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608B1 - 광학방식 터치검출장치의 안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방식 터치검출장치의 안정화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4608B1 KR101504608B1 KR1020130070431A KR20130070431A KR101504608B1 KR 101504608 B1 KR101504608 B1 KR 101504608B1 KR 1020130070431 A KR1020130070431 A KR 1020130070431A KR 20130070431 A KR20130070431 A KR 20130070431A KR 101504608 B1 KR101504608 B1 KR 1015046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ser beam
- screen
- mirror
- cylindrical lens
- reflect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1391944 Commicarpus scand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G06F3/042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using sweeping light beams, e.g. using rotating or vibrating mirr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광학방식 터치검출장치의 안정화 장치는 스크린의 상부에 위치하여, 반사수단을 향해 레이저빔을 조사하고, 상기 반사수단으로부터 회귀반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의 시간에 따른 광량 변화를 분석하여 상기 스크린의 평면상에 지시물체의 위치좌표를 감지하도록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물체감지수단 및 상기 스크린의 좌, 우 및 하부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물체감지수단으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을 회귀반사하도록 하는 반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물체감지수단에는 상기 반사수단에 도달하는 상기 레이저빔의 폭을 확장시키기 위한 실린더리컬렌즈를 포함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물체감지수단이 장착된 광학 터치스크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체감지수단,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삼각형미러의 전방에 실린더리컬렌즈가 결합된 물체감지수단,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삼각형미러의 후방에 실린더리컬렌즈가 결합된 물체감지수단,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사각형미러의 전방에 실린더리컬렌즈가 결합된 물체감지수단,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사각형미러의 후방에 실린더리컬렌즈가 결합된 물체감지수단,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펜타프리즘의 원리를 나타낸 그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펜타프리즘의 전방에 실린더리컬렌즈가 결합된 물체감지수단,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펜타프리즘의 후방에 실린더리컬렌즈가 결합된 물체감지수단,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45도 곡면미러를 이용한 물체감지수단,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수단의 상세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회귀반사필름의 상세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예의 회귀반사필름 상세도이다.
110 : 반도체레이저 120 : 굴절수단
130 : 광검출기 140 : 마이콤
200 : 반사수단 210 : 스펀지
230 : 회귀반사필름 231 : 베이스필름층
233 : 반사층 235 : 보호층
237 : 고굴절유리알층 250 : 보호필름
300 : 스캔수단 310 : 정다각형미러
311 : 정삼각형미러 312 : 정사각형미러
313 : 펜타프리즘 314 : 45도 곡면미러
320 : 구동모듈 330 : 실린더리컬렌즈
340 : 지지부 400 : 레이저빔 포인트
Claims (11)
- 광학부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폭을 확대하여 터치검출장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안정화 장치에 있어서,
스크린의 상부에 위치하여, 반사수단을 향해 레이저빔을 조사하고, 상기 반사수단으로부터 회귀반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의 시간에 따른 광량 변화를 분석하여 상기 스크린의 평면상에 위치하는 지시물체의 위치좌표를 감지하도록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물체감지수단; 및
상기 스크린의 좌, 우 및 하부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물체감지수단으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을 회귀반사하도록 하는 반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물체감지수단에는 상기 반사수단에 도달하는 상기 레이저빔의 폭을 확장시키기 위한 실린더리컬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체감지수단은,
상기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반도체레이저;
상기 반도체레이저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반도체레이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의 진행방향을 상기 스크린과 평행으로 만들기 위한 굴절수단;
상기 굴절수단을 지난 상기 레이저빔을 상기 스크린에 위치한 상기 반사수단으로 조사하기 위한 스캔수단;
상기 반사수단으로부터 회귀반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을 수광하여 상기 레이저빔의 세기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검출기; 및
상기 광검출기로부터 받은 상기 레이저빔의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위치좌표를 계산하는 마이콤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방식 터치검출장치의 안정화 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수단은 하프미러, 편광빔스플리터 또는 전반사거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방식 터치검출장치의 안정화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수단은 상기 실린더리컬렌즈를 지난 상기 레이저빔의 진행방향을 상기 반사수단으로 바꾸기 위한 정다각형미러와 상기 정다각형미러를 360°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방식 터치검출장치의 안정화 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정다각형미러는 정삼각형미러, 정사각형미러, 45도 곡면미러 또는 펜타프리즘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방식 터치검출장치의 안정화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리컬렌즈는 상기 굴절수단의 앞쪽 또는 뒤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방식 터치검출장치의 안정화 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리컬렌즈는 상기 정다각형미러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방식 터치검출장치의 안정화 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으로 구성된 상기 실린더리컬렌즈는 상기 정다각형미러의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방식 터치검출장치의 안정화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수단은 상기 스크린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의 크기에 맞게 잘라쓸 수 있도록 한 사각기둥형상의 스펀지;
상기 스펀지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물체감지수단으로부터 입사받은 레이저빔을 다시 상기 물체감지수단으로 회귀반사하도록 하는 회귀반사필름; 및
상기 회귀반사필름보다 높게 설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빛이 상기 회귀반사필름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레이저빔의 산란광이 전면으로 향하여 사람의 눈으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한 보호필름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방식 터치검출장치의 안정화 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회귀반사필름은 톱날형상의 베이스필름층과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반사층과 상기 반사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보호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방식 터치검출장치의 안정화 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회귀반사필름은 톱날형상의 베이스필름층과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반사층과 상기 반사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고굴절유리알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방식 터치검출장치의 안정화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0431A KR101504608B1 (ko) | 2013-06-19 | 2013-06-19 | 광학방식 터치검출장치의 안정화 장치 |
PCT/KR2014/005202 WO2014204138A1 (ko) | 2013-06-19 | 2014-06-13 | 광학방식 터치검출장치의 안정화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0431A KR101504608B1 (ko) | 2013-06-19 | 2013-06-19 | 광학방식 터치검출장치의 안정화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7348A KR20140147348A (ko) | 2014-12-30 |
KR101504608B1 true KR101504608B1 (ko) | 2015-03-27 |
Family
ID=52104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70431A Expired - Fee Related KR101504608B1 (ko) | 2013-06-19 | 2013-06-19 | 광학방식 터치검출장치의 안정화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504608B1 (ko) |
WO (1) | WO201420413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514766A (zh) * | 2016-02-29 | 2016-04-20 | 北京仁光科技有限公司 | 大角度均匀一字线激光扇面调制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20556A (ko) * | 2009-05-06 | 2010-11-16 | 최영순 | 라인빔을 이용한 터치 좌표 검출 장치 |
KR20110049454A (ko) * | 2009-11-05 | 2011-05-12 | 정승태 | 지시물체의 위치인식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363174B2 (ja) * | 2003-12-16 | 2009-11-11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座標入力装置 |
CN201444297U (zh) * | 2009-03-27 | 2010-04-28 | 宸鸿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 触控装置、其激光光源组及其激光光源结构 |
-
2013
- 2013-06-19 KR KR1020130070431A patent/KR101504608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
- 2014-06-13 WO PCT/KR2014/005202 patent/WO2014204138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20556A (ko) * | 2009-05-06 | 2010-11-16 | 최영순 | 라인빔을 이용한 터치 좌표 검출 장치 |
KR20110049454A (ko) * | 2009-11-05 | 2011-05-12 | 정승태 | 지시물체의 위치인식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7348A (ko) | 2014-12-30 |
WO2014204138A1 (ko) | 2014-12-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59561B2 (en) | Display device including optical sensing frame and method of sensing touch | |
AU2011229745B2 (en) | Lens arrangement for light-based touch screen | |
AU2013207572B2 (en) | Optical touch screen using total internal reflection | |
JP5341057B2 (ja) | タッチ感知方法及びこれを用いる表示装置 | |
EP2840470A2 (en) | Coordinate detecting apparatus, method of detecting coordinate, and electronic information board system | |
US20110187678A1 (en) | Touch system using optical components to image multiple fields of view on an image sensor | |
JP2015503157A (ja) | 交替反射レンズファセットを有する光学要素 | |
KR20130082144A (ko) | 적외 발광 다이오드 및 터치 스크린 | |
JP4023979B2 (ja) | 光デジタイザ | |
JP2012133452A (ja) | 反射板及び反射フレーム | |
KR101504608B1 (ko) | 광학방식 터치검출장치의 안정화 장치 | |
JPH1185399A (ja) | 光走査型タッチパネル | |
JP4637884B2 (ja) | 光デジタイザ | |
KR101409818B1 (ko) |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및 그 구동방법 | |
KR20130086727A (ko) | 디스플레이용 터치센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장치 | |
TW201106226A (en) | Optical touch sensing apparatus | |
KR101322281B1 (ko) | 투과렌즈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용 터치센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장치 | |
KR101308477B1 (ko) | 터치 감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표시 장치 | |
KR101230586B1 (ko) | 디스플레이용 터치센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장치 | |
KR20130084734A (ko) | 반사거울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용 터치센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장치 | |
KR20140147347A (ko) | 광학 터치스크린의 위치인식장치 | |
KR101309623B1 (ko) | 대칭 반사거울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용 터치센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장치 | |
CN104423722A (zh) | 光学触控装置 | |
KR20140147355A (ko) | 광학 터치스크린의 위치인식장치 | |
KR20210097574A (ko) | 반사거울이 장착된 디스플레이용 터치센서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광학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308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6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3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3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