기 몸체의 주행방향과 상기 관체의 길이방향이 평행하지 않는 경우 자중에 의해 상기 이동바퀴가 상기 관체의 내측면과 접촉하도록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 내부 주행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퀴는,
    상기 몸체상에서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체 내부 주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조절유닛은,
    상기 몸체상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의 기울기 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기울기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관체 내부 주행장치.
KR1020130118674A 2013-10-04 2013-10-04 회전링크를 이용하여 주행경로를 유지하는 관체 내부 주행장치 KR101505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674A KR101505592B1 (ko) 2013-10-04 2013-10-04 회전링크를 이용하여 주행경로를 유지하는 관체 내부 주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674A KR101505592B1 (ko) 2013-10-04 2013-10-04 회전링크를 이용하여 주행경로를 유지하는 관체 내부 주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5592B1 true KR101505592B1 (ko) 2015-03-24

Family

ID=53028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8674A KR101505592B1 (ko) 2013-10-04 2013-10-04 회전링크를 이용하여 주행경로를 유지하는 관체 내부 주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5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59315A (zh) * 2019-12-13 2021-06-15 于春彦 一种新型智能机器人及其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9713A (ko) * 2008-02-19 2009-08-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정형 지형 주행을 위한 지형적응 메커니즘을 이용한이동로봇
KR101020189B1 (ko) * 2008-09-25 2011-03-09 대지종건(주) 자력식 이동표면처리장치
KR101108933B1 (ko) * 2009-10-13 2012-01-31 웰텍 주식회사 지능형 로봇장치를 이용한 강관 내면 자동용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용접방법
KR101190092B1 (ko) * 2010-01-28 2012-10-11 박병욱 원형 덕트 청소용 원격 제어 로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9713A (ko) * 2008-02-19 2009-08-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정형 지형 주행을 위한 지형적응 메커니즘을 이용한이동로봇
KR101020189B1 (ko) * 2008-09-25 2011-03-09 대지종건(주) 자력식 이동표면처리장치
KR101108933B1 (ko) * 2009-10-13 2012-01-31 웰텍 주식회사 지능형 로봇장치를 이용한 강관 내면 자동용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용접방법
KR101190092B1 (ko) * 2010-01-28 2012-10-11 박병욱 원형 덕트 청소용 원격 제어 로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59315A (zh) * 2019-12-13 2021-06-15 于春彦 一种新型智能机器人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76458T3 (es) Mecanismo de despliegue para normalización pasiva de un instrumento con relación a la superficie de una pieza de trabajo
CN107923564B (zh) 非破坏性管道检查装置
JPH10318478A (ja) 管内走行装置
US20220176736A1 (en) Two-wheel compact inspection crawler with automatic probe normalization
KR20210038206A (ko) 배관 검사 장치
CN107922020B (zh) 行进设备及其控制方法
KR101505592B1 (ko) 회전링크를 이용하여 주행경로를 유지하는 관체 내부 주행장치
KR20170039402A (ko) 이동 로봇
JP3809698B2 (ja) 搬送装置
KR101505611B1 (ko) 관체 내부 주행장치
JPH09295573A (ja) 管内走行機構
JP5415985B2 (ja) 管内移動装置
JP6337324B2 (ja) 管内走行装置
JP2004125752A (ja) 測定装置および測定方法
US8205559B2 (en) Self-righting, two-wheel pipe crawler
JP2021105405A (ja) 管内移動体
KR101470736B1 (ko) 용접영역의 빗면 각도를 이용한 강관 자동용접장치
KR100818315B1 (ko) 자동용접장치 및 그 자동용접방법
KR20110051530A (ko) 원통형 부재 자동용접장치
JPS6154447A (ja) 管内走行装置及びその用法
CN111156367B (zh) 蛇形机器人
KR20220043408A (ko) 배관 주행 장치
FR2918185A1 (fr) Guidage de robot pour des applications dans le domaine du genie civil.
JP6826555B2 (ja) 杭打装置
KR101544191B1 (ko) 강관의 용접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